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307B1 -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 - Google Patents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307B1
KR100288307B1 KR1019960703848A KR19960703848A KR100288307B1 KR 100288307 B1 KR100288307 B1 KR 100288307B1 KR 1019960703848 A KR1019960703848 A KR 1019960703848A KR 19960703848 A KR19960703848 A KR 19960703848A KR 100288307 B1 KR100288307 B1 KR 10028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armature
disposed
planetary gea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821A (ko
Inventor
츠토무 시가
노부유키 하야시
마사노리 오미
사다요시 카지노
Original Assignee
히로시 하또리
닛뽄 덴소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하또리, 닛뽄 덴소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시 하또리
Publication of KR97070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4Connections between commutator segments and windings
    • H02K13/08Segments formed by extensions of the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자 철심(520)의 외주 상에 고정 자계장치를 형성하는 고정자 철심(558)과 상기 고정자 철심(558)에 감긴 고정자 코일(559)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자 코일 (559)의 일단부는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외주, 즉 센터 브라켓(360)의 외주 공간에 배치된다. 모터 간막이(800)은 상기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단붙이 부분(810)이 형성된다.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자 코일(559)의 다른 단부는 브러시(910)의 외주 공간에 배치된다. 간단히 말하면, 유성기어 감속장치(300)의 외경은 고정자 코일 (559)의 내주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
종래의 유성기어 감속장치를 갖는 시동기의 경우, 일본국 특허 공개 제 110931/1988 호에서 전기자축의 축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각되게 형성된 시동기 모터용 평면 방식 정류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구성은 공동축 상에 유성기어 감속장치, 시동기 모터의 자계장치, 브러시 장치 및 마그네트 스위치의 축 상으로 연속적으로 정렬된 구조를 이루므로, 상기 시동기 모터가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크기가 확대되면 축 길이가 더욱 커지므로, 시동기의 엔진 장착성은 심하게 저하된다. 더욱 나쁜 점은, 엔진에 시동기를 장착 시에 장착부로부터 모터 및 마그네트 스위치까지 증가하여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제2(a)도 및 제2(b)도는 피니언 회전규제부가 피니언부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및 부분 측단면도이고,
제3도는 전기자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제4도는 코어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제5도는 상층 코일 바아의 측면도이고,
제6도는 상층 코일 바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7도는 상층 코일 바아와 하층 코일 바아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 도이고,
제8도는 슬롯에 삽입 고정된 상층 및 하층 코일부재의 단면도이고,
제9도는 전기자 철심과 조립된 상층 코일단의 정면도이고,
제10도는 절연 스페이서의 정면도이고,
제11도는 고정부재의 측단면도이고,
제12도는 절연캡의 측단면도이고,
제13도는 마그네트 스위치의 플런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14도는 단부 프레임의 단면도이고,
제15도는 브러시 홀더의 단면도이고,
제16도는 브러시 홀더의 측단면도이고,
제17(a)도 내지 제17(c)도는 피니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전기회로 다이아그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배경을 고려하여 고안되었으며, 시동기의 전장이 축소되며, 장착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유성기어 감속장치가 구비된 시동기를 제 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 코일로 감긴 전기 자 철심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기자축, 상기 전기자 철심의 단부와 대체로 평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전기자 코일과 연결된 정류자, 상기 정류자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러시, 상기 전기자 철심의 외주상에 배치된 자계 장치를 포함하는 시동기 모터 및 상기 시동기 모터의 전기자축 외주상에 형성된 태양기어, 상기 전기자축과 동축상으로 구비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지지되며 상기 태 양기어와 맞물리는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와 맞물리는 내접기어를 포함하는 유성기어 감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기 모터의 자계 장치의 일단부가 유성기 어감속장치와 브러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외주 주위 공간에 배치되는 유성기어 감속장치를 갖는 시동기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시동기 모터의 자계장치가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외주 또는 브러시의 외주 중, 적어도 하나를 겹치는 단부를 구비하므로, 종래의 기술에 서 요구된 자계장치의 축 길이가 유성기어 감속장치의 외주와 브러시의 외주 공간에 의해 흡수되어 그 축 길이를 줄인다. 그 결과, 시동기의 장착성 및 내충격 성 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 코일의 단부는 전기자 철심의 단부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소정 간격만큼의 거리를 둔 다른 전기자 코일 아암에 연결된 다른 코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 단부는 정류자로서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전기자 코일은, 종래 코일 단부가 코일 부품과 정류자 부품과의 연결을 위해 비틀려지거나 또는 별도의 구성품으로써 평면 방식 정류자일 필요 없는 단부를 갖는다. 그 결과, 전기자 자체의 축 길이는 종래 기술의 정류자를 요구하지 않고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고 자계장치의 단부는 브러시의 외주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시동기의 축 길이는 전체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시동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자축의 축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각되게 시동기 모터의 브러시 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스위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플런저 작동을 위한 공간이 전기자의 축방향으로 제공될 필요가 없고 단지 마그네트 스위치의 외경 길이만이 축방향에 부가된다. 따라서, 마그네트 스위치의 단부까지의 축 길이는 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모터 간막이벽은 자성 물질로 제작되고 고정 자계장치의 단부 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자계장치의 축 단부 주위에서 유발된 누출자속은 모아지고 상기 자속이 코일 단부 주위에 잔류하는 것이 제지된다. 따라서, 정류작용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동기의 일실시예를 설 명한다.
상기 시동기는 엔진에 구비된 링기어(100)와 맞물리는 피니언(200) 및 유성기어 감속장치(300)을 둘러싸는 하우징(400); 모터(500); 및 마그네트 스 위치(600)를 둘러싸는 단부 프레임(700)으로 크게 구분된다. 또한, 시동기에서 상기 하우징(400)과 상기 모터(500)는 모터 간막이(800)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모터(500)와 상기 단부 프레임(700)은 브러시 지지부재(900)에 의해 구획된다.
