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111B1 -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111B1
KR100299111B1 KR1019990022023A KR19990022023A KR100299111B1 KR 100299111 B1 KR100299111 B1 KR 100299111B1 KR 1019990022023 A KR1019990022023 A KR 1019990022023A KR 19990022023 A KR19990022023 A KR 19990022023A KR 100299111 B1 KR100299111 B1 KR 10029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interleaved
data
bit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150A (ko
Inventor
모리타카쯔오
Original Assignee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가키 코지
Publication of KR2000000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소비전력이 감소된,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선택호출수신기가 개시되어 있다.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는 각 어드레스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터로 변환된다. 타이밍 디텍터가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판정 타이밍을 검출한다. 설정된 판정 타이밍은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세팅된다. 간이 비교회로가 각 어드레스에 대한 부분 어드레스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자신의 어드레스의 카운터파트와 비교하기 위해 제공된다. 무선시스템은 수신 어드레스에 대한 비교결과를 기초로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선택적으로 전원이 온 및 오프된다.

Description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 INTERLEAVED SELECTIVE CALLING SIGNAL}
본 발명은 인터리브(interleave) 무선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설계된 무선 선택호출수신기 및 그의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전원의 무선 선택호출수신기는 배터리 절약 구성에 따라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된 선택호출신호가 수신된 어드레스 정보와 그 자체의 저장된 어드레스 정보 사이의 비트 비교를 수행함으로써 그 수신기 자체에 어드레스되는 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수신된 선택호출신호가 그 자신의 위치에 어드레스되지 않으면, 무선 수신시스템에 대한 전원공급이 일시 중지된다. 한편 수신된 선택호출신호가 수신기 자체에 어드레스되면, 상기 무선 수신시스템에 대한 전원공급은 계속되며 원하는 수신동작이 이루어진다.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제 60-182232 호에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불필요한 동작시간을 줄인 선택호출수신기가 제안되었다. 특히, 수신된 어드레스 정보는 그 자신의 저장된 어드레스 정보와 비트단위로 비교되어진다. 에러 비트의 수가 설정값을 초과한 때에는 상기 무선 수신시스템은 수신동작을 정지하기 위해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소비를 줄인다.
다른 한편, 근년에 복수개의 데이터 스트림이 비트형태로 인터리브된 구성이 적용되었다. 인터리브 구성에 있어서, 하나의 블럭은 복수개의 워드로 구성되며, 각 워드의 비트들이 설정된 방식으로 하나의 블럭내에 산재된다. 예를 들어, 4개의32 비트 데이터 스팅:A1-A32, B1-B32, C1-C32 및 D1-D32 이 A1, B1, C1, D1, A2, B2, C2, D2, A3, B3, C3, D3,... A32, B32, C32 및 D32의 계열을 산출하기 위해 인터리브된다. 이러한 인터리브 구성은 높은 잡음면역 및 용이한 에러 정정의 특징을 갖는다.
상기 인터리브 구성에서 각 워드의 비트들이 하나의 블럭에서 산재되기 때문에 만약 하나의 블럭의 모든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어드레스 정보의 모든 비트들이 완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인터리브 구성을 적용한 시스템내의 무선 선택호출수신기에서는, 하나의 블럭의 모든 데이터가 수신된 때에, 무선 선택호출신호가 수신기 자체에 어드레스되는 지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수신된 선택호출신호가 수신기 자체에 어드레스되지 않은 것이 명백한 때일지라도 하나의 블럭의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불필요한 동작과 낭비적인 전력소비를 초래한다.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는 측면에서 이것은 개선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선택호출수신기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2는 간이 어드레스 비교회로, 전체 어드레스 비교회로 및 에러판정부로 구성된 실시예의 주요 파트의 상세한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a는 인터리브 수신 데이터의 블럭 포멧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b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절약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무선시스템
3 : 디인터리브부 4 : 수신데이터 격납버퍼
5: 어드레스 메모리 6 : 간이 어드레스 비교회로
7 : 에러판정부 8 : 전체 어드레스 비교회로
9 : 제어프로세서 10 : 비트카운터
61, 62, 81, 82 : 쉬프트 레지스터
