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419B1 -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6419B1 KR100286419B1 KR1019980012303A KR19980012303A KR100286419B1 KR 100286419 B1 KR100286419 B1 KR 100286419B1 KR 1019980012303 A KR1019980012303 A KR 1019980012303A KR 19980012303 A KR19980012303 A KR 19980012303A KR 100286419 B1 KR100286419 B1 KR 1002864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unit
- air box
- piece
- guide piece
- rear e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8—Engine compar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에어박스내에서 전자유닛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부착 작업성이 양호한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걸림편(14c)을 가지고 하측으로부터 전자유닛(11)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14)을 배설함과 동시에, 걸림편(14c)은 전자유닛의 완전 걸림상태에서 에어박스 상측 벽부의 볼록형상부(2b)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전자유닛을 장착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전자유닛의 불완전 걸림상태에서는 L자 형상 가이드편(12)이 걸림편(14) 상부면의 비드(14j)에 걸리고, 에어박스 상측 벽부의 볼록 형상부(2b)에 전자유닛 후단부의 접촉 플랜지(11e)를 닿게 함에 따라 오(誤)삽입을 저지하여 장착할 수 없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의 에어박스내에 배설되는 전자유닛을 엔진 룸측으로부터 장착할 때의 장착성을 향상시킨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로는, 예를들면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것을 차폭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에어박스(1)가 상측 벽부를 구성하는 크로스부재(2)의 하부 패널(2a), 하측 벽부(3a) 및 차실내 측벽부(3b)를 구성하는 대시 상부 패널(3) 및 엔진 룸 측벽부(4a)를 구성하는 카울 톱 프론트(4)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상기 엔진 룸 측벽부(4a)에는 대략 박스형상의 전자유닛(5)을 삽입하는 개구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4b)의 개구 주변(4c)에는, 이 전자유닛(5)의 플랜지부(5a)를 이개구 주변(4c)에 장착하는 볼트(6, 6)가 삽입되는 볼트구멍(4d,4d)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측 벽부(3a)에는 지지브래킷(5)이 고정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이 종래예에 따른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 종래예에 따른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에서는, 상기 개구부(4b)의 엔진룸(A)측으로부터 대략 박스형상의 전자유닛(5)이 에어박스(1)의 하부 패널(2a) 및 상부면(7a) 사이에 삽입되고, 이 에어박스(1)내의 하측 벽부(3a)에 미리 고정 장착되어 배설되어 있는 지지브래킷(7)의 상부면(7a)에 후단 하부(5b)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5a)가 다수의 볼트(6) 및 너트(8)에 의해 개구 주변(4c)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그 밖에 일본국 특개평6-206503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는, 에어박스내에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를 배치하여 한정된 공간내에서 이들 고정구를 사용하므로, 전자유닛(5)을 고정하기가 곤란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는 지지브래킷(7)의 상부면(7a)에 후단 하부(5b)가 배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주행 진동으로 인해 상기 전자유닛(5)이 연직방향으로 흔들려서 상기 상부면(7a)과 접촉 이반을 반복하므로, 진동음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 상기 플랜지부(5a)는 다수의 볼트(6) 및 너트(8)에 의해 개구 주변(4c)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삽입이 불완전하여 소정 위치에 삽입하지 않아도 볼트(6) 및 너트(8)에 의해 조임고정이 가능하여 부착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부착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에어박스내에서 전자유닛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부착작업성이 양호한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차량 전후방향에 따른 위치에서의 에어박스 주변을 나타내며, 전자유닛이 불완전 걸림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전자유닛의 삽입궤적을 따라 완전 걸림상태에 이르기까지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3도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로서, 지지브래킷과 각 가이드편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삽입 도중의 상부면도.
제4도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로서, 지지브래킷과 각 가이드편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며, 전단부 하부면에 수평면부 상부면이 맞닿은 수평삽입 개시위치에 있는 모습을 설명하는 삽입 도중의 상부면도.
