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633B1 - 인터페이스를통하여서로연결된데이타통신장치와정보처리단말을포함하며,데이타통신장치가정보처리단말로부터의지시에따라데이타통신을실행하는데이타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를통하여서로연결된데이타통신장치와정보처리단말을포함하며,데이타통신장치가정보처리단말로부터의지시에따라데이타통신을실행하는데이타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633B1
KR100299633B1 KR1019970055506A KR19970055506A KR100299633B1 KR 100299633 B1 KR100299633 B1 KR 100299633B1 KR 1019970055506 A KR1019970055506 A KR 1019970055506A KR 19970055506 A KR19970055506 A KR 19970055506A KR 100299633 B1 KR100299633 B1 KR 10029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address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terminal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225A (ko
Inventor
마고또 사따께
아쯔시 이께다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19701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41322A/ja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8003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6Transmitting or receiving computer data via an image communication device, e.g. a facsimile trans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정보 처리 단말과 데이타 통신 장치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데이타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타 통신 장치는 지시된 데이타 통신에서의 에러 호출을 판정하여, 이 에러 호출의 판정을 정보 처리 단말에 통지한다. 정보 처리 단말은 에러 호출의 판정 통지에 기초하여 에러 호출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를 금지시킨다.

Descriptio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데이타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단말을 포함하며, 데이터 통신 장치가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데이타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DATA COMMUNICATION SYSTEM WHICH INCLU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INTERFACE, AND IN WHICH TH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EXECUTES DATA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이하 "PC"로서 축약됨) 등과 같은 정보 처리 단말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데이타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데이타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스탠드 얼론(stand-alone) 상태에서조차 동작할 수 있는 팩시밀리 장치 및 PC가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팩시밀리 장치는 PC로 부터 각각 전송 요구 및 호출 요구에 따라서 전송 처리 및 호출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잘 알려져 왔다.
스탠드 얼론 팩시밀리 장치는 PC와 연결되지 않으며, 팩시밀리 전송을 위하여 할당된 전화 번호를 가지는 통신 파트너 장치가 팩시밀리 장치가 아닌 일반적인 통화 목적으로 설정된 전화일 경우, 예를 들면, 통신 파트너를 성가시게 하는 것을 고려하여, 전화 번호의 입력을 실패하여 그 전화 번호로의 팩시밀리 전송을 자동적으로 금지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즉, 호출이 할당된 통신 파트너로 수행된다고 할지라도 팩시밀리 전송이 라인 비지(line busy) 상태를 포함하여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을 경우, 팩시밀리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 까지 자동 재다이얼링이 디폴트(default) 동작으로서 약 3회 내지 5회 정도 통상적으로 수행된다.
잘못된 전화 번호가 할당되었기 때문에 팩시밀리 장치 대신에 사람이 응답할 경우에도, 통신 파트너가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한다면 성가시게 될 것이다.
후속되는 설명에 있어서, 팩시밀리 장치 대신에 사람이 응답하는 경우는 그 대표적인 원인에 대응되는 "에러 다이얼링(error dialing)"이라고 할 것이다.
한가지 해결책으로서, 단일 버튼 작동으로 통신 파트너를 쉽게 할당할 수 있는 원터치 다이얼 키는 파트너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그러한 해결책에 있어서, 만약 잘못된 전화 번호가 원터치 다이얼 키로 등록된다면, 등록된 번호가 잘못된 번호라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때 까지 몇 번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탠드 얼론 팩시밀리 장치는, 예를 들면, 5회의 재다이얼링 조작이 설정될 때 조차도, 두번의 가능성 있는 에러 다이얼링 동작이 존재할 경우, 재다이얼링은 중지(interrupt)되고, 그러한 다이얼 키와 같은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다른 다이얼 키들과 사용된 원터치 다이얼 키가 사용중지되도록 제공되어 왔다.
PC와 팩시밀리 장치가 서로 연결되며, PC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팩시밀리 전송을 실행할 수 있는 2가지의 종래 팩시밀리 시스템들의 형태가 있다.
한가지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파트너에 관련된 정보 및 이에 관련된 모든 이미지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이후 호출 및 전송이 수행된다. 다른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 파트너의 어드레스 등에 관련된 정보만이 저장되어, 호출 후에 PC로 부터의 이미지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PC 및 팩시밀리 장치가 서로 연결되며 PC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팩시밀리 전송을 실행하는 종래의 팩시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술한 스탠드 얼론 팩시밀리 장치에서 처럼 에러 다이얼링의 판정 및 에러 다이얼링을 사용금지하는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다.
즉, PC와 팩시밀리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대부분의 팩시밀리 시스템에 있어서, PC측의 소프트웨어는 스탠드 얼론 팩시밀리 장치에서의 원터치 다이얼 키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전화 디렉토리를 제어한다. 그러나,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지시된 전송 지시가 에러 다이얼링을 초래할 경우,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는 스탠드 얼론 팩시밀리 장치의 경우에서와 같이 사용 금지되지 않는다.
또한, 양측에서에서의 다이얼들이 금지 상태를 동기시키기 위하여, 팩시밀리 장치의 원터치 다이얼 키에 인가된 에러 다이얼링으로 인한 사용금지 상태는 PC측의 전화 디렉토리에 인가되며,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에 인가된 에러 다이얼링으로 인한 사용금지 상태는 팩시밀리 장치의 원터치 다이얼 키에 인가되는 그러한 시스템은 없다.
장치의 본체(main body)에 의해서만 전송 큐의 스케쥴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통신 파트너의 어드레스 등에 관련된 정보만이 저장되어, PC로 부터이미지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동안 전송이 수행되는 형태의 팩시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양측에서의 다이얼의 사용 금지 상태를 동기시키는 전술한 시스템을 구성한다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데이타 통신 장치와 PC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와 데이타 통신 장치가 서로 연결되며, 데이타 통신 장치는 PC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데이타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서, PC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데이타 통신에 효과적인 에러 호출의 판정과 호출 사용금지의 처리를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타 통신 장치에 의해 PC로 부터 통신 파트너의 어드레스 등에 관련된 정보를 먼저 수신하여, 이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며, 데이타 통신 장치로 부터 PC로 부터의 데이타를 호출된 파트너로 전송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PC 및 데이타 통신 장치에서의 사용금지된 상태의 정합성을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C 및 데이타 통신 장치가 서로 연결되며, 데이타 통신 장치가 PC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데이타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타 통신 장치측에서 사용 금지된 어드레스 또는 PC로 부터의 전송 명령이 사용 금지되는 어드레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며, 사용 금지 상태가 데이타 통신 장치측에서 해제되는 어드레스 또는 PC로 부터의 전송 명령의 사용 금지 상태가 사용자에게 해제되는 어드레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이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타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단말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데이타 통신을 실행한다. 데이타 통신 장치는 자동 호출후에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이 한 상기 처리가 부적절하다는 것이 식별되었을 때 식별 결과를 가리키는 정보를 정보 처리 단말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식별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타 통신 장치를 위한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타 통신의 지시를 금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타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단말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데이타 통신을 실행한다. 데이타 통신 장치는 자동 호출후에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식별하며, 이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적절하다고 식별되는 경우, 식별 결과를 가리키는 정보를 정보 처리 단말에 통지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식별 결과 정보에 기초한 데이타 통신 장치용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타 통신의 지시를 금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정보 처리 단말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데이타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타 통신 장치는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에 대한 자동 호출 후의 데이타 통신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전술한 처리가 부적절하다는 것을 식별 수단이 식별하였을 경우 정보 처리 단말에 식별 결과를 가리키는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단말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타 통신 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데이타 통신의 지시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타 통신 장치에 전송하고, 데이타 통신 장치로 하여금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에 대한 자동 호출 후의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적절하다는 것을 데이타 통신 장치가 식별하였을 경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타 통신 장치로 부터 전송된 식별 결과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식별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타 통신 장치용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타 통신의 지시를 금지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결부시켜 취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 설명으로 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서의 팩시밀리 전송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전체 팩시밀리 전송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제1 실시예에서의 재다이얼링에 관련된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 PC로 부터의 전송 지시에 따른 재다이얼링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은 제1 실시예에서 팩시밀리 장치의 메인 바디의 전송 동작에 의한 재다이얼링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의 팩시밀리 장치의 메인 바디 상에서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를 사용 금지하는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8은 제1 실시예에서 팩시밀리 장치의 메인 바디 상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9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PC를 사용하여 팩시밀리 전송을 예약하는 경우 PC 내의 소프트웨어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0은 제1 실시예에서 PC측에서의 다이얼 선택의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1은 제1 실시예의 팩시밀리 장치에서 PC로 부터 전송 예약을 수신하는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2는 제1 실시예에서의 PC측에서 전화 디렉토리 내의 통신 파트너를 사용 금지하는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3은 제1 실시예에서의 PC측에서 전화 디렉토리 내의 통신 파트너에 대한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4는 제1 실시예에서의 PC측에서 전송 예약 처리에 따른 팩시밀리측에서의 전송 큐(queue) 내에 진입된 PC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송 아이템의 상황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5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다이얼 입력 다이얼로그 박스 상에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다이얼로그 박스 상에 표시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5 내에 나타난 다이얼 입력 다이얼로그 박스에 있어서 사용 금지된 통신 파트너가 할프-톤 도트 메싱(half tone dot meshing)되기 쉬운 경우의 표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사용 금지된 다이얼링에 대한 경고 표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6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난 처리의 변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팩시밀리 장치
2 : CPU
3 : ROM
4 : S-RAM
5 : D-RAM
6 : 표시부
7 : 조작부
8 : 독출부
9 : 기록부
10 : 모뎀
11 : NCU
12 : 외부 입출력부
13 : 버스
14 : 네트워크
15 : P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팩시밀리 장치(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2),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4),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 표시부(6), 조작부(7), 독출부(8), 기록부(9), 모뎀(10), NCU(Network Control Unit; 11), 외부 입출력부(12), 및 버스(13)를 포함한다. 팩시밀리 장치(1)은 네트워크(14) 및 PC(15)에 연결된다.