63, 83 : 배타적 논리합회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기 설정된 비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어드레스의 인터리브(interleave)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을 포함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어드레스 기억장치가 상기 수신장치에 할당된 설정된 어드레스를저장하며, 무선시스템이 인터리브 수신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를 각 어드레스를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와,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된 판정 타이밍을 검출하기 위한 타이밍 디텍터를 더 구비한다. 간이 비교회로가 각 어드레스에 대한 판정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상기 어드레스 기억장치에 저장된 설정된 어드레스의 카운터파트와 상기 각 어드레스에 대한 부분 어드레스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콘트롤러가 상기 무선시스템이 상기 어드레스들에 대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선택적으로 전원이 온 및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내에서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간이 판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블럭의 모든 데이터가 수신되기 전 초기에 상기 설정된 어드레스가 상기 수신된 어드레스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설정된 어드레스가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수신된 어드레스에 포함되지 않았을 때, 무선시스템의 전원은 오프되어 전력소비가 감소되며, 따라서 배터리 수명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안테나(1)가 복수개의 블럭을 수반하는 각 동기신호로 구성된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며, 인터리브 수신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복조와 같은 수신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시스템(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무선시스템(2)은 제어프로세서(9)로부터 수신된 전원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인터리브 수신 데이터는 디인터리브부(deinterleaving section)(3) 및 비트카운터(10)로 출력된다. 상기 디인터리브부(3)는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에 저장되는 수신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최초 배열에서 비트별로 상기 인터리브 수신데이터를 위치시킨다. 상기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에 저장된 수신데이터는 복수개의 워드로 구성되며, 각 워드는 데이터 필드를 수반한 어드레스 필드를 갖는다. 비트 카운터(10)는 설정값 CSET으로 리세트되며 제어프로세서(9)의 제어하에서 인터리브 수신데이터의 비트수를 카운트한다.
무선 선택호출수신기는 그 자신의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어드레스 메모리(5), 간이 어드레스비교회로(6), 에러판정부(7) 및 전체 어드레스비교회로(8)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간이 어드레스비교회로(6)는 각 수신 워드 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의 일부를 수신하여 이것을 상기 어드레스 메모리(5)에 저장된 어드레스들의 카운터파트와 비트별로 비교한다. 상기 간이 어드레스비교회로(6)는 상기 에러판정부(7)로 간이 비교결과를 출력한다. 전체 어드레스비교회로(8)는 각 수신 워드 데이터를 위해 수신 어드레스를 수신하며, 이것을 상기 어드레스 메모리(5)에 저장된 어드레스와 비트별로 비교한다. 전체 어드레스비교회로(8)는 전체 비교결과를 에러판정부(7)로 출력한다.
상기 에러판정부(7)는 간이 비교결과에 포함된 에러비트수가 설정수 CTH(여기서 CTH= 3) 보다 작은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에러비트수가 설정수 CTH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수신데이터는 수신기 자체에 어드레스된 정보가 없는 것으로 결정된다. 에러판정부(7)는 판정결과를 제어프로세서(9)로 출력하며, 제어프로세서(9)는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무선시스템(2)을 제어한다. 수신데이터가 수신기 자체에 어드레스된 정보를 갖지 않음을 나타내는 판정결과의 경우, 무선시스템(2)의 전원이 오프되어 배터리 절약이 이루어진다. 이에 반하여 수신데이터가 수신기 자체에 어드레스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동작이 계속되어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프로세서(9)는 비트카운터(10)의 카운트 CNT를 모니터하며 카운트 CNT가 설정값 CSET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카운트 CNT가 설정값 CSET에 도달한 경우 제어프로세서(9)는 에러판정부(7)로부터 수신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동작이 계속되어야 할지를 결정한다.
지금부터 상기 카운터(10)의 프리세트값 CSET은 하나의 블럭(256 비트)의 1/2에 해당하는 128이며 어드레스 데이터는 32비트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카운터(10)의 프리세트값 CSET은 원하는 에러판정의 정확성에 따라 다른 값이 될 수도 있다.
도2를 참조하면, 간이 어드레스비교회로(6)는 두개의 쉬프트레지스터 (61) 및 (62)와 배타적 논리합회로(63)로 구성되어 있다. 비슷하게 전체 어드레스비교회로(8)는 두개의 쉬프트레지스터(81) 및 (82)와 배타적 논리합회로(83)로 구성되어 있다. 간이 어드레스비교회로(6)의 쉬프트레지스터(61) 및 (62)는 16비트 쉬프트레지스터이며, 전체 어드레스비교회로(8)의 쉬프트레지스터(81) 및 (82)은 32비트 쉬프트레지스터이다.
