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551B1 -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551B1
KR100270551B1 KR1019970043972A KR19970043972A KR100270551B1 KR 100270551 B1 KR100270551 B1 KR 100270551B1 KR 1019970043972 A KR1019970043972 A KR 1019970043972A KR 19970043972 A KR19970043972 A KR 19970043972A KR 100270551 B1 KR100270551 B1 KR 10027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air
air amount
starting
isc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510A (ko
Inventor
김남종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5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23Cooling water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매 시동시 단 1회만 시동 ISC 학습치를 갱신하여 그에 따라 ISC 유량을 보정함으로써 엔진 특성 변화에 따른 시동시 엔진 회전수의 불안정이 발생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시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엔진 시동을 위한 접점 선택이 있으면 검출되는 냉각수온에 따라 설정된 목표 엔진 회전수와 실제 시동 초기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의 최대값의 편차에 따라 시동 ISC학습값을 1회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갱신된 시동 ISC 학습값에 따라 시동 초기의 흡입 공기량을 보정하여 시동 초기의 흡입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보정된 흡입 공기량으로 시동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검출되는 운행 정보에 따라 설정된 ISC 시동 유량을 상기 단계에서 갱신된 ISC 학습값에 따라 보정하여 시동중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와, 시동 종료가 검출되면 급격한 흡입 공기량 변화에 따른 엔진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에서 갱신된 ISC 학습값에 따라 일정값 만큼 증감하는 1차 증감 제어를 한후 일정값 만큼 단계적으로 증감하는 2차 증감 제어를 하여 엔진이 아이들 운전 상태가 되도록 흡입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 시동시 단 1회만 시동 ISC 학습치를 갱신하여 그에 따라 ISC 유량을 보정함으로써 엔진 특성 변화에 따른 시동시 엔진 회전수의 불안정이 발생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시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엔진의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는 도 4 에서와 같이 시동 초기에는 아이들시 ISC 학습값과 ISC 시동 초기값을 합한 값으로 흡입 공기량을 조정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을 한 후 1차 증감 제어를 통하여 흡입 공기량을 제어한다.
이후 엔진의 시동이 되면 2차 증감 제어를 통해 흡입 공기량을 단계적으로 증감 제어하여 차량이 정상상태 즉, 아이들 운행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시동성을 향상 시켰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엔진 시동시 엔진 특성 변화에 따른 시동시 엔진 회전수의 최대값이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적절한 시동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이들 상태에서 ISC 학습된 유량 보정량이 적용되지만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매 시동시 단 1회만 시동 ISC 학습치를 갱신하여 그에 따라 ISC 유량을 보정함으로써 엔진 특성 변화에 따른 시동시 엔진 회전수의 불안정이 발생 하더러도 항상 일정한 시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 시동을 위한 접점 선택이 있으면 검출되는 냉각수온에 따라 설정된 목표 엔진 회전수와 실제 시동 초기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의 최대값의 편차에 따라 시동 ISC학습값을 1회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갱신된 시동 ISC 학습값에 따라 시동 초기의 흡입 공기량을 보정하여 시동 초기의 흡입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보정된 흡입 공기량으로 시동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검출되는 운행 정보에 따라 설정된 ISC 시동 유량을 상기 단계에서 갱신된 ISC 학습값에 따라 보정하여 시동중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와;
시동 종료가 검출되면 급격한 흡입 공기량 변화에 따른 엔진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에서 갱신된 ISC 학습값에 따라 일정값 만큼 증감하는 1차 증감 제어를 한후 일정값 만큼 단계적으로 증감하는 2차 증감 제어를 하여 엔진이 아이들 운전 상태가 되도록 흡입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인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인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흡입 공기량이 제어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파형도이고,
도 4 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흡입 공기량이 제어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에 따른 장치는 운행정보 검출부(10)와, ECU(20), ISC 서보(30)로 이루어진다.
운행정보 검출부(10)는 차량의 운행중 이그니션 스위치, 냉각 수온, 엔진 회전수 등의 각종 운행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ECU(20)는 상기 운행정보 검출부(10)의 신호를 분석하여 매 시동시 단 1 회 ISC 학습치를 갱신하여 시동시 흡입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ISC 서보(30)는 상기 ECU(20)의 제어 신호에 딸 동작되어 시동시 흡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인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동작 과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운행중 ECU(20)는 운행정보 검출부(10)의 각종 운행정보를 분석하여(S10) 차량의 시동을 하기 위해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스위치의 접점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0).
