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861B1 -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 Google Patents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861B1
KR100298861B1 KR1019990002936A KR19990002936A KR100298861B1 KR 100298861 B1 KR100298861 B1 KR 100298861B1 KR 1019990002936 A KR1019990002936 A KR 1019990002936A KR 19990002936 A KR19990002936 A KR 19990002936A KR 100298861 B1 KR100298861 B1 KR 10029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per
line
pressure
equalizing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090A (ko
Inventor
신정숙
Original Assignee
김낙경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경,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filed Critical 김낙경
Priority to KR101999000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8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2Separate lines from which power lines are suspended, e.g. catenary lines, supporting-lines under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3Arrangements for suspending trolley wires from catenary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가선으로부터 전차선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행거 및 드로퍼의 기능과, 전차선에 균일한 전압 상태를 이루도록 전차선과 조가선을 통전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반하도록 형성된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의 특징은, 소정 두께와 강성 및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 중심 부위를 기준하여 양측 단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굴곡되고, 양측 단부 부위는 전차선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자리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며, 마주보는 양측 대향 측벽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로부터 굴곡된 부위측의 양측 대향 측벽에 상호 마주보는 형상으로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굴곡된 부위에 균압선 겸용 드로퍼가 관통 가능한 삽입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체결홀을 통해 선택적으로 관통 체결되어 양측 대향 측벽이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체결구;로 구성되어 상기 균압선 겸용 드로퍼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구의 체결력에 의해 본체가 조가선과 전차선 및 그 사이의 균압선 겸용 드로퍼를 가압 고정하여 접속됨으로써 행거 및 드로퍼의 기능과 통전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그 구성이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그에 따른 각 구성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dropper clamp for connector}
본 발명은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차가 운행되는 레일의 상측에서 전동차에 전원을 인가시켜 주기 위한 전차선을 설치함에 있어서, 전기철도의 현수선(catenary) 형상으로 가선되는 조가선으로부터 전차선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행거 및 드로퍼의 기능과, 전차선에 인가되는 주전원이 조가선과 균일한 전압 상태를 이루도록 전차선과 조가선을 통전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반하도록 형성된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는 인가되는 전원을 동력원으로 하여 레일을 따라 운행하게 되는데, 이때 전동차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은, 접지된 레일과 이 레일의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가선되는 전차선 사이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동차가 그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운행이 이루어지는 전동차에 전원을 인가시켜 주기 위해서는, 전동차의 집전장치(pantagraph)와 계속적으로 접속되는 전차선이 레일로부터 항시 일정 간격으로 가선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차선의 설치 목적에 따른 구성과 이 전차선을 통한 전동차의 안정적인 전원인가를 위한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에 도시된 전차선(20)의 설치 구성은 행거 방식에 의한 것으로서, 레일(10)의 상측으로 통상의 지지수단에 의해 조가선(12)이 현수선(커티너리:catenary) 형상으로 일정 구간마다 연장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된 조가선(12) 상에는 보호커버(14)가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이들 각각의 보호커버(14) 상에는 각기 다른 소정 길이의 행거(16)가 보호커버(14)를 감싸는 장방형 고리 형상으로 굴곡되어 걸쳐지고, 이에 따라 행거(16)는 보호커버(14)에 지지되어 하측으로 전차선을 지지하는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이 설치된 행거(16)의 하측 단부에는 소정 형상의 행거이어(18)가 구비되며, 이 행거이어(18)는 구비된 체결구(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생략함)의 체결력에 의해 전차선(20)의 측부 자리홈(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생략함) 부위를 가압 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차선(20)은, 조가선(12)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호커버(14)와 행거(16) 및 행거이어(18)의 구성에 의해 지지되어 레일(10)과 평행하도록 대향 설치된다.
한편, 전동차에 요구되는 전원은, 전동차의 집전장치(26)가 전차선(20)에 접속되는과정에서 통전되며, 이때 전동차의 집전장치(26)는 전차선(20)의 하측 부위를 밀어 올리는 압상력에 의해 계속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이룬다.