각 워드에 대한 수신어드레스 데이터의 처음의 1/2이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에 저장되었을 때, 제어프로세서(9)의 제어하에서 어드레스 데이터의 처음 1/2은 쉬프트레지스터(62) 및 (82)에 저장되고, 각 워드에 대한 수신어드레스 데이터의 나중 1/2은 쉬프트레지스터(61) 및 (81)에 저장된다. 그리고, 배타적논리합회로(63)은 에러비트를 산출하기 위하여 각 워드에 대한 수신어드레스 데이터를 비트별로 저장된 어드레스 데이터와 비교한다. 전체 어드레스비교회로(8)는 32 비트 어드레스 데이터에 대하여 비슷한 비교동작을 수행한다.
에러판정부(7)는 간이 어드레스비교회로(6)의 배타적 논리합회로(63)로부터 수신된 에러비트수를 카운트하는 에러카운터(71)와 전체 어드레스비교회로(8)의 배타적 논리합회로(83)로부터 수신된 에러비트수를 카운트하는 에러카운터(72)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기(73)는 제어프로세서(9)로부터 수신된 선택제어신호에 의존하여 에러카운터(71) 및 (72)의 출력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기(73)는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후보자가 수신어드레스 데이터 워드내에 존재한다고 결정되지 않으면 에러카운터(71)를 선택한다. 비교기(74)는 선택된 출력(각 워드에 대한 에러비트수)을 설정값 CTH과 비교한다. 각 워드에 대한 비교결과는 제어프로세서(9)에 대한 판정결과처럼 출력된다.
이하에서 도1에서 보여지는 무선 선택호출수신기의 동작을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단순화를 위해 인터리브 수신데이터의 블럭은 각기 32비트를 갖는 #1 내지 #8의 8개 워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각 블럭은 256비트를 갖는다. 하나의 블럭에서 각 32 비트 워드의 처음 비트들이 각기 블럭의 8개의 제1 비트에 배치된다. 비슷하게, 각기 32비트 워드의 제2 비트,....제16 비트,.. 제32 비트가 현재 순서에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워드의 비트들이 송신된 인터리브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각 워드의 비트들이 산재되어진다.
도3b에서 보여지듯이, 블럭에서 이러한 인터리브 데이터를 전달하는 무선 선택호출신호가 제어프로세서(9)에 의해 전원이 온된 무선시스템(2)에 의해 수신되고 복조되며, 이 인터리브 수신데이터는 디인터리브(deinterleave)부(3) 및 비트카운터(10)로 출력된다. 상기 디인터리브부(3)는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에 이것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인터리브 수신데이터를 디인터리브한다. 상기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는 8개의 32비트 워드 #1-#8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영역을 갖는다. 32비트 워드 #1-#8의 디인터리브 데이터는 일반적인 수신루트인 수신데이터 처리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인터리브 수신데이터에서 그 자신의 스테이션의 어드레스 정보에 관한 판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8개의 32비트 모두가 확인될 때까지 정확한 판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블럭의 모든 비트들을 수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 자체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는 하나의 블럭의 불필요한 동작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간이 어드레스판정이 하나의 블럭의 중간에서 수행되며, 어드레스 후보자가 선택된다.
