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837B1 - 무정형알루미노실리케이트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정형알루미노실리케이트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837B1
KR100304837B1 KR1019940034831A KR19940034831A KR100304837B1 KR 100304837 B1 KR100304837 B1 KR 100304837B1 KR 1019940034831 A KR1019940034831 A KR 1019940034831A KR 19940034831 A KR19940034831 A KR 19940034831A KR 100304837 B1 KR100304837 B1 KR 10030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stroms
temperature
amorphous aluminosilicate
pores
reac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209A (ko
Inventor
하라다아츠시
후나코시하지메
오자와다케시
Original Assignee
가지와라 야스시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266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1962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6344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73211A/ja
Application filed by 가지와라 야스시,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지와라 야스시
Publication of KR960004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20Silicates
    • C01B33/36Silicat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but not having molecular sieve properties
    • C01B33/46Amorphous silicates, e.g. so-called "amorphous 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20Silicates
    • C01B33/26Aluminium-containing silicates, i.e. silico-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4Pore vol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은침투법에 의해 측정할 때 103옹스트롬 내지 105옹스트롬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전체부피가 수은침투법에 의해 검출되는 모든 세공의 전체부피의 적어도 60%를 차지하고, 질소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때 20옹스트롬 내지 120옹스트롬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전체부피가 0.01cc/g 이상인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그 제조방법{AMORPHOUS ALUMINOSILIC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고무용, 수지용, 종이용, 피복조성물용 등의 무기충전제 또는 첨가제로서 뿐만 아니라, 중합액체물질, 예컨대 유상물질 또는 유기나 무기물질의 담체, 촉매 또는 탈취제의 담체, 또는 각각의 목적에 유용한 이온 또는 성분이 이온교환 또는 부하 등에 의해 고정된 후의 농예용 화학약제 또는 의약품의 담체, 유리금속이온을 수용액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 그리고 제올라이트 합성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이온교환용량 및 유상물 흡수량(단위중량당 지지되는 유상물의 양)이 개선된 새로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또한 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알루민산나트륨 또는 황산알루미늄 수용액을 규산나트륨 수용액과 함께, 원한다면 추가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도 함께 적당한 온도 및 농도에서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고, 그렇게 하여 합성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여과나 또 다른 수단에 의해 모액으로부터 분리한 다음에 세척하여 잉여 알칼리를 포함하는 잔류 모액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대개의 경우, 최종적으로는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어떤 방법으로든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실제로 어느 정도의 유상물질 흡수성, 이온교환성 및 기타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촉매, 촉매기제, 수지용 첨가제, 및 이온교환제를 포함한 각종 공업재료로서 사용하는데 유용하다고 여겨져 왔다.
상기 방법의 예가 JP-B-61-25653에 개시되어 있다(여기서 사용된 "JP-B"란 "일본특허공보"를 말한다). 이 공지기술의 방법에서는, 산화알칼리금속의 농도를 소정 범위내의 값으로 조절함으로써, 높은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뛰어난 이온교환능력을 가지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제조한다.
그러나, 종래방법으로 제조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응집하는 경향이 크므로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예컨대 담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혼합후에도 균일한 생성물을 얻기가 곤란하다. 물에 사용할 때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응집체가 침강하여 신속한 이온포착이 불가능하게 된다. 세제용 빌더로서 사용할 때, 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응집체가 옷에 부착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수지 등에 첨가하는 경우, 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그 강한 응집경향으로 인해 약한 분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가 매우 곤란하다.
유상물 흡수능력과 관련하여, 종래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종래의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예컨대 105옹스트롬 이상의 큰 세공을 다량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세공이 예컨대 분쇄(pulverization)에 의해 물리적으로 쉽게 파괴되어, 유상물 흡수능력이 상당히 저하된다. 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또한 지지물질이 알루미노실리케이트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작음으로 인해 낮은 유지능을 보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지성분이 점점 없어지게 된다. 대조적으로 무정형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가 너무 작은 세공을 다량 가지면, 강한 응집경향을 보일 뿐만 아니라, 성분들이 알루미노실리케이트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큼으로 인해 성분들이 너무 완강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또는 세공크기가 지지분자의 크기에 비해 너무 작기 때문에, 한번 지지된 대부분의 성분이 확산될 수 없다는 결점이 있기도 하다. 따라서 너무 작은 세공을 다량 가지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도 또한 항상 원하는 효과를 낼 수는 없다(JP-A-6-227811)(여기서 사용된 "JP-A"란 "공개 일본특허출원"을 말한다).