[피니언 (200)]
제1도,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200)에는 엔진의 링기어(100)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10)가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10)는 그 원주에 출력축(220)에 형성된 헬리컬 스플라 인(221)에 끼워 넣어지는 피니언 헬리컬 스플라인(211)이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10)는 링기어의 반대쪽에 상기 피니언 기어(210)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환상의 플랜지(213)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13)는 그 외주 전체에 걸쳐서 피니언 기어(210)의 외측 기어 수보다 더 많은 수의 톱니(214)가 형성된다. 상기 톱니(214)는 후술되는 피니언 회전규제부재(230)의 규제 포올(231)을 끼워 넣기 위해 제공된다. 와셔(215)는 플런저(213)의 뒷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지만, 피니언 기어(210)의 후단에 형성된 환상부(216)를 외주 측으로 굽힘으로써 축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210)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만들어진 복귀 스프링(240)에 의해 항상 출력축의 후방으로 밀어 붙여진다.
[피니언 회전규제부재(230)]
이하, 피니언 회전규제부재(230)의 작용을 기술한다. 연결선 부재(680)는 마그네트 스위치(600)의 동작을 규제 포올(231)로 전달하기 위한 전동수단이다. 상기 연결선 부재(680)는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600)의 동작으로 회전규제부(232)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며 그에 의해, 규제 포올(231)과 피니언 기어(210)의 플랜지(213)의 톱니(214) 사이에 맞물림을 형성한다. 상기 규제 포올(231)은 피니언 기어(210)의 톱니(214)와 맞물리므로 상기 피니언 기어(210)는, 모터 (500), 전기자측(510) 및 유성기어 감속장치(300)를 통해 회전될 때, 출력축(220)의 헬리컬 스플라인 (221)을 따라서 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10)가 링기어(100)에 맞닿아 그 전방으로 이동이 제지될 때, 상기 피니언 회전규제부재(230)자체는 출력축 (220)의 진행되는 회전력에 의해 굽혀지므로 상기 피니언 기어(210)는 링기어 (100)와 맞물리도록 약간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10)의 전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규제 포올(231)은 톱니(214)와의 맞물림에서 풀려나 상기 규제 포올(231)은 그 전단이 와셔(215)의 뒷면에 맞닿도록 피니언 기어(210)의 플랜저(213)의 뒤편으로 하강되고 그에 의해, 엔진의 링기어(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210)가 후퇴되는 것이 방지된다.
[유성기어 감속기구(300)]
유성기어 감속장치 (30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모터 (500)의 출력 토크를 증대하기 위해 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 수단이다.
상기 유성기어 감속장치 (300)는, 모터(500)의 전기자축(후술됨 )(510)의 앞 쪽의 외주상에 형성된 태양기어(310); 상기 태양기어(310) 주위를 회전하게 되는 세벌의 유성기어(320); 상기 유성기어(320)를 상기 태양기어(310) 주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출력축과 일체로 된 유성 캐리어(330); 및 상기 유성 기 어 (320)의 외주와 맞물리는 수지재로 만들어진 원통 형상의 내접기어(340)로 구성 된다.
[오버런닝 클러치(350)]
오버 런닝 클러치(350)는 오직 일방향으로 내접기어(340)를 회전하도록(엔진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오버 런닝 클러치(350)는 제1원통부를 형성하는 내접기어(340)의 안쪽과 일체로 형성된 클러치 외측부(351), 상기 클러치 외측부(351)의 내주를 마주보게 배치된 제2원통부를 형성하며, 유성기어장치(300)의 정면을 감싸덮는 고정 측면을 형성하는 센터 브라켓의 후면에 형성된 환상의 클러치 내측부(352), 및 상기 클러치 외측부(351)의 내주에서 사면으로 형성된 클러치 경로(351a)에 끼워 넣어지는 롤러(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센터 브라켓(360)]
센터 브라켓(360)은 하우징(400)의 후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400)과 상기 센터 브라켓(360)은 일단이 하우징 (400)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센터 브라켓(360)에 의해 고정되는 링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므로 오버 런닝 클러치(35O)의 일부를 형성하는 클러치 내측부(352)에 의해 수용된 회전 작용이 상기 링 스프링에 의해 흡수되고 상기 하우징(400)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유성 캐리어(330)]
유성 캐리어(330)는 유성기어(320)를 지지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뻗은 플랜지붙이 돌출부(331)를 그 후단에 갖춘다. 상기 플랜지붙이 돌출부(331)에는, 메탈 베어링(333)을 통해 유성기어(3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후방으로 뻗어 나온 핀(332)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유성 캐리어(330)는, 하우징(400)의 전단에 고정된 전단부를 갖는 하우징 베어링(440) 및 센터 브라켓(360)의 내주의 내측 원통부(365)에 고정된 센터 브라켓 베어링(37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유성 캐리어(330)는, 스톱링(335)을 끼워 넣는 환상의 홈이 그 전단에 형성된다. 상기 스톱링(335)과 내측 원통부(365)의 전단 사이에 유성 캐리어(33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와셔가 개입된다. 상기 스톱링(335)이 상기 와셔를 통해 내측 원통부(365)의 전단에 맞닿게 될 때, 상기 유성 캐리어(330)는 후방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상기 유성 캐리어(33D)의 후측을 지지하는 센터 브라켓 베어링(370)은 그 후단에 내측 원통부(365)의 후단과 플랜지붙이 돌출부(331) 사이에 개입되는 플랜지부(371)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붙이 돌출부(331)가 내측 원통부(365)의 후단에 맞닿게 될 때, 상기 유성 캐리어(330)는 전방 이동이 규제된다.
