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791B1 - 가속시점화시기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속시점화시기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791B1
KR100302791B1 KR1019960068620A KR19960068620A KR100302791B1 KR 100302791 B1 KR100302791 B1 KR 100302791B1 KR 1019960068620 A KR1019960068620 A KR 1019960068620A KR 19960068620 A KR19960068620 A KR 19960068620A KR 100302791 B1 KR100302791 B1 KR 10030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ignition timing
ignition
value
igni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871A (ko
Inventor
김남종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6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79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04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particular means during a transient phase, e.g. acceleration, deceleration, gear 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02D9/10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having a throttle positio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스로틀 위치 센서의 상태와 에어 플로우 센서의 공기량 변화를 체크해서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 상태로 변화하는지 판단하고, 가속시 목표 점화시기를 계산하는 1단계와; 스로틀 위치 센서의 변화량이 특정값보다 크고, 에어 플로우 센서의 공기량 변화가 일정값 이상인지 판단해서,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시 급가속인지 완가속인지 판단하는 2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급가속할 경우는 급가속시 점화시기 변화율을 상기 목표 점화시기까지 도달하도록 제1 값을 적용하여 점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완가속할 경우는 완가속시 점화시기 변화율을 상기 목표 점화시기까지 도달하도록 제2 제한값을 적용하여 점화 동작을 수행하는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값은 제2 제한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상기 급가속시가 완가속시보다 상기 목표 점화시기에 빨리 도달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시 급가속할 경우와 완가속할 경우를 구분해서, 급가속시 가속력을 향상시키고. 완가속시 쇼크를 방지하여 가속시의 점화시기를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적용해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방법
이 발명은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급가속시와 완가속시를 구분해서 점화시기를 변화시킴으로서 가속시 운전성을 향상시키는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 자동차의 제조 기술이 뛰어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자동차에 관한 지식이나 인식이 높아감에 자동차에 요구 내용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제소 업체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운전성이나 환경 등을 고려한 자동차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자동차의 가속시나 아이들시 운전에 있어서 종래에는 가솔린 엔진의 점화시기를 제어할 경우, 아이들 상태와 가속시를 구분하여 각각의 테이블이나, 맵 등의 값을 적용해 점화시기를 제어했다.
상기의 경우,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할 경우에 아이들 상태의 점화시기와 가속시 점화시기의 차이가 클 경우 통상적으로 점화 진각을 일정한 값으로 제한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아이들 상태의 점화시기와 가속시의 점화시기의 차이가 클 경우 획일적인 값을 적용함으로써 운전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시 급가속할 경우와 완가속할 경우를 구분하여 가속시의 점화시기를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적용해 운전성을 향상시키는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특징은, 스로틀 위치 센서의 상태와 에어 플로우 센서의 공기량 변화를 체크해서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 상태로 변화하는지 판단하고, 가속시 목표 점화시기를 계산하는 1단계와; 스로틀 위치 센서의 변화량이 특정값보다 크고, 에어 플로우 센서의 공기량 변화가 일정값 이상인지 판단해서,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시 급가속인지 완가속인지 판단하는 2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급가속할 경우는 급속가속시 점화시기 변화율을 상기 목표 점화시기까지 도달하도록 제1 값을 적용하여 점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완가속할 경우는 완가속시 점화시기 변화율을 상기 목표 점화시기까지 도달하도록 제2 제하값을 적용하여 점화 동작을 수행하는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값은 제2 제한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상기 급가속시가 완가속시 보다 상기 목표 점화시기에 빨리 도달하도록 한다.
도1은 일반적인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 블록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 흐름도이다.
이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1의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 블록도의 구성은, 외기의 흡입량 정도를 측정하는 에어 플로우 센서(10)와; 자동차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50)과; 상기 에어 플로우 센서(10)를 거쳐 엔진(50)으로 입력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20)와; 상기 에어 플로우 센서(10)와 스로틀 위치 센서(20)에서 측정된 값을 입력받아 엔진(50)의 압축된 혼합기를 폭발시기는 시기의 제어 값을 출력하는 전자 제어 장치(30)와; 상기 전자 제어 장치(30) 점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불꽃 방전을 시키는 플로그(40)로 이루어진다.
도1 및 도2를 참조로 해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전자 제어 장치(30)는 스로틀 위치 센서 위치(20)의 변화치와 에어 플로우 센서(10)의 공기량 변화치를 검출해서 엔진(50)이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 상태로 변화하는지 판단한다(S20).
전자 제어 장치(30)는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시 스로틀 위치 센서(20)의 위치 변화량을 검출해 목표치를 세우고 목표 점화시기를 계산한다(S30).
전자 제어 장치(30)는 스로틀 위치 센서(20)의 변화량이 특정값보다 크고, 에어 플로우 센서(10)의 공기량 변화가 일정값 이상인지 판단해서,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시 상기 센서값의 순간 변화량으로 급가속인지 완가속인지 판단한다(S40).
상기 단계(S20)에서 급가속할 경우는 급가속시 점화시기 변화율을 목표 점화시기까지 빨리 도달해서 가속력을 향상하도록 제1 제한값을 적용하여 점화 동작을 수행한다(S50,S70)
상기 단계(S20)에서 완가속할 경우는 완가속시 점화시기 변화율을 목표 점화시기까지 천천히 도달해서 가속 쇼크(shock)를 방지하도록 제2 제값을 적용하여 점화 동작을 수행한다(S60,S70).
상기 제1 제한값은 제2 제한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상기 급가속시가 완가속시 보다 상기 목표 점화시기에 빨리 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시 급가속할 경우와 완가속할 경우를 구분해서, 급가속시 가속력을 향상시키고, 완가속시 쇼크를 방지하여 가속시의 점화시기를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적용해 운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방법 제공한다.