시스템 제어부로서 제공된 CPU(2)는 전체 팩시밀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버스(13)를 통하여 각각의 유닛들에 연결된다. ROM(3)은 CPU(2)의 제어 프로그램, 다양한 종류의 초기값 등을 저장한다.
S-RAM(4)은 전기적으로 백업되어, 사용자에 의한 각 통신 파트너의 이름 및 팩시밀리 번호, 장치의 제어 데이타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설정값을 저장한다. D-RAM(5)는 이미지 데이타를 저장하며, 다양한 종류의 작업용 버퍼 저장소로서 이용된다.
표시부(6)은 LCD(Liquid-Crystal Display), LED(Light-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하며, 현재 시간, 독출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조작부(7)은 예를 들면, 미리 전화 번호 등을 등록하기 위해 10진수 키패드를 사용하여 동작을 입력하는 일반 전화 번호 보다 단순한 동작에 의해 통신 파트너를 할당할 수 있는 전화번호, 원터치 다이얼 키 및 단축 다이얼 키를 입력하기위한 10진수 키패드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각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 데이타의 등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독출부(8)은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CS 이미지 센서(contact-type image sensor), 원고 반송 기구, 이미지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하며, 원고를 광학적으로 독출하고, 이를 전기적인 이미지 데이타로 변환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고밀도 이미지 데이타를 생성한다.
기록부(9)는 잉크젯 또는 전기 사진(electrophotographic) 프린터 등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수신된 이미지 데이타의 기록,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다양한 종류의 설정 및 통신 제어 정보의 기록, PC(15)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한 문서의 인쇄를 수행한다.
모뎀(10)은 팩시밀리 진행 신호의 변조/복조, D-RAM 내에 미리 저장된 이미지 데이타를 팩시밀리 이미지 신호로 변조, 팩시밀리 이미지 신호를 D-RAM(5) 내에 저장될 이미지 데이타로 복조 등을 수행한다. NCU(11)는 팩시밀리 장치(1)과 네트워크(14) 간의 접속/절단을 제어한다. 모뎀(10)과 NCU(11)은 상호 접속되며, 원격지의 이미지 통신 장치로/로 부터 팩시밀리 진행 신호 및 팩시밀리 이미지 신호의 송수신을 중개한다.
외부 입출력부(12)는 병렬의 입출력용 LSI(Large-Scale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며, 팩시밀리 장치(1)와 PC(15) 간의 제어 명령의 입력 및 다양한 종류의 파마미터들과 데이타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PC(15)는 MPU(microprocessing unit), 하드 디스크, 키보드, 표시 등을 포함한다. MPU는 하드 디스크 내에서 초기화되는팩시밀리 장치(1)로 데이타를 교환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에 기초한 다양한 종류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2는 사용자에 의해 도 1에 나타난 팩시밀리 장치(1)의 조작부(7)을 사용하여 팩시밀리 전송을 예약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플로우챠트 내에 나타난 처리는 ROM(3) 내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2)에 의해 실행된다.
사용자가 도 1에 나타난 조작부(7)을 사용하여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 10진수 키패드 등과 같은 다이얼링에 관련된 키를 누를 때, 도 2에 나타난 전송 예약 처리가 실행된다.
먼저, 단계 S2-001에서는 눌려진 키가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 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처리는 단계 S2-002로 진행된다.
단계 S2-002에서는 눌려진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가 에러 다이얼링의 판정에 기초하여 금지 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약 단계 S2-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2-003으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2-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2-006으로 진행된다. 에러 다이얼링을 판정하는 방법의 상세는 후에 기술될 것이다.
단계 S2-003에서, 사용자는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가 표시부(6)을 사용하여 사용 금지 되었는지의 사실을 확인하여,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다. 만약 단계 S2-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2-004로 진행된다. 단계 S2-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사용자에게 통신 파트너를 재입력할 것인지를 묻기 위하여 표시부(6) 상에 표시가 제공되는 단계 S2-001로 복귀된다.
단계 S2-004에서, 사용 금지 키처럼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 금지 상태 및 동일 전화 번호를 가지는 다른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 금지 상태는 사용자가 조작부(7)를 조작하여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요구에 기초하여 해제되며, 그 처리는 단계 S2-005로 진행된다. 이러한 동작의 상세는 이후에 기술될 것이다.
단계 S2-005에서,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PC(5)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 디렉토리 중에서 해당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와 같은 전화 번호를 가지는 모든 가능성 있는 사용 금지 어드레스, 및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전화 번호에 관련된 정보가 파라미터로서 부가되어, 해당 전화 번호의 사용 금지 상태의 해제가 PC(15)에 대하여 요구된다.
단계 S2-006은 단계 S2-002에서의 판정이 부정적일 경우, 또는 단계 S2-005의 처리가 종료되었을 경우, 또는 단계 S2-007의 처리가 종료되었을 경우에 실행된다. 단계 S2-006에서, 팩시밀리 전송 아이템은 스케쥴링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 큐 내에 진입되어, 전송 예약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S2-007은 단계 S2-00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일 경우 실행된다. 단계 S2-007에서, 사용자는 10진수 키패드 등과 같은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와는 다른 키를 사용하여 팩시밀리 전송용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 입력의 종료를 가리키는 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 그 처리는 단계 S2-006으로 진행된다.
전술한 단계에 따르면, 팩시밀리 전송은 조작부(7)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예약된다.
도 3은 전체 팩시밀리 처리, 예를 들면, 팩시밀리 장치가 전송 큐 내에 진입한 팩시밀리 전송 아이템에 대응되는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타에 기초하여 호출 처리를 수행한 후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권고 T.30으로 팩시밀리 전송 확인을 수행하고, 또는 팩시밀리 장치가 호출 처리 또는 팩시밀리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재다이얼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또한, 플로우챠트 내에 나타난 처리는 ROM(3) 내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2)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단계 S3-001에서는 전송 큐 내에 진입한 팩시밀리 전송 아이템이 호출 시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판정의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02로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도 2에 나타난 송신 예약 처리에서의 전송 큐 내에 진입한 아이템은 즉시 호출 시간을 시작한다. 만약 단계 S3-00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단계 S3-001은 그러한 상태를 충족시키는 아이템이 생성될 때 까지 반복된다.
단계 S3-002에서, 통신 큐 내에 진입하는 아이템에 대응되는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를 호출하기 위하여, 네트워크(14)는 NCU(11)을 제어하여 폐결한다. 통상적인 상태에서, 네트워크(14)를 폐결한 후, 다이얼 톤(이하 "DT"로서 축약됨) 신호가 검출된다. 다음으로, 할당된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가 호출된다. 링잉(ringing)(이하 "RBT"라 칭함) 신호를 검출한 후, 그 처리는 호출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가정하는 단계 S3-0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3-003에서는 호출이 정상적으로 단계 S3-002에서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3-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04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3-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예를 들면, 만약 DT 신호가 검출되지 않거나, 비지톤(busy tone)(이하 "BT"로 축약됨) 신호가 RBT 신호 대신에 검출되었다면, 그 처리는 단계 S3-009로 진행된다.
