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805B1 -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805B1
KR100286805B1 KR1019980007156A KR19980007156A KR100286805B1 KR 100286805 B1 KR100286805 B1 KR 100286805B1 KR 1019980007156 A KR1019980007156 A KR 1019980007156A KR 19980007156 A KR19980007156 A KR 19980007156A KR 100286805 B1 KR100286805 B1 KR 100286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pick
separating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900A (ko
Inventor
노리아끼 후꾸베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8007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용지트레이 인출시 용지가 낙하하지않고 작은 크기의 가격이 저하된 급지장치를 제공한다.
용지트레이 8에 적재된 용지 9를 요동적으로 이동가능한 픽업롤러를 사용하여 한 장씩 빼낸다.
이같이 빼내어진 용지는 급지롤러 3과 분리롤러 4로 이루어진 분리부에 의해 한 장씩 분리되고, 분리된 용지는 장치본체(화상형성부)로 이송된다.
해제레버 12는 픽업롤러 2에 작용하고, 가압레버 15는 분리롤러 4에 작용한다.
해제레버 12와 가압레버 15는 링크 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용지트레이 8이 장치본체로 부터 인출시, 픽업가압과 분리가압 모두가 해제레버 12와 가압레버 15의 연동작용으로 해제된다.

Description

급지장치{A PAPER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인쇄기 등에 적용되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한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용지에 대하여 접리(接離)자재의 픽업롤러에 의해 꺼집어내어, 급지롤러와 분리롤러가 접리자재인 분리수단에 의해 1장씩 별도로 급지하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기록지를 픽업롤러에 의해 꺼집어내고 그 꺼집어낸 기록지를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1장씩 분리하는 형태의 급지장치에서는, 용지트레이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 부터 인출할때에 용지가 용지트레이로부터 탈락(슬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픽업롤러를 용지로부터 분리시키고 또한 분리롤러를 급지롤러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은 필수이다.
종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픽업롤러 압력의 해제는 일본특개소 59-57841 호 공보, 특개소 59-69328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솔레노이드의 ON/OFF에 의해 제시되어, 비동작시나 용지트레이 탈착시에는 픽업롤러가 용지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분리압의 해제도 솔레노이드의 ON/OFF에 의해 제어되어, 비-동작시나 용지트레이 탈착시에는 분리부의 롤러가 분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같이 종래의 급지장치는 픽업롤러의 가압 및 분리롤러의 가압에 대한 해제를 솔레노이드의 ON/OFF에 따라 행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 저단가화에 문제로 되었다. 더욱이 일본 실개소 60-122732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용지 트레이의 탈착에 의해 분리압의 해제를 행하는 것도 있으나 분리압을 해제한 것 만으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불충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용지트레이와 탈착조작에 연동하여 픽업 가압의 해제 및 분리가압의 해제를 행하고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의 소형화와 저단가화를 실현하면서, 용지트레이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인출할때의 용지트레이로부터의 용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회전부재와 2개의 저지수단종 최소하나를 일체로 구성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값싼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회전부재와 픽업가압저지수단을 일체로하고, 또한 회전부재와 분리가압 저지수단을 연동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값싼 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 단가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픽업가압해제를 용지반송부위외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으며, 또한 트레이 인출시에 몇몇부위에서 용지가 걸리지 않게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급지장치의 요부인 급지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급지유니트의 픽업롤러, 피트롤러, 분리롤러의 기어 맞물림기구 및 압력해제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지유니트에서 분리롤러 부분의 사시도(분리압해제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급지유니트에서 분압 및 픽업압 해제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급지유니트에서 분압해제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압해제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급지유니트에서의 픽업압해제기구의 측면도로써, 8a도는 픽업압해제시의 상태를 나타내며, 8b도는 픽업압압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급지장치의 분리롤러부분의 사시도(분리압 해제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분리압해제기구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픽업롤러(pick up roller)
3 : 급지롤러(feed roller)
4 : 분리롤러(separation roller)
5b : 픽업 가압 스프링
6 : 안내판(guide plate)
8 : 용지트레이(recording paper tray)
12, 112 : 해제레버(release levers)
12e, 112e : 경사면(tapering surface)
112g : 캠면(cam surface)
13, 113 : 해제스프링(release spring)
14 : 링크(link)
14d : 키부위(key portion)
15, 115 : 가압레베(pressurization levers)
16 : 가압스프링(pressurization spring)
본 발명의 상기 제 1 목적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와,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기록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용지에 당접 가압하는 픽업 가압수단과,
