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070B1 - 디스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070B1
KR100286070B1 KR1019930015740A KR930015740A KR100286070B1 KR 100286070 B1 KR100286070 B1 KR 100286070B1 KR 1019930015740 A KR1019930015740 A KR 1019930015740A KR 930015740 A KR930015740 A KR 930015740A KR 100286070 B1 KR100286070 B1 KR 100286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ckup
carrier
pickup carrie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554A (ko
Inventor
오히시세이치로
세키타카시
시오미데쯔히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17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85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774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84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07440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4652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439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4226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0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94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to access both sides of the disc with the same head assembly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목적] 픽업이 설치된 픽업캐리어를 반전시키고, 디스크의 상, 하면의 기록재생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반전시에서의 픽업캐리어와 디스크접촉(간섭)을 방지한다.
[구성] 픽업(4)이 설치된 픽업캐리어(5)을 픽업캐리어 안내 부재(6)를 통하여 픽업캐리어 지지부재(7)의 부착 기준면(7a)에 부착된 디스크 플레이어(1)에서,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를, 디스크(3)의 상, 하면을 따라서 픽업캐리어(5)을 이동시키는 제 1, 제 2 가이드부(31),(32)와, 이들 제 1, 제 2 가이드부 (31),(32)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서 픽업캐리어(5)의 수수를 행하는 제 3 가이드부(33)로 구성한다. 상기 제 1, 2 가이드부(31),(32)는 일단측으로부터 타탄측의 제 3 가이드부(33)측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서서히 바깥쪽으로 향해서 경사지는 외향확장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
제1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요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요부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요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요부 사시도.
제5도는 픽업캐리어의 1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픽업캐리어의 1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픽업캐리어의 1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8도는 픽업캐리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9도는 픽업캐리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픽업캐리어 안내 부재의 정면도.
제12도는 틸트용 핀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3도는 픽업캐리어의 픽업캐리어 안내 부재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14도는 회전 캠의 정면도.
제15도는 회전 캠의 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 제어 회로의 블럭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된 구동제어 회로의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와 픽업캐리어의 안내부재의 틸트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제18도는 제16도에 도시하는 구동 제어 회로의 동작 설명도.
제19도는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의 사시도.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 제어 회로의 블럭도.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하는 구동 제어 회로의 동작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플레어 2 : 턴테이블
3 : 디스크 4 : 픽업
5 : 픽업캐리어 5a : 피부착 기준면
6 : 픽업캐리어 안내 부재 7 : 픽업캐리어 지지부재
7a : 픽업캐리어 부착 기준면 31 : 제 1 가이드부
32 : 제 2 가이드부 33 : 제 3 가이드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픽업이 설치된 픽업캐리어를 픽업캐리어 지지부재로 지지시키고, 상기 픽업캐리어를 디스크의 기록면을 따라서 주행시키므로서, 기록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광학식의 디스크 플레이어로서 제 1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과 상면의 양면에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101)의 정보를 재생하는 픽업(102)과, 그 픽업(102)을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부재(103)와, 그 픽업 이동부재(103)에 의한 상기 디스크(101)의 하면의 지름 방향의 이동안내를 행하는 직선형상의 제 1 안내부재(104), 상기 픽업(102)의 상기 디스크(101)의 상면의 지름 방향의 이동안냐를 행하는 직선형상의 제 2 안내부재(105), 상기 양 안내부재(104),(105)를 연결하는 U 자 형상의 연결부재(106)로 이루어지는 좌우 1 쌍의 픽업 안내부재(107),(10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디스크 플레이어가 공지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62-28476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픽업 안내부재(107),(108)의 제 1, 제 2 안내부재(104),(105)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턴테이블상의 디스크(101)의 외주부는 디스크 자중에 의한 처짐으로 아래쪽으로 약 2° 까지 경사지며, 이 때문에, 디스크(101)의 하면측의 기록재생을 종료한 후, 픽업 (102)을 U 자 형상의 연결부재(106)측으로 보내고, 제 1 안내부재(104)측으로부터 제 2 안내부재(105)측으로 반전시킬때, 그 픽업(102)이 디스크(101)의 외주부와 접촉하기 쉽게 된다.
(2) 상기 픽업(102)과 디스크(101)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선, 이것들이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제 2 안내부재(104),(105)의 디스크(101)의 상하면의 사이의 간격을 미리 충분히하면 바람직 하지만, 이같이 하면, 디스크 플레이어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픽업 안내부재(107),(108)를 소위 틸트업 또는 틸트다운시키므로서, 픽업(102)을 제 1 안내부재(104)로부터 제 2 안내부재(105)측으로, 또는 제 2 안내부재(105)로부터 제 1 안내부재(104)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 소위 틸트식 디스크 플레이어도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제 20 도는 상기 틸트식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픽업 안내부재(107),(108)를 틸트업 또는 틸트다운시키기 위한 구동제어 회로(111)를 도시한다.