그러므로 분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위에 지지된 성분이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조절된 세공구조를 가지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가 요구되어 왔다.
이온교환능력과 관련하여, 종래방법으로 제조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예컨대 건조를 위한 열처리로 인해 제조동안에도 이온교환용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리고 실온에서도 단 몇개월의 저장동안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이온교환능력이 상당히 저하되기 때문에,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가 안정하게 높은 이온교환능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예컨대 유리금속이온 제거용 이온교환체로서 사용할 때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이온교환 능력이 그것의 불충분한 교환용량 때문에 불충분하다.
그 결과, 종래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실제 이용가능한 이온교환용량은 화학조성으로부터 산출한 이론 이온교환용량의 약 50%까지이었다. 이러한 낮은 실제 교환용량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이온교환에 관여하는 부위가, 예컨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골격에 함유된 Al 원자, Na 원자 및 물분자의 상태에 의해 또는 이온확산을 억제하는 표면상태의 발생에 의해 심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이 없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가 강하게 요구되어 왔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범위내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온교환용량, 유상물 흡수량(단위 중량당 지지되는 유상물의 양) 및 분산성이개선되고 이들 성질의 안정 보유율이 매우 개선된 새로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성질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다. 그 결과, 입자의 직경을 제어하여 이들 입자(매크로세공)에 의해 구성된 세공을 특정 범위내의 직경을 가지도록 조절함으로써, 물리적 분쇄시 유상물 흡수능력이 거의 저하되지 않고 응집이 억제되며 성분을 알맞은 접촉면적으로 유지하고 이에 따라 조절된 유지능으로 충분히 확산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이온교환성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세공구조(마이크로세공) 상태, 함수량, 존재하는 물의 안정성, 구조내에 함유된 나트륨이온의 수화도 등에 의해 밀접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온교환용량의 안정성은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구조내의 이들 세공구조를 조절함으로써 개선됨을 알았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특정 범위(즉, 수은침투법에 의해 측정할 때 103옹스트롬 내지 105옹스트롬)내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전체부피를 모든 세공의 전체부피의 적어도 60%로 조절함으로써 그리고 질소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때 20옹스트롬 내지 120옹스트롬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전체부피를 0.01cc/g 이상으로 더 조절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극복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에 이루어졌다. 이들 세공이 다량으로 존재함으로 인해, 이온이 원활하게 확산하고 보다 많은 비율의 이론 이온교환용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매우 미세한 세공, 예컨대 20옹스트롬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질소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때)의 다량 존재는 이온교환에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들 미세 세공은 증가된 비표면적을 얻는데 매우 유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미세세공은 수화이온이 그 안에서 유효하게 확산할 수 없을 만큼 작다. 따라서 그러한 미세 세공을 다량으로 가지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큰 비표면적을 갖더라도 이온교환체로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가 없다.
대조적으로, 너무 큰 세공(예컨대 질소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때 60옹스트롬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경우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비표면적이 너무 작아 충분한 내부 확산이 불가능하고 또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가 이온교환체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도 없다.
