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643B1 - 승강기비상탈출조립체 - Google Patents

승강기비상탈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643B1
KR100301643B1 KR1019960032811A KR19960032811A KR100301643B1 KR 100301643 B1 KR100301643 B1 KR 100301643B1 KR 1019960032811 A KR1019960032811 A KR 1019960032811A KR 19960032811 A KR19960032811 A KR 19960032811A KR 100301643 B1 KR100301643 B1 KR 10030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wheel
shaft
brak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033A (ko
Inventor
치우 난 왕
Original Assignee
치우 난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우 난 왕 filed Critical 치우 난 왕
Priority to KR101996003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643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643B1/ko

Links

Abstract

승강기 비상 탈출장치는 기계 제어실내에 위치된 모터 샤프트에 고정된 브레이크를 구비한다. 작동 휘일이 전동 휘일과 결합하도록 모터 샤프트상에 장착되며, 이 전동 휘일은 그 위에 권취된 조작 케이블을 구비한다. 브레이크의 클러치 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작동봉은 작동봉을 통하여 브레이크의 제동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힘 출력 부재로 구성된 힘 인가 장치를 구비한다. 제동작용이 해제되면 비상 탈출용 조작 케이블을 당김으로써 승강기 칸(cab)을 수동으로 조작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본 발명은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기의 비상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의 정상 동작은 기계고장, 정전 및 그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내의 화재 등과 같은 각종 요인에 의하여 중단되기 쉽다. 따라서, 승강기의 탑승자가 승강기내에 갇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승강기가 층 사이의 중간쯤에서 가동불능이 된 경우에는 이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존하는 승강기는 갇힌 탑승자가 가동불능이 된 승강기를 안전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비상 탈출 장치를 거의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가동불능이 된 승강기의 탑승자가 그 승강기를 안전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승강기 비상 탈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비상 탈출 장치는 승강기의 기계 제어실내에 위치된 모터의 전동 샤프트상에 장착된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있다. 이 모터 전동 샤프트에는, 작동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는 전동 휠과 결합할 수 있는 작동 휠이 동축으로 장착된다. 작동봉은 승강기의 칸에 도달하도록 연장된 힘 출력 부재를 포함하는 힘 인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봉은 힘 출력 부재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동 작용을 해제시키도록 하고, 그럼으로써 가동불능이 된 승강기 칸을 작동 케이블에 의하여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모터 전동 샤프트상에 장착된 브레이크는 드럼형이다. 힘 출력 부재는 유압(또는 공압) 전송 튜브로서, 이 전송 튜브의 일단부는 제어 실린더와 접속되도록 승강기 칸내에 위치된다. 이 압력 전송 튜브의 타단부는 기계 제어실내에 위치된 피동 실린더와 접속된다. 승강기 칸내에 위치된 제어 실린더는 조작 핸들을 구비하는 피스톤 봉으로 이루어진다. 피스톤 봉은 조작 핸들의 운동에 의하여 작동되어, 유압(또는 공압)의 전송을 조절함으로써 피동 실린더의 피스톤 봉의 작동을 조절한다. 다음에, 작동봉은 피동 실린더의 피스톤 봉의 작동에 의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동되어 브레이크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킨다.
힘 출력 부재는 힘 인가 케이블 또는 체인일 수도 있으며, 이 힘 인가 케이블 또는 체인의 일단부는 승강기 샤프트의 바닥에 위치된 중량추에 고정된다. 힘 인가 케이블 또는 체인의 타단부는 기계 제어실내에 위치된 부재에 고정되는 바, 이 부재는 작동봉을 작동시켜서 제동 작용을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장치의 동작은 힘 출력 부재에 의하여 달성되며, 이 힘 출력 부재는 작동봉을 작동시켜서 브레이크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킬 수 있고, 또한 전동 휠이 작동 휠과 결합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전동 휠과 링크결합된 회전 휠상에 권취된 작동 케이블에 의하여 승강기 칸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모터 샤프트상에 장착된 작동 휠과 결합할 수 있는 전동 휠은 승강기의 승강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제한 마찰 휠을 구비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 확대도.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한 힘 인가 봉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승강기 칸(elevator cab)의 제어 실린더의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 케이블의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속도제한 마찰 휠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봉상에서 작동하는 캠의 개략도.