상기 단계(S20)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위해 이그니션 키 스위치의 접점을 온 하면 제어부(20)는 시동시 엔진 회전수의 편차를 검출한다(S30).
상기 단계(S30)에서 시동시 엔진 회전수의 편차는 다음의 식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시동 RPM 편차=목표 시동 RPM-실제 시동 RPM
상기에서 목표 시동 RPM은 운행정보 검출부(10)에서 검출되는 냉각수온에 따라 설정된 목표 시동 엔진 회전수이며, 실제 시동 RPM은 시동시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이후, ECU(20)는 상기 단계(S30)에서 검출된 시동 RPM 편차에 따라 시동 ISC 학습을 다음의 식에 의해 시동시 흡입 공기량의 학습값을 1회 갱신한다(S40).
시동 ICS 학습[i]=시동 ISC 학습[i-1]±TABLE(시동 RPM 편차)
상기에서 TABLE은 상기에서 검출된 시동 RPM 편차에 따라 설정된 맵 테이블 값이다.
상기 단계(S40)에서 시동 ISC 학습값이 갱신되면 ECU(20)는 갱신된 시동 ISC 학습값에 따라 시동 초기에는 다음의 식에 의해 시동 초기 ISC 유량을 연산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제어 신호로 ISC 서보(30)를 동작시켜 도 3 과 같이 시동 초기 흡입 공기량을 조정한다(S50).
초기=ISC시동초기값+(GAIN1×시동ISC학습[i])+아이들시ISC학습값
즉, ISC 시동 초기값에 아이들시 ISC 학습값을 더한 값에 시동 초기 엔진 회전수의 편차에 해당하는 흡입 공기량을 가감하여 준다.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 시동 초기 조건이 경과하여 시동중일 경우에는 ECU(20)는 다음의 식에 의해 시동 중의 ISC 유량을 연산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제어 신호로 ISC 서보(30)를 제어하여 도 3 과 같이 시동 중의 흡입 공기량을 조정한다(S60).
시동중=ISC시동유량값+(GAIN2×시동ISC학습[i])+아이들시ISC학습값
즉, 검출되는 운행정보에 따른 ISC 시동 유량값에 아이들시 ISC 학습값을 더한 값에 시동 초기 엔진 회전수의 편차에 해당하는 흡입 공기량을 가감하여 준다.
이후, 운전자에 의한 이그니션 키 스위치의 온 접점이 해제되면 ECU(20)는 엔진의 시동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다음의 식에 의해 흡입 공기량을 1차 증감 제어한다(S70).
Figure 1019970043972_B1_M0001
상기와 같이 엔진의 시동 후에는 시동시 흡입되는 공기량을 일정 값으로 증감하는 1차 증감 제어를 한 뒤 흡입 공기량을 단계적으로 일정값만큼 증감시키는 2차 증감 제어를 하여 흡입 공기량이 다음의 식과 같이 되도록 하여 엔진이 정상 상태 즉, 아이들 운전 상태가 되도록 상기 ISC 서보(30)를 제어하여 흡입 공기량을 조정한다(S80).
Figure 1019970043972_B1_M0002
상기 각 식에 나타난 GAIN1, GAIN2, GAIN3은 시동 ISC 학습값에 따라 흡입 공기량을 보정하기 위한 상수이다.