이때, 전차선(20)은 바람 또는 전동차의 운행시 집전장치(26)의 밀어 올리는 압상력에 의해 상· 하측으로 흔들림이 있게 되고, 이때 상술한 보호커버(14)와 행거(16) 및 행거이어(18)의 구성 중 행거(16)의 구성이 전차선(20)의 흔들림에 대응하여 걸쳐지는 형상으로 설치됨으로써 불완전 접속에 의한 아크 발생 및 그에 따른 단선 등의 사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보호커버(14)는 조가선(12)에 대한 행거(16)의 불완전 접속으로부터 파생되는 조가선(12)의 손상과 순환전류의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 재질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전차선(20)과 조가선(12) 사이에는 전동차의 운행에 대응하여 조가선(12)과 전차선(20) 사이의 전압 및 전류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일정 구간마다 단자(22)가 구비된 균압선(24)이 접속 연결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균압선(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커버(14)와 행거(16) 및 행거이어(18) 이외의 별도의 구성을 이루게 되므로 설치의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 그 설치가 50∼100m 정도의 비교적 넓은 간격을 유지하므로 형성되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선(20)에 전압 상태가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구성은 드로퍼 방식에 따른 조가선(12)으로부터 전차선(20)을 현수하기 위한 드로퍼 클램프(28)의 설치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체결구(30)의 체결력에 의해 조가선(12)과 전차선(20)에 각각 대응하여 측부를 가압 고정하도록 형성된 본체(32)가 있고, 이들 본체(32)의 외측으로 관통 체결되는 체결구(30)에 의해 장방형의 고리 형상을 이루는 고리부(34)가 고정된다.
또한, 이렇게 고정된 고리부(34)에는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드로퍼(36)의 양측 부위가 지지판(38)에 지지되는 형상으로 굴곡되어 압착 슬리브(40)에 의해 고리 형상을 이루어 상· 하측 고리부(34)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드로퍼 클램프(28)의 구성은 상술한 행거(16)와 행거이어(18)의 결합 구성에서와 같이, 고리부(34)와 지지판(38) 및 드로퍼(36)의 결합이 불완전하게 접속되므로 바람 또는 전차선(20)의 하측 부위를 밀어 올리는 전동차의 집전장치(26)의 압상력을 포함한 각종 진동에 의해 불완전 접속이 발생되어 아크 및 그에 따른 단선 등의 사고 위험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행거 방식에 의한 구성과 드로퍼 방식에 의한 구성은 조가선(12)과 전차선 사이의 일정 구간마다 별도의 균압선(24)이 요구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균압선(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가선(12)과 전차선(20) 사이의 별도의 구성으로 설치됨에 따라 설치의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 그 설치가 50∼100m 정도의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므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차의 운행에 대응하여 전차선(20)의 전류 흐름 상태가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28)를 이루는 각 구성 부품이 다양한 형상과 그 부품수가 많아 제작비용이 증대될 뿐 아니라 행거 방식과 드로퍼 방식의 구성에 따른 전차선(20)의 현수 길이를 조절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연장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차에 대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차선의 설치 구성에 있어서, 조가선에 지지되어 전차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조가선과 전차선 사이의 불완전 접속개소가 없도록 하여 전위차 불균형을 방지함으로써 아크 및 그에 따른 단선을 방지하며, 순환전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통전 기능을 수반하도록 할 뿐 아니라 설치 구성을 단순화시켜 설치 및 그 구성의 제작 등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차선과 조가선을 개신 또는 보수하는 과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된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조가선에 대한 전차선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2는 도1의 조가선에 대한 전차선을 설치함에 있어 드로퍼 방식에 따른 설치 구성 을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드로퍼 방식의 설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4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조가선과 전차선 사이에 설치되는 균압선과 드로퍼에 의한 순환전류의 흐름 관계를 나타낸 회로도.
