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562B1 - 지지 부재, 특히 커버 조정기 또는 플랩 유지기 - Google Patents

지지 부재, 특히 커버 조정기 또는 플랩 유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562B1
KR100296562B1 KR1019980014483A KR19980014483A KR100296562B1 KR 100296562 B1 KR100296562 B1 KR 100296562B1 KR 1019980014483 A KR1019980014483 A KR 1019980014483A KR 19980014483 A KR19980014483 A KR 19980014483A KR 100296562 B1 KR100296562 B1 KR 100296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friction
tooth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658A (ko
Inventor
아르투어 히르트지퍼
요한네스 플레텐베르그
Original Assignee
쉬테트펠트
후빌-베르케 게엠베하 뫼벨슐로쓰- 운트 베슈락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717189A external-priority patent/DE19717189C2/de
Application filed by 쉬테트펠트, 후빌-베르케 게엠베하 뫼벨슐로쓰- 운트 베슈락파브리켄 filed Critical 쉬테트펠트
Publication of KR1998008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 E05C17/3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with means for holding in more than one position
    • E05C17/345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with means for holding in more than one position using friction, e.g. friction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3)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아암(1,2)을 구비한 지지 부재, 예를 들면 커버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힌지(3)는 아암(1)에 형성된 기부(5)와 커버(6)로 이루어진 제1 힌지부와 기부(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커버(6)와 클램프 부재(10,11) 및 마찰부(8)를 이용하여 마찰력을 실행할 수 있는 톱니림(20)을 둘러싼 보어(25)를 구비하고 아암(2)에 배열된 제2 힌지부로 구성된다. 보어(25)는 제1 원주부(26)로서 실린더 보어와 톱니림(20)의 보어에 적합한 기어(28)를 구비한 제2 원주부(27)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아암(1,2)상으로 인력이 실행되면 기어가 결합에서 벗어남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이 없는 조정이 가능한 반면에, 그와 다른 반력의 실행시 기어(21,28)가 서로 결합되고 브레이크 작동이 나타난다. 커버를 임의로 고정시키기 위해 다른 방향에서 브레이크 작동이 행해지는 동안 회전 방향에서 이동이 브레이크 힘에 의해 자유롭게 실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 부재, 특히 커버 조정기 또는 플랩 유지기
본 발명은 각기 체결 부재를 가진 자유단부로 이루어지며 다른 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고, 힌지가 제1 아암에 배열된 제1 힌지부, 제2 아암에 배열된 제2 힌지부와 마찰부를 포함하는,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구비한 지지 부재, 특히 커버 조정기 또는 플랩 유지기에 관한 것이다.
플랩 브레이크 힌지로 이용되는 이런 지지 부재는 독일 특허 명세서 제DE-GM 69 08 593호에 개시되어 있다. 두 개의 아암이 구비되고 그 사이에 두 개의 조정이 힌지축 주변에서 허용되는 힌지가 설치된다. 힌지는 조정 슬리브를 포함하며, 이는 외측 나선을 구비한다. 조정 슬리브는 아암중의 한 아암 나선 보어내로 외측 나선과 결합하고 조정 슬리브의 축은 힌지축을 형성한다. 상기 슬리브 위에 가요성 재질로 된 브레이크 링이 수납되어 브레이크 링은 제2 아암의 면에 대한 한 전방면과 제1 아암의 면에 대한 다른 전방면과 함께 설치된다. 이는 보어를 구비하고 마찬가지로 조정 슬리브 상에 수용된다. 제2 아암은 조정 슬리브 상에 있는 그의 보어 주변을 둥글게 파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영역에서 단부가 파형의 골에 수용되는 핀은 조정 슬리브를 관통한다. 필요한 브레이크 작동에서 나선은 힌지의 조정에 쓰이며, 조정후 제1 아암을 위해 휴식한다. 아암의 조정이 일어나면 핀과 파형으로 축의 힘이 실행된다. 제2 아암이 제1 아암상의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 아암들은 힌지축의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고 마찰이 브레이크 링과 두 개의 아암사이에서 변화한다. 두 개의 아암이 포개져서 또는 떨어져서 이동하든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힘이 실행되는 것은 상기 형성의 경우 단점이다.
독일 특허 명세서 제DE-PS 234 930호에는 두 개의 아암이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지지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두 개의 아암은 각각 힌지부와 연결되고, 힌지부는 서로 적합한 톱니형태의 전방 기어로 이루어진다. 전방 기어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결합 유지된다. 기어는 아암의 위치에 따라 서로 쇄기형 돌기부를 통해 풀어질 수 있다. 또한 힌지부는 방사상 스프링 핀을 통해 푼 위치에 유지된다. 회전위치에 따라 핀은 톱니림을 다시 결합하도록 가이드 홈의 확대된 단부로 삽입할 수 있다. 두 개 톱니림의 톱니형태 이는 회전시 한 방향으로 포개어져 슬라이딩된다. 이에 반해 이들은 부하시 반대방향에서 맞물려 회전을 방해한다. 최대의 회전위치에 이르렀을 때 비로소 톱니림은 복귀회전을 가능하게 쐐기형 돌출 부재와 핀을 이용해 따로따로 떨어진다. 복귀회전은 임의의 위치에서 가능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복귀회전동안 임의 위치에서의 고정도 가능하지 않다.
