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862B1 - 제어메시지통신을위해상호접속된장치 - Google Patents

제어메시지통신을위해상호접속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862B1
KR100307862B1 KR1019930015168A KR930015168A KR100307862B1 KR 100307862 B1 KR100307862 B1 KR 100307862B1 KR 1019930015168 A KR1019930015168 A KR 1019930015168A KR 930015168 A KR930015168 A KR 930015168A KR 100307862 B1 KR100307862 B1 KR 10030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key
activation
us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006A (ko
Inventor
젤리혹스트라
Original Assignee
로빈죤박스올
디투비시스템즈캄파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빈죤박스올, 디투비시스템즈캄파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로빈죤박스올
Publication of KR94000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5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with control bus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adder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장치들(1, 2, 3)은 직렬 제어 버스(4)를 거쳐 서로 사용자 명령을 전달한다. 사용자 명령은 리모트 핸드셋(18a)상에서의 키 활성화를 전달하는데, 상기 키들은 "뮤트/언뮤트"와 같은 "정규"키와 "음량 증가" 및 "음량 감소"와 같은 "반복"키를 포함한다. 반복 키 활성화를 위해서, 한 장치내의 제 1 제어 수단(12)은 다른 장치내의 제 2 제어 수단(32)으로 키 활성화 메시지를 어드레스한다.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키 릴리즈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반복적인 일련의 사용자 명령을 국부적으로 합성한다. 그래서 사용자 명령 메시지를 제어 버스를 통해 보낼 필요가 없게 되며, 사용자 명령에 일관된 응답을 주기 위해 반복의 주파수가 국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 수단(32)은 역시 핸드 셋(18a)에 응답하는 제 3 장치(2)에 의해 보내진 중복된 사용자 명령 메시지를 무시함으로써, 디-바운싱 기능도 수행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메시지 통신을 위해 상호 접속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가정용 오락 시스템의 논리 구조 블럭도.
제2도는 정규(normal) 및 반복(repeat)형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1도의 시스템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시스템내의 제 1 제어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제4도 및 제5도는 제1도의 시스템의 제 2 제어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6도는 신속하게 연속되는 두개의 반복 키의 활성화 경우의 시스템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22, 32 : 오디오/비디오 제어기(AVC) 14 : 동조기 서브 디바이스
16 : 비디오 모니터 서브 디바이스
18 : 사용자 입력/출력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
본 발명은 직렬 데이타 채널에 의한 제어 메시지의 통신을 위해 상호 접속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활성화를 위하여 복수의 키를 정의하는 사용자 입력 수단과,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며, 상기 시스템의 상기 제 2 장치에 위치된 제 2 제어 수단에 의해 처리되도록 요구하는 사용자 명령을 확인하는 수단과, 이 경우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직렬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와, 상기 제 1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를 직렬 데이타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고, 전달된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기 제 2 장치의 기능 소자를 제어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EP 0 423 739 A2 에 설명되고 있으며, 여기서 장치는 가정용 오디오/비디오 장치이며 공유된 제어 버스가 두 장치간에 직렬 데이타 채널을 공급한다. 무선 원격 제어 핸드셋 상에 키가 갖추어지는데 하나 이상의 "제 1 장치"가 상기 키에 응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참고 문헌은 핸드셋 상의 키의 단일 활성화에 응답하여 다중 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설명한다. 이러한 작용은 디-바운싱 (de-bouncing)의 형태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한 시스템의 디-바운싱에 대한 대안적 수단이 본 출원의 우선일에 공개되지 않은 유럽 특허출원 92200856.0 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통합되어 있다. 직렬 데이타 채널은 공유된 버스, 즉 가정용 디지틀 버스(D2B)에 의해 공급된다. D2B 는 국제 전기공학 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 의해 표준화되었으며, 어떤 다른 시스템, 즉 분배된 제어를 가지는 다중-마스터 시스템에 의해 모든 접속된 장치의 제어를 공급한다. "D2B" 는 등록된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의 트레이트 마크이다.
상기 제 2 참고 문헌에서는 연속된 "음량 증가" 명령을 의미하는, 원격 제어 핸드셋 상의 "음량-증가"의 연장된 활성화가 키에서 손을 뗄 때까지 어떻게 소정의 주파수에서 반복하여 발생하는가가 설명된다. 각각의 반복은 제어되는 오디오 장치의 음량 설정에서 한 단계 증가시킨다. 사실상 공지된 여러 장치들의 사용자 입력 수단에서 "음량 증가" "밝기 감소" 등과 같은 반복형 키와 지속 시간에 상관없이 각각의 활성화가 오직 하나의 사용자 명령을 의미하는 정규형 키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규" 키의 예로는 "1", "2", "플레이", 및 "스탠드바이"가 있다.
제 3 참고 문헌은 네델란드 아인드호펜의 유럽 가정용 시스템 협회에 의해 발간된 유럽 가정용 시스템 명세서, 발표물 1.1 이다. 상기 명세서는 키 활성화를 전달하는 버스 메시지를 공급하며, 선택적으로 포괄적인 "릴리즈된 키" 메시지를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 참고 문헌에서 설명된 시스템에서는 "반복"키의 활성화를 전달하는 사용자 명령 메시지와 "정규" 키에 관계된 사용자 명령 메시지간의 구별이 없다. 그래서, 상기 제 2 참고 문헌에서 설명되듯이, "음량 증가" 키의 연속된 활성화는 실례로 100 밀리초 마다, 공유된 버스상에 발생되는 반복되는 사용자 명령 메시지로 귀결된다. 물론 상기 반복 레이트는 D2B 버스의 용량내에서는 적당하다. 그러나, 가능하다면 과도한 버스 트래픽은 대체로 피해야만 한다. 게다가, 만일 두개 내지 세 개의 장치가 동일한 무선 원격 제어 핸드셋 상의 키의 활성화에 모두 응답한다면, 버스 트래픽은 어떠한 디-바운싱 메카니즘에 상관없이, 즉시 2 배 내지 3 배로 증가된다. 제 2 장치의 제어 수단에 요구되는 결과적 처리 노력은 사실상의 간접비가 될 수도 있다.