제11도는 전동 휠과 회전 휠을 장착하고 있는 회전봉의 개략도.
제12도는 캠이 본 발명의 브레이크 아암을 개방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캠이 브레이크 아암을 개방시키기 위한 접속봉을 갖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캠이 작동봉과 결합가능한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크랭크가 브레이크 아암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작동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풀로드(pull rod)가 작동봉을 작동시켜서 제동 작용을 해제시키는 것을 도시하는 개락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중 일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 6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 7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 7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 7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속도제한 원심 제동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계 제어실 2 : 승강기 칸
10 : 모터 20 : 브레이크
30 : 작동 휠 40 : 전동 휠
41 : 회전 휠 50 : 작동 케이블
60, 61, 62, 63 : 작동봉 70 : 힘 인가 장치
71 : 힘 출력 부재 200 : 윈도우
710 : 유압 또는 공압 전송 튜브 713 : 조작 핸들
제1도 및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구현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장치는 기계 제어실(1)내에 위치된 모터(10)의 전동 샤프트(11)상에 장착된 브레이크(20)로 이루어진다. 이 전동 샤프트(11)의 브레이크(20)에는 전동 휠(40)과 결합가능한 작동 휠(30)이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전동 휠(40)은 회전 휠(41)과 링크결합되어 있다. 회전 휠(41)의 주변에는 작동 케이블(50)이 권취되어 있다. 작동봉(60)은 브레이크(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것의 일단부에 승강기의 칸(elevator cab)(2)에 도달하도록 연장된 힘 출력 부재(71)로 구성된 힘 인가 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작동봉(60)은 브레이크(20)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힘 출력 부재(71)에 의하여 제어되며, 그에 의해서 승강기의 칸(2)을 작동 케이블(5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시켜 안전한 층에 도달시킴으로써 승강기 칸(2)내의 모든 탑승자가 탈출할 수 있게 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샤프트(11)상에 장착된 브레이크(20)는 원통형이며, 전자석에 의하여 야기되는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작동봉(60)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힘 출력 부재(71)는 유압(또는 공압) 전송 튜브(710)로서, 이 전송 튜브(70)의 일단부에는 그 전송 튜브가 유압(또는 공압) 제어 실린더(711)에 접속되도록 승강기 칸(2)의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승강기 칸(2)의 제어 튜브와 연결되어 배치되며, 전송 튜브(710)의 타단부는 기계 제어실(1)내에 위치된 피동 실린더(712)에 고정된다. 제어 실린더(711)의 피스톤 봉은 전송 튜브(710)에 의해 유압을 전송하도록 피스톤 봉을 작동시킬 수 있는 조작 핸들(713)을 구비한다. 피동 실린더(712)의 피스톤 봉의 작동은 전송 튜브(710)를 통하여 전송되는 유압에 의하여 조절된다.
피동 실린더(712)의 피스톤 봉은 힘 인가 장치(70)의 힘 인가 봉(72)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힘 인가 봉(72)은 작동봉(60)상에 수평으로 장착된다. 힘 인가봉(72)에는 지지봉(720)이 반경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지지봉(720)은 탄성부재(721)를 구비하고, 이 탄성부재(721)는 힘 인가 봉(72)이 하향으로 선회운동하도록 작용하여, 작동봉(60)을 가압함으로써 제동 작용을 해제시킨다.
전동 휠(40)과 회전 휠(41)은 힘 인가 봉(72)에 의해 위치설정된다. 아이들 휠(42)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휠(41)상에 권취된 작동 케이블(50)의 타단부에 의해 위치설정되어, 힘 인가 봉(72)이 하향으로 선회운동하여 제동 작용의 해제를 야기시킬 때, 전동 휠(40)을 작동 휠(30)과 결합시킨다. 승강기 칸(2)은 윈도우(200)를 구비하며, 승강기 칸의 탑승자는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작동 케이블(50)에 도달할 수 있다. 작동 케이블(50)을 당기면, 모터(10)의 샤프트(11)가 회전하여 승강기 칸(2)을 안전한 층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승강기 칸의 탑승자가 탈출할 수 있게 한다.