상기 구동 제어 회로(111)는 틸트모터(112), 틸트모터 구동회로(113), 트랜스퍼모터(114) 트랜스퍼모터 구동회로(115), CPU(마이컴)(116), 틸트업 검출 스위치(117), 틸트다운 검출 스위치(118), 트랜스퍼 A 면 검출 스위치(119), 트랜스퍼 A 면 최내주 검출 스위치(120), 트랜스퍼 B 면 검출 스위치(121), 트랜스퍼 B 면 최내주 검출 스위치(122), 및 트랜스퍼 위주 검출 스위치(12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1 도의 동작 설명도에 도시하였듯이, A 면 플레이가 종료되면, 틸트모터(112)가 작동하고 픽업 안내부재 (107),(108)를 틸트다운 시킨다.
틸트 다운이 종료되고, 이것을 틸트다운 검출 스위치(118)가 검출하면, 트랜스퍼모터(114)가 작동하고 픽업(102)을 A 면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이동시킨다. 픽업(102)이 최외주 위치에 오고, 이것을 트랜스퍼 외주 검출 스위치(123)가 검출하면, 틸트모터(112)가 작동하고 픽업 안내부재(107),(108)를 틸트업시킨다.
틸트업이 종료되고, 이것을 틸트업 검출 스위치(117)가 검출하면, 트랜스퍼 모터(114)가 작동하고 픽업(102)을 최외주 위치로부터 B 면측으로 이동시킨다.
픽업(102)이 B 면측으로 이동해오고, 이것을 트랜스퍼 B 면 검출 스위치(121)가 검출하면, 트랜스퍼모터(114)에 의해 픽업(102)은 외주측으로부터 B 면의 내주측으로 이동한다.
픽업(102)이 B 면의 최내주 위치까지 이동하고, 이것을 트랜스퍼 B 면 최내주 검출 스위치(122)가 검출해서, 픽업(102)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픽업 안내부재(107),(108)를 틸트다운시킨다. 그리고, B 면 플레이가 행해진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런데, 상기 종래의 틸트식의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다음과 같읕 문제가 있었다.
(1) 틸트업, 틸트다운 검출 스위치(117),(118) 트랜스퍼 A 면 검출 스위치(119), 트랜스퍼 A 면 최내주 검출 스위치(120), 트랜스퍼 B 면 검출 스위치(121), 트랜스퍼 B 면 최내주 검출 스위치(122), 트랜스퍼 외주검출 스위치(121), 트랜스퍼 B 면 최내주 검출 스위치(122), 트랜스퍼 외주검출 스위치(123)등 다수의 위치 검출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 때문에 구동 제어 장치(111)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 사용부품수가 많아지므로 제품비용도 높아진다.
(2) A 면 플레이로부터 B 면 플레이로의 이행, 또는 B 면 플레이에서 A 면 플레이로의 이행에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위치 검출 스위치의 사용수를 줄이고, 또한 A 면 플레이, B 면 플레이 상호간의 이행을 보다 단시간에 행할 수 있게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원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을 설치한 픽업캐리어과, 그 픽업캐리어를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픽업캐리어 안내 부재와, 그 픽업캐리어 안내부재를 부착 기준면에 부착하고 있는 픽업캐리어 지지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를 디스크의 하면을 따라서 픽업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디스크의 상면을 따라서 픽업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제 2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의 일단부들을 연결하고 있으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 사이에서 픽업의 송출을 행하는 제 3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를 일단 측으로부터 타단측의 제 3 가이드부 측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서서히 바깥쪽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외향확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원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는 또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를 제 1 가이드와 제 2 가이드부가 각각 디스크의 상,하면으로부터 등간격으로 떨어져 이는 중립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했다.
[작용]
픽업캐리어 안내부재의 경사, 특히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는 턴테이블상에 얹혀있는 디스크의 경사를 보상하고 디스크의 하면과 제 1 가이드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픽업캐리어 안내부재를 중립위치에 유지하므로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의 제 1, 제 2 가이드부와 턴테이블상에 얹혀 있는 디스크의 상, 하면의 간격은 픽업캐리어의 디스크에 접촉하지 않고 반전할 수 있는 간격으로 유지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제 1 도~제 18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도~제 4 도에서 (1)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1)는 턴테이블(2)상에 얹혀있는 디스크(3)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는 픽업(4)이 설치된 픽업캐리어(5)과, 그 픽업캐리어(5)을 상기 디스크(3)의 A 면, B 면 (하면, 상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와, 그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를 픽업캐리어 부착 기준면(이하, 간단히 부착기준면이라 한다)(7a)에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픽업캐리어(5)의 피부착 기준면(5a)을 상기 부착기준면(7a)에 접촉시키므로서 픽업캐리어(5)의 경사를 방지한 상태에서 그 픽업캐리어(5)을 외팔 지지하고 있는 픽업캐리어 지지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픽업캐리어(5)은 제 5 도에 도시되었듯이, 픽업(4) 및 틸트센서(11)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부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1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일측부에 부착된 사이드 플레이트(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4)의 외측면의 상,하단에는 돌기(15),(16)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돌기(15),(16)의 선단면의 상기 피부착 기준면(5a)으로 된다.