다른 제조자에 의한 장치간의 상호-동작(소위 "상호-브랜드 호환성(inter-brand compatibility)"), 또는 같은 제조자에 의한 다른 모델간의 상호-동작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참고 문헌에서 설명된 사용자 명령 테크닉의 기본 원리를 확장하고자 한다면 여전히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명령 반복의 주파수는 어떤 현재 시스템에서의 초당 5 미만에서 장래 시스템에서의 대략 초당 20 까지, 제조자간에 광범위하게 변화한다. 동시에, 분리된 단계의 수, 즉 한 텔레비젼의 음량 조절은 같거나 다른 제조자에 의한 다른 텔레비젼의 음량 조절과 크게 다를 수 있다. 또 단계의 수도 음량, 밝기, 명암 및 한 장치내의 다른 설정에 대해 다를 수 있다. 그래서, 결국 종래 기술 테크닉은 다수-브랜드 시스템에서 예측 불허의 실행을 낳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 중 몇몇 문제 혹은 모두를 경감시킴으로써, 서문에 이미 언급한 유형의 시스템의 질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직렬 데이타 채널에 의한 제어 메시지의 통신을 위해 상호 접속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장치는,
- 사용자에 의한 활성화를 위하여 복수의 키를 정의하는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서, 상기 정의된 키는 각 키들의 활성화가 단일 사용자 명령을 의미하는 "정규(normal)"키와 연장된 활성화가 활성화의 지속 시간동안 반복적인 일련의 사용자 명령을 의미하는 "반복" 키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과,
-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며, 상기 시스템의 상기 제 2 장치에 위치된 제 2 제어 수단에 의해 처리되도록 요구하는 사용자 명령을 확인하는 수단과, 이 경우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직렬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와, 상기 제 1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를 직렬 데이타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고, 전달된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기 제 2 장치의 기능 소자를 제어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반복 키의 연장된 활성화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상기 반복 키의 사용자 활성화를 전달하는 제 1 ("활성화")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고, 이어서 사용자가 반복 키를 최종적으로 릴리즈(release)하면 이에 응답하여 제 2("릴리즈") 메시지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반복 키에 대한 활성화 메시지에 응답하여 릴리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기능 소자를 제어하면서 사용자 명령의 반복을 상기 제 2 장치내에서 합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필요한 반복 키의 각 활성화는 상기 제 1 장치(또는 각각의 제 1 장치)에 의해 발생되도록 최대 두개의 사용자 메시지를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 대량의 버스 트래픽과 프로세서 간접비를 경감시킨다. 먼저 제 2 장치가 정규 키에 관련된 사용자 명령과 반복 키에 관련된 사용자 명령을 구분하도록 동작하고 제 2 장치가 반복 키의 활성화가 지속되는 동안 국부적으로 명령의 반복을 합성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은 반복 키의 특징을 유지한다. 또한, 반복의 주파수는 제 2 장치내에서 단독으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제조자는 사용자 명령이 국부적으로 수신되었는지 또는 데이타 채널을 통해 수신되었는지에 상관없이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일관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포괄적인 릴리즈 메시지는 한 그룹의 반복 키에 대해 정의되고 거기엔 소정의 시간에서 상기 그룹에 대해 전달된 하나의 반복 키 활성화의 최대치가 있다. 상기 그룹은 모든 반복 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면 오직 하나의 여분 메시지만이 정의되면 된다. 상기한 바는 현재 활성화된 모든 반복 키에 인가할 때 제 2 장치에 의해 이해된다.
상기한 바는 제 1 장치에서 나오며 새로운 키의 활성화를 전달하는 메시지가, 제 2 제어 수단에 의해, 활성화 메시지가 뜻하는 반복 키에 대한 암시적인 릴리즈 메시지로서 간주되지만 아직 명백한 "릴리즈" 메시지는 같은 소스에서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할 수도 있다. 상기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한 키에서 다른 키로 급속하게 활성화시킬 때 일어나는 버스 트래픽을 감소시킨다.
어떤 실시예에서, 예컨대 자동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키는 중앙 제어 패널상의 단순한 푸시 버튼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활성화를 위한 키가 추가의 데이타 채널을 거쳐 제 1 제어 수단과 통신하는 원격 제어 소자에 격납되어 있는 한 실시예에서는, 원격 제어 소자는 제 1 제어 수단에 반복되는 연속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반복 키의 활성화에 응답한다. 반면에, 수신된 사용자 명령이 제 2 장치로 전달되면, 제 1 제어 수단은 반복되는 연속 신호를 반복 키의 연장된 활성화로 인식하며, 활성 메시지 및 릴리즈 메시지를 제 2 장치로 어드레스한다. 상기는 장애물에 상관없이 확실한 수신을 보장하기 위해서 각 명령을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종래의 원격 제어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제 1 장치가 단지 반복 키 뿐만 아니라 모든 키에 대한 릴리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자동차 응용에서, 예컨대, 소정의 키의 장단 활성화에 대한 두 가지 다른 뜻을 종종 부여한다. 그러면, 만일 단일 활성화에 응답하여 반복되는 연속 활성화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다면, 제 1 장치는 더 이상 정규 키와 반복 키를 구별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어느 키의 활성화에 대한 응답은 전적으로 실행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만일 소정의 키의 활성화의 지속 시간이 제 2 장치에 의해 실행될 만큼 충분하지 않다면, 관련된 릴리즈 메시지는 단순히 무시될 것이다.
