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850B1 -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850B1
KR100307850B1 KR1019940027325A KR19940027325A KR100307850B1 KR 100307850 B1 KR100307850 B1 KR 100307850B1 KR 1019940027325 A KR1019940027325 A KR 1019940027325A KR 19940027325 A KR19940027325 A KR 19940027325A KR 100307850 B1 KR100307850 B1 KR 10030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lucopyranosyloxy
phase
ester
whitening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878A (ko
Inventor
시노지마사토시
스에츠구마사루
모리카와요시히로
시바타유키
가쿠루미코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95001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 일반식(1)
(식중,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불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화수소기는 직쇄 또는 분기인 것을 불문한다. "R2또는 R3의 한쪽은 당잔기이며 또 하나는 수소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내어지는 히드록시살리실산의 배당체 및 / 또는 히드록시살리실산지방족에스테르의 배당체를 적어도 1종류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피부외용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 구체적으로 미백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주름등의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일부 불명확한 점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호르몬의 상과가 일광으로부터의 자외선의 자극이 원인이 되어 멜라닌색소가 형성되고 이것이 피부내에 이상침착하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름과 반점의 치료법에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 예를 들면 비타민 C를 대량으로 경구 투여하는 방법, 글루타치온 등을 주사하는 방법, 또는 효모산, 비타민 C, 시스템 등을 연고, 크림, 로션 등의 형태로 하여 국소에 도포하는 등의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유럽에서는 하이드로퀴논제제가 의약품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하이드로퀴논제제를 제거해서는 그 효과의 발현이 매우 완만하기 때문에 충분한 미백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하이드로퀴논은 효과는 일단 인정되고 있지만 감작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최근에 하이드로퀴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고급알콜인 알킬모노에테르 등으로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충분한 안정성을 가진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우수한 미백효과와 안정성을 갖는 미백제 또는 그것을 배합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검토를 거듭한 결과 히드록시살리실산의 배당체 또는 히드록시살리실산 지방족에스테르의 배당체중 특정의 배당체에 하이드로퀴논 이상으로 강한 미백효과가 존재한느 것을 발견해내고 이들을 배합함으로써 미백효과,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해냈다.
즉,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피부외용제는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히드록시살시실산의 배당체 및 / 또는 히드록시살시실산 지방족에스테르의 배당체를 적어도 1종류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중,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불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화수소기는 직쇄 또는 분기를 불문한다. R2또는 R3의 한쪽은 당잔기이며 또 한쪽은 수소를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히드록시살리실산의 배당체 또는 히드록시살리실산 에스테르의 배당체는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물질이고, 식중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불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화수소기는 직쇄 또는 분기의 어느쪽이어도 상관없다. 또 분기의 불포화탄화수소기로서는 페닐기, 벤질기등의 방햐족탄화수소기를 포함한다. 식 1중 "R2또는 R2의 한쪽은 당잔기이며 또 한쪽은 수소를 나타내는데 이와 같은 당잔기로서는 5탕당잔기, 6탕당잔기, 아미노당잔기, 우론산당잔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히드록시살리실산 또는 히드록시살리실산에스테르와 펜타아세틸글루코스와 같은 당의 아세틸화물(또는 아세트브로모글루코스와 같은 당의 아세트브로모화물)을 산촉매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므로써 히드록시살리실산의 배당체 또는 히드록시살시실산에스테르의 배당체를 얻을 수 있다. 또 이미 알려진 합성법(Arch. Pharm., 291(1958))과 같이 히드록시살리실산에스테르와 펜티아세틸글루코스를 축합함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질명을 예시하면,
3-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틸산
3-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메틸
3-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에틸
3-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신산프로필
3-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이소프로필
4-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
4-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메틸
4-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에틸
4-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프로필
4-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이소프로필
5-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
5-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메틸
5-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에틸
5-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프로필
5-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이소프로필
6-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
6-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메틸
6-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에틸
6-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프로필
6-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이소프로필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3-히드록시안식향산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3-히드록시안식향산메틸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3-히드록시안식향산에틸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3-히드록시안식향산프로필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3-히드록시안식향산이소프로필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4-히드록시안식향산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4-히드록시안식향산메틸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4-히드록시안식향산에틸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4-히드록시안식향산프로필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4-히드록시안식향산이소프로필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메틸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에틸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프로필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중 탄소원자수 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에스테르가 미백효과, 자극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탄소수 