단계 S3-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 실행되는 단계 S3-004로 부터 단계 S3-008로의 진행은 ITU-T 권고 T.30의 수순에 기초한다.
즉, 단계 S3-004에서는 팩시밀리 진행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3-004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07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3-004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05로 진행된다.
단계 S3-005에서는 ITU-T 권고 T.30에 기술된 시간 주기 T1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3-005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09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3-005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06으로 진행된다.
단계 S3-006에서는 팩시밀리 진행의 CNG(calling tone) 신호가 전송되어, 그처리는 단계 S3-004로 복귀된다.
단계 S3-007에서는 수신된 팩시밀리 신호가 DIS(digital identification) 신호 및 DTC(digital transmission command) 신호 중 하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3-007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08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3-007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09로 진행된다.
단계 S3-008에서는 이미지 데이타가 ITU-T 권고 T.4에 기초하여 부호화되어, 이 결과의 데이타는 통신을 통하여 이미지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 성공과 관련없는 전송 처리가 종료되면, 그 처리는 단계 S3-009로 진행된다.
단계 S3-009에서, 네트워크(14)는 NCU(11)을 제어하여 해제되며, 그 처리는 단계 S3-010으로 진행된다.
단계 S3-010에서는 단계 S3-008의 처리가 실행되었고 팩시밀리 이미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010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11로 진행된다. 단계 S3-010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3-011에서, 전송 결과에 기초하여 시작 시간, 통신 시간 주기,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 및 약칭, 통신 조작 번호, 전송의 성공 혹은 실패 등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정보가 S-RAM(4) 내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단계 S3-012에서, 전송 큐 내에 진입한 해당 아이템은 전류 전송 처리를 완료하기 위하여 전송 큐로 부터 삭제되어, 그 처리는 단계 S3-001로 복귀된다.
단계 S3-010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일 경우 실행되는 단계 S3-013에서, 전송의 해당 아이템의 재다이얼링 처리가 실행된다. 이러한 처리의 상세는 후에 기술될 것이다.
단계 S3-014에서는 전송의 해당 아이템의 재다이얼링이 단계 S3-013의 재다이얼링 처리로 허가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3-014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3-001로 복귀된다. 만약 단계 S3-014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단계 S3-011의 처리가 실행된다.
전술된 단계들에 따르면, 전송 큐 내에 진입된 팩시밀리 전송의 아이템의 전송 처리가 실행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13 내에서 수행되는 재다이얼링에 관련된 서브루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단계 S4-001에서는 전송이 PC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수행되는 것인지 혹은 팩시밀리 장치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수행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PC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처리는 단계 S4-002로 진행된다. 팩시밀리 장치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송하는 경우에 그 처리는 단계 S4-0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4-002의 처리의 상세는 도 5에 나타나며, 단계 S4-003의 처리의 상세는 도 6에 나타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단계 S4-002에서 수행된 PC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재다이얼링 처리에 관련된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단계 S5-001에서는 RBT 신호가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02에서의 호출 처리 동안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5-00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5-002로 진행된다. 단계 S5-00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5-005로 진행된다
단계 S5-002에서는 BT 신호가 RBT 신호 후에 검출되었는지의 여부, 예를 들면, 만약 BT 신호가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04로 부터 단계 S3-006으로 루프 처리되는 동안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5-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5-004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5-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5-0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5-003에서는 팩시밀리 진행 신호가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04로 부터 단계 S3-006으로 루프 처리되는 동안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5-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07의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그 처리는 단계 S5-005로 진행된다. 만약 시간 주기 T1이 팩시밀리 진행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경과되었다면, 그 처리는 단계 S5-004로 진행된다.
단계 S5-004에서, "에러 다이얼링"을 가리키는 데이타는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01에서 이용될 통신 제어 정보로서 준비되며, 그 처리는 단계 S5-005로 진행된다.
단계 S5-005에서, 전송 아이템의 재다이얼링이 재다이얼링의 서브루틴 처리내에서 중지됐다는 사실이 호출한 측에 전송되어, 재다이얼링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된 단계들에 따르면, PC로 부터 지시된 각 전송 아이템에 대한 에러 다이얼링 및 재다이얼링을 판정하는 서브루틴 처리가 실행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계 S4-003에서 팩시밀리 장치로 부터의 전송 지시에 따라 재다이얼링 처리에 관련된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단계 S6-001에서는 RBT 신호가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02의 호출 처리 동안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6-00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6-002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6-00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6-010으로 진행된다.
단계 S6-002에서는 BT 신호가 RBT 신호 후에 검출되었는지의 여부, 예를 들면, 만약 BT 신호가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04로 부터 단계 S3-006으로 루프 처리되는 동안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6-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6-004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6-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6-0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6-003에서는 팩시밀리 진행 신호가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04로 부터 단계 S3-006으로 루프 처리되는 동안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6-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07의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그 처리는 단계 S6-010으로 진행된다. 만약 시간 주기 T1이 팩시밀리 진행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경과되었다면, 그 처리는 단계 S6-004로 진행된다.
단계 S6-004에서, 각 전송 아이템에 대하여 0으로 초기화된 상태에서 준비된에러 다이얼링 동작의 수 "err"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 값은 1씩 증가되며, 그 처리는 단계 S6-005로 진행된다.
단계 S6-005에서는 에러 다이얼링 카운터의 값 "err"가 2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6-005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6-010으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6-005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6-006으로 진행된다.
단계 S6-006에서,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들 내에 등록된 모든 통신 파트너들의 전화 번호를 재다이얼링 처리하기 쉽도록 전화 번호를 비교 및 사용금지 처리하는 단계 S6-006에서, 동일 전화 번호가 원터치/단축 다이얼로 등록된다면,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가 실행된다. 이러한 처리의 상세는 후에 기술될 것이다.
단계 S6-007에서, 동일 전화 번호를 가지는 모든 어드레스를 PC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 디렉토리에서의 해당 전송 아이템으로서 사용금지하기 위하여,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호에 관련된 정보는 그 전화 번호를 사용 금지하기 위하여 PC(15)를 요구하는 파라미터로서 부가되며, 그 처리는 단계 S6-008로 진행된다.
단계 S6-008에서, "에러 다이얼링"을 가리키는 데이타는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11에서 이용될 통신 제어 정보로서 준비되며, 그 처리는 단계 S6-009로 진행된다.
단계 S6-009에서, 해당 전송 아이템의 재다이얼링이 재다이얼링의 서브루틴 처리내에서 중단되었다는 사실이 재다이얼링 처리가 종료되도록 호출한 측으로 전송된다.
단계 S6-010의 처리는 단계 S6-00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일 경우, 또는 단계 S6-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또는 단계 S6-005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에 실행된다. 단계 S6-010에서,
각 전송 아이템에 대하여 0으로 초기화된 상태에서 준비된 재다이얼링 동작의 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 값 "redial"은 하나씩 증가되며, 그 처리는 단계 S6-011로 진행된다.
단계 S6-011에서는 재다이얼링 번호 카운터의 값 "redial"이 미리 설정된 값 n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01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6-013으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6-01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6-012로 진행된다.
단계 S6-012에서, "재다이얼링의 실패"를 가리키는 데이타는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11에서 이용될 통신 제어 정보로서 준비되며, 그 처리는 단계 S6-009로 진행하고, 재다이얼링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6-013에서,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11에서 언급된 해당 전송 아이템의 호출 시간이 재다이얼링 타이머의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정되며, 그 처리는 단계 S6-014로 진행된다.
단계 S6-014에서, 해당 전송 아이템의 재다이얼링이 재다이얼링의 서브루틴 처리 내에서 허가되었다는 사실은 호출한 측으로 전송되며, 재다이얼링 처리는 종료된다.
전술된 단계들에 따르면, 각 전송 아이템에 대한 에러 다이얼링 및 재다이얼링을 판정하는 서브루틴 처리가 실행된다.