디-바운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 2 장치는 제 3 장치로부터의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제 1 장치에서 먼저 수신된 메시지와 같은 사용자 키 활성화에서 비롯되는 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나중에 수신된 메시지를 무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된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새로운 키 활성화를 전달하는 임의의 소스로부터 발생된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활성화 메시지가 수신되었지만 아직 "릴리즈"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반복 키에 대하여 제 2 제어 수단에 의해 암시적인 릴리즈 메시지로 간주되며, 상기 제 1 장치와는 다른 소스로부터 수신된 명시적인 릴리즈 메시지는 상기 반복 키에 대하여 무시되는 것이 더 유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렬 데이타 채널이 공유된 버스를 포함할 때 특히 유용하다. 그러한 한 실시예에서, 각 장치는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독립적으로 어드레스 가능하며, 제 1 제어 수단은 제 1 장치내의 제어 서브 디바이스로서 어드레스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시스템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며, 상기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장치로써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한 장치들을 추가로 공급한다.
이후, 본 발명의 실례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의 가정용 오락 시스템에서, 다양한 장치들(1, 2 및 3)이 표준 직렬버스(4)에 접속된다. 실례로, 상기 장치들은 텔레비전 수상기(TV)(1), 하이-파이 오디오 증폭기(2) 및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3)가 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직렬 데이타 버스(serial data bus)는 제네바 소재의 국제 전기공학 위원회에 의해 표준화된 가정용 디지털 버스(D2B)이다. D2B 는 버스의 분배된 제어를 제공하며, 제어 메시지가 특정한 "디바이스"에 유일하게 어드레스되도록 한다. 제 1 도 시스템의 각각의 장치(1, 2 및 3)는 그 자신의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해 어드레스 가능하고, 각 디바이스내의 기능 소자들은 그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로서 독립적으로 어드레스 가능하다.
각각의 장치들(1, 2 및 3)내에는 D2B 서브 디바이스로서 어드레스 가능한 몇몇의 블럭들이 도시되어 있다. 한 디바이스를 서브 디바이스들로 분할하는 것은 논리적 센스, 즉 D2B 버스(4)와 상기 시스템의 다른 장치들과 관련한 작용의 관점에서만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디바이스의 물리적 실행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분리된 물리적 모듈들이 있을 수도 또는 없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디바이스내의 AVC 및 다른 서브 디바이스들의 제어 논리부는 단일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콘트롤러 내에 집적되며, 상기 단일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콘트롤러는 버스를 통하여 어드레스 가능한 다수의 분리된 서브 디바이스들로서 논리적으로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서브 디바이스는 단지 대표적인 예일 뿐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디바이스(1, 2 및 3)는 서브 디바이스 형태의 오디오/비디오 제어기(AVC)(12, 22 및 32)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들은 시스템, 특히 사용자 명령의 해석 및 사용자 요구의 실행에 대한 분산 제어 지능(distributed control intelligence)을 제공한다.
텔레비젼(1)은 그 AVC(12)에 부가하여, 동조기 서브 디바이스(14), 비디오 모니터 서브 디바이스(16) 및 사용자 입/출력(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18)를 포함한다.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18)는 매뉴얼 활성화를 위한 키를 갖는 종래의 적외선 원격 제어 핸드셋(18a) 및 매칭 적외선 수신기(18b)의 형태로 실행되는 사용자 입력 수단을 결합하고 있다.
부가된 사용자 입력 수단은 장치 자체의 패널 상에 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키"들은 기계적 버튼 또는 다른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키들은 고정된 의미를 가지거나 다른 시간에 다른 기능들을 갖는 "소프트" 키들이 될 수 있다.
VCR 디바이스(2)는 그 AVC(22)에 부가하여 동조기 서브 디바이스(24), 테이프 덱(tape deck) 서브 디바이스(26) 및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28)를 포함한다.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28)는 TV(1)의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와 유사하며, VCR(2)의 프론트 패널 키들에 부가하여 적외선 수신기(28b)를 포함한다.
오디오 증폭기(3)는 AVC(32)와 증폭기 서브 디바이스(34)를 포함한다. 각각의 장치 내에서, 서브 디바이스는 그 물리적 실행에 따라 버스를 사용하지 않고서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증폭기 장치(3)에서, AVC(32)는 세 개의 논리 신호: VOL+ (음량 증가), VOL-(음량 감소) 및 MT/UNMT (뮤트/언뮤트)로 증폭기 서브 디바이스(34)의 음량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1, 2 및 3)는 물론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교환을 위해 제 1 도에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이러한 것은 예컨대, VCR 레코딩이 TV(1)의 스크린(모니터 서브 다바이스(16))상에 보여질 수 있게 하며, TV 방송이나 레코딩으로부터의 사운드가 하이파이 증폭기(3)를 통해 재생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후자의 응용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동작의 설명에서 예로서 사용될 것이다.
원격 제어 핸드셋(18a)은 "음량 증가", "음량 감소", "뮤트/언뮤트" 동작에 대한 키 및 프로그램 선택, 화상 밝기, 칼라 등과 관련한 다른 키들 그리고 텔레텍스트 및 VCR 제어에 대한 키를 갖는다. 이러한 키들의 대다수는 TV(1)에서 국부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을 나타내지만 나머지는 다른 장치들에 의해서만 실행 가능하다.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동등한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명령이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 장치에 의해서 이를 해석 및 실행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치로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구는 서문에서 언급한 참고 문헌에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는 직렬 데이터 채널을 통해 또 다른 장치의 제어 수단으로 전송된다.
