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961B1 - 너트회전방지용캡 - Google Patents

너트회전방지용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961B1
KR100301961B1 KR1019980030871A KR19980030871A KR100301961B1 KR 100301961 B1 KR100301961 B1 KR 100301961B1 KR 1019980030871 A KR1019980030871 A KR 1019980030871A KR 19980030871 A KR19980030871 A KR 19980030871A KR 100301961 B1 KR100301961 B1 KR 100301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ap
hole
guid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582A (ko
Inventor
쥬 고죠
노리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9003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16B39/103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with a locking cup washer, ring or sleeve surrounding the nut or bolt head and being partially deformed on the nut or bolt head, or on the object itsel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캡장착작업을 감각에 의한 어림짐작만으로 조작하는 블라인드 조작시라 하더라도 캡을 정규위치까지 확실하게 이동시켜서 너트와 끼워맞출 수 있음과 아울러, 너트의 불필요한 회전을 보다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캡구조를 실현한다.
(해결수단) 수나사(3a)가 형성된 축부(3)에 나사결합되는 다각형 너트(1)에 대하여, 이 너트(1)를 수납하는 너트수납구멍(12)이 형성된 본체부(11)와, 본체부(11)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너트수납구멍(12)을 통하여 끼워지는 축부(3)의 선단측을 관통시키는 동체부(13)와, 동체부(13)의 내측둘레면에서 돌출된 탄성돌기편(14)을 일체로 구비하며, 너트수납구멍(12)내로 너트(1)를 끼워맞춤과 아울러 탄성돌기편(14)을 수나사(3a)에 걸어맞춘 상태로 장착되는 너트회전방지용 캡(10)에 있어서, 본체부(11)는 너트수납구멍(12)에 있어서의 너트(1)가 수납되는 측에 연속하여 형성된 연장통형상부(15)를 가지며, 연장통형상부(15)의 내측둘레를 너트(1)의 외측둘레 형상보다도 큰 가이드 구멍(16)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가이드 구멍(16)의 내측둘레에 이 가이드 구멍(16)내로 끼워넣어지는 너트(1)를 너트수납구멍(12)내의 정규위치로 유도하는 가이드 면(17)을 형성하였다.

Description

너트회전방지용 캡
본 발명은 축부에 장착되어 있는 너트가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제의 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장착시에 장착부위를 볼 수 없는 상태에서 감각에 의한 어림짐작만으로 조작하는(이하 블라인드 조작이라 한다} 경우에 최적한 너트회전방지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캡은,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하부 배면측에 설치되는 조정용 너트(1)에 적용되며, 너트(1)가 조정된 후에 불필요하게 회전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너트(1)는 풋 브레이크 페달(P)측과 브레이크 기구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는 어저스트 너트이고, 조정후에 회전방지용 캡이 장착되어 불필요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조치된다. 또한, 도면부호 40은 차체 패널측에서 돌출된 유지부이고, 이 유지부(40)에 형성된 삽입구멍을 통하여 축부(3)의 일단측이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축부(3)는 상기한 로드형상의 와이어이거나 이 와이어 단부에 접속된 볼트형상의 축부이고, 그 외측둘레에는 수나사(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종래의 너트회전방지용 캡을 이용한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너트장착상태를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G-G선을 따라서 본 하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너트(1)는 육각 너트이고, 그 내측둘레에 암나사(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너트(1)는 축부(3)에 형성된 수나사(3a)에 대하여 암나사(2a)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적당한 체결력으로 부착되며, 그후 장착되는 캡(51)에 의해서 그 외측이 덮여진다. 이 캡(51)은 본체부(52)와 동체부(5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52)에는 너트(1)에 대응한 너트수납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수납구멍(52a)은 너트(1)의 외측둘레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방된 일단부를 통하여 너트(1)를 내부로 수납한다. 동체부(53)는 상기 본체부(52)의 선단에 연이어 형성되는데 너트수납구멍(52a)보다도 작은 내측 지름으로 된 통형상을 이루며, 축부(3)의 선단측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동체부(53)의 선단 내측둘레면에는 대략 축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돌기편(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너트회전방지용 캡(51)은, 너트(1)가 축부(3)에 부착된 상태에서 축부(3)의 선단에서 너트(1)를 향하여 압입조작함으로써 너트(1)를 너트수납구멍(52a)에 끼워맞추고, 탄성돌기편(54)이 수나사(3a)의 나사골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장착된다. 이 장착과정에서는 캡(51)을 압입조작에 의해서 축부(3)를 따라 이동시킬 때, 탄성돌기편(54)이 탄성변형에 의하여 축부(3)의 나사산을 순차 타고넘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너트(1)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달한 시점에서, 너트(1)와 너트수납구멍(52a)이 일치되도록 맞춘 상태에서 이 너트수납구멍(52a)내로 너트(1)를 수납하되 너트(1)의 전면이 너트수납구멍(52a)의 내벽(52c)에 맞닿을 때까지 캡(51)을 더 압입하여 이동시킨다. 도 7a, 7b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캡(51)이 최종위치까지 이동된 장착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탄성돌기편(54)의 걸어맞춤력에 비례한 크기로 캡(51)의 이동이 저지되며, 동시에 캡(51)에 끼워맞춰져 있는 너트(1)의 회전도 저지된다.