즉, 특정 범위내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것은 본 발명에 필수적이다. 그 결과, 상당한 비율의 비표면적이 이들 세공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비표면적은 예컨대 질소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때 30옹스트롬 내지 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이 10㎡/g 이상이 되도록 조절된다. 상기 비표면적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30㎡/g이 적당하다.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이온교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또 하나의 인자는 그 안에 함유된 물이다. 여기서 물은 900℃에서 1시간 가열할 때 제거가능한 물을 말한다. 즉, 이 물로는, 표면에 약하게 부착해 있어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저에너지 유리 물,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구조상에 또는 이 구조내에 존재하는 양이온상에 강하게 흡착된 물, 그리고 고에너지 물, 예컨대 상기 구조의 표면에 존재하는 실라놀기에 함유된 소위 구성 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된 함수량이 너무 적으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낮은 이온교환능력을 가지거나 상온에서도 이온교환능력이 점진적으로 저하된다. 또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기준으로서 알루미나를 사용하는 시차 열분석에서 110℃ 내지 160℃의 비교적 높은 온도 범위내의 물기화에 기인하는 흡열피크를 보인다는 것과,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가 건조상태에 있을 때는 오로지 저온에서 기화되는 물만이 알루미노실리케이트로부터 제거되고 다른 물은 그 안에 함유되어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거의 동일한 함수량을 가지나 110℃보다 낮은 온도에서 흡열피크를 보이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이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가 건조동안 높은 열에너지에 노출될 때 고에너지 물이 저에너지 물 보다 더 일찍 제거되어 이온교환능력의 감소화나 불안정화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Na-MASNMR에 의해 분석할 때, 그것은 20ppm의 화학적 이동치(chemical shift) 부근에서 두개의 피크, 즉 가파른 피크(sharp peak)와 넓은 피크(broad peak)를 보이며, 넓은 피크는 수화도가 낮은 나트륨 이온의 존재를 가리킨다. 수화도가 낮은 나트륨 이온을 다량 함유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감소된 이온교환능력을 가진다. 그 이유는 수화도가 낮은 나트륨 이온은 감소된 구조내 이동도를 나타내기 때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된 세공(매크로세공 및 마이크로세공)을 가지고, 안정상태의 물 및 고이동도 및 고수화도를 가지는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다. 그 결과, 그들은 특정합성조건과 특정 건조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은 다음을 제공한다.
1. 수은침투법에 의해 측정할 때 103옹스트롬 내지 105옹스트롬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전체부피가 수은침투법에 의해 검출되는 모든 세공의 전체부피의 적어도 60%를 차지하고, 질소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때 20옹스트롬 내지 120옹스트롬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전체부피가 0.01cc/g 이상인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2. 질소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때 30옹스트롬 내지 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이 10㎡/g 이상인 상기한 바와 같은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3. 900℃에서 적어도 1시간 가열할 때 가열전의 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 내지 35중량%의 중량이 감소되고, 기준으로서 알루미나를 사용하는 시차열분석에서 110℃ 내지 160℃ 범위 내의 흡열피크를 보이고, Na-MASNMR 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20ppm의 화학적 이동치 부근에 존재하는 피크를 피크형태에 의해 가파른 피크와 넓은 피크로 분류할 때, 넓은 피크면적의 비율이 40% 이하인 상기한 바와 같은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4. 40℃ 이하로 유지된 알루민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을 40℃ 이하로 유지된 물에 첨가하여 이 혼합물을 교반하고, 거기에 40℃ 이하로 유지된 규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40℃ 이하의 온도에서 성분들을 반응시키고, 얻어진 슬러리를 여과하고, 그 다음 얻어진 생성물을 100℃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5. 규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을 알루민산알칼리금속 수용액에 첨가하여 성분들을 반응시키고 반응생성물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응을 50℃ 이하의 온도에서 행하고, 상기 규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의 첨가를, 이 첨가속도가 반응계에 존재하는 A1원자에 대한 Si원자의 비율변화로서 분당 0.10 내지 1.50이고, 최종적으로 반응계의 Si원자/Al원자비가 0.25 내지 6.00, 모액내 수산화이온농도가 0.4mol/kg 내지 1.5mol/kg이고, 합성되는 반응생성물의 수율을 100%로 간주할 때 얻어지는 슬러리의 농도가 20중량% 이하이도록 행하고, 상기 반응생성물의 건조를 반응생성물의 온도로서 90℃ 이하에서 행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설명
이하, 본 발명의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매크로세공 및/또는 마이크로세공 구조가 개선되고 및/또는 안정상태의 물을함유하는 본 발명의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반응속도의 제어와 불필요한 물의 제거에 크게 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알루민산알칼리금속 수용액과 규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을 합성용 출발물질로서 사용한다. 만일 원한다면 그리고 필요하다면 수산화알칼리금속 수용액을 상기 두 용액을 희석하는데 사용한다.