하지만, "음량 증가"와 같은 반복형 키가 연장된 기단 동안 활성화되면, 공지된 시스템은 초당 5 내지 2O 반복 범위의 통상적 속도로 반복적인 연속 버스 메시지의 전송을 수반하게 된다. 비록 D2B 시스템은 이러한 데이터 량을 전송할 수 있으며, D2B 시스템에서 데이타의 오버로드에 의한 메시지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버스 트래픽(bus traffic)과 프로세싱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 I/O 버스-디바이스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해 수백 바이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게 될 수도 있으며, 만일 동시에 사용자 버스가 대다수의 반복적인 사용자 명령 메시지를 운반한다면 불편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자 명령 번호의 목록이 제 1 도의 시스템에서 정의되며, 또한 장치의 각 종류에 대해 하나씩, 다수개의 목록이 정의될 수 있다. 목록 1 은 오디오 증폭기 기능에 대한 사용자 명령 번호의 가능한 목록을 도시한다. 다른 목록들은 동조기 기능, TV 기능, VCR 기능 등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목록은 목록 번호에 의해 식별될 수 있으므로, D2B 를 통하여 전송된 제어 메시지는 유일하게 눌려진 키만을 확인하도록 목록 번호와 명령 번호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목록은 필요하다면 서브-목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든 D2B 메시지는 또한 그 고유한 디바이스-서브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해 그 소스를 확인할 수 있다.
각 명령 번호에 대한 의미(키 명)를 식별하는데 부가하여, 목록 1 은 중간열에 각 명령 번호가 "정규", "반복" 또는 "릴리즈"의 형태를 갖는 것을 보여준다. 키 명 및 키 형태의 목록은 상기 시스템의 AVC 서브 디바이스에 공지되어 있다. 정보의 형태는 시스템에서 버스 트래픽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 2 도의 예로 설명하겠다.
제 2 도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사운드의 음량 설정을 증가시키기 위해 핸드 셋(18a)상의 정규 및 반복 키를 활성화시켰을 때의 제 1 도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의 제일 윗쪽에, 키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작용이 USR 로 표시되며, 시간 T 는 우측으로 진행한다. 핸드 셋(18a)으로부터 TV(1) 상의 수신기(18b)로의 적외선 신호의 전송은 IR 에 표시된다. 버스(1)를 통하여 전송된 제어 메시지는 라인 D2B 를 따라 표시된다. 증폭기(3)내의 뮤트 신호(muting signals)는 MT/UNMT 로 표시되고, 음량 증가 신호는 VOL+ 로 표시된다. 증폭기 서브 디바이스(34)의 실제 음량 레벨은 VOLL 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핸드셋 상의 "뮤트(mute)" 키를 활성화시키면 증폭기의 음량 레벨 VOLL 은 시간 Ta(M)까지 (제로 레벨에서) 뮤트된다. 이러한 것은 핸드셋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시간 Tr(M)에서 상기 키를 릴리즈할 때까지 정규의 간격으로 적외선 뮤트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러한 적외선 신호의 반복은 통상적인 것이며 적외선 빔이 일시적으로 차단되었을 경우 수신 기회를 개선시킨다.
적외선 신호 전송 시스템은 키의 새로운 활성화와 단일 활성화의 빔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경우를 구별하는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하나의 공지된 메카니즘은 적외선 신호에 제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제어 비트는 각 키의 활성화 동안 일정하지만 각각의 새로운 활성화 때에는 변경된다. 이러한 메카니즘에 의해,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18)는 비록 적외선 신호 M 의 세 번 반복된 신호가 수신된다 하더라도, 단지 하나의 "뮤트" 키 활성화만을 인식한다.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12)는 이러한 키 활성화를 로컬 AVC(12)로 릴레이 시킨다.
시간 Ta(M)에서 키의 활성화가 인식되면, 상기 시스템의 제 1 제어 수단으로 동작하는 AVC(12)는 사운드를 뮤트(mute)/언뮤트(unmute)시키도록 단일 사용자 명령을 추론하며, 또한 이러한 명령이 단지 오디오 증폭기(3)내에서만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한다. 따라서, 키 활성 메시지[ACT.M]가 구성되어 디바이스 AMP 의 AVC 서브 디바이스(32)로 어드레스되며,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증폭기(3)내에서 뮤트/언뮤트 신호 MT/UNMT 가 발생되어 음량 레벨을 이전의 설정 값으로 상승시킨다.
"뮤트" 키의 활성(activating) 및 릴리즈(releasing) 후에, 사용자는 음량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결정하고, 시간 Ta(V+)에서 "음량 증가" 키를 활성화시킨다. 사용자는 키가 릴리즈되는 시간 Tr(V+) 까지 연장된 기간 동안 상기 키를 유지한다. 다시 핸드셋은 반복적인 일련의 신호들을 전송하며, 이러한 시간 신호들 V+는 "음량 증가" 키를 눌려진 키로 간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제 1 제어 수단)는 이들 반복으로부터 키의 단일 연장된 활성화를 추론한다. 하지만, 상기 키는 반복 키(명령 번호 68, 표1)로서 인식되므로 반복적인 일련의 음량 증가 명령이 추론될 것이다. 상기 AVC(12)는 다시 사용자 명령들이 증폭기(3)에 의해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고, 키 활성화 메시지[ACT. V+]를 D2B 버스를 거쳐 AVC(32) 증폭기로 전송하는데, 상기 AVC (32) 증폭기는 상기 도입부에서 언급한 제 2 제어 수단으로서 동작한다.
표 1 에 따라,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버스 메시지 세트는 사전 설정되고, 상기 시스템의 AVC 서브 디바이스에 공지된다. 또한, 버스 메시지 세트는, 활성화(정규 키), 활성화(반복 키), 릴리즈(반복 키)의 세 개의 서브 세트로 분할된다. 따라서, AVC(32)는 메시지[ACT. V+]를 제 2 서브세트(반복 키를 활성화)의 하나로 인식한다. 이러한 메시지[ACT. V+]에 응답하여, 상기 AVC(32)(제 2 제어 수단)는 라인 VOL+ 상에 일련의 신호들을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이들 신호 각각은 증폭기 서브 디바이스(34)에 의해 발생되는 사운드 레벨 VOLL 에서 한 단계를 증가시킨다.