독일 특허 명세서 제DE 296 00 038 U1호에는 회전되는 두부분이 각각 포트형 구조부에 연결된 지지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포트형 구조부는 동축으로 각각 구멍을 구비하고 나란히 배열되며 각각 내부기어로 이루어진다. 내부기어는 다른 톱니수를 가지고 있다. 외부기어를 구비한 편심륜은 동시에 포트형 구조부의 양기어와 결합된다. 두 개의 포트형 구조부의 비틀림을 통해 편심륜은 포트형 구조부의 중앙축 주변의 회전과 자신의 중앙축 주변의 회전으로 이동된다. 편심륜은 마찰 슬리브상에 슬라이딩되어 비틀림에 대한 확실한 힘 소모가 필요하다.
외부기어를 구비한 편심륜은 동시에 두 개의 기어와 결합된다. 기어는 항상 결합되어 있다. 마찰력은 두 개의 회전방향에서 항상 작용한다.
예를 들어 완만하게 기울어지는 한방향과 플랩의 닫힘과 커버의 열림과 같은 반대방향에서의 빠른 이동을 이루는 것이 플랩 유지기나 커버 조정기에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방향에서의 이동이 다른 방향과 반대로 높은 모멘트로 대항하는 커버 조정기나 플랩 유지기로서 이용할 수 있는 지지 부재를 제시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의 개략도
도2는 지지 부재의 제1 아암의 단면도
도3은 마찰부와 톱니림을 갖는 제1 아암의 단면도
도4 및 도5는 지지 부재의 제2 아암의 단면도
도6은 제1 아암의 커버의 정면도
도7은 제1 아암의 커버의 단면도
도8은 해제 부재의 정면도
도9는 해제 부재의 측면도
도10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의 단면도
도11은 조정 가능한 정지부를 구비한 제1 아암의 정면도
도12는 도1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13은 도11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도14는 두 개의 상부 정지면을 가진 정지부의 사시도
도15는 도11에 따른 제1 힌지 아암의 커버의 배면도
도16은 도15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도17 및 도18은 해제 부재의 단면도
도19는 톱니림의 단면도
도20은 제2 아암의 단면도
도21은 조립된 지지 부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제1 아암
2, 102 : 제2 아암
3, 103 : 힌지
4, 104 : 힌지축
5, 6, 105, 106 : 제1 힌지부
7, 107 : 제2 힌지부
8, 120 : 마찰부
9, 10, 109, 110 : 체결 부재
20, 120 : 기어림
21, 121 : 제1 기어
외부기어로서 형성된 제1 기어를 구비한 톱니림이 제1 힌지부에 배열되고 상기 힌지축 주변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배열하며, 적어도 제1 힌지부와 톱니림 사이에서 마찰수단이 작용하고, 제2 힌지부가 톱니림 주변에 배열되고 그의 내부 원주면의 일부에 제1 기어에 적합하게 형성된 제2 기어를 구비하는 링으로서 이루어지고 두 개의 힌지부가 두 위치 사이에서 힌지축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며, 제1 ,2기어의 톱니가 한 위치에서 결합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해결한다.
두 아암의 한 조정방향에서 조정가능한 브레이크 작동을 행하고 다른 방향에서 자유단을 부여하여 폐쇄방향에서 조정된 브레이크 힘을 극복하는 동안 커버 올림시 커버의 무게로 인한 커버의 조정을 위해 필요한 힘을 들여야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링은 제1 원주부를 갖는 보어로 이루어진다. 제1 원주부는 실린더 슬리브의 부분을 나타내며, 보어는 제2 기어를 구비한 제2 원주부를 가진다. 또한 제2 기어의 톱니 헤드 원주 반경의 중심점과 제1 원주부의 축은 오프셋으로 서로 배열되며, 이는 기어 톱니의 톱니 높이보다 크다. 이런 형성으로 기어로 인해 다만 작은 돌출단이 부여되기 때문에 커버가 모든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대체로 무단 조정이 이루어진다. 커버 및 플랩에서 실행된 힘은 폐쇄 및 개방시 기어가 서로 결합되거나 결합에서 벗어나 이동하는데 이용된다. 손의 어떤 전환도 필요하지 않다.
지지의 유리한 형성은 제1, 제2 기어의 이가 톱니 형태로 이루어질 때 나타난다. 톱니는 각각 가파르고 평평한 톱니측으로 이루어져서 평평한 톱니측이 풀리는 방향에서 서로 포개어져 슬라이딩되고 지지위치에서 가파른 톱니측이 서로 나타난다.
간단하게 설치된 실시예는 제1 힌지부가 제1 아암에 형성된 기부와 이에 고정된 커버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에 제2 힌지부가 유지되고 클램프 수단이 커버를 작동시키고 커버가 톱니림 및 톱니림에 배열된 마찰부에 지지됨으로써 나타난다.
클램프 수단은 브레이크 모멘트를 조정하기 위해 스프링 바이어스 할 수 있는 스프링 디스크로된 스프링 또는 패키지로 이루어진다.
두 기어의 소음없는 조정과 이동 변화시 기어의 회전 작동이 급속도로 결합 또는 해제 작용을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형성이 구비된다. 즉, 반대편 제2 힌지부의 전방면에 대해 커버가 힌지축상에 중앙정렬되어 둘러싸인 링홈으로 이루어지고, 그 안에서 해제 부재가 이동 배열되며, 해제 부재는 제2 힌지부의 전방면내 리세스에 코 모양의 돌출부를 결합시키고 제2 힌지부에 유지되며 또한 리세스는 원호형 홈 내로 결합되는 제2 힌지부의 돌출부와 직경으로 배열된다.
