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846B1 -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846B1
KR100349846B1 KR1019990042230A KR19990042230A KR100349846B1 KR 100349846 B1 KR100349846 B1 KR 100349846B1 KR 1019990042230 A KR1019990042230 A KR 1019990042230A KR 19990042230 A KR19990042230 A KR 19990042230A KR 100349846 B1 KR100349846 B1 KR 10034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value
value
air amount
ai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592A (ko
Inventor
이명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8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시동시 연료 분사량을 결정하는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 시동 요구가 검출되면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에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공기량값을 가산한 후, 이 값과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임의의 값이 가산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가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 이상이면 현재의 값을 시동시 공기량으로 설정하여 엔진 시동 온이 되도록 하며, 시동 온 이후의 엔진 조건이 공기량 학습치 보정 조건인가를 판단하여 공기량 학습치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에서 임의의 값이 가산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가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 이상이 아니면,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에서 임의의 값을 감산한 결과를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로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보정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와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를 비교 판단하면서 시동시 공기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METHOD FOR CORRECTING ENGINE AIR FLOW LEARNING VALU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시동시 연료 분사량을 결정하는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여 최적의 시동성 및 시동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한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에서 수행하는 엔진 공기량 학습치에 대한 보정 방법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시동후 공기량 학습치 보정에 필요한 제반조건, 즉 엔진이 정상 상태이고, 공기량 보정이 완료되었으며, 수온이 임의의 설정치 이상이고, 엔진 회전수가 임의로 설정된 회전수 이상이며, 파워스티어링이 오프 상태이고, 전기부하 상태가 오프인 조건에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지 않고, 반면에 상기 조건에 만족하게 되면,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학습치 보정시 상기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이 공기량 학습치의 최고값(C)이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가 상기 공기량 학습치 최고값(C)이상이 아니면,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지 않고, 반면에 상기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이 공기량 학습치의 최고값(C)이상이 되면, 학습되고 있는 공기량 학습치(D(i))는 이전 상태의 공기량 학습값(Dn-1)에 공기량 학습치 증가량(a)을 가산한다.
한편 상기 공기량 학습치 증가량을 가산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이 상기 공기량 학습치 최저값(E)이하 인가를 판단하여 이때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이 공기량 학습치 최저값(E) 이하가 아니면,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지 않고, 반면에 이하이면 학습되고 있는 공기량 학습치(D(i))는 이전 상태의 공기량 학습값(Dn-1)에 공기량 학습치 감소량(b)을 감소하고 다시 학습조건에 만족하는 가를 판단하면서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엔진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함에 있어서, 엔진이 공회전(idle)상태로 장시간 방치되었거나, 배터리의 전압강하 발생 및 흡기온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공기량 학습치가 상향 학습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량은 상향값으로 설정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엔진 시동을 오프하게 되면 학습된 공기량은 상향된 설정값으로 유지하고 있게 되어, 엔진의 냉 시동시 상기 상향된 설정값으로 공기량이 유입되게 되어 엔진의 회전수가 급작스럽게 상승되어 연료차단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회전수 파동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상기 회전수의 파동에 의하여 혹은 급작스러운 회전수 상승으로 인하여 급발진을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엔진 시동시 시동 직전의 학습치와 이전 시동 직전의 학습치에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상향된 학습값을 가산한 값과의 대소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차에 따른 공기량을 가감산하여 보정된 공기량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엔진 시동시 급작스런 상향된 공기량으로 인한 회전수 파동 및 회전수 상승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급발진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엔진 공기량 학습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 시동 요구가 검출되면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에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공기량값을 가산한 후, 이 값과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임의의 값이 가산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가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 이상이면 현재의 값을 시동시 공기량으로 설정하여 엔진 시동 온이 되도록 하며, 시동 온 이후의 엔진 조건이 공기량 학습치 보정 조건인가를 판단하여 공기량 학습치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단계에서 임의의 값이 가산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가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 이상이 아니면,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에서 임의의 값을 감산한 결과를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로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보정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와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를 비교 판단하면서 시동시 공기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시동시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고. 이 보정된 학습치로 공기량이 유입되도록 하여 엔진 회전수의 급격한 상승 및 회전수 파동 발생을 방지하면서 발진 주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엔진 공기량 학습치 제어 블럭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로서, 차량의 엔진 정상 작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엔진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유량센서등으로 구성되는 각종 센서(20)와; 연료 분사량을 결정하는 공기량을 감지하는 에어 플로우메터(21)와;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22)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회전수 센서(23)와; 가속페달의 밟는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밸브 위치 센서(24)와;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센서(25)와;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최적의 주행조건으로 운행되게 제어하며, 반복되는 학습치를 최적의 목표 값으로 보정하면서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26)와; 상기 전자제어장치(26)에서 주행조건에 따라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인젝터 등을 구성되는 액츄에이터(2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먼저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한 시동 온 신호가 전자제어장치(26)에 감지되면(단계30) 상기 전자제어장치(26)에서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i(n-1))에 임의로 설정된 소정량 상승된 공기량 학습치(z)를 가산한 후 이 값이 현재 시동시 시동직전의 공기량 학습치(i(n))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31).
이때, 상기 상승된 공기량이 가산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i(n-1))가 현재 시동 직전의 학습치(i(n))이상이면, 상기 전자제어장치(26)에서는 현재의 공기량 학습값을 시동시 공기량을 결정하여 엔진 시동 온 제어를 수행한 다음 각종센서(20), 에어플로우 메터(21), 수온센서(22), 엔진회전수센서(23), 스로틀 밸브 위치 센서(24), 엔진 속도 센서(25)로 부터의 정보가 엔진 시동후 공기량 학습치 보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33).즉, 엔진이 정상상태이고, 공기량 보정이 완료되었으며, 수온이 임의의 설정치 이상이고, 엔진 회전수가 임의로 설정된 회전수 이상이며, 파워스티어링이 오프상태이고, 전기부하 상태가 오프된 상태 모든 조건이 만족하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제어장치(26)는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지 않는다(단계38). 반면에 상기 조건에 만족하게 되면, 학습치 보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단계34).
