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626B1 - 반도체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메모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98626B1 KR100298626B1 KR1019980015927A KR19980015927A KR100298626B1 KR 100298626 B1 KR100298626 B1 KR 100298626B1 KR 1019980015927 A KR1019980015927 A KR 1019980015927A KR 19980015927 A KR19980015927 A KR 19980015927A KR 100298626 B1 KR100298626 B1 KR 1002986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command
- initial stage
- clock signal
- memor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복수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로 되어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외부 기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기준 클럭신호 및 제 1내부 클럭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가 제 1플렉스블 마크로 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의 그룹이 제 1플렉스블 마크로 칩과는 다른 제 2플렉스블 마크로 칩에 집합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커맨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제 1내부 클럭신호가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에 직접 공급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발전해 왔다. 이러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는, 커맨드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외부 기준 클럭신호에 동기해서 입출력된다.
이하에서는, 1996년 "ISSCC DIGEST of Technical Papers"의 53-54p에 기재된 수율 향상을 위한 DRAM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DRAM에서는 복수의 플렉스블 마크로(flexible macro) 칩들로 하나의 메모리 칩을 구성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 플렉스블 마크로 칩을 '플렉스블 마크로' 또는 '서브-칩'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플렉스블 마크로 칩에서는, 그 기능이 퓨즈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종래에는, 1G비트의 DRAM이 통상 4개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 중 하나가 외부 기준 클럭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외부 기준 클럭신호는 트리구조에 근거하여 각각의 플렉스블 마이크로 칩들 내에 내부 기준 클럭신호로서 분배된다. 여기서 트리구조는 복수의 클럭버퍼들로 형성된다. 이 트리구조에서는, 하나의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가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 중 하나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DRAM은 플렉스블 멀티-마크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의 각각은 그 플렉스블 마크로 칩이 메모리 칩의 어느 위치에 놓여진다고 하더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해야만 한다. 그래서, 모든 클럭버퍼들이 항상 사용되지 않더라도, 사용되지 않는 버퍼들은 퓨즈들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불활성화될 것이다.
더욱이,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가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는 내부 기준 클럭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기 내부 기준 클럭신호는 외부 기준 클럭신호에 동기해서 커맨드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도록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에 입력된다.
커맨드 신호는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의 각각의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에 입력된다. 이 커맨드 신호는 트리구조를 따라 버퍼들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내부 클럭신호가 항상 동작될 때는, 스탠바이 전류가 부득이하게 증가한다. 그 때문에, 칩 인에이블 신호의 "로우"레벨이 외부 기준 클럭신호의 상승 클럭에서 검출된다. 그렇게 해서, 칩이 활성화되며, 그리고 나서, 내부 기준 클럭신호가 동작된다.
특히, 제 1플립플롭 회로가 칩 인에이블 신호의 검출상태를 래치하기 위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제 1사이클의 내부 기준 클럭신호는, 제 1플립플롭 회로의 출력노드가 "로우"레벨로 된 후에 동작된다. 그래서, 제 1사이클의 내부 기준 클럭신호의 폭은, 제 2 및 그 후의 내부 클럭신호의 폭에 비해서, 제 1플립플롭의 반전시간 만큼 부득이하게 좁게된다.
상기의 종래 예에서는,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가 내부 기준 클럭신호의 사용에 의해 구동될 때,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와 각 마크로 내의 각 클럭버퍼 사이의 신호 경로가 큰 기생저항 및 용량을 가진다. 이것이 최소 사이클 시간을 성취하는데 있어서 장애가 된다. 만일 플립플롭 회로가 상기 장애를 제거하기 위해 경로 중간에 배치된다면, 메모리 칩의 크기가 커질 것이며, 또한 액세스 사이클들의 수가 증가할 것이다.
