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679B1 -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679B1
KR100285679B1 KR1019940032584A KR19940032584A KR100285679B1 KR 100285679 B1 KR100285679 B1 KR 100285679B1 KR 1019940032584 A KR1019940032584 A KR 1019940032584A KR 19940032584 A KR19940032584 A KR 19940032584A KR 100285679 B1 KR100285679 B1 KR 10028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neck
index table
cutt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879A (ko
Inventor
이호성
정유철
반홍식
강영준
염한철
박승태
Original Assignee
박영구
삼성코닝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구, 삼성코닝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영구
Publication of KR95002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음극선관용 훤넬(F)의 모일부(M) 절단과 네크(N) 융착을 하나의 공정 즉, 하나의 설비에서 실시함으로써, 생산 능률의 향상과 설치공간의 감소 및 설치비의 절감을 실현하기 위하여,
공급수단에 의해 투입되는 훤넬과 네크를 안착 지지하기 위해 인덱스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훤넬/네크 로딩부와, 상기한 인덱스 테이블의 회동에 따라 이송되어 오는 훤넬에서 모일부를 제거하는 모일 절단부와, 계속하여 상기 인덱스 테이블에 의해 회동되는 훤넬에 네크를 융착하는 네크 실링부로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절개 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모일 절단부를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서 훤넬의 모일부 커팅수단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6도는 훤넬 모일부 절단후 절단 부위를 글레이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에서 네크 실링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
제9도는 제7도에서 융착 커버수단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제10도는 종래 모일부 절단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11도는 종래 네크 융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덱스 테이블 2 : 안착부재
4 : 모일 절단부 5 : 네크 실링부
6 : 설치부재 7 : 구멍
8,49,67,76,84,88,89,111 : 실린더
13 : 네크 포켓 47,70,93 : 브라켓
50 : 로터리 조인트 52 : 스플라인 샤프트
53 : 중공축 55 : 기어
61 : 글레이징 버너 62 : 커터 암
64 : 요크 링 65 : 힌지축
66 : 센서 68 : 그립퍼
69 : 컷 오프 버너 72 : 부시
73 : 풀리 74,112 : 벨트
75,105,113 : 모터 77,82,87 : 링크
78 : 커터 79 : 네크 척
80 : 회동축 83 : 척킹 암
85 : 힌지축 86 : 다절 링크
90, 99 : 프레임 91 : 가이드 포스트
92 : 쇽 업소버 94,97 : 롤러
95 : 네크 척 캠 96 : 버너 캠
100 : 실링 버너 101 : 홀더
102 : 원통부재 103 : 중공부재
104 : 링기어 107 : 캠축
110 : 요크 콘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훤넬의 모일(Moil)부 절단과 절단된 훤넬에 네크를 융착시키기 위해 마련된 훤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형광체가 도포됨과 아울러 새도우 마스크가 결착되는 판넬과, 상기한 판넬과 결합될 뿐만 아니라 편향 요오크가 외부에 부착되고 애노드 버튼이 연결되는 훤넬과, 상기한 훤넬에 결합되고 전자총이 내재되는 네크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훤넬은 용융유리를 프레스하여 성형하여 형성하는 바, 훤넬과 네크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훤넬의 목부분 즉, 모일부를 소정 규격에 맞춰 절단하고 여기에 네크를 위치시킨 후 가열하여 접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훤넬 성형부 모일부를 절단함과 아울러 여기에 네크를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모일부를 절단하는 장치와, 상기한 장치에서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에 네크를 결합시키는 장치와, 상기한 바와 같이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에 네크 융착시키는 장치로 이송시키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모일부 절단 장치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20)에 의해 회전되는 가대(121)에 훤넬(F)을 안착시키고 버너(122)로 모일부(M)를 가열한 후, 커터로 흠집을 내어 열충격을 주므로서 모일부(M)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모일부 절단장치에서 절단된 훤넬(F)을 도시되지 않은 이송장치를 통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23)로 회전되는 가대(124)에 안착시킨 후 저면에서 실린더(125)에 연결된 그립퍼(126)로 네크(N)를 공급하고 버너(127)로 이를 가열 및 융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모일부 절단장치와 네크 융착장치를 다수조 설치하여 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소정의 생산량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모일부 절단과 네크 융착을 각각 다른 장치에서 처리하게 되면 작업 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여러대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설치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음극선관 훤넬의 모일부 절단과 네크 융착을 하나의 공정 즉, 하나의 설비에서 실시함으로서, 생산 능률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설치공간과 설치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급수단에 의해 투입되는 훤넬과 네크를 안착 지지하기 위해 인덱스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훤넬/네크 로딩(Loading)부와, 상기한 인덱스 테이블의 회동에 따라 이송되어 오는 훤넬에서 모일부를 제거하는 모일 절단부와, 계속하여 상기 인덱스 테이블에 의해 회동되는 훤넬에 네크를 융착하는 네크 실링부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훤넬/네크 로딩부에서는 네크가 융착된 훤넬이 인덱스 테이블에 의해 이송되어 올 경우에, 그 제품을 언로딩(Unloading)시키게 된다.
