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180B1 - 전지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전지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180B1
KR100306180B1 KR1019940023603A KR19940023603A KR100306180B1 KR 100306180 B1 KR100306180 B1 KR 100306180B1 KR 1019940023603 A KR1019940023603 A KR 1019940023603A KR 19940023603 A KR19940023603 A KR 19940023603A KR 100306180 B1 KR100306180 B1 KR 10030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circuit
typ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157A (ko
Inventor
나가이다미지
아끼호히또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01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목적] 동일한 형상의 다른 종류의 전지를 동일한 충전기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 충전하는 전지(1)의 만충전시의 전압을 리튬 이온계 전지의 전압쪽이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전압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를 사용하여 전지(1)를 충전한다. 충전되고 있는 것이 리튬 이온계 전지인 경우 전류 검출 회로(15)에 의해 충전 전류가 소정값 이하로 된것이 검출되었을 때 제어 회로(17)가 스위치(11)를 오프(off)하여 충전을 정지시킨다. 충전되고 있는 것이 니켈·카드뮴계 전지인 경우 -△V 검출 회로(19)에 의해 전지(1)의 단자 전압의 저하(-△V)를 검출할 때 충전이 정지된다.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만충전 전압은 리튬 이온계 전지의 만충전 전압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충전 동작 중 전지가 파괴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전지 충전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방법을 적용하는 충전기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3도는 리튬 이은계 전지의 충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니켈· 카드뮴계 전지의 충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충전기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7도는 제6도의 단계 S5에서의 전지의 종류의 판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
면.
제8도는 제6도의 단계 S6의 리튬 이온계 전지의 충전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우차트.
제9도는 제8도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 방법에 의한 충전을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제6도의 단계 S7에서의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충전 방법을 설명하
플로우차트.
제11도는 충전기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2도는 제11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13도는 제12도의 단계 S54에서의 전지'의 종류의 판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14도는 제12도의 단계 S54에서의 전지의 종류의 판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충전기의 제4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6도는 제15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17도는 제16도의 단계 S74에서의 전지의 종류의 판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18도는 충전기의 제5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9도는 제18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20도는 충전기의 제6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1도는 제20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22도는 충전기의 제7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3도는 충전기의 제8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4도는 충전기의 제9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제26도는 제25도의 단계 S134에서의 전지의 종류의 판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27도는 제25도의 단계 S134에서의 전지의 종류의 판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28도는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9도는 제28도의 단계 S145에서의 전지의 종류의 판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30도는 제28도의 단계 S145에서의 전지의 종류의 판정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31도는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방법의 조합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32도는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방법의 조합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33도는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방법의 조합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지 1L : 리튬 이온계 전지
1N : 니켈·카드뮴계 전지 11 : 스위치
12 : 정전류 회로 13 : 정전압 회로
15 : 전류 검출 회로 16 : 전압 검출 회로
17 : 제어 회로 18 : 타이머 회로
19 : -ΔV 검출 회로 31 : 전지 분류 회로
41 : 전압 변화율 검출 회로 51 : 전류 변화율 검출 회로
61 : 절환 회로 71 : 방전 회로
81 : 온도 검출 회로 92 : 히터
본 발명은, 예를들어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사용되는 전지를 충전할 경우,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지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그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교적 소형의 전지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지로서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이 2차 전지는 그 종류에 따라 충전 방법이 다르게 되어 있다. 예를들면, 리튬 이온계 전지는 정전류 회로와 정전압 회로를 사용하여 충전을 한다. 이에 대해, 니켈·카드뮴계 전지는 정전류 회로를 사용하여 충전한다. 리튬 이온계 전지를 최후까지 정전류 회로로 충전하거나 니켈·카드뮴계 전지를 정전압 회로를 사용하여 충전한다면, 충전 시간이 길어지게 되거나 만충전을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게되어 최악의 경우 전지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전지의 종류를 판별하여 그 종류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전지를 충전하도록 하고 있다.
