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010B1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010B1
KR100291010B1 KR1019990010859A KR19990010859A KR100291010B1 KR 100291010 B1 KR100291010 B1 KR 100291010B1 KR 1019990010859 A KR1019990010859 A KR 1019990010859A KR 19990010859 A KR19990010859 A KR 19990010859A KR 100291010 B1 KR100291010 B1 KR 10029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ide plate
ring
shaped member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369A (ko
Inventor
고바야시미끼하루
야마구찌노부유끼
Original Assignee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394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52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8585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2713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이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7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1Frame disassembly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 본체의 프레임에 대한 측판의 부착 및 분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낚시용 릴에 있어서, 좌측 측판의 받침부에 형성한 끼워 맞춤홈에 빠짐 방지 링을 끼워 맞춤으로써 좌측 링형 부재는 끼워 맞춤홈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빠짐 방지 링에 의해 그 가동 범위가 한정되어 받침부로부터 빠지지 않고, 항상 좌측 측판의 받침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 {Fishing Reel}
본 발명은 릴 본체의 프레임에 대한 측판의 부착 및 분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용 릴의 릴 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에는 그 일측부에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음 발생 기구 또는 제동 기구 등을 수용하기 위한 측판이 부착되어 있다.
측판의 부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프레임의 일측부에 측판을 나사로 체결하는 방법 이외에,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55-30144호 공보와 실용신안 공개 소56-6626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판을 링을 거쳐서 프레임의 일측부 외주에 나사 결합시키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55-30144호 공보와 실용신안 공개 소56-66263호 공보의 부착 방법에서는 링의 내주면의 일측부에 프레임 외주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의 다른 측부에 측판을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의 일측부를 프레임의 외주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이 링을 거쳐서 측판을 프레임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55-30144호 공보와 실용신안 공개 소56-66263호 공보의 부착 방법에는 이하의 제1 문제가 있다. 즉, 링을 느슨하게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면 이 링으로부터 측판도 동시에 분리되어 버리므로, 예를 들어 링이 측판으로부터 탈락되어 링을 분실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이와 같은 부착 방법에 있어서 링 및 측판은 각각 별도로 프레임에 부착하거나 또는 분리해야만 하므로, 그 취급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부착 및 분리 작업 효율이 나빠진다.
또,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와, 스풀을 회전 구동시키는 권취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릴 본체는 스풀을 지지하는 좌우 프레임과, 각 프레임의 측부에 부착되는 측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권취 구동부는 지지 측판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 지지 측판은 권취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복수의 나사에 의해 대응하는 프레임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 측판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내에는 권취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스풀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기구, 스풀에 낚싯줄을 균등하게 권취하는 레벨 권취 기구, 이 레벨 권취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 등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즉, 지지 측판은 이들 기구를 수용하는 동시에 그 외측을 피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낚시용 릴의 구성은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0-8693호 공보와 실용신안 공고 평6-20338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는 이하의 제2 문제가 있다. 즉, 프레임에 부착하여 고정되는 지지 측판은 이 지지 측판과 프레임 사이에 나란히 설치되는 각종 구동 기구를 수용하는 동시에 그 외주를 피복하기 위해, 상기의 각종 구동 기구 전체의 직경 방향의 크기에 대응하므로 그 외경이 커져 버린다. 그 결과, 릴 전체가 대형화되게 되어 릴의 파지성과 휴대성 등의 면에서 결점이 발생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릴 본체의 프레임에 대한 측판의 부착 및 분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은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판과, 이들 측판의 적어도 한 쪽을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링형 부재와, 이 링형 부재를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부착 수단과, 측판에 대하여 링형 부재를 빠짐 방지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제2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측판의 외경을 최대한 작게 하여 전체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과, 이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릴 본체는 스풀을 지지하는 좌우 프레임과, 이들 좌우 프레임의 측부에 각각 부착되는 측판에 의해 구성되고, 스풀을 회전 구동시키는 권취 구동부를 지지하는 측판과 대향하는 프레임은 측판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개구부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고 개구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또한 구동 기구를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는 측판에 의해 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좌측 측판과 좌측 링형 부재 및 좌측 프레임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
도4a는 좌측 링형 부재를 거쳐서 좌측 측판이 좌측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4b는 좌측 링형 부재가 좌측 측판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5a는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의 변형예로서 나사 고정에 의해 좌측 링형 부재를 좌측 측판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b는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의 다른 변형예로서 나사 결합에 의해 좌측 링형 부재를 좌측 측판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의 변형예로서 캠 고정법에 의해 좌측 링형 부재를 좌측 프레임에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7a는 도6의 ⅦA-ⅦA선을 따른 단면도.