제5도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로서, 지지브래킷의 사시도.
제6도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로서, 제2도중 A-A선을 따른 위치의 단면도.
제7도는 종래예의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로서,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종래예의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로서, 요부의 차량전후방향을 따른 위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크로스부재 2a : 하부 패널(상측 벽부)
2b : 볼록형상부 3 : 대시 상부 패널
3a : 하측 벽부 4a : 엔진 롬 측벽부
4b : 개구부 4c : 개구 주변
10 : 에어박스 11 : 전자유닛
11b : 후단측 하부면 11d : 후단측 상부면
12 : (L자 형상)가이드편 12a : 가이드 레일부
13 : (직선형상)가이드편 13a : 가이드 레일부
14c : 걸림편 14e : 차량 전면
14f : 가이드면 14g : 전단부
14h : 걸림편 하부면 14i : 테이퍼부
14j : 비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것은, 차폭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에어박스의 엔진 룸측 측벽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대략 박스형상의 전자유닛을 상기 에어박스의 상하 벽부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에어박스내의 하측 벽부에 고정장착된 지지브래킷에 장착하는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에 가이드편을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브래킷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편 및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가이드편을 거는 걸림편을 배설하고, 또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편 하부면까지의 상하방향 높이를 삽입 완료 위치에서의 상기 에어박스내 상측벽부로부터 상기 걸림편까지의 상하방향 간격보다 크게 설정한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1 기재의 것은,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에 배설된 가이드편 및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사이에 상기 지지브래킷 상부에 배설된 걸림편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편이 걸린다.
이 때문에 전자유닛은 에어박스내에서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주행진동으로 인해 전자유닛이 진동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편 하부면까지의 상하방향 높이가 삽입 완료 위치에서의 상기 에어박스내 상측 벽부로부터 상기 걸림편까지의 상하방향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가이드편 하부면이 상기 걸림편 상부면에 걸리면, 상기 에어박스내 상측 벽부에 전자유닛의 상측 가장자리부가 맞닿아 삽입이 불완전해진다.
이 때문에, 엔진 룸쪽에서 부착불량임을 확실하게 알 수 있으므로, 오조립의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2에 기재된 것은 에어박스의 엔진 룸측 측벽에 대략 박스 형상의 전자유닛을 삽입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박스내의 하측 벽부에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에 배설된 가이드편을 걸리게 하는 걸림편을 가지고 하측으로부터 상기 전자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을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전자유닛의 완전걸림상태에서 상기 에어박스 상측 벽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유닛을 장착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유닛의 불완전걸림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편이 상기 걸림편 상부면에 걸려서 상기 에어박스 상측벽부에 상기 전자유닛을 닿게 함에 따라 오삽입을 저지하여 장착을 불가능하게 한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2 기재의 것은, 지지브래킷에 배설된 걸림편이 상기 전자유닛의 완전 걸림상태에서 상기 에어박스 상측 벽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전자유닛을 장착 가능하게 한다.
또, 전자유닛의 불완전 걸림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편을 상기 걸림편의 상부면에 걸리게 해서, 상기 전자유닛을 상기 에어박스 상측 벽부에 닿게 함에 따라, 오삽입이 저지되어 장착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전자유닛은 완전 걸림상태에서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오조합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청구항3 기재의 것은 상기 지지브래킷의 차량 전면부에는 상기 전자 유닛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배설되어 있는 각 청구항1 또는 2 기재의 전자 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3 기재의 것은 상기 지지브래킷의 차량 전면부에 배설된 가이드면이 상기 전자유닛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이 때문에 원활하게 가이드면을 따라 전자유닛이 삽입되어 장착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4에 기재된 것은 상기 가이드면에는 상기 전자유닛을 경사지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을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대략 수평상태까지 가이드하는 소정 각도의 경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편 전단부는 상기 전자유닛을 대략 수평상태로 이행시키면 상기 가이드편이 상기 걸림편 하부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청구항3 기재의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4 기재의 것은 상기 가이드면에 배설된 소정 각도의 경사가 상기 전자유닛을 경사지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상기 전자유닛 후단측 하부면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대략 수평상태까지 가이드한다.
