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790B1 - 점화시기지연중재가속시점화시기제어장치및그방법 - Google Patents

점화시기지연중재가속시점화시기제어장치및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790B1
KR100302790B1 KR1019960068572A KR19960068572A KR100302790B1 KR 100302790 B1 KR100302790 B1 KR 100302790B1 KR 1019960068572 A KR1019960068572 A KR 1019960068572A KR 19960068572 A KR19960068572 A KR 19960068572A KR 100302790 B1 KR100302790 B1 KR 100302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timing
throttle valve
amount
valve opening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823A (ko
Inventor
서광민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6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79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04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particular means during a transient phase, e.g. acceleration, deceleration, gear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점화시기 지연 중 재가속 판단시 점화시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 감지부(10)와,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냉각수온 감지부(20)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30)와, 상기 스로틀 밸브 감지부(10)와 냉각수온 감지부(20)와 차속 감지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자동차가 재가속을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점화시기를 진각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자동차 엔진의 각 실린더에 있는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50)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동차 주행중 가속을 하려는 경우, 스로틀 밸브 개도량과 냉각수온 및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량 등에 따라 점화시기 지연량을 증가 또는 감소하여 줌으로써, 가속 성능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점화시기 지연중 재가속시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디젤(diesel) 엔진(engine)과는 달리 가솔린(gasoline) 엔진에서는 연소실 안에 압축된 혼합기를 전기 불꽃으로 적절한 시기에 점화하여 연소시키는 점화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점화장치는 자동차의 가속 및 감속에 따라 점화시기가 제어되데 가속될 때에는 점화시기를 빠르게 하고 감속될 때에는 점화시기를 늦주어 준다.
종래에는 가속 발생시, 점화시기를 일정값만큼 지연시켰다가, 단계적으로 진각시킴으로써 점화시기를 제어하였다.
그런데, 상기에서 초기 가속 이후 상대에서 재가속이 발생한 경우, 점화시기의 보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차량에 요동이 발생하고 노킹(nocking)이 발생하거나, 또는 엔진의 출력이 감소하여 가속 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주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주행중 가속을 하려는 경우, 스로틀 밸브 개도량과 냉각수온 및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량 등에 따라 점화시기 지연량을 증가 또는 감소하여 줌으로써, 가속 성능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기는 점화시기 지연중 재가속시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점화시기 지연중 재가속시 점화시기 제어장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 감지수단과;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냉각수온 감지수단과;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수단과; 상기 스로틀 밸브 감지수단과 냉각수온 감지수단과 차속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자동차가 재가속을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점화시기를 진각시기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자동차 엔진의 각 실린더에 있는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점화시기 지연 중 재가속 판단시 점화시기 제어방법은,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변화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변화량보다 큰 경우, 냉각수온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냉각수온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경우, 차속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보다 느린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속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스로틀 밸브 개도량이 기준량보다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밸브 개도량이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재가속시 보정값이 현재의 점화시기 보정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재가속시 보정값이 현재의 점화시기 보정값보다 큰 경우, 점화시기를 다시 보정하여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재가속시 보정값이 현재의 점화시기 보정값보다 작은 경우, 현재의 점화시기 제어에 의하여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시기 지연중 재가속시 점화시기 제어장치를 적용한 블럭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시기 지연중 재가속시 점화시기 제어방법을 적용한 동작 순서도이고,
도 3은 제1도의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시기 지연중 재가속시 점화시기 제어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 감지부(10)와;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냉각수온 감지부(20)와; 자동자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30)와; 상기 스로틀 밸브 감지부(10)와 냉각수온 감지부(20)와 차속 감지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자동차가 재가속을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점화시기를 진각시기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자동차 엔진의 각 실린더에 있는 혼합기를 점화시기는 점화장치(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스로틀 밸브 개도량 감지부(10)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냉각수온 감지부(20)는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며, 차속 감지부(30)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상기 스로틀 밸브 감지부(10)와 냉각수온 감지부(20)와 차속 감지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자동차가 재가속을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점화시기를 진각시기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점화장치(50)는 상기 제어부 (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자동차 엔진의 각 실린더에 있는 혼합기를 점화시킨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기 제어부(4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40)는 상기 스로틀 밸브 개도량 감지부(10)로부터 출력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을 판독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개도량의 변화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변화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
상기 단계(S10)에서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변화량보다 큰 경우, 제어부(40)는 상기 냉각수온 감지부(20)로부터 출력되는 냉각수온을 판독하여, 자동차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단계(S20)에서 냉각수온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40)는 상기 차속 감지부(30)로부터 출력되는 차속을 판독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보다 느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
상기 단계(S10, S20, S30)에서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 그리고, 냉각수온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 또 차속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보다 빠른 경우, 제어부 (40)는 상기 스로틀 밸브 개도량을 판독하는 단계(S10)로 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단계(S10)에서 차속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제어부(40)는 상기 스로틀 밸브 개도량 감지부(10)로부터 출력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을 판독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량보다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40 ) .
상기 단계(S40)에서 스로틀 밸브 개도량이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제어부 (40)는 재가속시 보정값이 현재의 점화시기 보정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50).
상기 단계(S50)에서 재가속시 보정값이 현재의 점화시기 보정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40)는 재가속으로 판정하여, 점화시기를 다시 보정하여 제어하도록 한다 (S60).
그러나, 상기 단계(S50)에서 재가속시 보정값이 현재의 점화시기 보정값보다 작은 경우, 그리고, 상기 단계(S40)에서 스로틀 밸브 개도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량보다 큰 경우, 제어부(40)는 재가속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여, 현재의 점화시기 제어에 의하여 점화시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면,(가)와 같이 스로틀 밸브 개도량의 파형이 형성되면, (나)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가속 조건이 만족되는 시점에서 현재의 가속 점화시기 보정값이 일정한 초기 유지기간 동안 계속되다가, 점차적으로 점화시기 가속 보상값에 따라 점차적으로 보정이 되어, 최종적인 보정이 완료된다.
즉, 점화시기 지연중에 재가속이 발생하면, 그 값에 따라 점차적으로 점화시기 보상이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요동이나 엔진의 노킹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은 자동차 주행중 가속을 하려는 경우, 스로틀 밸브 개도량과 냉각수온 및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량 등에 따라 점화시기 지연량을 증가 또는 감소하여 줌으로써, 가속 성능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 감지수단과;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냉각수온 감지수단과;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감지수단과; 상기 스로틀 밸브 감지수단과 냉각수온 감지수단과 차속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자동차가 재가속을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점화시기를 진각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자동차 엔진의 각 실린더에 있는 혼합기를 점화시기는 점화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시기 지연 중 재가속 판단시 점화시기 제어장치.
  2.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변화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밸브 개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변화량보다 큰 경우, 냉각수온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냉각수온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경우, 차속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보다 느린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속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속도보다 느린 경우, 스로틀 밸브 개도량이 기준량보다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스로틀 밸브 개도량이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재가속시 보정값이 현재의 점화시기 보정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재가속시 보정값이 현재의 점화시기 보정값보다 큰 경우, 점화시기를 다시 보정하여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재가속시 보정값이 현재의 점화시기 보정값보다 작은 경우, 현재의 점화시기 제어에 의하여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시기 지연 중 재가속 판단시 점화시기 제어방법.
KR1019960068572A 1996-12-20 1996-12-20 점화시기지연중재가속시점화시기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302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572A KR100302790B1 (ko) 1996-12-20 1996-12-20 점화시기지연중재가속시점화시기제어장치및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572A KR100302790B1 (ko) 1996-12-20 1996-12-20 점화시기지연중재가속시점화시기제어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823A KR19980049823A (ko) 1998-09-15
KR100302790B1 true KR100302790B1 (ko) 2001-11-22