6까지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히드록시살시실산 에스테르배당체중에서 하기의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2-β-D-글로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이하 겐티스산에스테르배당체라 한다)는 미백효과와 함께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갖고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식중,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불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화수소기는 직쇄 또는 분기를 불문한다. R2는 5탄당잔기, 6탄당잔기, 아미노당잔당기, 우론상당잔기내에서 선택된 1종류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겐티스산에스테르배당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상기의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외에,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부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메틸-1-프로필,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메틸-2-프로필,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3-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tert-아밀,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메틸-부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네오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헥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메틸-1-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메틸-2-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메틸-3-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3-메틸-1-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3-메틸-2-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3-메틸-3-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4-메틸-1-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4-메틸-2-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헵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헵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3-헵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 2-디메틸-3-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 3-디메틸-3-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 4-디메틸-3-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 4-디메틸-2-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3-에틸-3-펜틸,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3-메틸-3-헥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5-메틸-2-펙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테트라데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펜타데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헥사데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2-헥사데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헵타데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옥타데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노나데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에이코데실,
2-β-D- 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향산벤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겐티스산에스테르배당체중 "R1"은 탄소원자수 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에스테르가 미백효과 및 살결거침 개선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탄소수 6까지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히드록시살리실산의 배당체 또는 히드록시살리실산에스테르의 배당체의 배합량은 피부외용제 전체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이다. 0.001중량% 미만에서는 미백효과가 결핍되고 20중량%를 넘어서 배합해도 효과의 증가는 바랄 수 없다.
또한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히드록시살리실산의 배당체 또는 히드록시살리실산에스테르의 배당체의 적어도 1종류 이상과, 비타민C 또는 그 유도체 또는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히드록시살리실산의 배당체 또는 히드록시살리실산의 에스테르배당체를 단독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미백효과가 증대한다. 이것은 비타민C 또는 비타민E에 의해 피부에 대한 흡수력이 높여진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타민C는 L-아스코르빈산을 의미하고 그 강한 환원작용에 의해 세포호흡작용, 효소부활(賦活)작용, 아교원형성작용을 갖는 동시에 멜라닌 환원작용을 갖는다. 또 비타민C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L-아스코르빈산모노스테아레이트, L-아스코르빈산모노팔리테이트,
L-아스코르빈산모노올레에이트 등의 L-아스코르빈산모노알킬에스테르류, L-아스코르빈산모노인산모노에스테르유도체, L-아스코르빈산-2, 6-디팔루미테이트, L-아스코르빈산-2, 6-디올레에이트 등의
L-아스코르빈산모노알킬에스테르류, L-아스코르빈산모노인산마그네슘, L-아스코르빈산-2-황산나트륨과 같은 L-아스코르빈산모노에스테르유도체, L-아스코르빈산-모노스테아레이디인산에스테르와 같은
L-아스코르빈산에스테르유도체,L-아스코르빈산-2, 6-디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빈산-2, 6-디올레에이트등의 L-아스코르빈산디알킬에스테르류, L-아스코르빈산디인산에스테르와 같은 L-아스코르빈산디에스테르유도체, L-아스코르빈산트리스테아레이트, L-아스코르빈산트리팔루미테이트,
L-아스코르빈산트리올레에이트등의 L-아스코르빈산트리알킬에스테르류, L-아스코르빈산트리인에스테르류등의
L-아스코르빈산트리에스테르유도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비타민C는 이들 중에서 한 종류 이상이 적절히 선택되어 배합된다.
또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비타민E 및 그 유도체로서는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초산토코페롤, 니코틴산토코페롤등이 예시되고, 이들 중에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이 적절히 선택되어 배합된다. 이들 비타민E류는 천연상태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합성품이어도 상관없다. 천연에서 얻어진 비타민E(d-α-토코페롤)를 이용하는 경우는 조야한 비타민E 이어도 정제품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비타민C의 배합량은 피부외용제 전체중량중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3중량%, 비타민E류의 배합량은 피부외용제 전체량중 0.001∼5중량%, 발마직하게는 0.001∼1중량%이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는 상기 필수성분외에 통상 화장품과 의약품등의 피부외용제에 이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유분,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향료, 물, 알콜, 증점제, 색제, 피부영양제(판토테닐에틸에테르, 글리틸리틴산염등)를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이중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안식향산계의 것으로서 파라아미노안식향산(이하 PABA라 약칭한다), 글리세릴 PABA, 에틸히드록시프로필 PABA, 계피산계의 것으로서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2-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벤조페논계의 것으로서 2, 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베조페논, 그밖의 것으로서 우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베족사졸,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등이 이용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배합량은 중량%이다.
