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902Y1 -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902Y1
KR200165902Y1 KR2019970023207U KR19970023207U KR200165902Y1 KR 200165902 Y1 KR200165902 Y1 KR 200165902Y1 KR 2019970023207 U KR2019970023207 U KR 2019970023207U KR 19970023207 U KR19970023207 U KR 19970023207U KR 200165902 Y1 KR200165902 Y1 KR 200165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post
tape
guid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950U (ko
Inventor
최성훈
백명철
채유석
홍성표
박종대
이수범
방준봉
연의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23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90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9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에 설치되어 테이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테이크업 포스트 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테이크업 포스트 구조는, 테크의 샤시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이크업 암의 외측단부에 테이크업 포스트가 수직입설되고, 테이크업 포스트의 로딩위치로의 이동지점상에 포스트 가이드를 설치하여 포스트 가이드에 의하여 테이크업 포스트가 접촉지지되도록 한 구조로서, 이때 상기 포스트 가이드에는 테이프의 폭에 비해 약간 큰 간격을 유지하는 두개의 지지편이 형성되고 이들 지지편의 단부에는 서로 수직센터를 달리하는 요홈부가 구비되어 그 요홈부에 테이크업 포스트가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는 테이크업 포스트 자체가 단순한 일자형임에 따라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포스트 가이드에 테이크업 가이드가 접촉하는 과정에서 테이크업 포스트의 각도보정 및 테이프의 상하 유동방지가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제1도는 자기기록 재생기의 주행계를 보인 평면도.
제2도는 종래 테이크업 포스트에 대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가 구비된 자기기록 재생기의 주행계에 대한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테이크업 포스트 및 그 가이드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테이크업 암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테이크업 포스트 21 : 포스트 가이드
22 : 테이크업 암 23a, 23b : 지지편
s : 샤시
본 고안은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에 설치되어 테이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테이크업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테이크업 포스트가 일정각도만큼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하는 포스트 가이드를 별도로 설치하여 테이프의 주행안정성을 도모한 자기기록 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데크에 카세트(1)를 장착하여 테이프(T)를 로딩시키게 되면 경사포스트 조립체(2)(2')의 가이드롤러(3)(3')와 경사포스트(4)(4')가 테이프(T)를 이끌고 헤드드럼(5)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테이크업 구동캠 기어(6)의 구동에 연동되는 테이크업 암(7a)의 단부에 형성된 테이크업 포스트(7)가 회동하면서 테이프(T)를 이끌고 캡스턴 샤프트(8)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따라, 카세트(1)의 공급릴(8)과 권취릴(9) 사이의 테이프(T)는 제1가이드 포스트(10), 텐션 포스트(11) 및 제2가이드 포스트(12) 및 소거헤드(13)를 순차적으로 지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되고, 헤드드럼(5)을 지난 테이프(T)는 A/C헤드(14), 제3가이드 포스트(15), 캡스턴 샤프트(8) 및 테이크업 포스트(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카세트(1)의 권취릴(9)로 향하는 주행계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자기기록 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를 구성하고 있는 테이크업 포스트부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테이크업 포스트(7)는 데크의 샤시(S)상에 고정된 힌지 샤프트(16)에 힌지고정된 테이크업 암(7a)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테이크업 암(7a)은 샤시(s)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같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테이크업 암(7a)의 단부측에 고정되는 테이크업 포스트(7)는 테이크 업 암(7a)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θ)만큼 기울어지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크업 암(7)은 테이프(t)가 직접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되는 테이프 접촉면(TC)과 테이프 접촉면(TC)의 상하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테이프(T)가 테이프 접촉면(TS)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유동방지턱(TJ)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의 종래 테이크업 포스트 구조에서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주행계에서 캡스턴 샤프트(8) 이후의 테이프(T) 경로를 가이드하며, 역주행시에는 A/C 헤드(14)로 향하는 테이프의 주행경로가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테이크업 포스트(7)는 테이프 접촉면(TC)의 상하부에 형성된 유동방지턱(TJ)에 의해 테이크업 포스트(7)를 지나는 테이프(T)의 상하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일정각도(θ)만큼 