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4)는 피니언 결합 구멍(17)을 가지고 있다.
상기 돌기(15)의 하부에는 상기 피니언 결합 구멍(17)의 중앙부로 향한 피니언 부착축(18)이 설치되어 있고, 이 피니언 부착축(18)에 피니언(19)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19)은 상기 피니언 결합 구멍(17)을 통하여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4)의 외측면측에 돌출되어 있고,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랙(34)과 결합된다.
상기 피니언(19)은 회전전달 기어열(20)을 통하여 이송 모터(21)로 회전되게 되어있다.
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4)의 외측면에는 제 6 도~ 제 7 도에 도시하듯이, 픽업캐리어(5)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제 1~제 3 의 3 개의 가이드 롤러(22),(23),(24)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제 3 가이드 롤러(22)~(24)들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가이드 롤러 삽입홈 (35)에 끼워맞춤된다.
상기 3 개의 가이드 롤러(22),(23),(24)들중 중앙부의 제 2 가이드 롤러(23)와, 그 양측부의 제 1, 제 3 가이드 롤러(22),(24)들은 수직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
상기 제 1~제 3 가이드 롤러(22)~(24)들은 폭(W1)을 이루도록 픽업캐리어(5)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돌기(15),(16)들의 선단의 피부착 기준면(5a)에는 제 1 주행용 롤러(25)...(25)가 부착되고 있음과 동시에, 한쪽의 돌기(16)의 중앙부에는 제 2 주행용의 롤러(2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픽업캐리어(5)의 다른 실시예가 제 8 도~제 9 도에 도시되었으며, 픽업캐리어(5)에 설치된 제 1, 제 2, 제 3 의 3 개의 가이드 롤러(22),(23),(24)들중 중앙부의 즉, 제 2 가이드 롤러(23)를 롤러 지지 아암(91)으로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의 폭방향으로 이동(변위)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롤러 지지 아암(91)에 아암 회전력 부여용 스프링(92)으로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의 일측면으로의 압착력을 부여하므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 지지 아암(91)의 타단측은 선회지지축(83)에 의하여 픽업캐리어(5)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23)는 롤러 지지 아암(91)의 일단측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지지 축(93)을 중심으로 해서 롤러 지지 아암(91)을 회동시키므로서,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23)를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의 폭방향으로 이동(변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롤러 지지 아암(91)의 일단측의 하면에는 회동 범위 제어용 돌기(9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기(94)는 픽업캐리어(5)에 설치된 돌기 삽입홈(95)에 삽입되어서, 제 2 가이드 롤러(23)의 회동범위가 규제되게 되어있다.
상기 아암 회동력 부여용 스프링(92)에는 토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스프링(92) 중앙의 코일부(92a)는 상기 선회 지지 축(93)의 외주에 끼워맞춤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92)의 일단부(92b)는 픽업캐리어(5)에 설치된 스프링 걸림부(96)에 걸리게 되고, 타단부(92c)는 롤러 지지 아암(91)에 설치된 스프링 걸림부(97)에 걸리게 되며, 롤러 지지 아암(91)으로 제 8 도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력을 부여한다.
상기 스프링(92)에 의해서 회동력이 부여된 롤러 지지 아암(91)은 상기 회동범위 제어용 돌기(94)가 돌기 삽입홈(95)의 일단면에 맞닿을때까지 회동한다.
상기 돌기(94)가 돌기 삽입홈(95)의 일단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롤러 지지 아암(91)에 부착된 제 2 가이드 롤러(23)와, 픽업캐리어(5)의 사이드 플레이드(14)에 고착된 제 1, 제 3 가이드 롤러(22),(24)가 이루는 부착폭(W1)은 상기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의 제 2 홈부(37)의 폭(W2)보다 넓어지게 된다.