[실시예1∼7, 비교예1∼2]
하기의 처방을 기초로 하여 로션을 조제하고 미백효과시험을 실시했다.
(알코상)
85%에틸알콜 55.0
폴리옥시에틸렌(25몰) 2.0
경화히마시유에테르
산화방지제·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약제(표1 기재) 1.0
(수상)
글리세린 5.5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수상,알콜상을 조제후 가용화한다.
[표 1]
[미백효과의 시험방법]
하기의 태양광에 4시간(1일 2시간으로 2일간) 쬐어진 피험자 80명의 윗팔내측부 피부를 대종으로 하여 태양광에 쬐어진 날의 5일후로부터 실시예1∼7, 비교예1∼2의 각 시료를 아침저력 1회씩 8주간 도포했다. 패널을 1군 10명으로 나누어 8군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방법]
사용후의 염색화효과를 하기의 판정기준을 기초로 하여 판정했다.
미백효과의 판정
◎ : 피험자중 저효 및 유효를 나타내는 비율이 80% 이상인 경우
○ : 피험자중 저효 및 유효를 나타내는 비율이 50%이상 80% 미만인 경우
△ : 피험자중 저효 및 유효를 나타내는 비율이 30%이상 50% 미만인 경우
× : 피험자중 저효 및 유효를 나타내는 비율이 30% 미만인 경우
이상의 판정기준을 기초로 하는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표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태양광에 쬐어진 후의 효과는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쪽이 광이한 멜라닌 색소를 방지하고 흑색이 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인정되었다.
[실시예8∼13, 비교예1∼2]
본 발명의 배당체중 겐티스산에스테르배당체에 대하여 하기의 표3의 약제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1∼7의 미백효과시험과 똑같은 처방으로 로션을 조제하고 미백효과 시험 및 하기의 살결거침 개선효과 시험을 실시했다.
[표 3]
[살결거침 개선효과의 시험방법]
살결거침 또는 햇볕에 탄 후의 살결의 화끈함의 병상으로 괴로워하는 피험자 80명으로 실시하고 피험로션을 안면에 도포하여 2주일후 살결의 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했다. 또 면도로 인하여 피부가 트는 것에 대한 효과를 판정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이 했다.
[살결거침에 대한 개선효과]
저효 : 병상이 소실된 것
유효 : 병상이 약해진 것
약간 유효 : 병상이 약간 약해진 것
무효 : 병상이 변화를 인정하지 않는 것
[면도로 인하여 피부가 트는 것에 대한 개선효과]
저효 : 면도로 인하여 피부가 트는 것이 소실된 것
유효 : 면도로 인하여 피부가 트는 것이 개선된 것
약간 무효 : 면도로 인하여 피부가 트는 것이 약간 개선된 것
무효 : 면도로 인하여 피부가 트는 것에 변화를 인정하지 않는 것
판정
◎:피험자중 유효 및 약간 유효를 나타내는 비율(유효율)이 80% 이상
○:피험자중 유효 및 약간 유효를 나타내는 비율(유효율)이 50% 이상
80% 미만
△:피험자중 유효 및 약간 유효를 나타내는 비율(유효율)이 30% 이상
50% 미만
×:피험자중 유효 및 약간 유효를 나타내는 비율(유효율)이 30% 미만
이상의 판정기준을 기초로 하여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표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태양광에 쬐어진 후의 효과는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쪽이 광이한 멜라닌색소의 침착을 방지하고 흑색이 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인정되었다. 또 살결거침 개선에 대해서도 효과가 인정되었다.
[실시예4(크림)]
고형파라핀 5.0
밀랍 10.0
와셀린 15.0
유동파라민 41.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2.0
포리옥시에틸렌(20몰)
소르비탄 모노라울린산에스테르 2.0
비누분말 0.1
붕사 0.2
5-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
2-펜틸에스테르 0.05
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살시실산
3-메틸-1-부틸에스테르 0.05
향료 0.03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에틸파라벤 0.3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비누분말과 봉사를 첨가하여 가열해서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융해하여 70℃로 유지한다.