상술한 모일 절단부는 인덱스 테이블에 올려져 회전되어 온 훤넬을 소정 위치로 들어 올리는 훤넬 승강수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리프트 된 훤넬의 모일부를 가열하는 제1가열 수단과, 가열된 모일부를 절단하는 커팅수단 및 커팅된 모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술한 모일 절단부에는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의 후단면을 글레이징(Glazing)하기 위해 제2가열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네크 실링부는 네크 척으로 네크를 공급하는 피이딩수단과, 모일부가 절단된 후 인덱스 테이블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훤넬을 상기 네크와 접촉되도록 들어 올리는 훤넬 승강수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네크 척과, 상기 네크와 훤넬의 실링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3가열수단을 승강시킴으로서 네크와 훤넬의 실링 부위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가열시킬 수 있는 융착 커브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작용]
컨베이어와 같은 피이딩수단을 통해 이송된 2개의 훤넬과 네크를 훤넬/네크 로딩부로 하나씩 배치되게 이송시키고, 인덱스 테이블을 1스텝 회전시켜 모일 절단부로 이송되게 한다.
훤넬이 이송되면, 모일 절단부의 훤넬 승강수단이 상향 이동됨과 아울러 제1가열수단이 동작하여 훤넬의 모일부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가열된 훤넬의 모일부에 상대적으로 차가운 커터를 접촉시킴으로써 모일부를 절단하게 되며, 이와 같이 모일부가 절단된 부분은 제2가열수단에 의해 글레이징 가공된다.
물론, 절단된 모일부는 취출수단에 의해 외부로 인출된다.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은 계속해서 네크 실링부로 이송된다. 네크 실링부로 이송된 훤넬은 승강수단에 의해 상향 이동되어 네크 척에 장착되어 있는 네크와 밀착되고, 회동되는 제3가열수단에 의해 가열 및 융착되어 진다.
이때, 상기한 네크는 융착 커브 수단에 의해 요동 운동함으로써 접착되는 네크와 훤넬의 접착을 효율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된 네크와 훤넬은 훤넬의 최초 투입된 위치 즉. 훤넬/네크 로딩부로 이송되고, 다시 컨베이어로 취출됨으로써 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인덱스 테이블(1)은 공급수단에 의해 로딩되는 훤넬(F)이 안착될 복수개의 훤넬 안착부재(2)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훤넬 안착부재(2)는 인덱스 테이블(1) 상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훤넬 안착부재(2)는 포지션(Position)이 1조로 되어, 인덱스 테이블(1)의 1스텝 구동시 2 포지션 만큼 이동토록 설정되어 있으며, 각 조는 훤넬/네크 로딩부(3) 모일 절단부(4) 및 네크 실링부(5)를 구성하게 된다.
훤넬 안착부재(2)는 1개 혹은 3개의 포지션을 1조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실 사용할 때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초래하게 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포지션을 1조로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인덱스 테이블(1)의 중심부 상측에는 설치부재(6)가 마련되어 모일 절단부(4)와 네크 실링부(5)를 지지한다.
