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052B1 - 유방컵을가진의류 - Google Patents

유방컵을가진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052B1
KR100298052B1 KR1019980706391A KR19980706391A KR100298052B1 KR 100298052 B1 KR100298052 B1 KR 100298052B1 KR 1019980706391 A KR1019980706391 A KR 1019980706391A KR 19980706391 A KR19980706391 A KR 19980706391A KR 100298052 B1 KR100298052 B1 KR 10029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cup
cup
breast
garment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4526A (ko
Inventor
나루오 니시야마
준코 가사이
켄 아마구치
Original Assignee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겨드랑이측 부분(A)을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2개 이상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를 이어서 구성한 유방 컵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지 않고, 앞 중심방향을 향해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방 컵의 파임부 방향을 향하는 봉제선인 유방 컵을 가진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는 바스트에 둥그스름한 곡선미를 띠게 함과 동시에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가지며, 유방 컵의 봉제선이 겉옷에 반영되지 않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방 컵을 가진 의류{Garment having breast cups}
종래부터 유방 컵을 가진 여성용 의류,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브래지어, 롱 라인 브래지어, 비스체, 보디 슈트, 스리인원, 브라 테디, 브라 캐미솔 혹은 브라 슬립 등의 유방 컵을 가진 파운데이션류나 수영복 등의 의류는 착용자의 유방에 닿는 볼록한 유방 컵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유방 컵을 가진 의류는 여성용 피복으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유방 컵은 부직포나 폴리우레탄 폼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유방의 형태를 아름답게 보정하기 위한 기능을 갖추기 위해 여러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들면, 유방 컵의 겨드랑이 부분, 혹은 겨드랑이에서 파임부(버지스 라인) 최하점에 걸쳐서, 혹은 유방 컵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른 부분에 대략 초승달 형상 등의 두께가 두꺼운 패드를 부착하거나, 보다 심이 좋은 소재를 이용해서 바스트 업을 도모하거나 유방의 겨드랑이로의 쏠림을 방지한 유방 컵을 가진 의류는 최근에 유방의 형태를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로서 보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류를 착용했을 경우, 유방의 형태는 보정되는 경우도 있으나, 가슴이 풍만하게 보이게 되지만, 상기 유방 컵의 강화부분의 위치에 따라 유방의 살이 앞 중심쪽이나 혹은 겨드랑이쪽으로 비어져 나오는 형태로 보정되기 때문에, 특별히 살찐 사람이 아니더라도 바스트가 세련되게 보이지 않거나, 바스트가 큰 사람은 전체적인 느낌이 살이 쪄 보이기 때문에, 특히 최근에는 바스트의 돌출 높이는 낮게 억제하지 않고 가슴의 볼륨은 유지하면서, 유방의 겨드랑이 측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이 요망되고 있다.
또, 유방 컵의 겨드랑이 부분 혹은 겨드랑이에서 파임부 최하점에 걸쳐서, 혹은 유방 컵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른 부분을 보강부재로 보강하고, 바스트 업 등을 달성하고자 하는 시도는 여러가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겨드랑이부 및 앞 중심부만을 보강한 것은 다른 부분을 그다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겨드랑이부의 보강에 의해 겨드랑이에서 유방으로 가압력은 작용하지만, 반작용으로 결국 유방의 살이 겨드랑이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다.
또, 겨드랑이부에 패드를 이용해서 유방을 앞 중심쪽으로 모으려고 하는 시도는 유방의 반발과 패드의 두께로 겨드랑이가 불룩해져 살이 쪄 보인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어떤 경우에도 아름다운 둥그스름한 곡선미가 실현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또, 일반적으로 유방 컵은 폴리우레탄 발포체 등의 몰드 성형품을 제외하고, 컵에 산형상의 볼륨을 갖게 하기 위해, 통상 2개 또는 3개의 컵 구성부분을 서로 이음으로써 컵에 산형상의 볼륨을 갖게 하고 있으나, 이 경우 통상 봉제선은 컵의볼록한 정상부를 지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정상부가 약간 뾰족해져서 아름다운 곡선미가 실현되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고 있기 때문에, 겉옷에 유방 컵의 봉제선이 반영되어 겉옷 위에서도 봉제선의 흔적이 인식되게 되므로, 착용자의 외관을 저하시킨다는 문제도 있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등의 몰드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유방 컵은 비교적 멋진 곡선미를 실현할 수 있고, 솔기가 없으므로 봉제선이 반영되어 겉옷위에서도 봉제선의 흔적을 인식할 수 있다는 문제는 없어지지만, 유방의 겨드랑이 살을 보다 평평한 방향으로 정돈하여,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은 실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바스트에 둥그스름한 곡선미를 띠게 함과 동시에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가지며, 유방 컵의 봉제선이 겉옷에 반영되지 않아, 겉옷위에서 봉제선의 흔적이 인식될 우려가 없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방 형상의 보정기능을 가진 여성용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좌측 유방 컵의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좌측 유방 컵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좌측 유방 컵의 또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좌측 유방 컵의 또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좌측 유방 컵의 또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일종인 브래지어의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일종인 브래지어의 또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일종인 겉컵을 가진 브래지어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일종인 겉컵을 가진 브래지어의 다른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일종인 보디 슈트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일종인 수영복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유방 컵을 가진 의류를 제공한다.