첨언하면, 축방향으로 뻗은 오목부(337)가 출력축(220)의 후면에 형성된다.축(510)의 전단은 상기 오목부(337)에 배치된 유성 캐리어 베어링(38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모터 (500)]
모터(500)는 요크(501), 모터 간막이(800) 및 후술되는 브러시 지지부재 (900)에 의해 둘러싸인다. 첨언하면, 모터 간막이(800)는 센터 브라켓(360)과 함께 유성기어 감속장치(300)를 수용하여, 상기 유성기어 감속장치로부터 윤활유가 모터(500)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모터(50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축(510), 상기 전기자축(51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전기자 철심(520) 및 전기자 코일(530)로 구성된 전기자(540); 및 상기 전기자(540)를 회전하기 위한 고정 자계장치(55O)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자계장치(550)들은 상기 요크(501)의 내주상에 고정된다.
[전기자축(510)]
전기자축(510)은 유성 캐리어(330)의 후부에서 유성 캐리어 베어링(380)과 브러시 지지부재(900)의 내주에 고정된 브러시 지지부재 베어링(56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전기자축(510)의 전단은 유성기어 감속장치(300)에 삽입되고, 그 외주 상에 유성기어 감속장치(30O)의 태양기어(310)가 형성된다.
[전기자 철심(520)]
상기 전기자 철심(52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코어 플레이트 (521)을 적층하고 적층판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522)에 전기자축(510)을 압입하므로써 구비된다. 상기 코어 플레이트(521)는 얇은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고 그 표면을 절연하므로써 형성된다. 상기 코어 플레이트(521)는 반경 방향 안쪽(또는 상기 구멍(522)의 주위)에 코어 플레이트의 자중을 가볍게 하기 위한 복수 개의 펀칭 구멍(523)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 플레이트(521)는 그 외주에 전기자 코일(530)을 받아들이는 복수 개의 슬롯(5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어 플레이트(521)의 외주 단부는 전기자 코일(530)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 톱니(525)가 각각의 슬롯(524)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 톱니(525)는 후술되는 전기자 코일(530)을 고착시키는 수단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전기자 코일(530)]
본 실시예에서 채택된 전기자 코일(530)은, 복수의 상층 코일 바아(531)(예 를 들면, 25개)과 상기 상층 코일 바아(531)와 동수의 하층 코일 바아(532)를 반경 방향으로 적층하므로써 구비된 이중충의 코일이다. 또한, 이들 각각의 상층 코일 바아(531)와 하층 코일 바아(532)는 그 단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결합되어 환상의 코일을 구성한다.
[상층 코일]
상층 코일 바아(531)는 우수한 전도성(예를 들면, 구리)을 갖는 재료로 만 들어지며, 고정 자계장치(550)와 평행되게 뻗어 나와 슬롯(524)의 외주쪽에 지지되는 상층 코일부재(553); 및 상기 상층 코일부재(533)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구부러져 전기자축(51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뻗어 나온 두 개의 상층 코일단(534)이 형성된다. 첨언하면, 상기 상층 코일부재(533)와 두 개의 상층 코일단(534)은 냉각주조; 프레스로 C-형태로 굽힘가공; 분리된 상층 코일부재(533)와 두 개의 상층 코일단(534)을 용접 이음 기술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층 코일부재(533)는 제5도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갖는 곧은 막대이고 후술되는 하층 코일부재(536)와 함께 슬롯(524) 속으로 밀려들어가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절연막(예를 들면, 나일론과 같은 얇은 수지막 또는 종이)으로 덮여진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층 코일단(534) 중에 하나의 코일단 (534)은 회전 방향에 대해 전진하는 쪽으로 경사지고 반면에 다른 상층 코 일단(534)은 회전 방향에 대해 후퇴하는 쪽으로 경사진다. 이들 두 개의 상층 코일단(534)은 상층 코일부재(533)에 대해 반경 방향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며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층 코일 바아(531)가, 상기 상층 코일 바아(531) 상을 180°만큼 회전된 후에도, 동일한 모양을 이루게 된다. 간단히 말하면, 두 개의 상층 코일단(534)은, 상층 코일 바아(531)가 전기자 철심(520)과 조립될 때,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하게 제작된다.
상기 두 개의 상층 코일단(534) 중에, 마그네트 스위치(600) 쪽에 위치된 상층 코일단(534)은 후술되는 브러시(910)에 직접 접촉하여 전력을 전기자 코일(530)에 공급한다. 이런 이유로, 적어도 상기 브러시(910)가 접촉하는 상층 코일단(534)의 표면은 평탄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시동기는 전기자 코일(5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어떤 독자적인 정류자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간단히 말하면, 상기 독자적인 정류자는 제거될 수 있으므로 시동기 제작 단계 및 부품수를 감소하고 이에 의해, 생산비용이 감축된다. 또한, 시동기는 그 내부에 독자적인 정류자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시동기가 축방향 작은 크기를 갖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상층 코일단(534)은 브러시(91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므로 상기 상층 코일단(534)과 상기 브러시(910)사이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발생된 열은 상층 코일단(534)으로부터 상층 코일부재(533), 전기자 철심(570) 및 전기자축(510)으로 전파된다. 그러나, 전기자 코일(530), 전기자 철심(520) 및 전기자축(510)은 종래 기술이 독자적인 정류자보다 큰 열용량 가지므로 상층 코일단(534)과 브러시(910)사이 미끄럼 접촉부는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하층 코일 바아(532)]
하층 코일 바아(532)는, 상부 코일 바아(531)와 같이, 우수한 전도성을 가 지는 재료(예를 들면, 구리)로 만들어지며, 고정 자계장치(550)와 평행하게 뻗어 나와 슬롯(524) 내측에 지지되는 하층 코일부재(536); 상기 하층 코일부재(536)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굽어져 축(510)의 축방향에 직각으로 뻗어 나온 두 개의 하층 코일단(537)으로 형성된다. 첨언하면, 하층 코일부재(536)와 상기 두 하층 코일단(537)은, 상층 코일 바아(531)에서 처럼, 냉각주조, C자 굽힘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 또는 분리된 상기 하층 코일부재(536)와 상기 두 하층 코일단(537)의 용접 이음 기술에 의해 일체로로 형성될 수 있다.