이 때문에 엔진 룸에 스트러트 타워 하우징 등의 장해물이 있어도 상기 전자 유닛을 경사지게 하므로, 상기 장해물을 피하여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 전단부가 상기 전자유닛을 대략 수평상태로 이행시키면 상기 가이드편이 상기 걸림편 하부면에 닿는다. 이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삽입을 개시하는 위치를 알 수 있어서 오조합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청구항5에 기재된 것은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테이퍼면부를 가짐과 동시에, 피삽입상태에서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에 끼워붙이고, 상기 전자유닛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각 청구항1 내지 4기재의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5 기재의 것은 상기 걸림편에 배설된 테이퍼부가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로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이 때문에 원활하게 상기 걸림편에 형성된 비드를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장착 작업성이 더욱더 양호하다.
상기 비드가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전자유닛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주행진동으로 인해서도 상기 전자유닛이 상항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으므로 진동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 청구항6에 기재된 것은 상기 가이드편은 걸림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래킷을 차폭방향에서 끼워두고, 상기 전자유닛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적어도 1쌍의 가이드 레일부를 가지고 있는 각 청구항1 내지 5기재의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6 기재의 것은 상기 가이드편에 배설된 가이드 레일부가 걸림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래킷을 차폭방향에서 끼워두고, 상기 전자유닛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수평방향에서 소정 위치에 전자유닛을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행진동으로 인해 수평방향에 대해서도 상기 전자유닛이 진동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청구항7에 기재된 것은 상기 에어박스의 상측 벽부를 구성하는 대시 상부 패널에는 상기 지지브래킷쪽을 향해 튀어나온 볼록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1 내지 6기재의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구항7 기재의 것은 상기 대시 상부 패널에 상기 지지브래킷쪽으로 튀어나온 볼록형상부가 상기 전자유닛을 삽입할 때 상기 전자유닛의 불완전걸림상태로 되면 상기 전자유닛을 닿게 해서 오삽입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에어박스내에 별도로 오부착 저지부재 등을 배설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종래예와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차폭방향에 연장 설치된 에어박스(10)가 주로 상측 벽부를 구성하는 크로스부재(2)의 하부 패널(2a), 하측 벽부(3a) 및 차실내 측벽부(3b)를 구성하는 대시 상부 패널(3) 및 엔진 룸 측벽부(4a)를 구성하는 카울 톱 프론트(4)등에 의해 단면 대략 ㅁ자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에어박스(10)의 상측 벽부를 구성하는 하부 패널(2a)에는 지지브래킷쪽을 향해 튀어나온 볼록형상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엔진 룸 측벽부(4a)에는 대략 박스형상의 전자유닛(11)을 삽입하는 개구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4b)의 개구 주변(4c)에는 이 전자유닛(5)의 플랜지부(5a)를 이 개구 주변(4c)에 장착하는 볼트(6, 6)가 삽입되는 볼트구멍(4d,4d)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구멍(4d,4d)의 이면측에는 웰드너트(4e,4e)가 미리 배설되어 있다.