시중에서 입수가능한 알루민산알칼리금속 수용액 및 시중에서 입수가능한 규산알칼리금속수용액을 두 출발물질 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각각 알루미늄원, 예컨대 수산화알루미늄과 규소원, 예컨대 규산으로부터, 예컨대 두 공급원 각각을 수산화알칼리금속의 수용액과 함께 가열하여 두 출발물질 용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보통 이들 알칼리금속염은 공업적으로 사용할 때는 나트륨염이나,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염은 나트륨염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알루미늄원의 용액과 규소원의 용액 각각의 농도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수율을 100%로 간주할 때, 두 용액을 혼합하여 산출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슬러리농도가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성분을 너무 높은 Si/Al비로 혼합하면, 이온교환용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혼합되는 두 성분이 알루민산알칼리금속 수용액과 규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인 경우에는 규산의 수율이 감소되기도 한다. 두 성분을 너무 낮은 Si/Al비로 혼합하면, 유상물질 흡수용량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두 성분을 Si/Al비가 0.25 내지 6.00인 정도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무 높은 반응온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합성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 부근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이 고온에서 행해지면, 세공구조의 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일부가 결정화되어 소달라이트, 제올라이트 등을 생성하기도 한다. 이 결정화는 실제 유상물질 흡수량과 기타 성질들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배치 혼합의 경우에는 두 성분을 Al원자에 대한 Si원자의 비율변화가 분당 0.10 내지1.50인 정도의 속도로 혼합해야 한다. 두 성분을 이 범위밖의 조건에서 혼합하면, 세공제어가 불가능하다.
출발물질을 혼합하여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슬러리는 가능한 신속히 여과나 또 다른 수단에 의해 모액과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로 분리하고,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그것에 부착한 모액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적당한 조건하에 충분히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필터 케이크는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예컨대 케이크를 그대로 방치하여 정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크를 필요하다면 그것에 필요량의 물을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슬러리화한 후 분무건조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어떤 건조방법에서든지 온화한 건조가 중요하다. 고온에서 급속한 건조가 행해지면, 세공구조가 유지될 수 없다. 그러므로 반응생성물을 생성물의 온도로서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과다한 건조도 또한 피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건조후 반응생성물의 함수량은 15중량%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중량%의 범위내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정적건조의 경우에는 고온에의 장기노출을 피해야 한다. 분무건조의 경우에는 대개의 경우 사용되는 대기온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낮은 온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건조조건은 반응생성물의 온도가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가 되도록 조절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실험은 다음 방법으로 행하였다.
(1) 수은침투법에 의한 세공분포 측정방법:
마이크로메리틱스(주)(Micromeritics Co.)제 Poresizer 9310으로 측정하였다.
(2) 질소흡착법에 의한 세공분포 측정방법:
코울터(주)(Coulter Co.)제 Omnisorp 360-CX로 측정하였다.
(3) 함수량 측정방법: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시료 약 3g을 정밀하게 칭량하여 취하고 도가니에 담았다. 이 시료를 900℃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한 다음 냉각시켰다. 결과로서 생긴 중량감소량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가열전의 시료중량으로 나누어, 이 산출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4) 30 내지 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 측정방법:
비표면적은 코울터(주)제 Omnisorp 360-CX로 측정한 세공분포로부터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S = 2V1/r1+ 2V2/r2
식에서 S는 비표면적(㎡/g), V1은 30 내지 40옹스트롬의 세공부피(㎡/g), V2는 40 내지 50 옹스트롬의 세공부피(㎥/g), r1= 40×10-10m, r2= 50x10-10m이다.
(5) 시차열분석 조건:
기준으로서 알루미나를 사용하여 시료 약 20mg을 10℃/min의 가열속도로 실온으로부터 1,150℃로 가열하였다.
(6) Na-MASNMR분석 조건:
45°펄스의23Na를 2초 간격으로 적용하고, 측정은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64회 반복하였다.
(7) 이온교환능력 측정방법:
염화칼슘 수용액(탄산칼슘농도로 환산하여 500mg/l) 1리터에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무수염의 양으로 환산하여 1g의 양으로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5℃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고체물질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액에 남아 있는 칼슘량을 EDTA수용액에 의한 적정으로 측정하였다. 그렇게 하여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무수물)의 g당 교환된 칼슘량을 CaCO3량으로 환산하여 결정하였다.