뒷편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A/C헤드(14)로 공급되는 테이프(T)에 높이 안정성을 확보해 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테이크업 포스트 구조에서는 테이크업 포스트(7)의 테이프 접촉면(TC)이 형성되고 그 테이프 접촉면(TC)의 상,하단부상에 유동방지턱(TJ)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의 가공에 적지않은 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하고, 또한 테이크업 포스트(7)를 일정각도(θ)만큼 기울어지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여 강제조정을 행하여야 함에 따라 그 조립 및 조정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그 조정각도(θ)의 신뢰성 저하로 인한 테이프(T)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테이프업 포스트 구조에서 드러나고 있는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크업 포스트가 상하 전길이에 걸쳐 동일직경을 갖는 -자형으로 형성하여 테이크업 암에 수직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한편 테이프의 주행모드시 테이크업 포스트가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하는 테이크업 가이드를 샤시상에 설치하여 테이프의 주행안정성을 증대시킨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탄성재질의 얇은 판체로 이루어지고 샤시상에 설치된 힌지샤프트를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테이크업 암과, 테이크업 암의 외측단부상에서 테이크업 암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테이크업 포스트와, 로딩모드시 상기 테이크업 샤프트가 소정각도만큼 뒷편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그에따른 작용효과등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제3도는 본 고안의 테이크업 포스트 및 그 가이드가 구비된 자기기록재생기의 주행계 일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테이크업 포스트 및 그 가이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테이크업 암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도에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중에서 A/C헤드(14), 제3가이드 포스트(15), 캡스턴 샤프트(8) 및 테이크업 포스트(20)를 거쳐 권취릴로 이어지는 테이프(T) 경로상의 테이크업 포스트(20)의 일측에 포스트 가이드(21)가 설치된 구조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의거하여 테이크업 포스트(20) 및 포스트 가이드(21)의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샤시(S)상에 고정된 힌지 샤프트(16)상에 테이크업 암(2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테이크업 암(22)은 샤시(S)와 평행하게, 즉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테이크업 암(22)의 일측 하부로는 구동캠 기어와 접촉하여 테이크업 암(22)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촉돌기(22a)가 연장형성되며, 테이크업 암(22) 자체는 탄성재질의 얇은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테이크업 암(22)의 외측단부에는 테이크업 포스트(20)이 테이크업 암(22)과 수직을 이루며 고정되는 데, 이때 테이크업 포스트(20)는 일자형의 원형봉 또는 원통체로 이루어진다.
다음, 테이크업 포스트(20)의 일측에는 하단부가 샤시(S)상에 고정되어 수직입설되는 포스트 가이드(21)가 설치된다. 상기 포스트 가이드(21)는 상부와 그 아랫쪽의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수평의 지지편(23a)(23b)이 형성되어 그 지지편(23a)(23b)의 외측단부에 상기 테이크업 포스트(20)가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23a)(23b)의 외측단부에는 테이크업 포스트(20)의 좌우 유동방지 및 정확한 위치선정을 위하여 각기 V자형의 요홈부를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편(23a)(23b)의 요홈부 형성위치는 제4도에서와 같이 이들 요홈부내에 테이크업 포스트(20)가 접촉지지될 때 수직방향으로부터 일정각도(θ)만큼 뒷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요홈부의 수직형성 위치를 달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테이프(T)의 언로딩시, 다시말하면 테이크업 포스트(20)가 제3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테이크업 암(22)이 샤시(S)와 평행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실선상태의 테이프 주행상태에서는 테이크업 암(22)이 반시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크업 포스트(20)가 포스트 가이드(21)의 수평 지지편(23a)(23b)에 접촉지지될 때에는 상하 수평 지지편(23a)(23b)의 요홈부 형성 수직위치의 차이에 기인하여 테이크업 암(22)의 탄성변형이 발생되는 결과 테이크업 포스트(20)는 원래의 수직상태로부터 일정한 각도(θ)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테이크업 포스트(20)를 접촉하면서 지나는 테이프(T)는 포스트 가이드(21)의 상하 지지편(23a)(23b)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테이프(T)의 주행시 테이프(T)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양 지지편(23a)(23b) 사이의 간격은 테이프(T)의 상하유동이 방지된 가운데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테이크업 포스트가 구비된 자기기록재생기에서는 테이프(T)의 로딩시 구동캠 기어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테이크업 암(22)의 단부에 수직입설된 일자형의 테이크업 포스트(20)가 테이프(T)를 이끌고 포스트 가이드(21)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이동은 테이크업 포스트(20)가 포스트 가이드(21)의 상하 지지편(23a)(23b) 단부에 형성된 V자형 요홈부내에 걸리게 됨으로써 멈춰진다.