도3b를 참조하면, 무선시스템(2)의 전원이 온되고 동기신호를 검출하면 무선시스템(2)은 인터리브 수신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를 복조한다. 동시에, 비트카운터(10)는 제어프로세서(9)의 제어하에서 인터리브 수신데이터의 비트수를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카운트치 CNT가 설정값 CSET(여기서 CSET= 128)에 다다르면, 즉 순간시간 T1(블럭의 중간), 간이 어드레스판정이 수행되며 어드레스 후보자가 결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카운트치 CNT가 설정값 CSET= 128 에 도달하면, 각 32비트의 어드레스 워드(#1 - #8)의 처음 1/2의 어드레스 데이터(1 - 16)가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에 저장된다. 간이 어드레스 비교회로(6)는 각 어드레스 워드에 대하여 에러비트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각 32비트 어드레스 워드에 대한 반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어드레스 메모리(5)에 저장된 등록된 어드레스 데이터와 비트별로 비교한다. 이어서, 에러판정부(7)는 각 어드레스 워드에 대한 에러비트수가 설정값 CTH(여기서, CTH= 3) 보다 작은 지 여부에 대한 판정을 하며, 각 어드레스 워드에 대한 판정결과를 제어프로세서(9)로 출력한다. 이러한 식으로 제어프로세서(9)는 어드레스 후보자,즉 설정값 CTH보다 작은 에러비트수를 갖는 어드레스 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모든 어드레스 워드(#1 - #8) 에 대한 1/2의 어드레스 데이터가 설정값 CTH이상의 에러비트수를 갖는다면, 즉 어드레스 후보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프로세서(9)는 도3b에서 보여지듯이 순간시간 T1에서 낭비되는 전력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무선시스템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후보자가 존재하면, 제어프로세서(9)는 전원을 무선시스템(2)에 계속 공급하여 수신동작이 계속되어진다. 하나의 블럭의 모든 비트, 즉 256비트가 수신된 시간(T2)에서, 전체 어드레스 판정이 전체 어드레스 비교회로(8)와 에러판정부(7)를 통하여 수행된다. 이경우, 에러판정부(7)의 선택기(73)는 선택호출신호에 따라 전체 어드레스 비교회로(8)를 선택한다. 만약 전체 수신어드레스에 포함된 에러비트수가 설정값 CTH미만이면, 그 자신의 어드레스가 수신데이터내에 포함되며 이어서 연속되는 블럭이 수신데이터 처리시스템에 전달되도록 결정되어진다.
만약 그 자신의 어드레스가 전체 어드레스 판정에서 수신데이터내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무선시스템의 전원이 오프되고, 연속되는 블럭에 대한 수신이 일시 보류된다.
수신동작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제어프로세서(9)는 시작신호를 비트카운터(10)로 보내고, 비트카운터로 하여금 인터리브 수신데이터의 머리 비트로부터 시작하는 순서로 비트들을 카운트하게 한다. 제어프로세서(9)는 출력 카운트치 CNT가 128의 설정값에 도달하였는지를 보기 위해 비트카운터(10)의 출력 카운트치 CNT를 모니터링한다. 현재 수신 블럭의 128번째 비트가 각 워드의 제16 비트들이다. 이 타이밍(T1)에서 제16 비트에 대한 각 워드들이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에 저장된다.
비트카운터(10)가 카운트치 CNT=128를 출력하면, 제어프로세서(9)는 워드 어드레스 특성을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로 보내고, 클럭을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로 공급하며,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로 하여금 워드 #1로부터 시작하는 순서로 간이 어드레스 비교회로(6)로 16비트 수신데이터를 출력하게 한다.
제어프로세서(9)는 처음 1/2비트의 어드레스 특성을 어드레스 메모리(5)로 보내고, 클럭을 어드레스 메모리(5)로 공급하며, 어드레스 메모리(5)로 하여금 간이 어드레스 비교회로(6)로 처음 1/2의 어드레스 정보를 출력하게 한다.
나아가, 제어프로세서(9)는 간이 어드레스 비교회로(6)의 쉬프트 레지스터 (61) 및 (62)로 클럭을 보낸다. 16비트의 수신데이터가 쉬프트 레지스터(61)로 들어가고, 같은 방식으로 어드레스 메모리(5)에 저장된 등록 어드레스의 카운터파트가 다른 쉬프트 레지스터(62)로 들어간다. 결과적으로, 배타적 논리합회로(63)가 비트별로 16비트 각각에 대한 비트 비교를 수행한다. 일치되는 경우 배타적 논리합회로(63)는 '0'를 출력한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배터적 논리합회로(63)는 '1'을 출력한다.
더나아가, 제어프로세서(9)는 에러판정부(7)의 에러카운터(71)에 클럭을 주어 에러카운터(71)로 하여금 배타적 논리합회로(63)로부터 '1'을 출력하는 회수를 카운트하게 한다. 동시에, 제어프로세서(9)는 선택기(73)에 선택제어신호를 보내어 선택기(73)로 하여금 에러카운터(71)의 출력을 선택토록 하여 그것을 비교기(74)로 출력하게 한다. 따라서, 각 8 워드에 대하여, 비교기(74)는 에러카운터(71)의 카운트값 CER을 가지고 설정값 CTH(즉, 허용 에러수, 여기서는 CTH=3)의 크기를 비교하여 각 워드의 판정결과(즉,비교결과)를 제어프로세서(9)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비교기(74)는 통상 예를 들어 하이레벨에서 그 출력을 유지한다. 에러카운터(71)의 카운트값 CER이 설정값 CTH보다 적으면, 비교기(74)는 그 출력을 변경시키지 않고 하이레벨에서 그 출력을 유지한다. 다른 한편, 에러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설정값 CTH이상이면, 비교기(74)는 그 출력을 로우레벨로 변경한다.