첨언하면, 각개의 상층 코일단(534)과 각각의 하층 코일단(537)사이의 절연은 절연 스페이서(560)에 의해 유지되고 각개의 하층 코일단(537)과 전기자 철심 (520) 사이의 절연은 수지(예를 들면, 나이론 또는 폐놀계 수지)로 제작된 절연 링(570)에 의해 유지된다.
하층 코일부재(536)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을 갖는 곧은 막대이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코일부재(533)와 함께 슬롯 (524) 속으로 밀려 넣어진다. 첨언하면, 하층 코일부재(536)는 상층 절연막(125)으로 덮여진 상층 코일부재(533)와 함께 슬롯(524)에 끼워 넣어지며, 동시에 하층 절연막(나일론 또는 종이로 제작됨)(105)으로 덮여진다.
상기 두 하층 코일단(537) 중에 시동기의 앞쪽에 위치된 하나의 하층 코일 단(537)은 상층 코일단(534)의 경사진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경사지며, 반면에, 뒤쪽에 위치한 다른 하층 코일단(537)은 상층 코일단(534)의 경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들 두 하층 코일단(537)은 하층 코일부재(536)에 대해 동일 각도로 반경 방향으로 경사되고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상층 코일 바아(531)와 같이, 상기 하층 코일 바아(531)는, 하층 코일 바아(532) 상을 180°만큼 회전된 후에도 동일한 모양을 이루게 된다. 간단히 말하면, 상기 두 개의 하층 코일단(537)은, 상기 하층 코일 바아(532)가 전기자 철심(520)과 조립될 때,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하게 제작된다.
상기 두 개의 하층 코일단(537)은 그의 내주 단부에 축방향으로 뻗어 나온 하층 내측 연장부(539)이 형성된다. 상기 하층 내측 연장부(539)의 바깥 주변은 절연 스페이서(560)의 내주에 형성된 오목부(562)에 끼워 넣어지며, 상층 코일단(534)의 단부에 포개지고 용접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밀봉된다. 첨언하면, 하층 내측 연장부(539)은 그 내주가 전기자축(510)에 절연되어 배치된다.
한편으로, 상기 두 개의 상층 코일단(534)은 그 내주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한 상층 내측 연장부(538)이 형성된다. 이들 상층 내측 연장부(538)의 내주는 후술되는 하층 코일 바아(53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하층 내측 연장부(539)의 외주에 포개지고 용접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밀봉된다. 또한, 상층 내측 연장부(538)의 바깥쪽 주변은 절연 캡(580)을 통해 전기자축(510)에 압입된 고정부재(570)의 바깥 원주부(571)의 내면에 맞닿는다.
[절연 스페이서(560)]
절연 스페이서(560)는 수지(즉, 에폭시수지, 폐놀계 수지 또는 나일론)로 제작된 얇은 판재의 링이고,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깥 원주 측에 각각의 상층 코일단(534)의 돌출부(534a)가 끼워 넣어지는 복수의 구멍(561)이 형성된다. 한편으로, 절연 스페이서(560)는 그 내주에 하층 코일단(537)의 하층 내측 연장부 (539)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562)가 형성된다. 절연 스페이서(560)의 이들 구멍 (561) 및 오목부(562)는 다음에 기술되는 전기자 코일(530)을 위치시키고 및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고정부재(570)]
고정부재(570)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축(510)에 압입되는 내 측 원주의 환상부(572); 상층 코일단(534) 및 하층 코일단(537)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축방향에 직각되게 뻗은 규제 링(573); 및 전기자 코일(530)의 내경이 원심력에 의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층 코일단(534)의 상층 내측 연장부(538)을 둘러싸는 바깥 원주부(571)로 구성된 수지재 환상 부재이다. 첨언하면, 상기 고정부재(570)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코일단(534)과 하층 코일단(537)사이의 절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수지(예를 들면, 나이론)로 제작되고 상층 코일단(534)과 하층 코일단(537) 사이에 끼워지는 원판 형상의 절연 캡(580)을 구비한다.
상기 전기자(540)에는, 전기자 코일(530)을 형성하는 상층 코일 바아(531)의 양단에서 상층 코일단(534) 및 하층 코일 바아(532)의 양단에서 하층 코일단(534)이 상기 전기자 코일(510)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 결과, 전기자(540)의 축 크기는 감소되어 모터(500)의 축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시동기가 종래 기술의 시동기보다 더 작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마그네트 스위치(600)는, 독자적 정류자를 제거함으 로써 형성된 축소된 공간 및 모터(500)의 축방향으로 줄어든 공간에 마련된다. 시동기의 축 규모가 종래 기술의 축 규모에서 변화가 없더라도 종래 기술에서 모터 (500) 위에 장착된 마그네트 스위치(600)를 위한 공간은 제거될 수 있으므로 시동기 차지 용적은 종래 기술보다 더 작게 줄어든다.
[고정 자계장치(550)]
고정 자계장치(550)는 요크(501)에 구비된 고정자 철심(558) 및 상기 고정자 철심(558)에 감긴 고정자 코일(559)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 코일(559)의 일단부는 유성기어 감속장치(300)의 외주에, 즉, 센터 브라켓(360)의 바깥 원주에 있는 공간에 배치된다. 첨언하면, 모터 칸막이(800)는 상기 일단부를 수용하도록 단붙이 부분(810)이 형성된다. 한편으로, 고정자 코일(559)의 다른 단은 후술되는 브러시(910)의 외주 공간에 배치된다.