전지 종류의 판별 방법으로서는 리튬계 전지와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형상을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전지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검출용 전극을 설치하여 이 전극으로부터 전지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지의 형상을 그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방법은 전지의 형상이 대형화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전지의 종류에 따라 형상을 변경한다면, 전지의 종류마다 다른 충전기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단가가 높아지는 과제가 있다. 더우기, 검출용 전극을 사용하는 방법은 검출용 전극과의 접촉 불량이 존재하는 것과같은 경우에 종류의 판별이 곤란하게 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대의 충전기로 종류가 다른 전지를 확실히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방법은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공통의 충전기로 충전하는 전지 충전 방법에 있어서, 만충전시의 제1 의 종류의 전지의 단자 전압을 만충전시의 제2 종류의 전지의 단자 전압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종류의 전지로서는 리튬 이온계 전지를 사용하고 제2 종류의 전지로서는 니켈·카드뮴계 전지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에 대응하여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각각 다른 방법으로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정전압 회로와 정전류 회로에 의해 충전하여,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를 전지 단자 전압이 소정의 기준값에 이른 후의 단자 전압의 크기를 사용하여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정전압 회로와 정전류 회로에 의해 충전하여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의 충전 전류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감소한 후의 충전 전류의 크기를 사용하여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정전압 회로와 정전류 회로에 의해 미리 설정한 소정의 시간만큼 충전하여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를 전지의 단자 전압의 크기 또는 전지의 충전 전류의 크기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더우기,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정전류 회로에 의해 충전하여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를 전지의 단자 전압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게 된 후의 단자 전압의 변화율을 사용하여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전지가 제1 종류의 전지라고 판정되었을 때는, 전지를 정전압 회로와 정전류 회로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전지가 제2 종류의 전지라고 판정되었을 때는, 전지를 정전류 회로를 사용하여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종류의 전지의 만충전은 전지의 충전 전류가 충분히 작게 된 것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종류의 전지의 만충전은 전지의 단자 전압의 저하를 이용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지의 만충전은 전지의 충전 전류가 충분히 작게 된 것 및 전지의 단자 전압의 저하 양쪽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전지 충전 방법에 있어서는, 만충전시의 제1 종류의 전지의 단자 전압이 만충전시의 제2 종류의 전지의 단자 전압보다 큰 값으로 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공통의 충전기에 의해 어떤 종류의 전지도 파괴하지 않고 확실히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방법에 있어서 충전된 다른 종류의 전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1(a)도는 L개의 셀을 조합함으로써 만충전시에 있어서의 단자 전압이 VL인 리튬 이온계 전지(1L)를 나타내고 있다. 이 리튬 이온계 전지(1L)에는 리튬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납전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제1(b)도는 니켈 카드뮴계 전지(1N)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전지(1N)는 N 개의 셀을 조합함으로써 그 단자 전압이 VN인 전지로 된다. 이 니켈·카드뮴계 전지(1N)에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계 전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이 전지 1L과 전지 1N은 모두 동일 형상의 전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지(1, 1L, 1N)는 공통의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전지(1L, 1N)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위치(11)를 거쳐서 정전류 회로(12), 또 정전압 회로(13)에 소정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직렬 접속되어 있는 정전류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에 충전해야할 전지(1 ; 1L, 1N)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전지(1)에는 전류 검출용 저항(14)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류검출 회로(15)가 저항(14)의 양단의 단자 전압에서 저항(14)으로 흐르는 충전 전류를 검출하여 제어 회로(17)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회로(17)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된다. 타이머 회로(18)는 항상 시계 동작을 행하고 있고 시각 정보를 제어 회로(17)로 출력하고 있다. 제어 회로(17)는 충전 동작을 개시할 때, 스위치(11)를 온(ON)시키고 충전동작을 정지할 때, 스위치(11)를 오프(OFF)시킨다.
전압 검출 회로(16)가 전지(1)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압 검출 회로(16)는 전지(1)의 단자 전압 또는 충전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를 제어 회로(17)와 -△ V 검출 회로(19)로 출력하고 있다. -△ V 검출 회로(17)는 전압 검출 회로(16)의 출력으로부터 전지(1N)의 단자 전압의 저하(-△V)를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를 제어 회로(17)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해서 제3도와 제4도의 특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충전 동작의 개시가 지령되었을 때, 제어 회로(17)는 스위치(11)를 온(ON)시킨다. 그 결과,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를 거쳐 전지(1)에 충전이 개시된다. 이때, 스위치(11), 정전류 회로(12), 정전압 회로(13), 전지(1), 저항(14)의 경로로 충전 전류가 흐른다.
충전중인 전지(1)가 리튬 이온계 전지(1L)일 때, 실질적으로 제3도에 나타난 특성에 따른 충전 동작이 행해진다. 즉, 당초 전지(1L)의 내부 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에 정전압 회로(13)는 실질적으로 기능을 하지 않고, 전지(1L)는 정전류 회로(12)로부터의 정전류(I10)에 의해 충전된다. 이 충전에 수반하여 전지(1L)가 서서히 충전되면, 전지(1L)의 내부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전지(1L)를 흐르는 충전 전류(I1)가 급격히 저하한다. 그리고, 이번에는 정전류 회로(12)가 실질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되어 정전압 회로(13)가 기능한다. 그 결과, 이후 전지(1L)는 정전압 회로(13)에 의해 정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정전압에 의해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전지(1)의 충전 전류(I1)는 점차로 작아지게 된다. 전류 검출 회로(15)에 의해 저항(14)을 흐르는 충전 전류(I1)를 검출하여 그 충전 전류(I1)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기준값보다 작게 되었을 때, 제어 회로(17)는 스위치(11)를 오프(OFF)시켜 충전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충전 전류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기준값보다 작게 되었을 때, 그 때부터 미리 설정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충전을 계속한다. 그리고, 타이머 회로(18)가 그 소정의 시간을 계시(計時)했을 때 제어 회로(17)는 스위치(11)를 오프(OFF)로 되게 하여 충전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지(1L)의 단자 전압은 만충전시에 있어서의 전압 VL이 된다.
한편, 전지(1)로서 니켈·카드뮴계 전지(1N)를 접속했을 경우에 있어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충전 동작이 행해진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정전류 회로(12)에 의한 정전류(I20)에 의해 충전이 행해진다. 이 정전류(I20)는 제3도에 있어서의 정전류(I10)와 거의 같은 크기의 값이다. 즉, I10≒ I20이다.