(1)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겨드랑이측 부분(A)을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2개 이상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를 이어서 구성한 유방 컵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지 않고, 앞 중심방향을 향해 거의 비스듬히 하향으로 유방 컵의 파임부 방향을 향하는 봉제선인 유방 컵을 가진 의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는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겨드랑이측 부분(A)을 압축률이 비교적 작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2개 이상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를 이어서 구성했으므로, 바스트의 겨드랑이측 형태를 꽉 눌러서 셰이프 업하고, 유방 컵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바스트의 볼륨감을 유지하면서 둥그스름한 곡선미를 띠게 함과 동시에,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이 정상부를 전혀 지나지 않고, 게다가 바스트의 곡선미가 강한 부분을 지나 앞 중심 근방에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측을 향하고 있다. 아울러 (B)의 소재가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이기 때문에, 종래의 "커트 앤드 소"(cut and sew; 커트한 조각부분을 이어서 유방 컵을 제조하는 수법)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몰드 성형 컵과 같은 자연스럽고 멋진 유방의 곡선미를 실현할 수 있다. 동시에,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커트 앤드 소"에 의해 제조된 유방 컵임에도 불구하고, 봉제선이 겉옷에 반영되지 않아 겉옷위에서 봉제선의 흔적이 인식될 우려가 없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트 앤드 소"나 몰드 성형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서, 곡선미가 있는 실루엣과 강한 보정기능이라는 종래 상반되었던 2개의 요구특성을 실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
(2) 겨드랑이측 부분(A)을 구성하는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의 압축률이 3∼10%이고, 나머지 부분(B)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소재의 압축률이 10∼25%이며, 또, (A) 소재의 압축률보다 (B) 소재의 압축률쪽이 큰 상기 (1)항에 기재된 유방 컵을 가진 의류.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1)항에 기재된 작용효과가 보다 바람직하게 발휘되고, 또 착용감의 저하가 없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3) 겨드랑이측 부분(A)을 구성하는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의 압축률이 3.5∼8%이고, 나머지 부분(B)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소재의 압축률이 14∼20%인 상기 (1)항에 기재된 유방 컵을 가진 의류.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1)항에 기재된 작용효과가 보다 안정하게 발휘되고, 또 착용감이 뛰어난 유방 컵을 가진 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4) 유방 컵이 겉컵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겉컵은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으로 이루어지며, 유방 컵의 파임부 근방에 개더(gather)를 형성하고/하거나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지나지 않고 유방 컵의 파임부 방향을 향하는 다트(dart)를 형성하여 부착되어 있는 상기 항에 기재된 유방 컵을 가진 의류.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겉컵 천을 부착하여 외관이 보다 양호한 의류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겉컵 천이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천으로 이루어지며, 유방 컵의 파임부 근방에 개더를 형성하고/하거나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지나지 않고 유방 컵의 파임부 방향을 향하는 다트를 형성하여 부착되어 있으므로, 바스트가 아름다운 곡선미를 유지하고, 또 바스트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폭이 좁은 느낌을 주며, 봉제선이 겉옷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상기 작용효과를 방해하지 않고, 겉컵 천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5) 겨드랑이측 부분(A)을 구성하는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가 압축 폴리우레탄 폼 또는 압축 폴리우레탄 폼의 적어도 한 면에 직물 또는 편물이 적층된 압축 폴리우레탄 폼의 적층물로 이루어진 (1)항에 기재된 유방 컵을 가진 의류.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압축 폴리우레탄 폼은 저렴하고 용이하게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알맞은 압축률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얻을 수 있고, 또 인체에의 접촉이 유연하여 착용감의 저하도 없어서 특성이 바람직한 소재이다.
(6) 나머지 부분(B)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소재가 스트레치성 부직포, 비압축 폴리우레탄 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한 면에 신축성을 지닌 직물 또는 신축성을 지닌 편물이 적층된 적층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상기 (1)항에 기재된 유방 컵을 가진 의류.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이들은 비교적 약한 힘으로 압축되는 압축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 유연성이 뛰어나므로, 겨드랑이측 부분(A)에서밀려난 유방의 살을 이 부분에서 흡수하고, 둥그스름한 곡선미를 띠게 하는 작용효과를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또 착용감이 매우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7) 겨드랑이측 부분(A)이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고 유방 컵의 겨드랑이 상측 가장자리부 근방에서 유방 컵의 파임부 최하점 근방에 이르는 겨드랑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인 상기 (1)항에 기재된 유방 컵을 가진 의류.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바스트의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8) 나머지 부분(B)의 소재가 겨드랑이측 부분(A)의 소재에 비해, 신장이 큰 성질을 갖는 소재인 상기 (1)항에 기재된 유방 컵을 가진 의류.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겨드랑이측 부분(A)의 부분에서 밀려난 유방의 살이 커다란 반발력을 받지 않고 나머지 부분(B) 부분의 신장에 의해 형태좋게 흡수되기 때문에, 겨드랑이부가 훨씬 더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스트를 형태좋게 인체의 전방으로 밀어내서 바스트를 보다 아름답고 자연스러운 곡선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9) 유방 컵을 가진 의류가 브래지어이고, 상기 브래지어는 그 뒤쪽 천이 신체의 겨드랑이에 닿는 부분에 압축 폴리우레탄 폼 및/또는 바인더 없는 압축 부직포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가압부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상기 (1)∼(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방 컵을 가진 의류.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브래지어의 뒤쪽 천에 그것이 신체의 겨드랑이에 닿는 압축 폴리우레탄 폼 및/또는 바인더 없는 압축 부직포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가압부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신체의 겨드랑이 살을 꽉 누를 수 있으므로, 상기 유방 컵의 작용효과와 함께 보다 날씬하고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유방 컵은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겨드랑이측 부분(A)을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2개 이상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를 이어서 구성한 유방 컵으로서, 상기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지 않고, 앞 중심방향을 향해 거의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방 컵의 파임부 방향을 향하는 봉제선인 유방 컵으로 이루어진다.