그 자신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 워드가 있으면, 비교기(74)는 관련된 워드에 대응하여 그 출력을 변경한다. 비교기(74)의 출력레벨이 변경되거나, 비교기(74)의 출력레벨이 하이레벨에서 유지되고 8개 워드의 모두에서 변경되지 않으면, 제어프로세서(9)는 그 어드레스 정보가 8개 워드 #1 - #8에 포함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경우, 제어프로세서(9)는 무선시스템(2)로 계속하여 전원-온 신호를 출력한다. 비트카운터(10)는 그 카운트 동작을 계속한다.
대비적으로, 그 자신의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비교기(74)는 워드 #1 내지 워드 #8의 비교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로우레벨로 그 출력을 유지한다. 이경우, 제어프로세서(9)는 어드레스 후보자가 워드들의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음을 결정하며, 무선시스템(2)에 공급된 전원-온 신호를 전원-오프 신호로 변환한다. 더우기, 제어프로세서(9)는 비트카운터(10)를 정지시키고, 비트카운터(10)를 다음 수신을 위한 준비로 초기상태가 되게 한다.
제어프로세서(9)가 그 자신의 어드레스 정보의 존재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프로세서(9)는 256에 도달하였는지를 보기위해 비트카운터(10)의 출력값을 모니터링한다. 비트카운터(10)가 256의 카운트값을 출력하면, 제어프로세서(9)는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에 워드 어드레스 특성을 보내고,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에 클럭을 주어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로 하여금 32비트 수신데이터를 워드 #1로부터 시작하는 순서로 전체 어드레스 비교회로(8)로 출력하게 한다.
나아가, 제어프로세서(9)는 어드레스 메모리(5)에 전체 32 비트의 어드레스 특성을 보내고, 어드레스 메모리(5)에 클럭을 보내어 어드레스 메모리(5)로 하여금 전체 어드레스 비교회로(8)로 32 비트의 전체 어드레스 정보를 출력하게 한다.
더나아가, 제어프로세서(9)는 자체의 어드레스 비교회로(8)의 쉬프트 레지스터들 (81) 및 (82)에 클럭을 보낸다. 32 비트의 수신데이터가 쉬프터 레지스터(81)로 들어가고, 같은 방식으로 32 비트의 전체 어드레스 정보가 쉬프트 레지스터(32)로 들어간다. 결과적으로, 배타적 논리합회로(83)각 비트별로 32 비트 각각에 대한 비트 비교를 수행한다. 일치하는 경우 배타적 논리합회로(83)는 '0'을 출력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배타적 논리합회로(83)는 '1'을 출력한다.
제어프로세서(9)는 에러판정부(7)의 에러카운터(72)에 클럭을 보내어 에러카운터(72)로 하여금 배타적 논리합회로(83)로부터 '1'을 출력하는 회수를 카운트하게 한다. 동시에 제어프로세서(9)는 선택기(73)로 스위치 변환신호를 보내어 선택기(73)로 하여금 에러카운터(72)의 출력을 선택하여 그것을 비교기(74)로 출력하게 한다. 8개 워드의 각각에 대하여, 비교기(74)는 에러카운터(72)의 카운트값 CER과 설정값 CTH의 크기를 비교하여, 각 워드에 대한 판정결과(즉, 비교결과)를 제어프로세서(9)로 출력한다. 비교기(74)의 구체적인 동작이 전술한 방식데로 수행된다.
비교기(74)의 출력레벨이 변하거나, 비교기(74)의 출력레벨이 하이레벨로 유지되고 모든 워드에서 변하지 않으면, 제어프로세서(9)는 자체의 어드레스 정보가 8개 워드들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한다. 제어프로세서(9)는 무선시스템(2)로 계속하여 전원-온 신호를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블럭에 연속하는 블럭이 수신된다. 제어프로세서(9)는 워드가 자체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지 구별할 수 있다.