니켈·카드뮴계 전지(1N)는 정전류로 충전하여도 리튬 이온계 전지(1L)와 달리 충전 전류(I2)는 저하하지 않는다. 그러나, 니켈·카드뮴계 전지(1N)는 충전됨에 따라 그 단자 전압(V2)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커진다. 그리고, 전지(1N)의 단자 전압(V2)이 만충전 전압(VN)에 이르렀을 때, 단자 전압(V2)는 약간저하한다. -△ V 검출 회로(19)는 이 단자 전압(V2)의 저하(-△V)를 검출하게 되면, 이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17)로 출력한다. 제어 회로(17)는 이 검출 신호의 입력을 받았을 때, 스위치(11)를 오프(OFF)시켜 충전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켈·카드뮴계 전지(1N)의 전압(VN)은 리튬 이온계 전지(1L)의 전압(VL)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 동작시에 있어서, 니켈·카드뮴계 전지(1N)가 전압(VL)까지 충전되어 파괴되지는 않는다.
제5도는 충전기의 제 2 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압 검출 회로(16)의 출력이 전지 분류 회로(31)에 공급되어, 충전되고 있는 전지의 종류가 판정(분류)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전지 분류회로(31)의 출력이 제어 회로(17)에 공급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제2도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 제5도의 실시예의 경우, 제6도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낸 바와같이 충전 동작이 실행된다.
최초에 단계 S1에서,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를 사용한 충전이 행해진다. 즉, 제2도의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음에 실질적으로 정전류 회로(12)에 의한 충전 동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2에서 충전 전압(전지(1)의 단자 전압이 아님)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만충전 전압(VL))에 이르렀다고 판정될 때까지 충전을 계속한다.
충전 전압이 전압(VL)에 이르렀을때,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제어 회로(17)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스위치(11)를 일단 오프(OFF)하여 충전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단계 S4에서 전지(1)의 단자 전압을 전압 검출 회로(16)로 검출한다. 다음에 단계 S5에서는 단계 S4에서 검출한 단자 전압으로부터 전지(1)의 종류를 판정한다.
제7도는 검출한 단자 전압으로부터 전지(1)의 종류를 판정하는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7도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충전 동작을 정지하면, 전지(1)의 단자 전압은 방전을 개시하기 때문에 충전시의 전압보다 약간 저하한 후에 소정의 전압에서 안정하게 되지만, 저하한 후의 안정, 전압은 리튬 이온계 전지(1L)의 경우(VL)보다 니켈·카드뮴계 전지(1N)의 경우(V2)쪽이 작다. 즉, 충전을 정지하면, 니켈·카드뮴계 전지(1N)쪽이 보다 작은 단자 전압으로 저하한다.
환언하면, 충전 동작 정지 후의 전지(1)의 만충전 전압(VL)으로부터의 저하량은 리튬 이온계 전지(1L)에서의 경우(△ V1)쪽이 니켈·카드뮴계 전지(1N)의 경우(△V2)보다 작게 된다. 즉, 다음 식이 만족된다.
V1> V2
ΔV1< ΔV2
전지 분류 회로(31)는 전압 V1과 전압 V2사이의 소정의 기준값, 또는 △V1와 △V2사이의 소정의 기준값을 가지고 있으며 이 기준값과 V1 또는 V2 를 비교하든가 또는 기준값과 ΔV1또는 ΔV2를 비교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V1이 기준값보다 크다고 판정되었을 때 또는 △V1이 기준값보다 작다고 판정되었을 때, 충전하고 있는 전지는 리튬 이온계 전지(1L)라고 판정한다.
이에 대해서 전압(V2)이 기준값보다 작을 때, 또는 ΔV2가 기준값보다 클때, 충전하고 있는 것은 니켈·카드뮴계 전지(1N)라고 판정한다.
충전하고 있는 것이 리튬 이온계 전지(1L)라고 판정되었을 때,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또한 니켈·카드뮴계 전지(1N)이라고 판정되었을 때는, 단계 S7로 진행하여 각각의 종류에 적절한 방법으로 충전이 행해진다.
제8도는 제6도의 단계 S6에서의 리튬 이온계 전지의 충전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8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최초에 단계 S21에서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 양쪽에 의한 충전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단계 S22로 진행하여 전지(1)의 충전 전류가 전류 검출 회로(15)에 의해 검출된다. 단계 S23에서는 단계 S22에서 검출한 충전 전류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 단계 S21로 되돌아가서 충전 동작이 계속된다.
단계 S23에서는 단계 S22에서 검출한 충전 전류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 이하라고 판정되었을 때, 단계 S24로 진행하여 다시 정전류, 정전압 충전을 계속시킨다. 그리고, 단계 S25에서는 단계 S23에서 충전 전류가 기준값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한 후, 미리 설정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충전을 반복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충전 동작을 정지한다.
즉,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1)의 단자 전압(V1)은 충전 동작의 진행에 따라 서서히 커지며, 충전 전압(V1c)과의 차가 점차로 작게 된다. 충전 전압(V1c)과 단자 전압(V1)과의 차를 검출하여, 그 차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되었을 때, 만충전 전압으로 된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충전 전압(V1c)과 단자 전압(V1)과의 차가 작게 되면, 그 값을 정확히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충전 전류(I1)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I1R)과 같게 되었을 때, 그때부터 상대방은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 만큼 충전 동작을 다시 계속시켜 일정시간이 경과했을 때 충전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일정 시간은 그 시간이 경과했을 때 단자 전압(V1)이 만충전 전압(VL)과 같게 되어 있는 시간으로, 실험등에 의해 정할 수 있다.