그런데, 종래의 캡(51)에서는, 특히 캡부착작업을 상기한 바와 같이 감각에 의한 어림짐작만으로 조작하는 블라인드 조작에 의해서 할 경우에는, 축부(3)에 대하여 그 선단에서 너트(1)의 위치까지 캡(51)을 끼워넣어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도 7b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1)와 너트수납구멍(52a)의 위치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 즉 너트(1)의 각 모서리부에 대하여 너트수납구멍(52a)의 각 코너부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너트(1)가 너트수납구멍(52a)내로 수납되기 전에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52)가 너트(1)의 단면에 맞닿게 되어 캡(51)이 이것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캡(51)과 너트(1)가 맞닿아서 더이상 이동하지 않을 때에는, 작업자는 캡(51)이 정규위치에 장착되었다고 착각하고(장착된 상태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불완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캡(51)의 불완전한 장착은, 너트(1)에서 돌출되어 있는 축부(3)의 부분이 길수록 발생하기 쉽고, 캡(51)의 압입조작에 있어서, 탄성돌기편(54)이 수나사(3a)의 나나산을 타고넘을 때에 저항을 받으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캡(51)의 최종이동위치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 또 캡(51)이 불완전한 장착상태에서도 축부(3)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것 등에 기인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이와 같은 캡(51)의 불완전한 장착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최종검사단계까지 발견할 수 없는 경우가 많고, 또 정비사들이 캡(51)을 착탈하고서 너트(1)의 체결정도를 조정하는 단계에서도 발견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은 차량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요주의 사항의 하나로 들 수 있고, 따라서 생각보다 신경을 많이 요하는 것이어서 작업함에 있어서 번거로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 목적은 캡장착작업을 감각에 의한 어림짐작만으로 조작하는 블라인드 조작시라 하더라도 캡을 정규위치까지 확실하게 이동시켜서 너트와 끼워맞출 수 있음과 아울러, 너트의 불필요한 회전을 보다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너트회전방지용 캡을 재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캡이 작은 경우에도 작업자가 블라인드 조작하에서 용이하게 장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도 2b의 C-C선을 따른 종단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과 B-B선을 따라서 단면으로 한 저면도와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캡을 사용상태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4는 상기 캡을 하측과 측면에서 본 하면도와 측면도
도 5는 상기 캡을 도 4a의 D-D선과 E-E선을 따라서 다면으로 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대상인 캡의 사용장소를 예로서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종래예인 회전방지용 캡과 그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너트 2a - 암나사
3 - 축부 3a - 수나사
10 - 캡 11 - 본체부
12 - 너트수납구멍 13 - 동체부
14 - 탄성돌기편 15 - 연장통형상부
16 - 가이드 구멍 16a - 경사면
16b - 능선(산형상부) 17 - 가이드 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나사(3a)가 형성된 축부(3)에 나사결합되는 다각형 너트(1)에 대하여, 상기 너트(1)의 외측둘레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내측둘레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1)를 수납하는 너트수납구멍(12)에 연속하여 연장통형상부(15)를 가지며, 이 연장통형상부(15)의 내측둘레를 상기 너트의 외측둘레 형상보다도 큰 가이드 구멍(16)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구멍(16)의 내측둘레에 이 가이드 구멍(16) 내로 끼워 넣어지는 상기 너트를 상기 너트수납구멍내(12)의 정규위치로 유도하는 가이드 면(17)을 구비한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너트수납구멍(12)을 통하여 끼워지는 상기 축부(3)의 선단측을 관통시키는 동체부(13)와, 상기 동체부(13)의 내측 둘레면에서 돌출된 탄성돌기편(14)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너트수납구멍(12)내로 상기 너트(1)를 끼워맞춤과 아울러 상기 탄성돌기편(14)을 상기 수나사(3a)에 걸어 맞춘 상태로 장착되는 너트회전방지용 캡(10)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형상부(15)의 내측으로 뚫어진 가이드 구멍(16)은 상기 너트수납구멍(12)의 형상보다도 크고 대응하는 개략 다면형이고, 상기 가이드 면(17)은 상기 개략 다면형을 구획하는 각 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구멍의 개구단을 향하여 산형상의 2개의 경사면을 가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캡장착작업에 있어서, 캡(10)이 축부(3)의 선단에서 압입이동되어 너트(1)의 위치까지 도달하면, 너트(1)의 외형보다도 큰 내측둘레로 형성되어 있는{가이드 구멍(16)의 개구측의 내측지름(D)이 너트(1)의 최대 외측지름(L)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16)의 존재에 의해서, 너트(1)의 상대적 위치가 치우쳐져 있는 경우에도 너트(1)가 가이드 구멍(16)내로 수납된다. 