상기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과,
꺼집어낸 용지를 1장씩 분리하기 위한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과,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가압 저지수단과,
상기 용지트레이의 착탈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와,
용지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가동수단과,
상기 회전부재로 하여금 상기 픽업압 저지수단과 상기 분리압 저지수단중 최소일방과 협동하여 연동시키게 하는 연동수단,
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목적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와,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용지에 당접 가압하는 픽업 가압수단과,
상기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과,
꺼집어낸 용지를 1장씩 분리하기 위한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과,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과,
상기 용지트레이의 탈착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와,
기록지 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하고 가동수단을 갖고,
상기 회전부재는 픽업압 저지수단과 분리압 저지수단중 최소하나와 일체로 되어 있는,
제 2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3 목적은,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와,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용지에 당접가압하는 픽업 가압수단과,
상기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과,
용지트레이로부터 꺼집어낸 용지를 1장씩 분리하기 위해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 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과,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과,
상기 용지트레이의 착탈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용지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가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와 픽업압 저지수단은 결합되어 하나의 유니트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분리압 저지수단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급지장치에 제공된 제 3 수단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4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와,
그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기록지에 당접가압하는 픽업가압수단과,
상기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과,
용지트레이로부터 나온 용지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해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과,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과,
상기 용지트레이의 탈착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전부재와,
기록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가동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분리압 저지수단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분리압 저지수단은 상기 분리롤러를 구동하는 축에 당접하며, 그 재질은 오일-함유 폴리아세탈(oil-including polyacetal)인,
급지장치에 제공된 제 4 수단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5 목적은, 제 1 내지 제 4 수단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가이드 부재를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픽업압 저지수단은 상기 용지가이드 부재에 당접하고, 상기 용지 가이드부재를 승강하도록 한 제 5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급지장치의 요부인 급지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급지유니트의 픽업롤러, 피드롤러, 분리롤러의 기어가 맞물리는 기구 및 압력해제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도 1 급지유니트의 분리롤러부분의 사시도 (분리압 해제기구의 사시도),도 5는 도 1 급지유니트의 분리압 및 픽업압 해제기구의 전체사시도, 도 6은 도 1 급지유니트의 분리압 해제기구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분리압 해제기구의 측면도, 도 8은 도 1 급지유니트의 픽업압 해제기구의 측면도로서, (a)는 픽업압해제시 (b)는 픽업가압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의 급지유니트 A는 도 2에 도시한 용지트레이 8을 포함한 급지장치 전체중에서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박스형 하우징 1내에는 픽업롤러 2, 급지롤러 3, 분리롤러 4가 구비되어있다.
픽업아암 5는 급지롤러(피드롤러) 3의 축 3a에 지지되며(도 2, 3참조) 축 3a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로, 회동함에 의해 픽업롤러 2를 도 1의 실선위치와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픽업아암 5의 상방에는 훅(hook)부 5a(도 3참조)가 있어, 픽업가압 스프링 5b(도 3참조)에 의해 픽업아암 5는 도 1의 가상선 위치로 부세(付勢)되어있다. 픽업롤러 2는 급지롤러 3으로부터 기어 7(도 2, 3참조)을 통해 구동된다.
한편, 분리롤러 4는 축 4a(도 4 참조)의 일단부에 설해져있으며, 축 4a의 타단(도 4의 베어링 4d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 4a는 이와 평행하게 설해진 축 4b와 상호 기어로 연결되며, 급지유니트 A의 외부에 돌출한 기어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을 분리롤러 4로 전달한다.
픽업아암 5에는 용지를 픽업롤러 2로부터 급지롤러 3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 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경사면 6a(도 3참조)가 설해져 있다.
경사면 6a 의 하방에는 회전부재인 해제레버 12가 설해져있다. 해제레버 1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 회동축 12a가 있어 회동자재로 지지되어있다. 해제레베 12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향하여 핀 12b, 타단에는 돌기 12d, 凸부 12f가 있으며, 돌기 12d에는 가이드판 6의 경사면 6a와 대향하는 경사면 12e를 갖고 있다.
