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939B1 - 세탁기언바란스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언바란스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939B1
KR100298939B1 KR1019970078967A KR19970078967A KR100298939B1 KR 100298939 B1 KR100298939 B1 KR 100298939B1 KR 1019970078967 A KR1019970078967 A KR 1019970078967A KR 19970078967 A KR19970078967 A KR 19970078967A KR 100298939 B1 KR100298939 B1 KR 10029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
washing machine
value
washing
un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793A (ko
Inventor
황유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7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93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세탁과정에서 헹굼 과정 완료를 확인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 단계 후에 각 걸이봉에 지지되는 차동 트랜스 출력을 측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측정한 각 출력을 스캐닝하여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측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측정한 차이값을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기준치보다 차이값이 크면 재차 급수한 후 배수하여 상기 제 2 과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보다 작으면 탈수과정을 수행토록 지령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언바란스 감지방법이며,
세탁기의 세탁조에 헹굼 과정을 완료한 세탁물이 뭉쳐서 언바란스 상태로 되면 이를 차동트랜스 등의 감지센서를 통하여 확인하고, 언바란스 상태로 인식되면 별도로 물을 급수하여 몇 번 흔든 다음 배수하고 다시 탈수토록 하므로 세탁물의 뭉침에 따른 탈수시의 언바란스 상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언바란스 감지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 언바란스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의 탈수과정을 수행하기 앞서 차동트랜스에 의하여 언바란스 상태를 감지하고 언바란스로 되면 이를 별도의 급수과정을 수행케하여 언바란스를 해소한 후 탈수토록 하는 세탁기 언바란스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옷을 세탁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들이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1)의 내부 중앙부에 세탁을 위한 옷을 거치 하도록 하는 세탁조(2)가 위치되고, 상기 세탁조(2)의 외측에는 상기 세탁조(2)를 보호하고 그 세탁조(2)를 지지하도록 하는 외통(3)이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3)은 세탁기 몸체(1)의 상부와 외통(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편(4)(5)에 구비 결합되는 걸이봉(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탁조(2)의 하부에는 물살을 일으키도록 하는 교반익(7)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익(7)은 정/역으로 회동하는 구동수단인 모터(8)와, 상기 모터축과 교반익(7)의 축에 서로 압입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끼리 서로 연결되는 벨트에 의해 연동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이봉(6)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3) 하부에 형성된 하부 지지편(5)에 항상 상기 걸이봉(6)을 밀려는 힘을 갖는 탄성스프링(9)에 의해 모터(8)의 구동과 교반익(7)의 연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 또는 흡수시키도록 일 측이 탄지 되고, 타측은 세탁기 몸체(1)의 내측에 형성된 상부 지지편(4)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상부 지지편(4)에 걸림 결합되는 상기 걸이봉(6)의 상부는 탄성스프링(9)만으로 완전히 감쇠 또는 흡수되지 못한 진동으로부터 걸이봉(6)을 보호하기 위해 연질의 러버(10)가 상기 걸이봉(6)과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러버(10)는 상부 지지편(4)에 압입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걸이봉(6)이 몸체(1)와 지지편(5)에의하여 외통(3)을 지지하는 방식은 탄성스프링(9)에 의하여 외통(3)과 걸이봉(6)이 상호 지지되므로, 일정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나 상대적으로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이 있어 탈수를 할 때는 상대적으로 세탁조(2)의 회전 진동이 외통(3)에 전달되어 충격 흡수에 한계에 다다라 소음 공해의 요인이 되기도 하고 세탁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 걸이봉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안치되는 하우징에 차동트랜스를 설치하고, 차동트랜스에 의하여 세탁조의 언바란스를 탈수 전에 인식하여 이를 보완한 후 탈수토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세탁조 걸이봉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2 는 도 1 에서 걸이봉의 결합구조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절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차동트랜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 는 도 3 의 요부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차동트랜스의 개략 구성도.
도 6 은 도 5 의 등가 회로도.
도 7 은 도 6 의 파형도.
도 8 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탁기 몸체, 2: 세탁조,
3: 외통, 4,5: 상, 하부 지지편,
6: 걸이봉, 7: 교반익,
8: 모터, 9: 탄성스프링,
10: 러버, 20: 차동트랜스,
21: 로드.