또한, 압입이동되는 과정에서, 캡(10)은 가이드 면(17)의 센터링작용에 의해서 너트(1)의 각 모서리부와의 위치맞춤이 이루어지므로, 너트(1)가 너트수납구멍(12)의 최종위치까지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는 캡(10)이 탄성돌기편(14)의 걸어맞춤력에 의해서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캡(10)내에 끼워맞춰진 너트(1)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구멍(16)은 상기 너트수납구멍(12)에 대응한 개략 다면형이고, 또한 가이드 면(17)은 상기 개략 다면형을 구획하는 각 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구멍(16)의 개구단을 향하여 산형상의 2개의 경사면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조는 캡(10)이 너트(1)를 수납하도록 압입이동되는 과정에서, 너트(1)의 각 모서리부가 너트수납구멍(12)의 각 코너부에 자동적으로 위치맞춤되도록 고안된 형상이고, 내면 원추형상 등에서는 불가능한 센터링 작동이 얻어진다.
또, 상기 연장통형상부(15)의 외측둘레가 상기 본체부(11)와 연속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조는 연장통형상부(15)의 외측둘레를 본체부(11)와 연속한 다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캡(10)이 작은 경우에도 이곳을 쥐고서 압입하거나 축부(3)에서 빼내는 조작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최적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각종의 한정이 부가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을 특히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것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방지용 캡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도 2b의 C-C선을 따른 종단 측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선을 따라서 단면으로 한 저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B-B선을 따라서 단면으로 한 상면도이고, 도 3은 그 외관 사시도이다. 또, 도 4와 도 5는 캡만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하면도, 도 4b는 측면도, 도 5a는 도 4a의 D-D선을 따른 종단 측면도, 도 5b는 도 4a의 E-E선을 따른 종단 측면도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캡(1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에 있어서의 인스트러먼트 하부 배면측에 위치하여 풋 브레이크 페달(P)측과 브레이크 기구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는 어저스트 너트(1), 즉 조정용 너트에 사용되는 예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너트(1)와 축부(3)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캡(10)은 수지성형품으로서 축부(3)에 나사결합되는 육각 너트(1)에 대응하여 설계되며, 길이치수가 약 15∼20㎜인 비교적 작은 것이다. 외관적으로는 너트(1)의 외측둘레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내측둘레를 이루며 너트(1)를 수납하는 너트수납구멍(12)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의 선단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너트수납구멍(12)을 통하여 끼워지는 상기 축부(3)의 선단측을 관통시키는 동체부(13)와, 이 동체부(13)의 선단의 내측둘레면에서 축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돌기편(14)과, 너트수납구멍(12)에 있어서의 너트(1)가 수납되는 측에 연속하여 형성된 연장통형상부(15)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체부(11)는 육각 너트(1)에 대응한 형상을 이루며, 그 내측둘레가 너트(1)를 끼워맞춤상태로 수납하는 대략 육각형상의 너트수납구멍(12)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측둘레도 이것에 대응하여 대략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체부(13)는 너트수납구멍(12)보다 작은 내측 지름을 가지는 통형상을 이루며, 축부(3)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13a)을 형성하고 있다. 또, 너트(1)는 너트수납구멍(12)의 내벽(12a)에 맞닿아서 동체부(13)측의 공간(13a)으로 수납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동체부(13)의 선단측에는 그 내측둘레면에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 축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3개의 탄성돌기편(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3개의 탄성돌기편(14)은 서로 단차를 두고서 형성되어 있으며, 축부(3)에 형성된 수나사(3a)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나사골에 각각 걸어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탄성돌기편(14)끼리의 사이에는 보강리브(13b)가 탄성돌기편(14)보다 작은 돌출치수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통형상부(15)는 그 외측둘레가 본체부(11)의 외측둘레와 동일한 형상으로 연속하여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너트(1)를 자유롭게 수납할 수 있는 가이드 구멍(16)을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 구멍(16)은 너트(1)의 육각형상보다도 큰 개략 육각형상을 이루며, 이 개략 육각형상을 구획형성하고 있는 각 면이 독특한 가이드 면(17)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가이드 면(17)은 다음과 같이 특정되는 것이다. 