해제레버 12의 하단측에는 링크 14가 설해져있으며, 링크 14는 도6,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에는 핀 12b와 감합하는 장공 14a를 갖는다. 하우징 1에 고정된 가이드핀 17(도5, 6참조)와 감합하는 가이드 요홈 14b가 설해져있으며, 요홈 14b에 따라 도6, 도7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로 구성되어있다.
더욱이, 훅(hook)부 14c(도5-도7참조)를 갖고, 해제스프링 13에 의해 항상 도6, 도7의 우측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이에의해 해제레버 12도 시계반대방향(도6의 가상선의 위치)으로 부세되어있다. 장공 14a와 반대측 단부에는 하방으로 향해 키부 14d(도5-7참조)가 설해져있으며, 후술하는 가압레버 15의 아암부 15c에 대향하고 있다.
도4-7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리롤러 4의 축 4a 하방에는 「ㄴ」자 형상의 가압레버 15가 회전축 15a 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로 설해져있으며, 축 4a상의 베어링 4c를 단부지지부 15b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타단에는 수평으로 구성된 아암부 15c를 갖고, 전술한 링크 14의 키부 14d에 대향하고 있다. 더욱이 훅부 15d를 갖고 가압스프링 16에 의해 발휘되는 장력에 의해 베어링 4c를 위로 밀도록 부세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급지장치에 있어서의 급지동작을 설명한다.
픽업롤러 2는 용지 송부시 도 2의 위치(도 1의 가상선)에 있으며, 스프링 5b의 부세력에 의해 용지 트레이 8내에 적재된 용지 9중 최상부 용지에 접촉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급지롤러의 축 3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픽업롤러 2도 기어 7을 통해 급지롤러 3과 마찬가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용지를 급지롤러 3으로 향해 보낸다.
급지롤러 3에 도달한 용지는 급지롤러 3과 분리롤러 4 사이에 파지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급지롤러 3에 의해 도 2의 우측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분리롤러 4는 도시되지않은 구동원으로 부터 축 4a, 4b(도 4참조) 및 이들에 설해진 기어에 의해 구동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분리롤러 4는 토크리미터(torque limilter)를 내장하고 있으며, 용지가 2장이상 겹쳐있는 경우에는 최상부 용지만이 송부되도록 하부측 용지를 도 2의 좌측방향으로 밀어되돌린다.
이하 본 실시예의 픽업가압, 분리가압의 가압, 해제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7 및 8b는 용지트레이 8이 장치본체에 셋트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해제레버 12는 해제스프링 13으로 받은 부세력에 반대되게 그 凸부 12f를 용지트레이 8에 대하여 압압한다.
이때 도 8b에 도시한 바와같이, 해제레버 12의 경사면 12e는 가이드판 6의 경사면 6a와 떨어져있어 픽업아암 5는 픽업가압스프링 5b에 의해 픽업롤러 2를 용지에 당접가압하도록 부세되어있다.
또한 해제레버 12의 단부에 설해진 핀 12b 에 의해 링크 14는 도6, 7의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키부 14d는 가압레버 15의 아암부 15c로부터 떨어지게되어 가압스프링 16에 의해 도 7의 시계방향으로 부세된 가압레버 15는 베어링 4c를 위로 밀게되고, 분리롤러 4를 급지롤러 3에 당접시킨다. 픽업압, 분리압 모두는 인가된 상태로 되며, 이에따라 급지가 가능하게 된다.
용지보급시 등에 용지트레이 8을 인출한 때에는, 해제레버 12의 凸부 12f로 부터 용지트레이 8이 떨어지게되며, 해제레버 12는 해제스프링 13의 부세력에 의해 도 6의 가상선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도 8(a)에 도시한 바와같이 해재레버 12의 경사면 12e는 가이드판 6의 경사면 6a와 당접되며 가이드판 6은 상방으로 압압된 상태로 된다. 가이드판 6과 일체로된 픽업아암 5는 픽업가압스프링 5b의 부세력에 거꾸로 압압되며, 이에따라 픽업롤러 2는 용지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또한 해제레버 12의 단부에 설해진 핀 12b에 의해 링크 14는 도6, 7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키부 14d는 가압레버 15의 아암부 15c에 당접하게 되고, 분리가압 스프링 16의 부세력에 반대방향으로 가압레버 15를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베어링 4c도 지지부 15b 가 하강함에 의해 하강하고, 분리롤러 4는 급지롤러 3에서 떨어진다. 이에따라 픽업압, 분리압 모두 해제된 상태로 되며, 용지트레이 8의 용지 9는 트레이와 함께 장치 바깥으로 인출된다.