대비적으로, 비교기(74)가 그 출력을 워드 #1 내지 #8의 비교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로우레벨로 유지하면, 제어프로세서(9)는 자체의 어드레스 정보가 워드의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정식으로 판정하며, 무선시스템(2)에 공급된 전원-온 신호를 전원-오프 신호로 변환시킨다. 나아가, 제어프로세서(9)는 비트카운터(10)를 정지시키고, 비트카운터를 다음 수신을 준비하기 위해 초기 상태로 가져간다.
도4를 참조하면, 인터리브 수신데이터가 무선시스템(2)으로부터 디인터리브부(3)와 비트카운터(10)로 출력된다(단계 S201). 상기 수신데이터는 수신데이터 격납버퍼(4)에 저장되며, 그와 병행하여 비트카운터(10)는 카운트치 CNT가 128에 도달할 때까지 인터리브 수신데이터의 비트들을 카운트한다(단계 S202 및 S203). 카운트치 CNT가 128에 도달하면(단계 S203에서 예), 디인터리브 수신데이터(워드당 16비트)와 자체 어드레스의 카운터파트(16비트) 사이의 비트 비교에 기초한 간이 판정이 수행된다(단계 S204). 이러한 판정에서, 에러비트수(CER)가 설정값 CTH=3 보다 작은지 여부가 체크된다(단계 S205).
CER≥ CTH이면(단계 S205에서 아니오), 자신의 어드레스의 후보자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며, 무선시스템(2)에 대한 전원공급이 보류되고(단계 S212), 비트카운터 (10)가 다음 수신을 준비하기 위해 초기화되어진다. 결과적으로, 낭비적인 전력소비의 발생이 억제된다.
CER< CTH이면(단계 S205에서 예), 자신의 어드레스의 후보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며, 무선시스템(2)에 대한 전원공급이 계속되고(단계 S206), 비트카운터 (10)가 카운트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S207).
카운트치 CNT가 256 비트, 즉 블럭의 전체 비트를 가리키면(단계 S208에서 예), 디인터리브 수신데이터(워드당 32비트)와 자신의 어드레스의 모든 비트(32비트) 사이의 비트 비교에 기초한 전체 어드레스 판정이 수행된다(단계 S209). 이 판정에서 에러비트수(CER)가 설정값 CTH= 3 보다 작은지 여부가 체크된다(단계 S210).
CER< CTH이면(단계 S210에서 예), 자신의 어드레스의 존재가 확실한 것으로 판정되며, 무선시스템(2)에 대한 전원공급이 계속된다(단계 S211). 연속적인 블럭들이 수신되고, 수신처리시스템으로 전달된다. 또한, 비트카운터(10)가 다음 수신을 위한 준비로 초기화된다.
다른 한편, CER≥ CTH이면(단계 S210에서 아니오), 자신의 어드레스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며, 무선시스템(2)에 대한 전원공급이 보류되고(단계 S212), 비트카운터(10)가 다음 수신을 준비하기 위해 초기화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블럭이 각기 32 비트를 갖는 8개의 워드 #1 내지 #8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당연한 문제로서, 이것은 인터리브 구성을 적용하는 시스템에 의해 한정되는 문제이다.
나아가, 설명이 간이 어드레스 판정이 각 워드의 비트수의 정확히 반에 해당하는 타이밍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되었지만, 이것도 당연한 것이지만, 간이 어드레스판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간단히 말하면, 자신의 어드레스의 후보자의 존재가 추정될 수 있는 한 비트의 어떤 수도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블럭의 비트 카운팅이 인터리브 수신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되었지만, 디인터리브 데이터에 대하여도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간이 판정 및 전체 어드레스 판정에 있어서 신속성이 요구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데이터와 그 어드레스 정보는 고속 클럭을 사용함으로써 비트 계열 형태로 나온다. 만약 수신데이터와 그 어드레스 정보가 병렬형태로 비교기에공급되면 판정은 더욱 신속히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블럭의 모든 데이터가 수신되기 전에 수신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자신의 어드레스의 후보자의 존재 및 부존재를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자신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동작이 블럭의 끝이 되기 전에 미리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전원의 낭비적인 전력 소비가 억제될 수 있다.