도5는 본 발명예에 따른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에서 전차선과 조가선의 순환전류에 따 른 전압 형성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레일 12: 조가선
14: 보호커버 16: 행거
18: 행거이어 20: 전차선
24: 균압선 26: 집전장치
26, 50: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30: 체결구
34: 고리부 38: 접속단자40: 압착 슬리브 51: 본체52: 연결구 53: 측면판54: 가압부 55: 절곡지지부56: 장착공 57: 체결공58: 체결구 60: 균압선 겸용 드로퍼61: 슬리브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대향되는 한쌍의 측면판(53)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구(52)의 외측 중앙에는 통상의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장착공(56)을 준 것과, 대향되는 측면판(53)의 내면 상측에는 삽입되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를 억류시킬 수 있도록 가압돌부(54)를 대향되게 돌출 형성한 것과, 각 측면판(53)에는 체결공(57)을 대향되게 뚫어 체결구(58)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각 측면판(53)의 단부를 통상의 조가선(12) 또는 전차선(20)을 억류시킬 수 있도록 절곡지지부(55)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에 의해 달성된다.특히, 대향되도록 측면판(53)의 내면에 형성된 가압돌부(54)의 대향면에는 요철부(54-1)를 형성하고, 가압돌부(54)에 의해 억류되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에는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슬리브(61)를 삽입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의 설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에 예시된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의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7은, 도5의 구성에 의한 전차선과 조가선의 순환전류에 따른 전압 형성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본 발명에 따른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본체(51)을 형성함에 있어 소정 두께와 강성 및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측면판(53)의 상측 또는 하측을 연결구(52)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각 측면판(53)의 단부를 통상의 전차선(20)의 양측면에 형성된 자리홈(21)에 대응하도록 내향으로 절곡시켜 절곡지지부(55)로 형성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각 측면판(53)의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지지부(55)는 통상의 조가선(12)에 삽입하여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각 측면판(53)의 내면에서 연결구(52)측으로는 가압돌부(54)를 대향되게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하되 대향되는 각 가압돌부(54)의 내면에는 요철부(54-1)를 형성하였고, 절곡지지부(55)와 가압돌부(54)사이의 동일 수평선상에 체결공(57)을 뚫어 주었으며, 체결공(57)에는 통상의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구(58)를 체결시켜 통상의 조가선(12)과 전차선(20) 및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를 견실하게 억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또한, 연결구(52)의 중앙선상에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를 삽입시켜 줄 수 있도록 장착공(56)을 뚫어주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의 설치(사용)상태를 설명한다.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조가선(12)을 설치할 때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가선(12)을 절곡지지부(55)와 체결구(58)의 사이에 삽입시켜 주고, 조가선(12)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의 장착공(56)에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일단을 삽입시키되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삽입되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선단부에 슬리브(61)를 끼운 상태에서 가압돌부(54)의 상측으로 까지 삽입시켜 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구(58)를 견고하게 체결시켜 줌으로써 조가선(12)에 결합되어지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를 장착 고정시킬 수 있고,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는 가압돌부(54)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상기와 같이 조가선(12)에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를 고정 설치할 때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를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를 조가선(12)에 삽입 설치하여도 무방하다.조가선(12)에 설치된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하측단에 본 고안에 따른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를 조가선(12)에 고정된 것과는 대칭되도록 설치하였다.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는 절곡지지부(55)를 전차선(20)의 자리홈(2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장착공(56)에 늘어뜨려진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하단을 삽입시키되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의 하단에 통상의 슬리브(61)를 끼운 상태에서 가압돌부(54)의 하측에까지 내려오도록 삽입시켜 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의 체결구(58)를 견고하게 체결시켜 줌으로써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전차선(20)은 압착되는 절곡지지부(55)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한편, 이와 같이 설치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50)의 설치 구성에 의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선(20)과 조가선(12) 사이에서 행거 및 