또, 이 개구부(4b)를 통해 엔진 룸(A)측으로부터 에어박스(10)의 상측 벽부인 상기 하부 패널(2a) 및 하부 벽부(3a) 사이에 삽입되는 대략 박스형상의 상기 전자유닛(11)에는 상기 개구 주변(4c)에 맞닿는 플랜지부(11a)가 전단측 주면에 대략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1a)에는 상기 볼트구멍(4d,4d)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볼트(6, 6)를 끼워서 통하게 하는 볼트 삽입구멍(11c,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자유닛(11)의 후단측 하부면(11b)에는 L자 형상 가이드편(12) 및 직선 형상 가이드편(13)이 일체가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중 L자 형상 가이드편(12)에는 상기 후단측 하부면(11b)에 고정 장착되는 기단부(12b)와, 이 기단부(12b)로부터 수평방향을 향해 굴곡 연장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후단측 하부면(11b)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수평면부(12c)와, 이 수평면부(12c)의 측부에 형성되어 차량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를 가지고 개구된 가이드 레일부(12a)가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직선형상 가이드편(13)에는 이 가이드 레일부(12a)와 대향하는 위치에 대략 직선형상의 가이드 레일부(13a)가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들 가이드편(12, 13)에 의해 걸림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래킷(14)을 차폭방향에서 끼워두고, 전자유닛(11)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적어도 1쌍의 가이드 레일부(12a, 13a)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 지지브래킷(14)을 끼워서 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자유닛(11)의 후단측 상부면(11d)에는 접촉 플랜지부(11e)가 상측 방향을 향해 대체로 전폭에 걸쳐서 튀어나와 있다.
또, 상기 하측 벽부(3a)에는 이 전자유닛(11)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브래킷(14)이 연직방향을 따라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브래킷(14) 기부(14d)의 하부로부터는 차폭 좌우방향으로 이 기부(14d)와 각각 직교하도록 굴곡된 레그부(14a, 14b)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레그부(14a, 14b)를 상기 하측 벽부(3a)상부면에 고정 장착하여 배설하고 있다.
이 지지브래킷(14)의 상부에는 상기 L자 형상 가이드편(12) 및 전자유닛(11)의 후단측 하부면(11b) 사이에 삽입되고, L자 형상 가이드편(12)을 거는 걸림편(14c)이 일체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14c)에는 상기 전자유닛(11)의 후단측 하부면(11b) 및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수평면부(12c) 사이에 대한 삽입을 가이드하는 테이퍼면부(14i)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부(14i)에는 피삽입 상태에서 상기 전자유닛(11)의 후단측 하부면(11b) 및 상기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수평면부(12c)사이에 삽입되고, 전자유닛(11)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비드(14j)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지지브래킷(14)의 차량 전면부(14e)에는 이 차량 전면부(14e)로부터 굴곡형성되어 상기 전자유닛(11)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14f)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면(14f)에는 상기 전자유닛(11)을 경사지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해 상기 전자유닛 후단측 하부면(11b)에 배설된 상기 직선형상 가이드편 (13)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대략 수평상태까지 가이드하는 소정 각도의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 전단부(14g)는 이 전자유닛(11)을 수평상태로 이행시키면 상기 L자 형상 가이드편(12) 전단부 상부면이 이 걸림편 하부면(14h)에 닿도록 차량 전방방향으로 소정량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유닛(11)의 후단측 상부면 (11d)에 형성된 접촉 플랜지부(11e)로부터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수평면부(12c) 하부면까지의 상하방향의 높이(b)가 삽입 완료 위치에서의 상기 에어박스내 하부 패널(2a) 로부터 상기 걸림편(14c) 비드(14j)까지의 상하방향의 간격(c)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걸림편(14c)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유닛의 완전 걸림상태에서 에어박스내 하부 패널(2a)에 형성된 볼록형상부(2b) 사이에 소정의 간격(a)이 형성되어 이 전자유닛(11)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 이 전자유닛의 불완전 걸림상태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수평면부(12c)가 이 걸림편(14)의 상부면에 형성된 비드(14j)에 걸려서 에어박스 상측 벽부의 볼록형상부(2b)에 전자유닛(11)의 접촉 플랜지부(11e)를 닿게 함에 따라, 오삽입을 저지하여 장착할 수 없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 1의 걸림편 후단부에는 상기 삽입되는 L자 형상 가이드편(12)을 닿게 해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부(14k)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 1의 걸림편(14c) 측단부에는 상기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기단부(12b) 삽입시에 수평방향에서 가이드함으로써, 적정한 끼워맞춤 위치까지 유도하는 가이드 측면부(14l)가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 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러트 타워 하우징(15)이 배설된 엔진 룸 (A)내에서 상기 카울 톱 프론트(4)의 엔진 룸 측벽부(4a)에 형성된 개구부(4b)를 통해 상기 전자유닛(11)을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에어박스(10)내에 삽입한다.