도 7은 에러 다이얼링으로서 판정된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도 6에 나타난 단계 S6-006에서 기술된 것 처럼 등록되는 경우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를 사용 금지하기 위한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제1 실시예의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L 어드레스는 원터치 다이얼 키들을 사용하여 지정될 수 있으며, M 어드레스는 단축 다이얼 키들을 사용하여 지정될 수 있다. 합계 N = L + M 의 등록된 데이타는 S-RAM(4) 내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먼저, 단계 S7-001에서, 등록된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억세스하기 위한 인덱스 i는 0으로 초기화 되며, 단계 S7-002 내와 이후의 루프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7-002에서는 인덱스 i가 순차적으로 등록된 데이타의 전체수 N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7-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7-003으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7-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에러 다이얼링을 사용 금지하는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7-003에서는 에러 다이얼링될 것으로 판정된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호 cur_dial이 등록된 데이타의 i 번째 위치에 저장된 전화 번호 다이얼[i]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동시에, 호출시 네트워크로 전송되지 않는 공백 기호, 괄호, 언더라인 등과 같은 특수 문자를 제외하여 비교를 수행한다. 만약 단계 S7-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7-004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7-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7-005로 진행된다.
단계 S7-004에서, 에러 다이얼링되도록 판정된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화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를 사용 금지하기 위하여, 사용 금지 상태를 가리키는 값은 i 번째 등록된 데이타에 대한 속성 영역 내에 설정되며, 그 처리는 단계 S7-005로 진행된다.
단계 S7-005에서는 인덱스 i가 1씩 증가되고, 그 처리는 루프 처리를 반복하기 위하여 단계 S7-002로 복귀된다.
전술한 단계들에 따르면, 에러 다이얼링되도록 판정된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호와 동일한 번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를 사용 금지하는 서브루틴 처리를 사용금지하는 에러 다이얼링이 실행된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난 단계 S2-004에 기술된, 사용 금지된 키의 것과 동일한 전화 번호를 가지는 다른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들 및 사용금지된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단계 S8-001에서는 등록된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억세스하기 위한 인덱스 i가 0으로 초기화 되며, 단계 S8-002 에서와 이후의 루프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8-002에서는 인덱스 i가 순차적으로 등록된 데이타의 전체수 N 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8-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8-003으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8-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에러 다이얼링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8-003에서는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요구된 사용자의 전화 번호 cur-dial이 등록된 데이타의 i 번째 위치에 저장된 전화 번호 다이얼[i]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동시에, 호출시 네트워크로 전송되지 않는 공백 기호와, 괄호, 언더라인 등과 같은 특수 문자를 제외하여 비교를 수행한다. 만약 단계 S8-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8-004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8-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8-005로 진행된다.
단계 S8-004에서, 사용자가 사용금지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요구한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 금지 상태와는 다른 상태를 가리키는 값이 i 번째 등록된 데이타에 대한 속성 영역 내에 설정되며, 그 처리는 단계 S8-005로 진행된다.
단계 S8-005에서는 인덱스 i가 1씩 증가되고, 그 처리는 루프 처리를 반복하기 위하여 단계 S8-002로 복귀된다.
전술한 단계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요구한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 금지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며, 에러 다이얼링의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서브루틴 처리가 실행된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PC(15)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팩시밀리 전송을 예약할 때 PC 내의 소프트웨어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 플로우챠트의 처리는 PC(15)의 하드 디스크 내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MPU에 의해 실행된다.
사용자가 PC(15) 내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PC(15)에 접속된 키보드 또는 포인팅(pointing) 장치를 사용하여 메뉴로 부터의 팩시밀리 전송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도 9에 나타난 PC측에서 처리하는 전송 예약이 실행된다.
도 15와 도 16은 이 전송 예약 처리에 사용된 PC(15)의 표시 화면 상에 다이얼로그 박스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5에 나타난 표시는 PC(15) 내에 미리 등록된 전화 디렉토리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 다이얼로그 박스를 도시하였으며, (first/last) 이름, 회사의 명칭, 각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 및 팩시밀리 번호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난 표시는 사용 금지된 다이얼의 사용금지 상태의 해제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얼로그 박스를 해제하는 사용금지 상태를 나타낸다. 이 표시는 에러 다이얼링되도록 판정된 팩시밀리 번호를 나타내며, 사용 금지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판넬이 해제될 것이다. 이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다이얼로그 박스는 사용금지된 팩시밀리 번호가 선택되어질 때 PC(15)의 표시 화면 상에 자동적인 팝업(pop-up) 표시로 되기 쉽다.
통신 파트너에 대한 전송 예약은 그러한 두개의 다이얼로그 박스를 사용하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수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단계 S9-001에서, 팩시밀리 전송을 위한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권유하기 위하여, 도 15에 나타난 다이얼 입력 다이얼로그 박스가 표시된다. 일명 전화 디렉토리는 팩시밀리 장치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 대신에 PC측의 소프트웨어 내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도 15에 나타난 다이얼 입력 다이얼로그 박스를 사용하여, 전화 디렉토리 내에 등록된 통신 파트너를 선택하거나 전화 번호를 직접적으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팩시밀리 전송을 위한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단계 S9-001에서, 다이얼 입력 다이얼로그 박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다이얼 선택 처리가 수행되며, 그 처리는 단계 S9-002로 진행된다. 이러한 처리의 상세는 후에 기술될 것이다.
단계 S9-002에서, 팩시밀리 장치 내에 제공된 전송 아이템 큐에서의 사용자의 다이얼 선택에 기초하는 팩시밀리 전송 아이템으로 직접 진입하기 위하여, 큐 내의 해당 전송 아이템으로의 진입 요구가 외부 입출력부(12)를 통하여 PC측의 소프트웨어로 부터 팩시밀리 장치로 전송된다.
PC로 부터의 큐 내의 전송 아이템으로의 진입 요구에 대하여 팩시밀리 장치측에서의 처리, 예를 들면, 팩시밀리 장치 내에서 PC로 부터의 전송 예약을 수용하는 처리는 후에 기술될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S9-003으로 부터 단계 S9-007로의 처리가 적절하게 실행된다. 이 처리는 팩시밀리 장치(1) 및 PC(15)에서의 사용금지 상태 간의 동기를 재저장하기 위하여, 팩시밀리 장치(1)에 의해 제어된 각각의 다이얼 키들의 사용금지 상태와 PC(15)에 의해 제어된 전화 디렉토리 내의 각각의 통신 파트너들의 사용금지 상태가 동일한 이유로 팩시밀리 장치(1)과 PC(15) 간의 미접속으로 인해 단절되었을 때 실행된다.
단계 S9-003에서는 단계 S9-002에서 수행되는 팩시밀리 장치측에서 큐 내의 전송 아이템으로의 진입 요구에 대한 팩시밀리 장치의 응답 내용이 사용금지 상태를 가리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9-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예를 들면, 진입 요구에 대한 팩시밀리 장치의 응답이 "요구된 전송 아이템에 대응되는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가 팩시밀리 장치에서의 사용금지 상태에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면, 그 처리는 단계 S9-004로 진행된다. 단계 S9-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PC측에서의 전송 예약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9-004에서, 단계 S9-003에서의 판정 결과에 응답하여,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팩시밀리 장치측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금지 상태가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기 위하여, 도 16에 나타난 다이얼로그 박스를 통지하는 사용금지 상태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해당 다이얼 키의 사용금지 상태의 해제가 선택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9-004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9-005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9-004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9-007로 진행된다.
단계 S9-005에서, 단계 S9-004에서 수행된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PC측에서 제어된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 내의 통신 파트너의 사용 금지 상태가 해제되며, 그 처리는 단계 S9-006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처리의 상세는 후에 기술될 것이다.
단계 S9-006에서, 단계 S9-004에서 수행된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팩시밀리 장치측에서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해당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된 경우 원터치/단축 다이얼의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요구가 외부 입출력부(12)를 통하여 PC측에서의 소프트웨어로 부터 팩시밀리 장치로 전송된다.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팩시밀리 장치는 도 8에 나타난 에러 다이얼링의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 다음에, 그 처리는 단계 S9-002로 복귀하여, 팩시밀리 장치측에 큐내의 해당 전송 아이템으로의 진입 요구가 재전송된다.
단계 S9-007에서, 단계 S9-004에서 수행된 사용금지 상태를 허용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화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 내의 통신 파트너는 사용금지되고, PC측에 전송 예약 처리는 종료된다. 이러한 처리의 상세는 후에 기술될 것이다.
전술된 단계들에 따르면, PC측에서 전송 예약 처리가 실행된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난 단계 S9-001에 기술된 PC측에서의 다이얼 선택의 서브루틴 처리를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명 전화 디렉토리는 팩시밀리 장치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들 대신에 PC측의 소프트웨어 내에 제공된다.