(8) 유상물질흡수량 측정방법:
시료를 전처리로서 예컨대 요리용 절단기에 의해 분쇄하고 754㎛ 스크린을통과시켰다. 이 시료를 아마인유법으로 JIS K 6221에 따라 실험하고,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무수물) 100g당의 유상물질 흡수량을 산출하였다.
(9) 응집도:
시료분말을 100㎛ 이하로 축소시키고, 이 시료를 밀폐용기에 60℃에서 72시간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처리한 시료 1g을 물 1리터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한 다음 100㎛의 개구를 갖는 스크린을 통해 여과하였다. 스크린상에 남아 있는 시료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용량이 20리터인 반응기에 1.73wt%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1,322g을 도입하였다. 내용물을 30℃로 유지하면서, 온도가 30℃인 알루민산나트륨 수용액(Na2O = 19.3wt%, Al2O3= 21.9w%) 921g을 거기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온도가 30℃인 규산나트륨 수용액(Na2O = 4.0wt%, SiO2= 12.7wt%) 3,739g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1,246g/분의 속도로 첨가하였다. 이 첨가는 3분 걸렸는데, 이 기간동안 Si/Al몰비의 변화는 분당 0.67이었다. 반응후, 모액의 수산화이온농도는 0.7mol/kg이었다. 교반을 첨가완료시부터 20분간 계속하였다. 그 후 즉시 얻어진 슬러리를 여과하여 모액을 제거하고, 이온교환수를 슬러리량의 2배량으로 사용하여 필터위에서 케이크를 세척하였다. 얻어진 케이크를 약 50℃에서 건조시킨 다음, 세공분포, 이온교환능력,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응집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은침투법에 의한 세공분포 측정결과를 제 1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20리터 반응기에 도입하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를 2.64wt%로 변경하고, 반응온도를 40℃로 변경하고, 첨가완료시부터의 교반시간을 60분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크를 얻었다. 얻어진 케이크를 약 50℃에서 건조시킨 다음, 세공분포, 이온교환능력,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응집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20리터 반응기예 도입하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를 2.64wt%로 변경하고, 반응후 모액의 수산화이온농도를 1.1mol/kg으로 변경하고, 첨가완료시부터의 교반시간을 60분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크를 얻었다. 얻어진 케이크를 약 50℃에서 건조시킨 다음, 세공분포, 이온교환능력,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응집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20리터 반응기에 도입하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를 5.74wt%로 변경하고,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7.5분의 기간에 걸쳐 500g/분의 속도로 첨가하고, 반응후 모액의 수산화이온농도가 1.4mol/kg이고, 첨가완료시부터의 교반시간을 60분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크를 얻었다. 얻어진 케이크를 약 50℃에서 건조시킨 다음, 세공분포, 이온교환능력,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응집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20리터 반응기에 도입하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같은 양의 물로 대체하고, 반응온도를 55℃로 변경하고,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7.5분의 기간에 걸쳐 500g/분의 속도로 첨가하고,반응후 모액의 수산화이온농도가 0.4mol/kg이고, 첨가완료시부터의 교반시간을 60분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크를 얻었다. 얻어진 케이크를 약 50℃에서 건조시킨 다음, 세공분포, 이온교환능력,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응집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20리터 반응기에 도입하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같은 양의 물로 대체하고, 반응온도를 35℃로 변경하고,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7.5분의 기간에 걸쳐 500g/분의 속도로 첨가하고,반응후 모액의 수산화이온농도가 0.4mol/kg이고, 첨가완료시부터의 교반시간을 60분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크를 얻었다. 얻어진 케이크를 약 50℃에서 건조시킨 다음, 세공분포, 이온교환능력,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응집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반응온도를 65℃로 변경하고, 첨가완료시부터의 교반시간을 60분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크를 얻었다. 얻어진 케이크를 약 50℃에서 건조시킨 다음, 세공분포, 이온교환능력,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응집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반응온도를 60℃로 변경하고,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7.5분의 기간에 걸쳐 500g/분의 속도로 첨가하고, 첨가완료시부터의 교반시간을 60분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크를 얻었다. 얻어진 케이크를 약 50℃에서 건조시킨 다음, 세공분포, 이온교환능력,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응집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반응온도를 60℃로 변경하고,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동안 Si/Al몰비의 변화를 분당 0.27로 하면서 7.5분의 기간에 걸쳐 500g/분의 속도로 첨가하고, 반응후 모액의 수산화이온 농도가 0.4mol/kg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크를 얻었다. 얻어진 케이크를 약 50℃에서 건조시킨 다음, 세공분포, 이온교환능력, 유상물질 흡수능력 및 응집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주) 평가항목:
(1) 수은침투법에 의해 측정할 때 103-105옹스트롬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부피의 비율(%)
(2) 질소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때 10-60옹스트롬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전체부피(㎤/g)
(3) 이온교환능력(mgCaCO3/g)
(4) 유상물질 흡수능력(㎤/100g)
(5) 응집도(wt%)
실시예 5
용량이 20리터인 반응기에 물 11,322g을 도입하였다. 내용물을 30℃로 유지하면서, 온도가 30℃인 알루민산나트륨 수용액(Na2O = 19.3wt%, Al2O3= 21.9w%) 263g을 거기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온도가 30℃인 규산나트륨 수용액(Na2O = 4.0wt%, SiO2= 12.7wt%) 3,739g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약 500g/분의 속도로 첨가하였다. 이 첨가는 약 7.5분 걸렸다. 교반을 첨가완료시부터 60분간 계속하였다. 그후 즉시 얻어진 슬러리를 여과하여 모액을 제거하고, 이온교환수를 슬러리량의 2배량으로 사용하여 펄터위에서 케이크를 세척하였다. 얻어진 케이크를 슬러리화한 다음 반응생성물의 온도로서 90℃에서 분무건조하였다.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말을 상기한 방법으로 함수량, 30-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 이온교환능력 및 유상물질 흡수능력에 대해 실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분무건조를 위한 온도를 80℃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말을 상기한 방법으로 함수량, 30-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 이온교환능력 및 유상물질 흡수능력에 대해 실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37.5분의 기간에 걸쳐 100g/분의 속도로 첨가하고, 분무건조를 위한 온도를 80℃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말을 상기한 방법으로 함수량, 30-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 이온교환능력 및 유상물질 흡수능력에 대해 실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반응온도를 50℃로 변경하고, 분무건조를 위한 온도를 80℃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말을 상기한 방법으로 함수량, 30-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 이온교환능력 및 유상물질 흡수능력에 대해 실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반응온도를 50℃로 변경하고, 얻어진 케이크를 분무건조에 의해서가 아니고 130℃ 및 상대습도 10%의 조건하에 24시간 건조시킨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말을 상기한 방법으로 함수량, 30-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 이온교환능력 및 유상물질 흡수능력에 대해 실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주) 평가항목:
(1) 건조동안의 반응생성물 온도(℃)
(2) 함수량(wt%)
(3) 30-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g)
(4) 이온교환능력 (mgCaCO3/g)
실시예 8
용량이 20리터인 반응기에 물 11,322g을 도입하였다. 내용물을 50℃로 유지하면서, 온도가 50℃인 알루민산나트륨 수용액(Na2O = 19.3wt%, Al2O3= 21,9w%)263g을 거기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온도가 50℃인 규산나트륨 수용액(Na2O = 4.0wt%, SiO2= 12.7wt%) 3,739g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약 500g/분의 속도로 첨가하였다. 이 첨가는 약7.5분걸렸다. 교반을 첨가완료시부터 60분간 계속하였다. 그후 즉시 얻어진 슬러리를 여과하여 모액을 제거하고, 이온교환수를 슬러리량의 2배량으로 사용하여 필터위에서 케이크를 세척하였다. 얻어진 케이크를 슬러리화한 다음 반응생성물의 온도로서 60℃에서 분무건조하였다.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말에 대해 상기한 방법으로 함수량 측정, NMR분석, 시차열분석 그리고 이온교환능력 및 유상물질 흡수능력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분무건조를 위한 온도를 45℃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말에 대해 상기한 방법으로 함수량 측정, NMR 분석, 시차열분석 그리고 이온교환능력 및 유상물질 흡수능력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분무건조를 위한 온도를 65℃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말에 대해 상기한 방법으로 함수량 측정, NMR 분석, 시차열분석 그리고 이온교환능력 및 유상물질 흡수능력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얻어진 케이크를 분무건조에 의해서가 아니고 130℃ 및 상대습도 10%의 조건하에서 24시간 건조시킨 것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말에 대해 상기한 방법으로 함수량 측정, NMR 분석, 시차열분석 그리고 이온교환능력 및 유상물질 흡수능력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주) 평가항목:
(1) 건조온도
(2) 함수량(wt%)
(3) Na-MASNMR에서의 20ppm 부근의 넓은 피크면적 비율
(4) 시차열분석에서의 흡열피크 위치(℃)
(5) 이온교환능력 (mgCaCO3/g)
(6) 실온에서 30일 저장후의 이온교환능력(mgCaCO3/g)
(7) 유상물질 흡수능력(㎤/100g)
본 발명을 그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 숙련된 자에게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과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제 1도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에 대한 수은침투법에 의한 세공(pore)분포 측정결과를 나타내고,
제 2도는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에 대한 수은침투법에 의한 세공분포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Claims (7)

  1. 수은침투법에 의해 측정할 때 103옹스트롬 내지 105옹스트롬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전체부피가 수은침투법에 의해 검출되는 모든 세공의 전체부피의 적어도 60%를 차지하고, 질소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때 20옹스트롱 내지 120옹스트롬의 직경을 가지는 세공의 전체부피가 0.01cc/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30옹스트롬 내지 50옹스트롬의 반경을 가지는 세공에 기인하는 비표면적이 1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900℃에서 적어도 1시간 가열할 때 가열전의 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 내지 35중량%의 중량이 감소되고, 기준으로서 알루미나를 사용하는 시차열분석에서 110℃ 내지 160℃ 범위내의 흡열피크를 보이고, Na-MASNMR 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20ppm의 화학적 이동치 부근에 존재하는 피크를 피크형태에 의해 가파른 피크와 넓은 피크로 분류할 때, 넓은 피크면적의 비율이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4. 40℃ 이하로 유지된 알루민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을 40℃ 이하로 유지된 물에첨가하여 이 혼합물을 교반하고, 거기에 40℃ 이하로 유지된 규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40℃ 이하의 온도에서 성분들을 반응시키고, 얻어진 슬러리를 여과하고, 그 다음 얻어진 생성물을 100℃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항의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5. 규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을 알루민산알칼리금속 수용액에 첨가하여 성분들을 반응시키고 반응생성물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응을 50℃ 이하의 온도에서 행하고, 상기 규산알칼리금속 수용액의 첨가를, 이 첨가속도가 반응계에 존재하는 Al원자에 대한 Si원자의 비율변화로서 분당 0.10 내지 1.50이고, 최종적으로 반응계의 Si원자/Al원자비가 0.25 내지 6.00, 모액내 수산화이온농도가 0.4mol/kg 내지 1.5mol/kg이고, 합성되는 반응생성물의 수율을 100%로 간주할 때 얻어지는 슬러리의 농도가 20중량% 이하이도록 행하고, 상기 반응생성물의 건조를 반응생성물의 온도로서 90℃ 이하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항의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반응생성물을 반응생성물의 온도로서 60℃ 이하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반응생성물을 반응생성물의 온도로서 60℃ 이하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KR1019940034831A 1994-07-08 1994-12-17 무정형알루미노실리케이트및그제조방법 KR100304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709394 1994-07-08
US94-157093 1994-07-08
JP94-157093 1994-07-08
JP26266494A JPH08119622A (ja) 1994-10-26 1994-10-26 無定形アルミノシリケ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94-262664 1994-10-26
US94-262664 1994-10-26
US94-263449 1994-10-27
JP94-263449 1994-10-27
JP26344994A JPH0873211A (ja) 1994-07-08 1994-10-27 無定形アルミノシリケ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209A KR960004209A (ko) 1996-02-23
KR100304837B1 true KR100304837B1 (ko) 2002-07-02

Family

ID=2732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831A KR100304837B1 (ko) 1994-07-08 1994-12-17 무정형알루미노실리케이트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19427A (ko)
EP (1) EP0692452B1 (ko)
KR (1) KR100304837B1 (ko)
AU (1) AU673474B2 (ko)
DE (1) DE6940665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3529A (en) * 1994-12-21 1998-03-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ilica based aggregates, elastomers reinforced therewith and tire tread thereof
US7662354B2 (en) * 2003-08-08 2010-02-16 Kao Corporation Deodorant