다음에 상기 픽업캐리어(5)을 디스크(3)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3)의 A 면(하면)을 따라서 픽업캐리어(5)을 이동시키는 제 1 가이드부(31)와, 상기 디스크(3)의 B 면(상면)을 따라서 픽업캐리어(5)을 이동시키는 제 2 가이드부(32)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31),(32)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 1, 제 2 가이드부(31),(32)들사이에서, 픽업캐리어(5)의 수수를 행하는 제 3 가이드부(33)에 의해서 대략 U 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31),(32)는 일단측(자유단축) 으로부터 타단측의 제 3 가이드부(33)측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서서히 바깥쪽을 향해서 경사지는 외향확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가이드부(31),(32)의 확장 각도는 디스크(3)의 외주부에 자중에 의한 휘임등으로 발생하는 경사각도 (최대 2° 정도)에 맞추어 약 2°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회전 캠(66)으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를 중립 위치로 지지하면, 제 1, 제 2 가이드부(31),(32)가 상기 디스크(3)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각각 2°의 경사각도로 경사지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가이드부(31)는 상기 디스크(3)와 평행상태를 유지하여, 그 디스크(3)에 픽업캐리어(5)을 접속시키지 않고, 픽업캐리어(5)을 제 2 가이드부(32)측에 반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내주면에는 상기 픽업캐리어(5)에 설치된 피니언(19)과 맞물리는 랙(34)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일측면에는 상기 픽업캐리어(5)에 설치된 3 개의 가이드 롤러(22),(23),(24)들이 끼워맞춤되는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은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홈부(36),(37)와 제 3 가이드부(33)에 설치된 원호형상의 제 3 홈부(38)로 되어있다.
상기 직선형상의 제 1, 제 2 홈부(36),(37)의 폭(W2)은 상기 제 1~제 3 의 가이드 롤러(22)~(24)의 부착폭(W1)과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3 의 가이드 롤러(22)~(24)를 상기 제 1, 제 2 홈부(36),(37)에 삽입하면, 상기 제 1, 제 3 의 가이드 롤러(22),(24)들은 상기 제 1, 제 2 홈부(36),(37)의 일측변에 맞닿으며, 제 2 가이드 롤러(23)는 상기 제 1, 제 2 홈부(36),(37)의 타측면에 맞닿아서 요동없이 원활히 픽업캐리어(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원호형상의 제 3 홈부(38)의 폭(W3)은 상기 제 1~제 3 가이드 롤러(22)~(24)들의 부착폭(W1) 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홈부(38)를 픽업캐리어(5)가 이동할때, 상술한 제 1, 제 2 홈부(36),(37)를 이동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제 3 가이드 롤러(22),(24)는 제 3 홈부(38)의 일측면에 맞닿고, 제 2 가이드 롤러(23)는 제 3 홈부(38)의 타단면에 맞닿으며, 요동없이 원활하게 픽업캐리어(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제 3 가이드 롤러(22),(24)와 제 2 가이드 롤러(23)를 편심시킨 것은,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제 1, 제 3 홈부(36),(37)보다 폭이 넓은 제 3 홈부(38)를 제 1~제 3 의 가이드 롤러(22)~(24)가 이동할때, 제 1, 제 3 가이드 롤러(22),(24)와 제 2 가이드 롤러(23)를 각각 제 3 홈부(38)의 일측면과 타단면에 맞닿게 해서, 제 3 홈부(38)에서도 요동없이 원활하게 픽업캐리어를 이동시키기 때문이다.
또,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타측면(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이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를 픽업캐리어 지지 부재(7)의 부착기준면(7a)에 부착하기 위한 제 1~제 7 틸트용 핀(40)~(4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제 3 핀(40)-(42)은 제 1 가이드부(31)에, 제 4, 제 5 핀(43),(44)은 제 2 가이드부(32)에, 제 6, 제 7 핀(45),(46)은 제 3 가이드부(33)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제 6 의 핀(40)~(45)의 선단부는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경방향의 슬릿(47)에 의해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슬릿(47)을 이용하므로서 제 1~제 6 핀(40)~(45)은 지름이 축소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제 6 핀(40)~(45)의 선단부의 외주에는 코일 스프링 누름부재 잠금용 걸림편(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7 핀(40)~(46)들을 픽업캐리어 지지 부재(7)의 픽업캐리어 부착기준면(7a)에 설치된 제 1~제 7 핀 결합구멍(50)-(56)에 삽입한 후, 상기 제 1~제 6 핀(40)-(45)의 선단에 와셔(57), 코일 스프링(58), 원통형상의 스프링 누름부재(59)의 순으로 삽입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58)을 스프링 누름부재(59)로 압축한 상태에서, 그 스프링 누름부재(59)의 선단의 피걸림부(60)를 상기 제 1~제 6 핀(40)-(45)의 선단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 누름부재 잠금용 걸림편(48)에 걸리게하므로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가 픽업캐리어 지지 부재(7)의 픽업캐리어 부착기준면(7a)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픽업캐리어(5)의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로의 조립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6 도~제 7 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일단면, 상세하게는 제 2 홈부(37)의 일단면측으로 부터 상기 제 1~제 3 가이드 롤러(22)~(24)를 가이드 롤러 삽입홈(35)내에 삽입한다. 상기 돌기(15)에 설치된 제 1, 제 2 주행용 롤러(25),(26)를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배면과 픽업캐리어 지지부재(7)의 픽업캐리어 부착기준면(7a)사이에 설치된 틈새(39)로 삽입한다.