즉 본 발명은 자동 세탁과정에서 헹굼 과정 완료를 확인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 단계 후에 각 걸이봉에 지지되는 차동트랜스 출력을 측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측정한 각 출력을 스캐닝하여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측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측정한 차이값을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기준치보다 차이값이 크면 재차 급수한 후 배수하여 상기 제 2 과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보다 작으면 탈수과정을 수행토록 지령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언바란스 감지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중량 감지수단의 일 예인 차동트랜스(20)가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중량 감지센서의 일종인 차동트랜스(20)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한 상태의 요부 구성도로, 걸이봉(6)은 외통(3) 하부에 형성된 하부 지지편(5)에 항상 상기 걸이봉(6)을 밀려는 힘을 갖는 탄성스프링(9)에 의해 모터(8)의 구동과 교반익(7)의 연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 또는 흡수시키도록 일 측이 탄지 되고, 타측은 세탁기 몸체(1)의 내측에 형성된 상부 지지편(4)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상부 지지편(4)에 걸림 결합되는 상기 걸이봉(6)의 상부는 탄성스프링(9)만으로 완전히 감쇠 또는 흡수되지 못한 진동으로부터 걸이봉(6)을 보호하기 위해 연질의 러버(10)가 상기 걸이봉(6)과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러버(10)는 상부 지지편(4)에 압입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걸이봉(6)의 하단에는 받침판(6-1)이 있고 이에 스프링 하우징(9-1)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9)이 지지된다. 그리고 차동트랜스(20)는 그 로드(22)가 받침판(6-1)에 결합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차동트랜스(20)의 개념도로, 본체(21)에 로드(22)가 이동 가능토록 이루어지고, 본체(21)에는 일차측 권선 전압(Eex)과 이차측 전압(E01, E02)발생 코일이 권치 된다.
도 6 은 도 5 에 기초한 등가 회로도로, 로드(22)가 이동함에 따라 이차측전압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7 의 파형도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로써, 자동 세탁과정에서 헹굼 과정 완료를 확인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 단계 후에 각 걸이봉에 지지되는 차동트랜스 출력을 측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측정한 각 출력을 스캐닝하여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측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측정한 차이값을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기준치보다 차이값이 크면 재차 급수한 후 배수하여 상기 제 2 과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보다 작으면 탈수과정을 수행토록 지령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통상적인 자동 세탁기에 적용되고 기본 구성은 동일하나 차동트랜스를 부가하고 이를 인식하여 탈수를 수행하는 과정만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어를 위한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의 핵심인 차동트랜스를 부착하는 구성과 이를 통하여 차동트랜스를 통한 출력 특성을 어떻게 분석하여 세탁을 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일반적인 세탁과정에서 헹굼 과정을 마치면(제 1 단계S1),
탈수를 하기 전에 먼저 차동트랜스(20)(도 8 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걸이봉(6)에 대응하는 것으로 L1-L4)로 표기함)의 출력치를 측정한다(제 2 단계S2).
이러한 출력은 도 6 및 도 7 과같이 로드(22)가 이동함에 따라서 일차 측의 전압 상태가 도 7 의 전압(EeX) 이지만 이를 기초로 유도되는 파형은 출력 전압(E01,E02)와같이 파형의 위상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로드(22)가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서(걸이봉(6)의 수평 위치가 상이하여 언바란스 상태로 되면) 상기 걸이봉(6)마다 설치한 차동트랜스(20)를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치를 스캐닝하여 상호 최대값에서 최소값의 차를 측정한다(제 3 단계S3).
이어 기 설정한 기준치와 상기의 차(최대값-최소값=S)를 비교한다(제 4 단계S4). 이 경우 기준치보다 차(S)가 크면 언바란스로 인식하고 급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제 5 단계). 이 경우 기준치는 통상 세탁물의 중량의 1/4 이하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바, 이는 본 출원인이 다스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수치이다. 이 경우 1/4을 넘으면 언바란스 상태를 이루어 탈수시 소음이 발생하고, 1/4을 넘지 않으면 언바란스는 나타나지 않으나 너무 예민하여 불필요한 급수과정을 수행하여 경제적인 문제를 야기하였다. 상기에서 이렇게 설정한 기준치보다 작으면 정상으로 인식하고 통상의 탈수과정을 수행한다 (제 6 단계S6).