또, 내부 기준 클럭신호가 동작 사이클 중에만 발생되고, 스탠바이 동작 시의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에 플립플롭을 설치한 경우, 내부 클럭신호의 출력이 지연되고, 내부 클럭신호의 제 1클럭 사이클의 클럭 폭이 부득이하게 좁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동작 마진이 크게 감소된다.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상응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되듯이, DRAM(예를 들어, 1G비트 DRAM)의 하나의 칩은 4개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예를 들어 256M비트)(101~104)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의 각각은 퓨즈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그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의 각각은, 도 1에 도시되듯이, 2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 및 주변회로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되듯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300)는 플렉스블 마크로 칩(101)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가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300)에 입력된다. 이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는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로서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102, 103 및 104)의 각각에 분배된다. 특히,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는,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로서 복수의 클럭버퍼들을 매개로 하여, 각각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102, 103 및 104) 내로 공급된다. 이 클럭버퍼들은, 도 2에 도시되듯이, 트리 구조를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300)로부터의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가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로서 제 1클럭버퍼(301)에 공급된다.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는 제 1클럭버퍼(301)로부터 제 2클럭버퍼들(302)로 공급된다. 또한, 내부 기준 클럭신호들(ICLK)은 제 2클럭버퍼들(302)로부터 제 3클럭버퍼들(303)로 공급된다. 마지막으로, 내부 기준 클럭신호들(ICLK)은 제 3클럭버퍼들(303)로부터 제 4클럭버퍼들(304)로 공급된다. 그래서,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300)로부터의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가, 트리 구조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클럭버퍼들(301, 302, 303 및 304)을 매개로 하여, 각각의 플렉스블 마크로들(102~104)에 공급된다.
더욱이,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가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는, 도 2에 도시되듯이, 내부 클럭신호(ICLK)에 의해 구동되어서,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와 동기해서 입력 커맨드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DRAM은 플렉스블 멀티-마크로 방식을 채용한다. 결과적으로,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의 각각은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이 메모리 칩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에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동작해야만 한다. 그래서, 모든 클럭버퍼가 항상 사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되지 않는 버퍼들(예를 들어, 불활성 제 1클럭버퍼들(305))은, 도 2에 도시되듯이, 퓨즈들을 절단하여 결정되는 신호들에 응답하여 불활성화된다.
그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송 경로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가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의 각각에 배치되며, 커맨드 신호(CMDi)는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에 입력된다. 이 경우,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에 의해 구동된다.
특히,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로부터의 커맨드 신호(CMDi)가, 복수의 커맨드 버퍼들을 매개로 하여, 개별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102, 103 및 104)로 공급된다. 여기서, 커맨드버퍼들은, 도 3에 도시되듯이, 트리구조를 구성한다.
즉,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로부터의 커맨드 신호(CMDi)가 제 5커맨드 버퍼(401)로 공급된다. 이 커맨드 신호(CMDi)가 제 5커맨드 버퍼(401)로부터 제 6커맨드 버퍼(402)로 공급된다. 또한, 커맨드 신호(CMDi)는 제 6커맨드 버퍼(402)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2 및 104)의 제 4커맨드 버퍼들(204)로 공급된다. 한편, 커맨드 신호(CMDi)는, 제 6커맨드 버퍼(402)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및 103)의 제 3커맨드 버퍼들(203)로 공급된다.
그래서,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로부터의 커맨드 신호(CMDi)가, 트리구조의 제 5, 제 6, 제 4 및 제 3커맨드 버퍼들(401, 402, 204 및 203)을 매개로 하여, 각각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로 공급된다.
이 경우, 내부 커맨드 신호들(ICMDi)은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2 및 104)의 제 4커맨드 버퍼들(204)에 의해 구동되거나, 또는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및 103)의 제 3커맨드 버퍼들(203)에 의해 구동된다.
그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타이밍 차트와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300)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되듯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300)는 제 1플립플롭회로(40), 인버터회로들(41, 42, 43 및 45) 및 NOR회로(44)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 1플립 플롭회로(40)는 OR회로(46) 및 NAND회로들(47 및 48)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칩 인에이블 신호(CEB)가 인버터 회로들(41 및 42)을 매개로 하여 제 1플립플롭회로(40)로 입력된다. 또한,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가 인버터회로(43)를 매개로 하여 제 1플립플롭회로(40)에 입력된다. 그리고, 리셋신호(RST)도 제 1플립플롭회로(40)에 입력된다. 제 1플립플롭회로(40)는 NOR회로(44) 및 인버터 회로(45)를 매개로 하여 내부 클럭신호(ICLKP1)를 공급한다.