아울러,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온 훤넬(F)과 네크(N)는 상술한 훤넬/네크 로딩부(3)로 투입되어지는 바, 이는 프레스된 훤넬(F)과 네크(N)를 순차 이송시키는 피이딩수단과, 이들을 각각 훤넬/네크 로딩부(3)로 공급하는 이송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피이딩수단은 훤넬(F)을 순차 이송시키는 훤넬 컨베이어(9)와, 네크(N)를 이송시키는 네크 컨베이어(10)로 구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이송수단은 훤넬(F)을 공급 및 취출시키는 훤넬 이송수단(11)과, 네크(N)의 자세를 교정하여 공급하는 네크 이송수단(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훤넬 이송수단(11)은 훤넬 컨베이어(9) 및 훤넬/네크 로딩부(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수평 이송 로봇(14)가 연장되어 2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평 이송 로봇(14)에는 진공 흡착패드(15)가 종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실린더(16)로 연결되어 수평 이송 로봇(14)에 삽입된 상태인 슬라이더(17)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네크 이송수단(12)은 네크 컨베이어(10)로 이송되는 네크(N)를 반전시키게 되는데, 이는 네크 컨베이어(10)로 이송되는 네크(N)가 후레어(도시 생략)를 저면으로 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이를 뒤집어 훤넬(F)에 접촉시켜 주기 위한 수직 회전 실린더(18)와, 상기한 수직 회전 실린더(18)가 설치되어 수평 회전하게 되는 아암(19)과, 상기한 아암(19)이 설치된 지지대(2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피이딩 수단으로 훤넬(F)과 네크(N)가 이송되어 오면, 이송수단의 훤넬 이송수단(11)과 네크 이송수단(12)이 훤넬(F)과 네크(N)를 집어 훤넬/네크 로딩부(3)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훤넬(F)은 훤넬/네크 로딩부(3)에 안착되고 네크(N)는 수직 회전되어 네크 포켓(13)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네크 포켓(13)은 인덱스 테이블(1)에 설치되어 있는 훤넬 안착부재(3)의 사이 마다 각각 직립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훤넬/네크 로딩부(3)로 투입되어진 훤넬(F)은 인덱스 테이블(1)을 1 스텝 회전시킴에 따라 모일 절단부(4)로 이송되고, 이어서 훤넬의 모일부(M)가 절단되어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모일 절단부(4)의 구성을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일 절단부(4)에는 인덱스 테이블(1)에 올려져 회전되어 온 훤넬(F)을 모일 절단 위치로 들어 올리는 훤넬 승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한 인덱스 테이블(1)의 훤넬 안착부재(2)에는 크로스 상의 구멍(7; 제1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훤넬 승강수단에 의한 훤넬(F)의 리프트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의한 모일 절단부(4)는 상기와 같은 훤넬 승강수단에 의해 리프트된 훤넬(F)의 모일부(M)를 가열하는 제1가열수단과, 가열된 모일부를 절단하는 커팅수단과 커팅된 모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취출수단을 포함하게 되는 바, 이러한 구성을 제3도와 제4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모일 절단부(4)에는 훤넬(F)의 리프트시 모일부(M) 절단 위치까지 하강하여 그 외주면 둘레를 가열하게 되는 컷 오프 버너(69)와, 상기 모일부(M)를 절단하는 커터(78) 및 커팅된 모일부(M)를 척킹하여 외부로 인출하는 이재기(5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컷 오프 버너(69)는 설치부재(6)에 브라켓(47)을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49)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스플라인 샤프트(5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스플라인 샤프트(52)는 실린더(49)와의 사이에 로터리 조인트(50)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바깥 둘레를 감싸는 중공축(53)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중공축(53)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시(72)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시(72)는 브라켓(56)을 개재하여 설치부재(6)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플라인 샤프트(52)는 상기 중공축(53)과 동기하여 회동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중공축(53)과 일체로 결합된 기어(55)와, 이 기어(55)를 구동시키는 모터(75)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어 진다.