또한 해제 부재는 커버와 제2 힌지부 사이에서 마찰 작용을 하는데 이용되고 틈새를 힌지축 방향으로 내리 누른다. 필요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커버는 힌지축 주변에 견고하게 기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형성이 구비된다. 즉, 제1 힌지부의 회전로는 제2 힌지부로 제한된다. 이는 확실한 이동관계가 나타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회전로의 단부에 다른 방향으로 조정이 허용되는 확실한 위치가 나타난다. 상기 해결의 실현을 위해, 제1 힌지부가 원호 홈 중앙을 힌지축상에 중앙정렬하는 원호 홈을 구비하고 제2 힌지부가 적어도 전방면상에 돌출부를 형성하며, 이는 원호 홈에 결합되고 회전로를 제한하는데 사용되도록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성이 구비된다. 즉, 원주 홈에 조정가능한 정지부가 배열되며, 이는 위치에 따라 두 아암의 다른 회전길을 서로 허용한다.
정지부의 변위를 통해 제1 조정시 아암이 다만 180도 보다 작은 각도의 최대위치를 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마찰력은 가장 멀리 개방 위치에서 커버의 무게가 완전히 지지되어야 한다. 단부위치가 수용될 때까지 폐쇄 위치로 커버의 이동을 위해 손의 힘이 지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정지부가 제2 조정에 배열되어 두 아암이 두 아암사이에서 각도가 180도 보다 작게 이루어진 위치를 서로 수용할 수 있다. 마찰력을 마찰 유지위치에 대응하게 약간 사용된다. 커버의 짧은 터치를 통해 사점 위치가 없어지고 자동 폐쇄 이동이 커버의 자기 질량으로 이루어진다.
정지부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톱니림이 지지되고 톱니림의 반대쪽 외측면에 연장되는 기부의 상부면에서 시작되는 원주 홈의 저면사이에 있는 제1 힌지부의 기부의 보어에 삽입되고 원주 홈내로 돌출되며 적어도 다른 반경 오프셋을 가지고 보어의 축에 설치된 두 개의 정지면을 구비한 돌출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정지부가 공구결합을 위해 슬릿을 형성한다. 이는 힌지의 외측면에서 들어가기 쉬워 추가로 대응 조정이 생길 수 있다.
마찰부는 톱니림에 고정하는 마찰링을 포함한다. 마찰링을 톱니림에 고정하여 확실한 이동관계를 이루기 위해 마찰 돌출부가 주위에 위치한 마찰링에 배열한다. 마찰 돌출 부재는 톱니림의 대응 요홈에 결합되지만 마찰 돌출부가 한 전방면에서 다른 전방면으로 관통연장하면, 마찰 돌출 부재는 작동하고 통과된 단부도 마찬가지로 마찰 모멘트의 산출에 관계한다. 톱니림의 전방면은 스스로 클램프 힘으로 작동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마찰 부재를 통한 대응 작동이 생긴다.
마찰력의 유리한 조정을 달성하기 위해 전방면을 구비한 톱니림은 기부의 상부면과 커버의 상부면 사이에서 마찰되는 지지를 위해 클램프되어 유지된다. 그것과 동시에 전방면을 구비한 톱니림은 마찰작용에 활발하게 관여한다. 또한 플라스틱, 예를들어 POM으로된 톱니림의 형성은 특히 유리하다. 추가로 적어도 마찰에 관여한 면중 한 면을 거칠게 만들 수 있다. 이것은 금속으로 제조된 구조부의 일부분인 면이며 제1 힌지부를 형성하는 제1 아암의 두 구조부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다.
도1은 힌지(3)를 통해 힌지축(4)을 회전이동하여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아암(1,2)을 구비한 지지 부재를 나타낸다. 두 아암(1,2)의 위치가 서로 나타나며, 이들은 플랩 또는 커버의 최단 구멍에서 가구의 대응 본체에 아암을 수용한다. 두 개의 자유단부에서 제1 아암과 제2 아암(1,2)은 각각 접속보어(9,10)를 구비하며 이는 가구의 몸체 및 플랩 또는 커버의 고정에 사용된다.
제2 아암이 부싱과 볼트의 조정으로 가구 본체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동안에 소형 유지 브래킷을 이용하여 제1 아암(1)이 커버 또는 플랩에 고정된다.
두 개의 고정점은 각각 가구 몸체의 커버 또는 플랩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과 이격 배열된다. 또한 지지 부재는 두 개의 연장변화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커버에서 힌지의 브레이크 작동이 없는 열림과 가능한 구멍 위치에서 브레이크 작동의 이용으로 지지가 행해지며 이는 지지되는 무게상으로 조정가능하여 폐쇄하기 위해 브레이크 힘을 자제해야 한다. 플랩 유지기로서 연장 변화를 위해 플랩의 열림이 브레이크 작동으로 행해져 천천히 기울어진다. 브레이크 힘은 힌지(3)를 통해 실행되는 두 개의 아암(1,2)사이에서 도10에 나타난 스프링판(12)에 작용하는 볼트(11)로 조정할 수 있다.
도2 및 도3에 나타난 제1 아암(1)은 상부면(13)이 있는 서클 원주부를 구비하고 형성된 기부(5)로 이루어진다. 상부면(13)에서 원주 홈(14)은 힌지축(4) 주변에 배열되고, 이는 180도 이상 연장되며 제1 아암(1)이 제2 아암(2)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회전으로 이용된다. 힌지축(4)상에 중앙 돌출 부재(15)가 배열되고, 그의 외측면은 16으로 나타난다. 더욱이 중앙 돌출 부재(15)는 중심 보어(17)로 이루어진다. 중심 보어의 저면에서 탭(19)이 시작된다. 탭은 기부(5)를 통해 진행된다. 저면(18)에서 둘러싸여 나뉘어진 4개의 유지 보어(24)가 배열되고, 이는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중앙 돌출 부재(15)의 외측면(16)은 톱니림(20)의 중심으로 이용되며 톱니림은 그의 외측 주변면 위에 제1 기어(21)를 형성하고 외측면(16)에서 베어링 보어(22)로 힌지축(4) 주변을 자유롭게 회전 진행한다.