도7b는 도6의 ⅦB-ⅦB선을 따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단면도.
도9는 도8의 낚시용 릴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10은 도8의 Ⅹ-Ⅹ선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본 우측 프레임의 측면도.
도11은 도8의 Ⅹ-Ⅹ선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본 우측 프레임의 변형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릴 본체
2a, 2b, 102a, 102b : 좌우 프레임
3a, 3b : 좌우 측판
5, 105 : 스풀축
6, 110 : 베어링
7, 103 : 스풀
8, 120 : 백래시 방지 기구
10, 106 : 피니언
10a, 111 : 피니언축
12, 112 : 클러치판
18 : 구동 기어
20, 108 : 핸들축
21, 122 : 핸들
23, 123 : 일방향 클러치
25, 125 : 마찰판(드래그 기구)
27, 127 : 드래그 조작 부재
28, 128 : 기어
30, 115 : 레벨 권취 기구
32, 132 : 웜축
33, 107, 133 : 구동 기어
40a, 40b, 103a, 103b : 좌우 링형 부재
42, 119 : 나사못
44 : 빠짐 방지 링
46 : 받침부
48 : 끼워 맞춤홈
52 : 수나사부
52a, 160 : 절결부
54 : 암나사부
60 : 탄성 부재
70 : 캠 부재
72 : 캠 홈
74 : 캠 돌기부
80 : 맞대음 부재
84 : 빠짐 방지용 끼워 맞춤편
84b : 빠짐 방지 돌기
100 :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
101b : 지지 측판
118 : 미끄럼 이동 부재
130 : 권취 구동부
F1, F1' : 프레임측 외주면
F2, F2' : 곡면형 외주면
F3, F3' : 측판측 외주면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둥근 형태의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을 예로 해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좌우 프레임(2a, 2b)과, 이들 좌우 프레임(2a, 2b)의 측부에 배치되는 원형의 좌우 측판(3a, 3b)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좌우 측판(3a, 3b)의 적어도 한 쪽은 후술하는 부착 기구에 의해 좌우 프레임(2a, 2b)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프레임(2a, 2b)은 이들 사이에 가설되는 복수의 지지 기둥과 함께 예를 들어 금속 재료나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 좌우 프레임(2a, 2b)과 좌우 측판(3a, 3b)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내에는 구동력 전달계와 드래그계 등의 각종 기구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좌우 측판(3a, 3b) 사이(좌우 프레임(2a, 2b) 사이)에는 스풀축(5)이 베어링(6)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스풀축(5)에는 그 중앙부에 스풀(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스풀축(5)의 좌측 측판(3a)측에는 스풀(7)의 과회전을 방지하여 낚싯줄 방출시의 백래시를 방지하기 위한 백래시 방지 기구(8)가 설치되어 있고, 스풀축(5)의 우측 측판(3b)측에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스풀축(5)과 결합 또는 비결합하는 피니언(10)이 피니언 축(1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10)에는 클러치판(12)이 결합하는 원주홈이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판(12)을 피니언축(10a)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니언(10)을 스풀축(5)에 결합(클러치 온)시키거나 또는 스풀축(5)에 비결합(클러치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우측 측판(3b)에는 피니언(10)과 맞물리는 구동 기어(18)를 지지한 핸들축(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축(20)의 선단부에는 핸들(21)이 부착되어 있고, 그 중간부에는 일방향 클러치(2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축(20)의 기초 단부에는 구동 기어(18)와 결합하는 마찰판(드래그 기구)(25)이 설치되어 있다.
마찰판(25)은 핸들(21)에 함께 설치된 드래그 조작 부재(27)를 회전 조작하여 구동 기어(18)에 마찰 결합시킴으로써 구동 기어(18)에 소정의 드래그력을 작용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핸들축(20)에는 구동 기어(18)와 일체 회전하는 기어(28)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기어(28)는 레벨 권취 기구(30)의 웜축(32)을 구동하는 구동 기어(33)에 맞물려 있다.