Claims (14)

  1. 각기 설정된 비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어드레스의 인터리브(interleave)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을 포함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할당되어진 설정된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어드레스 기억장치;
    인터리브 수신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시스템;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를 각 어드레스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된 판정타이밍을 검출하기 위한 타이밍 디텍터;
    각 어드레스에 대한 판정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각 어드레스에 대한 부분적인 어드레스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상기 어드레스 기억장치에 저장된 설정된 어드레스의 카운터파트와 비교하기 위한 간이 비교회로; 및
    상기 무선 시스템이 상기 어드레스들에 대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선택적으로 전원이 온 및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디텍터는 비트카운터가 상기 블럭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설정값에 도달할 때 설정된 판정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비트를 카운팅하는 비트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비교회로는,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에러 비트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각 어드레스에 대한 부분 어드레스 데이터를 설정된 어드레스의 카운터파트와 비트단위로 비교하기 위한 제1 비트 비교회로; 및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판정 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에러 비트 데이터의 에러 비트수를 설정값과 비교하기 위한 제1 에러 비교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어드레스들의 모든 판정결과들이 상기 에러 비트 데이터의 에러 비트수가 설정값 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무선 시스템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판정결과가 상기 에러 비트 데이터의 에러 비트수가 설정값 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무선 시스템의 전원이 계속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전체 판정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블럭의 단부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상기 어드레스 기억장치에 저장된 설정된 어드레스와 각 어드레스에 대한 전체 어드레스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전체 비교회로를 더 구비하며,
    전체 판정결과가, 상기 설정된 어드레스가 상기 어드레스에 포함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무선시스템이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에 의해 수반되는 블럭을 수신하기 위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비교회로는,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에러 비트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설정된 어드레스와 비트단위로 각 어드레스에 대한 전체 어드레스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제2 비트 비교회로; 및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전체 판정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설정값과 에러 비트 데이터의 에러 비트수를 비교하기 위한 제2 에러 비교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8. 무선 선택호출 수신기에서, 각기 설정된 비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어드레스의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을 포함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선택호출수신기는, 상기 무선 선택호출수신기에 할당되어진 설정된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인터리브 수신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수신방법은,
    a) 상기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를 어드레스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설정된 설정된 판정 타이밍을 검출하는 단계;
    c)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판정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상기 어드레스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된 어드레스의 카운터파트와 각 어드레스에 대한 부분 어드레스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d) 어드레스에 대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된 판정 타이밍에서 상기 무선시스템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 및 오프하는 단계;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의 수신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비트카운터가 상기 블럭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설정값에 도달할 때 설정된 판정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비트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의 수신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에러 비트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설정된 어드레스의 카운터파트와 비트단위로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부분 어드레스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판정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설정값과 에러 비트 데이터의 에러 비트수를 비교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의 수신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어드레스에 대하여 모든 판정결과들이 상기 에러 비트 데이터의 에러 비트수가 설정값보다 작지 않음을 나타낼 때 무선시스템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의 수신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적어도 하나의 판정결과가 에러 비트 데이터의 에러 비트수가 설정값보다 작음을 나타낼 때 상기 무선시스템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의 수신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e) 상기 단계 d)에서 무선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될 때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전체 판정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블럭의 단부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상기 어드레스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된 어드레스와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전체 어드레스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여기서, 전체 판정결과가 설정된 어드레스가 상기 어드레스에 포함됨을 나타낼 때, 상기 무선시스템은 인터리브 어드레스 데이터의 블럭에 의해 수반되는 블럭을 수신하기 위하여 전원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에러 비트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하여 설정된 어드레스와 비트단위로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전체 어드레스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각 어드레스에 대하여 전체 판정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설정값과 에러 비트 데이터의 에러 비트수를 비교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방법.