수상에 유상을 섞어 저으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실시한다. 반응종료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유화후 잘 섞어서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에서 얻어진 크림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5(유액)]
스테아린산 2.5
세틸알콜 1.5
와셀린 5.0
유동파라핀 10.0
폴리옥시에틸렌(10몰)
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2.0
폴리에틸렌글키콜1500 3.0
트리에탄올아민 1.0
2-β-D-글루코비라노실옥시-3-히드록시
안식향산이소프로필에스테르 0.001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에틸파라벤 0.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5
(상품명 : 카보폴941, B.F. Goodrich Chemical Company)
향료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소량의 이온교환수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용해한다(A상). 남은 이온교환수에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과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고 가열용해하여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융해하여 70℃로 유지한다(유상).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A상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유화후 잘 섞어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유액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6(유액)]
(유상부)
스테아릴알콜 1.5
스쿠와란 2.0
와셀린 2.5
탈취액상라놀린 1.5
월견초유 2.0
밀리스틴산이소프로필 5.0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60몰)경화피마자유 2.0
초산토코페롤 0.05
에틸파라벤 0.2
부틸파라벤 0.1
6-β-D-글루코비라노실옥시살리실산 1.0
파라아미노안식향산 0.1
향료 적량
(수상부)
아황산수소나트륨 0.001
글리세린 5.0
히알론산나트륨 0.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2
(상품명 : 카보폴941, B.F. Goodrich Chemical Company)
수산화칼륨 0.2
정제수 잔여
[제법]
유상부를 70℃로 용해한다, 수상부를 70℃로 용해하고 수상부에 유상부를 혼합하여 유화기에서 유화후 열교환기에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유액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7]
(유상부)
스테아릴알콜 1.5
스쿠와란 2.0
와셀린 2.5
탈취액상라놀린 1.5
월견초유 2.0
실리스틴산이소프로필 5.0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60몰)경화피마자유 2.0
초산토코페롤 0.05
에틸파라벤 0.2
4-β- D-글루코비라노실옥시살리실산메틸에스테르 1.0
파라아미노안식향산 0.1
향료 적량
(수상부)
아황산수소나트륨 0.001
글리세린 5.0
히알론산나트륨 0.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2
(상품명 : 카보폴941, B.F. Goodrich Chemical Company)
수산화칼륨 0.2
정제수 잔여
[제법]
유상부를 70℃로 용해한다, 수상부를 70℃로 용해하고 수상부에 유상부를 혼합하여 유화기에서 유화후 열교환기에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유액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또 안전성, 안정성도 우수해 있었다.
[실시예 18(유액)]
미소결정왁스 1.0
밀랍 2.0
라놀린 20.0
유동파라핀 10.0
스크와란 5.0
소르비탄세스키올레인산에스테르 4.0
폴리옥시에틸렌(20몰)
소르비탄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1.0
프로필렌글리콜 7.0
4-β-d-글르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
이소부틸에스테르 3.0
에틸파라벤 0.3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향료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용해해서 70℃로 유지한다(유상). 유상을 섞어 저으면서 이것에 수상을 서서히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다. 유화후 잘 섞어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유액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9(젤리)]
95%에틸알콜 10.0
디프로필렌글리콜 15.0
폴리옥시에틸렌(50몰)
올레일알콜에테르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상품명 : 카보폴941, B.F. Goodrich Chemical Company)
가성소다 0.15
L-아르기닌 0.1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3-히드록시
안식향산에이코실에스테르 0.05
향료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카보폴941을 균일하게 용해하고, 한편 95%에탄올에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3-히드록시안식향산에이코실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50몰)올레일알콜에테르를 용해하고 카보폴941수용액을 첨가한다. 다음으로 그 밖의 성분을 첨가한 후 가성소다, L-아르기닌으로 중화시켜 중점시킨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젤리는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0(미용액)]
(A상)
에탄올(95%) 10.09
폴리옥시에틸렌(20몰)
옥틸도데칸올 1.0
메틸파라벤 0.15
판토테닐에틸에테르 0.1
3-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
헥실에스테르 0.05
(B상)
수산화칼륨 0.1
(C상)
글리세린 5.0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상품명 : 카보폴941, B.F. Goodrich Chemical Company)
정제수 잔여
[제법]
A상, C상을 각각 균일하게 용해하고 C상에 A상을 첨가하여 가용화한다. 다음으로 B상을 첨가한 후 충진을 실시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미용액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1(분말팩)]
(알콜상)
95%에탄올 10.0
프로필렌글리콜 5.0
6-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
2-헥사데실에스테르
4-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살리실산
프로필에스테르 1.0
향료 적량
색제 적량
(수상)
아연화 25.0
카올린 20.0
메틸파라벤 0.3
글리세린 5.0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실온에서 수상을 균일하게 조제한다. 다음으로 실온으로 조제한 알콜상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팩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2(크림)]
고형파라핀 5.0
밀랍 10.0
와셀린 15.0
유동파라민 41.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2.0
포리옥시에틸렌(20몰)
소르비탄 모노라울린산에스테르 2.0
비누분말 0.1
붕사 0.2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안식향산도데실에스테르 0.05
이산화수소나트륨 0.03
에틸파라벤 0.3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비누분말과 봉사를 첨가하여 가열해서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융해하여 70℃로 유지한다(유상).