레벨 권취 기구(30)의 웜축(32)에는 낚싯줄이 삽입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낚싯줄 안내 부재(도시 생략)가 결합되어 있고, 구동 기어(33)를 거쳐서 웜축(32)을 회전시킴으로써 낚싯줄 안내 부재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핸들(21)을 회전 조작하면, 이 회전 운동이 구동 기어(18)로부터 기어(28)를 거쳐서 구동 기어(33)에 전달되어 웜축(32)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기의 회전 운동이 구동 기어(18)로부터 피니언(10)을 거쳐서 스풀(7)에 전달되어 스풀(7)을 회전시킨다. 이 때, 낚싯줄 안내 부재가 왕복 이동함으로써 스풀(7)에는 낚싯줄이 균등하게 권취된다.
이하, 좌우 측판(3a, 3b)의 적어도 한 쪽을 좌우 프레임(2a, 2b)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적용한 부착 기구는 좌우 측판(3a, 3b)의 적어도 한 쪽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부착 가능한 좌우 링형 부재(40a, 40b)와, 이들 좌우 링형 부재(40a, 40b)를 좌우 프레임(2a, 2b)의 측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부착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 링형 부재(40a, 40b)는 부착 수단을 거쳐서 좌우 프레임(2a, 2b)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좌우 프레임(2a, 2b)의 외주면으로부터 좌우 링형 부재(40a, 40b)의 외주면을 거쳐서 좌우 측판(3a, 3b)의 외주면에 걸쳐 돌출부와 단차부 등이 형성되지 않도록(즉, 릴 본체(1)의 표면 전체가 원활한 일체감을 이루도록) 대략 곡면형을 이룬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 링형 부재(40a, 40b)의 외주면의 구체적인 형상은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우측 측판(3b)은 예를 들어 나사못(42) 고정, 나사 결합 고정, 끼워 맞춤 고정 등에 의해 우측 프레임(2b)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우측 링형 부재(40b)는 예를 들어 나사 결합 고정, 끼워 맞춤 고정 또는 후술하는 캠 고정(도6 참조) 등에 의해 우측 프레임(2b)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못(42) 고정의 경우에는 그 나사못(42)을 우측 링형 부재(40b)로 은폐할 수 있으므로, 릴 본체(1)의 외관상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측판(3a)에 대하여 좌측 링형 부재(40a)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부착시키는 수단으로서, 좌측 측판(3a)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대략 C자 형상의 빠짐 방지 링(44)을 적용하고 있다.
좌측 측판(3a)의 외주부에는 좌측 링형 부재(40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받침부(46)에는 좌측 링형 부재(40a)에 대면한 부분에 빠짐 방지 링(44)이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홈(4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 링형 부재(40a)에는 이 끼워 맞춤홈(48)에 대면한 부분에 도피홈(50)이 형성되어 있다(특히, 도2, 도4a 및 도4B 참조).
여기서, 빠짐 방지 링(44)을 거쳐서 좌측 링형 부재(40a)를 좌측 측판(3a)에 빠짐 방지한 상태인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지그에 의해 빠짐 방지 링(44)을 좌측 링형 부재(40a)의 도피홈(50)의 내측을 향하도록 빠짐 방지 링(44)을 탄성 변형시켜 확대시킨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의 지그에 의해 좌측 링형 부재(40a)를 좌측 측판(3a)의 받침부(46)를 따라서 슬라이드시켜 간다. 그리고, 좌측 링형 부재(40a)가 완전하게 좌측 측판(3a)의 받침부(46) 상에 위치 부여되기 직전에 소정의 타이밍에서 지그를 인발함과 동시에 좌측 링형 부재(40a)를 완전하게 좌측 측판(3a)의 받침부(46) 상에 위치 부여한다. 이 때, 빠짐 방지 링(44)은 그 탄성력에 의해 축소되고, 받침부(46)의 끼워 맞춤홈(48) 내에 끼워 맞춰진다.
끼워 맞춤홈(48)은 끼워 맞춤홈(48)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 링(44)의 직경 치수(W)보다도 작은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측 링형 부재(40a)는 끼워 맞춤홈(48)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빠짐 방지 링(44)에 의해 그 가동 범위가 한정되어 받침부(46)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좌측 링형 부재(40a)는 항상 좌측 측판(3a)의 받침부(4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도2 및 도4B 참조). 이 결과, 좌측 링형 부재(40a)와 좌측 측판(3a)은 항상 일체적이고, 또한 좌측 측판(3a)에 대하여 좌측 링형 부재(40a)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게 된다.