제10도는 제6도의 단계 S7에서의 니켈·카드뮴계 전지에 대한 충전 동작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험예의 경우, 최초에 단계 S41에서 정전류 회로(12)에 의한 정전류 동작이 실행된다. 이 때, 전지(1N)의 내부 임피던스가 작기 때문에 정전압 회로(13)는 실질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정전류 회로(12)에 의한 정전류 동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42에서 전지(1N)의 단자 전압(충전 전압)을 구한다. 또한, 단계 S43에서 단자 전압이 저하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즉, 전지(1N)의 단자 전압의 저하(-ΔV)가 -△ V 검출 회로(19)에 의해 검출된다. 전지(1N)의 단자 전압이 지난 번의 검출시에서의 경우보다 저하하지 않은 때, 단계 S41로 되돌아가 정전류 충전이 계속된다.
그리고, 단계 S43에서 , 전지(1N)의 단자 전압이 지난번의 검출시에서의 경우보다 저하했다고 판정되었을 때(-ΔV 가 검출된 때), 단계 S44로 되돌아가 스위치(11)가 오프(OFF)되어 충전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리튬 이온계 전지의 만충전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15)와,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만충전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 V 검출 회로(19)는 전지의 종류가 이직 식별되지 않은 상태는 물론 식별된 후에도 양쪽과 동시에 동작 상태로 해 둘수 있다.
제11도는 충전기의 제 3 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5도의 실시예에서의 정전압 회로(13)가 생략되어 정전류 회로(12)에 의해서만 전지(1)가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압 변화율 검출 회로(41)가 전지(1)의 단자 전압의 변화율을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를 전지 분류 회로(31)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전지 분류 회로(31)는 전압 변화율 검출 회로(41)의 출력으로부터 전지의 종류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5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최초의 단계 S51에서, 스위치(11)가 온(ON)되어 정전류 회로(12)에 의해 전지(1)가 충전된다. 다음에 단계 S52로 진행하여 제어 회로(17)는 전지(1)의 단자 전압(충전전압)을 전압검출 회로(16)에 의해 검출시킨다 전지(1)의 단자 전압이 리튬 이온계 전지의 만충전 전압(VL)보다 크게 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만충전 전압(VL)보다 작을때, 단계 S51로 되돌아가서 정전류 회로(12)에 의한 정전류 충전이 계속된다.
단계 S52에서 전지(1)의 단자 전압이 전압(VL)보다 크게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 단계 S53으로 진행하여 전지(1)의 단자 전압의 변화율이 검출된다. 즉, 전압 변화율 검출 회로(41)는 전지(1)의 단자 전압의 변화율을 검출하여 그 변화율을 전지 분류 회로(31)에 출력한다. 전지 분류 회로(31)는 이 변화율로부터 전지의 종류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제어 회로(17)에 출력한다.
제13도는 단계 S54에서의 전압의 변화율로부터 전지의 종류를 판정하는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즉, 지금 충전되고 있는 것이 리튬 이온계 전지(1L)일 경우, 제1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자 전압(충전 전압)은 V1으로 되고 니켈·카드뮴계 전지(1N)일 경우에는 제1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자 전압은 V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한다
즉,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튬 이온계 전지의 단자 전압(V1)이 만충전 전압(VL)을 넘은 직후의 변화율(△ V11)은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단자 전압(V2)이 만충전 전압(VN)을 넘은 직후의 변화율(△ V21)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이 전압 변화율이 미리 설정한 기준값보다 클 때는 리튬 이온계 전지라고 판정할 수 있고, 또한, 기준값보다 작을 때는, 니켈·카드뮴계 전지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전압의 변화율을 검출하도록 할 수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 VL보다 전지(1)의 단자 전압이 크게 되었을 때에 일단 충전 동작이 정지된다. 충전 동작이 정지되면, 방전이 개시되 단자 전압이 약간 저하하여 거의 일정한 값으로 된다. 이 충전 정지 직전과 충전 중지 후의 일정 전압과의 차는 제14(a)도에 도시한 리튬 이온계 전지(1L)에서의 경우(ΔV1)의 쪽이 제14(b)도에 도시한 니켈·카드뮴계 전지(1N)의 경우(△V2)보다 작다. 그래서, 양자사이의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리튬 이온계 전지인가 니켈·카드뮴계 전지인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단계 S54에서 전지의 종류가 판정되었을 때에 단계 S56으로 진행하여 각각 리튬 이온계 전지(1L) 또는 니켈·카드뮴계 전지(1N)에 대응하는 충전 방법에 의해 충전이 행해진다. 이 단계 S55와 단계 S56에서의 충전 방법은 제6도에서의 단계 S6(제8도) 및 단계 S7(제10도)에서의 충전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제15도는 충전기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류변화율 검출 회로(51)가 설치되어 있고, 전류 검출 회로(15)의 출력으로부터 전류 변화율이 검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전류 변화율 검출 회로(51)의 출력이 전지 분류 회로(31)에 공급되고, 전지 분류 회로(31)는 전류 변화율 검출 회로(51)의 출력으로 전지의 종류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를 제어 회로(17)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5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16도는 제15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최초에 단계 S71에서 스위치(11)가 온(ON)되어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에 의한 충전 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단계 S72에서 전류 검출 회로(15)에 의해 충전 전류가 검출되고, 이 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된다. 이 기준값은 충전 전류(I10; ≒ I20)보다 작은 소정의 값으로 된다. 충전 전류가 기준값보다 작을 때, 단계 S71로 되돌아가 충전 동작이 계속된다.