그 결과, 고정자 코일(559)의 단부는 유성기어 감속장치와 브러시의 외주 주위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시동기 모터의 전기자 철심(520)과 유성기어 감속장치(300) 또는 브러시 홀더(900)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어져 축방향으로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마그네트 스위치(600)]
제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 스위치(600)는 후술되는 브러시 지지부재(900)에 의해 지지되고, 전기자축(510)에 대해 대체로 직각으로 고정될 정도로 후술되는 단부 프레임(700) 내에 배치된다.
마그네트 스위치(600)는, 전력이 공급되면, 두 접점(즉, 하부 가동접점(611) 및 상부 가동접점(612)이 단자 볼트(620)의 헤드(621) 및 고정접점(630)의 접촉부(631)에 연속적인 접촉이 되도록 플런저(6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첨언하면, 단자 볼트(620)는 도시되지 않은 밧데리 케이블과 연결된다.
상기 플런저(610)의 상측에는 상기 플런저(610)로부터 상방향으로 뻗은 플 런저축(615)이 고정된다. 상기 플런저축(615)은, 고정철심(642)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상부 가동접점(612)은 플런저축(615)을 따라 수직으로 미끄러지도록 고정부재(642) 상부에서 상기 플런저축(615) 위에 받쳐진다.
상기 상부 가동접점(612)은, 제3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축(615)의 상단에 부착된 스냅 링(616)에 의해 상기 플런저축(615)의 상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 결과, 상부 가동접점(612)은 스냅 링(612)과 고정철심(642) 사이에서 플런저축(615)을 따라 수직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된다. 첨언하면, 상부 가동접점(612)은 상기 플런저축(615)에 부착된 판 스프링에 의해 만들어진 접촉 압력 스프링(670)에 의해 항상 상방향으로 밀여붙여진다.
상기 상부 가동접점(612)은 구리와 같은 우수한 전도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 양단이 고정접점(630)이 두 접촉부(631)에 맞닿게 된다. 또한, 상부 가동접점(612) 위에는 한 벌의 브러시(910)의 각각의 도선 (910a)이 코오킹 또는 용접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부 가동접점(612)의 홈에는, 복수 개의 제지 수단(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두 개)을 제공하기 위한 레지스터(617)의 단부가 삽입되고 전기적,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첨언하면, 브러시(910)의 각각의 도선(910a)은 코오킹 또는 용접에 의해 상부 가동접점(612)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고정 된다. 그러나, 상부 가동접 점(612)과 브러시(910)의 각각의 도선(910a)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레지스터(617)는 모터(500)가 시동 초기 단계에서 저속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높은 저항을 갖는 다수의 권선의 금속선으로 구성된다.
레지스터(617)의 다른 단에는, 단자 볼트(620)의 헤드(621) 아래 위치된 하 부 가동접점(611)이 코오킹 등에 의해 고정된다.
하부 가동접점(611)은 구리와 같은 우수한 전도성을 갖는 금속으로 만들어 지며, 마그네트 스위치(600)가 오프되어 플런저(610)가 하부 위치에 있을때, 고정부재(642)의 상면에 닿게 되고, 상기 레지스터 (617)가 플런저축(615)에 의해 상향으로 옳겨질 때, 상기 상부 가동접점(672)이 고정접점(630)의 접촉부(631)에 접촉하기 전에 단자 볼트(620)의 헤드(621)에 닿게된다.
플런저(610)는 그 저면에 연결선 부재(680)(예를 들면, 와이어)의 후단에 부착된 볼 부재(681)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682)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682)의 내주 벽은 내부 나사(683)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나사(683)속에는 상기 볼 부재 (681)를 오목부(68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크류(684)가 조여진다. 연결선 부재 (680)는 내부 나사(683)속으로 고정 스크류(684)의 삽입을 조정함으로써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첨언하면, 연결선 부재(680)의 길이는, 하부 가동접점(611)이 단자 볼트(620)에 접촉될 때, 피니언 회전규제부재(230)의 규제 포올(231)이 피니언 기어(210)의 외주의 톱니(214)에 끼워 넣어질 정도로 조절되어진다. 첨언하면, 내부 나사(683)및 고정 스크류(684)는 조절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전기자축(510)은 그 축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므로 마그네트 스위 치(600)는 시동기의 전체 구조를 확대하지 않도록 시동기의 전체 축 길이에 그의 반경 길이 만이 더해지게 한다.
[단부 프레임 (700)]
단부 프레임(700)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마그네트 스위 치(600)를 수용하는 수지(예를들면, 폐놀계 수지)로 만들어진 마그네트 스위치 커 버이다.
상기 단부 프레임(700)은 그 배면에 브러시(910)를 전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압축코일을 지지하기 위해 브러시(910)의 위치에 따라 전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지지 기둥(710)이 형성된다.
[브러시 지지부재(900)]
브러시 지지부재(900)는 브러시 지지부재 베어링(564)을 통해 전기자축 (510)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요크(501)의 내면과 단부 프레임(700)의 내면을 구획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브러시 홀더로서 작용하는 마그네트 스위치(600)를 지지하는, 연결선 부재(680)를 안내하는 폴리(690)로서 작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첨언하면, 상기 브러시(910)는 연결선부재(680)를 안내하기 위한 구멍(도시되 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 홀더(90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주조하므로써 형성된 모터 간막이이며, 제1도,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910)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브러시 지지구멍(911, 912)(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부 브러시 지지구멍(911)은 플러스 전압을 받는 브러시(910)를 지지하기 위한 구멍이며, 수지(예를 들면, 나일론 또는 폐놀계 수지)로 제작된 절연 원통(913) 통해 브러시(910)를 지지한다. 한편으로, 하부 브러시 지지구멍(910)은 접지부에 접지되는 브러시(910)를 지지하기 위한 구멍이며, 그 속에 직접 브러시(910)를 지지한다.