다음에, 좌측 링형 부재(40a)를 좌측 프레임(2a)의 측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착 수단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일예로서 좌측 프레임(2a)의 측부 외주면에 형성한 예를 들어 수나사부(52)와, 좌측 링형 부재(40a)의 측부(좌측 프레임(2a)의 측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한 암나사부(54)를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착 수단에 의하면, 암나사부(54)를 수나사부(52)에 나사식으로 진행시켜서 좌측 링형 부재(40a)를 좌측 프레임(2a)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좌측 측판(3a)을 좌측 링형 부재(40a)를 거쳐서 좌측 프레임(2a)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프레임(2a)의 수나사부(52)는 좌측 프레임(2a)의 측부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해서 형성하기 보다는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절결부(52a)에 의해 수나사부(52)를 복수(즉, 2개)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나사부(52)를 분할하면 수나사부(52) 자체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좌측 링형 부재(40a)의 암나사부(54)를 수나사부(52)에 나사 결합시켰을 때, 수나사부(52)의 탄성 작용에 의해 암나사부(54)와 수나사부(52)의 나사 결합 상태가 한층 더 견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측 링형 부재(40a)를 좌측 프레임(2a)에 대하여 안정하고 또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좌측 링형 부재(40a)가 형상 변화하여 암나사부(54)가 변형된 경우라도 수나사부(52)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이 암나사부(54)의 변형 상태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좌측 링형 부재(40a)의 형상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좌측 링형 부재(40a)를 좌측 프레임(2a)에 대하여 안정하고 또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46)의 끼워 맞춤홈(48)과 빠짐 방지 링(44) 및 좌측 링형 부재(40a) 사이에는 약간의 유극이 있으므로, 좌측 링형 부재(40a)를 거쳐서 좌측 측판(3a)을 좌측 프레임(2a)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좌측 측판(3a)이 덜걱거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좌측 프레임(2a)으로부터 좌측 측판(3a)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56)와, 이 제1 연장부(56)를 향해 좌측 측판(3a)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58) 사이에 예를 들어 탄성 부재(60)를 설치하면 좌측 링형 부재(40a)를 거쳐서 좌측 측판(3a)을 좌측 프레임(2a)에 덜걱거리지 않고 또한 안정하게 부착할 수 있다.
탄성 부재(60)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나 수지 등의 연질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탄성 부재(60)를 제1 연장부(56)와 제2 연장부(58) 사이에 개재시키면 탄성 부재(60)의 탄성 작용에 의해 좌측 프레임(2a)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좌측 링형 부재(40a)에 좌측 측판(3a)을 압접시켜 덜걱거리지 않고 또한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링형 부재(40a)는 대략 곡면형을 이룬 외주면을 갖고 있으므로, 좌측 링형 부재(40a)를 거쳐서 좌측 측판(3a)을 좌측 프레임(2a)에 덜걱거리지 않고 또한 안정하게 부착시킨 상태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2a)의 외주면으로부터 좌측 링형 부재(40a)의 외주면을 거쳐서 다시 좌측 측판(3a)의 외주면에 걸치므로 돌출부와 단차부 등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릴 본체(1)는 그 표면 전체가 원활한 일체감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도1 및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적용한 좌측 링형 부재(40a)는 프레임측 외주면(F1)과, 이 프레임측 외주면(F1)으로부터 연속된 곡면형 외주면(F2)과, 이 곡면형 외주면(F2)으로부터 연속된 측판측 외주면(F3)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측 외주면(F1)은 좌측 프레임(2a)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 부여되어 있고, 측판측 외주면(F3)은 좌측 측판(3a)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곡면형 외주면(F2)은 파지 보유 지지성과 낚시 조작성 및 외관적인 미관성을 고려한 최적의 곡률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링형 부재(40b)도 마찬가지로 프레임측 외주면(F1')과, 이 프레임측 외주면(F1')으로부터 연속된 곡면형 외주면(F2')과, 이 곡면형 외주면(F2')으로부터 연속된 측판측 외주면(F3')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측 외주면(F1')은 우측 프레임(2b)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 부여되어 있고, 측판측 외주면(F3')은 우측 측판(3b)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곡면형 외주면(F2')은 파지 보유 지지성과 낚시 조작성 및 외관적인 미관성을 고려한 최적의 곡률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좌측 링형 부재(40a)를 빠짐 방지 링(44)을 거쳐서 좌측 측판(3a)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일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좌측 링형 부재(40a)를 느슨하게 좌측 프레임(2a)으로부터 분리한 경우라도 이 좌측 링형 부재(40a)로부터 좌측 측판(3a)이 빠지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좌측 링형 부재(40a)가 좌측 측판(3a)으로부터 탈락하여 분실되어 