전자유닛(11)의 삽입에 의해 전자유닛(11)의 후단측 하부면(11b)에 형성된 직선형상 가이드편(13)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래킷(14)의 차량 전면부(14e)에 배설된 가이드면(14f)에 슬라이딩함으로써 가이드된다.
이 때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면(14f)에 형성된 소정 각도의 경사가 상기 전자유닛(11)을 경사지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해 상기 전자유닛 후단측 하부면(11b)의 직선형상 가이드편(13)을 슬라이딩함으로써, 대략 수평상태까지 가이드한다.
이 때문에, 엔진 룸(A)내에 스트러트 타워 하우징(15)등의 장해물이 있더라도 상기 전자유닛(11)을 경사지게 하므로, 이러한 장해물을 피하여 삽입할 수 있다.
또, 초기 단계에서는 엔진 룸(A) 상측방향으로부터 삽입하기 때문에 전자유닛(11)을 경사지게 하더라도 가이드면(14f)을 따라 전자유닛(11)이 확실하게 삽입되므로, 부착방향이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면(14f)에 의한 직선형상 가이드편 (13)의 가이드가 종료되면 상기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수평면부(12c) 전단부 상부면이 걸림편(14c) 전단부(14g)의 하부면(14h)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전자유닛(11)의 후단측 상부면(11d)은 상기 가이드면(14f)에 상기 직선형상 가이드편(13)을 따라 상승시키고 있는 한, 상기 대략 L자 형상 가이드편 수평면부(12c)를 걸림편(14c)보다 상측 위치로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
이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수평면부(12c)가 전단부(14g)의 걸림편 하부면(14h)에 닿음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삽입을 개시하는 위치를 알면 전자유닛(11)을 차량 후방쪽으로 대략 수평으로 삽입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삽입을 개시하는 위치를 알 수 있고, 쓸데없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일이 없으므로 오조립의 발생이 방지된다.
수평방향으로의 삽입이 개시되면, 도4중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14c)측부에 형성된 가이드 측면부(14l)가 상기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기단부(12b)로 슬라이딩하여 삽입을 수평방향에서 가이드하여, 적정한 끼워맞춤위치까지 유도한다.
이 수평방향으로의 삽입에 의해 도2 혹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유닛(11)의 후단측 하부면(11b)에 배설된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수평면부(12c)및 전자유닛(11)의 후단측 하부면(11b)사이에 상기 지지브래킷 상부에 배설된 걸림편(14c)이 삽입되어 전자유닛(11)이 걸린다.
이 때, 상기 걸림편(14c)에 배설된 테이퍼부(14i)에 의해 상기 전자유닛(11)의 후단측 하부면(11b) 및 L자 형상 가이드편(12) 사이로의 삽입이 가이드된다. 이 때문에 걸림편(14c)에 원활하게 배설된 비드(14j)를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11b) 및 L자 형상 가이드편(12) 사이에 끼워붙일 수 있으므로, 장착 작업성이 더욱더 양호하다.
상기 비드(14j)가 도2 또는 도6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자유닛(11)의 후단측 하부면(11b) 및 L자 형상 가이드편(12) 사이에 끼워지면 전자유닛 (11)의 상하방햐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주행 진동으로 인해서도 이 전자유닛(11)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아서 진동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L자 형상 가이드편(12)에 배설된 가이드레일부(12a) 및 상기 직선형상 가이드편(13)에 배설된 가이드 레일부(13b)가 걸림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래킷(14)의 기부(14d)를 차폭방향으로 좌우에서 끼워두고, 상기 전자유닛(11)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수평방향에서 소정 위치에 전자유닛(11)을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행 진동으로 인해 수평방향에 대해서도 이 전자유닛(11)은 진동할 우려가 없다.