상기 제 1~제 3 가이드 롤러(22)~(24)를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에 삽입하고 제 1, 제 2 주행용 롤러(25).(26)를 상기 틈새(39)에 삽입하면,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한쪽의 돌기(16)에 설치된 제 2 주행용 롤러(26)와 상기 가이드 롤러(22)-(24)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일부가 좁혀진다.
상기 돌기(15),(16)에 설치된 제 1 주행용 롤러(25)..(25)들은 픽업캐리어 지지부재(7)의 픽업캐리어 부착 기준면(7a)에 접촉하며, 한쪽의 돌기(16)에 설치된 제 2 주행용 롤러(26)는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에 설치된 제 2 주행용 롤러 접촉면(27)에 접촉된다. 또, 피니언(19)은 랙(34)에 맞물린다.
또, 제 8~제 9 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픽업캐리어(5)의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에 조립하는 경우도,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픽업캐리어(5)에 설치된 제 1, 제 2, 제 3 가이드 롤러(22),(23),(24)들은 상기 제 2 홈부(37)의 단부로 부터 가이드 롤러 삽입홈(35)내에 삽입하므로서 행해진다.
상기 조립시에, 제 1 가이드 롤러(22)가 우선 가이드 롤러 삽입홈(35)내에 삽입된다.
제 1 가이드 롤러(22)가 가이드 롤러 삽입홈(35)내에 삽입되면, 이어서 제 2 가이드 롤러(23)가 삽입된다.
제 2 가이드 롤러(23)는 상기 제 2 홈부(37)의 단부에서 눌려지며, 상기 롤러 지지 아암(91)이 스프링(92)의 스프링력을 거술러서 회동하므로서, 제 2 홈부 가이드 롤러 삽입홈(35)내에 삽입된다.
제 2 가이드 롤러(23)가 가이드 롤러 삽입홈(35)내에 삽입되면, 제 3 가이드 롤러(24)도 이어서 가이드 롤러 삽입홈(35)내에 삽입되어, 픽업캐리어(5)은 광학 안내부재(6)에 조립된 상태로 된다.
상기 제 1, 제 2, 제 3 가이드 롤러(22),(23),(24)들이 가이드 롤러 삽입홈(35)내로 삽입되면, 상기 스프링(92)의 스프링력으로 제 2 가이드 롤러(23)는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의 일측면에 눌려지게 되며, 제 1, 제 3 가이드 롤러(22),(24)들은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의 타측면에 눌려지게 된다.
이와같이 해서, 제 2 가이드 롤러(23)와, 제 1, 제 2 가이드 롤러(22),(24)들은 각각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눌려진 상태로, 가이드 롤러 삽입홈(35)의 전역, 즉 제 1~제 3 홈부(36)~(38)에 걸쳐서 픽업캐리어(5)의 주행을 안내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해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에 조립된 픽업캐리어(5)은 상기 제 1~제 6 핀(40)~(45)에 부착된 코일 스프링(58)의 스프링력(신장력)으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를 통하여 픽업캐리어 지지부재(7)의 부착기준면(7a)측으로 견인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 기준면(7a)에 상기 픽업캐리어(5)의 피부착 기준면(5a)이 압착되어, 픽업캐리어(5)이 픽업캐리어 지지부재(7)에 외팔지지되는 것이다.
다음에 픽업캐리어 지지부재(7)에 대해서 설명한다.
픽업캐리어 지지부재(7)는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와 마찬가지로 약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 설치된 픽업캐리어 부착기준면(7a)이 수직으로 되도록 나사(61)..(61)등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샤시)(62)상에 직립으로 설치된다.