이때, 상기 실린더(49)는 컷 오프 버너(69)를 훤넬(F)의 모일부 절단 위치까지 하강시키게 되는 바, 상기 컷 오프 버너(69)는 스플라인 샤프트(52)의 종단에서 회전됨과 동시에 하강되어, 훤넬(F)의 모일부(M)를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훤넬(F)의 모일부(M)는 커터(78)에 의해 절단되어 지는데, 이러한 커너(78)의 구조가 제5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커터(78)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터 암(62)은 암(62)은 다시 링크(77)를 개재하여, 상기 브라켓(54)에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76)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커터(78)는 모터(75)에 의해 임의의 회전 속도로 자전하게 되며, 상기 실린더(76)의 푸시 작용에 의해 상기 힌지축(65)를 중심으로 공전하여, 컷 오프 버너(69)에 의해 가열된 훤넬(F)의 모일부(M)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절단된 모일부(M)는 상술한 이재기(58)에 의해 취출되어 지는 바, 이는 설치부재(6)의 측면에 부착되는 브라켓(70)과, 이 브라켓(70)에 고정된 실린더(67)와, 상기 실린더(67)의 종단에 고정되어 모일부(M)를 척킹하는 그립퍼(68)로 구성되어, 커팅된 모일부(M)를 취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일부(M)가 취출된 훤넬(F)의 상단면은 커팅에 의하여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글레이징 버너(61)에 의해 가열되어 라운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글레이징 버너(61)는 연결부재(57)에 의해 전술한 중공축(53)에 장착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모터(75)에 의해 컷 오프 버너(69)와 동기하여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모일 절단부(4)의 구성을 통하여 그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인덱스 테이블(1) 상에 안착된 훤넬(F)이 1 스텝 회전에 의해 모일 절단부(4)로 이송되어 오면, 픽스쳐 어셈블리(24)는 상기 훤넬(F)을 요크링(64)과 접촉되는 위치 즉, 모일부(M) 절단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리프트 된 훤넬(F)은 실린더(49)에 의해 모일부(M) 절단 위치로 하강됨과 동시에 모터(75)에 의해 회전되는 컷 오프 버너(69)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된다.
모일부(M)가 적절하게 가열되면, 모터(75)에 의해 자전하는 커너(78)가 실린더(76)에 의해 공전되어 훤넬(F)의 가열된 부위를 절단하게 되고, 절단된 모일부(M)는 이재기(58)에 의해 외부로 취출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모일부(M)가 취출됨과 동시에 글레이징 버너(61)가 가동되어 지는 바, 이는 모터(75)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일부(M)의 절단면(C)을 가열하여 그 단면을 완만하게 하는 소위, 글레이징 처리를 하게 된다.
훤넬(F)의 글레이징 처리가 완료되면, 인덱스 테이블(1)은 다시 1 스텝 이동되어 상기 훤넬(F)을 네크 실링부(5)로 위치시키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네크 실링부(5)의 구성을 제7도 내지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 실링부(5)는 인덱스 테이블(1)에 올려져 회전되어 온 훤넬(F)을 네크 실링 위치로 들어 올리는 훤넬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인덱스 테이블(1)의 훤넬 안착부재(2)에 놓여진 훤넬(F)은 모일 절단부(4)에서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실린더(8)의 상승에 따라 픽스쳐 어셈블리(24)에 안착된 채로 리프트 되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픽스쳐 어셈블리(24)는 전술한 바 있는 제4도 내지 제6도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서, 재차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의한 네크 실링부(5)는 상기와 같이 훤넬 승강수단에 의해 리프트 된 훤넬(F)의 상단부로 네크(N)를 공급하기 위한 피이딩수단을 보유하게 되는 바, 이러한 피이딩수단은 인덱스 테이블(1) 상에 직립되어 있는 네크 포켓(13)으로부터 네크(N)를 척킹하여 네크 척(79)로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피이딩수단은 설치부재(6)에 브라켓(81)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어 있는 회동축(80)과, 이 회동축(8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82)와, 이 링크(82)에 고정되어 상기 픽스쳐 어셈블리(24)의 상승시 네크 포켓(13)에 안착되어 있는 네크(N)를 홀딩하는 척킹 암(83)으로 구성되어 진다.