또, 여기서 "앞 중심"이란 당해 의류 전체 또는 인체의 앞쪽 세로방향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유방 컵을 설명하기 위해, 도 1∼도 4에 인체 좌측의 유방 컵(대표예로서 3/4 컵 타입)의 정면도를 나타냈다.
유방 컵의 정상부란 유방 컵의 볼록한 정점부분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유방 컵(1)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겨드랑이측 부분(A)으로서 설명한 컵 부분조각(12)은 겨드랑이 상측 가장자리에서 유방 컵의 정상부(2) 방향으로 접근하는 볼록한 커브를 그리며 컵 파임부(4; 컵의 하측 가장자리로 버지스라고도 불리운다)의 최하점(3) 근방에 이르는 봉제선(15)으로 구획되는 라인으로 겨드랑이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이 유연하고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2)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은 도 1에 도시한 유방 컵에서는 2개의 부분조각(13, 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분조각(13, 14)은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봉제선(16)에 의해 이어져 있으며, 나머지 부분(B)의 상기 봉제선(16)은 정상부(2)를 지나지 않고, 앞 중심방향을 향해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방 컵의 파임부(4) 방향을 향하는 봉제선으로 되어 있다.
이 예와 같이 겨드랑이측 부분(A)은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고 유방 컵의 겨드랑이 상측 가장자리부 근방에서 유방 컵의 파임부 최하점(3) 근방에 이르는 겨드랑이측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방 컵의 파임부 최하점 근방이라고 표현되어 있는 것은 엄밀히 유방 컵의 파임부 최하점(3) 위치에 봉제선의 종단이 위치하는 것은 요구되지 않고, 유방 컵의 파임부 최하점(3) 보다 적당히 앞 중심 근방이 되거나, 겨드랑이측으로 되어 있어도 특별히 지장은 없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로 적당히 유방 컵의 파임부 최하점(3) 위치에서 어긋나 있는 것은 아무런 지장이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다른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2에 도시한 유방 컵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3/4 컵 타입의 유방 컵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유방 컵(1)에 있어서는, 겨드랑이측 부분(A)으로서 설명한 컵 부분조각(12')은 겨드랑이 상측 가장자리에서 유방 컵의 정상부(2)를 피해 컵 파임부(4)의 최하점(3) 근방(이 예의 경우에는 최하점(3)보다 약간 앞 중심측)에 이르는 오목 형상의 커브의 봉제선(15')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이 봉제선(15')으로 겨드랑이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이 유연하고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2)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이 도 2에 도시한 유방 컵에서는 2개의 부분조각(13', 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분조각(13', 14')은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고, 이것들은 봉제선(16')에 의해 서로 이어져 있으며, 나머지 부분(B)의 상기 봉제선(16')은 정상부(2)를 지나지 않고, 앞 중심방향을 향해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방 컵의 파임부(4) 방향을 향하는 봉제선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유방 컵에서는 2개의 부분조각(13', 14')이 함께 봉제선(15')으로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에 서로 이어져 있는 타입인데, 이 점 도 1에 도시한 유방 컵은 부분조각(12)과 접하여 서로 이어져 있는 부분조각이 부분조각(13)뿐인 점이 다르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유방 컵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3/4 컵 타입의 유방 컵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유방 컵(1)에 있어서는, 겨드랑이측 부분(A)으로서 설명한 컵 부분조각(12")은 겨드랑이측 최상측 가장자리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 하방의 겨드랑이 상측 가장자리에서 시작하고, 유방 컵의 정상부(2)를 피해 컵 파임부(4)의 최하점(3) 근방(이 예의 경우에는 최하점(3)보다 약간 앞 중심측)에 이르는 오목 형상의 커브 봉제선(15")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이 봉제선(15")으로 겨드랑이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이 유연하고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2)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은 2개의 부분조각(13", 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분조각(13", 14")은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고, 이들은 봉제선(16")으로 서로 이어져 있으며, 나머지 부분(B)의 상기 봉제선(16")은 정상부(2)를 지나지 않고, 앞 중심방향을 향해 약간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방 컵의 파임부(4) 방향을 향하는 봉제선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유방 컵에서는 부분조각(13")이 봉제선(15")에 의해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에 이어지고, 부분조각(14")은 봉제선(16")에 의해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에 이어져 있는 타입인데, 이 점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형태의 유방 컵과 각 부분조각의 형태나 봉제선의 형태가 조금 다르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한 유방 컵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또 다른 형태의 3/4 컵 타입의 유방 컵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유방 컵(1)에 있어서는, 겨드랑이측 부분(A)으로서 설명한 컵 부분조각(12a)은 겨드랑이측 최상측 가장자리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 하방의 겨드랑이 상측 가장자리에서 시작하고, 유방 컵의 정상부(2) 방향에 접근하는 볼록한 커브를 그리며 컵 파임부(4)의 최하점(3) 근방에 이르는 봉제선(15a)에 의해 구획되는 라인으로 겨드랑이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이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a)이 유연하고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2)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이 도 4에 도시한 유방 컵에서는 2개의 부분조각(13a, 14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분조각(13a, 14a)은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고, 이들은 봉제선(16a)에 의해 이어져 있으며, 나머지 부분(B)의 상기 봉제선(16a)은 정상부(2)를 지나지 않고, 앞 중심방향을 향해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방 컵의 파임부(4) 방향을 향하는 봉제선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한 유방 컵은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3/4 컵 타입의 유방 컵의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유방 컵(1)에 있어서는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b)은 겨드랑이 상측 가장자리에서 유방 컵의 정상부(2) 방향으로 접근하는 볼록한 커브를 그리며 컵 파임부(4)의 최하점(3) 근방에 이르는 봉제선(15b)으로 겨드랑이측 부분을 구성하는 부분조각이며, 도 1에 도시한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과 거의 같은 형상이다. 