수상에 유상을 섞어 저으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실시한다. 반응종료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유화후 잘 섞어서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크림은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3(크림)]
스테아릴알콜 4.0
스테아린산 5.0
이소프로필밀리스테이트 5.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3.0
프로필렌글리콜 10.0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실옥시-5-히드록시
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20.0
가성칼리 0.2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프로필렌글리콜과 가성칼리를 첨가하여 가열해서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융해하여 70℃로 유지한다(유상).
수상에 유상을 섞어 저으면서 서서히 첨가하고 전부 다 첨가하고나서 잠시 그 온도로 유지하여 반응을 일으킨다. 그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유화후 잘 섞어서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크림은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4(크림, 비타민C 배합물)]
스테아린산 6.0
소르비탄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2.0
폴리옥시에틸렌(20몰)
경화피마자유에테르 1.5
프로필렌글리콜 10.0
2-β-D-글리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안식향산이소프로필에스테르 5.0
글리세린트리옥타노에이트 10.0
스쿠와렌 5.0
비타민 C 0.001
에틸파라벤 0.3
향료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프로필렌글리콜과 비타민 C를 첨가하여가열해서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융해해서 70℃로 유지한다(유상).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크림은 비타민 C가 배합되어 있지 않은 처방의 것보다도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5(크림, 비타민 E 배합물)]
스테아릴알콜 7.0
스테아린산 2.0
물첨가 라놀린 2.0
스쿠와란 5.0
2-옥틸도데실알콜 6.0
폴리옥시에틸렌(25몰)
세틸알콜에테르 3.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에테르 2.0
프로필렌글리콜 5.0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01
비타민 E(d1-α-토코페롤) 0.05
향료 적량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에틸파라벤 0.3
이론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가열해서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융해해서 70℃로 유지한다(유상).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후 잘 섞어서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크림은 비타민 E가 배합되어 있지 않은 처방의 것보다도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6(크림)]
고형파라핀 5.0
밀랍 10.0
와셀린 15.0
유동파라핀 41.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2.0
포리옥시에틸렌(20몰)
소르비탄 모노라울린산에스테르 2.0
비누분말 0.1
붕사 0.1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2-펜틸에스테르 0.05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3-메틸-1-부틸에스테르 0.05
향료 적량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에틸파라벤 0.3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비누분말과 봉사를 첨가하여 가열해서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융해하여 70℃로 유지한다(유상).
