KR100309108B1 - 터치스크린을이용한키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이용한키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108B1
KR100309108B1 KR1019970074154A KR19970074154A KR100309108B1 KR 100309108 B1 KR100309108 B1 KR 100309108B1 KR 1019970074154 A KR1019970074154 A KR 1019970074154A KR 19970074154 A KR19970074154 A KR 19970074154A KR 100309108 B1 KR100309108 B1 KR 100309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input
key
keyboard
screen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343A (ko
Inventor
김형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108B1/ko
Priority to CN98115903A priority patent/CN1118012C/zh
Priority to JP19215798A priority patent/JPH11203046A/ja
Publication of KR19990054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키를 입력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키를 입력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입력장치로 채용되어 터치 스크린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 입/출력 화면의 일부에 터치 스크린 키보드 화면이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가리지 않으면서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해 키입력을 할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 방법{KEY INPUT METHOD BY USE OF TOUCH SCREEN}
본 발명은 휴대형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하 "PDA"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PDA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PDA는 주소록, 전화수첩, 스케줄 관리, 메모 등 개인의 정보를정리하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이나 팩스, PC 통신 등에 의한 정보의 수집이나 교환이 가능한 기기를 말하며 그 이용분야는 사용자의 계층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상기한 종래에 PDA의 입력장치로는 대부분 터치 스크린 입력장치가 채용되고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터치 스크린 입력장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중인 PDA의 액정화면에 각종 명령 아이콘이나 키보드(이하 "터치 스크린 키보드" 이라 함) 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서 사용하게 됨에 따라 비교적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터치 스크린 키보드가 먼저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터치 스크린 입력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PDA의 액정화면에 정보 입력을 위해 각종 명령 아이콘이나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디스플레이시켜서 사용하게 됨에 따라 비교적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터치 스크린 키보드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PDA의 터치 스크린 키보드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키를 입력시키는 처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터치 스크린 키보드가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DA의 입력장치로 채용되어 터치 스크린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 입/출력 화면의 일부에 터치 스크린 키보드 화면이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가리지 않으면서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해 키입력을 할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PDA의 블록 구성도를 보인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0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PDA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102)는 제어부(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각종 참조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키입력부(104)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를 가질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키보드"온","오프"키를 구비한다. 상기 키 입력부(104)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106)는 액정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110)와 TSP(Touch-Sensitive Panel)(108)를 구비하여 TSP(108)를 통한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 입력을 제어부(100)에 제공하고,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PDA의 각종 상태 및 애플리케이션 수행에 따른 각종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LCD(11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키보드가 PDA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02)에 프로그램 한다. 이제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PDA의 전원을 "온"시키는 경우 제어부(100)는 이에 응답하여 (200)단계에서 (202)단계로 진행하여 PDA의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206)에 초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초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에 대한 일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여 수행시킬 수 있게 되고 애플리케이션 수행중에 키보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키보드가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106)에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서 키입력부(104)의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온"키를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204)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06)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 랩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4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 중 메모(이하 "Memo"라 함) 이이콘이 선택되어 Memo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키보드(400)가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터치 스크린 키보드(400)가 상기한 도 4에서와 같이 먼저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106)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Memo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키보드(400)를 사용하면서도 Memo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터치 스크린 키보드와 함께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Memo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오버 랩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400)의 윤곽 진하기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키보드(400)의 윤곽 진하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기능키를 구비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106)에 먼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원하는 키를 팬터치하여 입력시킬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키를 팬터치하여 입력시킬 수도 있게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208)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팬터치된 키의 위치가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영역인지 먼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팬터치된 키의 위치가 애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이라면 제어부(10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팬터치 입력을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부터의 키입력으로 받아들인다.
이와 달리 상기 팬터치된 키의 위치가 터치 스크린 키보드의 영역이라면 제어부(100)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팬터치 입력을 터치 스크린 키보드로부터의 키입력으로 받아들인다. 여기서 사용자는 더 이상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한 키입력이 필요하게 되지 않을 경우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106)에서 삭제하기 위해 키입력부(104)의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프"키를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216)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18)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106)에서 삭제한다.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터치 스크린 키보드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키보드가 먼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위에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터치 스크린 키보드에 의해 가려지지 않아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하면서도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PDA의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오버 랩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장치의 소형화 때문에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에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디스플레이시켜서 키입력장치로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키보드가 먼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 랩되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터치 스크린 키보드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를 구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에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디스플레이시켜서 키입력장치로 사용 가능한 전자기기에서 키를 입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에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온"키가 입력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위에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오버 랩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로부터 키가 팬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팬터치된 키의 위치가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영역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팬터치된 키의 위치가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영역인 경우 상기 키의 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로부터의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로부터 팬터치되어 입력된 키의 위치가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영역이 아닌 경우 상기 키의 입력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부터의 키입력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프"키가 입력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 방법.
  5.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를 구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에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디스플레이시켜서 키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서 키를 입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에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온"키가 입력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위에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오버 랩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부로부터 키가 팬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팬터치된 키의 위치가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영역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팬터치된 키의 위치가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영역인 경우 상기 키의 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로부터의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과정과,
    상기 팬터치된 키의 위치가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영역이 아닌 경우 상기 키의 입력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부터의 키입력으로 받아들이는 과정과,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프"키가 입력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 랩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터치 스크린 키보드를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 방법.
KR1019970074154A 1997-12-26 1997-12-26 터치스크린을이용한키입력방법 KR100309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154A KR100309108B1 (ko) 1997-12-26 1997-12-26 터치스크린을이용한키입력방법
CN98115903A CN1118012C (zh) 1997-12-26 1998-07-06 控制触摸屏键盘显示的方法
JP19215798A JPH11203046A (ja) 1997-12-26 1998-07-07 タッチスクリーンキーボードのディスプレーを制御す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154A KR100309108B1 (ko) 1997-12-26 1997-12-26 터치스크린을이용한키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343A KR19990054343A (ko) 1999-07-15
KR100309108B1 true KR100309108B1 (ko) 2001-12-12