이 겨드랑이측 부분(A)인 컵 부분조각(12b)은 도 1에서 도시한 컵 부분조각(12)과 같이 유연하고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유방 컵이 도 1에 도시한 유방 컵과 주로 다른 부분은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2)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이 도 1에 도시한 유방 컵에서는 2개의 부분조각(13, 14)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 도 5에 도시한 유방 컵에서는 3개의 부분조각(13b, 14b, 18b)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들 3개의 부분조각(13b, 14b, 18b)은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봉제선(16b, 17b)에 의해 이어져 있고, 나머지 부분(B)의 상기 봉제선(16b, 17b)은 모두 정상부(2)를 지나지 않고, 앞 중심방향을 향해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방 컵의 파임부(4) 방향을 향하는 봉제선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는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겨드랑이측 부분(A)을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2개 이상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를 이어서 구성한 것으로, 바스트의 겨드랑이측 형태를 꽉 눌러서 셰이프 업하고, 유방 컵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바스트의 볼륨감을 유지하면서, 또한 둥그스름한 곡선미를 띠게 함과 동시에,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은 정상부를 전혀 지나지 않고, 게다가 바스트의 곡선미가 강한 부분을 지나며 앞 중심 주변 방향을 향해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향을 향하고 있다. 게다가, (B)의 소재가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이기 때문에, 종래의 "커트 앤드 소"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몰드 성형컵과 같은 자연스럽고 멋진 유방의 볼륨을 실현할 수 있다. 동시에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커트 앤드 소"로 제조된 유방 컵임에도 불구하고, 봉제선이 겉옷에 반영되지 않아서 겉옷위에서 봉제선의 흔적이 인식될 우려가 없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트 앤드 소"나 몰드 성형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서, 곡선미가 있는 실루엣과 강한 보정기능이라는 종래 상반되는 2개의 요구특성을 실현가능하게 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이들 유방 컵의 실례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나타낸 소수의 구체예로서, 유방 컵의 구체적인 형태는 그 사용 목적이나 의류의 종류, 풀 컵, 3/4컵, 2/3컵, 1/2컵 등의 타입에 따라서도 변하므로,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사용되는 유방 컵은 도 1∼도 5에 도시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 1∼도 4에는 모두 3매 솔기로 구성되어 있는 유방 컵을 도시했으나,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도 5에 도시한 구체예와 같이 3개 이상으로 나누어도 되며, 또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한, 필요에 따라 겨드랑이측 부분(A)의 부분을 2매의 솔기 또는 그 이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은 상기와 같다.
도 6에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일종인 브래지어의 일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브래지어에 있어서는 유방 컵(1)으로서 상술한 도 1에도시한 타입의 유방 컵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했다.
또, 20은 브래지어의 뒤쪽 천이며, 뒤쪽 천(20)이 신체의 겨드랑이에 닿는 부분에는 압축 폴리우레탄 폼 및/또는 바인더 없는 압축 부직포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가압부(21)가 부착되어 있다. 22는 스트랩(strap; 어깨 끈)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브래지어의 또 다른 형태로서, 유방 컵을 구성하는 겨드랑이측 부분(A)과 2개의 부분조각으로 구성되는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 형태가 도 6의 유방 컵의 그것에 비해 약간 다른 형태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유방 컵(1)은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유방 컵인데 반해, 도 7의 브래지어에 도시된 유방 컵(1)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유방 컵인 점이 도 6에 도시한 브래지어와 다르고, 그 밖의 점은 도 6에 도시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에 도시한 타입이나 도 6에 도시한 타입이나 상술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거의 동일하게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에 겉컵을 가진 브래지어의 일례의 사시도를 나타냈다. 또, 겉컵의 뒤쪽에 위치하는 유방 컵(1)은 도 1과 동일한 형태로 했으나(도시 생략), 그 밖의 도 2∼도 5에 도시한 형태로 해도 상관없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70은 겉컵을 나타내고 있으며, 겉컵을 구성하는 천은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예에서는 겉컵은 도 1에 도시한 유방 컵의 봉제선(15, 16)의 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이 봉제선을 따라 다트(71, 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의 다트(71, 72)는 컵의 중앙부 근방에서 컵의 파임부(4)의 방향을 향해 컵의 파임부(4)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다트는 컵의정상부(2)를 지나지 않는 다트로서, 컵에 입체적인 곡선미를 띠게 하기 위한 다트라면 다른 위치에 형성해도 상관없음은 물론이다. 