도3은 기부(5)에 대한 톱니림(20)의 배열 이외에 또한 톱니림(20)에 견고하게 연결된 마찰부(8)를 나타낸다. 마찰부(8)는 마찰면(23)을 구비한 링형태 단부와 마찰면(23)의 반대면에서 시작되어 형성된 핀 형태의 마찰 돌출 부재(8)로 이루어진다. 마찰 돌출 부재는 주변에 나뉘어져 배열되고 톱니림(20)의 대응 보어가 작동하여 마찰부(8)와 톱니림(20)이 회전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한 핀형의 마찰 돌출 부재(8)가 상부면(13)의 반대쪽 톱니림(20)의 전방면에 약간 나와 있어서 마찰작용이 일어난다. 회전연결은 톱니림(20)과 마찰부(8)사이에서 마찰 돌출 부재(8)로 보증된다. 이로써 마찰부(8)에 작용하는 마찰 모멘트는 톱니림(20)상으로 전달된다.
도4 및 도5에 나타난 제2 아암(2)에 속한 제2 힌지부(7)는 링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기부의 외측 직경에 적합한 외측면 및 두부분(26,27)으로 형성된 종보어(25)가 있다. 제1 원주부(26)는 서클 실린더 슬리브의 부분면으로 형성되며, 그의 반경을 RB로 나타낸다. 상기 반경(RB)은 톱니림(20)의 헤드 서클 반경(RZ)에 대응한다. 상기 원주부(26)는 최대 180도 각도로 연장되며 제2 아암(2)으로 향한다. 보어(25)는 제2 원주부(27)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2 기어(28)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기어(28)의 톱니 헤드 서클 반경(RK)의 중간점은 보어 반경(RB)의 중심으로 전환된다. 중심과 중간점(0)은 제2 접속 보어(10)의 보어축을 통해 연장되는 축상에 놓인다. 둘 사이의 오프셋(V)은 양자가 확실하게 결합에서 벗어나도록 두 기어의 톱니 높이 이상으로 측정된다.
제1, 2기어(21,28)의 이빨은 톱니모양으로 이루어져서 가파르고 평평한 측면을 이루며 톱니 헤드는 힌지축(4)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힌지부(7)는 두 개의 전방면(29,30) 앞에 각각 돌출부(31,32)로 이루어지며 이들과 정반대로 두 개의 리세스(34,35)가 배열된다. 리세스(34,35)와 돌출부(31,32)는 서로 포개어져 놓인다. 두 개의 돌출부(31,32)중의 하나와 리세스(34,35) 중의 하나가 서로 결합되고 돌출부(31,32)는 양 아암(1,2)의 회전이동의 제한으로 이용되며 이들중 하나는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지지 부재의 좌우 배열이 가능하도록 제1 아암(1) 기부(5)의 원주 홈(14)내로 결합된다.
양 리세스(34,35)의 기능은 도8 내지 10에 관련되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6 및 도7은 제1 아암(1)에 배열된 제1 힌지부가 기부와 함께 형성된 커버(6)를 나타낸다. 커버(6)는 서클 형태로 이루어지며 실린더 제1 원주부의 중간점(0)과 중심사이에 중간점이 또한 힌지축(4)상에 중앙 정렬된 링홈(33)을 가진다. 특히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마찰부(8)의 마찰면(23)에 대한 설치를 정한 설치면(39)상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의 외측면은 중심면(38)으로 이용되고 기부(5)의 중심 보어(17)내에 커버(6)의 중심을 수용한다. 도2와3과 같이 기부(5)의 나선 보어(19)에 적합하게 관통 보어(40)가 있다. 더욱이 중심면(38)을 구비한 돌출 부재에 4개의 핀(37)이 형성된다. 이는 기부(5)에 대해 커버(6)의 회전에 사용되고 커버 내에 구비된 유지 보어(24)와 결합될 수 있다.
설치면(39)의 반대면에서 스프링의 수용과 볼트의 실행을 위한 수용 보어(36)가 시작된다.