버리는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좌측 링형 부재(40a) 및 좌측 측판(3a)을 항상 하나의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좌측 링형 부재(40a)를 좌측 프레임(2a)에 조여 넣거나 또는 느슨하게 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좌측 측판(3a)을 좌측 프레임(2a)에 착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 프레임(2a)에 대한 좌측 측판(3a)의 부착 및 분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좌측 링형 부재(40a)와 좌측 측판(3a)이 서로 대면한 부분에 형성된 한정된 공간내에 다른 기능 구성 부재에 지장을 주지 않고 빠짐 방지 링(44)을 조밀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링형 부재(40a)를 빠짐 방지 링(44)을 거쳐서 좌측 측판(3a)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측판(3a)의 받침부(46)에 환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맞대음 부재(80)를 맞대고, 이 맞대음 부재(80)와 받침부(46) 사이에 좌측 링형 부재(40a)의 환상 플랜지부(41)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보유 지지해도 된다. 그리고, 맞대음 부재(80)를 받침부(46)에 맞대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사(82) 고정법, 접착법, 끼워 맞춤법 등 각종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부착 방법에서는 좌측 측판(3a)의 받침부(46)에 좌측 링형 부재(40a)를 위치 부여한 후, 맞대음 부재(80)를 받침부(46)에 맞댄 상태에서 이 맞대음 부재(80)를 예를 들어 나사(82)로 받침부(46)에 체결함으로써 좌측 링형 부재(40a)를 맞대음 부재(80)와 받침부(46)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이 이외에 예를 들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46)의 끼워 맞춤홈(48)에 끼워 맞출 수 있는 빠짐 방지용 끼워 맞춤편(84)을 좌측 링형 부재(40a)에 형성해도 된다.
이 부착 방법에서는 좌측 링형 부재(40a)를 받침부(46)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시켜 빠짐 방지용 끼워 맞춤편(84)의 선단에 형성한 테이퍼부(84a)를 끼워 맞춤홈(48)의 엣지(즉, 좌측 측판(3a)의 외주 단부)(E)에 맞댄 후, 또 다시 좌측 링형 부재(40a)를 받침부(46)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 테이퍼부(84a)가 엣지(E)를 뛰어 넘도록 빠짐 방지용 끼워 맞춤편(84)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빠짐 방지용 끼워 맞춤편(84)이 받침부(46)의 끼워 맞춤홈(48) 내로 진입하여 빠짐 방지용 끼워 맞춤편(84)과 끼워 맞춤홈(48)이 끼워 맞춰진다. 또, 테이퍼부(84a)에는 빠짐 방지 돌기(84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측 링형 부재(40a)가 받침부(46)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이 빠짐 방지 돌기(84b)가 엣지(E)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결과, 좌측 링형 부재(40a)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받침부(46) 상에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링형 부재(40a)를 좌측 프레임(2a)의 측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도6,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캠 고정법을 적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프레임(2a)의 측부를 따라서 캠 부재(70)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이 캠 부재(70)의 외주면에 대략 L자 형상의 캠 홈(72)을 형성한다. 한편, 좌측 링형 부재(40a)의 내주면에는 캠 홈(72)에 삽입하여 결합 가능한 캠 돌기부(7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캠 구조에 의하면, 좌측 링형 부재(40a)의 캠 돌기부(74)를 캠 홈(72)에 정합시켜 삽입한 후, 좌측 링형 부재(40a)를 캠 홈(72)을 따라서 회전시킴으로써 좌측 링형 부재(40a)를 좌측 프레임(2a)의 측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프레임(2a)의 캠 부재(70)의 외주에 걸림 고정편(76)을 형성하고, 이 걸림 고정편(76)을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걸림 고정홈(78)을 좌측 링형 부재(40a)의 내주면에 형성해 두면, 좌측 링형 부재(40a)를 캠 홈(72)을 따라서 회전시켰을 때에 걸림 고정편(76)과 걸림 고정홈(78)이 연속적으로 결합 고정되어 좌측 링형 부재(40a)의 회전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좌측 링형 부재(40a)가 회전하여 캠 돌기부(74)가 캠 홈(72)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캠 고정법은 우측 링형 부재(40b)와 우측 프레임(2b) 사이의 부착 방법으로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구성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둥근 형태의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낚시용 외팔보형 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을 예로 해서 설명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100)은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103)과, 이 스풀(10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는 스풀(103)을 지지하는 좌우 프레임(102a, 102b)과, 각 프레임(102a, 102b)의 측부에 부착되는 측판(101a, 10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좌우 프레임(102a, 102b)은 이들 사이에 가설되는 복수의 지지 기둥(140)(도9 참조)과 함께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면중 우측에 위치하는 측판(이하, 지지 측판이라고 함)(101b)은 스풀(103)을 회전 구동시키는 권취 구동부(130)를 지지하고 있다.