해제스프링 13의 부세력이 픽업가압스프링 5b 및 분리가압스프링 16으로 발휘되는 부세력을 능가하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한 도시되지않은 고정수단에 의해 용지트레이 8이 셋트되어 있을때의 고정력은 해제스프링 13에 의해 레버 12를 도6의 가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부세력을 능가하는 것 역시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해제레버 12)는 분리압저지수단(링크 14의 키부 14d)와 연동하여 기능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회전부재(해제레버 12)는 픽업압 저지수단과 분리압 저지수단중 최소어느 하나와 연동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지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 8,
그 용지트레이 8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 2,
픽업롤러 2를 용지에 당접가압하는 픽업가압수단(픽업가압스프링 5b),
픽업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경사면 12e),
꺼집어낸 용지를 1장씩 분리하기 위해 급지롤러 3과 분리롤러 4로 이루어진 분리수단,
분리롤러 4를 급지롤러 3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가압레버 15, 가압스프링 16),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링크 14의 키부 14d),
용지트레이 8의 착탈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해제레버 12,
용지트레이 8을 인출시에 해제레버 12를 부세하는 해제스프링 13, 및
해제레버 12로 하여금 픽업압저지수단과 분리압 저지수단(링크 14의 키부 14d)중 최소하나와 연동되게 하는 연동수단(핀 12b, 장공 14a),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픽업가압해제와 분리가압 해제동작은 용지트레이 8의 탈착조작에 연동하여 수행되며, 간단한 구조로서 소형장치 및 낮은 제조단가를 실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용지트레이 8이 장치본체로부터 인출시 용지트레이 8로부터 용지가 낙하(스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지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 8,
용지트레이 8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 2,
픽업롤러 2를 용지에 당접가압하는 픽업가압수단(픽업 가압스프링 5b),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경사면 12e),
꺼집어낸 용지를 1장씩 분리하기 위해 급지롤러 3과 분리롤러 4로 이루어진 분리수단,
분리롤러 4를 급지롤러 3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가압레버 15, 가압스프링 16),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링크 14의 키부 14d),
용지트레이 8의 착탈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해제레버 12, 및
용지트레이 8을 인출시 해제레버 12를 부세하는 해제스프링 13,
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에서는, 해제레버 12와 픽업가압저지수단(경사면 12e)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장치에는 해제레버 12로 하여금 분리압 저지수단(링크 14의 키부 14d)과 연동되게 하는 연동수단(핀 12b, 장공 14a)가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해제레버 12와 픽업가압저지수단(경사면 12e)는 일체로 형성되고, 나아가 해제레버 12와 분리-가압 저지수단(링크 14의 키부 14d)가 서로 연동한다. 결과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저가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급지장치의 분리롤러부분의 사시도(분리압 해제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분리압해제기구의 부분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C-C선 단면도이다.
특히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해제레버 112는 거의 "ㄴ"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돌기부에 위치한 회전축 112a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로 되어있다. 「ㄴ」자의 해제레버 112의 아암부의 각 끝단 112e와 112f는 실시예의 아암부의 끝단 12e 및 12f에 해당하며, 타단에 수직으로 신장하여 키형태로 구부러진 캠면 112g 를 갖는다.
또한 그 하방에는 훅부 112h가 있으며, 이에 인장된 해제스프링 113에 의해 해제레버 112는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있다.
가압레버 115는 아암부를 지니지 않는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동작으로서는 분리롤러 4의 축 4a를 저하시키는 방법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해제레버 112는 용지트레이 8이 셋트된 경우는 도 11(a)의 상태로되며, 캠면 112g는 축 4a로부터 떨어져 있으나, 트레이 8이 인출된 때는 도 11(b)와 같이 축 4a 에 당접하고, 캠면 112g의 형상에 따라 축 4a를 압하한다. 이에따라 분리롤러 4는 급지롤러 3으로부터 떨어지며 분리압이 해제된다.