도8 및 도9는 해제 부재(41)를 도시한다. 해제 부재는 서클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레그(42)와 레그(42)로 벤딩된 부분(43)을 갖는다. 코 모양의 돌기부(44)는 벤딩된 부분(43)에 배열된다. 해제 부재(41)는 커버(6)의 링홈(33)내에 레그(42)를 수용하고 제1 아암(1)에 대한 제2 아암(2)의 배열에 따라 제2 힌지부(7)의 두 개의 리세스(34 또는 35)중의 하나 내에 코 모양의 돌기부(44)와 결합된다. 벤딩을 통해 힌지축(4) 방향으로 톱니림(20)과 커버(6) 및 (13)사이에 있는 틈새를 내리누른다. 동시에 힌지축(4)과 편심되어 배열된 코 모양의 돌기부(44)로 모멘트가 생기며 이 모멘트가 톱니림(20)과 결합 또는 결합에서 벗어나 제2 힌지부(7)를 조정한다. 도10은 제1 아암(1)과 제2 아암(2)의 배열을 간단한 형태로 나타내며 도4와 같이 제1 보어부(26)가 헤드 서클 반경(RZ)을 갖는 톱니림(20)의 톱니헤드에 놓이기 때문에 톱니림(20)은 도시된 위치에서 제2 아암(2)의 중심으로 이용된다. 반경RB와 RZ는 서로 대응하기 때문에 힌지축(4) 주변의 회전이동이 행해져서 두 개의 기어(21,28)가 결합에서 벗어난다. 더욱이 커버(6)가 톱니림(20)에 고정된 마찰부(8)에 대해 볼트(11)와 스프링판(12)을 통해 힌지축(4) 방향으로 지지됨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위치는 고정 유지되는 제1 아암(1)에서 커버(6)가 그의 구멍 위치로 옮겨질 때 생길 수 있는 힘이 화살표 방향(K)쪽 제2 아암(2)상으로 실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힘이 화살표 방향으로 두 개의 기어(21,28)를 서로 결합하고 기부(5)와 커버(6)로 이루어진 제1 힌지부를 통해, 마찰부(8)를 통해 톱니림(20)상으로 브레이크 작동이 실행되면 효과적이다.
도11 내지 도13은 도11의 단면선III-III에 따른 단면도와 종단면내 제1 아암(101)을 나타낸다.
제1 아암(101)은 서클 주변을 구비한 기부(105)로 이루어지며, 이는 상부면(113)내 힌지축(104) 주변에 배열된 원주 홈(114)으로 이루어진다. 원주 홈(114)은 180도 보다 작은 크기로부터 연장된다. 원주 홈(114)의 단부는 힌지축(104)내 종축과 수직을 이룬다. 더욱이 기부(105)는 원주 홈(114) 부위에 보어(145)를 형성하며 보어는 원주 홈(114)의 저면에서 시작되어 기부(105)를 관통 진행한다. 원주 홈(114) 부위에 확대부(146)가 구비된다. 이로인해 발생된 원호는 보어(145)의 축위에 중앙 정렬된다. 축(147)은 수직 연장을 위해 종축(X)상의 힌지축(104)을 통해 제1 접속 보어(110)방향으로 옮겨진다. 오프셋은 Y로 표시된다. 도11에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D)은 확대하여 상기 형태를 도시한다. 특히 보어(145)는 두 개의 실린더 부분과 두 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어(145)와 확대부(146)는 그 안에 회전 조정 가능한 지지 스토퍼를 수용하는데 쓰이며, 이는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11의 단면IV-IV을 도시한 도13은 보어(145)가 외측면(148)에서 끝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확대부(146)는 상부면(113)에서 시작한다.
더우기 기부는 힌지축(104)상에 중앙 정렬된 나선 보어(119)와 외측면(116)을 구비한 중앙 돌출 부재(115)로 이루어진다. 외측면을 구비한 중앙 돌출 부재(115)는 중앙 정렬된 커버(106)의 수용에 쓰이며, 이 커버는 다음에 상세히 기술되고 기부(105)와 함께 제1 힌지부를 형성한다. 또한 기부(105)내 중앙 돌출 부재(115)와 힌지축(104) 주변에 6개의 지지홈(124)이 나뉘어 배열된다. 도14는 지지 스토퍼(149) 형태로 상부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지지 스토퍼는 제1 저널(150)을 가지며, 이는 보어(145)에 적합하게 형성되고 두 개의 형태(152)를 가진 실린더 단면(151)이 있다. 더욱이 상기 저널에 볼트 회전장치와 결합하기 위해 슬릿(153)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 스토퍼(149)는 저널(150)에 형성된 돌출 부재(154)로 이루어지고, 이는 도11 내지 13과 같이 기부(105)내 보어(145)의 확대부(146)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 홈(114)내로 결합한다. 실린더 외측면(155)과 주변단부(156)는 각각 원주 홈내 위치에 따라 상부면으로 쓰인다. 주변단부(156)가 설치된 상부 저널(149)에서 실린더 외측면(155)보다 작게 축(147)과 이격되게 이루어져 힌지축(104) 주변의 원주 홈의 다른단부에 비해 주변단부(156)가 180도 보다 작은 각을 이루어 배열되고, 그가 지지 스토퍼의 비틀린 삽입을 할 경우 여전히 180도 이하의 반 비틀림일 때 원주 홈(114)의 작동로가 지지 스토퍼(149)의 대응위치에서 180도 이하로 제한된다. 왜냐하면 외측면(155)은 제한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조정을 인지하기 위해 상부면(149)에 슬릿(157) 형태의 마킹을 설치한다.
도15 및 도16은 기부(105)에 적합한 커버(106)의 두 상태도를 나타낸다. 커버(106)는 설치면(139)에서 중심면(138)을 구비하고 돌출한 실린더 외측면 형태의 돌출 부재를 가진다. 커버는 더욱이 힌지축(104) 주변에 중심면(138)과 이격된 링홈(133)과 또한 관통 보어(140)를 저면에서 연결하는 수용 보어(136)를 구비하며, 관통 보어(140)는 기부(105)의 중앙 돌출 부재(115)의 외측면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커버를 이곳에 놓을 수 있고 그로인해 중앙 정렬된다. 또한 커버가 유지 핀(137)을 구비하며, 이는 기부(105)내 6개의 지지홈(124) 중의 각 3개와 결합되어 기부(105)와 약간 조정가능하게 연결될 때, 커버가 중앙 돌출 부재(115)위에 놓일 때 커버(106)가 힌지축(104) 주변방향으로 고정된다. 설치면(139)은 없어질 수 있다.