우측 프레임(102b)과 지지 측판(101b)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내에 후술하는 구동력 전달계와 드래그계 등의 각종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또, 측판(101a, 101b)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나사못, 나사 결합, 끼워 맞춤 등에 의해 프레임(102a, 102b)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못(119)으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그 나사못(119)을 은폐할 수 있도록 측판(101a, 101b)의 외주에 링형 부재(103a, 103b)를 장착해도 된다.
좌우 프레임(102a, 102b) 사이에는 스풀축(105)이 베어링(110, 110)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 스풀축(105)에는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103)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우측 프레임(102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스풀축(105)의 단부에는 스풀축(105)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피니언(106)이 부착되어 있다. 피니언(106)은 피니언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절환 수단에 의해 스풀축(105)에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스풀축(105)에 대한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비결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니언(106)에는 클러치판(112)이 결합되는 원주홈이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판(112)은 도시하지 않은 연결 기구에 의해 피니언축(111)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절환 부재의 조작에 의해 구동된다. 즉, 클러치 절환 부재를 압하 조작함으로써 피니언(106)은 클러치판(112)을 거쳐서 도8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동되고, 스풀축(105)에 대한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클러치 오프). 이 때, 스풀(103)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피니언(106)에는 구동 기어 즉 구동 기어(107)가 맞물려 있고, 구동 기어(107)에는 권취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핸들축(108)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축(108)은 피니언(106)과 맞물리는 구동 기어(107)를 지지한 상태이며, 또 지지 측판(10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축(108)의 단부에는 핸들축(108)과 함께 권취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핸들(122)이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핸들(122)을 회전 조작하면 구동 기어(107)와 피니언(106)을 거쳐서 스풀축(105)이 회전 구동되고, 그에 수반하여 스풀(103)이 회전한다.
또, 핸들축(108) 도중에는 핸들축(108)의 일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는 일방향 클러치(123)가 설치되어 있고, 핸들축(108)의 기초 단부에는 구동 기어(107)와 결합하는 마찰판(125)(드래그 기구)이 설치되어 있다. 마찰판(125)은 핸들(122)에 함께 설치된 드래그 조작 부재(127)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구동 기어(107)에 마찰 결합되고, 그 결과 소망하는 드래그력을 발휘한다.
또, 핸들축(108)의 기초 단부에는 기어(1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128)는 구동 기어(107)에 맞물려 있는 동시에, 스풀(103)의 전방측에 배치된 레벨 권취 기구(115)의 웜축(132)을 구동하는 구동 기어(133)에 맞물려 있다.
레벨 권취 기구(115)는 외주면에 트래버스 홈이 형성되고, 또 단부에 구동 기어(133)가 부착된 웜축(132)과, 이 웜축(132)을 수용하는 통 부재(117)와, 상기 트래버스 홈에 결합됨과 동시에 웜축(132)의 회전에 의해 통 부재(117)를 따라서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 부재, 즉 미끄럼 이동 부재(118)를 구비하고 있고, 미끄럼 이동 부재(118)에 형성된 구멍을 거쳐서 스풀(103)에 낚싯줄을 안내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핸들(122)을 회전 조작하면 스풀(103)이 회전하고, 동시에 미끄럼 이동 부재(118)가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낚싯줄을 스풀(103)에 균등하게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프레임(102a)으로부터 돌출된 스풀축(105)의 단부에는 스풀(103)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낚싯줄 방출시의 백래시를 방지하는 백래시 방지 기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 측판(101b)이 부착되는 우측 프레임(102b)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구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150)을 형성하도록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지 측판(101b)과 대향하는 면에는 개구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개구부(151)의 직경은 개구부(151)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150)의 직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이로 인해 단차부(152)가 개구부(151)와 수용 공간(150) 사이에 형성된다. 즉, 우측 프레임(102b)은 그 내부를 일부 절결한 대략 중공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 개구부(151)에는 지지 측판(101b)의 단부가 끼워 넣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구동 기구(107, 125, 128, 133)는 수용 공간(150)으로부터 개구부(151)에 걸쳐서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수용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프레임(102b)에 대경의 수용 공간(150)을 형성했으므로, 구동 기어(107)는 이 구동 기어(107)보다도 소경인 기어(128)를 거쳐서 레벨 권취 기구(115)의 구동 기어(133)에 간접적으로 맞물려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100)에 있어서, 지지 측판(101b)이 부착되는 우측 프레임(102b)은 대략 중공 구조(케이스 형상)로 구성되어 있다. 즉, 지지 측판(101b)과 대향하는 면에 개구부(151)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개구부(151)의 내측에 이 개구부(151)보다도 직경이 큰 수용 공간(1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용 공간(150)으로부터 개구부(151)에 걸치는 공간내에 구동 기구 등을 축방향으로 중합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공간을 발생시키지 않고 구동 기구 등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지지 측판(101b) 및 릴 본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즉, 이 구성에 있어서 지지 측판(101b)은 구동 기구 등을 그 내부에 수용하여 피복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구동 기구 등을 수용하는 우측 프레임(102b)의 개구부(151)를 폐색하기 위한 폐색 부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지지 측판(101b)은 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경을 구비하고 있기만 하면 된다.