또한 트레이 8을 인출한 상태에서도 축 4a에 구동이 전달되는 구성의 경우, 해제레버 112의 캠면 112g는 회전하는 축상에서 할강하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할강성이 우수한 재질(예컨데 오일함유 폴리아세탈등)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급지장치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 8,
용지트레이 8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 2,
픽업롤러 2를 용지에 당접가압하는 픽업가압수단(픽업가압스프링 5b),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경사면 112e),
꺼집어낸 용지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해 급지롤러 3과 분리롤러 4로 이루어지는 분리수단,
분리롤러 4를 급지롤러 3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가압레버 115, 가압스프링 16),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캠면 112g),
용지트레이 8의 착탈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해제레버 112, 및 용지트레이 8을 인출시 해제레버 112를 부세하는 해제스프링 113,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해제레버 112와 분리압 저지수단(캠면 112g)이 일체로 구성되며, 분리압저지수단(캠면 112g)가 분리롤러 4를 구동하는 축 4a와 직접 당접되어 있고, 그 재질은 오일함유 폴리아세탈이기 때문에 가단한 구성으로 저단가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지장치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 트레이 8,
용지트레이 8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 2,
픽업롤러 2를 용지에 당접가압하는 픽업가압수단(픽업가압스프링 5b),
픽업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경사면 12e, 112e),
꺼집어낸 용지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해 급지롤러 3과 분리롤러 4로 이루어지는 분리수단,
분리롤러 4를 급지롤러 3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 수단(가압레버 15, 115, 가압스프링 16),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링크 14의 키부 14d, 캠면 112g),
용지트레이 8의 착탈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해제레버 12, 112, 및 용지트레이 8을 인출시 해제레버 12, 112를 부세하는 해제스프링 13, 113을 포함한다.
이 구조에서는 해제레버 12, 112가 픽업압 저지수단(경사면 12e, 경사면 112e)과 분리압 저지수단(캠면 112g)중 최소하나와 일체로되기 때문에,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값싼 장치의 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픽업롤러 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픽업아암 5)과,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가이드부재(가이드판 6)를 일체로 구성하고, 픽업압 저지수단(경사면 12e, 112e)는 용지가이드 부재(가이드판 6)에 당접하고, 용지가이드부재(가이드판 6)을 승강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픽업롤러 지지부재(픽업아암 5)와 용지가이드부재(가이드판 6)을 일체로 구성하고, 픽업압 저지수단(경사면 112e)는 용지가이드부재(가이드판 6)에 당접하고, 용지가이드부재(가이드판 6)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픽업압 해제를 용지반송범위 바깥위치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으며, 또한 가이드 인출시에 용지가이드부재(가이드판 6)도 떨어지게되어, 용지가 어디서 걸릴우려가 없게되며,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용지트레이의 착탈조작에 연동하여 픽업압의 해제 및 분리압의 해제를 행하고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의 소형화와 저단가화를 실현하면서, 용지트레이를 인출할 때의 용지트레이로 부터의 용지 탈락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회전부재와 저지수단중 최소한가지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성을 갖는 값싼 장치의 제조가 가능하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회전부재와 픽업압 저지수단을 일체로 하고, 또한 회전부재와 분리압 저지수단을 연동한 것으로써, 청구항 2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성을 갖는 값싼 장치의 제조가 가능하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회전부재와 분리압 저지수단을 일체로하고, 또한 분리압 저지수단은 분리롤러를 구동하는 축에 당접시키고, 그 소재를 오일함유 폴리아세탈로 한 것으로써, 간단한 구성을 갖고, 저단가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픽업롤러 지지부재와 용지가이드부재를 일체로 구성하고, 픽업압 저지수단은 용지가이드 부재에 당접하고, 용지가이드부재를 승강시킨 것으로써, 픽업압 해제를 용지반송 범위밖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트레이 인출시에 용지가이드도 떨어지는 것으로, 용지가 어디서 걸리는 것이 없게되며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기록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를 용지에 당접 가압하는 픽업 가압수단;
    상기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
    상기 용지 트레이로부터 꺼집어낸 용지를 1장씩 분리하기 위한,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가압 저지수단;
    상기 용지트레이의 착탈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
    상기 용지트레이가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가동수단(energizing means); 및
    상기 회전부재로 하여금 상기 픽업압 저지수단과 상기 분리압 저지수단중 최소일방과 연동시키게 하는 연동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급지장치.