수상에 유상을 섞어 저으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실시한다. 반응종료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유화후 잘 섞어서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크림은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7(유액)]
스테아린산 2.5
세틸알콜 1.5
와셀린 5.0
유동파라핀 10.0
폴리옥시에틸렌(10몰)
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2.0
폴리에틸렌글키콜1500 3.0
트리에탄올아민 1.0
2-β-D-글루코비라노실옥시-5-히드록시
안식향산이소프로필에스테르 0.001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에틸파라벤 0.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5
(상품명 : 카보폴941, B.F. Goodrich Chemical Company)
향료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소량의 이온교환수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용해한다(A상). 남은 이온교환수에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과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고 가열용해하여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융해해서 70℃로 유지한다(유상).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A상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유화후 잘 섞어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유액은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8(유액, 자회선흡수제배합물)]
(유상부)
스테아릴알콜 1.5
스쿠와란 2.0
와셀린 2.5
탈취액상라놀린 1.5
원견초유 2.0
밀리스틴산이소프로필 5.0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60몰)경화피마자유 2.0
초산토코페롤 0.05
에틸파라벤 0.2
부틸피라벤 0.1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3-메틸-3-펜틸에스테르 1.0
파라아미노안식향산 0.1
향료 적량
(수상부)
아화산수소나트륨 0.001
글리세린 5.0
히알론산나트륨 0.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2
(상품명 : 카보폴941, B.F.Goodrich Chemical Company)
수산화칼륨 0.2
정제수 잔여
[제법]
유상부를 70℃로 용해한다. 수상부를 70℃로 용해하고 수상부에 유상부를 혼합하여 유화기에서 유화후 열교환기에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유액은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9(유액)]
미소결정왁스 1.0
밀랍 2.0
라놀린 20.0
유동파라핀 10.0
스크와란 5.0
솔비탄세스키올레인산에스테르 4.0
폴리옥시에틸렌(20몰)
솔비탄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1.0
프로필렌글리콜 7.0
2-β-D-글르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2,6-디메틸-4-헵틸에스테르 3.0
에틸파라벤 3.0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향료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용해해서 70℃로 유지한다(유상). 유상을 잘섞어 저으면서 이것에 수상을 서서히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다. 유화후 잘 섞어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유액은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0(젤리)]
95%에틸알콜 10.0
디프로필렌글리콜 15.0
폴리옥시에틸렌(50몰)
올레일알콜에테르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상품명 : 카보폴941, B.F. Goodrich Chemical Company)
가성소다 0.15
L-아르기닌 0.1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에이코실에스테르 0.05
메틸파라벤 0.2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3나트륨·2수화물 0.05
메틸파라벤 0.2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3나트륨·2수화물 0.05
향료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카보폴941을 균일하게 용해하고, 한편 95%에탄올에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안식향산에이코실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50몰)올레일알콜에테르를 용해하고 카보폴941수용액을 첨가한다. 다음으로 그 밖의 성분을 첨가한 후 가성소다, L-아르기닌으로 중화시켜 중점시킨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젤리는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1(미용액)]
(A상)
에탄올(95%) 10.0
폴리옥시에틸렌(20몰)
옥틸도데카놀 1.0
메틸파라벤 0.15
판토테닐에틸에테르 0.1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헥실에스테르 0.05
(B상)
수산화칼륨 0.1
(C상)
글리세린 5.0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상품명 : 카보폴941, B.F. Goodrich Chemical Company)
정제수 잔여
[제법]
A상, C상을 각각 균일하게 용해하고 C상에 A상을 첨가하여 가용화한다. 다음으로 B상을 첨가한 후 충진을 실시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미용액은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2(분말들이팩)]
(알콜상)
95%에탄올 10.0
프로필렌글리콜 5.0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2-헥사데실에스테르 10.0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이소프로필에스테르 1.0
향료 적량
색제 적량
(수상)
아연화 25.0
카올린 20.0
메틸파라벤 0.3
글리세린 5.0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실온에서 수상을 균일하게 조제한다. 다음으로 실온으로 조제한 알콜상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팩은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33(크림)]
고형파라핀 5.0
밀랍 10.0
와셀린 15.0
유동파라민 41.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2.0
폴옥시에틸렌(20몰)
소르비탄모노라울린산에스테르 2.0
비누분말 0.1
붕사 0.2
2-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히드록시
안식향산벤질에테르 0.05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에틸파라벤 0.3
향료 적량
이온교환수 잔여
[제법]
이온교환수에 비누분말과 붕사를 첨가하여 가열해서 70℃로 유지한다(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융해해서 70℃로 유지한다.