첫째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구멍(16)의 개구측의 내측지름(D)이 너트(1)의 최대 외측지름(L)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1)를 위치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임의로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에서는 L의 값을 10㎜정도로 한 경우에 D의 값이 약 12㎜로 설정된다. 둘째로, 가이드 면(17)을 형성하는 각 면의 서로 대응하는 간격중, 최소치수(d)가 되는 선단면이 너트수납구멍(12)을 형성하는 대응하는 각 면에 대하여 매끄럽게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다. 셋째로, 각 가이드 면(17)이 너트(1)의 육각형상의 어느 부분과 맞닿더라도 너트(1)에 대응하여 너트수납구멍(12)으로 유도할 수 있는, 즉 캡(10)을 센터링하는데 최적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세번째 요건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너트(1)가 육각 너트인 경우에는 너트수납구멍(12)도 이것에 대응한 대략 육면형상을 이루고, 이것에 대하여 가이드 구멍(16)은 상기 너트수납구멍(12)의 대략 육면형상보다도 큰 개략 육면체를 이루며, 이 개략 육면체를 구획하고 있는 각 면인 가이드 면(17)의 형상으로서, 너트수납구멍(12)의 각 육면을 구획하고 있는 대응하는 각 면에 연속하고 또한 가이드 구멍(16)의 개구단을 향하여 산(山)형상으로 형성하되 이 산형상의 변부(邊部)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를 점차 감소시켰다. 즉, 2개의 경사면(16a)을 가진 형상이다. 외관적으로는, 가이드 구멍(16)의 개구단에서 너트수납구멍(12)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서서히 내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경사면(16a)을 다이아 커트된 상태로 만들고, 각 경사면(16a)과 그 능선(산형상부)(16b)을 활동면으로 한 가이드 면(17)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캡(10)은, 축부(3)의 정규위치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1)에 대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3)의 선단측에서 이 축부(3)를 연장통형상부(15)에서 동체부(13)로 관통시키고, 이 상태에서 탄성돌기편(14)의 저항을 받으면서 더 압입조작되는 점에서 종래와 같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캡(10)에서는, 너트(1)가 너트수납구멍(12)의 내측둘레 형상과 상대적으로 치우쳐져 있는 경우에도 이 너트(1)가 연장통형상부(15)내로 자유롭게 수납된다. 그리고, 캡(10)을 더 압입하여 이동시키면, 캡(10)은 가이드 면(17)의 센터링작용에 의해서 너트수납구멍(12)내로 너트(1)를 원활하게 수납하여 끼워맞출 수 있는 것이다. 즉, 캡(10)은 가이드 구멍(16)의 내측둘레를 구획하고 있는 개략 육면의 각 면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경사면(16a)과 각 경사면(16a)의 능선(산형상부)(16b)의 존재에 의해서, 즉 가이드 면(17)에 안내되면서 더 압입되는 과정에서 너트(1)에 대하여 너트수납구멍(12)과 위치맞춤 내지는 센터링되어 너트(1)를 가이드 구멍(16)에서 너트수납구멍(12)내로 원활하게 받아들여 수용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캡(10)이 너트(1)를 완전히 수용하여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는 탄성돌기편(14)이 축부(3)의 수나사(3a)의 나사골에 탄성걸어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돌기편(14)의 걸어맞춤력에 대응한 저항에 의해서 캡(10)이 축부(3)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며, 너트수납구멍(12)에 끼워맞춰져 있는 너트(1)도 캡(10)과 함께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10)을 축부(3)를 따라서 감각에 의한 어림짐작만으로 압압이동시키는 블라인드 조작시에도, 너트(1)의 위치에 관계없이 가이드 면(17)의 안내작용에 의해서 너트(1)를 너트수납구멍(12)내의 정규위치에 확실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불완전한 장착상태가 구조적으로 방지되며, 작업성 및 안전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구조적으로도 간이한 것이고, 또한 연장통형상부(15)가 본체부(11)와 함께 캡(10)의 손잡이부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특히 캡(10)이 작은 경우 등에 있어서의 장착이나 이탈작업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캡(10)은 조정용 너트(1)가 육각 너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사각이나 팔각 등의 너트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캡(10)의 용도 내지는 사용되는 장소는 상기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종의 부분에 설치되는 너트에 적용하여도 지장이 없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너트회전방지용 