또한, 브러시(910)는 압축코일(914)에 의해 밀어붙여져 그 전단 면을 전기 자 코일(530)의 뒤에 있는 상층 코일단(534)의 배면 위에 위치된다.
첨언하면, 상부 브러시(910)의 도선(910a)은 마그네트 스위치(600)에 의해 이동되는 상부 가동접점(612)에 코오킹 또는 용접과 같은 이음 기술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한편으로, 하부 브러시(910)의 도선(910a)은 브러시 지지부재(900)의 후면에 형성된 오목부(920)에 코오킹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첨언하면, 본 실시예는 하나의 도선(910a)에 연결되며 그 중심이 브러시 지지부재(900)의 후면의 오목부(920)에 코오킹되는 한 벌의 하부 브러시(910)가 설치된다.
상기 브러시 지지부재(900)는 그 뒷면에 마그네트 스위치(600)의 정면을 지지하는 두개의 축받침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600)를 둘러싸는 고정 기둥(940)이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 지지부재(900)는 그 배면 상에 마그네트 스위치(600)의 정면을 지지하기 위한 두개의 받침대(930)와 마그네트 스위치를 받아들이기 위한 두개의 고정 기둥(940)이 형성된다. 상기 두개의 고정 기둥(940)은, 마그네트 스위치(600)를 상기 받침대(930)에 맞닿게 하면서 그 각개의 후단을 코오킹하므로써 마그네트 스위치(600)를 지지한다.
브러시 지지부재(900)는 그의 후면 하측에 연결선 부재(680)의 운동 방향을 수직 방향에서 마그네트 스위치(600)의 축방향으로 바꾸는 풀리(690)를 지지하기 위해 풀리 지지부(950)가 형성 된다.
[본 실시예의 작용]
이하, 상기 시동기의 작용을 제1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키스위치(10)가 운영자에 의해 시동 위치로 세트될 때, 전력은 밧데리(20)로부터 마그네트 스위치(600)의 유도코일(65O)로 공급된다. 상기 유도코일(650)이 전기 공급될 때, 플런저(610)는 유도코일(650)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끌어당겨져 그의 하부 위치에서 들어 올려진다.
플런저(610)가 상승함에 따라, 상부 가동접점(612)과 하부 가동접점(611)은 플런저축(615)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연결선 부재(680)의 후단 역시 들어 올려진다. 상기 연결선 부재(680)의 후단이 상승할 때, 그 전단은 하방으로 당겨져서 피니언 회전규제부재(23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하부 가동접점(611)은, 규제 포올(231)이 피니언 기어(210)의 외주 상에 있는 톱니(214)에 끼워 넣어질 때, 피니언 회전규제부재(230)의 하방 운동에 의해 단자 볼트(620)의 헤드(621)에 접촉되게 된다. (제17(a)도 참조). 상기 단자 볼트(620)가 밧데리(20)의 전압을 공급받아 그 전압은 하부 가동접점(611), 레지스터(617), 상부 가동접점(612) 및 도선(910a)을 통해 상부 브러시(910)에 적용된다. 그후, 전기자 코일(530)은 고정 자계장치(550)의 자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비교적 약한 자기력(즉,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하여 전기 자(540)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기자축(510)이 회전함에 따라, 유성기어 감속장치(300)의 유성기어(320)는 전기 자축(510)의 전단의 태양기어(31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유성 캐리어(330)를 통해 링기어(100)를 회전 구동하는 유성기어(320)의 회전토크가 내접기어(340)에 전달되는 경우, 상기 내접기어(340)의 회전은, 오버 런닝 클러치(350)와 작용에 의해 규제된다. 간단히 말하면, 인터널 기어(340)는 회전하지 않으며, 유성 캐리어 (330)는 유성기어(320)에 의해 감속된다. 상기 유성 캐리어(330)가 회전할 때, 피니언 기어(210)는 회전하려고 하지만 피니언 회전규제(230)에 의해 그 회전이 규제 되어 출력 축(220)의 헬리컬 스플라인(221)을 따라 전방향으로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210)의 전방향 이동의 결과로, 피니언 기어(210)는 피니언 유지 링 (250)에 닿을 때까지 계속 엔진의 링기어(100)와 맞물림 한다. 또한, 상기 피니언 기어(210)가 진행함에 따라 규제 포올(231)은, 그 전단면이 피니언 기어(210)의 배면에 배치된 와셔(215)의 후측으로 떨어 질 때까지, 피니언 기어(210)의 톱니 (214)와의 맞물림 상태에서 풀려나게 된다.
한편으로, 피니언 기어(210)가 전진 위치한 상태로, 상부 가동접점(612)이 고정접점(630)의 접촉부(631)에 닿게되고, 그 후, 단자 볼트(620)의 밧데리 전압은 상부 가동접점(612) 및 도선(910a)의 통로를 통해 브러시(910)에 직접 전달된다. 간단히 말하면, 각각의 상층 코일 바아(531)및 각각의 하층 코일 바아(532)로 구성된 전기자 코일(530)은 높은 전류를 공급받아 강력한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그에 의 해, 전기자(540)를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전기자(510)의 회전은 유성기어 감속장치(300)에 의해 감속되어 유성 캐리어 (330)가 증대한 회전 토크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이때, 피니언 기어(210)의 전단은 피니언 유지링(250)에 닿게되고 유성 캐리어(33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피니언 기어(210)는 엔진의 링기어(100)와 맞물림 상태이므로 링기어(100), 즉 엔진의 출력축을 회전 구동시킨다.