상술한 척킹 암(83)은 2개의 실린더(84)와, 각각의 실린더(84)에 연결됨과 동시에 하나의 힌지축(85)에 고정되는 다절 링크(86)로 구성되어 지는 바, 상기 실린더(84)의 진퇴동작에 의해 상기 다절 링크(86)를 오므리거나 벌림으로써, 네크(N)를 홀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크(N)를 홀딩한 척킹 암(83)은 소정의 각도로 선회되어 상기 네크 척(79) 하방으로 위치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링크(82)로부터 타단으로 돌출된 링크(87)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88)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이 경우에, 상술한 네크 척(79)는 실린더(89)의 동작에 의해 하강하여 네크(N)를 척킹하게 되는 바, 그 하방에는 요크 링(64)에 밀착되어 있는 훤넬(F)이 배치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술한 네크 척(79)과 실린더(89)는 프레임(90)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90)은 가이드 포스트(91)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설치부재(6)에 브라켓(93)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는 에어실린더(92)의 선단에 지지되어 진다.
이렇게 구성된 프레임(90)은 융착 커브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네크(N)와 훤넬(F)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프레임(90)에 장착된 롤러(94)와, 이 롤러(94)에 대응하는 네크 척 캠(95)의 구름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네크(N)와 훤넬(F)의 실링부를 가열하게 되는 제3가열수단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융착 커브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지는 바, 이는 버너 캠(96)과, 그에 대응하는 롤러(97)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네크(N)의 하단부와 훤넬(F)의 상단부는 소정의 거리만큼 어격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90)에 지지되어 있는 네크(N)와 제3가열수단로 되는 실링 버너(100)는 동시에 상술한 융착 커브수단에 연동하여 승강되어 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네크(N)와 훤넬(F)의 실링 공정은 상기 융착 커버수단의 1회전 즉, 캠의 1 사이클에 의해 완료되어 지는 바, 상기 네크(N)의 하단부와 훤넬(F)의 상단부는 상기 캠의 1 사이클 말기에 서로 접촉되어 진다.
이때, 상기 실링 버너(100)는 네크(N)와 훤넬(F)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그 외주면을 고루 가열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버너 캠(96)과 구름 접촉되어 있는 롤러(97)는 홀더(101)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아울러 전술한 가이드 포스트(9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99)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홀더(101)에는 원통부재(102)가 긴밀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는 중공부재(103)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부재(103)의 하측에는 연결부재(98)를 개재하여 실링 버너(100)가 부착되어, 상기 중공부재(103)와 함께 회동토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중공부재(103)는 그 상단부에 링기어(104)를 보유하게 되는 바, 이는 브라켓(106)을 개재하여 상기 원통부재(102)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105)에 의해 구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링 버너(100)는 융착 커브수단에 의한 승강과 모터(105)에 의한 회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네크(N)와 훤넬(F)의 실링부를 고루 가열하게 되는 바, 이와 동시에 상기 네크 척(79)는 네크 척 캠(95)의 회동에 의해 하강되어 훤넬(F)과 융착되어진다.
이 경우에, 네크(N)와 훤넬(F)의 실링부에는 용융된 그라스가 흡착되어, 볼록한 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네크 척(79)을 다시 미세하게 상승시키게 되는 바, 이는 네크 척 캠(95)의 1 사이클 말기에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네크 척(79)에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 노즐이 부가 설치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실링부를 미세하게 인장하면서 동시에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훤넬(F) 내측 요크부로는 요크 콘(110)이 상승되어 그 내부를 차단하게 되는 바, 이는 실린더(111)에 의해 승강되어 진다.