시간 Tr(V+)에서, 사용자는 사운드가 충분히 크다고 판단하여 원격 핸드셋(18a)상의 음량 증가 키를 릴리즈한다. 이러한 것은 다음 적외선 신호 V+ 가 도착되지 못할 때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어 로컬 AVC(12)로 전달된다. 포괄적 릴리즈 메시지[REL]는 버스를 거쳐 오디오 증폭기(3)의 AVC(32)로 보내진다. AVC(32)는 주어진 시간에 오직 한 사용자 명령에만 응답하므로, 상기 릴리즈 메시지가 이전의 메시지[ACT. V+]에 관련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AVC(32)는 VOL+ 신호 발생을 중지하고 음량 레벨 VOLL은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로 유지된다.
활성화 메시지를 "정규" 및 "반복" 형태로 분할함으로써, 그리고 반복적 명령의 국부적 발생으로 인해 상당한 버스 트래픽이 제거되었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AVC(32)에서 요구되는 처리량이 절약된다.
또한, 신호 VOL+ 의 반복 주파수는 IR 신호 V+ 의 반복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증폭기(3)내에서 국부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음량 설정은 제조자와 다양한 장치 모델간의 차이와 상관없이, 예측 가능한 비율로 증가할 것이다. 그래서 각 제조자는 다양한 제조자들로부터의 장치들의 시스템에 배치된 제어 메카니즘을 고려하면서, 주어진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제품의 동작 제어를 유지한다.
제 3 도는 AVC(12)가 제 1 도의 시스템의 제 1 제어 수단의 역할을 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물론 TV 수상기(1)의 논리적 및 물리적 실행에서 다른 작용이 동시에 얼어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시작 단계가 300 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상기 흐름도는 장치가 활성화 상태에 있게 되는 한 존재하는 제어 루프를 정의한다. 이제 상기 루프의 단계들이 설명될 것이다.
단계 302: AVC(12)가 새로운 키의 활성화를 전달하는 적외선 신호 IR 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이전에 인식된 "정규" 키 활성화의 단순한 반복들이 되는 신호들이 확인되면 종래 방식대로 무시된다.
단계 304: 새로운 키 활성화가 감지되면, 타임 카운터가 기준 값 T = 0 로 재설정된다. 반복 주기 TR 은, 키가 연장된 기간 동안 활성화될 때 IR 신호의 반복간의 간격보다 약간 길게 정의된다(제 2 도 참고). 타이머는 주기 TR이 초과될 때 신호를 발생한다(단계 314 참고).
단계 306: AVC(12)는 새로운 키 활성화가 국부적으로 (TV(1)내에서) 관련되는지,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만 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308: 만일 국부적으로 관련된다면, IR 신호에 의해 전달된 사용자 명령은 TV(1)내에서 실행되고, 제어는 단계 302 로 되돌아간다.
단계 310: 명령이 다른 디바이스(실례로, 하이-파이 증폭기(3))에 관련된다고 판정되면, AVC(12)는 상기 키의 사용자 활성화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D2B 메시지를 발생한다([ACT. M), [ACT. V+] 등, 제 2 도).
단계 312: 만일 활성화된 키가 정규 키라면, 제어는 단계 302 로 되돌아간다.
단계 314: 만일 활성화된 키가 반복 키 라면, 상기 제어 수단은 IR 신호의 새로운 반복 또는 반복 주기 TR 의 종료 중 어느 쪽이든 먼저 일어나기를 기다린다.
단계 318: 만일 타임 카운트 T 가 TR 에 도달하기 전에 IR 신호의 새로운 반복이 수신된다면, 타이머는 T=0 로 재설정되고 제어는 단계 314 로 되돌아간다.
단계 320: 만일 주기 TR 이 초과되고(314) 키의 릴리즈가 반복된 IR 신호의 수신으로 추정될 수 없다면, 상기 키의 릴리즈를 전달하는 D2B 릴리즈 메시지([REL], 제 2 도)는 다른 디바이스로 어드레스되며, 제어는 단계 302 로 되돌아간다.
제 4 도는 제 1 도의 시스템에서 D2B 버스를 통해 사용자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장치(예컨대, 증폭기 3)내의 제 2 제어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는 정규 및 반복 키 활성화 메시지에 대한 적절한 응답뿐만 아니라, 제 2 참고 문헌에 기술된 형태의 "디-바운싱(de-bouncing)" 기능을 결합한다. 디-바운싱 기능은 핸드셋(18a)으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수신기의 존재를 가능하게 한다. 제 1 도의 시스템에 있어서, 예컨대, VCR(2)은 특히, VCR(2)의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28)에 대해 사용자 입력 수단을 형성하는 적외선 수신기(28b)를 또한 갖는다. 이러한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28)는 또한 점선으로 표시된 신호 IR'을 수신할 수 있는데, 상기 신호 IR' 는 TV(1)의 적외선 수신기(18b)에 의해 수신된 신호 IR 과 동일하다. 이제, VCR(2)의 AVC(22)가 또한 제 3 도에 따라 제 1 제어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도록 구비되고, TV(1)의 AVC(12)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키의 활성화에 응답할 것이다.
명백하게, AVC(32)는 비록 키 활성화 메시지들이 단일 키 활성화로 발생한다 하더라도, 두개 또는 그 이상의 AVC 들로부터 상기 키 활성화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다행히 각각의 D2B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의 소스를 식별하는 디바이스-서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키 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하면, AVC(32)는 어떠한 이후의 활성화 메시지 즉: (ⅰ) 다른 소스 서브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활성화 메시지; (ⅱ) 동일한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활성화 메시지; (ⅲ) 0.2 초의 디-바운싱 주기내에 수신된 활성화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
반복 키의 활성화와 키 릴리즈 메시지를 대처하기 위해 적용된 이러한 메카니즘은 다음의 제 4 도의 단계에서 구체화된다.
단계 400: 사용자 명령 메시지가 이전에 수신되어 실행된다. 소스 어드레스 S1 과 명령 번호 M1 이 저장되고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 T1 도 저장된다.
단계 402: 새로운 메시지가 소스 식별자 S2 와 명령 번호 M2 와 함께 시간 T2 에서 수신된다. 소스 어드레스 S2 가 저장된 소스 어드레스 S1 과 비교된다.