다음, 엔진이 시동되어 엔진의 링기어(100)가 피니언 기어(210) 보다 더 빨리 회전할 때, 헬리컬 스플라인의 작용에 의해 피니언 기어(210)에 후퇴력이 발생 된다. 그러나, 피니언 기어(210)는 그 뒤로 하강되었던 회전 규제포올(231)에 의 해 그의 후방 이동이 제지되므로 엔진은 피니언 기어(210)의 때 이른 맞물림 해제 가 방지하면서 확실히 시동될 수 있다. (제17(b)도 참조).
시동된 엔진의 링기어(100)가 피니언 기어(210) 보다 빠르게 회전될 때, 상기 피니언 기어(210)는 상기 링기어(10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후, 링기어 (100)에서 피니언 기어(210)로 전달된 회전 토크는 또한 유성 캐리어(330)를 통해 유성기어(320)를 지지하는 핀(332)으로 전달된, 다시 말하면, 유성기어(320)는 유성 캐리어(330)에 의해 구동된다. 그 후, 엔진 시동 동안에 그로부터 역전된 토크는 인터널 기어(340)에 적용되므로 오버 런닝 클러치 (350)는 링기어(100)가 회전하도록 허용한다. 특히, 엔진 시동 동안, 그로부터 역전된 토크가 내접기어 (340)에 적용되면, 오버 런닝 클러치(350)의 롤러가 클러치 내측부(352)의 오목부 밖으로 나와 내접기어의 회전을 허용한다.
간단히 말하면, 피니언 기어(210)를 회전 구동시키는 시동된 엔진의 링기어 (100)의 상대적인 회전은 오버 런닝 클러치(350)에 의해 흡수되므로 전기자(540)는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지 않는다.
엔진이 시동된 후, 키스위치(10)는 운영자에 의해 시동 위치 밖으로 이동되어 마그네트 스위치(600)의 유도코일(650)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 유도코일(650)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때, 플런저(610)는 압축 코일 스프링(660)의 작용에 의해 하방으로 복귀된다.
그 후, 상부 가동접점(612)은 고정접점(630)의 접촉부(613)를 떠나고 하부 가동접점(611)은 단자 볼트(620)의 헤드(621)를 떠나서 상부 브러시(91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플런저(610)가 하방으로 복귀될 때, 피니언 회전규제부재(230)는 그의 복귀 스프링부(236)의 작용에 의해 상방향으로 복귀되므로 규제 포올(231)의 피니언 기어(210)의 뒤로부터 떠난다. 그 후, 피니언 기어(210)가 복귀 스프링(240)의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복귀되어 엔진의 링기어(100)와의 맞물림으로부터 나오고, 그 후단은 출력축(220)와 플랜지 형상의 돌출부(222)에 맞닿게 된다. 간단히 말하면, 피니언 기어(210)는 시동기의 시동 전 상태로 복귀된다(제17(c)도 참조).
또한, 플런저(610)가 하방으로 복귀된 결과로, 하부 가동접점(611)은 마그네트 스위치(600)의 고정철심(642)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부 브러시(910)의 도선(910a)이 상부 가동접점(612), 레지스터(617), 하부 가동접점(611), 고정철심(642), 마그네트 스위치 커버(640) 및 브러시 지지부재(900)를 통해 전도 상태가 된다. 간단히 말하면, 상부 브러시(710)및 하부 브러시(910)는 브러시 지지부재(900)를 통하여 단락된다. 이런 반면에, 기전력이 전기자(540)의 관성 회전에 의해 전기자 코일 (530)에서 발생된다. 또한 상기 기전력은 상부 브러시(910), 브러시 지지부재(900) 및 하부 브러시(910)를 통하여 단락되어 제동력이 전기자(540)의 관성 회전에 적용된다. 그 결과, 전기자(540)는 급격히 실속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효과]
고정자 코일(559)의 일단부가 유성기어 감속장치(300)의 외주에 즉, 센터 브라켓(360)의 외주에 있는 공간 속에 배치되고 다른 일단부는 브러시(910)의 외주에 있는 공간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시동 모터의 전기자 철심(520)과 유성기어 감속장치(300) 사이의 거리는 감소되어 축 구조를 축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
첨언하면, 본 발명에서 고정자 코일(559)의 일단은 유성기어 감속장치(300)의 외주에 배치되며, 다른 일단은 브러시(910)의 외주에 있는 공간에 배치된다. 그러나, 단지 일단만이 유성기어 감속장치(300)의 외주 또는 브러시(910)의 외주에 있는 공간속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자계장치(550)는 고정자 철심(558) 및 고정자 코일(559)로 구성되지만 영구자석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모터 간막이(800)와 브러시 지지부재(900)(역시 모터 간막이로서 기능을 하는)이 자성 재료로 제작되면, 상기 모터 간막이벽(800)과 브러시 지지부재(900)는 요크(501)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모터 간막이 벽(800)과 브러시 지지부재(900)는 고정자 철심(558)과 전기자 철심(520) 사이의 거리보다 충분치 큰 고정자 철심(558)의 단부 면까지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근접되게 배치되며, 고정자 철심(558)의 단부에서 유발된 누출자속은 상기 모터 간막이벽(800)과 상기 브러시 지지부재(900)를 통해 흐르고 전기자 코일의 단부 주위를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정류작용 동안, 코일 유도 계수는 감소하고 정류작용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줄인다.
이상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동기는 기어 감속장치용 시 동기로 사용되어 시동기의 축 길이를 단축되게 하고 양호한 장착성과 내충격성을 갖는다.