먼저, 단계 S10-001에서, 사용자는 팩시밀리 전송의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를 지정하기 위하여 표시된 다이얼 입력 다이얼로그 박스를 사용하여, 전화 디렉토리 내에 등록된 임의의 통신 파트너를 선택하거나 전화 번호를 직접적으로 입력하여 다이얼 선택의 완료를 지시한다.
단계 S10-002의 처리는 단계 S10-001에서 수행된 다이얼 선택을 완료하기 위한 지시에 응답하여 실행된다. 단계 S10-002에서는 단계 S10-001에서 선택된 통신 파트너가 사용금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10-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0-003으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0-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PC측에서의 다이얼 선택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10-003에서, 단계 S10-002에서의 판정 결과에 응답하여, 도 16에 나타난 다이얼로그 박스를 해제하는 사용금지 상태가 단계 S9-004에서 처럼 나타나며, 사용자는 통신 파트너의 사용금지 상태의 해제흘 선택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한다. 단계 S10-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0-004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0-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사용자가 다이얼 선택을 다시 수행하기를 요구하는 경우 단계 S10-001로 복귀된다.
단계 S10-004에서, 단계 S10-003에서 제공된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PC측에서 제어된 PC측에 전화 디렉토리에서의 통신 파트너의 사용 금지 상태가 해제되며, 그 처리는 단계 S10-005로 진행된다. 이러한 처리의 상세는 후에 기술될 것이다.
단계 S10-005에서, 단계 S10-003에서 제공된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팩시밀리 장치측에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선택된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화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등록되는 경우에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사용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요구가 PC측에 다이얼 선택 처리를 종료하기 위하여, 외부 입출력부(12)를 통하여 PC측에서의 소프트웨어로 부터 팩시밀리 장치로 전송된다.
전술된 단계들에 따르면, PC측에서의 다이얼 선택 처리가 실행된다.
도 11은 PC로 부터 도 9에 나타난 단계 S9-002에서 실행된 팩시밀리 장치로의 전송 큐에서의 전송 아이템으로의 진입 요구에 응답하여, 팩시밀리 장치 내에서 실행된 PC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송 큐에서의 전송 아이템에 진입하는 처리, 예를 들면, 팩시밀리 장치에서 PC로 부터 전송 예약을 수신 처리를 상세하게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단계 S11-001에서는 전송 큐 내에 진입되도록 요구된 전송 아이템에 대응되는 전화 번화와 동일한 전화 번호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가 사용금지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만약 단계 S11-01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진입되도록 요구된 전송 아이템이 전송 큐 내에 진입되는 경우에 단계 S11-002로 진행된다. 그 다음에, 단계 S11-003에서, 예약 완료가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예약 숫자와 함께 PC(15)로 통지되며, PC(15)로 부터의 전송 예약의 수신 처리가 종료된다.
만약 단계 S11-01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사용금지 상태의 사실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지되는 경우에 단계 S11-004로 진행되고, PC로 부터의 전송 예약의 수신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한 단계들에 따르면, 팩시밀리 장치에서 PC로 부터의 전송 예약의 수신처리가 실행된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난 단계 S9-007 및 도 14에 나타난 단계 S14-007에서 기술된 서브루틴 처리, 예를 들면, 사용금지 상태가 에러 다이얼링으로 인해 제공되거나 에러 다이얼링과 같은 판정 때문에, 이 단계들에서 지정된 전화 번화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 PC측에 전화 디렉토리 내의 통신 파트너를 사용금지 처리하는 것을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1 실시예에서의 PC(15) 내의 전화 디렉토리가 각 통신 파트너와 인덱스 번호에 관련된 정보를 억세스할 수 있도록 PC(15) 내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된다. 현재 등록된 통신 파트너의 번호는 n으로 가정된다.
먼저, 단계 S12-001에서, 순차적으로 제어되며, 각기 등록된 통신 파트너를 순차적으로 억세스하기 위한 인덱스 i는 0으로 초기화되고, 단계 S12-002에서와 이후의 루프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2-002에서는 인덱스 i가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현재의 등록된 통신 파트너의 수 n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12-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2-003으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2-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2-00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2-003에서는 지정된 전화 번호 spec_dial이 i 번째 등록된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화 pc.dial[i]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동시에, 팩시밀리 장치에서의 에러 다이얼링을 사용금지 처리하는 것 처럼, 호출시 실제적으로 네트워크로 전송되지 않는 공백 기호와, 괄호, 언더라인 등과 같은 특수 문자를 제외하여 비교를 수행한다. 만약 단계 S12-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2-004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2-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2-005로 진행된다.
단계 S12-004에서, 지정된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전화 디렉토리에서의 통신 파트너를 사용금지하기 위하여, 사용금지 상태를 가리키는 값은 i 번째 등록된 통신 파트너에 대응되는 속성 영역에 설정되어, 그 처리는 단계 S12-005로 진행된다.
단계 S12-005에서는 인덱스 i가 1씩 증가되며, 그 처리는 루프 처리를 반복하기 위하여 단계 S12-002로 복귀된다.
단계 S12-006에서, 사용금지 상태를 가리키는 값이 단계 S12-004에서 설정되는 등록된 통신 파트너에 대응되는 속성 영역내에서 검출되고, 도 15에 나타난 다이얼 입력 다이얼로그 박스(전화 디렉토리) 내의 통신 파트너들로 부터의 모든 사용금지된 통신 파트너들은 예를 들면 딤머(dimmer) 표시에 따라, 다른 통신 파트너들로 부터 구별되어 표시된다.
도 17은 그러한 표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서, 다른 통신 파트너와의 구별은 도면에서 실현하기 어려운 딤머 표시 대신에 할프 톤 도트 매싱(half tone dot meshing) 표시에 따라 수행된다. 그 다음에, PC측에서 에러 다이얼링을 사용금지하는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된 단계들에 따르면, 지정된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PC측에 전화 디렉토리내의 통신 파트너들이 사용금지하는 PC측에서 에러 다이얼링을 사용금지하는 서브루틴 처리가 실행된다.
도 13은 도 2에 나타난 단계 S3-005에 기술된 팩시밀리 장치로 부터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요구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도 5에 나타난 단계 S9-005에 기술된 서브루틴 처리, 예를 들면, 지정된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 PC측에 전화 디렉토리내의 통신 파트너의 사용 금지 상태를 제거하는 처리가 단계 S9-005에서 수행되는 것을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단계 S13-001에서는 순차적으로 등록된 통신 파트너를 순차적으로 억세스하기 위한 인덱스 i는 0으로 초기화되고, 단계 S13-002에서와 이후의 루프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3-002에서는 인덱스 i가 순차적으로 등록된 통신 파트너의 수 n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3-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3-003으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3-002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3-00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3-003에서는 지정된 전화 번호 spec_dial가 i 번째 등록된 통신 파트너의 전화 번호 pc.dial[i]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동시에, 팩시밀리 장치에서의 에러 다이얼링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 처리하는 것 처럼, 호출시 실제적으로 네트워크로 전송되지 않는 공백 기호와, 괄호, 언더라인 등과 같은 특수 문자를 제외하여 비교를 수행한다. 만약 단계 S13-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3-004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3-0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3-005로 진행된다.
단계 S13-004에서, 지정된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 전화 디렉토리에서 통신 파트너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 금지된 것과 다른 상태를 가리키는 값이 i 번째 등록된 통신 파트너에 대응되는 속성 영역에 설정되며, 그 처리는 단계 S13-005로 진행된다.
단계 S13-005에서는 인덱스 i는 1씩 증가되며, 그 처리는 루프 처리를 반복하기 위하여 단계 S13-002로 복귀된다.
단계 S13-006에서는 단계 S12-006에서 도 17에 나타난 다이얼 입력 다이얼로그 박스에서의 사용금지 상태로서 표시된 통신 파트너들로 부터, 사용금지 상태가 단계 S13-004에서 해제되었던 통신 파트너들은 정상적인 표시로 복귀된다. 예를 들면, 만약 도 17에서의 사용금지 상태를 가리키는 할프 톤 도트 매싱 표시로 되기 쉬운 두 통신 파트너들이 정상 표시로 복귀된다면, 도 15에 나타난 표시가 얻어진다. 그 다음에, PC측에서 에러 다이얼링의 사용금지 상태의 해제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된 단계들에 따르면, 지정된 전화 번화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 PC(15)측에 전화 디렉토리내의 통신 파트너들의 사용금지 상태가 해제되는 PC(15)측에서 에러 다이얼링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서브루틴 처리가 실행된다.