이 경우,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가 항상 동작될 때, 스탠바이 전류가 부득이하게 증가된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되듯이, 칩 인에이블 신호(CEB)의 "로우"레벨이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의 상승 클럭에서 검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메모리 칩이 활성화된 후,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가 도 5에 도시되듯이 동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되듯이, 제 1플립플롭 회로(40)가 칩 인에이블 신호(CEB)의 검출 상태를 래치하기 위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제 1사이클의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는, 제 1플립플롭 회로(40)의 출력노드(N1)에 "로우"레벨이 들어온 후, 동작된다. 그래서, 제 1사이클의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의 폭이, 도 5에 도시되듯이 제 2사이클 및 그 후의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의 폭에 비해서, 제 1플립플롭 회로(40)의 반전시간 만큼 좁아지게 된다.
상기 종래의 예에서는,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가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되듯이,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와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및 103)에서의 제 3커맨드 버퍼들(203)의 각각 사이의 신호 경로는 큰 기생저항 및 용량을 가진다. 이것이 최소 사이클 시간을 획득하는데 장애가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듯이,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가 동작 사이클 중에만 발생되고, 스탠바이 동작시의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300)에 제 1플립플롭 회로(40)가 배치된 경우,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의 출력이 지연되고,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의 제 1클럭 사이클의 클럭 폭이 부득이하게 좁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동작 마진이 크게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들을 고려한 것으로서, 칩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 최소클럭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칩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 최소 클럭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칩 구조를 나타내는 레이아웃이며,
제2도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기준 클럭신호의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제3도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커맨드 신호의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제4도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의 타이밍 차트이며,
제6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1클럭신호의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제8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신호의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며,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며,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칩 구조를 나타내는 레이아웃이며,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신호의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마크로 동작 시의 커맨드 신호의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건 하에서는, 외부 기준 클럭신호에 응답해서 내부 기준 클럭 신호 및 제 1내부 클럭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클럭입력 초기단계 회로가 제 1플렉스블 마크로 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맨드 입력 초기단계 회로들의 그룹이 제 1플렉스블 마크로 칩과는 다른 제 2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 내에 집합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커맨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제 1내부 클럭신호가 커맨드 입력 초기단계 회로에 직접 공급된다.
[본 발명의 원리]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리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가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로 입력된다. 이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는, 복수의 클럭버퍼들(60)을 매개로 하여, 내부 기준 클럭 신호(ICLK)로서 복수의 회로들(도시되지 않음)내로 분배된다. 여기서, 클럭버퍼들(60)은 도 6에 도시되듯이 트리구조를 구성한다.
이 경우, 내부 기준 클럭신호의 변형(skew)이 가능한 한 작게 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가, 복수의 클럭버퍼들(60)을 매개로 하여, 플렉스블 멀티-마크로 방식의 사용에 의해 큰 칩 크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공급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되듯이,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에 더하여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가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로부터 출력된다.
[제 1실시예]
그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되듯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로부터의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는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06)에만 직접 공급된다. 여기서,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06)은 복수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 중 하나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내에 집합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클럭버퍼들의 수는, 하나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에 4개의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06)을 집합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크게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클럭 지연도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에 비해서 크게 감소된다. 즉,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가 종래의 구조에 비해서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에 빨리 도달한다. 이것은 도 2에 도시된 신호 경로와 같이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가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에 도달하기 위해 복수의 클럭버퍼들을 통과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신호의 전송 경로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06)이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내에 집합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커맨드 신호들(CMDi)은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06)에 입력된다. 이 때,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06)은, 도 7에 도시되듯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로부터의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도 8에 도시되듯이, 커맨드 신호(CMDi)가, 복수의 커맨드 버퍼들을 매개로 하여, 개별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에 공급된다. 여기서, 커맨드 버퍼들 또한 트리구조를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커맨드 신호(CMDi)가 제 1커맨드 버퍼(201)로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이 커맨드 신호(CMDi)가 제 1커맨드 버퍼(201)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2 및 104)의 제 4커맨드 버퍼들(204)로 공급된다. 한편, 커맨드 신호(CMDi)는 제 1커맨드 버퍼(201)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101)의 제 2커맨드 버퍼(202)로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이 커맨드 신호(CMDi)는 제 2커맨드 버퍼(202)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및 103)의 제 3커맨드 버퍼들(203)로 공급된다.