Family

ID=1952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154A KR100309108B1 (ko) 1997-12-26 1997-12-26 터치스크린을이용한키입력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203046A (ko)
KR (1) KR100309108B1 (ko)
CN (1) CN1118012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967B1 (ko) * 2001-10-22 2004-09-18 주식회사 아인텍정보 엔터키의 영역확대 방법 및 장치
KR100963594B1 (ko) 2009-10-16 2010-06-15 (주)휴먼웍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웹페이지의 텍스트 입력시스템과 텍스트 입력방법
US7969421B2 (en) 2003-10-29 2011-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51189A1 (en) * 2000-03-31 2001-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feature access
KR100380600B1 (ko) * 2000-04-17 2003-04-21 (주)네이스텍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EP1311937B1 (en) * 2000-06-09 2008-04-16 Seng Kee Bahby Teo An alphabet character input device
JP2003296015A (ja) 2002-01-30 2003-10-17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JP4432472B2 (ja) * 2002-11-29 2010-03-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WO2004076979A1 (en) 2003-02-26 2004-09-10 Tomtom B.V. Navigation device with touch screen
CN100421064C (zh) * 2003-12-19 2008-09-24 升达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控制方法及其采用该触控装置的电子装置
WO2006025653A1 (en) * 2004-09-03 2006-03-09 Xc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ursor using numerical keys
CN100447718C (zh) * 2005-12-23 2008-12-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字设备的输入键盘
KR101351094B1 (ko) * 2006-08-22 201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패드장치
KR100913962B1 (ko) * 2007-05-14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9288873A (ja) * 2008-05-27 2009-12-10 Ntt Docomo Inc 携帯端末及び文字入力方法
CN101644971A (zh) * 2009-05-18 2010-02-10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lcm触摸屏兼容带icon和不带icon的方法
JP5263006B2 (ja) * 2009-06-02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補助装置
CN101833873A (zh) * 2010-05-19 2010-09-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分屏显示功能的电子书
KR101169374B1 (ko) * 2012-04-04 2012-07-30 서주홍 스마트 기기용 키패드 표시 방법
CN108108116B (zh) * 2014-02-27 2021-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与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096A (ja) * 1992-10-15 1994-05-13 Sharp Corp キーボード映像を切換えて使用可能な情報処理装置
JPH06324806A (ja) * 1993-05-13 1994-11-25 Fuji Facom Corp 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096A (ja) * 1992-10-15 1994-05-13 Sharp Corp キーボード映像を切換えて使用可能な情報処理装置
JPH06324806A (ja) * 1993-05-13 1994-11-25 Fuji Facom Corp 処理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월간잡지 마이크로 소프트웨어 95.11월호 308페이지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967B1 (ko) * 2001-10-22 2004-09-18 주식회사 아인텍정보 엔터키의 영역확대 방법 및 장치
US7969421B2 (en) 2003-10-29 2011-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8508485B2 (en) 2003-10-29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9098120B2 (en) 2003-10-29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9342156B2 (en) 2003-10-29 2016-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9710162B2 (en) 2003-10-29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9891819B2 (en) 2003-10-29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KR100963594B1 (ko) 2009-10-16 2010-06-15 (주)휴먼웍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웹페이지의 텍스트 입력시스템과 텍스트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343A (ko) 1999-07-15
CN1118012C (zh) 2003-08-13
JPH11203046A (ja) 1999-07-30
CN1224189A (zh) 199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108B1 (ko) 터치스크린을이용한키입력방법
US8516388B2 (en) Method of displaying browser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6462760B1 (en) User interfa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can conserve space on a computer display screen by associating an icon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s
KR100771626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령 입력 방법
KR100831721B1 (ko)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3235480B2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US20020067346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evices having small tactile displays
US20050223341A1 (en) Method of indicating loading status of application view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H07129550A (ja) 文書処理装置
JP2000194469A (ja) 項目表示制御装置
JP2010072754A (ja) 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機能を備えたプログラム
US20030128241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H1153161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前記方法を実行する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060008089A (ko)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전기기기
KR1004132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 배열형의 아이콘을 이용한 메뉴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US200302231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455149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JP3456023B2 (ja) データ表示装置
US200402015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without control items
JP3256023B2 (ja) 情報処理装置
KR100228806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KR100389825B1 (ko) 소프트 핫키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키를 가지는 정보단말기 및 그 방법
JPH09198190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EP1947561B1 (en) Method of displaying browser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7825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단축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515

Effective date: 2000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