도 14는 PC측에서, 도 9에서 기술된 PC(15)측에서 전송 예약 처리에 따라 팩시밀리 장치(1)측에 전송 큐로 진입되었던 PC(15)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전송 아이템의 상황을 제어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 처리는 PC(15)에 기초하는 전송 아이템이 팩시밀리 장치(1)의 전송 큐로 부터 삭제되는 것을 가리키는 내용들이 얻어질 때 까지 주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실행된다.
우선, 단계 S14-001에서는 팩시밀리 장치(1)의 전송 큐에서의 인큐가 허가되며 PC(15)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전송 아이템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4-00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4-002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4-00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러한 아이템의 존재는 이 아이템이 얻어질 때 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된다.
단계 S14-002에서, 전송 예약 번호에 의해 일치된 전송 아이템의 상황의 취득은 이 번호를 사용하여 팩시밀리 장치에 요구되며, 그 처리는 단계 S14-0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4-003에서, 전송 큐의 내용과 전송 아이템의 상황은 팩시밀리 장치측으로 부터 응답으로서 수신된다. 만약 전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전송 상황이 가리켜진다면, 그 처리는 단계 S14-001로 복귀된다. 만약 전송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라고 전송 상황이 가리켜지면, 그 처리 단계 S14-002로 복귀되어, 전송 아이템의 상황의 취득을 팩시밀리 장치에 다시 요구한다. 만약 전송 상황이 전송 실패를 가리킨다면, 그 처리는 단계 S14-004로 진행된다.
단계 S14-004에서, 도 3에 나타난 단계 S3-011에서 저장된 통신 제어 정보는 팩시밀리 장치측으로 부터 응답으로서 제공되며, 통신 제어 정보가 "에러 다이얼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14-004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4-005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4-004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4-010으로 진행된다.
단계 S14-005에서, 각 전송 아이템에 대하여 0으로 초기화되는 상태에서 준비된 에러 다이얼링 동작의 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의 값 "err"은 1씩 증가되고, 그 처리는 단계 S14-00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4-006에서는 에러 다이얼링 카운터의 값 "err"가 2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14-006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4-010으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4-006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4-007로 진행된다.
단계 S14-007에서, 전송이 PC로 부터 지시되었던 통신 파트너가 에러 다이얼링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에러 알람(error alarm)이 울리고, 통신 파트너가 사용금지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도 18에 나타난 것 처럼 에러 다이얼링을 사용금지하기 위한 다이얼로그 박스가 표시 화면 상에 경고 표시로서 팝업된다.
단계 S14-008에서, 도 12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해당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통신 파트너가 사용금지되며, 그 처리는 단계 S14-009로 진행된다.
단계 S14-009에서, 도 7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에러 다이얼링으로서 판정된 전송 아이템의 전화 번호와 동일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가 사용금지되며, 그 처리는 단계 S14-0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4-010의 처리는 단계 S14-004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일 경우, 또는 단계 S14-006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에 실행된다. 단계 S14-010에서, 각 전송 아이템에 대하여 0으로 초기화되는 상태에서 준비된 재다이얼링 동작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의 값 "redial"은 1씩 증가되고, 그 처리는 단계 S14-011로 진행된다.
단계 S14-011에서는 재다이얼링 수 카운터의 값 "redial"은 미리 설정된 수 n 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단계 S14-01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4-012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 S14-01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그 처리는 단계 S14-0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4-012에서, 팩시밀리 장치측의 큐로 부터의 전송 아이템이 PC측의 최종 큐에서 재 인큐(en큐)되며, 그 처리는 단계 S14-0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4-013에서, PC측의 큐의 선두(head)에서의 전송 아이템은 팩시밀리 장치측의 최종 큐에서 인큐되며, 그 처리는 PC측에서의 전송 제어 처리의 제1 단계인 단계 S14-001로 복귀된다.
전술된 단계들에 따르면, PC의 지시에 기초하는 전송 아이템의 상황을 주기적으로 취득하는 처리하는 것, 통신 제어 정보에 따라 에러 다이얼링 카운터를 제어하는 것, PC측에서의 에러 다이얼링을 처리하는 것, 재다이얼링 카운터를 제어하는 것, 및 PC측 및 팩시밀리 장치측에서 전송 큐를 제어하는 것 등이 실행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기술할 것이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호출 사용금지 처리는 팩시밀리 장치(1)의 원터치/단축 다이얼에 대응되는 속성 영역에서의 사용금지 상태를 가리키는 값을 설정함으로서 이루어지고, PC(15)로 부터의 팩시밀리 전송 지시를 금지하는 처리는 PC(15)에서 전화 디렉토리에서의 각 통신 파트너에 대응되는 속성 영역에서의 사용금지 상태를 가리키는 값을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금지 상태가 설정될 때, 팩시밀리 전송에 대해 비효율적인 전화 번호는 팩시밀리 장치의 모든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들의 전화 번호 및 PC측의 전화 디렉토리의 모든 통신 파트너 내에 등록된 전화 번호와 비교되며, 동일 전화 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 PC측에서 전화 디렉토리에서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 혹은 통신 파트너들이 사용금지된다.
또한, 전술된 호출 사용금지 처리와 팩시밀리 전송 지시 금지 처리는 팩시밀리 장치측 및 PC측에서 에러 다이얼링에 의한 사용금지 전화 번호의 목록을 관리하는 방법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예를 들면, 팩시밀리 장치(1)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가 선택되는 경우, 팩시밀리 장치(1)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는 선택된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 내에 등록된 전화 번호를 가지는 팩시밀리 장치의 S-RAM(4) 내에서 관리되는 에러 다이얼링으로 인한 사용금지 전화 번호의 목록을 비교하여 선택되어, 사용금지 상태의 판정이 수행될 수 있다.
PC측에서의 처리는 동일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에러 다이얼링으로 인한 전화 번호의 사용금지 상태가 사용금지된 전화 번호를 관리하는 목록의 사이즈에 의존하여 저장될 수 없을 수 있는 가능성에 주위를 기울이는 동안, (도 6에 나타난 단계 S6-008 및 도 14에 나타난 단계 S14-002) 사용금지 상태의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처리와, 팩시밀리 장치측과 PC측에서 제어된 에러 다이얼링에 의한 사용금지 전화 번호들의 목록의 내용이 항상 서로 일치하도록 호출이 사용금지되는 통신 파트너를 통지하는 처리를 이용하여, 팩시밀리 장치(1) 및 PC(15)에서의 사용금지 상태간의 동기가 쉽게 유지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 있어서, 호출의 사용금지 상태의 해제를 통지 처리하기 위하여, 단계 S2-005에서, PC(15) 내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 디렉토리내의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와 같은 전화 번호를 가지는 모든 가능성있는 사용금지 어드레스를 허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어드레스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금지된 원터치/단축 다이얼 키의 전화 번호에 관련된 정보를 부가하는 방법, 전화 번호의 사용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PC(15)가 요구하는 것이 나타난다. 그러나, 팩시밀리 장치(1)측과 PC(15)측에서 제어되는 에러 다이얼링으로 인한 사용금지 전화 번호들의 목록의 내용이 항상 서로 일치한다면, 전화 번호 정보 대신에 목록에서의 수를 더하고, 해당 전화 번호의 사용금지 상태의 해제를 요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지시가 금지되는 통신 파트너가 PC측에서 전화 디렉토리에서의 이들 파트너들을 위한 딤머 표시(도 17에서의 할프 톤 도트 매싱 표시)를 통신 지시가 금지되는 통신 파트너들을 가리키는 처리로서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가리켜진다. 그러나, 딤머 표시(도 17에서의 할프 톤 도트 매싱 표시), 예를 들면, 형태, 사이즈 혹은 폰트의 색이 변화될 수 있거나, 패턴 또는 마킹(marking)이 배경으로 제공된다.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PC 및 팩시밀리 장치가 서로 접속되며, PC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팩시밀리 전송을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에러 다이얼링(error calling)의 판정과 PC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팩시밀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팩시밀리 전송을 위한 사용금지 다이얼링(calling)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PC와 팩시밀리 장치가 서로 접속되는 대부분의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PC측에서의 소프트웨어는 스탠드 얼론 팩시밀리에서의 원터치 다이얼 키들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전화 디렉토리를 관리한다.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지시된 팩시밀리 전송이 에러 다이얼링을 초래할 때,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는 스탠드 얼론 팩시밀리 장치의 경우에서 처럼 사용금지될 수 있다.