단계 404 : 만일 소스 S1 과 S2 가 동일하다면 사용자 명령 메시지는 새로운 키 활성화에 관련되고 그 명령이 설행된다.
단계 406 : D2B 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명령의 실행 후에, 데이타 M2, S2 및 T2 는 과거 데이타 M1, S1 및 T1 대신에 저장된다.
단계 408: 실행 절차가 종료되고, 새로운 명령을 기다린다.
단계 410: 만일 단계 402 에서 소스 S2 와 S1 이 다르다고 판정되면, 명령 번호 M2 는 메시지가 키 릴리즈 메시지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검사된다. 만일 키 릴리즈 메시지라면, 제어는 단계 408 로 바로 통과한다. 다른 소스에서 나온 포괄적 릴리즈 메시지[REL]는 반복 키(예컨대, [ACT. V+])의 활성화를 종료시키는 것이 금지된다.
단계 412: 만일 메시지가 릴리즈 메시지가 아니라면(410, N), M2 는 새로운 메시지가 과거 메시지와 동일한 명령을 전달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M1 과 비교된다. 만일 다르다면, 메시지는 실행되어야 하며, 제어는 단계 404 로 간다.
단계 414: 만일 M1 과 M2 가 동일하다면(412, Y), 과거 메시지의 디-바운싱 주기내에 새로운 메시지가 도달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시간 T1 과 T2 가 비교된다(T2 는 T1 이후의 0.2 초 보다 작다). 만일 그렇다면, 메시지는 중복으로 여겨 무시되고 제어는 단계 408 로 간다. 만일 디-바운싱 주기가 완료되면(414, N), 메시지는 새로운 사용자 명령을 전달한다고 간주되어 단계 404 에서 실행된다.
키 활성화 메시지와 관련하여, 제 4 도의 흐름도는 제 2 참고 문헌의 제 3 도의 흐름도와 논리적으로 동일하다.
제 5 도는 제 4 도의 흐름도 중 실행 단계 404 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다.
단계 502: 실행될 사용자 명령 메시지의 명령 번호 M2 는 정규 키 활성화 메시지(NRM), 반복 키 활성화 메시지(REP) 및 키 릴리즈 메시지(REL)를 구별하기 위해서 검사된다.
단계 504: 정규 키 활성화는 한번 실행된 단일 사용자 명령(예컨대, "뮤트/언뮤트")에 대응한다. 그러면 제어는 단계 404 를 떠난다.
단계 506: 반복 키 활성화 메시지는 각 실행간에 작은 지연을 가지고 명령(예컨대, "음량 증가")을 실행하는 반복적 사이클을 초기화한다(STT). 릴리즈 키 메시지는 상기 사이클을 단절하고(STP) 제어는 단계 404 를 떠난다.
단지 한 사용자 명령만이 한번에 실행될 수 있는 규칙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명령의 실행은 반복 키 명령을 실행하는 사이클을 암시적으로 단절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제 5 도에서 단계 504 와 단계 506 을 연결하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제 6 도는 사용자가 Ta(V+)에서 Tr(V+)의 기간 동안 "음량 증가" 키를 활성화시키고, 그후 Ta(V-)에서 Tr(V-) 기간 동안에 "음량 감소" 키를 활성화시킬 경우의 상기 특징의 사용을 도시한다. 제 6 도의 구성 요소는 제 2 도의 구성 요소와 유사하다. 하지만, 시간 Tr(V+)에서 "음량 증가" 키의 릴리즈시, AVC(12)는 "음량 감소" 키(IR 신호 "V-")의 활성화를 감지할 때에도 릴리즈 메시지[REL]를 보내지 않는다. AVC(32)에 의해 한번에 단지 한 사용자 명령만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AVC(12)는 명백한 릴리즈 메시지[REL]를 보내지 않고서도 새로운 활성화 메시지[ACT. V-]를 보냄으로써 시간과 버스 트래픽을 절약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시간 Tr(V-)에 "음량 감소" 키가 릴리즈되면, 명백한 릴리즈 메시지[REL]는 AVC(32)로 어드레스 된다.
릴리즈 메시지[REL]는 각각의 반복 키 활성화 메시지와 같은 소스에서 나오지 않은 경우 무시되지만(단계 410, Y), 반복 키 활성화는 임의의 소스로부터 전달된 새로운 키 활성화에 의해 암시적으로 릴리즈될 수 있다(단계 410, N). 그래서, 예컨대, 제 6 도에서 메시지[ACT. V+]가 TV(1)로부터 발생할 수 있지만, 음량 증가 명령을 암시적으로 릴리즈하는 메시지[ACT. V-]는 TV(1)로부터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VCR(2)로부터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TV(1)가 갑자기 릴리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게 될 경우 유용하며, 사용자는 VCR(2)과 같은 또 다른 장치를 통해 임의의 새로운 명령을 발생시킴으로써 음량 증가를 멈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규 키와 반복 키간의 구별은 제 2 장치의 동작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제 1 장치는 오직 반복 키만에 대한 메시지, 또는 모든 키에 대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정규 키에 대한 릴리즈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 2 장치에 의해 간단히 무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로부터, 당업자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경들은 디자인 및 제조에서 공지되고 로컬 통신 시스템 및 가정용 오락 시스템 및 그 구성 성분 부분의 사용에서 이미 공지된 다른 특징과 또 대신 사용될 수 있거나 여기서 이미 설명된 특징들에 덧붙이는 다른 특징들을 수반한다. 비록 본 출원의 청구 범위는 특정의 특징 조합으로 나타내었지만, 본 출원의 범위는 임의의 청구항에 현재 청구되고 있는 발명과의 관련 여부와 상관없이, 그리고 본 발명이 개선하고자 하는 동일한 기술적 문제의 전부 또는 일부의 개선 여부와 상관없이,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또는 포괄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징들의 임의의 새로운 특징 및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출원인은 본 출원 또는 본 출원으로부터 파생된 또 다른 출원에 대한 진행 중에 상기한 특징들 및/또는 그 조합으로 새로운 특허청구범위가 작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린다.