캡은, 장착작업시에 축부를 따라서 이동시킬 때에, 너트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계없이 너트수납구멍의 정규위치까지 항상 확실하게 또한 원활하게 이동시켜서 너트를 너트수납구멍에 수납하여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성이 간이하면서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케 하며, 조정너트 등에 대한 불완전한 장착상태를 합리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나 신뢰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수나사가 형성된 축부에 나사결합되는 다각형 너트에 대하여, 상기 너트의 외측둘레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내측둘레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를 수납하는 너트수납구멍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너트수납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는 상기 축부의 선단측을 관통시키는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내측둘레면에서 돌출된 탄성돌기편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너트수납구멍내로 상기 너트를 끼워맞춤과 아울러 상기 탄성돌기편을 상기 수나사에 걸어맞춘 상태로 장착되는 너트회전방지용 캡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형상부의 내측으로 뚫어진 가이드 구멍은 상기 너트수납구멍의 형상보다도 크고 대응하는 개략 다면형이고,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개략 다면형을 구획하는 각 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구멍의 개구단을 향하여 산형상의 2개의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회전방지용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형상부의 외측둘레가 상기 본체부와 연속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회전방지용 캡.
KR1019980030871A 1997-09-08 1998-07-30 너트회전방지용캡 KR100301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2746A JPH1182460A (ja) 1997-09-08 1997-09-08 ナット回転止め用キャップ
JP242746 1997-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582A KR19990036582A (ko) 1999-05-25
KR100301961B1 true KR100301961B1 (ko) 2001-10-27

Family

ID=1709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871A KR100301961B1 (ko) 1997-09-08 1998-07-30 너트회전방지용캡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82460A (ko)
KR (1) KR100301961B1 (ko)
TW (1) TW41555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526B1 (ko) * 2008-07-15 2010-10-18 김진열 풀림방지구가 구비된 체결수단
KR101144507B1 (ko) * 2009-11-25 2012-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WO2021155039A1 (en) * 2020-01-29 2021-08-05 Novaria Holdings, LLC One-piece nut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5551U (en) 2000-12-11
JPH1182460A (ja) 1999-03-26
KR19990036582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310B1 (ko) 낚싯대용 릴시트
KR101552379B1 (ko) 암나사 부품 및 이것을 이용한 체결 부품
KR20030043722A (ko) 섕크에 연결된 지지 요소에 로드형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체결 장치
KR19980702843A (ko) 뼈 나사
US20020154965A1 (en) Nut assembly
US7066701B2 (en) Fastener for variously sized studs
US20050036827A1 (en) Ball and socket joint protective cap
KR100301961B1 (ko) 너트회전방지용캡
SE0102682D0 (sv) Roterbart skärverktyg
JP2003194031A (ja) ロックナット
KR200174208Y1 (ko) 핸들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KR200207451Y1 (ko) 가이드부를 갖는 볼트
ATE253693T1 (de) Selbstzentrierende schraubbefestigung
US20030108383A1 (en) Clip attaching structure
JP3921066B2 (ja) リールシート
KR200141395Y1 (ko) 트림 고정 클립
KR200285625Y1 (ko) 자동차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연결구조
JPH1023908A (ja) 時計バンド用のつまみ付きばね棒
KR200388166Y1 (ko) 풀림 방지용 스크류
CA1254260A (en) Metal fitting part for a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panels
JP2006153084A (ja) 位置決めピン
JPH07727Y2 (ja) セルフタッピングねじ
AU779074B2 (en) Tool for inserting a threaded part into an area difficult to access
JP4098804B2 (ja) セットスクリュー
KR20090018359A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