비상시에, 승강기 칸의 탑승자는 윈도우(200)를 파손 또는 개방시킴으로써 조작 핸들(713)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브레이크(20)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키자마자, 작동 케이블(50)을 수동으로 당김으로써 승강기 칸(2)을 안전한 층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힘 출력 부재(71)는 힘 인가 케이블(714)일 수도 있으며, 이 힘 인가 케이블(714)의 일단부는 승강기 샤프트의 바닥에 위치된 인장 중량추(715)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기계 제어실(1)내에 위치된 힘 인가 봉(72)에 고정된다. 비상시에는, 윈도우(200)를 통하여 힘 인가 케이블(714)에 도달할 수 있다. 힘 인가 케이블(714)을 수동으로 당기면, 힘 인가 봉(72)이 하향으로 선회운동하여 작동봉(60)이 브레이크(20)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키게 한다. 그 때 작동 케이블(50)을 수동으로 당김으로써 승강기 칸(2)을 안전한 층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힘 인가 봉(72)이 힘 출력 부재(71)에 의해서 작동되지 않을 때, 힘 인가 봉(72)은 그것(72)을 원위치로 다시 선회운동시킬 수 있는 중량추(722)를 구비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휠(30)은 고속 승강기의 모터(10)의 샤프트(11)상에 장착되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도제한 마찰 휠(400)을 구비하는 전동 휠(40)과 결합된다. 속도제한 마찰 휠(400)은 전동 휠(40)이 너무 빠르게 회전할 때 전동 휠(40)을 감속시키는데에 이용되도록 의도된 원심 제동 블록(401)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모터(10)의 샤프트(11)에서 제동 작용이 해제될 때, 승강기 칸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관성이 야기된다. 따라서, 속도제한 마찰 휠(400)은 승강기 칸이 보다 느린 속도로 안전한 층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터(10)의 샤프트(11)를 감속시키는데에 사용된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동 실린더(712)의 피스톤 봉은 구동봉(73)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이 구동봉(73)의 타단부는 작동봉(60) 및 베어링 지지대(732)상에 위치된 회전봉(731)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봉(73)에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봉(60)에 대향하는 캠(733)이 장착되어 있다. 피동 실린더(712)의 피스톤 봉이 작동하고 있거나 힘 인가 케이블(714)이 하향으로 당겨질 때, 회전봉(731)은 구동봉(73)에 의하여 작동되어 캠(733)이 작동봉(60)을 누르게 하고, 그것에 의해서 제동 작용을 해제시킨다. 회전봉(731)에는 윤좌(輪座)(734)가 편심적으로 고정된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좌(734)는 회전봉(731)에 평행한 축(735)을 구비한다. 전동 휠(40)과 회전 휠(41)이 축(735)상에 장착된다. 작동 케이블(50)이 회전 휠(41)상에 권취된다. 회전봉(731)이 회전하여 제동 작용을 해제시킬 때, 윤좌(734)는 하향으로 선회운동하여, 전동 휠(40)을 모터(10)의 샤프트(11)상에 장착되어 있는 작동 휠(30)과 결합시킨다. 그 결과로, 승강기 칸이 작동케이블(50)에 의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캠(733)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돌출부를 갖는다. 이 캠(733)은 브레이크(20)의 2개의 브레이크 아암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봉(731)이 회전할 때, 운동중에 있는 캠(733)은 브레이크 아암을 외향으로 밀어서, 모터의 샤프트(11)에서 제동 작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733)은 2개의 편심 접속봉(736)을 구비한다. 캠(733)이 회전될 때, 브레이크 아암은 편심 접속봉(736)에 의하여 외향으로 밀려나서 제동 작용을 해제시킨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733)은 작동봉(61)의 일단부와 결합하고 있는 편심 관통 구멍(737)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봉(731)이 회전될 때, 작동봉(61)은 캠(733)에 의하여 선회운동하도록 작동되어 브레이크(20)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킨다.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동 실린더(712)의 피스톤 봉[또는 힘 인가 케이블(714)]은 선회봉(74)에 고정되며, 이 선회봉(74)의 타단부는 가동봉(741)에 고정되고, 이 가동봉(741)은 그것이 작동봉(60)상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지지대(742)에 의해 위치설정된다. 가동봉(741)은 경사진 돌출부(743)를 구비한다. 피동 실린더(712)의 피스톤 봉이 작동될 때, 가동봉(741)은 선회봉(74)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고, 이 때 가동봉(741)의 경사진 돌출부(743)는 작동봉(60)을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밀어서 브레이크(20)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킨다. 전동 휠(40)과 회전 휠(41)이 가동봉(741)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가동봉(741)이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제동 작용을 해제시킬 때, 전동 휠(40)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회전 휠(41)상에 작동 케이블(50)이 권취된다. 