Claims (13)

  1. 직렬 데이타 채널에 의한 제어 메시지의 통신을 위해 상호 접속된 적어도 제 1 및 제 2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활성화를 위하여 복수의 키를 정의하는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서, 상기 정의된 키는 각 키들의 활성화가 단일 사용자 명령을 의미하는 "정규(normal)"키와 연장된 활성화가 활성화의 지속 시간동안 반복적인 일련의 사용자 명령을 의미하는 "반복" 키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과;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며, 상기 시스템의 상기 제 2 장치에 위치된 제 2 제어 수단에 의해 처리되도록 요구하는 사용자 명령을 확인하는 수단과, 이 경우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직렬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 2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와; 상기 제 1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를 직렬 데이타 채널을 통하여 수신하고, 전달된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기 제 2 장치의 기능 소자를 제어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반복 키의 연장된 활성화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상기 반복 키의 사용자 활성화를 전달하는 제 1 ("활성화")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고, 이어서 사용자가 반복 키를 최종적으로 릴리즈(release)하면 이에 응답하여 제 2("릴리즈") 메시지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반복 키에 대한 활성화 메시지에 응답하여 릴리즈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기능 소자를 제어하면서 사용자 명령의 반복을 상기 제 2 장치내에서 합성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포괄적 릴리즈 메시지가 한 그룹의 반복 키에 대해 정의되며, 소정의 주어진 시간에 상기 그룹에 대해 하나의 반복 키 활성화의 최대치가 전달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새로운 키 활성화를 전달하는 메시지는, 동일한 소스로부터 활성화 메시지가 수신되었지만 아직 명시적인 "릴리즈"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반복 키에 대하여 제 2 제어 수단에 의해 암시적인 릴리즈 메시지로 간주되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동 활성화를 위한 키들이 다른 데이타 채널을 통하여 제 1 제어 수단과 통신하는 원격 제어 소자에 적재되며, 상기 원격 제어 소자는 반복적인 일련의 신호를 상기 제 1 제어 수단에 전달함으로써 반복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며, 수신된 사용자 명령이 제 2 장치로 전달될 경우,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상기 반복적인 일련의 신호를 반복 키의 연장된 활성화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활성화 메시지 및 릴리즈 메시지를 상기 제 2 장치로 어드레스하는,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제 3 장치로부터의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이미 수신된 메시지와 동일한 사용자 키 활성화로부터 비롯되는 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무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새로운 키 활성화를 전달하는 임의의 소스로부터 발생된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활성화 메시지가 수신되었지만 아직 "릴리즈"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반복 키에 대하여 제 2 제어 수단에 의해 암시적인 릴리즈 메시지로 간주되며, 상기 제 1 장치와는 다른 소스로부터 수신된 명시적인 릴리즈 메시지는 상기 반복 키에 대하여 무시되는,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데이터 채널은 각 장치가 디바이스로서 독립적으로 어드레스가능한 공유 버스이며,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장치 내의 서브 디바이스로서 어드레스 가능한, 시스템.
  8. 직렬 데이타 채널에 의한 제어 메시지의 통신용 인터페이스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활성화를 위해 다수의 키를 정의하는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서, 상기 정의된 키는 단일 사용자 명령이 소정 시간동안 지속되는 각 활성화로부터 추론되는 "정규" 키와, 반복적인 일련의 사용자 명령이 사용자가 상기 키를 릴리즈할 때까지 상기 키의 연장된 사용자 활성화로부터 추론되는 "반복" 키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과, 추론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며, 직렬 데이타 채널에 접속된 다른 장치내에서 처리되도록 요구하는 사용자 명령을 식별하는 수단과 그러한 경우 상기 추론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직렬 데이타 채널을 통하여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반복 키의 연장된 활성화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 1("활성화") 메시지가 발생되고,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키를 최종적으로 릴리즈하는데 응답하여 제 2 ("릴리즈") 메시지가 발생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반복 키들 중 한 키에 대하여 아직 릴리즈 메시지가 발생되지 않았지만 활성화 메시지가 발생되었을 때 키의 새로운 활성화를 전달하는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동작하고, 그러한 경우 상기 새로운 활성화 메시지는 상기 반복 키에 대하여 암시적 릴리즈 메시지를 형성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포괄적인 반복 메시지가 한 그룹의 반복 키에 대해 정의되며, 소정의 주어진 시간에 상기 그룹에 대해 하나의 반복 키 활성화의 최대치가 전달되는,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기능 소자와, 직렬 데이타 채널을 통하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의 서브 세트가 다른 장치에 의해 정의된 키의 사용자 활성화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서브 세트의 메시지를 처리하여 그로부터 추론된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서 기능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키 활성화를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의 서브 세트는 "정규"키 활성화 메시지 및 "반복" 키 활성화 메시지로 분할되고, 정규 키 활성화 메시지로부터는 상기 제어 수단이 단일 기능 제어 동작을 추론하며, 반복 키 활성화 메시지로부터는 상기 제어 수단이 릴리즈 키 메시지가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될 때까지 반복적인 일련의 기능 제어 동작을 추론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포괄적 릴리즈 키 메시지로부터 활성화 메시지가 동일 소스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반복 키의 릴리즈를 추론하는,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임의의 소스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키 활성화 메시지로부터 활성화 메시지가 수신되었지만 아직 릴리즈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임의의 반복 키의 릴리즈를 추론하는,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한 장치로부터의 사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이미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와 동일한 사용자 키 활성화로부터 비롯되는 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이후에 수신된 메시지를 무시하는, 장치.