상기 픽업캐리어 부착기준면(7a)의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에 설치된 제 1~제 6 핀(40)-(4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제 7 핀 결합구멍(50)~(56)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제 7 핀 결합구멍(50)~(56)들은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2)상에 얹혀진 디스크(3)의 기록면의 중앙부를 가상 중심으로 하여 수직면상에 형성된 원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픽업캐리어 부착기준면(7a)의 배면측에서 상기 제 7 핀 결합구멍(5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를 틸트시키기 위한 회전 캠(6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캠(66)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웜휘일(67) 및 웜(68)을 통하여 틸트모터(69)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회전 캠(66)의 일측면에는 핀 삽입용 캠 홈(7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 홈(71)내에 상기 제 7 핀(46)의 선단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캠 홈(71)은 상기 회전축(65)을 중심으로 하는 약 360°의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 홈(71)은 그 중앙부(양단부에서 약 180°의 위치)에 상기 제 7 핀(46)의 선단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를 중립위치(제 1 가이드부(31)와 제 2 가이드부(32)가 디스크(3)에 대해서 동등한 거리만큼 떨어진 뉴트럴 위치)에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가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회전캠(66)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는 상승하고, 제 1 가이드부(31)가 디스크(3)에 접근하여, 제 2 가이드부(32)는 디스크(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상기 중립 상태로부터 회전 캠(66)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는 하강하고, 제 1 가이드부(31)는 디스크(3)로부터 떨어지고, 제 2 가이드부(32)는 디스크 (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 캠(66)의 외주면에는 제 14 도~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방향에 병렬로 틸트 위치 검출용 제 1, 제 2 의 2 개의 캠 돌기(72),(7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캠 돌기(72),(73)로 상기 회전 캠(66)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제 2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74),(75)를 온,오프하고,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틸트상태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캠 돌기(72)는 회전 캠(66)의 외주면에 약 180° 즉 대략 원주의 반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캠 돌기(73)는 상기 제 1 캠 돌기(72)의 일단으로 제 1 캠 돌기(72)와 일부가 겹쳐지도록 약 40° 전후의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7 핀(46)의 선단이 캠 홈(71)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가 중립위치에 있을때는, 상기 제 1 캠 돌기(72)의 일단측이 상기 제 1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74)의 위치에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캠(6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캠 돌기(72)와 제 1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74)의 걸어맞춤이 어긋나고, 제 1 틸트위치 검출 스위치(74)는 오프상태로 유지되면서 픽업캐리어 안내 부재(6)의 위쪽으로의 틸트가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 캠(66)이 약 160° 회전하면, 상기 제 2 캠 돌기(73)로 제 2 틸트위치 검출 스위치(75)가 온 되어서 틸트 상한이 검출된다.
또,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회전캠(6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캠 돌기(72)로 제 1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74)가 온되고, 제 1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74)는 온 상태로 유지되면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아래쪽으로의 틸트가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 캠(66)이 약 160° 회전하면, 상기 제 2 캠 돌기(73)로 제 2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75)도 온 되어서 틸트 하한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픽업캐리어(5)을 반전시킬 때는, 상기 회전 캠(66)에 의해서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가 자동적으로 중립위치로 되돌려지게 되어 있다.
상술한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74), (75)와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의 관계가 제 17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16 도는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 제어회로 (81)를 도시한다.
상기 구동 제어 회로(81)는 상기 틸트모터(69)와, 틸트모터 구동회로(82)와, 트랜스퍼 모터(83)와, 트랜스퍼 모터 구동회로(84)와, CPU(85)와, 상기 제 1, 제 2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74),(75)와, 트랜스퍼 A 면 최내주 검출 스위치(86)와, 제 2 의 트랜스퍼 B 면 최내주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8 도의 동작설명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캐리어 안내 부재(6)의 제 1 가이드부(31)가 디스크(3)에 대해서 평행이 되도록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를 틸트업 시킨 상태로 픽업(4)을 A 면 최내주 위치에서 외주측으로 향해서 이동시키므로서 A 면 플레이를 행한다(모드 1).
A 면 플레이 종료후는 픽업캐리어안내부재(6)가 중립위치에 되돌려진다(모드 2).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가 중립위치에 되돌려지면, 상기 픽업(4)은 A 면 측에서 B 면측으로 이동한다(모드 3).
그리고, 상기 픽업(4)이 B 면 최내주 위치에 도달하면, (모드 4),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는 틸트 다운되며, 제 2 가이드부 (32)가 디스크(3)에 대해서 평행으로 되며, 디스크(3)의 B 면 플레이가 행해진다(모드 5).