게다가, 팩시밀리 장치의 원터치 다이얼 키에 인가된 에러 다이얼링으로 인한 사용금지 상태를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에 인가하는 것과,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에 인가된 에러 다이얼링으로 인한 사용금지 상태를 팩시밀리 장치의 원터치 다이얼 키에 인가하는 것, 및 양 측에서 다이얼링의 사용금지 상태를 동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미지 전송 동안, PC로 부터 팩시밀리 장치로 통신 파트너의 어드레스 등에 관련된 정보만을 호출이 전송하며, 그 다음에 PC로 부터 팩시밀리 장치로 이미지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동안 전송이 수행되는 형태의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양 측에서의 다이얼링의 사용금지 상태를 동기시키는 전술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팩시밀리 장치측에서 사용금지된 어드레스 또는 PC로 부터의 전송 지시가 금지되는 통신 파트너에 관련된 정보를 알람수단 또는 지시 수단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전송하는 것과, 사용금지된 상태가 팩시밀리 장치측에서 해제되는 통신 파트너 혹은 PC로 부터의 전송 지시에 대한 금지 상태가 그러한 파트너의 복귀 표시에 의해 정상 표시로 해제되는 통신 파트너에 관련된 정보를 확실하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전송 지시가 금지되는 통신 파트너를 선택할 때, 전송 지시가 에러 다이얼링의 상태가 해제되어지는 통신 파트너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사용금지된 상태를 해제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통신 파트너의 상황에 따라 처리를 유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실시예의 변형에서와 같이, 도 19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난 단계 S6-0061의 처리는 도 6에 나타난 단계 S6-006과 단계 S6-007 사이에 부가될 수 있고, 단계 S6-007의 처리는 에러 다이얼링으로서 판정된 전송 처리가 PC(15)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될 때 실행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팩시밀리 장치에 의한 판정 처리와 판정 결과 카운팅 처리가 PC로 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팩시밀리 전송에 대한 에러 다이얼링을 판정하는데 이용되기 때문에, 팩시밀리 장치측과 PC측에서의 소프트웨어에서의 정정이 줄게되는 2차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팩시밀리 장치의 원터치 다이얼 키에 인가되는 에러 다이얼링에 기인한 사용금지 상태를 PC측의 전화 디렉토리에 인가하며, PC측에서의 전화 디렉토리에 인가되는 에러 다이얼링에 인한 사용금지 상태를 팩시밀리 장치의 원터치 다이얼 키에 인가하며, PC와 팩시밀리 장치 양자에서의 다이얼링에 대한 사용금지 상태를 동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PC(15)가 LAN(local area network)에 접속되며, LAN 상의 단말이 PC(15)를 억세스하여 전화 디렉토리를 이용하는 경우, 에러 다이얼링으로 인한 사용금지 상태에서의 통신 형태 및 전화 번호가 LAN 상의 단말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표시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G3 모드 팩시밀리 통신은 사용금지될 통신 형태로서 채택되며, 물론 G4 모드 팩시밀리 통신, 대화용 전화, 인터넷 통신, 가상 전화 등도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물론, 통신 파트너를 호출하기 위한 지시의 금지 상태는 통신 형태로 채택된 파라미터(예를 들면, 인터넷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통신 파트너에 관련된 정보로서 호출 장치(팩시밀리 장치(1))에 통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이용하여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접속된 장치 혹은 시스템 내의 컴퓨터(CPU 혹은 MPU)를 제공하고, 컴퓨터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를 작동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프로그램 코드들은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들을 컴퓨터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본 발명을 구성하도록 실시예들의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compact-disk)-ROM,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ROM 등은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코드들은 물론,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이 컴퓨터에 의해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들을 실행하여 실행될 경우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코드들이 컴퓨터내에서 동작하는 OS(operating system), 다른 응용 소프트웨어 등과 결합하여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의 기능 확장 카드내에 혹은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 내의 메모리 내에 제공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한 후, 기능 확장 보드 혹은 기능 확장 유닛 내에 제공된 CPU 등은 실체 처리의 일부 혹은 전체를 수행하며,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처리하여 실현된다.
도면들 내의 블럭들에 의해 지정된 개개의 성분들은 데이타 통신 시스템 분야에서 모두 잘 알려져 있으며, 그들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모드 혹은 동작에 중요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가 될 것으로 고려되는 것을 현재의 시점에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및 기술적 사상 내에 포함된 등가 배열 및 다양한 변형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속되는 청구 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과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기 위하여 가장 넓게 해석된 것과 일치될 것이다.

Claims (52)

  1. 데이타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단말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데이타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로의 자동 호출 후에 데이타 통신 처리가 적절한 지 또는 부적절한 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이 상기 처리가 부적절하다는 것을 식별하였을 때 상기 식별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식별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 대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의 지시를 금지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 까지 미리 설정된 회수의 데이타 통신 동작을 재시행하기 위한 재시행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재시행 수단이 미리 설정된 회수의 데이타 통신 동작을 재시행했을 경우,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로의 상기 데이타 통신 처리가 상기 호출된 어드레스로 부터의 데이타 통신의 무효를 나타내는 응답을 미리 설정된 회수 만큼 반복한 결과로서 부적절한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데이타 통신에서 유효한 응답 신호가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호출된 어드레스로 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위한 응답 판정 수단과;
    유효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판정하는 상기 응답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회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제1 카운팅 수단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로의 상기 데이타 통신 처리가 상기 제1 카운팅 수단에 의한 카운팅 결과에 따라서 부적절한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호출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적절하다는 것을 상기 식별 수단이 식별하였을 때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을 위한 호출을 금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데이타 통신 단말로 부터의 상기 식별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의 회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제2 카운팅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지 수단은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 대한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의 지시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 대한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금지 수단이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를 금지할 때, 상기 금지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 통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통지된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을 위한 호출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서의 호출의 사용금지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과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서의 호출의 사용금지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가 서로에게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호출이 사용금지된 어드레스에 대한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제1 해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가 금지된 어드레스에 대한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2 해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 및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서의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가 독립적으로 해제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해제 수단에 의해 호출의 사용금지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가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통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로 부터 수신된 상기 호출 사용금지 설정이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로의 지시를 금지하는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제2 해제 수단에 의해 지시의 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가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 통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수신된 지시의 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가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로의 호출을 사용금지하는 설정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서의 어드레스에 대한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해제와,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서의 어드레스로의 지시에 대한 금지 상태의 설정 해제는 서로에 대해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지시의 금지 상태를 설정하는 경우에 데이타 통신의 지시를 금지하는 것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수단은 지시가 금지되는 어드레스를 식별되도록 표시하여 데이타 통신의 지시를 금지하도록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수단은 에러 경고음을 발생하여 데이타 통신 지시를 금지하도록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일부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미리 등록하기 위한 등록 수단과,
    상기 등록 수단 내에 등록된 어드레스들 중에서 데이타 통신 지시가 금지된 어드레스를 다른 어드레스와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데이타 통신의 지시가 금지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딤머(dimmer) 표시에 따라 다른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와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데이타 통신의 지시가 금지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의 폰트를 변화시켜 상기 다른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의 폰트와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일부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미리 등록하기 위한 등록 수단과;
    상기 등록 수단 내에 등록된 어드레스들 중에서 소정의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데이타 통신을 지시하기 위한 어드레스 선택 수단과;
    상기 지시 금지 수단에 의해 데이타 전송 지시가 금지되는 어드레스의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금지된 상태의 설정이 상기 제2 해제 수단에 의해 해제된 어드레스의 표시를 상기 사용금지된 상태의 설정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데이타 통신 지시의 금지 상태가 설정된 어드레스가 상기 어드레스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어드레스에 대한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선택하게 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해제 수단은 해제의 선택을 위한 표시에 대한 매뉴얼 지시에 응답하여 지시의 금지 상태의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
  20. 데이타 통신 장치와 정보 처리 단말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데이타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로의 자동 호출 후의 데이타 통신 처리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식별하여, 상기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적절하다는 것이 식별되었을 경우에, 상기 식별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데이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결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 대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회수의 데이타 통신 동작을 재시행하며,