US20080255291A1 (en) * 2005-09-08 2008-10-16 Imerys Kaolin, Inc. Large Particle, High Mineral Purity Calcined Kaoli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FR2922543B1 (fr) * 2007-10-18 2011-10-1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preparation d'un geopolymere a porosite controlee, le geopolymere ainsi obtenu et ses differentes applications
FR3019176A1 (fr) 2014-03-27 2015-10-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preparation d'un geopolymere macroporeux et mesoporeux, a porosite controlee
WO2018048157A1 (ko) * 2016-09-09 2018-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를 포함한 고무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KR102000728B1 (ko) * 2016-09-09 2019-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를 포함한 고무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WO2018048158A1 (ko) * 2016-09-09 2018-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를 포함한 고무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KR102060640B1 (ko) 2016-09-09 201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입자를 포함한 고무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949A (en) * 1978-12-22 1980-07-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of preparing particulate poly(alumino-silicate)
JPS58156527A (ja) * 1982-03-12 1983-09-17 Taki Chem Co Ltd 無定形アルミノケイ酸塩の製造方法
JPH064484B2 (ja) * 1985-12-06 1994-01-19 花王株式会社 アモルフアスアルミノシリケ−トの製造方法
JPH075290B2 (ja) * 1986-02-19 1995-01-25 花王株式会社 アモルフアスアルミノシリケ−トの製造方法
JPH06125653A (ja) * 1991-01-16 1994-05-10 Shimizu Corp 塩害土壌の改良法
US5262142A (en) * 1991-08-06 1993-11-16 Tokuyama Soda Kabushiki Kaisha Composite oxide of formula R2 O.Al2 O3.TiO2.SiO2.H2 O, where R is an alkali metal
CA2093303C (en) * 1992-04-09 1998-11-24 Abraham Araya Aluminosilicates
JP3505730B2 (ja) * 1993-02-03 2004-03-15 東ソー株式会社 無定形アルミノシリケート及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209A (ko) 1996-02-23
AU673474B2 (en) 1996-11-07
US5919427A (en) 1999-07-06
DE69406655T2 (de) 1998-03-26
DE69406655D1 (de) 1997-12-11
AU8153694A (en) 1996-01-18
EP0692452B1 (en) 1997-11-05
EP0692452A1 (en)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445B1 (ko) 복합분자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JP3090455B2 (ja) ゼオラ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5465B1 (ko) 화변상 다공질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미립자 및 그 제조방법
CN101239322B (zh) 蒙脱土/分子筛复合材料的制备方法
Mintova et al. Synthesis of nanosized FAU-type zeolite
KR100304837B1 (ko) 무정형알루미노실리케이트및그제조방법
CN107285330B (zh) 一种nu-88分子筛的制备方法
KR0158759B1 (ko) 중기공성 구조를 갖는 결정화합물의 제조방법
JP2704421B2 (ja) 鎖状横造粘土鉱物の製造方法
JP3547791B2 (ja) 高耐熱水性高シリカゼオラ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Warzywoda et al. Synthesis and control of the size of large mordenite crystals using porous silica substrates
CN1191199C (zh) 一种小晶粒x沸石的制备方法
JP3332817B2 (ja) メソポーラスシリ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7364A (ko) 메조기공 및 미세기공을 갖는 금속 흡착용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Hölzl et al. Colloidal LTL zeolite synthesized under microwave irradiation
KR0170600B1 (ko) 친수 및 친유성 흡착특성을 지닌 복합분자체 제조방법
JP3443878B2 (ja) 無定形アルミノシリケートおよびその用途
JPH06100314A (ja) A型ゼオライトの製造方法
JPH08119622A (ja) 無定形アルミノシリケ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0526A (ja) 無定形アルミノシリケートの製造方法
JP4022948B2 (ja) 無定形アルミノシリケート
JP2555643B2 (ja) 特異な結晶形態を有するモルデナイト型ゼオラ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91417A (ja) アモルフアスアルミノシリケ−トの製造方法
JPH0710530A (ja) 無定形アルミノシリケートとその用途
JPH0710529A (ja) 無定形アルミノシリケート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