이 경우, 제 3 및 제 4커맨드 버퍼들(203 및 204)은 도 6에 도시된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도 6의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의 트리구조는,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가 도 6의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를 추가로 공급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트리구조와 비슷하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7의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는 도 9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다. 특히,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는 주로 제 1플립플롭 회로(90), 제 2플립플롭 회로(91) 및 제 1지연회로(92)를 포함한다. 또한,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는 인버터 회로들(93, 94, 95, 97, 99 및 900) 및 NOR회로들(96 및 98)을 가진다. 이 경우에, 제 1 플립플롭 회로는 OR회로(901), NAND회로들(902 및 903)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제 2 플립플롭 회로는 OR회로(904) 및 NAND회로들(905 및 90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지연회로는 2개의 인버터 회로들(907 및 908)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칩 인에이블 신호(CEB)가 인버터 회로들(93 및 94)을 매개로 하여 제 1플립플롭 회로(90)에 입력된다.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는 인버터 회로(95)를 매개로 하여 제 1플립플롭 회로(90)에 입력된다. 또한, 리셋 신호(RST)도 제 1플립플롭 회로(90)에 입력된다. 그리고, 불활성화 신호(DISBL)는 NOR회로(96)에 입력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P1)가 제 2플립플롭 회로(91)로부터 NOR회로(98) 및 인버터 회로(99)를 매개로 하여 출력된다. 또한,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가 제 1지연회로로부터 NOR회로(96) 및 인버터 회로(97)를 매개로 하여 출력된다.
이 경우,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 및 신호(ICLKP1)가 스탠바이 상태에서 멈춘다. 이 신호(ICLKP1)는,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의 트리구조의 버퍼로 입력 하기 전의 신호이다.
그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도 9에 도시된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의 타이밍 차트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칩 인에이블신호(CEB)가 "로우"상태로 될 때, 이 상태는 클럭신호의 상승시간에 제 1플립플롭 회로(90)에서 래치된다. 제 1지연회로(92)는, 요구된 래치시간 만큼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와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 사이의 경로에 삽입된다. 그래서,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는, 도 10에 도시되듯이, 제 1사이클과 제 2사이클 사이에서 동일한 클럭 폭을 가진다.
한편, 제 1플립플롭 회로(90)의 출력(N1)은 제 2플립플롭 회로(91)에 입력되어,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의 하강시간에 제 2플립플롭 회로(91)를 반전시킨다. 그렇게 해서, 제 2플립플롭 회로(91)의 출력(N2)이 "로우"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와 신호(ICLKP1)사이의 경로가 활성화된다.
그래서,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가 제 2클럭 사이클로부터 동작된다. 그러나,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는 제 1클럭 사이클에 커맨드 신호를 입력하고, 이 커맨드 신호는 도 8에 도시된 제 3 및 제 4커맨드 버퍼들(203 및 204)로 공급된다. 따라서, 동작에 관해서는 어떠한 문제도 없다. 그래서,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의 클럭 폭이 도 10에 도시되듯이, 좁게되지 않는다.
제 1실시예에서,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가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에서 지연됨에도 불구하고,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는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보다 더 빠르다. 결과적으로,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와 제 3커맨드 버퍼(203)사이의 경로에 허용되는 시간은 회로들 둘 다가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보다 더 길어진다. 또한,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는, 커맨드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가 입력된 후, 불활성화 신호(DISBL)에 의해 정지된다.
[제 2실시예]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2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제 1지연 회로(92)가 제거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9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비슷하다.