다트가 컵의 정상부(2)를 지나면 다트 라인이 겉옷에 반영되어 다트 라인의 흔적이 겉옷위에서도 인식되므로, 외관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을 이용해서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지나지 않는 다트를 형성한 겉컵을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상기 작용효과를 방해하지 않고, 겉컵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겉컵 천의 신축성은 적어도 일방향, 바람직하게는 의류(브래지어) 세로방향의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물론 가로세로 양방향이나, 또한 비스듬한 방향 등의 신축성을 지닌 천도 매우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겉컵용 천의 구체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들면 투웨이 트리코, 베어 플라이스, 스트레치 레이스, 폴리우레탄 섬유 함유 러셀 편물(파워네트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그 밖에 폴리우레탄 섬유 등의 탄성섬유가 사용된 신축성 편물, 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에 겉컵을 가진 브래지어의 일례의 사시도를 도시했다. 또, 겉컵의 뒤쪽 유방 컵(1)은 도 1과 동일한 형태로 했으나(도시생략), 그 밖의 도 2∼도 5에 도시한 형태로 해도 상관없음은 상술한 예와 같다. 도 9의 브래지어의 겉컵(70)에 있어서는 약간 앞 중심측의 컵 파임부(4) 근방에 개더(81)를 형성하여 겉컵이 부착되어 있다. 겉컵을 구성하는 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임은 상술한 예와 같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을 이용해서 개더를 형성한 겉컵을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상기 작용효과를 방해하지 않고, 겉컵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겉컵을 부착할 경우에 다트와 개더를 병용해도 됨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 10에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일종인 보디 슈트의 일례의 사시도를 도시했다. 이 보디 슈트에 도시된 유방 컵(1)의 형태는 도 1에 도시한 유방 컵(1)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같은 타입의 유방 컵을 가지고 있으나, 도 2∼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타입의 유방 컵을 구비한 것이어도 상관없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보디 슈트에 있어서는 유방 컵은 겉컵 천으로 덮여져 있으므로, 유방 컵의 봉제선(15,16)은 점선으로 나타냈다. 겉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겉컵 천으로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이 사용되고 있다. 또, 겉컵에는 다트 및/또는 개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1에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일종인 수영복의 일례의 사시도를 나타냈다. 이 수영복에 도시된 유방 컵(1)의 형태는 도 1에 도시한 유방 컵(1)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같은 타입의 유방 컵을 가지고 있으나(도시 생략), 도 2∼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타입의 유방 컵을 구비한 것이어도 상관없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수영복에 있어서는 유방 컵은 수영복의 겉감에 의해 덮여져 있으므로, 유방 컵의 봉제선(15,16)은 점선으로 나타냈다. 수영복 겉감중 적어도 컵부분의 겉감으로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이 이용되며, 또 컵부분의 겉감에는 다트 및/또는 개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대해 그 구체예로서 브래지어, 보디 슈트, 수영복을 들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 도시한 실시형태예에서 도시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비스체, 스리인원, 브라 테디, 브라 캐미솔 혹은 브라 슬립 등 유방 컵을 가진 파운데이션류 뿐만 아니라, 그 밖의 각종 유방 컵을 가진 여성용 의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겨드랑이측 부분(A)을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2개 이상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를 이어서 구성함으로써, 바스트의 겨드랑이측 형태를 꽉 눌러서 셰이프 업하고, 유방 컵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바스트의 볼륨감을 유지하면서 또 둥그스름한 곡선미를 띠게 함과 동시에,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이 정상부를 전혀 지나지 않고, 또 바스트의 곡선미가 강한 부분을 지나 앞 중심 주변의 방향을 향해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향하고 있다. 아울러, (B)의 소재가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이기 때문에, 종래의 "커트 앤드 소"로는 이룰 수 없었던 몰드 성형 컵과 같은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유방의 볼륨을 실현할 수 있다. 동시에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지 않기 때문에 "커트 앤드 소"에 의해 제조된 유방 컵임에도 불구하고, 봉제선이 겉옷에 반영되지 않아 겉옷위에서 봉제선의 흔적이 인식될 우려가 없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트 앤드 소"나 몰드 성형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서, 곡선미가 있는 실루엣과 강한 보정기능이라는 종래 상반되는 2가지 요구특성을 실현가능하게 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소재의 압축률에 대해서는 겨드랑이측 부분(A) 소재의 압축률은 3∼10%이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 소재의 압축률은 10∼25%이며, 또 (A) 소재의 압축률보다 (B) 소재의 압축률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한 압축률 범위는 (A) 소재의 압축률이 3.5∼8%이고, (B) 소재의 압축률이 14∼20%의 범위이다.
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가로 (A) 소재의 숭고(嵩高; bulkiness) 유지율이 (B) 소재의 숭고 유지율 보다 큰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추가로 (B) 소재의 신장이 (A) 소재의 신장보다 큰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축률, 숭고유지율은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① 가로세로 10㎝ ×10㎝의 시험편을 10매 포개고, 그 위에 가로세로 10㎝ ×10㎝(중량 50gf/100㎠)의 알루미늄판을 얹고, 그 상태로 네변에 있어서 10매분의 시험편 두께를 측정하여, 1매당 시험편 두께의 평균치(X)를 산출한다.
② 알루미늄판위에 2000gf의 추를 30초간 얹고, 상기 ①의 조작과 동일하게 행하여 압축된 상태의 1매당 시험편 두께의 평균치(Y)를 산출한다.
③ 2000gf의 추를 빼고, 30초 방치한 후, 다시 2000gf의 추를 알루미늄판위에 24시간 얹고, 추를 빼고 1시간 방치후의 상태의 1매당 시험편 두께의 평균치(Z)를 상기 ①의 조작과 동일하게 행하여 산출한다.
다음식에 의해 압축률(%), 숭고 유지율(%)을 구한다.
수식(1)
압축률(%) = {(X-Y)/X} ×100
수식(2)
숭고 유지율(%) = {(Z-Y/(X-Y)} ×100
상기 수식(1)에서 알 수 있듯이, 압축률이란 상기 소재의 두께 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압축되기 쉬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압축률 값이 클수록 하중이 걸렸을 때에 압축되기 쉬운 소재임을 나타낸다.