Claims (1)

  1. 스로틀 위치 센서의 상태와 에어 플로우 센서의 공기량 변화를 체크해서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 상태로 변화하는지 판단하고, 가속시 목표 점화시기를 계산하는 1단계와; 스로틀 위치 센서의 변화량이 특정값보다 크고, 에어 플로우 센서의 공기량 변화가 일정값 이상인지 판단해서, 아이들 상태에서 가속시 급가속인지 완가속인지 판단하는 2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급가속할 경우는 급가속시 점화시기 변화율을 상기 목표 점화시기까지 도달하도록 제1 값을 적용하여 점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완가속할 경우는 완가속시 점화시기 변화율을 상기 목표 점화시기까지 도달하도록 제2 제한값을 적용하여 점화 동작을 수행하는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값은 제2 제한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상기 급가속시가 완가속시보다 상기 목표 점화시기에 빨리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시 점화시기 제어방법.
KR1019960068620A 1996-12-20 1996-12-20 가속시점화시기제어방법 KR100302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620A KR100302791B1 (ko) 1996-12-20 1996-12-20 가속시점화시기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620A KR100302791B1 (ko) 1996-12-20 1996-12-20 가속시점화시기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871A KR19980049871A (ko) 1998-09-15
KR100302791B1 true KR100302791B1 (ko) 2001-11-22

Family

ID=3752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620A KR100302791B1 (ko) 1996-12-20 1996-12-20 가속시점화시기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375B1 (ko) * 1999-08-26 2001-09-22 류정열 차량 공전 가속시 노킹 방지 진각 제어 방법
KR100391448B1 (ko) * 2000-12-30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점화시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871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61177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 engine management system
KR100302791B1 (ko) 가속시점화시기제어방법
JPS63109254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0471200B1 (ko) 노킹방지를위한엔진의제어방법
KR100298746B1 (ko) 엔진회전수제어방법
KR100273537B1 (ko) 스로틀 밸브의 개도 상태에 따른 연료 분사량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290405B1 (ko) 풀로드시엔진제어방법
KR100440111B1 (ko) 희박연소엔진제어방법
KR100398219B1 (ko) 차량용 디젤 엔진의 배출가스 제어 방법
KR100401838B1 (ko) 차량용 엔진의 아이들 제어 방법
JPS6151655B2 (ko)
KR100203120B1 (ko) 맵 출력 필터링값 산정 방법
JP2751630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302790B1 (ko) 점화시기지연중재가속시점화시기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70551B1 (ko)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KR100264565B1 (ko) 시동 후 아이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1216058A (ja) 内燃機関のノック制御装置
KR100270549B1 (ko) 무부하최고속도제어방법
KR100305817B1 (ko) 전자제어스로틀밸브조정방법
KR100373028B1 (ko) 린번 엔진의 린번 모드 해제 제어방법
KR100287697B1 (ko) 가속시 아이들 학습치 제어 방법
KR100394677B1 (ko) 자동차 엔진의 점화 제어방법
KR100298736B1 (ko) 상사점 작업 제어방법
KR100412813B1 (ko)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JPH05196121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