드로퍼의 기능과 통전 기능을 병행하게 되므로 통전에 따른 간격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전동차의 위치에 관계없이 최단거리로 급전하게 되어 전차선(20) 상의 전압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구의 체결력에 의해 본체의 단부 부위는 조가선과전차선에 관계없이 그 측부를 가압 고정하며 접속되고, 동시에 가압부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의 단부를 가압 고정하며 접속됨으로써 행거 및 드로퍼의 기능과 통전 기능이 병행되어 전차선의 전압 상태가 균일하게 형성되며, 불완전 접속개소가 없도록 함으로써 아크 및 그에 따른 단선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하게 되고, 별도로 균압선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고 동시에 단순한 구성에 의해 설치 및 그 제반작업이 용이하며, 또 각 구성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차선과 조가선을 개신 또는 보수하는 과정에서 체결구의 체결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에 따른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대향되는 한쌍의 측면판(53)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구(52)의 외측 중앙에는 통상의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장착공(56)을 준 것과, 대향되는 측면판(53)의 내면 상측에는 삽입되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60)를 억류시킬 수 있도록 가압돌부(54)를 대향되게 돌출 형성한 것과, 각 측면판(53)에는 체결공(57)을 대향되게 뚫어 체결구(58)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각 측면판(53)의 단부를 통상의 조가선(12) 또는 전차선(20)을 억류시킬 수 있도록 절곡지지부(55)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대향되는 측면판(53)의 내면에 형성된 각 가압돌부(54)의 대향면에는 요철부(54-1)를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압돌부(54)에 의해 가압억류되는 균압선 겸용 드로퍼(60)에는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슬리브(61)를 삽입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KR1019990002936A 1999-01-29 1999-01-29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KR10029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936A KR100298861B1 (ko) 1999-01-29 1999-01-29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936A KR100298861B1 (ko) 1999-01-29 1999-01-29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090A KR20000052090A (ko) 2000-08-16
KR100298861B1 true KR100298861B1 (ko) 2001-09-26

Family

ID=1957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936A KR100298861B1 (ko) 1999-01-29 1999-01-29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45Y1 (ko) * 2009-04-16 2011-03-14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용 드롭퍼 클램프
KR101042952B1 (ko) 2010-12-22 2011-06-20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전차선로용 쐐기형 드롭퍼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225B1 (ko) * 2009-04-16 2011-03-11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 드롭퍼 제작기
KR101069054B1 (ko) * 2009-05-18 2011-09-29 송홍준 전동차의 전력공급선 행거이어용 절연 봉
CN106904101B (zh) * 2017-04-13 2024-01-16 北京公共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捕捉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45Y1 (ko) * 2009-04-16 2011-03-14 한국철도공사 전차선로용 드롭퍼 클램프
KR101042952B1 (ko) 2010-12-22 2011-06-20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전차선로용 쐐기형 드롭퍼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090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861B1 (ko)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US20070216233A1 (en) Long- Stator Comprising A Ground Conductor And Maglev Railway That Is Equipped With Said Stator
KR101113281B1 (ko) 인장 클램프 그립
KR101513875B1 (ko) 전차선로용 드로퍼 클램프
KR200192608Y1 (ko) 균압용 드로퍼 클램프
JP2838272B2 (ja) ケーブル間隔保持具
NL2013558B1 (en) Isolating mechanical connector for overhead electrical power lin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connector in an overhead electrical power line.
KR20130013940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직결합이 가능한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장치 및 그 조립방법
DK2612789T3 (en) Method of connecting power rails
KR20110010940U (ko) 지하철용 전차선 고정장치
US1811154A (en) Fitting for light duty suspension hangers
US4820168A (e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conduct rail section
CN220964226U (zh) 一种高压线固定防脱结构及电机
KR200401402Y1 (ko) 전차선로용 단말클램프
JP2001136643A (ja) ケーブル架設用の留め金具
CN218102440U (zh) 一种电缆安装悬挂桥架组件
KR200279097Y1 (ko)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KR200466124Y1 (ko) 다용도 결합형 클립
CN220341961U (zh) 一种光伏支架桥架连接机构
KR100333850B1 (ko) 자동차 배터리 고정 구조
CN107276003B (zh) 一种电缆耐张线夹
CN215185757U (zh) 一种防松防滑耐张线夹
CN214929141U (zh) 高速铁路简统化接触网用单支承力索座
CN212210403U (zh) 一种电缆挂架
KR200156698Y1 (ko) 가공지선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