실시예의 구동 제어회로(81)는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이며, 제 20 도에 도시한 종래의 구동제어회로(111)의 필수구성 요소였던 트랜스퍼 A 면 검출 스위치, 트랜스퍼 B 면 검출 스위치, 트랜스퍼 외주 검출 스위치가 불필요해지며, 그만큼 구동제어회로 (8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검출에 따르는 처리가 간략화 되기 때문에, A 면 플레이에서 B 면 플레이로의 이행, 또는 B 면 플레이에서 A 면 플레이로의 이행을 단시간에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중에 틸트 센서(11)에 의해서 디스크(3)의 경사가 검출되면, 틸트용 모터(69)에 의해서 회전 캠(66)이 회전하고, 상기 디스크(3)의 경사에 따라서 상기 픽업캐리어 안내부재(6)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향해서 경사시키고 픽업(5)의 대물렌즈의 광축과 디스크(3)의 광반사면을 수직으로하고, 레이저 광을 디스크(3)에 대해서 직각으로 하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 1, 제 2 가이드부를 외향확장 형상으로 경사시키고, 픽업캐리어가 디스크의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디스크와 픽업캐리어사이의 틈이 넓어지게 했으므로, 디스크의 외주부가 자중에 의한 왜곡 등으로 경사지는 경우에도, 상기 경사를 흡수하고 디스크와 픽업캐리어를 접촉(간섭)시키지 않고, 픽업캐리어를 원활하게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2) 픽업캐리어 안내부재를 중립위치로 함으로서, 디스크가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에, 디스크와 픽업캐리어의 접촉을 방지하고, 픽업캐리어를 확실하게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3) 트랜스퍼 A 면 검출스위치, 트랜스퍼 B 면 검출 스위치, 트랜스퍼 외주검출 스위치 등을 불필요로 하고 구동제어회로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A 면 플레이에서 B 면 플레이 또는 B 면 플레이에서 A 면 플레이으로의 이행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9)

  1.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광학픽업을 포함하는 픽업캐리어와, 부착 기준면을 포함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픽업캐리어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기준면에 평행한 평면내의 소정경로를 따라 픽업캐리어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픽업캐리어를 상기 디스크 아래로 이동하는데 조력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픽업캐리어를 상기 디스크 위로 이동하는데 조력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픽업캐리어가 상기 제1 가이드부에서 제2 가이드부로, 그리고 제2 가이드부에서 제1 가이드부로 이동하는데 조력하는 제3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가 상기 제3 가이드부를 향해 서로 이격되어 서서히 넓어지도록 서로에 대해 경사지며, 상기 픽업캐리어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부착 기준면에 직면하는 후방단부와 상기 픽업캐리어의 후방단부보다 상기 부착 기준면으로부터 더욱 이격된 전방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캐리어는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상기 픽업캐리어의 상기 후방단부에서만 지지되며, 상기 픽업캐리어는 상기 부착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후방단부로부터 돌출되며, 그리고 상기 픽업캐리어의 상기 전방단부에서 자유롭게 매달리며;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는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부착 기준면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의 상기 외측 단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부착 기준면에 수직인 가상 선회축선에 대해 상기 안내부재를 회동하기위한 틸팅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부착 기준면을 향해서 상기 안내부재를 당기기 위해,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를 통해 상기 부착 기준면을 향해서 상기 픽업캐리어를 더욱 당기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지지부재 및 안내부재의 한쪽에 고정된 슬라이더핀과, 상기 지지부재 및 안내부재의 다른쪽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핀이 상기 플롯내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선회축선에 대해 회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신장되는 신장 슬롯을 추가로 구비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가이드롤러 삽입홈 및 랙을 한정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캐리어는 상기 안내부재의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과, 중앙부 가이드롤러와 상기 중앙부 가이드롤러의 양측상에 위치된 2개의 외측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가이드롤러의 축선은 서로에 평행하며, 상기 중앙부 가이드롤러의 축선은 상기 외측 가이드롤러의 축선을 함유하는 면에 평행하며 상기 면에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외측 가이드롤러가 상기 가이드롤러 삽입홈의 2개의 대향 측벽의 하나에 구르도록 그리고 상기 중앙부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롤러 삽입홈의 상기 다른 대향 측벽상에 구르도록 상기 가이드롤러 삽입홈내에 수용되는 디스크 플레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캐리어는 및 상기 중앙부 가이드롤러의 축선과 상기 외측 가이드 롤러의 축선을 함유하는 면 간의 오프셋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가이드 롤러를 지지하기위한 롤러지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캐리어는 부착 후방단부면과 상기 지지부재의 부착 기준면상에 구르고 상기 부착 기준면에 평행으로 상기 픽업캐리어의 후방단부면을 유지하는 평행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축선은 상기 지지부재의 부착 기준면에 수직이며, 상기 평행 롤러의 축선은 상기 부착 기준면에 평행한 디스크 플레이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상에 고정된 회전 캠과 상기 안내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의 외측 단부를 상승 및 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틸트 캠 종동자를 구비하는 틸트 캠 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캠은 나선형 캠 홈으로 형성된 측면과 윤곽진 외측주변을 포함하며, 상기 틸트 캠 종동자는 상기 안내부재의 상기 아치형 제3 가이드부에 고정된 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캠의 상기 윤곽진 외측 주변에 의해 작동되는 틸트 위치 검출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KR1019930015740A 1992-08-14 1993-08-14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86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16851 1992-08-14
JP21685192 1992-08-14
JP21685292 1992-08-14
JP92-216852 1992-08-14
JP92-217747 1992-08-17
JP92-217746 1992-08-17
JP4217747A JPH0668573A (ja) 1992-08-17 1992-08-17 ディスクプレーヤ
JP21774692A JPH0668475A (ja) 1992-08-17 1992-08-17 ディスクプレーヤ