결과적으로, 전동 휠(40)은 모터(10)의 샤프트(11)상에 장착된 작동 휠(30)과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 케이블(50)을 당김으로써 승강기 칸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가동봉(741)의 돌출부(743)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20)의 2개의 브레이크 아암 사이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2개의 브레이크 아암 사이에는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성 크랭크(744)도 위치설정된다. 2개의 이동성 크랭크(744)의 작동 아암은 돌출부(743)와 접촉하고 있다. 정상 동작 상태하에서, 2개의 이동성 크랭크(744)의 작동 아암은 전자 장치의 가압봉(urging rod)에 의하여 가압되며, 이 때 크랭크(744)는 선회운동하고, 크랭크(744)의 타단부는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아암의 상단을 밀어서 외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터(10)의 샤프트(11)에서 제동 작용이 해제되도록 한다. 가동봉(741)이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2개의 크랭크(744)는 돌출부(743)에 의하여 밀려서 선회함으로써 브레이크 아암을 외향으로 민다.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봉(741)은 그것에 고정된 풀로드(pull rod)(745)를 구비하며, 이 풀로드(745)의 타단부에는 작동봉(62)이 고정되어 있다. 가동봉(741)이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풀로드(745)가 작동하여 작동봉(62)을 회전시키며, 그 결과로 브레이크(20)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 칸 탑승자가 여러가지 방법으로 브레이크(20)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켜서, 승강기 칸을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승강기 칸에 갇힌 탑승자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안전한 층에 도달하게 한다.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0)의 샤프트(11)는 작동봉(6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21)를 구비하고, 이 작동봉(63)의 일단부는 전술한 바와 유사한 힘 인가 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힘 인가 장치(70)의 힘 출력 부재(71)는 유압(또는 공압) 전송 튜브(710)로서, 이 전송 튜브의 일단부는 그 튜브(710)가 유압(또는 공압) 제어 실린더(711)와 접속되도록 승강기 칸(2)내에서 승강기 칸(2)의 제어 튜브와 연결되어 배치된다. 전송 튜브(710)의 타단부는 기계 제어실(1)내에 위치된 피동 실린더(712)에 접속된다. 제어 실린더(711)의 피스톤 봉은 유압(또는 공압)이 전송 튜브(710)를 통하여 피동 실린더(712)로 전송되도록 피스톤 봉을 작동시킬 수 있는 조작 핸들(713)을 구비한다. 피스톤 봉은 그 압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작동봉(63)에 의하여 디스크 브레이크(21)의 제동 작용이 해제되며, 이 작동봉(63)은 피동 실린더(712)의 피스톤 봉에 고정되고, 또한 휠봉(wheel rod)(64)에도 고정된다. 휠봉(64)은 전동 휠(40)과 회전 휠(41)이 휠봉(64)상에 장착되도록 지지대(640)에 의해 위치설정된다. 작동 케이블(50)은 운동하고 있는 작동봉(63)에 의하여 휠봉(64)의 축방향 변위가 야기되도록 그리고 전동 휠(40)이 작동 휠(30)과 결합되도록 회전 휠(41)상에 권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승강기 칸(2)을 작동 케이블(50)로 수동 조작하여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승강기 칸(2)의 수동 조작은 승강기 칸(2)내에 있는 탑승자에 의하여 행해진다. 힘 인가 장치(70)의 힘 출력 부재(71)는 압력 전송 튜브(710) 대신에 힘 인가 케이블 또는 체인일 수도 있다. 이 힘 인가 케이블 또는 체인은 작동봉(63)의 조작 단부에 고정되며, 이 작동봉(63)이 힘 인가 케이블 또는 체인에 의하여 작동되어 디스크 브레이크(21)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브레이크(21)의 제동 작용의 제어는 작동봉(63)을 선회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제23도를 참조하면, 디스크 브레이크(21)는 모터(10)의 샤프트(11)의 타단부상에 장착되어 디스크 브레이크(21)와 작동 휠(30)이 동일 측면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으며, 작동 휠(30)은 작동봉(63)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샤프트 슬리브(65)상에 장착된다. 디스크 브레이크(21)의 디스크(210)와 샤프트 슬리브(65)의 사이에는 클러치(66)가 위치되며, 이 클러치(66)는 스프링(67)에 의해 강제되어 디스크(210)와 결합한 상태로 유지된다. 모터(10)의 샤프트(11)와 평행한 축(68)상에는 전동 휠(40) 및 회전 휠(41)이 장착된다. 회전 휠(41)상에는 작동 케이블(50)이 권취되며, 그것에 의해서 작동봉(63)이 샤프트 슬리브(65)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작동함으로써, 디스크(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강제되어 샤프트(11)에서 제동 작용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 동안에, 샤프트 슬리브(65)의 축방향 변위는 작동 휠(30)을 전동 휠(40)과 결합시키고, 그럼으로써 작동 케이블(50)이 모터(10)의 샤프트(11)를 구동시켜서 승강기 칸(2)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모터(10)가 고속 모터인 경우에, 샤프트 슬리브(65)는 속도제한 원심 제동 블록(650)을 구비하여야 한다. 모터(10)의 샤프트(11)상에 장착된 디스크(210)가 샤프트 슬리브(65)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려서 제동 작용을 해제시킨 경우에, 디스크(210)는 샤프트 슬리브(65)를 회전하도록 작동시켜서, 모터(10)의 샤프트(11)를 관성 회전시킨다. 