KR1019930015168A 1992-08-06 1993-08-05 제어메시지통신을위해상호접속된장치 KR100307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9216681A GB9216681D0 (en) 1992-08-06 1992-08-06 Apparatuses interconnected for the communication of control messages
GB9216681.8 1992-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006A KR940005006A (ko) 1994-03-16
KR100307862B1 true KR100307862B1 (ko) 2001-11-30

Family

ID=1071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168A KR100307862B1 (ko) 1992-08-06 1993-08-05 제어메시지통신을위해상호접속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479385A (ko)
EP (1) EP0582343B1 (ko)
JP (1) JP3611339B2 (ko)
KR (1) KR100307862B1 (ko)
AT (1) ATE180123T1 (ko)
DE (1) DE69324861T2 (ko)
FI (1) FI107762B (ko)
GB (1) GB9216681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18016T2 (de) * 1991-04-02 1997-08-21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Steueraufträgen
GB9216681D0 (en) * 1992-08-06 1992-09-23 D2B Systems Co Ltd Apparatuses interconnected for the communication of control messages
JP3612696B2 (ja) * 1996-12-18 2005-01-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0230281B1 (ko) * 1997-04-14 1999-11-15 윤종용 프로그램 번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프로그램 번호 전송 및 수신방법
US6421069B1 (en) 1997-07-31 2002-07-1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luding self-describing information within devices
US6445711B1 (en) 1999-04-23 2002-09-03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 sending an asynchronous control mechanism packet used to control bridge devices within a network of IEEE STD 1394 serial buses
JP3557127B2 (ja) * 1999-06-25 2004-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遠隔制御装置
US6310608B1 (en) * 1999-07-29 2001-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and method of keyboard configuration for disabled user access
US7130315B1 (en) 1999-09-10 2006-10-3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utilizing extended AV/C command and response frames including transaction label and common result/error code
US7003604B2 (en) * 2001-10-04 2006-02-2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ncelling a pending AV/C notify command
US6944704B2 (en) * 2001-10-04 2005-09-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extended AV/C command frames including status inquiry, notify inquiry and control inquiry command types
US7457424B2 (en) * 2002-09-20 2008-11-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i Electronic volume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6523B2 (de) * 1977-10-17 1981-03-12 Loewe Opta Gmbh, 1000 Berlin Computergesteuertes nachrichtentechnisches Gerät
IT1159686B (it) * 1978-05-22 1987-03-04 Indesit Televisore
JPS6334382Y2 (ko) * 1980-08-08 1988-09-12
JPS61202597A (ja) * 1985-03-06 1986-09-08 Alps Electric Co Ltd 遠隔操作装置
US4846597A (en) * 1988-03-25 1989-07-11 Advanced Matrix Technology, Inc. Line printer panel and control system
JP2506969B2 (ja) * 1988-08-03 1996-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モコン操作型送信機能付電子機器
DE3827050A1 (de) * 1988-08-10 1990-02-15 Thomson Brandt Gmbh Fernsehempfaenger
US5136694A (en) * 1989-04-07 1992-08-04 Zenith Data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two keyboards and a single processor
JPH0523038Y2 (ko) * 1989-04-12 1993-06-14
US4959713A (en) * 1989-10-10 1990-09-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ome automation system
JPH03132197A (ja) * 1989-10-17 1991-06-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散型リモコン制御システム
US5187469A (en) * 1990-08-06 1993-02-16 Tandy Corporation Universal remote control including quick touch function
GB2251970A (en) * 1991-01-18 1992-07-22 Marconi Gec Ltd Remotely controlle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DE69218016T2 (de) * 1991-04-02 1997-08-21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Steueraufträgen
US5285495A (en) * 1991-08-27 1994-02-08 Winbond Electronic Corp. Push-button telephone dialing device with telephone hold function circuit
JPH05130672A (ja) * 1991-10-31 1993-05-25 Toshiba Corp 遠隔制御装置
GB9216681D0 (en) * 1992-08-06 1992-09-23 D2B Systems Co Ltd Apparatuses interconnected for the communication of control messages
JPH06214699A (ja) * 1993-01-14 1994-08-05 Toshiba Corp キーボ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4861D1 (de) 1999-06-17
EP0582343A1 (en) 1994-02-09
JP3611339B2 (ja) 2005-01-19
GB9216681D0 (en) 1992-09-23
FI107762B (fi) 2001-09-28
ATE180123T1 (de) 1999-05-15
US5659373A (en) 1997-08-19
US5479385A (en) 1995-12-26
JPH06205464A (ja) 1994-07-22
DE69324861T2 (de) 1999-11-11
EP0582343B1 (en) 1999-05-12
FI933453A0 (fi) 1993-08-03
KR940005006A (ko) 1994-03-16
FI933453A (fi) 199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862B1 (ko) 제어메시지통신을위해상호접속된장치
EP0956549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574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devices
US5436676A (en) Remote control unit code translation
US4751581A (en) Control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command sources
US6628344B1 (en) Remote control system providing an automatic assertion of a preset selection value concurrent with a submission of a user preferred selection value
WO1998034207A9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636273B1 (en) Remote control dedicated keybutton for confirming tuner setting of a TV set to a specific channel setting
EP1038394B1 (en) System of apparatus and peripherals
US20050120383A1 (en) System for saving settings of an audiovisual system
JP2001509929A (ja) 遠隔制御システム用通信システム
US8774594B2 (en) Controlle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003134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275499B2 (ja) 大形映像表示システムと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67691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solving IR remote signal conflicts
JP3911573B2 (ja) ローカ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686208B1 (ko) 위성 수신기의 프로그램 위치를 텔레비전 수신기에 의해 사용하는 방법
KR100220633B1 (ko) 구간반복기능을 가진 셋톱 박스 및 그 제어방법
EP0660538A2 (en) Remote control system
JP4265059B2 (ja) 双方向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装置
JPH0558565A (ja) エレベーター用リモコン装置
JPH0531357B2 (ko)
JP3013405B2 (ja) 遠隔操作指令装置
JPH0338793B2 (ko)
EP1238381A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multiple infrared (ir) data packets using a single key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