상기 학습치 보정시 상기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이 공기량 학습치의 최고값(C)이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되고(단계35), 이때 상기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가 상기 공기량 학습치 최고값(C)이상이 아니면,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지 않고, 반면에 상기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이 공기량 학습치의 최고값(C)이상이 되면, 학습되고 있는 공기량 학습치(Di)는 이전 상태의 공기량 학습값(Di-1)에 공기량 학습치 증가량(a)을 가산한다(단계36).
한편 상기 공기량 학습치 증가량을 가산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이 상기 공기량 학습치 최저값(E)이하 인가를 판단하게 되고(단계37), 이때 공기량 학습치 필터링값(B)이 공기량 학습치 최저값(E) 이하가 아니면,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지 않고, 반면에 이하이면 학습되고 있는 공기량 학습치(Di)는 이전 상태의 공기량 학습값(Di-1)에 공기량 학습치 감소량(b)을 감소하여 보정하고(단계39), 다시 학습조건에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면서 공기량 학습치를 보정하게 된다.그러나 상기 단계(31)에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in-1)에 설정된 임의의 값 Z를 가산한 값이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i(n))이상이 아니면,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값(i(n))에서 소정의 학습치(d)를 감산한 학습치를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i(n-1))로 결정하여 보정한 후 단계31의 과정으로 리턴하여 시동시 공기량 학습을 반복함으로써 초기 시동시 최적의 시동성과 시동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시동시 시동전 학습치와 이전의 엔진 시동전 학습치에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상향된 학습값을 가산한 학습치와의 대소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차에 따른 공기량을 가감산하여 보정한 학습치 또는 보정된 학습치로 엔진 시동시 공기량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엔진 시동시 급작스런 상향된 공기량으로 인한 회전수 파동 및 회전수 상승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급발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엔진 시동 요구가 검출되면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에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공기량값을 가산한 후, 이 값과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임의의 값이 가산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가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 이상이면 현재의 값을 시동시 공기량으로 설정하여 엔진 시동 온이 되도록 하며, 시동 온 이후의 엔진 조건이 공기량 학습치 보정 조건인가를 판단하여 공기량 학습치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임의의 값이 가산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가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 이상이 아니면,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에서 임의의 값을 감산한 결과를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로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보정된 이전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와 현재 시동 직전의 공기량 학습치를 비교 판단하면서 시동시 공기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KR1019990042230A 1999-10-01 1999-10-01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KR10034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230A KR100349846B1 (ko) 1999-10-01 1999-10-01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230A KR100349846B1 (ko) 1999-10-01 1999-10-01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592A KR20010035592A (ko) 2001-05-07
KR100349846B1 true KR100349846B1 (ko) 2002-08-22

Family

ID=1961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230A KR100349846B1 (ko) 1999-10-01 1999-10-01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15B1 (ko) * 2013-08-30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cu의 공기량 학습값 자동 조절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191A (ko) * 1987-01-20 1988-09-14 시기 모리야 내연기관의 회전수 제어장치
KR880014240A (ko) * 1987-05-15 1988-12-23 미다 가쓰시게 엔진 제어 장치
KR950033021A (ko) * 1994-02-28 1995-12-22 야스모로 도시오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191A (ko) * 1987-01-20 1988-09-14 시기 모리야 내연기관의 회전수 제어장치
KR880014240A (ko) * 1987-05-15 1988-12-23 미다 가쓰시게 엔진 제어 장치
KR950033021A (ko) * 1994-02-28 1995-12-22 야스모로 도시오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592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06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 decelerating state
KR100349846B1 (ko) 차량의 엔진 공기량 학습치 보정 방법
KR100373143B1 (ko) 엔진 아이들 제어방법
KR100302287B1 (ko) 흡입공기량센서이상시흡입공기량판정장치및그방법
KR100394642B1 (ko) 차량의 아이들 회전수 제어방법
KR100507070B1 (ko) 스로틀 위치 센서 학습방법
JP3871979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622476B1 (ko) 차량 엔진의 냉간 시동성 제어 방법
KR100333870B1 (ko) 디젤 차량의 아이들 운전시 필요한 연료 유량 제어하기위한 연료 조절 밸브 및 방법
KR100335929B1 (ko) 아이들시의 엔진 회전수 제어 방법
KR100305791B1 (ko) 차량의 아이들 운행시 연료 분사방법
KR100460921B1 (ko) 차량의 연료 차단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03089Y1 (ko) 수온센서 고장시 엔진 제어 장치
KR100422669B1 (ko) 스로틀 밸브 위치 센서의 학습장치 및 방법
KR100295861B1 (ko) 아이들스피드제어방법
JP3802576B2 (ja) 車両の駆動ユニットを制御する方法と装置
KR100428188B1 (ko)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노이즈 유입시 엔진 제어 방법
KR100290340B1 (ko) 자동차 출발시 엔진의 부하 정도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20116A (ko) 차량용 엔진의 시동 시 연료 분사 제어 방법
KR19980036855A (ko) 스로틀 밸브의 개도 변화량에 따른 연료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711997A (ja) アイドル回転数制御方法
KR100412883B1 (ko) 고 습도상태에서 운전성 향상을 위한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KR100559416B1 (ko) 아이들시의 엔진 회전수 제어 방법
JP3769520B2 (ja) 内燃機関の燃料制御装置
KR100588543B1 (ko) 엔진의 가속 연료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