KR1019990022023A 1998-06-15 1999-06-14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299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67281 1998-06-15
JP10167281A JP3110384B2 (ja) 1998-06-15 1998-06-15 個別選択呼び出しの受信機、受信方法および受信手順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50A KR20000006150A (ko) 2000-01-25
KR100299111B1 true KR100299111B1 (ko) 2001-11-01

Family

ID=1584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023A KR100299111B1 (ko) 1998-06-15 1999-06-14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11197B1 (ko)
JP (1) JP3110384B2 (ko)
KR (1) KR100299111B1 (ko)
CN (1) CN113586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867B1 (ko) 2006-02-17 2014-08-26 라피스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수신 데이터 해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268B2 (ja) * 1999-05-18 2002-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電話及びその着信許可方法
KR20010075985A (ko) * 2000-01-21 2001-08-11 박태진 교환 시스템을 무선 연동하기 위한 무선 연동 장치에서무선 송/수신기
TWM240067U (en) * 2002-02-13 2004-08-01 Interdigital Tech Corp A receiver for efficiently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of a received sig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3716A (ja) * 1990-03-22 1991-12-04 Nec Corp 表示機能付個別選択呼出受信機
US5089813A (en) * 1989-07-19 1992-02-18 Motorola, Inc. Method of super battery saving in a selective call receiver
KR950010399A (ko) * 1993-09-22 1995-04-28 정장호 무선호출기의 전원 절감방법
JPH09261709A (ja) * 1996-03-27 1997-10-03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無線呼出機のバッテリーセービング方式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2232A (ja) 1984-02-29 1985-09-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選択呼出受信機
JPH06101700B2 (ja) 1986-05-15 1994-12-12 株式会社東芝 バツテリセ−ビング方式
JPH04115632A (ja) 1990-08-31 1992-04-16 Fujitsu Ltd ページャ端末
JPH04200029A (ja) 1990-11-29 1992-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個別選択呼出受信機
US5493282A (en) * 1992-05-29 1996-02-20 Motorola, Inc. Addressing method for conserving power in distributed information receivers
JP3081135B2 (ja) 1995-07-31 2000-08-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メッセージ受信装置
JP2929574B2 (ja) 1995-07-19 1999-08-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メッセージ受信装置
JP3777674B2 (ja) 1996-10-09 2006-05-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9813A (en) * 1989-07-19 1992-02-18 Motorola, Inc. Method of super battery saving in a selective call receiver
JPH03273716A (ja) * 1990-03-22 1991-12-04 Nec Corp 表示機能付個別選択呼出受信機
KR950010399A (ko) * 1993-09-22 1995-04-28 정장호 무선호출기의 전원 절감방법
JPH09261709A (ja) * 1996-03-27 1997-10-03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無線呼出機のバッテリーセービング方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867B1 (ko) 2006-02-17 2014-08-26 라피스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수신 데이터 해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11197B1 (en) 2002-06-25
CN1242677A (zh) 2000-01-26
JP2000004466A (ja) 2000-01-07
KR20000006150A (ko) 2000-01-25
JP3110384B2 (ja) 2000-11-20
CN1135862C (zh)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3465B1 (en) Power saving arrangement and method in portable cellular telephone system
KR930009094B1 (ko) 전력 보존 수신기 및 그 방법
US54716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adiotelephone in an extended stand-by mode of operation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US6236674B1 (en) Transceiver control with sleep mode operation
US5144296A (en) Adaptive battery saving controller with signal quality detecting means
US5369798A (en) Method and circuit for saving the power of a battery used in a portable radio telephone
US6633753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power consumption reduced
KR101048786B1 (ko) 무선 장치에서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무선 네트워크용메시지 리스팅, 무선 장치에서의 전력 자원 최적화 시스템및 그의 무선 장치
JP2001508274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池の節約
US624030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RF power consumption optimization of extended standby mode
US5822689A (en) Circuit and method using data synchronization for battery power conservation in a paging receiver
US58315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battery power in a paging receiver
KR100299111B1 (ko) 인터리브 선택호출신호 수신장치 및 방법
JP2007013577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269195B1 (ko) 배터리절약기능을갖는무선선택호출수신기
WO1993022848A1 (en) Adaptative battery saving controller
KR0154180B1 (ko) 수신기용 전원 제어부
JPH01265732A (ja) 選択呼出方式
JP4091579B2 (ja) 送受信装置
US81839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ower-saving operation of RFID data carriers
KR100229059B1 (ko) 선택 호출 수신기의 간헐 수신 제어 장치
JPS5835414B2 (ja) 移動無線機の間欠受信方式
KR100265552B1 (ko) 수신 동작 제어 가능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수신 동작 제어 방법
JPH06209277A (ja) 無線選択呼び出し受信機
KR20230154547A (ko) 이단 웨이크업 기법을 이용한 웨이크업 수신기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