또, 상기 소재에서의 신장의 비교는 (A), (B)의 소재 모두 같은 조건에서 신장을 측정하여 비교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인스트론형 정속 신장형 인장시험기(예를들면, 시마츠세이사쿠쇼 제품 "오토그래프" AG-500D 등)를 이용해서 일정 가중을 걸었을 때의 신장률 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 신장의 측정은 그 소재의 가장 잘 늘어나는 방향의 신장률 값으로 비교한다.
(A)를 구성하는 소재의 구체예로는 예를들면 발포 고무나 압축 폴리우레탄 폼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압축 폴리우레탄 폼이 바람직하다. 또, (A)의 소재로는 스트레치 레이스 등도 사용가능하다. 압축 폴리우레탄 폼의 부피(bulk)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75∼0.300g/cc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빌포 고무나 압축 폴리우레탄 폼의 적어도 한 면에 직물 또는 편물이 적층되는 압축폴리우레탄 폼이나 발포 고무의 적층물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적층된 직물 또는 편물로는 신축성이 있어도 신축성이 없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직물 또는 편물을 적층함으로써 피부 감촉을 개량하거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코 편물, 예를들면 나일론 트리코, 폴리에스테르 트리코, 면 트리코, 면과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혼합 편물 트리코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트리코 편물은 신축성을 가지지만, 신장을 비교적 적게 억제하고 싶은 경우에는 2매 이상 포개어서 적층해도 된다.
또, 통상의 폴리우레탄 폼은 압축률이 너무 큰 것이 일반적이어서 통상의 폴리우레탄 폼은 바람직하지 않다. 단, (A)를 구성하는 소재는 압축 폴리우레탄 폼이나 발포 고무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착용감을 저하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소재라도 사용가능하다.
또, (B)를 구성하는 소재의 구체예로는 예를들면 스트레치성 부직포, 비압축 폴리우레탄 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한 면에 신축성을 지닌 직물 또는 신축성을 지닌 편물이 적층된 적층물 등이 사용되고, 이들은 비교적 압축률이 큰 압축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 유연성이 뛰어나므로, (B) 소재의 특성에서 바스트를 인체의 앞쪽으로 밀어내거나 또한 둥그스름한 볼륨감을 띠게 하는 작용효과를 효과적으로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또 착용감을 저하시키지 않고, 착용감이 매우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특히, 스트레치성 부직포나 비압축 폴리우레탄 폼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한 면에 신축성을 지닌 직물 또는 신축성을 지닌 편물이 적층된 적층물을 사용하는 것이 촉감을 개량하거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층하는 신축성을 지닌 직물 또는 편물로는 트리코 편물, 예를들면 나일론 트리코, 폴리에스테르 트리코, 면 트리코, 면과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혼합 편물 트리코 등의 신축성을 지닌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직물이나 편물을 적층한 적층물의 압축률이나 숭고유지율을 구하려면, 적충물 상태에서 상기 측정법에 따라 구하면 된다.
도 6∼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있어서는, 유방 컵의 (A)에 상당하는 12 부분의 소재는 트리코 편물이 그 양면에 적층된 압축 폴리우레탄 폼(압축률 4.2%, 숭고유지율 92.3%, 두께 3mm, 압축 폴리우레탄 폼 부분만의 부피 밀도 0.280g/cc)을 사용하며, (B)에 상당하는 13, 14 부분의 소재가 트리코 편물이 그 양면에 적층된 스트레치성 부직포(압축률 16.5%, 숭고유지율 41.3%, 두께 4mm, 스트레치성 부직포 부분만의 중량 145g/㎡)을 사용하는 조합과, (A)에 상당하는 12 부분의 소재가 트리코 편물이 그 양면에 적층된 압축 폴리우레탄 폼(압축률 7.0%, 숭고유지율 52.2%, 두께 3mm, 압축 폴리우레탄 폼 부분만의 부피 밀도 0.0784g/cc)을 사용하고, (B)에 상당하는 13, 14 부분의 소재가 트리코 편물이 그 양면에 적층된 스트레치성 부직포(압축률 16.5%, 숭고유지율 41.3%, 두께 4mm, 스트레치성 부직포 부분만의 중량 145g/㎡)를 사용하는 조합 2가지를 각각에 대해 채용했으나,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상술한 대로이다.