또, 우측 프레임(102b)을 중공 구조로 함으로써 경량화를 꾀하면서 동시에 강도 상승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강부하에서의 낚싯줄 권취시와 릴의 낙하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외력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안정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프레임(102b)에 대경의 수용 공간(150)을 형성했으므로, 구동 기어(107)는 레벨 권취 기구(115)의 구동 기어(133)에 직접 맞물리지 않고, 구동 기어(107)는 이 구동 기어(107)보다도 소경인 기어(128)를 거쳐서 레벨 권취 기구(115)의 구동 기어(133)에 간접적으로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구동 기어(107)에 구동 기어(133)를 직접 맞물리게 하는 경우에 비해 구동 기구의 직경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지지 측판(101b)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51)가 형성되는 우측 프레임(102b) 단부면의 주위 모서리부에 수용 공간(150)에 연통하는 절결(160)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절결(160)을 형성함으로써 개구부(151)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부품을 수용 공간(150)에 대하여 조립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릴 본체의 프레임에 대한 측판의 부착 및 분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측판의 외경을 최대한 작게 하여 전체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판과,
    이들 측판의 적어도 한 쪽을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링형 부재와,
    이 링형 부재를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부착 수단과,
    측판에 대하여 링형 부재를 빠짐 방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그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측판에 대하여 링형 부재를 빠짐 방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링형 부재와 측판이 서로 대면한 부분에 형성된 공간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과, 이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와, 스풀을 회전 구동시키는 권취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고,
    릴 본체는 스풀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측부에 부착되는 측판에 의해 구성되고, 측판은 권취 구동부를 지지 가능하고,
    프레임에는 측판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이 개구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개구부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고 또한 적어도 권취 구동부를 축방향으로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측판에 의해 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의 단부면에는 개구부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시키는 절결이 수용 공간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6.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판과,
    이들 측판의 적어도 한 쪽을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링형 부재와,
    이 링형 부재를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부착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링형 부재는 프레임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 부여되는 프레임측 외주면과, 측판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 부여되는 측판측 외주면과, 프레임측 외주면과 측판측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원활한 곡면형의 외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7.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판과,
    이들 측판의 적어도 한 쪽을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링형 부재와,
    이 링형 부재를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부착 수단과,
    프레임과 측판과 링형 부재 사이의 간극 중 적어도 하나의 간극에 개재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프레임과 측판 사이의 간극에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프레임에 형성된 제1 나사부와, 측판에 형성되고 또한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 가능한 제2 나사부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나사부는 복수의 절결부에 의해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0. 스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스풀축에 부착되고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과,
    핸들의 회전력을 스풀축에 전달하여 스풀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와,
    프레임의 핸들측에 형성되고 구동 기구를 수용 보유 지지하는 수용 보유 지지부와,
    프레임의 반핸들측에 형성되고 스풀을 착탈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수용 보유 지지부에는 구동 기구의 각 구성품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부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착면은 볼록부가 없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은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그 양측에 형성된 측부 프레임과, 이들 측부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기둥을 일체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외형이 원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19990010859A 1998-03-30 1999-03-29 낚시용 릴 KR100291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394598A JP3495252B2 (ja) 1998-03-30 1998-03-30 魚釣用リール
JP98-083945 1998-03-30
JP08585298A JP3542713B2 (ja) 1998-03-31 1998-03-31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98-085852 1998-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369A KR19990078369A (ko) 1999-10-25