    미리 설정된 회수의 데이타 통신 동작을 재시행되었을 경우, 상기 호출된 어드레스로 부터의 데이타 통신의 무효를 나타내는 응답을 미리 설정된 회수 만큼 반복한 결과로서 상기 어드레스로의 상기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적절한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호출된 어드레스로 부터 데이타 통신에서의 유효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유효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음을 판정하는 회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카운팅 결과에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로의 상기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적절한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호출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적절하다는 것을 식별하였을 때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을 위한 호출을 사용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데이타 통신 단말로 부터 상기 식별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의 회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 대한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의 지시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 대한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가 금지될 때, 상기 사용 금지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 통지하고,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통지된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을 위한 호출을 사용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서의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와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서의 호출의 사용금지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가 서로에게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호출이 사용금지된 어드레스에 대한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을 해제하는 제1 해제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가 금지된 어드레스에 대한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를 해제하는 제2 해제 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 및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서의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들이 독립적으로 해제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해제 처리에 의해 호출의 사용금지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가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로 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이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로의 지시를 금지하는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제2 해제 처리에 의해 지시의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가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타 통신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수신된 지시의 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가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로의 호출을 사용금지하는 설정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에서의 어드레스에 대한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해제와,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서의 어드레스로의 지시에 대한 금지 상태의 설정 해제는 서로에 대해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지시의 금지 상태를 설정하는 경우에 데이타 통신의 지시를 금지되도록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처리는 지시가 금지되는 어드레스를 식별되도록 표시하여 데이타 통신의 지시를 금지되도록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처리는 에러 경고음을 발생하여 데이타 통신 지시를 금지하도록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일부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어드레스들 중에서 데이타 통신 지시가 금지된 어드레스를 다른 어드레스와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데이타 통신의 지시가 금지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딤머 표시에 따라 다른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와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데이타 통신 지시가 금지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의 폰트를 변화시켜 상기 다른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의 폰트와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일부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어드레스들 중에서 소정의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데이타 통신을 지시하고, 데이타 전송의 지시가 금지되는 어드레스의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사용금지된 상태의 설정이 상기 제2 해제 처리에 의해 해제된 어드레스의 표시를 상기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데이타 통신 지시의 금지 상태가 설정된 어드레스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어드레스에 대한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선택하게 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고, 상기 제2 해제 처리는 해제의 선택을 위한 표시에 대한 매뉴얼 지시에 응답하여 지시의 금지 상태의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9. 제20항에 있어서, 호출된 통신 파트너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데이타 통신 장치는 통신 형태를 판정하여, 상기 판정된 통신 형태가 데이타 통신일 경우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절적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40. 외부 정보 처리 단말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데이타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로의 자동 호출 후에 데이타 통신 처리가 적절한지 또는 부적절한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처리가 부적절하다는 것을 상기 식별 수단이 식별하였을 경우,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상기 식별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지시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회수의 데이타 통신 동작을 재시행하기 위한 재시행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재시행 수단이 미리 설정된 회수의 데이타 통신 동작을 재시행했을 경우,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호출된 어드레스로 부터의 데이타 통신의 무효를 나타내는 응답을 미리 설정된 회수 만큼 반복한 결과로서 상기 어드레스로의 상기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적절한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호출된 어드레스로 부터 데이타 통신에서의 유효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응답 판정 수단과;
    상기 응답 판정 수단에 의해 유효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판정하는 회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제1 카운팅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로의 상기 데이타 통신 처리가 상기 제1 카운팅 수단에 의한 카운팅 결과에 따라서 부적절한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처리가 부적절하다는 것을 상기 식별 수단이 식별하였을 때 상기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을 위한 호출을 사용금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이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를 금지한 경우에,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통지된 상기 사용금지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을 위한 호출을 사용금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
  45. 제40항에 있어서, 호출이 사용금지되는 어드레스에 대한 호출의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수단과;
    호출의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가 상기 해제 수단에 의해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통지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이 어드레스로의 데이타 통신 지시의금지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를 해제한 경우에, 지시의 금지 상태의 설정이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 부터 해제된 어드레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어드레스로의 호출의 사용금지 상태의 설정 상태를 상기 수신된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 장치.
  47. 데이터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정보 처리 단말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
    상기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에 의해 지시된 어드레스로 호출하기 위한 호출 수단;
    상기 호출 수단에 의한 호출이 적절한지 또는 부적절한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로의 호출이 금지되도록 상기 호출 수단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 및
    상기 어드레스로의 호출이 금지되도록 상기 설정 수단이 상기 호출 수단을 설정하는 것을 상기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매뉴얼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동작 유닛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르는 호출이 금지되도록 상기 호출 수단을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의한 어드레스 지시로의 팩시밀리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50. 정보 처리 단말과 연결된 데이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의 전송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계에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수신된 전송 지시를 기초로 한 어드레스로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 단계에서 호출이 적절한지 또는 부적절한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 단계에서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로의 호출이 금지되도록 상기 데이터 통신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어드레스로의 호출이 금지되도록 상기 데이터 통신 장치가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되는 것을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51. 데이터 통신 장치에 연결된 정보 처리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 장치에 전송 지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전송 지시를 따르는 상기 어드레스로의 전송이 금지되도록 상기 데이터 통신 장치가 설정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단계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로의 상기 전송 지시가 상기 검출 단계에서의 검출의 결과에 따라 금지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단말의 제어 방법.
  52. 데이터 통신 장치 및 정보 처리 단말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로하여 호출되며, 상기 데이터 통신 장치의 동작 유닛은 상기 지시에 기초한 어드레스로의 호출이 적절한지 또는 부적절한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어드레스로의 부적절한 호출이 금지되도록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설정하고,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은 상기 데이터 통신 장치로의 호출을 지시하며, 상기 지시에 기초한 상기 어드레스로의 호출이 적절한지 또는 부적절한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어드레스로의 부적절한 호출의 지시가 금지되도록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설정하며,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의한 금지의 설정 및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의한 금지의 설정은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970055506A 1996-10-29 1997-10-28 인터페이스를통하여서로연결된데이타통신장치와정보처리단말을포함하며,데이타통신장치가정보처리단말로부터의지시에따라데이타통신을실행하는데이타통신시스템 KR100299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03579 1996-10-29
JP30357996 1996-10-29
JP9197011A JPH1141322A (ja) 1997-07-23 1997-07-23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コード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JP97-197011 1997-07-23
JP9249789A JPH10190931A (ja) 1996-10-29 1997-08-29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97-249789 1997-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225A KR19980033225A (ko) 1998-07-25
KR100299633B1 true KR100299633B1 (ko) 2001-09-03

Family

ID=2653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506A KR100299633B1 (ko) 1996-10-29 1997-10-28 인터페이스를통하여서로연결된데이타통신장치와정보처리단말을포함하며,데이타통신장치가정보처리단말로부터의지시에따라데이타통신을실행하는데이타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90931A (ko)
KR (1) KR1002996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1741A (en) * 1990-11-29 1994-06-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acsimile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munication failure
WO1995006386A1 (en) * 1993-08-26 1995-03-02 Alphanet Telecom Inc. Facsimile systems for personal computing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1741A (en) * 1990-11-29 1994-06-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acsimile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munication failure
WO1995006386A1 (en) * 1993-08-26 1995-03-02 Alphanet Telecom Inc. Facsimile systems for personal compu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225A (ko) 1998-07-25
JPH10190931A (ja) 199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9597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personal computer and facsimile machine through an interface
US6498836B1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299633B1 (ko) 인터페이스를통하여서로연결된데이타통신장치와정보처리단말을포함하며,데이타통신장치가정보처리단말로부터의지시에따라데이타통신을실행하는데이타통신시스템
JP2002374383A (ja) 通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US7312885B2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233725B1 (ko) 팩시밀리의 잠금장치 및 그 방법
JP2569502B2 (ja) 遠隔コントロ−ルフアクシミリ
JP3656403B2 (ja) 通信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100268343B1 (ko) 복합기의 팩스데이터의 메모리 수신방법
JP3751482B2 (ja) 通信端末装置
JPH118861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970003385B1 (ko) 자동 리다이얼기능 해제시 정보 프린팅방법
KR100271162B1 (ko) 메모리 관리방법
KR100260909B1 (ko) 팩시밀리 작업정보의 관리방법
JP286103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画情報転送装置
JP200113637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286786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64330B1 (ko) 팩시밀리의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JP2616641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41322A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コード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KR20000013003A (ko) 팩시밀리의 메모리 정보의 백업방법 및 그 장치
JPH0425262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4220087A (ja) 親展受信機能を有したファクシミリ
JP2001186318A (ja) ファクシミリ通信装置
KR19990038612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