JP07440193A JP3465289B2 (ja) 1992-08-14 1993-03-31 ディスクプレーヤ
JP92-74396 1993-03-31
JP07439693A JP3334226B2 (ja) 1992-08-14 1993-03-31 ディスクプレーヤ
JP92-74401 1993-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54A KR940004554A (ko) 1994-03-15
KR100286070B1 true KR100286070B1 (ko) 2001-04-16

Family

ID=2755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740A KR100286070B1 (ko) 1992-08-14 1993-08-14 디스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06830A (ko)
EP (1) EP0583754B1 (ko)
KR (1) KR100286070B1 (ko)
DE (1) DE6931717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9511A (en) 1991-02-15 1998-03-17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servo motor and servo error detection assembly operated relative to monitored quad sum signal
US6236625B1 (en) 1991-02-15 2001-05-22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current monitoring circuit with controller for laser driv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5677899A (en) 1991-02-15 1997-10-14 Discovision Associates Method for moving carriage assembly from initial position to target position relative to storage medium
US6434087B1 (en) 1995-01-25 2002-08-13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as coil and light source to process information on a storage medium
US6504798B1 (en) * 1998-10-20 2003-01-07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ninterrupted continuous play during a change of sides of a dual-sided optical disk
US6587405B1 (en) * 1998-11-25 2003-07-01 Micron Technology, Inc. Linear optical disk changer with side switching capabilities
US6603715B1 (en) 1998-11-25 2003-08-05 Micron Technology, Inc. Optical disk changer with side switching capabilities
US20070053276A1 (en) * 2005-09-08 2007-03-08 Hanks D M Optics for double-sided media
US7933191B2 (en) * 2006-10-27 2011-04-26 Van Brocklin Andrew L Optical disc drive having two optomechanical mechanism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0547A (ja) * 1983-09-28 1985-04-22 Akai Electric Co Ltd フロントロ−ディング装置
JPS62287476A (ja) * 1986-06-05 1987-12-14 Sanyo Electric Co Ltd ピツクアツプ送り装置
DE3785160T2 (de) * 1986-06-05 1993-10-14 Sanyo Electric Co Anordnung zum verschieben des abtastkopfes eines optischen plattengeräts.
US4903140A (en) * 1987-05-28 1990-02-20 Sanyo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reproducing signals from both sides of discs
JPH01113981A (ja) * 1987-10-27 1989-05-02 Pioneer Electron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
EP0587458A3 (en) * 1987-11-30 1995-01-18 Pioneer Electronic Corp Record player for two-sided record.
US5097465A (en) * 1988-06-20 1992-03-1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ouble-side playing optical disk player
JPH02260278A (ja) * 1989-03-31 1990-10-23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US5214634A (en) * 1990-02-23 1993-05-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ignals on both surfaces of a disk with a single optical pickup
JP2519827B2 (ja) * 1990-09-14 1996-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778880B2 (ja) * 1990-11-15 1995-08-23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83754B1 (en) 1998-03-04
KR940004554A (ko) 1994-03-15
DE69317175D1 (de) 1998-04-09
DE69317175T2 (de) 1998-06-25
EP0583754A1 (en) 1994-02-23
US5506830A (en) 1996-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6797B1 (en) Loading apparatus for a disc-shaped record medium
US6463025B1 (en) Disk recorder or player for automatic front side insertion and ejection of disks
KR970004400Y1 (ko) 디스크-레코드 플레이어
KR100286070B1 (ko) 디스크 플레이어
EP0661701B1 (en)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113388A (en) Centering mechanism for automotive disk player
US5555227A (e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20030193852A1 (en) Disk playback device
JP2002367261A (ja) 記録媒体駆動装置
US4153256A (en) Tangential tracking tonearm
US5264686A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recording card
EP1341171B1 (en) Disk insertion position setting device
JP333422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909986B2 (ja) ディスクレコードプレーヤ及びこのプレーヤ用の心決め装置
JP346528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US5331624A (en) Pickup feed mechanism
KR100244528B1 (ko) 디스크재생장치
US5682370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selectively playing an optical disc and a cassette-encased tape
US20020093900A1 (en) Disk cartridge and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11862B1 (ko) 컴팩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0140804B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 구동 장치
KR0151459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 장치
KR200165902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JPH09282770A (ja)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
KR19990018640U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후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