단계 S72에서 충전 전류가 기준값 이하로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 단계 S73으로 진행하여 전류 변화율 검출 처리가 실행된다. 즉, 이 때 전류 변화율 검출회로(51)는 전류검출 회로(15)의 출력을 모니터하여 충전 전류의 변화율을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74로 진행하여 단계 S73에서 검출한 전류 변화율로부터 전지의 종류가 전지 분류 회로(31)에서 판정된다.
제17도는 전류 변화율로부터 전지의 종류를 판정하는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제17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리튬 이온계 전지의 충전 전류(I1)의 변화율(ΔI11)은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충전 전류(I2)의 변화율(ΔI21)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래서, 미리 설정한 기준값과 단계 S73에서 검출한 변화율을 비교하여 검출한 전류 변화율이 기준값보다 클 때는, 충전되고 있는 것은 리튬 이온계 전지(1L)라고 판정할 수 있고, 기준값보다 작을 때는 니켈·카드뮴계 전지(1N)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온계 전지의 충전 전류(I1)쪽이,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충전전류(I2)보다 작기 때문에, 이 사실로부터 전지의 종류를 판정할 수 있다.
단계 S74에서 전지의 종류가 판정되었을 때, 그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단계 S75 또는 단계 S76으로 진행하여 각각 리튬 이온계 또는 니켈·카드뮴계 전지에 대응하는 충전 방법으로 충전이 행해진다.
제18도는 게다가 다른 충전기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류 검출 회로(15)의 출력이 전지 분류 회로(31)로 공급되고, 전지 분류 회로(31)는 이 입력으로부터 전지의 종류를 판정하여 판정 신호를 제어 회로(17)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전압 회로(13)에는 이 회로를 실질적으로 무효로 하는 스위치(42)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 회로(17)에 의해 그의 온(ON), 오프(OFF)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정전압 회로(13)에는 그 정전압을 보다 높은 전압으로 절환하는 절환 회로(6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환 회로(61)는 저항(62)과 NPN 트렌지스터(63)의 직렬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다른 구성은 제5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제18도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제19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단계 S91에서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를 사용한 충전이 행해진다. 이 충전의 기간 중 단계 S92에서 전류 검출 회로(15)가 충전 전류를 검출하여 충전 전류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보다 클 때, 단계 S91로 되돌아가 충전 동작이 계속된다. 이 기준값은 충전 전류(I10)보다 작은 소정의 값으로 한다.
단계 S92에서 충전 전류가 기준값 이하로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 단계 S93으로 진행하여 스위치(42)가 온(ON)되고 정전압 회로(13)가 실질적으로 해제(무효)된다. 따라서, 그 후에는 정전류 회로(12)에 의해 정전류로 충전이 행해진다.
또한, 이 단계 S93에서 정전압 회로(13)를 해제하는 대신, 절환회로(61)를 제어하여 정전압 회로(13)에 의해 높은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해도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94로 진행하여 정전류 회로(12)에 의한 정전류 충전이 행해진다. 이하, 단계 S94 내지 단계 S99의 처리는 제12도에서의 단계 S51 내지 단계 S56의 처리(제11도의 실시예의 경우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제20도는 또한 다른 충전기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정전압 회로(13)에 병렬로 스위치(42)가 설치되어 있다. 그의 다른 구성은 제15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21도는 제20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최초에 단계 S111에서 정전류 충전이 행해진다. 즉, 제어 회로(17)는 스위치(42)를 온(ON)하여 정전압 회로(13)를 실질적으로 단락시킨다. 그리고, 스위치(11)를 온(ON)하여 정전류 회로(12)가 출력하는 정전류에 의해 전지(1)를 충전시킨다.
다음에 단계 S112로 진행하여 전지(7)의 단자 전압이 리튬 이온계 전지의 만충전 전압(VL) 이상으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제어 회로(17)는 전지(1)의 단자 전압(충전 전압)을 전압 검출 회로(16)를 통하여 샘플링한다. 그리고, 그 단자 전압이 전압(VL)보다 작을 때, 단계 S111로 되돌아가서 정전류 충전을 계속한다. 이 동작은 전지(1)의 단자 전압이 전압(VL)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반복 실행된다.
단계 S112에서 단자 전압이 전압(VL)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 단계 S113으로 진행하여 정전류, 정전압 충전이 행해진다. 즉, 이 때 제어 회로(17)는 스위치(42)를 오프(OFF)하여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에 의한 충전을 실행시킨다. 그 후의 단계 S113 내지 S118에서의 처리는 제16도에서의 단계 S71 내지 S76에서의 처리(제15도의 실시예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제22도는 또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지(1)와 병렬로 방전 회로(71)가 설치되고, 이 방전 회로(71)가 제어 회로(17)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수동에 의한 지령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의 다른 구성은 제5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충전하고 있는 전지(1)가 니켈·카드뮴계 전지(1N)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제어 회로(17)는 방전 회로(71)를 제어하여 전지(1N)를 일단 방전한 후 충전을 개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지(1N)의 메모리 효과에 의한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지령하는 것으로 전지(1)를 방전 회로(71)를 거쳐 방전시킬 수 있다.