도17 및 도18은 해제 부재(141)를 도시한다. 이는 서클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레그(142) 및 레그(142)에 벤딩된 단면(143)을 구비한다. 코 모양의 돌기부(144)는 벤딩된 단면(143)에 배열된다. 해제 부재(141)는 도15,16과 같이 커버(106)의 링홈(133)내 레그(142)와 함께 수용된다. 코 모양의 돌기부(144)는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된 것처럼 제1 아암(1)에 대한 제2 아암(102)의 배열에 따라 제2 힌지부(107)의 리세스(135)로 결합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관계로 도20과 21에 대한 다음 기술을 참조한다.
도19는 확대된 톱니림(12)을 나타내며 이는 베어링 보어(122)로 이루어져 있다. 베어링 보어는 커버(106)의 중심면(138)상에 톱니림(12))을 회전가능하게 놓이도록 정한다. 톱니림(120)은 또한 그의 외측면 위에 이빨이 톱니 형태로 이루어진 톱니헤드 반경(RZ)을 구비한 제1 기어를 가진다. 톱니림(120)의 두 개의 전방면은 123 및 158로 표시된다.
도20은 두 개의 상태도와 제2 아암(102)의 사시도를 포함한다. 제2 아암(102)은 링형태의 제2 힌지부(107)로 이루어진다. 제2 힌지부(107)는 기부의 외경에 적합한 외측면 및 두 개의 원주부(126,127)가 다르게 형성된 종보어(125)를 구비한다. 제1 원주부(126)는 서클 실린더 슬리브의 부분면으로 형성되고, 그의 반경은 RB로 표시된다. 상기 반경(RB)은 톱니림(120)의 헤드 서클 반경(RZ)에 대응한다. 원주부(126)는 180도 이상으로 연장되고 제2 접속 보어로 향한다. 보어(125)의 제2 원주부(127)는 제2 기어(128)를 구비한다. 톱니 헤드 서클 반경(RK)의 중심점은 보어 반경의 중심으로 옮겨진다. 중심과 중심점(0)은 제2 접속 보어(109)의 보어축을 통해 연장되는 축에 놓인다. 둘 사이의 오프셋(V)은 두 개가 확실하게 결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두 개 기어의 기어 높이와 같거나 크게 정해진다. 톱니림(120)의 제1 기어(121)톱니와 제2 힌지부(107)의 기어(128)이빨은 톱니형태를 이루며, 즉 가파르고 평평한 측면을 가진다. 톱니헤드는 힌지축(104)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또한 제2 힌지부(107)는 전방면(129)의 앞에 돌출부(131)와 이에 대응 배열된 전방면(130)내 리세스(135)를 구비한다. 돌출부(131)는 제1 힌지부에 속한 기부(105)의 원주 홈(114)내로 결합하는데 쓰이며, 기부는 두 개의 아암(101,102)의 위치에 따라 서로 원주 홈(114)의 정지부와 멀리 떨어진 단부이든지 지지 스토퍼의 실린더 외측면(155)이든지 주변단부(156)를 통해 형성된 상부면의 한면에 대한 배치로 나타난다. 도8과 9에 도시된 해제 부재(141)의 코 모양의 돌기부(144)는 리세스(135)에 결합된다.
도21은 설치된 구조체, 즉 각기 속한 힌지부(106,107)를 구비한 두 개의 아암(101,102)을 통한 단면을 나타낸다. 커버(106)는 톱니림(120)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지지 부재는 휴지상태에서 도시된다. 즉, 기어(121,128)가 결합되지 않아서 두 개의 아암(101,102)이 힌지축(104) 주변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커버(106)가 볼트(111)로 기부(105)와 스크류되며 볼트는 나선 보어(119)로 결합된다. 볼트(111)의 헤드와 수용 보어(136)의 저면 사이에 스프링판(112)이 배열되며, 이는 톱니림(120)의 전방면(123)에 대해 커버를 설치면(139)으로 누른다. 톱니림(120)은 상부면(113)에 대해 다른 전방면(158)으로 지지한다. 톱니림(120)은 커버(106)와 기부(105)사이에서 클램프된다. 효과적인 마찰력은 볼트(111)를 이용하여 스프링판으로 조정할 수 있다. 지지 스토퍼(149)의 조정과 관련된 이용에 따라 스프링판(112)의 바이어스가 선택되어 두 아암(101,102)사이 위치에 도달되며, 이는 180도 이하여서 지지 부재에 지지된 커버의 무게가 마찰유지 위치를 극복한 후 약간의 손작용으로 커버의 이동을 폐쇄 위치로 제동을 걸 수 있다. 지지 스토퍼(149)의 실린더 외측면(155)이 제2 아암(102)의 통로를 상부 돌출부(131)를 통해 제한하는 조정을 할 경우에 스프링판(112)의 바이어스가 볼트(111)의 지지를 통해 조정되어, 두 아암(101,102)의 각 위치에서 지지 부재를 통해 지지된 커버의 무게를 서로 받친다.
두 조정에서 아암(102)상의 화살표 방향(K)으로 힘이 작용한다면, 두 개의 기어(121,128)는 쉬게 되고 마찰력 작용의 프레임에 서로 조정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두 개의 아암(101,102)상으로 움직이면서 작용하는 이동의 경우, 기어(121,128)가 결합에서 벗어나서, 두 개의 아암(101,102)의 자유로운 조정이 힌지축(104) 주변으로의 각도 확대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커버의 구멍이동에 대응한다.