정상 동작 상태하에서, 디스크(210)의 클러치 작용은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클러치(66)가 결합 상태에 있지 않을 경우에, 샤프트 슬리브(65)는 디스크(210)에 의하여 회전 동작할 수 없다. 샤프트 슬리브(65)의 회전속도가 소정 한계를 초과할 때에, 속도제한 원심 제동 블록(650)은 자동적으로 반발하여 샤프트 슬리브(65)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그 동안에, 모터(10)의 샤프트(11)의 회전속도는 감소되어 승강기 칸의 이동속도를 저하시킨다.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 슬리브(65)와 작동 휠(30)은 래칫(651)을 통하여 링크결합되어 있다. 작동 휠(30)은 전동 휠(40)에 직접 결합되며, 이 전동 휠(40)은 회전 휠(41)에 의하여 구동되고, 이 회전 휠(41)은 작동 케이블(50)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작동된다. 제동 작용의 해제는 샤프트 슬리브(65)의 축방향 변위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하여야 하며, 제한하는 의미로 간주하여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그것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실시예로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의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에서는, 힘 출력 부재에 의하여 작동봉을 작동시켜서 브레이크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키고 전동 휠이 작동 휠과 결합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전동 휠과 링크결합된 회전 휠 상에 권취된 작동 케이블을 당김으로써, 승강기 칸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3)

  1. 승강기의 기계 제어실내에 위치된 모터의 샤프트상에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샤프트에는 작동 휠이 동축으로 장착되고, 상기 작동 휠은 작동봉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작동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는 전동 휠과 결합되며, 상기 작동봉의 일단부에는 힘 인가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힘 인가 장치는 힘 출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힘 출력 부재의 일단부는 승강기 칸내에 위치된 제어 실린더와 접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기계 제어실내에 위치된 피동 실린더와 접속되며, 상기 제어 실린더는 피스톤 봉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봉에는 상기 힘 출력 부재를 통해 유압 또는 공압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 봉을 작동시킬 수 있는 조작 핸들이 장착되어, 상기 압력의 전송에 의하여 상기 피동 실린더의 피스톤 봉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작동봉을 제어하여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 작용을 해제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작동 케이블을 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 칸이 수동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샤프트상에 장착된 상기 브레이크는 드럼 브레이크이고; 상기 작동봉에는 피동 실린더를 갖는 힘 인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피동 실린더는 피스톤 봉을 갖고, 상기 피스톤 봉은 상기 작동봉상에 배치된 힘 인가 봉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힘 인가 봉의 타단부는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봉상에는 회전 휠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 휠상에는 작동 케이블이 권취되어, 상기 작동 케이블의 일단부는 아이들 휠에 고정되게 하며, 상기 회전 휠은 상기 힘 인가 봉이 선회운동할 때 전동 휠이 상기 작동 휠과 결합되도록 상기 전동 휠에 링크결합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봉은 힘이 발휘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작동력을 갖는 스프링을 반경방향으로 구비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봉의 타단부에는 중량추가 설치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변속 기어가 없는 고속 모터이며, 상기 모터는 상기 작동 휠을 그상에 장착하고 있는 샤프트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 휠은 속도제한 마찰 휠이 설치된 축을 갖는 전동 휠과 결합되게 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봉은 구동봉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봉의 타단부는 베어링 지지대에 의해 위치설정된 회전봉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봉은 상기 피동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봉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캠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봉이 상기 회전봉과 링크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작동봉이 상기 캠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봉의 일단부가 상기 구동봉을 작동시킬 수 있는 힘 인가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봉이 상기 회전봉을 구동시키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에는 윤좌가 편심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윤좌는 