상술한 융착 커브수단에 대한 상세 도면이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네크 척 캠(95)과 버너 캠(96)은 캠축(107)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으며, 이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브라켓(108)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캠축(107)은 벨트(112)를 개재하여 구동원으로 되는 모터(113)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모터는 브라켓(114)을 개재하여 설치부재(6)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네크 실링부(5)의 구성을 통하여 그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일부(M)가 절단된 훤넬(F)이 인덱스 테이블(1) 상에 안착된 채로 1 스텝 회전하여 네크 실링부(5)로 이송되어 오면, 픽스쳐 어셈블리(24)는 상기 훤넬(F)을 요크 링(64)과 접촉되는 위치 즉, 네크 실링 위치 까지 상승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술한 피이딩수단은 네크 포켓(13)에 안착되어 있는 네크(N)를 척킹하여 네크 척(79)으로 공급하게 되고, 이 네크 척(79)은 상기 네크(N)를 훤넬(F)의 상측 소정 위치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융착 커브수단은 모터(113)에 의해 캠축(107)이 회전되어 지는 바, 상기 캠축(107)은 네크 척 캠(95)과 버너 캠(96)을 회전시켜, 이에 접촉되어 있는 롤러(94, 97)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90)에 고정되어 있는 네크 척(79)과 실링 버너(100)는 각각의 캠 선도에 따라 승강되어 지는 바, 상술한 실링 버너(100)는 승강과 동시에 모터(105)에 의해 회전되면서, 네크(N)과 훤넬(F)의 실링부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열한다.
이와 같이 가열된 네크(N)와 훤넬(F)은 캠에 의한 승강 작용으로, 그 캠의 1 사이클 말기에서 서로 융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네크(N)가 실링된 훤넬(F)은 픽스쳐 어셈블리(24)의 하강에 의해, 다시 인덱스 테이블(1)의 안착부재(2)로 다운되고, 이어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1)의 1 스텝 회동에 의해 훤넬/네크 로딩부(3)로 이송되어 진다.
훤넬/네크 로딩부(3)로 이송된 훤넬(F)은 로딩시와 반대로 훤넬 이송수단(11)에 의해 훤넬 컨베이어(9)로 언로딩되어 지는 바, 이는 계속해서 도시하지 않은 측정부로 이송되어 네크(N)와 훤넬(F)의 융착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훤넬 가공장치는 기존의 모일 절단과 네크 실링을 별도의 공정에서 행함으로써 발생되었던 작업 능률의 저하, 설치 공간의 부족 및 설치비의 증대를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훤넬을 인덱스 테이블 상에 올려 놓고, 이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모일부의 절단과 네크 실링을 행하고 있을 뿐 아니라, 훤넬과 네크의 로딩 및 언로딩을 이송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게 됨으로써, 작업 능률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훤넬/네크 로딩부, 모일 절단부 및 네크 실링부는 모두 인덱스 테이블의 설치 공간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치 공간에 따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별도의 공정 설치에 따라 발생되는 부가 비용을 하나의 장치로서 통합함으로써 설치비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Claims (4)

  1. 간헐 회전되는 인덱스 테이블과; 이 인덱스 테이블 상에 설치되어 공급수단에 의해 투입되는 훤넬과 네크를 안착 지지하는 훤넬/네크 로딩부와; 상기한 인덱스 테이블에 의해 1 스텝 구동된 훤넬을 들어 올리는 훤넬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인덱스 테이블의 중심부에 고정된 설치부재에 장착되어 훤넬의 모일부를 제거하는 모일 절단부와; 계속하여, 상기한 인덱스 테이블에 의해 1 스텝 구동된 훤넬을 들어 올리는 훤넬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설치부재에 장착되어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의 상단부에 네크를 융착하는 네크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덱스 테이블(1)은 크로스 상의 구멍(7)을 포함하며 훤넬이 올려지는 안착부재(2)와, 네크가 안착되는 네크 포켓(13)을 구비하며, 상기 네크 실링부(5)는 네크 포켓(13)에 안착되어 있는 네크를 픽업하여 네크 척(79)으로 공급하는 피이딩수단과, 상기 네크와 훤넬의 실링부를 가열하는 제3가열 수단과, 상기 네크 척(79)과 제3가열수단을 승강시키는 융착 커브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덱스 테이블(1)에는 2개의 포지션이 1조로 구성되는 훤넬/네크 로딩부, 모일 절단부 및 네크 실링부가 각각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훤넬 승강수단은 동력원으로 되는 실린더(8)와, 이 실린더(8)의 동작에 의해 인덱스 테이블(1)에 형성된 구멍(7)을 통과하여 훤넬을 들어 올리는 픽스쳐 어셈블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모일 절단부(4)는 훤넬 승강수단에 의해 리프트 된 훤넬의 모일부를 가열하는 제1가열수단과, 가열된 모일부를 절단하는 커팅수단과, 커팅된 모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취출수단과, 모일부가 절단된 훤넬의 후단면을 글레이징하기 위한 제2가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KR1019940032584A 1993-12-03 1994-12-02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KR100285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0026378 1993-12-03