제23도는 또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온도 검출 회로(81)에 설치되어 전지(1)의 온도가 검출되고, 그 검출 출력이 제어 회로(17)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의 다른 구성은 제5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온도 검출 회로(81)가 전지(1)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온도가 미리 설정한 기준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어 회로(17)는 스위치(11)를 오프(OFF)시켜 충전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는,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을 경우 전지(1)를 충분히 충전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23도의 실시예에서 온도검출 회로(81)에 의해 검출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제2도의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전을 하고, 기준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제5도, 제11도, 제15도, 제18도, 제20도 또는 제22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충전 동작을 시키도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4도는 또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3도에 나타낸 구성 외에 또한 히터 구동 회로(91)에 의해 구동되는 히터(92)가 설치되어 전지(1)가 가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의 다른 구성은 제23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24도의 실시예에서는 온도검출 회로(81)가 검출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제어 회로(17)는 히터 구동 회로(91)를 거쳐 히터(92)를 구동하여 전지(1)를 가열시킨다. 그리고, 전지(1)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되었을 때 상술한 제2도, 제5도, 제11도, 제15도, 제18도, 제20도 또는 제22도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충전을 한다.
제11도의 실시예를 제외한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또한, 예를 들면 제25도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충전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최초에 단계 S131에서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에 의한 충전을 행한다. 충전 개시후의 경과 시간을 타이머(18)의, 출력으로부터 검출하여 단계 S132에서 미리 설정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될 때까지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에 의한 충전 동작을 계속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 단계 S133으로 진행하여 전류 검출 회로(15)에 의해 전지(1)의 충전 전류의 값(전류량)을 검출한다. 또한 전류 변화율 검출 회로(51)에 의해 충전 전류의 변화율을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134로 진행하여 단계 S133의 검출결과에 대응하여 전지의 종류를 판정한다.
제26도와 제27도는 충전 전류의 값으로부터 전지의 종류를 판정하는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리튬 이온계 전지의 경우 제2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류로 충전이 행해지고 소정의 시간(H1)이 경과하면, 충전 전류는 급격히 감소한다. 전지의 잔류 성분이 없을 경우 충전 전류는 곡선(L1)을 따라서 흐른다. 그리고, 시간(H2)이 경과했을 때의 전류의 값은 I1H2로 된다.
전지에 잔류 성분이 존재할 경우, 잔류량이 많을수록 곡선 L2또는 곡선 L3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다 빠르게 충전 전류가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은 전지가 열화했을 경우에도 보유된다.
이에 대하여 니켈·카드뮴계 전지일 경우 전지가 열화하지 않으면, 잔류 성분과는 관계 없이 직선(L11)을 따라서 정전류의 충전 전류가 흐른다. 이에 대하여 전지가 열화했을 경우는 직선(L1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전류가 흐른다. 즉, 이 경우에는 거의 정전류가 흐르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값이 작아진다.
충전 개시 후 시간(H1)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리튬 이온계 전지의 충전 전류(I1H1)는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충전 전류(I1H2)와 같든가 그보다 작게 된다. 또한, 시간(H2)가 경과한 타이밍에서는 리튬 이온계 값(I2H2)쪽이 니켈·카드뮴계 값(I2H2)보다 작게 된다. 그래서, 시간 H1과 시간 H2사이의 소정 시각에서 전지(1)의 충전 전류를 소정의 기준값와 비교하는 것으로 리튬 이온계 전지인가 니켈·카드뮴계 전지인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1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전류의 변화율로부터 전지의 종류를 판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지의 종류가 판별되었을 때 단계 S134에서 단계 S135까지는 단계 S136으로 진행하여 판별된 전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충전을 행한다.
타이머 회로(18)를 이용하여 또한, 예를 들면 제2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충전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단계 S141에서 정전류 회로(12)와 정전압 회로(13)를 사용하여 충전이 행해진다. 그리고, 단계 S142에서 미리 설정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제어 회로(17)는 타이머 회로(18)가 미리 설정한 소정 시간을 계시하였다고 판정했을 때 단계 S143으로 진행하여 스위치(11)를 오프시켜 충전 동작을 일단 정지시킨다. 그리고, 게다가 단계 S144로 진행하여 전지(1)의 단자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로부터 단계 S145에서 전지의 종류를 판정한다.
충전하고 있는 것이 리튬 이온계 전지일 경우, 전지의 단자 전압(V1)은 제2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시간이 경과함과 동시에 점차로 만충전 전압(VL)에 가까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개시후, 시간 H1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실질적으로 정전류 충전으로부터 정전압 충전으로 전환이 행해진다. 이 시간 H1이 경과한 타이밍에서 전지의 단자 전압(V1)은 전압(VL)에 극히 가까운 값으로 된다. 충전 전류가 소정의 값(I1H2)으로 되는 시간 H2에서는 전지의 단자 전압(V1)은 거의 만충전 전압(VL)과 같게 된다.