상기 회전봉에 평행한 축을 가지며, 상기 축상에는 전동 휠과 회전 휠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 휠상에는 작동 케이블이 권취되어, 상기 작동 케이블의 일단부는 아이들 휠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은 작동되어 상기 윤좌를 선회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동 휠이 상기 모터의 상기 샤프트상에 장착된 상기 작동 휠과 결합되도록 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상기 캠은 상기 드럼 브레이크의 2개의 브레이크 아암 사이에 위치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상기 캠은 상기 2개의 브레이크 아암에 접속된 2개의 편심 접속봉을 구비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상기 캠은 편심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봉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봉이 상기 작동봉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편심 관통 구멍에 고정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봉은 선회봉에 고정되며, 상기 선회봉의 타단부는 지지대에 의해 위치설정된 가동봉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봉이 상기 작동봉상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가동봉이 상기 선회봉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작동될 때, 상기 가동봉은 상기 피동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봉에 의하여 작동됨으로써 상기 작동봉을 하향 이동되도록 밀 수 있는 캠을 구비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봉은 상기 힘 인가 케이블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작동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봉상에는 회전 휠과 전동 휠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 휠상에는 작동 케이블이 권취되어, 상기 작동 케이블의 타단부가 아이들 휠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봉이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전동 휠이 상기 작동 휠과 결합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봉의 상기 캠은 상기 드럼 브레이크의 상기 2개의 브레이크 아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캠이 상기 2개의 브레이크 아암 사이에 위치된 2개의 크랭크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가동봉이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캠이 상기 2개의 크랭크를 작동시켜서 상기 2개의 브레이크 아암을 밀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봉의 상기 캠은 풀로드에 고정되고, 상기 풀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작동 봉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봉이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풀로드가 상기 작동봉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샤프트상에 장착된 상기 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이고; 상기 작동봉의 일단부는 힘 출력 부재를 포함하는 힘 인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힘 출력 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 전송 튜브이고, 상기 유압 또는 공압 전송 튜브의 일단부는 상기 승강기 칸내에 위치된 제어 실린더와 접속되고 타단부는 기계 제어실내에 위치된 피동 실린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 실린더는 피스톤 봉을 갖고, 상기 피스톤 봉은 이 피스톤 봉을 작동시켜서 상기 압력이 상기 피동 실린더로 전송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피동 실린더는 상기 작동봉에 고정된 피스톤 봉을 구비하여, 상기 피동 실린더의 피스톤 봉이 상기 작동봉을 선회운동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힘 출력 부재는 힘 인가 케이블 또는 체인이고, 상기 힘 인가 케이블 또는 체인의 일단부는 승강기 샤프트의 바닥에 위치된 인장 중량추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아이들 휠과 상기 작동봉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봉은 승강기 칸의 윈도우를 통하여 당겨질 수 있는 상기 힘 인가 케이블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은 회전 휠 및 전동 휠이 그상에 장착되어 있는 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휠이 상기 전동 휠에 링크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 휠상에는 작동 케이블이 권취되어, 상기 작동 케이블의 타단부가 아이들 휠에 고정되고, 상기 축이 상기 작동봉에 의하여 작동되어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전동 휠이 상기 작동휠과 결합하게 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및 상기 작동봉은 상기 모터의 상기 샤프트와 동일 측면상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휠은 상기 작동봉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샤프트 슬리브상에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슬리브와 상기 브레이크의 디스크 사이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는 