상기 단계(S70)(S80)에서 시동후의 흡입 공기량을 1차 및 2차 증감 제어를 하여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시동후의 급격한 유량 변화로 인한 엔진의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시동 ISC 학습값을 일정값 이하로 하여 과다한 유량 보정으로 인하여 엔진의 시동성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매 시동시 단 1회만 시동 ISC 학습치를 갱신하여 그에 따라 ISC 유량을 보정함으로써 엔진 특성 변화에 따른 시동시 엔진 회전수의 불안정이 발생 하더러도 항상 일정한 시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차량 엔진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엔진 시동을 위한 접점 선택이 있으면 검출되는 냉각수온에 따라 설정된 목표 엔진 회전수와 실제 시동 초기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의 최대값의 편차에 따라 시동 ISC학습값을 1회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갱신된 시동 ISC 학습값에 따라 시동 초기의 흡입 공기량을 보정하여 시동 초기의 흡입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보정된 흡입 공기량으로 시동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검출되는 운행 정보에 따라 설정된 ISC 시동 유량을 상기 단계에서 갱신된 ISC 학습값에 따라 보정하여 시동중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와;
    시동 종료가 검출되면 급격한 흡입 공기량 변화에 따른 엔진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에서 갱신된 ISC 학습값에 따라 일정값 만큼 증감하는 1차 증감 제어를 한후 일정값 만큼 단계적으로 증감하는 2차 증감 제어를 하여 엔진이 아이들 운전 상태가 되도록 흡입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ISC 학습치 갱신은 다음의 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시동 ICS 학습[i]=시동 ISC 학습[i-1]±TABLE(시동 RPM 편차)
    상기에서 TABLE은 상기에서 검출된 시동 RPM 편차에 따라 설정된 맵 테이블 값이다.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시동 초기의 흡입 공기량 보정은 다음의 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초기=ISC시동초기값+(GAIN1×시동ISC학습[i])+아이들시ISC학습값
    상기에서 GAIN1은 시동 ISC 학습값에 따라 흡입 공기량을 보정하기 위한 상수이다.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시동중의 흡입 공기량은 다음의 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시동중=ISC시동유량값+(GAIN2×시동ISC학습[i])+아이들시ISC학습값
    상기에서 GAIN2는 시동 ISC 학습값에 따라 흡입 공기량을 보정하기 위한 상수이다.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시동 종료 후 1차 증감 제어는 다음의 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Figure 1019970043972_B1_M0001
    상기에서 GAIN3은 시동 ISC 학습값에 따라 흡입 공기량을 보정하기 위한 상수이다.
KR1019970043972A 1997-08-30 1997-08-30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KR100270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972A KR100270551B1 (ko) 1997-08-30 1997-08-30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972A KR100270551B1 (ko) 1997-08-30 1997-08-30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510A KR19990020510A (ko) 1999-03-25
KR100270551B1 true KR100270551B1 (ko) 2000-12-01

Family

ID=1951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972A KR100270551B1 (ko) 1997-08-30 1997-08-30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92B1 (ko) * 2000-12-06 2003-03-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공회전시 공기량 학습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510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3496B2 (en) Fuel injection controller of engine
JP2608426B2 (ja) アイドル回転数制御方法
JPH02305342A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KR100270551B1 (ko) 시동시 흡입 공기량 제어 방법
KR20000066049A (ko) 수온센서 고장시 엔진 제어방법
JPH10215527A (ja) 車両用充電制御装置
KR100373143B1 (ko) 엔진 아이들 제어방법
KR0158139B1 (ko) 전기부하에 따른 아이들 동작 보정장치 및 그 방법
JPS63208637A (ja) 内燃機関用電子制御式燃料噴射装置
KR100295861B1 (ko) 아이들스피드제어방법
KR100305791B1 (ko) 차량의 아이들 운행시 연료 분사방법
KR100349846B1 (ko)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KR100302767B1 (ko) 자동차의배기가스제어장치및방법
KR100428043B1 (ko) 클러치 릴리즈시 회전수 저하에 의한 엔진 스톨을방지하는 방법
KR100249900B1 (ko) 엔진 회전수를 이용한 아이들 피드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51651B1 (ko) 웜-업중 연료량 증량 방법
KR100423287B1 (ko) 차량용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KR100412654B1 (ko) 차량의 공기량 제어방법
KR20020087731A (ko) 차량용 엔진의 아이들 제어 방법
KR100290340B1 (ko) 자동차 출발시 엔진의 부하 정도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0479A (ko) 연료량 학습에 따른 연료량 한계치 제어방법
JPH09189252A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速度学習制御装置
KR100405696B1 (ko) 자동차의 흡입 공기량 제어방법
JPS62294745A (ja) エンジンの制御方法
JPH10196430A (ja) 電子制御式スロットル弁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