  2.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를 용지에 당접 가압하는 픽업 가압수단;
    상기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
    상기 용지 트레이로부터 꺼집어낸 용지를 1장씩 분리하기 위한,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
    상기 용지트레이의 탈착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 및
    기록지 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하고 가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픽업압 저지수단과 분리압 저지수단중 최소하나와 일체로 되어 있는 급지장치.
  3. 화상 형성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를 용지에 당접가압하는 픽업 가압수단;
    상기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
    용지트레이로부터 꺼집어낸 용지를 1장씩 분리하기 위해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 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
    상기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
    상기 용지트레이의 착탈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용지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가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와 픽업압 저지수단은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유니트를 구성하고, 나아가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분리압 저지수단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급지장치.
  4.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용지트레이;
    그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내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를 기록지에 당접가압하는 픽업가압수단;
    상기 픽업의 가압을 저지하는 픽업압 저지수단;
    용지트레이로부터 나온 용지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해,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
    상기 분리롤러를 상기 급지롤러에 당접가압하는 분리가압수단;
    상기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분리압 저지수단;
    상기 용지트레이의 탈착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 및
    용지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가동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분리압 저지수단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분리압 저지수단은 상기 분리롤러를 구동하는 축에 당접하며, 그 재질은 오일-함유 폴리아세탈(oil-including polyacetal)인 급지장치.
  5.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가이드 부재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픽업압 저지수단은 상기 용지가이드 부재에 당접하고, 상기 용지 가이드부재는 승강하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6.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용지트레이를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단계;
    픽업롤러가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 내는 단계;
    용지와 당접되도록 픽업가압수단이 상기 픽업롤러를 가압하는 단계;
    픽업가압저지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픽업가압을 저지하는 단계;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용지트레이로 부터 꺼내어진 용지를 한 장씩 분리시키는 단계;
    분리-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롤러가 상기 급지롤러와 당접되게 상기 분리수단을 가압하는 단계;
    분리-가압 저지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롤러가 상기 급지롤러와 당접하도록 상기 분리롤러를 가압하는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단계;
    상기 용지트레이의 탈착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가동수단(energizing means)를 사용하여 상기 용지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단계; 및
    나아가 상기 회전부재로 하여금 상기 픽업가압 저지수단과 상기 분리-가압저지수단중 최소하나와 연동되게 하는 연동수단을 준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급지방법.
  7.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용지트레이를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단계;
    픽업롤러가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 내는 단계;
    용지가 당접되도록 픽업가압수단이 상기 픽업롤러를 가압하는 단계;
    픽업가압저지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픽업가압을 저지하는 단계;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용지트레이로 부터 꺼내어진 용지를 한 장씩 분리시키는 단계;
    분리-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롤러가 상기 급지롤러와 당접되게 상기 분리수단을 가압하는 단계;
    분리-가압 저지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롤러가 상기 급지롤러와 당접하도록 상기 분리롤러를 가압하는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단계;
    상기 용지트레이의 탈착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가동수단(energizing means)를 사용하여 상기 용지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단계; 및
    나아가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픽업가압 저지수단과 상기 분리-가압저지수단중 최소하나와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급지방법.
  8.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용지트레이를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단계;
    픽업롤러가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 내는 단계;
    용지가 당접되도록 픽업가압수단이 상기 픽업롤러를 가압하는 단계;
    픽업가압저지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픽업가압을 저지하는 단계;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용지트레이로 부터 꺼내어진 용지를 한 장씩 분리시키는 단계;
    분리-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롤러가 상기 급지롤러와 당접되게 상기 분리수단을 가압하는 단계;
    분리-가압 저지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롤러가 상기 급지롤러와 당접하도록 상기 분리롤러를 가압하는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단계;
    상기 용지트레이의 탈착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가동수단(energizing means)를 사용하여 상기 용지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픽업가압 저지수단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나아가 급지장치가 상기 회전부재로 하여금 상기 픽업가압저지수단과 상기 분리-가압저지수단중 최소하나와 연동되게 하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급지방법.