특히,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는 주로 제 1플립플롭 회로(110) 및 제 2플립플롭 회로(111)를 포함한다. 또한,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는 인버터 회로들(112, 113, 114, 116, 118 및 119) 및 NOR회로들(115 및 117)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플립플롭 회로는 OR회로(1101), NAND회로들(1102 및 1103)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제 2플립플롭 회로는 OR회로(1104) 및 NAND회로들(1105 및 110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칩 인에이블 신호(CEB)가 인버터 회로들(112 및 113)을 매개로 하여 제 1플립플롭 회로(110)에 입력된다. 외부 기준 클럭신호(CLK)는 인버터 회로(114)를 매개로 하여 제 1플립플롭 회로(110)로 입력된다. 또한 리셋신호(RST)도 제 1플립플롭 회로(110)에 입력된다. 그리고, 불활성화 신호(DISBL)가 NOR회로(115)에 입력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P1)가 제 2플립플롭 회로(111)로부터 NOR회로(117) 및 인버터 회로(119)를 매개로 하여 출력된다. 또한,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가 NOR회로(115) 및 인버터 회로(116)를 매개로 하여 출력된다.
제 2실시예에서는, 도 12에서 도시되듯이,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스탠바이 상태에서도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가 계속해서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스탠바이 전류는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에서만 증가된다.
한편,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는, 도 12에서와 같이, 제 1실시예보다 더 빠르게 나타난다. 그래서,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와 제 3커맨드 버퍼(303)간의 경로에 허용되는 시간이 제 1실시예보다 더 길어진다.
제 2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2에 도시되듯이, 커맨드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가 입력된 후, DISBL 신호에 의해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가 정지된다. 그러나, 스탠바이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동작모드가 리셋 될 때, DISBL신호가 해제되어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의 동작이 시작된다.
[제 3실시예]
그 다음으로, 도 13 및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되듯이, 메모리 칩이 4개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801~804)로 그룹화된다. 이 경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801~804)의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칩과 비슷하게, 2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 및 주변회로를 가진다 이 경우, 도 13의 메모리 칩은, 도 13에서 칩 면적을 줄이기 위해 메모리 칩의 한측에는 어떠한 배선 영역들도 위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메모리 칩과 비슷하다.
도 14를 참조하여, 제 3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신호의 전송 경로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06)이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에 집합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커맨드 신호(CMDi)는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06)에 입력된다. 이 경우,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06)은, 도 8에서와 같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로부터의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구조로, 커맨드 신호(CMDi)가, 도 14에 도시되듯이 복수의 커맨드 버퍼들을 매개로 하여, 각각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에 공급된다. 여기서 커맨드 버퍼들은 트리구조를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커맨드 신호(CMDi)가 플렉스블 마크로(102)의 제 7커맨드 버퍼(1007)에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이 커맨드 신호(CMDi)가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의 제 7커맨드 버퍼(1008)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의 제 4커맨드 버퍼(204)로 공급된다.
한편, 커맨드 신호(CMDi)는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의 제 7커맨드 버퍼(1007)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및 103)의 제 8커맨드 버퍼들(1008)로 공급된다.
또한, 커맨드 신호(CMDi)는 플렉스블 마크로 칩(101)의 제 8커맨드 버퍼(1008)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101)의 제 3커맨드 버퍼(203)로 공급되는 반면, 커맨드 신호(CMDi)는 플렉스블 마크로 칩(103)의 제 8커맨드 버퍼(1008)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104)의 제 7커맨드 버퍼(1007)로 공급된다.
도 14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커맨드 전송 경로와는 다르게,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과 플렉스블 마크로 칩(104)간에 어떠한 전송 경로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맨드 신호(CMDi)는, 도 14에 도시되듯이,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및 103)을 매개로 하여 플렉스블 마크로 칩(104)에 공급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8에서는 커맨드 신호(CMDi)가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으로부터 플렉스블 마크로 칩(104)으로 직접 공급된다.