전자유닛(11)의 삽입은 상기 스토퍼부(14k)에 상기 후단측 하부면(11b) 전단이 맞닿거나, 상기 플랜지부(11a)가 개구 주변(4c)에 맞닿아 정지된다.
정지후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 삽입구멍(11c, 11c)및 볼트구멍(4d,4d)을 통해 볼트(6,6)를 끼워서 통하게 하고, 상기 웰드너트(4e, 4e)에 이들 볼트(6, 6)를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전자유닛(11)의 에어박스(10)내 장착은 완료된다.
또,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유닛(11)의 후단측 상부면(11d)에 형성된 접촉 플랜지부(11e)로부터 상기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수평면부(12c) 하부면까지의 상하방향의 높이 거리(b)가 삽입 완료 위치에서의 상기 에어박스내 상측 벽부인 하부 패널(2a)의 볼록형상부(2b)로부터 상기 걸림편(14)의 비드(14j) 꼭지 까지의 상하방향의 간격(c)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L자 형상 가이드편(12)의 수평면부(12c) 하부면이 상기 걸림편 상부면에 형성된 비드(14j) 꼭지부에 걸리면 볼록형상부(2b)에 전자유닛(11)의 후단측 상부면에 형성된 접촉 플랜지(11e)가 맞닿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1a)와 개구 주변(4c) 사이에 간격을 발생시켜서 삽입이 불완전해진다.
이 때문에, 엔진 룸(A)측으로부터 부착불량인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어서 오조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정한 삽입이 행해지면, 지지브래킷(14)에 배설된 걸림편(14c)이 전자유닛의 완전 걸림상태에서 에어박스 상측 벽부의 하부 패널(2a) 볼록형 상부(2b)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전자유닛(11)이 장착 가능해지지만, 적정한 삽입이 행해지지 않으면 전자유닛이 불완전 걸림상태가 되어, L자 형상 가이드편 (12)의 수평면부(12c)가 걸림편(14c)의 비드(14j)에 걸리고, 전자유닛(11)을 하부 패널(2a)의 볼록형상부(2b)에 닿게 함에 따라, 오삽입이 저지되고, 플랜지부(11a)가 개구 주변(4c)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볼트(6,6)에 의한 웰드너트(4e, 4e)에의 나사결합을 행할 수 없으므로 장착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유닛(11)은 완전걸림 상태에서만 장착 할 수 있게 되므로 오조립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 실시형태 1의 지지브래킷(14)은 전자유닛(11)을 하측에서 지지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 및 끼워맞춤에 의한 걸림부재 및 오조립 방지부재를 겸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부재(2)의 하부 패널(2a)에 상기 지지브래킷(14)쪽으로 튀어나온 볼트구멍(4d,4d)이 상기 전자유닛(11)을 삽입할 때 전자유닛의 불완전 걸림상태가 되면 이 전자유닛(11)의 접촉 플랜지부(11e)를 오삽입을 저지하도록 맞닿게 한다.
이 때문에 에어박스(10)내에 별도로 오조립 저지부재 등을 배설할 필요가 없어져서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면에 의해 상술했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 1에 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더라고 이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전자유닛(11)에 배설된 플랜지부(11a)를 개구 주변(4c)에 맞닿게 하여 상기 볼트(6, 6)및 웰드너트(4e,4e)에 의해 체결하여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유닛(11)을 엔진 룸 측벽부(4a)에 형성되어 이 전자유닛(11)의 외부 길이와 같은 내부직경치수를 가진 개구부(4b)에 끼워 접촉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1에 의하면,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에 배설된 가이드편 및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사이에 상기 지지 브래킷 상부에 배설된 걸림편이 끼워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편이 걸린다.