  9.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용지트레이를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단계;
    픽업롤러가 상기 용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집어 내는 단계;
    용지가 당접되도록 픽업가압수단이 상기 픽업롤러를 가압하는 단계;
    픽업가압저지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픽업가압을 저지하는 단계;
    급지롤러와 분리롤러로 이루어진 분리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용지트레이로 부터 꺼내어진 용지를 한 장씩 분리시키는 단계;
    분리-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롤러가 상기 급지롤러와 당접되게 상기 분리수단을 가압하는 단계;
    분리-가압 저지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롤러가 상기 급지롤러와 당접하도록 상기 분리롤러를 가압하는 분리가압을 저지하는 단계;
    상기 용지트레이의 탈착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가동수단(energizing means)를 사용하여 상기 용지트레이를 인출시 상기 회전부재를 가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분리-가압저지수단이 일체로 구성되게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리-가압저지수단이 상기 분리롤러구동 축과 당접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가압저지수단은 오일-함유 폴리아세탈 임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방법.
  10. 6 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픽업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가이드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픽업압 저지수단과 상기 용지 가이드부재를 당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지가이드부재를 승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방법.
KR1019980007156A 1997-03-04 1998-03-04 급지장치 KR100286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49117 1997-03-04
JP04911797A JP3479429B2 (ja) 1997-03-04 1997-03-04 給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900A KR19980079900A (ko) 1998-11-25
KR100286805B1 true KR100286805B1 (ko) 2001-04-16

Family

ID=1282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156A KR100286805B1 (ko) 1997-03-04 1998-03-04 급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79429B2 (ko)
KR (1) KR100286805B1 (ko)
CN (1) CN10921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3211B2 (en) * 2008-07-10 2012-02-28 Kabushiki Kaisha Toshiba Pickup roller lifting and lowering mechanism in paper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pickup roller lifting and lowering mechanism
CN102020126B (zh) * 2009-09-11 2012-12-05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夹纸释放结构的馈纸装置
JP2011173681A (ja) * 2010-02-24 2011-09-08 Brother Industries Ltd 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29266B2 (ja) 2010-04-28 2013-07-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記録機器
JP5909440B2 (ja) * 2012-12-28 2016-04-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120788B2 (ja) * 2014-02-25 2017-04-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6870492B2 (ja) * 2017-06-22 2021-05-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送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5600A1 (de) * 1985-07-18 1987-01-22 Srka Suedd Spezialdruckerei He Zufuehrvorrichtung eines hochleistungsdruckers
JPH0735227B2 (ja) * 1988-11-25 1995-04-19 三田工業株式会社 再給紙装置
US5146286A (en) * 1991-05-17 1992-09-08 Xerox Corporation Compact copy sheet input/output apparatus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JPH058907A (ja) * 1991-07-05 1993-01-19 Asahi Optical Co Ltd 記録紙手差し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126C (zh) 2002-10-09
JPH10245131A (ja) 1998-09-14
CN1192421A (zh) 1998-09-09
KR19980079900A (ko) 1998-11-25
JP3479429B2 (ja) 200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4167B1 (en) Paper feeder
KR100286805B1 (ko) 급지장치
US4418904A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2566253B2 (ja) 給紙装置
JP2547978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
US8636279B2 (en) Paper supply apparatus
JPH0220531B2 (ko)
JP2542708B2 (ja) 紙幣結束機における結束テ―プ送り装置
JP3178743B2 (ja) 給紙装置
JP2930652B2 (ja) 自動給紙装置
JPH09263336A (ja) 給紙機構
JPH1191971A (ja) 給紙装置
JP3102701B2 (ja) 給紙装置
JP3882426B2 (ja) 給紙装置
JP3554256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252041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
JPS61273444A (ja) 用紙送り出し装置
JPH0738285Y2 (ja) 給紙装置
JPH09183529A (ja) 給紙装置
JP2003182870A (ja) プリンタ
JPH11217124A (ja) 用紙供給装置
JPH01127532A (ja) シート材の給送装置
JPH0671947B2 (ja) 給紙装置
JP3822414B2 (ja) 給紙装置
JPH0692483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