그래서, 도 14에 도시된 전송 경로가 메모리 칩에서 채용되어서, 도 13에 도시되듯이 칩 면적이 크게 감소된다. 이것은, 도 8에서와 같이 플렉스블 마크로 칩(104)과 플렉스블 마크로 칩(102)을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들을 위한 영역들을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커맨드 신호(CMDi)가 메모리 칩의 한 측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 및 103)에 한번 집중된다. 결과적으로, 이 경로가 도 8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비교해서 길어지기 때문에, 커맨드 신호(CMDi)를 공급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요구된다. 그러나,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로부터의 출력이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빨라지기 때문에,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제 4실시예]
그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플렉스블 멀티-마크로 방식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는, 퓨즈를 끊기 전에, 복수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의 각각이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도 15에 도시되듯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가 플렉스블 마크로 칩(10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크로 동작을 위한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201)가 플렉스블 마크로 칩(101)에 집합적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제 2내부 클럭신호들(ISCLKM)이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로부터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201)에 직접 입력된다.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201)은 제 2내부 클럭신호(ISCLKM)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내부 커맨드 신호(ICMDi)를 제 3커맨드 버퍼(203)로 공급하기 위해, 커맨드 신호(CMDi)가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201)에 입력된다.
이 경우, 메모리 칩이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101~104)을 1G비트 DRAM으로서 결합하여 동작될 때는,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가, 도 7에 도시되듯이,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에 직접 입력된다. 한편, 메모리 칩이 플렉스블 마크로 칩(101) 자체를 256M비트의 DRAM으로서 전용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동작될 때는, 도 15에 도시되듯이, 제 2내부 클럭신호(ISCLKM)가 커맨드 입력초기단 회로(1201)에 직접 입력된다.
그래서, 제 2내부 클럭신호(ISCLKM)는 마크로 동작을 위해 전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제 2내부 클럭신호(ISCLKM)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크로 동작을 위해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201)에 입력된다. 여기서,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201)는 일반적으로 2단의 D형 플립플롭들(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이 경우, 커맨드 신호(CMDi)는,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201)내에서 전체(full) 칩 동작 동안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5)와 제 3커맨드 버퍼(203)사이에서 소비되는 한 클럭 동안 대기한다. 그래서, 전체 칩에서의 동작 특성은 마크로 동작의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1201)은 일반적으로 칩 중심을 개재한 상태로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블록들간의 배선들의 집중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201)와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106)가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105) 근처에 배치된다. 여기서, 마크로 동작에서 내부 기준 클럭신호(ICLK)와 제 1내부 클럭신호(ISCLK)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클럭 폭이 좁게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내부 클럭신호가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에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최소 클럭 사이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기준 클럭 신호가 스탠바이 동작 중에 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정지된다. 더욱이, 내부 클럭의 폭이 좁게되지 않기 때문에 동작 마진이 떨어지지 않는다.
Claims (15)
- 복수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로 그룹화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제 1플렉스블 마크로 칩에 배치되어 있고, 외부 기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기준 클럭신호 및 제 1내부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 및 상기 제 1플렉스블 마크로 칩과는 다른 제 2플렉스블 마크로 칩에 집합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커맨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제 1내부 클럭신호가 직접 입력되는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트리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클럭버퍼들을 더 포함하고, 내부 기준 클럭신호는 상기 클럭버퍼들을 매개로 하여 상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의 각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트리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커맨드 버퍼들을 더 포함하고, 커맨드 신호는 상기 커맨드 버퍼들을 매개로 하여 상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의 각각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의 각각은, 메모리 셀어레이 및 주변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가 상기 제 1플렉스블 마크로 칩을 제외한 상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에서 불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은 상기 제 2플렉스블 마크로 칩을 제외한 상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에서 불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는 제 1플립플롭 회로, 상기 제 1플립플롭 회로에 접속된 제 2플립플롭 회로 및 지연기를 포함하며, 외부 기준 클럭신호, 칩 인에이블 신호 및 리셋신호가 상기 제 1플립플롭 회로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부 클럭신호가 커맨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부 클럭신호가 동작모드를 제외하고는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준 클럭신호가 제 2클럭 사이클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가 