(1)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는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않는 겨드랑이측 부분(A)을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2개 이상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를 이어서 구성했으므로, 바스트의 겨드랑이측 형태를 꽉 눌러서 셰이프 업하고, 유방 컵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바스트의 볼륨감을 유지하면서 또 둥그스름한 곡선미를 띠게 함과 동시에,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이 정상부를 전혀 지나지 않고, 게다가 바스트의 곡선미가 강한 부분을 지나서 앞 중심 주변의 방향을 향해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향하고 있다. 게다가, (B)의 소재가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이기 때문에, 종래의 "커트 앤드 소"에 의해 제조된 유방 컵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몰드 성형컵과 같은 자연스럽고 멋진 유방의 곡선미를 실현할 수 있다. 동시에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지 않기 때문에, "커트 앤드 소"에 의해 제조된 유방 컵임에도 불구하고, 봉제선이 겉옷에 반영되지 않아서, 겉옷위에서 봉제선의 흔적이 인식될 우려가 없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트 앤드 소"나 몰드 성형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서, 곡선미가 있는 실루엣과 강한 보정기능이라는 종래 상반되는 2개의 요구특성을 실현가능하게 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있어서, 겨드랑이측 부분(A)을 구성하는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의 압축률이 3∼10%이고, 나머지 부분(B)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소재의 압축률이 10∼25%이고, 또, (A) 소재의 압축률 보다(B) 소재의 압축률 쪽이 큰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1)항에 기재된 작용효과가 보다 적절하게 발휘되고, 또 착용감의 저하가 없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3)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있어서, 겨드랑이측 부분(A)을 구성하는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의 압축률이 3.5∼8%이고, 나머지 부분(B)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소재의 압축률이 14∼20%인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1)항에 기재된 작용효과가 보다 안정하게 발휘되고, 또 착용감이 뛰어난 유방 컵을 가진 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4)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있어서, 추가로 유방 컵이 겉컵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겉컵은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으로 이루어지며, 유방 컵의 파입부 근방에 개더를 형성하고/하거나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지나지 않고 유방 컵의 파임부 방향을 향하는 다트를 형성하여 부착되어 있는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겉컵 천을 부착하여 보다 외관이 양호한 의류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겉컵 천이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으로 이루어지고, 유방 컵의 파임부 근방에 개더를 형성하고/하거나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지나지 않고 유방 컵의 파임부 방향을 향하는 다트를 형성하여 부착되어 있으므로, 바스트가 아름다운 곡선미를 유지하고, 또 바스트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폭이 좁은 느낌을 주고, 봉제선이 겉옷에 반영하지 않아서 겉옷위에서 봉제선의 흔적이 인식될 우려가 없는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의 상기 작용효과를 방해하지 않고, 겉컵 천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5)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있어서, 겨드랑이측 부분(A)을 구성하는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가 압축 폴리우레탄 폼 또는 압축 폴리우레탄 폼의 적어도 한 면에 직물 또는 편물이 적층된 압축 폴리우레탄 폼의 적층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압축 폴리우레탄 폼은 저렴하고 용이하게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압축률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얻을 수 있고, 또 인체에 대한 촉감이 부드럽고 착용감의 저하도 없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6)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있어서, 나머지 부분(B)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소재가 스트레치성 부직포, 비압축 폴리우레탄 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한 면에 신축성을 지닌 직물 또는 신축성을 지닌 편물이 적층된 적층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이들은 비교적 약한 힘으로 압축되는 압축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 유연성이 뛰어나므로, 겨드랑이측 부분(A)에서 밀려나온 유방의 살을 이 부분에서 흡수하여 둥그스름한 곡선미를 띠게 하는 작용효과를 효과적으로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또 착용감이 매우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7)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있어서, 겨드랑이측 부분(A)이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고 유방 컵의 겨드랑이 상측 가장자리부 근방에서 유방 컵의 파임부 최하점 근방에 이르는 겨드랑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인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바스트의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8)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있어서, 추가로 나머지 부분(B)의 소재가 겨드랑이측 부분(A)의 소재에 비해 신장이 큰 성질을 가진 소재인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겨드랑이측 부분(A)의 부분에서 밀려나온 유방의 살이 커다란 반발력을 받지 않고 나머지 부분(B)의 부분의 신장에 의해 형태좋게 흡수되기 때문에, 훨씬 더 겨드랑이부가 날씬하고 세련되면서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스트를 형태좋게 인체의 전방으로 밀어내서 바스트를 보다 아름답고 자연스러운 곡선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9)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에 있어서, 유방 컵을 가진 의류가 브래지어이고, 상기 브래지어는 그 뒤쪽 천이 신체의 겨드랑이에 닿는 부분에 압축 폴리우레탄 폼 및/또는 바인더 없는 압축 부직포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가압부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브래지어의 뒤쪽 천에 그것이 신체의 겨드랑이에 닿는 부분에 압축 폴리우레탄 폼 및/또는 바인더 없는 압축 부직포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가압부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신체의 겨드랑이 살을 꽉 누를 수 있으므로, 상기 유방 컵의 작용효과와 함께 보다 날씬하고 폭이 좁은 느낌을 주는 보정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방 컵을 가진 의류는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때문에, 브래지어, 보디 슈트, 비스체, 스리인원, 브라 테디, 브라 캐미솔 혹은 브라 슬립 등의 유방 컵을 가진 파운데이션류, 수영복 뿐만 아니라, 그 밖의 각종 유방 컵을 가진 여성용 의류에 유용하며, 특히 브래지어에 보다 적합하다.

Claims (9)

  1. 유방 컵(1)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는 겨드랑이측 부분(A)을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고,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B)을 2개 이상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유연한 소재를 이어서 구성한 유방 컵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부분(B)의 봉제선이 정상부를 지나지 않고, 앞 중심방향을 향해 대체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유방 컵의 파임부 방향을 향하는 봉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겨드랑이측 부분(A)을 구성하는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의 압축률이 3∼10%이고, 나머지 부분(B)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소재의 압축률이 10∼25%이고, 또, (A) 소재의 압축률보다 (B) 소재의 압축률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겨드랑이측 부분(A)을 구성하는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의 압축률이 3.5∼8%이고, 나머지 부분(B)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소재의 압축률이 14∼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 컵이 겉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겉컵은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닌 천으로 이루어지며, 유방 컵의 파임부 근방에 개더를 형성하거나,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지나지 않고 유방 컵의 파임부 방향을 향하는 다트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들 개더와 다트를 병용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겨드랑이측 부분(A)을 구성하는 비교적 압축률이 작은 유연한 소재가 압축 폴리우레탄 폼 또는 압축 폴리우레탄 폼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직물 또는 편물이 적층된 압축 폴리우레탄 폼의 적층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부분(B)의 비교적 압축률이 큰 소재가 스트레치성 부직포, 비압축 폴리우레탄 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신축성을 지닌 직물 또는 신축성을 지닌 편물이 적층된 적층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겨드랑이측 부분(A)이 유방 컵의 볼록한 정상부를 포함하지 않고 유방 컵의 겨드랑이 상측 가장자리부 근방에서 유방 컵의 파임부 최하점 근방에 이르는 겨드랑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부분(B)의 소재가 겨드랑이측 부분(A)의 소재에 비해 신장이 큰 성질을 가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 컵을 가진 의류가 브래지어이고, 상기 브래지어는 그 뒤쪽 천이 신체의 겨드랑이에 닿는 부분에 압축 폴리우레탄 폼 또는 바인더 없는 압축 부직포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가압부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컵을 가진 의류.