제1 조정 변화에서 힌지(103)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통해 커버는 유지되고, 마찰력은 대응조정되며 제2 조정 변화에서 커버의 지지는 가장 멀리 개방된 위치에서 또한 마찰력을 통해 일어나지만 제1 조정에서 보다 작은 구멍각도로 제한이 생기게 된다. 단시간에 힘이 커버 위로 실행되면 닫힘이동은 자동적으로 제지되어 행해진다. 마찰력의 조정은 볼트(111)로 행해진다.
본 발명은 커버 조정기나 플랩 유지기로서 이용할 수 있는 지지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한 방향에서의 이동은 다른 방향과 반대로 높은 모멘트로 대항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Claims (16)

  1. 체결 부재(9, 10; 109, 110)를 구비한 각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타단이 힌지(3; 103)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아암(1; 101)과 제2 아암(2; 102)을 구비하고, 힌지가 제1 아암(1; 101)에 배치된 제1 힌지(5, 6; 105, 106), 제2 아암(2; 102)에 배치된 제2 힌지부(7; 107)와 마찰부(8; 120)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 특히 커버 조정기 또는 플랩유지기에 있어서,
    톱니림(20; 120)이 제1 힌지부(5, 6; 105, 106)에 배열되며, 이 림은 외측 기어로 이루어진 제1 기어(21; 121)를 구비하고 제1 힌지부에서 힌지축(4; 104) 주위를 자유로이 회전하며,
    마찰부(8; 120)가 제1 힌지부(5, 6; 105, 106)와 톱니림(20; 120)사이에서 작용하고,
    제2 힌지부(7; 107)가 링으로 이루어지며, 톱니림(20;120) 주위에 놓이고 그의 내부 돌출 부재면에 제1 기어(21;121)와 끼어지는 제2 기어(28; 128)를 구비하며,
    두 개의 힌지부(5, 6, 7; 105, 106, 107)가 힌지축(4; 104)을 가로질러 두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기어(21; 121)와 제2 (28; 128)기어의 톱니가 한 위치에서 결합에서 벗어나 있고 다른 위치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지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은 실린더 슬리브를 나타내는 제1 원주부(26; 126)와 제2 기어(28; 128)가 있는 제2 원주부(28; 128)로 이루어진 보어(25; 125)로 형성되어, 톱니 헤드 서클 반경(RK)의 중심점이 제2 기어(28; 128)의 톱니헤드에 배열되고, 제1 원주부(26; 126)의 축이 오프셋(V)으로 서로 배열되며, 이는 기어(21, 28; 121; 128)의 톱니의 톱니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기어(21, 28; 121, 128)의 이가 톱날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제1 힌지부(5, 6; 105, 106)는 제1 아암을 형성하는 기부(5; 105)와 이에 결합되는 커버(6; 106)로 이루어지고, 제2 힌지부(7; 107)는 이들 사이에 유지되며, 클램프 부재(11, 12; 111, 112)가 클램핑 힘을 변화시켜 커버(6; 106)를 움직이게 하고, 커버는 톱니림(20; 120) 또는 톱니림에 배열된 마찰부(8)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11, 12; 111, 112)는 바이어스 가능한 스프링 또는 스프링판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제2 힌지부(7; 107)의 서로 위에 놓이는 전방면(29, 30; 129, 130)에 대한 커버(6; 106)는 힌지축(4; 104)상의 중앙을 감싸는 링홈(33; 133)을 구비하며, 그 내에 해제 부재(41; 141)가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며, 이는 제2 힌지부(7; 107)의 전방면(29, 30; 129, 130)내 리세스(35; 135)에 해제 부재의 코 모양의 돌기부(44, 144)가 결합되어 이들을 붙잡아서, 제2 힌지부(7; 107)의 돌출부(31, 32; 131)와 직경으로 리세스(34, 35; 135)가 원주 홈(14, 114)내에 결합,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해제 부재(41; 141)는 커버(6; 106)와 제2 힌지부(7; 107)사이에 글라인딩하게 유지되고, 커버(6; 106)는 힌지축(4; 104) 주위에 견고히 기부(5; 10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제1 힌지부(5, 6; 105, 106)의 회전은 제2 힌지부(7; 107)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제1 힌지부(5; 105)는 원주 홈(14; 114)으로 이루어지고, 원주 홈의 중심이 힌지축(4; 104)상으로 집중되며, 제2 힌지부(7; 107)는 적어도 전방면(29, 30; 129, 130)상에 돌출부(31, 32; 131)를 형성하며, 이는 원주 홈(14; 114)과 결합되고 회전의 제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0. 제8항에 있어서, 원주 홈(114)은 조정가능한 정지부에 배열가능하며, 두 개의 아암(101, 102)의 위치 관련된 변화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정지부(149)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힌지부(105, 106)의 기부(105)의 보어(145)는 원주 홈(114)의 저면에 있고, 원주 홈은 기부(105)의 상부면(113)에서 시작되며, 톱니림(120)은 상부면쪽으로 지지되고 톱니림(12)은 반대쪽 외측면(148)으로 연장되며, 정지부(149)는 돌출 부재(154)로 이루어지며, 이는 원주 홈내로 돌출되고 적어도 보어(145)의 축(147)에 대한 다른 방사상 오프셋으로 설치된 두 개의 정지면(155, 15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정지부(149)는 공구를 결합하기 위한 슬릿(153)을 형성하며, 이는 외측면(148)에서 들어가기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3. 제1항에 있어서, 마찰부(8)가 마찰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톱니림(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마찰링(8)에 에워싸여 나뉜 마찰 돌출 부재(8)가 마찰면에 돌출 형성되며, 이는 톱니림(20)의 대응 홈에 적어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5. 제1항에 있어서, 마찰 지지를 위해 전방면(123, 158)을 구비한 톱니림(120)이 기부(105)의 상부면(113)과 커버(106)의 설치면(139)사이에서 제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마찰을 일으키는 면(113, 139) 중의 한 면은 표면이 거칠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부재.