KR100291010B1 true KR100291010B1 (ko) 2001-05-15

Family

ID=2642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859A KR100291010B1 (ko) 1998-03-30 1999-03-29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89823B1 (ko)
KR (1) KR100291010B1 (ko)
CN (1) CN121943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209Y1 (ko) * 1999-05-21 2000-03-15 주식회사신아스포츠 스풀 착탈 기구를 갖는 베이트 캐스팅 릴
SG116585A1 (en) * 2004-04-13 2005-11-28 Shimabno Inc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CA2637226A1 (en) * 2006-01-17 2007-07-26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ackup control in a distributed flight control system
JP5479832B2 (ja) * 2009-09-30 2014-04-2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6072422B2 (ja) * 2012-03-12 2017-02-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03141456B (zh) * 2013-03-23 2014-06-11 威海欧申纳贸易有限公司 用于抛投和船钓的卷轴式多功能渔线轮
JP6198539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けリール
JP6267937B2 (ja) * 2013-11-0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KR101697222B1 (ko) * 2014-10-22 2017-01-17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스플 잠금용 스냅버튼을 구비한 낚시릴
US9807991B1 (en) * 2017-01-04 2017-11-07 Okuma Fishing Tackle Co., Ltd. Brake mechanism of fishing reel
US20190014764A1 (en) * 2017-07-11 2019-01-17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Inside cover lock mechanism
JP7008454B2 (ja) * 2017-09-28 202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64316B2 (ja) * 2017-11-10 2022-05-1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82901B2 (ja) * 2018-04-26 2022-06-09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7120842B2 (ja) * 2018-08-03 2022-08-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両軸リール
JP1691037S (ko) * 2020-12-25 2021-07-26
JP1691035S (ko) * 2020-12-25 2021-07-26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959A (en) * 1903-08-01 1904-08-09 August F Meisselbach Facing for heads of fishing-reel frames or spools.
US2485800A (en) * 1947-10-10 1949-10-25 Eugene R Zimmerman Fishing reel
US3612436A (en) * 1969-06-23 1971-10-12 Shakespeare Co Free spool mechanism
JPS5530144A (en) 1978-08-23 1980-03-03 Nec Corp Multi-cavity crystron
US4308865A (en) 1979-10-19 1982-01-05 Airco, Inc. Interlock system for anesthetic vaporizers
JPS608693A (ja) 1983-06-28 1985-01-17 大同特殊鋼株式会社 被熱物の炉内位置検出方法
JPS6130371U (ja) * 1984-07-27 1986-02-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US4821978A (en) * 1986-01-31 1989-04-18 Daiwa Seiko, Inc. Twin-bearing type fishing reel
US5292087A (en) * 1990-08-07 1994-03-08 Shimano, Inc. Baitcasting reel
KR950008072B1 (ko) * 1990-08-07 1995-07-25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양축받이 릴
JP2810592B2 (ja) 1992-07-06 1998-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情報再生装置
US5810273A (en) * 1995-11-30 1998-09-22 Zebco Div. Of Brunswick Corporation Antijamm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KR0134420Y1 (ko) * 1996-06-11 1998-12-15 정종오 양베어링 릴의 커버 착탈장치
JP3403621B2 (ja) * 1997-09-25 2003-05-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1116A (zh) 1999-10-13
US6189823B1 (en) 2001-02-20
KR19990078369A (ko) 1999-10-25
CN1219433C (zh)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010B1 (ko) 낚시용 릴
EP2034208A2 (en) Roller clutch
KR20000023259A (ko) 스피닝 릴용 마스터기어
KR100788101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US6199782B1 (en) Double bearing type fishing reel
US4732343A (en) Handle attaching screw assembly for a fishing reel
JPH0810281Y2 (ja) 両軸受リール
KR100505270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20190093109A (ko) 드래그 손잡이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KR100671948B1 (ko)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JP3495252B2 (ja) 魚釣用リール
KR100743515B1 (ko) 낚시질용 스피닝 릴
JP3851731B2 (ja) 釣り用リールの部品着脱構造
US10375942B2 (en) Dual-bearing reel
US5564639A (en) Sl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s used in fishing
US5476231A (en) Fly type fishing reel which reduces play between the spool shaft and spool
KR100987100B1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JP2001251996A (ja) 魚釣用リ−ル
JP2019062809A (ja) 魚釣用リール
US5176336A (en) Drag mechanism for fishing reel
JP2523890Y2 (ja) 両軸受リール
JP2559908Y2 (ja)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装着機構
US20240065244A1 (en) One-way clutch and fishing reel
JP2004298006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