KR1019930026378 1993-12-03
KR93-26378 1993-12-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107A Division KR100285680B1 (ko) 1998-12-29 1998-12-29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1019980060109A Division KR100285682B1 (ko) 1998-12-29 1998-12-29 음극선관용 훤넬의 승강장치
KR1019980060108A Division KR100285681B1 (ko) 1998-12-29 1998-12-29 음극선관용 훤넬의 네크융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879A KR950020879A (ko) 1995-07-26
KR100285679B1 true KR100285679B1 (ko) 2001-04-02

Family

ID=3751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584A KR100285679B1 (ko) 1993-12-03 1994-12-02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680B1 (ko) * 1998-12-29 2001-04-02 박영구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100285682B1 (ko) * 1998-12-29 2001-04-02 박영구 음극선관용 훤넬의 승강장치
KR100285681B1 (ko) * 1998-12-29 2001-04-02 박영구 음극선관용 훤넬의 네크융착장치
KR100425608B1 (ko) * 1999-12-28 2004-04-03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넥크 절단장치
KR20010071106A (ko) * 1999-12-30 2001-07-28 서두칠 넥크 절단설비 및 그 작동방법
KR100459536B1 (ko) * 2002-10-16 2004-1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자이크식 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4839A (ja) * 1989-05-18 1990-12-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テレビブラウン管のファンネルとフレアレスネックとを封合する方法
JPH02312137A (ja) * 1989-05-27 1990-12-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テレビブラウン管のファンネルとフレアレスネックとを封合する方法
JPH03119633A (ja) * 1989-09-29 1991-05-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テレビブラウン管のファンネルとネック管の封合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4839A (ja) * 1989-05-18 1990-12-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テレビブラウン管のファンネルとフレアレスネックとを封合する方法
JPH02312137A (ja) * 1989-05-27 1990-12-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テレビブラウン管のファンネルとフレアレスネックとを封合する方法
JPH03119633A (ja) * 1989-09-29 1991-05-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テレビブラウン管のファンネルとネック管の封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879A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14651B (zh) 电池盖板防爆阀自动焊接设备
US3885825A (en) Article handling chuck
KR900002046B1 (ko) 판 유리 성형(成形)장치
KR100285679B1 (ko)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CN210575520U (zh) 基于双转盘的电感线圈打扁裁切沾锡全自动化设备
CN112058836A (zh) 一种灯泡生产用灯壳清洗装置
KR100285681B1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네크융착장치
CN106898570B (zh) 硅片清洁装置
US20010020371A1 (en) Machine for processing hollow glass objects
KR100437893B1 (ko) 음극선관용훤넬가공시스템및그방법
KR100285680B1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100191932B1 (ko) 브라운관용 네크 융착장치
CN109940858B (zh) 一种塑胶容器膜内贴标自动送膜设备及其工艺
KR100191933B1 (ko)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CN112550830A (zh) 一种给袋包装机
CN216273735U (zh) 一种光学玻璃元件精密压型软化炉
CN218989106U (zh) 一种玻璃瓶快速喷釉装置
CN215713851U (zh) 一种便于人工操作的自动车缝气垫粉扑丝带热切设备
CN217942447U (zh) 全自动批头套胶机
CN213593424U (zh) 一种四工位热熔生产线
CN210030421U (zh) 自动杯座对接机
KR100687605B1 (ko) 냉음극형광램프 제조용 실 컷팅장치
CN218286754U (zh) 一种peek激光焊接机
CN219804992U (zh) 一种手机中框自动化检测机构
CN215667708U (zh) 一种用于玻璃制品的自动化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