KR1019980014483A 1997-04-24 1998-04-23 지지 부재, 특히 커버 조정기 또는 플랩 유지기 KR100296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7189.3 1997-04-24
DE19717189A DE19717189C2 (de) 1997-04-24 1997-04-24 Halteelement, insbesondere Deckelsteller oder Klappenhalter
DE19744901.8 1997-10-10
DE19744901A DE19744901B4 (de) 1997-04-24 1997-10-10 Halteelement zur Verwendung als Deckelsteller oder Klappenha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658A KR19980081658A (ko) 1998-11-25
KR100296562B1 true KR100296562B1 (ko) 2001-09-06

Family

ID=2603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483A KR100296562B1 (ko) 1997-04-24 1998-04-23 지지 부재, 특히 커버 조정기 또는 플랩 유지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296562B1 (ko)
DE (1) DE19744901B4 (ko)
ES (1) ES2147120B1 (ko)
IT (1) IT1298737B1 (ko)
PL (1) PL325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3028B4 (de) * 2002-05-22 2004-06-24 Huwil-Werke Gmbh Möbelschloss- Und Beschlagfabriken Halteelement
ITMI20060218U1 (it) * 2006-06-16 2007-12-17 Agostino Ferrari Spa Dispositivo a bracci frenati per ante di mobili
ES2328763B1 (es) * 2006-07-28 2010-06-07 Miguel Angel Rioja Calvo "dispositivo de compas para mobiliari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930C (ko) * 1900-01-01
DE1072489B (ko) * 1959-12-31
GB516356A (en) * 1938-06-21 1940-01-01 Ernest John Leslie Brook Improvements in hinge-struts for supporting hinged lids of cabinets and the like
US2421889A (en) * 1944-11-18 1947-06-10 Keeler Brass Co Friction support for lids
GB699980A (en) * 1951-06-20 1953-11-18 Ernest John Leslie Brook An improved hinging stay for hinged lids, flaps and the like
GB808365A (en) * 1956-03-12 1959-02-04 Wilkes Berger Engineering Com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lding stays particularly for lids of cabinets
DE1842246U (de) * 1961-09-28 1961-11-23 Christoph Mundorf Fa Klappenhalter.
DE6908593U (de) * 1969-03-04 1969-07-31 Artur Stadtfeld Klappen-bremsgelenk
DE2345452A1 (de) * 1973-09-08 1975-03-20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r abstuetzung geoeffneter hauben, deckel oder dergleichen insbesondere motorhauben fuer kraftfahrzeuge
DE2401558A1 (de) * 1974-01-14 1975-07-24 Klaus Dr Ing Durm Feststeller fuer schwenkfluegelfenster
IT206633Z2 (it) * 1985-06-25 1987-10-01 I M P Spa Braccio con arresto per dispositivo chiudiporta
DE9314977U1 (de) * 1993-10-02 1993-11-25 Huwil Werke Gmbh Stütze zum Halten eines Verschlußelementes
DE29600038U1 (de) * 1996-01-03 1996-03-07 Scharwaechter Gmbh Co Kg Kraftwagentürfestste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44901B4 (de) 2008-11-20
KR19980081658A (ko) 1998-11-25
IT1298737B1 (it) 2000-02-02
PL325266A1 (en) 1998-10-26
DE19744901A1 (de) 1999-04-15
ES2147120B1 (es) 2001-03-16
ES2147120A1 (es) 2000-08-16
ITMI980516A1 (it) 1999-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65814A (ja) 調節可能な背もたれを持つ座席用の継手金具
US7178202B2 (en) Door setting device
JPH07256605A (ja) モータチェインソーのソーブレードを介して走行するソーチェインの緊張懸架装置
BRPI0612234A2 (pt) ferragem para um banco de um veìculo
US6513197B2 (en) Friction hinge with pop-up feature
US20040211529A1 (en) Shade operator
JPH0996161A (ja) ケーブル・テンション装置
CA2136117A1 (en) Inertia hinge for seatback and armrest
FR2523830A1 (fr) Ferrure d'articulation pour sieges a dossier reglable
KR100296562B1 (ko) 지지 부재, 특히 커버 조정기 또는 플랩 유지기
EP1011400B1 (en) Food warmer with controlled-opening cover
KR850007202A (ko) 연속 가변 조절가능한 힌지
JP2004204953A (ja)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JP4557560B2 (ja) ドアヒンジ、および取外し可能ドアチェック装置
JP4529059B2 (ja) 回転ダンパ
WO2015038608A1 (en) Retractor with gimbaled vehicle sensor
US20050102797A1 (en) Hinge structure for flat visual display device
KR19980064961A (ko) 각도조절 헤드레스트의 힌지장치
KR100288535B1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조절수단 잠금장치
KR0142057B1 (ko)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US4670940A (en) Torsion spring mounting structure
JP2906316B2 (ja) リフトヒンジ等の回転ダンパー
US5025643A (en) Holding clip
EP1026028B1 (en) Device for securing an adjustable back of a seat to a motor vehicle body
JP7425154B1 (ja) 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