Claims (5)

  1. 전기자 코일로 감긴 전기자 철심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기자축, 상기 전기자 일단부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기자 코일과 연결된 정류자, 상기 정류자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러시와 상기 전기자 철심이 외주에 구비된 고정 자계 장치를 포함하는 시동기 모터; 및 상기 시동기 모터의 전기자축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 상기 저기자축과 동축상으로 배치된 구동축의 일단에 지지되며 상기 태양기어와 맞물리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와 맞물리는 내접기어를 포함하는 유성기어 감속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기 모터의 상기 고정 자계장치의 단부가 상기 유성기어 감속기구와 상기 브러시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 주위 공간에 배치되는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코일이 상기 전기자 철심의 슬롯 속에 배치된 상층 및 하층 전기자 코일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층 및 하층 전기자 코일이 상기 슬롯에 배치된 코일바아와 상기 전기자 철심의 단부 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상기 코일바아의 일단에 배치된 코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층 코일바아의 코일단이 소정 간격만큼 거리를 둔 상기 하층 코일바아의 상기 코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상층 코일바아의 코일단이 상기 정류자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코일이 상기 전기자 철심의 슬롯에 배치된 상층 및 하층 전기자 코일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상층 및 하층 전기자 코일이 상기 슬롯에 배치된 코일바아와 상기 전기자 철심의 단부 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상기 코일바아의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코일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층 코일바아의 코일단이 소정간격 거리를 둔 상기 하층 코일바아의 대응하는 코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상층 코일바아의 상기 코일단 중 하나가 상기 정류자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측의 축방향에 대체로 직각으로 상기 시동기 모터의 브러시측에 배치되며; 상기 시동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마그네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장치.
  5. 전기자 코일로 감긴 전기자 철심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기자축, 상기 전기자 일단부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기자 코일과 연결된 정류자, 자기 회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기자 철심의 외주 주위에 배치된 원통형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주 상에 배치된 고정 자계장치를 포함하는 시동기 모터; 상기 시동기 모터의 상기 전기자축 외주에 형성된 태양기어, 상기 전기자축과 동축으로 배치된 구동축의 일단에 지지되며 상기 태양기어와 맞물리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와 맞물리는 내접기어를 포함하는 유성기어 감속기구; 및 자성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자기 회로를 형성하도록 고정 자계장치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요크를 연결하는 모터 간막이 벽을 포함하고, 상기 시동기 모터의 상기 고정 자계장치의 단부가 상기 유성기어 감속기구와 상기 브러시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 주위 공간에 배치되는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
KR1019960703848A 1994-11-24 1995-11-24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 KR100288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94/01987 1994-11-24
PCT/JP1994/001987 WO1996016268A1 (en) 1994-11-24 1994-11-24 Starter with planetary reduction gear mechanism
PCT/JP1995/002409 WO1996016266A1 (fr) 1994-11-24 1995-11-24 Demarreur dote d'un mecanisme reducteur d'engrenage planet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821A KR970700821A (ko) 1997-02-12
KR100288307B1 true KR100288307B1 (ko) 2001-06-01

Family

ID=1409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848A KR100288307B1 (ko) 1994-11-24 1995-11-24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747594B1 (ko)
JP (2) JPH09508192A (ko)
KR (1) KR100288307B1 (ko)
AU (2) AU1076995A (ko)
BR (1) BR9506568A (ko)
DE (1) DE69525936T2 (ko)
ES (1) ES2170811T3 (ko)
WO (2) WO1996016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1667B1 (en) * 1998-01-15 2001-06-05 Lumend, Inc. Catheter apparatus for guided transvascular treatment of arterial occlusions
AU1927399A (en) 1998-01-16 1999-08-02 Lumend, Inc. Catheter apparatus for treating arterial occlusion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7706A (en) * 1966-02-25 1970-02-24 Mcculloch Corp Electrical starter system for gasoline engines
JPS60175763A (ja) * 1984-02-23 1985-09-09 Nippon Denso Co Ltd スタ−タ
JPH0689787B2 (ja) * 1985-08-07 1994-11-14 日本電装株式会社 トルク調整方法
JPS6331263U (ko) * 1986-08-19 1988-02-29
JPS63110931A (ja) * 1986-10-28 1988-05-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エイスコミテ−タ型スタ−タ
JP3198565B2 (ja) * 1991-11-19 2001-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用モータ
US5258651A (en) * 1992-04-17 1993-11-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ly biased starting reaction device for a power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47594A4 (en) 1998-02-04
EP0747594B1 (en) 2002-03-20
AU689978B2 (en) 1998-04-09
EP0747594A1 (en) 1996-12-11
ES2170811T3 (es) 2002-08-16
DE69525936T2 (de) 2002-11-07
JPH09508192A (ja) 1997-08-19
JP3147382B2 (ja) 2001-03-19
BR9506568A (pt) 1997-09-02
WO1996016268A1 (en) 1996-05-30
DE69525936D1 (de) 2002-04-25
AU1076995A (en) 1996-06-17
WO1996016266A1 (fr) 1996-05-30
KR970700821A (ko) 1997-02-12
AU3936995A (en)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7424C (en) Starter for starting an engine
KR0157268B1 (ko) 스타터
EP0702146B1 (en) Magnet switch for starter
KR0140817B1 (ko) 엔진 시동장치
US5821662A (en) Starter with brush cooling structure
EP0745185B1 (en) Starter
JP2979973B2 (ja) 減速機構付スタータ
KR0147753B1 (ko) 엔진 시동을 위한 스타터
US5834852A (en) Starter having less imbalance in armature shaft rotation
KR100288307B1 (ko)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
US5945755A (en) Starter with housing for cantilever-mounting on engine
KR100288306B1 (ko) 유성기어 감속기구를 갖는 시동기
EP0702151B1 (en) Starter
US5737964A (en) Starter with planetary gear speed reduction mechanism
JP3562072B2 (ja) スタータ
JP3339502B2 (ja) スタータ
JP3508324B2 (ja) スタータ
JP3572742B2 (ja) スタータ
JP2822955B2 (ja) スタータ
EP0742368B1 (en) Starter with pinion return preventing mechanism
JPH08319925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