클러치가 설치되고; 상기 축은 상기 모터의 상기 샤프트와 평행하고, 그상에는 회전 휠과 전동 휠이 장착되어, 상기 전동 휠이 상기 회전 휠에 링크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 휠상에는 작동 케이블이 권취되어, 상기 작동 케이블의 타단부가 아이들 휠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가 상기 작동봉에 의하여 작동되어 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작동 휠이 상기 전동 휠과 결합되도록 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샤프트상에 상기 브레이크와 샤프트 슬리브가 장착되며, 상기 사프트 슬리브와 상기 브레이크의 상기 디스크의 사이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는 클러치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상기 작동봉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작동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의 상기 디스크에서 제동 작용을 해제시키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상기 승강기 칸에서 상기 제동 작용이 해제될 때 상기 중량추의 관성 작용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상기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속도제한 마찰 휠을 갖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샤프트에는 샤프트 슬리브와, 작동 휠과, 그리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와 상기 작동 휠의 사이에 위치되는 래칫이 동축으로 장착되며, 상기 작동 휠은 전동 휠과 결합되고, 상기 전동 휠은 회전 휠이 장착되어 있는 축상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 휠상에는 작동 케이블이 권취되며, 상기 작동 케이블의 타단부는 아이들 휠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휠은 상기 작동 케이블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래칫이 상기 샤프트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게 하는 승강기 비상 탈출 조립체.
KR1019960032811A 1996-08-07 1996-08-07 승강기비상탈출조립체 KR10030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811A KR100301643B1 (ko) 1996-08-07 1996-08-07 승강기비상탈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811A KR100301643B1 (ko) 1996-08-07 1996-08-07 승강기비상탈출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033A KR19980014033A (ko) 1998-05-15
KR100301643B1 true KR100301643B1 (ko) 2001-10-22

Family

ID=6624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811A KR100301643B1 (ko) 1996-08-07 1996-08-07 승강기비상탈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819B1 (ko) 2004-05-04 2008-12-03 오로나, 에스. 쿱. 플로어들 사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 위한비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819B1 (ko) 2004-05-04 2008-12-03 오로나, 에스. 쿱. 플로어들 사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 위한비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033A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0565A (en) Elevator emergency escape device
JP2000191251A (ja) 非常解放装置
US5680911A (en) Elector emergency device
US20110272223A1 (en) Velocity limiter for an elevator
JP2001180892A (ja) 電動の家具駆動装置
USRE38835E1 (en)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JP2000344449A5 (ko)
US11898623B2 (en) Linear drive
US5713433A (en) Auxiliary escape of elevator
KR100301643B1 (ko) 승강기비상탈출조립체
CN111032555B (zh) 具有制动蹄的电梯紧急制动器
CA2407471C (en) Actuator for the emergency operation of a gearless driving machine of an elevator
RU2006142685A (ru) Авар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опускания лифтов, застрявших между этажами
CN115325052B (zh) 电子驻车制动器执行装置
JP427603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945995B1 (ko) 드럼 권양기용 안전장치
JPH0724237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3089354A1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JP4456967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4316995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制動方法
JP4294527B2 (ja) 出入口シート開閉機におけるシート昇降調節装置
KR20000051657A (ko) 수문용 권양장치
JPH0665587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時脱出装置
CN211971428U (zh) 一种电梯限速器的复位装置
WO2005040026A1 (en) Elevator rescue driv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