KR1019980706391A 1997-01-08 1997-11-20 유방컵을가진의류 KR100298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44 1997-01-08
JP1997000044U JP3039383U (ja) 1997-01-08 1997-01-08 乳房カップを有する衣類
PCT/JP1997/004246 WO1998030117A1 (fr) 1997-01-08 1997-11-20 Vetement a bonn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526A KR20000064526A (ko) 2000-11-06
KR100298052B1 true KR100298052B1 (ko) 2002-09-17

Family

ID=1146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391A KR100298052B1 (ko) 1997-01-08 1997-11-20 유방컵을가진의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039383U (ko)
KR (1) KR100298052B1 (ko)
CN (1) CN1131677C (ko)
HK (1) HK1019188A1 (ko)
TW (1) TW407467U (ko)
WO (1) WO1998030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33A (ko) * 2002-03-14 2003-09-19 주식회사 유니크패션 브래지어 몰드컵 및 그 표면에 돌출무늬를 성형하는 방법
JP4377105B2 (ja) * 2002-04-22 2009-12-02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4866070B2 (ja) * 2005-12-09 2012-02-01 株式会社Mic 装身用パ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434313B2 (ja) * 2009-07-03 2014-03-05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CN103610237B (zh) * 2013-07-05 2016-01-06 上海雅荟服装有限公司 一种可调节罩杯大小的文胸
CN104223387B (zh) * 2014-07-14 2016-06-15 张家港市双河染织有限公司 一种罩杯大小可调节的女式内衣
US9883702B2 (en) * 2015-10-07 2018-02-06 Mast Industries (Far East) Limited Portion of bra and bra having zones of varying elastic moduli
CN108463131B (zh) * 2016-01-21 2020-09-18 旭化成株式会社 文胸
CN110547522B (zh) * 2018-06-04 2023-09-22 安莉芳(中国)服装有限公司 一种视觉效果上使胸部缩小的女士内衣
CN109588792A (zh) * 2018-12-27 2019-04-09 华歌尔(中国)时装有限公司 具有罩杯的衣服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6151A (ja) * 1982-11-05 1984-05-18 Matsushita Electronics Corp 始動装置内蔵形高圧放電ランプ
JP2709039B2 (ja) * 1995-02-08 1998-02-04 株式会社ダッチェス トップにおけるボディ構造
JP2709037B2 (ja) * 1995-03-07 1998-02-04 株式会社ダッチェス トップにおけるバストカップ体裏当構造
JP2987091B2 (ja) * 1995-09-20 1999-12-06 株式会社ダッチェス ブラジャー等のバストカップ構造
JP3272233B2 (ja) * 1996-03-21 2002-04-08 株式会社ワコール 乳房カップ材、それを用いた乳房カップおよび乳房カップを有する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2607A (zh) 1999-03-31
CN1131677C (zh) 2003-12-24
JP3039383U (ja) 1997-07-15
HK1019188A1 (en) 2000-01-28
KR20000064526A (ko) 2000-11-06
WO1998030117A1 (fr) 1998-07-16
TW407467U (en) 200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6217B1 (en) Garment with interior bra structure with side supports
JP5130219B2 (ja) 多層の布帛を用いたブラジャー構造
KR100298052B1 (ko) 유방컵을가진의류
US3078852A (en) Brassiere
CN107373805B (zh) 一种多功能塑身束裤
KR200420062Y1 (ko) 고신축 브래지어
JP3272233B2 (ja) 乳房カップ材、それを用いた乳房カップおよび乳房カップを有する衣類
CN215649324U (zh) 一种新型束腹提臀长裤
CN105411015A (zh) X型结构运动内衣
WO2006049277A1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3219265B2 (ja) 乳房カップを有する衣類
JP2001131804A (ja) バストパッド及びバストカップ
US20090197508A1 (en) Body shaping apparel
JP2001200403A (ja) バスト部パッド
JP6380725B1 (ja) カップ付き衣類
JP2002038310A (ja) 装身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54921A (ja) パッド及び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CN201657897U (zh) 提托式多功能衬垫
CN201742957U (zh) 新颖多功能裙子
JPH08127905A (ja) 乳房カップおよびそれを具備した衣類
CN214207230U (zh) 一种三层任意裁无弹织物取代弓形圈的文胸
CN215189476U (zh) 一种承托文胸
CN215422858U (zh) 一种新型舒适调整型内衣
CN216315650U (zh) 一种无缝和贴合工艺相结合的固定胸垫哺乳内衣
CN216358287U (zh) 一种经编针织自由裁面料弹力内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