제 1플립플롭 회로 및 상기 제 1플립플롭 회로에 접속되는 제 2플립플롭 회로를 포함하고, 외부 기준 클럭신호, 칩 인에이블 신호 및 리셋신호가 상기 제 1플립플롭 회로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부 클럭신호가 커맨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탠바이 상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부 클럭신호가 동작모드를 제외하고는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준 클럭신호가 제 2클럭 사이클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입력 초기단 회로가 제 2내부 신호를 더 공급하며, 그리고 상기 제 2내부 신호가 상기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에 직접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이 결합될 때, 상기 커맨드 신호가 상기 제 1내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들에 입력되고, 상기 플렉스블 마크로 칩들 중 어느 하나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때, 상기 커맨드 신호가 상기 제 2내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맨드 입력 초기단 회로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573197A JP3166828B2 (ja) | 1997-05-06 | 1997-05-06 | 半導体メモリ装置 |
JP9-115731 | 1997-05-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86739A KR19980086739A (ko) | 1998-12-05 |
KR100298626B1 true KR100298626B1 (ko) | 2001-11-22 |
Family
ID=1466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5927A KR100298626B1 (ko) | 1997-05-06 | 1998-05-06 | 반도체메모리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018492A (ko) |
JP (1) | JP3166828B2 (ko) |
KR (1) | KR100298626B1 (ko) |
CN (1) | CN119857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88254A (en) * | 1999-02-12 | 2000-07-11 | Lucent Technologies Inc. | Uniform mesh clock distribution system |
US9235660B1 (en) * | 2014-04-02 | 2016-01-12 | Xilinx, Inc. | Selective addition of clock buffers to a circuit desig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66508A (en) * | 1986-09-26 | 1989-09-12 | General Electric Company | Integrated circuit packaging configuration for rapid customized design and unique test capability |
US5208782A (en) * | 1989-02-09 | 1993-05-04 | Hitachi, Ltd.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blocks and a lead on chip (LOC) arrangement |
JPH06274568A (ja) * | 1993-03-19 | 1994-09-30 | Fujitsu Ltd | 階層図形データの展開方法 |
-
1997
- 1997-05-06 JP JP11573197A patent/JP316682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05-06 US US09/073,837 patent/US6018492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5-06 KR KR1019980015927A patent/KR1002986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5-06 CN CN98101833A patent/CN1198573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98573A (zh) | 1998-11-11 |
US6018492A (en) | 2000-01-25 |
JPH10308092A (ja) | 1998-11-17 |
JP3166828B2 (ja) | 2001-05-14 |
KR19980086739A (ko) | 1998-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35455B1 (ko) |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JP4846272B2 (ja)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
KR890004321A (ko) | 로직마크로 및 랜덤억세스메모리 마크로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
JP2000269794A (ja) | 信号遅延回路、プログラマブル遅延素子、信号遅延方法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遅延回路 | |
KR950001293B1 (ko) | 반도체 메모리칩의 병렬테스트 회로 | |
EP0398816B1 (en) | Testing method, tes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testing circuit | |
US5841784A (en) | Testing and repair of embedded memory | |
KR100467547B1 (ko) |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 |
KR100622517B1 (ko) | 래치 회로 | |
US5889713A (en) | Testing of embedded memory by coupling the memory to input/output pads using switches | |
KR100298626B1 (ko) | 반도체메모리장치 | |
KR100396885B1 (ko) | 고주파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어 어드레스 및커맨드의 동작 주파수로 사용하고 서로 다른 주파수의클럭 신호들을 수신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포함하는 메모리 모듈 및 시스템 메모리 모듈 | |
US5363494A (en) | Bus interface circuit for connecting bus lines having different bit ranges | |
US5457648A (en) | Random access memory with digital signals running over the small signal region of the array | |
US6118727A (en) | Semiconductor memory with interdigitated array having bit line pairs accessible from either of two sides of the array | |
US5177573A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 |
US7454672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estable with a single data rate and/or dual data rate pattern in a merged data input/output pin test mode | |
JPH0696599A (ja) | 半導体集積回路 | |
US712431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ne tuning clock signals of an integrated circuit | |
JPH0582746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5546354A (en) | Stat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tunable-self-timed control logic circuits | |
KR100268434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번-인 테스트방법 | |
KR100197570B1 (ko) | 고성능 동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패드 배치 구조 | |
KR100498448B1 (ko) | 데이터 버스 사이의 커플링을 최소화하는 동기식 반도체장치 및 방법 | |
US6532179B2 (en) | Input signal receiv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