이에 대해 충전하고 있는 것이 니켈 카드뮴계 전지일 경우 충전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전지의 단자 전압(V2)은 제3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한다. 즉, 이 전압 V2는 시간 H1또는 시간 H2가 경과하였다고 하여도 그 값은 리튬 이온계 전지의 만충전 전압(VL)보다 작은 값인 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충전 개시후 시간 H1또는 시간 H2가 경과한 시점에서 충전을 일시정지하고 그 전지의 단자 전압을 검출하면, 그 전압과 만충전 전압(VL)과의 차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이면, 그 전지는 리튬 이온계 전지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그차가 기준값보다 크면, 충전하고 있는 것은 니켈· 카드뮴계 전지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7도에 나타낸 원리에 따라서 전지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충전 전압과 단자 전압과의 비(比)로부터 전지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단계 S145에서 전지의 종류를 판별했을 때, 그 판별 결과에 대응하여 단계 S146 또는 단계 S147로 진행하여 전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충전이 행해진다.
이상, 몇개의 충전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각 방법은, 예를 들면 제31도 내지 제3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히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지가 충전기에 잠깐 동안 그대로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충전 완료 후의 자기 방전에 대해서, 예를 들면 미약한 전류등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서 충전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충전을 할 경우 그 종류에 적합한 방법으로 충전하는 것이 좋지만, 본질적으로 그 방법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전지의 종류의 충전 회로를 동시에 동작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리튬 이온계 전지와 니켈·카드뮴계 전지의 2 종류를 충전하도록 하였지만, 그의 다른 종류의 전지를 충전할 경우에도 본 발명은 응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방법에 의하면, 만충전시의 제1 종류의 전지의 단자 전압을 만충전시의 제2 종류의 전지의 단자 전압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충전기로 다른 종류의 전지를 파괴하지 않고 확실히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8)

  1. 전지 충전 방법에 있어서, 제1 종류의 제1 전지와 제2 종류의 제2 전지를 선택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전지 충전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지 또는 상기 제2 전지 중 하나를 상기 전지 충전 회로에 연결함으로써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지의 만충전시(滿充電時)의 단자 전압이 상기 제2 전지의 만충전시의 단자 전압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전지의 충전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전지는 리튬 이온계 전지이고, 상기 제2 종류의 전지는 니켈·카드뮴계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서로 다른 방법으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정전압회로와 정전류 회로에 의해 충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를, 상기 전지의 단자 전압이 소정의 기준값에 이른 후의 상기 단자 전압의 크기를 이용해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정전압 회로와 정전류 회로에 의해 충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를 상기 전지의 충전 전류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감소한 후의 상기 충전 전류의 크기를 이용해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정전압회로와 정전류 회로에 의해 미리 설정한 소정의 시간만큼 충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를, 상기 전지의 단자 전압의 크기 또는 상기 전지의 충전 전류의 크기 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해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전지와 제2 종류의 전지를 정전류 회로에 의해 충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종류의 전지를 상기 전지의 단자 전압이 소정의 기준값 보다 크게 된 후의 상기 단자 전압의 변화율을 이용해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가 상기 제1 종류의 전지라고 판정되었을때, 상기 전지를 정전압 회로와 정전류 회로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상기 전지가 상기 제2 종류의 전지라고'판정되었을 때, 상기 전지를 정전류 회로를 이용해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9.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전지의 만충전(滿充電)은 상기 전지의 충전 전류가 충분히 작게 된 것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10.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류의 전지의 만충전은 상기 전지의 단자 전압의 저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11.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만충전은 상기 전지의 충전 전류가 충분히 작게 된 것, 및 상기 전지의 단자 전압의 저하 양쪽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12.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가 상기 제1 종류의 전지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전지를 정전압 회로와 정전류 회로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상기 전지가 상기 제2 종류의 전지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전지를 정전류 회로를 이용해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전지의 만충전(滿充電)은 상기 전지의 충전 전류가 충분히 작게 된 것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전지의 만충전(滿充電)은 상기 전지의 충전 전류가 충분히 작게 된 것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류의 전지의 만충전은 상기 전지의 단자 전압의 저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류의 전지의 만충전은 상기 전지의 단자 전압의 저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만충전은 상기 전지의 충전 전류가 충분히 작게 된 것, 및 상기 전지의 단자 전압의 저하 양쪽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만충전은 상기 전지의 충전 전류가 충분히 작게 된 것, 및 상기 전지의 단자 전압의 저하 양쪽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전 방법.