이 때문에 전자유닛이 에어박스내에서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주행진동으로 인해 전자유닛이 진동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편 하부면까지의 상하방향 높이가 삽입 완료 위치에서의 상기 에어박스내 상측 벽부로부터 상기 걸림 편까지의 상하방향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가이드편 하부면이 상기 걸림편 상부면에 걸리면, 상기 에어박스내 상측 벽부에 전자유닛의 상부 가장자리부가 맞닿아 삽입이 불완전해진다.
이 때문에 엔진 룸측으로부터 부착불량임을 확실하게 알 수 있어서 오 조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2에 기재된 것은, 지지브래킷에 배설된 걸림편이 상기 전자유닛의 완전 걸림상태에서 상기 에어박스 상측 벽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전자유닛을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또, 전자유닛의 불완전 걸림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편을 상기 걸림편의 상부면에 걸리게 해서 상기 전자유닛을 상기 에어박스 상측 벽부에 닿게 함에 따라 오삽입이 저지되어 장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전자유닛은 완전걸림 상태에서만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오조립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청구항3 기재의 것은, 상기 지지브래킷의 차량 전면부에 배설된 가이드면이 상기 전자유닛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이 때문에, 가이드면을 따라 전자유닛이 확실하게 삽입되어 장착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4에 기재된 것은, 상기 가이드면에 배설된 소정 각도의 경사가 상기 전자유닛을 경사지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을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대략 수평상태까지 가이드한다.
이 때문에 엔진 룸에 스트러트 타워 하우징 등의 장해물이 있어도 상기 전자 유닛을 기울게 하므로 상기 장해물을 피하여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 전단부가 상기 전자유닛을 대략 수평상태로 이행시키면, 상기 가이드편이 상기 걸림편 하부면에 된다. 이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삽입을 개시하는 위치를 알 수 있어서 오조립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청구항5에 기재된 것은, 상기 걸림편에 배설된 테이퍼부가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로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이 때문에, 상기 걸림편에 배설된 비드를 원활하게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에 끼워 접착시킬 수 있으므로, 장착 작업성이 더욱 더 양호하다.
상기 비드가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에 감착되면, 상기 전자유닛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주행진동으로 인해서도 상기 전자유닛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으므로, 진동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 청구항6에 기재된 것은, 상기 가이드편에 배설된 가이드 레일부가 걸림 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래킷을 차폭방향에 끼워두고, 상기 전자유닛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수평방향에서 소정 위치에 전자유닛을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행진동으로 인해 수평방향에 대해서도 상기 전자유닛이 진동할 우려는 없다.
그리고, 청구항7에 기재된 것은, 상기 대시 상부 패널에 상기 지지브래킷쪽을 향해 튀어나온 볼록형상부가 상기 전자유닛을 삽입할 때, 상기 전자유닛이 불완전걸림상태로 되면, 상기 전자유닛을 맞닿게 해서 오삽입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에어박스내에 별도로 오부착 저지부재 등을 배설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는 실제로 유익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7)
- 차폭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에어박스의 엔진 룸쪽 측벽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박스형상의 전자유닛을 상기 에어박스의 상하 벽부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에어박스내의 하측 벽부에 고정 장착된 지지브래킷에 장착하는 전자 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에 가이드편을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브래킷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편 및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사이에 끼워넣고, 상기 가이드편을 거는 걸림편을 배설하고, 또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편 하부면까지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삽입 완료 위치에서의 상기 에어박스내 상측 벽부로부터 상기 걸림편까지의 상하방향 간격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 에어박스의 엔진 룸측 벽부에 박스 형상의 전자유닛을 삽입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박스내의 하측 벽부에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에 배설된 가이드편을 걸게 하는 걸림편을 가지고 하측으로부터 상기 