상기 단계(S5)에서는 우선 탈수 직전의 세탁물에 급수를 한다. 이때는 "소"까지 급수를 한다(단계S5-1). 이는 단지 세탁물을 한곳에 몰리지 않도록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이어 좌, 우로 수회 가볍게 회전시킨다. 이는 세탁물이 뭉친 경우 강제로 풀리도록 하기 위함이다(단계S5-2). 이렇게 강제 분산 시킨 후에는 배수시켜 다시 탈수하려는 상기 제 2 단계(S5-3) 과정으로 진행케 안내한다. 결국 상기 단계(S4)에서 정상일 때는 탈수를 진행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상기 단계(S5)를 수행하여 급수후 다시 상기 단계(S2)를 수행함으로써 세탁물의 엉킴에 의한 언바란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동트랜스나 로드셀 같은 중량 감지센서를 통한 중량을 걸이봉에서 분산 측정하는 단계와, 이러한 측정치를 기초로 언바란스 시에는 가수 하여 언바란스를 없애고 탈수토록 하는 단계를 이용하므로, 편리하게 측정하여 올바른 탈수행정을 이룰 수 있다.

Claims (1)

  1. 자동 세탁과정에서 헹굼 과정 완료를 확인하는 제 1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 언바란스 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후에 각 걸이봉에 지지되는 차동트랜스 출력을 측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측정한 각 출력을 스캐닝하여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측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측정한 차이값을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기준치보다 차이값이 크면 재차 급수한 후 배수하여 상기 제 2 과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보다 작으면 탈수과정을 수행토록 지령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수위를 "소" 까지 급수하는 단계(S5-1)와, 급수후 좌, 우로 수회 세탁조를 반복 회전시키는 단계(S5-2)와, 상기 좌, 우로 반복 회전 시킨 후 배수하여 상기 제 2 단계를 수행토록 안내하는 단계(S5-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언바란스 감지방법.
KR1019970078967A 1997-12-30 1997-12-30 세탁기언바란스감지방법 KR10029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967A KR100298939B1 (ko) 1997-12-30 1997-12-30 세탁기언바란스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967A KR100298939B1 (ko) 1997-12-30 1997-12-30 세탁기언바란스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793A KR19990058793A (ko) 1999-07-15
KR100298939B1 true KR100298939B1 (ko) 2001-11-22

Family

ID=3752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967A KR100298939B1 (ko) 1997-12-30 1997-12-30 세탁기언바란스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9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507A (ko) * 1994-10-21 1996-05-22 이헌조 전자동 세탁기의 언발란스 검출장치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507A (ko) * 1994-10-21 1996-05-22 이헌조 전자동 세탁기의 언발란스 검출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793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955B1 (ko) 세탁기
KR100298939B1 (ko) 세탁기언바란스감지방법
KR100815663B1 (ko) 세탁기
JP317307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819687A (ja) 全自動洗濯機の防振装置
JP3148451B2 (ja) 洗濯機
JPH0584382A (ja) 洗濯機
JP485191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175732B1 (ko) 드럼세탁기의 댐퍼구조
KR10048734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비엘디시 모터 소음 방지구조
KR19980074214A (ko) 드럼 세탁기의 고속 탈수 방법
JP3692667B2 (ja) 洗濯機
KR102436702B1 (ko)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CN211158906U (zh) 一种鼠笼式滤布洗涤机
JPH0531784U (ja) 洗濯機
KR101051191B1 (ko) 세탁기의 댐퍼
JP2516944B2 (ja) 洗濯機
KR100315813B1 (ko) 세탁/헹굼시 언밸런스 감지방법
JPH08876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00043393A (ko) 드럼세탁기의 진동 제어방법
KR960010961A (ko) 진동 센서를 이용한 세탁 행정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JP3120507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95002515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81174A (ko) 전자동 세탁기의 다기능 감지장치
KR19990035621U (ko) 전자동 세탁기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