KR1019940023603A 1993-09-17 1994-09-16 전지충전방법 KR100306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31171A JPH0785893A (ja) 1993-09-17 1993-09-17 電池充電方法
JP93-231171 1993-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157A KR950010157A (ko) 1995-04-26
KR100306180B1 true KR100306180B1 (ko) 2001-12-01

Family

ID=1691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603A KR100306180B1 (ko) 1993-09-17 1994-09-16 전지충전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91620A (ko)
JP (1) JPH0785893A (ko)
KR (1) KR100306180B1 (ko)
TW (1) TW28644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95B1 (ko) 2003-03-10 2010-11-30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충전제어 회로
KR101744560B1 (ko) 2015-11-04 2017-06-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전기저장장치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0118B2 (ja) * 1995-10-24 2005-0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定電流・定電圧充電装置
US5764030A (en) * 1997-03-14 1998-06-09 International Components Corporation Microcontrolled battery charger
WO1999050925A1 (en) * 1998-03-27 1999-10-07 Bluestar Advanced Technology Corp. Method of recharging a secondary electrochemical cell
JP2000050132A (ja) * 1998-07-29 2000-02-18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6040683A (en) * 1999-05-28 2000-03-21 Motorola, Inc. Battery charger with active feedback voltage controller
JP3778262B2 (ja) 2000-12-21 2006-05-24 株式会社マキタ 充電方式及び電池パック
US6744238B2 (en) * 2001-05-11 2004-06-01 Wilson Greatbatch Technologies, Inc. Method of using a cell
EP1263111B1 (en) * 2001-05-29 2010-11-24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ternal information of a rechargeable battery and apparatus including said detecting apparatus
US20040053136A1 (en) * 2002-09-13 2004-03-18 Bauman William C. Lithium carbide composition, cathode, battery and process
AU2003275235A1 (en) * 2002-09-19 2004-04-08 Quallion Llc Battery charging system
US7157882B2 (en) * 2002-11-22 2007-01-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protection employing a selectively-actuated switch
US7176654B2 (en) 2002-11-22 2007-02-1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charging multi-cell lithium-based batteries
US7425816B2 (en) * 2002-11-22 2008-09-1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ulse charging of a lithium-based battery
US7253585B2 (en) * 2002-11-22 2007-08-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US7714538B2 (en) * 2002-11-22 2010-05-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US8471532B2 (en) 2002-11-22 2013-06-2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US7589500B2 (en) 2002-11-22 2009-09-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protection
JP4950459B2 (ja) * 2005-08-25 2012-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070285055A1 (en) * 2006-06-07 2007-12-13 Meyer Gary D Battery pack
JP4700644B2 (ja) * 2007-03-22 2011-06-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鉛バッテリの充電制御装置
BRPI0809518A2 (pt) * 2007-03-26 2016-03-15 Gillette Co dispositivo e método de carregador adaptativo
US7973511B2 (en) * 2007-06-15 2011-07-05 Black & Decker Inc. Method for distinguishing batteries having different chemistries
BRPI0912206A2 (pt) * 2008-05-06 2015-10-06 Johnson Controls Tech Co método e dispositivo para carregamento de bateria
JP2016092877A (ja) * 2014-10-30 2016-05-23 株式会社カネカ 組電池を含む蓄電システム
JP6257510B2 (ja) * 2014-12-26 2018-01-10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充電機構
CN107994622A (zh) * 2016-10-26 2018-05-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供电电路
JP2018152285A (ja) 2017-03-14 2018-09-27 株式会社東芝 蓄電池パック
WO2019060665A1 (en) * 2017-09-22 2019-03-28 Urban Electric Power Inc. SYSTEM FOR CHARGING CELLS ASSEMBLED IN A BATTERY
CN110828913B (zh) * 2018-08-13 2023-01-2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池充电方法及其充电系统
CN109802456B (zh) * 2019-01-15 2022-06-14 惠州市安宝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自动识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4652A (en) * 1989-04-21 1992-11-1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attery type and modify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US5017856A (en) * 1989-06-30 1991-05-21 Motorola, Inc. Battery charging system
JP3216133B2 (ja) * 1990-11-13 2001-10-09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充電方法
US5493196A (en) * 1992-01-27 1996-02-20 Batonex, Inc.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alkaline zinc/manganese dioxide cells
JPH06124731A (ja) * 1992-08-31 1994-05-06 Toshiba Corp 外部バッテリ接続用アタッチメント、バッテリパック及びバッテリ識別制御方法
US5477125A (en) * 1992-09-11 1995-12-19 Inco Limited Battery charger
GB2275139B (en) * 1993-02-11 1997-06-11 Hewlett Packard Co Cell type determination of battery under charge conditions
US5449998A (en) * 1993-02-12 1995-09-12 Vista Int Inc Charger for dry galvanic cells using asymmetrical current
US5459671A (en) * 1993-02-19 1995-10-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grammable battery controller
JP3384027B2 (ja) * 1993-05-14 2003-03-10 ソニー株式会社 充電方法および充電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95B1 (ko) 2003-03-10 2010-11-30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충전제어 회로
KR101744560B1 (ko) 2015-11-04 2017-06-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전기저장장치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157A (ko) 1995-04-26
US5691620A (en) 1997-11-25
TW286445B (ko) 1996-09-21
JPH0785893A (ja) 199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180B1 (ko) 전지충전방법
US5576608A (en) Method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and charger used therefor
KR100393436B1 (ko) 전지의 급속충전 방법
JP3439013B2 (ja) 二次電池のパルス充電方法
US5397974A (en) Rechargeable battery overdischarge prevention circuit
JP3306188B2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H0956080A (ja) 充電装置
JP2001333542A (ja) 充電装置
JPH0833220A (ja) 充放電装置
JP3369628B2 (ja) 電池の充電方法
JP2001110457A (ja) 電池の異常状態判定方法、装置、及び2次電池パック
JP3433010B2 (ja) パック電池のパルス充電方法
JPH07105983A (ja) パック電池の充電方法
JPH08163790A (ja) 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
JP3583926B2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3739820B2 (ja) 充電装置
KR970024429A (ko) 2차전지의 충전제어방법(A control method for charging of secondary batteries)
KR100478891B1 (ko) 배터리의 양부 판정방법
JP3167393B2 (ja) パック電池
JPH05227671A (ja) リコンディショニング機能付きバッテリ充電器
JPH09117068A (ja) 充放電パワーモジュール
JPH07335265A (ja)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装置
JPH05328629A (ja) 充電器
JPH05146087A (ja) 充電装置
JPH06121467A (ja) 充電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