Family

ID=3752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572A KR100302790B1 (ko) 1996-12-20 1996-12-20 점화시기지연중재가속시점화시기제어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7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823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8185A1 (en) Preigni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KR100564069B1 (ko) 내연기관용 점화 장치의 점화점 결정 방법
US46825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x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02790B1 (ko) 점화시기지연중재가속시점화시기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08407B1 (ko) 내연기관용 공전 속도 제어 시스템
US6295966B1 (en) Idling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98767B1 (ko) 자동차의노크제어장치및방법
KR20030067853A (ko) 엔진 점화시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S63173829A (ja) 内燃機関のノツキング検出方法
KR100440111B1 (ko) 희박연소엔진제어방법
KR200307854Y1 (ko) 자동차의연비향상을위한점화장치
JPH078314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270549B1 (ko) 무부하최고속도제어방법
KR20020046747A (ko) 차량용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83209A (ko) 차량용 엔진의 노킹 제어방법
KR100401840B1 (ko)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KR100428177B1 (ko) 엔진의 급발진시 노크 제어 방법
KR100302765B1 (ko) 엔진상태에따른점화제어장치및방법
JP2528168B2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KR100461398B1 (ko) 차량용 엔진의 가속 연료량 보정 방법
KR100302783B1 (ko) 노킹발생시점화시기제어방법
KR19990053657A (ko) 풀 로드시 엔진 제어방법
JPS6375354A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KR19980067840U (ko) 가속시 엔진회전수와 부하량에 따른 점화시기의 지각량 연산장치
JP4321493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