이때, 상기 상하 지지편(23a)(23b)에 형성된 요홈부의 수직위치의 차이에 기인하여 이에 접촉지지되는 테이크업 포스트(20)는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상하 지지편(23a)(23b) 사이의 테이크업 포스트(30)에 접촉하고 있는 테이프(T) 역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테이크업 포스트(20)를 지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T)의 역방향 주행시의 경우에서는 테이크업 포스트(20)를 지나 A/C헤드(14)로 향하는 테이프(T)가 가이드 포스트(21)의 상하 지지편(23a)(23b)에 안내되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가운데 상하 유동이 방지되고, 또한 테이크업 포스트(20)의 기울어짐에 의해서 주행안정성이 확보되어 안정적인 테이프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테이크업 포스트 구조에서는 테이크업 포스트 자체가 일자형의 원형봉 구조를 취하고 있음에 따라 종래의 상하단턱부를 갖는 테이크업 포스트에 비해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로딩 완료시 테이크업 포스트가 포스트 가이드에 접촉지지되는 과정에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테이크업 포스트와 암간의 조립시 별도의 각도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데크의 샤시(S)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이크업 암(22)과, 테이크업 암(22)의 외측단부상에 수직입설되는 테이크업 포스트(20) 및 테이크업 포스트(20)의 로딩위치로의 이동시 테이크업 포스트(20)가 일정각도(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포스트 가이드(2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테이크업 암(22)은 탄성재질의 판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테이크업 포스트(20)는 상하 전길이에 걸쳐 동일 직경을 갖는 일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포스트 가이드(21)는 하단부가 샤시(s)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입설되고, 그 수직본체부상에 외측단부가 상기 테이크업 포스트(20)와 접촉하는 두개의 지지편(23a)(23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23a)(23b)은 각기 외측단부에 요홈부가 형성되며, 두 요홈부간의 수직 중심위치를 서로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지지편(23a)(23b)간의 수직간격은 테이프(T)의 폭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KR2019970023207U 1997-08-26 1997-08-26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KR200165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07U KR200165902Y1 (ko) 1997-08-26 1997-08-26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07U KR200165902Y1 (ko) 1997-08-26 1997-08-26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50U KR19990009950U (ko) 1999-03-15
KR200165902Y1 true KR200165902Y1 (ko) 2000-01-15

Family

ID=1950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207U KR200165902Y1 (ko) 1997-08-26 1997-08-26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9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50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5386A (en) Loading post driving device
KR200165902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크업 포스트 가이드 구조
US4012793A (en) Multioriented composite-surface tape guide for use in a cassette
KR0179247B1 (ko) 비디오기기의 핀치롤러 장치
KR017497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US5923495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pe guide members
GB2308723A (en) Vertically moving guide posts/rollers adjust video tracking
JPH0356897Y2 (ko)
JPS6356618B2 (ko)
KR940004537Y1 (ko) Vcr의 테이프 주행 안내장치
KR012923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고속 주행장치
US5495992A (en) Belt-driven magnetic tape cartridge having a device for applying mechanical tension to the tape in the cartridge
KR960002126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장치
JP3042003B2 (ja) テープパス系のテープ走行高さ修正装置
KR950000570B1 (ko) 테이프카세트
KR011320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고속 주행장치
KR940006137B1 (ko) 기록 재생장치용 테이프 가이드 기구
JP256914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2605835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22824Y2 (ko)
KR0129062Y1 (ko) Vcr의 완전소거헤드홀더
KR0117903Y1 (ko) 테이프 손상 방지 장치
KR10042201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KR200142335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슬라이더 스톱퍼장치
JP2567115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