전자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을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전자유닛의 완전 걸림상태에서 상기 에어박스 상측 벽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유닛을 장착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유닛의 불완전 걸림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편이 상기 걸림편 상부면에 걸려서, 상기 에어박스 상측 벽부에 상기 전자유닛을 닿게 함에 따라 오삽입을 저지하여 장착 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의 차량 전면부에는 상기 전자유닛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에는 상기 전자유닛을 경사지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을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수평상태까지 가이드하는 소정 각도의 경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편 전단부는 상기 전자유닛을 수평상태로 이행시키면, 상기 가이드편이 상기 걸림편 하부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에 대한 삽입을 가이드하는 테이퍼면부를 가짐과 동시에, 피삽입상태에서 상기 전자유닛의 후단측 하부면 및 상기 가이드편 사이에 끼워붙이고, 상기 전자유닛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은 걸림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래킷을 차폭방향에서 끼워두고, 상기 전자유닛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박스의 상측 벽부를 구성하는 대시 상부 패널에는 상기 지지브래킷으로 튀어 나온 볼록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7-088359 | 1997-04-07 | ||
JP08835997A JP3362631B2 (ja) | 1997-04-07 | 1997-04-07 | 電子ユニットのエアボックス内取付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81163A KR19980081163A (ko) | 1998-11-25 |
KR100286419B1 true KR100286419B1 (ko) | 2001-04-16 |
Family
ID=1394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2303A KR100286419B1 (ko) | 1997-04-07 | 1998-04-07 |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362631B2 (ko) |
KR (1) | KR10028641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81201A1 (ko) * | 2012-11-20 | 2014-05-30 | 대동공업 주식회사 |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94887B2 (ja) * | 2010-10-26 | 2014-09-24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車両の車体前部構造 |
JP6015496B2 (ja) * | 2013-03-01 | 2016-10-26 | スズキ株式会社 | 車両用電装部品の取付構造 |
-
1997
- 1997-04-07 JP JP08835997A patent/JP336263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04-07 KR KR1019980012303A patent/KR1002864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81201A1 (ko) * | 2012-11-20 | 2014-05-30 | 대동공업 주식회사 |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81163A (ko) | 1998-11-25 |
JPH10278692A (ja) | 1998-10-20 |
JP3362631B2 (ja) | 2003-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65645B2 (en) | Fixing device for an automobile muffler | |
US7272873B2 (en) | Sill plate retainer | |
JPH1148896A (ja) |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 |
KR100286419B1 (ko) | 전자유닛의 에어박스내 장착구조 | |
US5753859A (en) | Fitt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on box | |
KR20180105280A (ko) | 자동차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 |
JP3173125B2 (ja) | 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 |
JPH10203328A (ja) |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レバーの取付構造 | |
JP3433913B2 (ja) |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 |
JP2001180522A (ja) |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 |
JP3173241B2 (ja) | トランクトリムの取付構造 | |
JP2006160086A (ja) | 車両用熱交換器の取付構造 | |
KR200165117Y1 (ko) | 차량용 경음기 고정브라켓트 | |
JPH11240391A (ja) | サイドパネルの取付構造 | |
KR200158169Y1 (ko) | 윈드 실드 글래스 장착 구조 | |
JP2005067539A (ja) | バンパ取付構造 | |
JP2007186043A (ja) | 車両のルーフラック取付構造 | |
JP2603616Y2 (ja) | 自動車のドアパネル上部構造 | |
JP4591414B2 (ja) | 車両用灯具 | |
JP3275603B2 (ja) | フロントグリルの取付構造 | |
JP2526838Y2 (ja) | エンジン支持構造 | |
JP3381380B2 (ja) | 車両のプルハンドルケース取付構造 | |
KR960009999Y1 (ko) | 자동차 뒷범퍼와 사이드 패널의 취부구조 | |
JPH0522419Y2 (ko) | ||
JPH068083U (ja) | 自動車用ランプ取付け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