수상에 유상을 섞어 저으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실시한다. 반응종료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유화후 잘 섞어 저으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본 배합예에서 얻어진 크림은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우수한 것이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히드록시살리실산의 배당체 또는 히드록시살리실산에스테르의 배당체는 종래의 것보다도 우수한 미백효과를 갖기 때문에 소량의 사용으로 소기의 효과를 이룰 수 있고, 또한 안전한 화합물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당체중 겐티스산에스테르배당체는 살결거침 개선효과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을 배합하면 우수한 미백효과 및 / 또는 살결거침 개선효과를 갖는 안전성이 높은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하기 일반식(1)
    (식중,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불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탄화수소기는 직쇄 또는 분기인 것을 불문한다. "R2또는 R3의 한쪽은 당잔기이며 또 하나는 수소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내어지는 히드록시살리실산의 배당체 및 / 또는 히드록시살리실산지방족에스테르의 배당체를 적어도 1종류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KR1019940027325A 1993-10-26 1994-10-26 피부외용제 KR100307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995193 1993-10-26
JP93-289951 1993-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878A KR950010878A (ko) 1995-05-15
KR100307850B1 true KR100307850B1 (ko) 2001-12-15

Family

ID=1774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325A KR100307850B1 (ko) 1993-10-26 1994-10-26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00784A (ko)
EP (1) EP0649648B1 (ko)
KR (1) KR100307850B1 (ko)
DE (1) DE694283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9370B1 (fr) * 1997-02-12 2000-08-11 Oreal Nouveaux derives de l'acide salicylique et leur utilisation dans les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CA2311722A1 (en) 1997-12-08 1999-06-17 Arizona Board Of Regents Long-acting, chemical-resistant skin emollients, moisturizers, and strengtheners
US7749511B2 (en) * 2000-04-18 2010-07-06 Endobiologics, Incorporated Anti-sepsis conjugate vaccine
CN1250194C (zh) 2001-09-19 2006-04-12 狮王株式会社 外用制剂
US20060188559A1 (en) * 2005-02-18 2006-08-24 E. T. Browne Drug Co.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lpha arbutin
CA2786255A1 (en) 2009-12-31 2011-07-07 Organomed Corporation Formulations from natural products, turmeric, and aspirin
JP5857975B2 (ja) 2010-12-22 2016-02-10 味の素株式会社 配糖体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9990A (en) * 1963-01-31 1966-10-18 Jacobs Albert L Carbohydrate esters of salicylic acid, their production and administration
JPH0832621B2 (ja) * 1985-02-28 1996-03-29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ATE123306T1 (de) * 1989-05-19 1995-06-15 Hayashibara Biochem Lab Alpha-glycosyl-l-ascorbinsäure und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en.
JPH04131091A (ja) * 1990-09-21 1992-05-01 Shiseido Co Ltd フェノール類配糖体の製造方法
FR2679133B1 (fr) * 1991-07-17 1993-10-15 Oreal Utilisation de derives d'acides (2,5-dihydroxyphenyl)carboxyliques, leurs homologues et leurs sels dans la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a action depigmentante.
JP3285619B2 (ja) * 1992-08-20 2002-05-27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49648B1 (en) 2001-09-19
US5700784A (en) 1997-12-23
EP0649648A3 (en) 1996-03-27
DE69428322T2 (de) 2002-06-20
KR950010878A (ko) 1995-05-15
DE69428322D1 (de) 2001-10-25
EP0649648A2 (en) 1995-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0116B1 (en) External skin preparation
KR100307850B1 (ko) 피부외용제
EP0717985B1 (en) Dermatologic preparation
JP3081030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1192326A (ja) 皮膚外用剤
JP3285619B2 (ja) 皮膚外用剤
JPH08133948A (ja) 皮膚外用剤
JP2000086482A (ja) 皮膚外用剤
JPH07149622A (ja) 美白用製剤
JPH07173046A (ja) 皮膚外用剤
JP3150781B2 (ja) 皮膚外用剤
JP3150780B2 (ja) 皮膚外用剤
JP2726913B2 (ja) 皮膚外用剤
JPH05255376A (ja) 5−ヒドロキシ−7−(6”−パラクマロイルグルコシル)フラボノール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0256168A (ja) 皮膚外用剤
JPH08268868A (ja) 皮膚外用剤
JP2000198724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09241124A (ja) 皮膚外用剤
JP3048700B2 (ja) 化粧料
JPH08133957A (ja) 皮膚外用剤
JPH08133954A (ja) 皮膚外用剤
JP3590531B2 (ja) 皮膚外用剤
JP3150783B2 (ja) 皮膚外用剤
JP6054175B2 (ja) 毛髪用の皮膚外用剤
JPH06122620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