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933B1 -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933B1
KR100191933B1 KR1019960051748A KR19960051748A KR100191933B1 KR 100191933 B1 KR100191933 B1 KR 100191933B1 KR 1019960051748 A KR1019960051748 A KR 1019960051748A KR 19960051748 A KR19960051748 A KR 19960051748A KR 100191933 B1 KR100191933 B1 KR 100191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hannel
mounting table
pneumatic cylin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669A (ko
Inventor
유혁우
Original Assignee
조태현
한국전기초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태현, 한국전기초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태현
Priority to KR101996005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933B1/ko
Publication of KR97005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01J9/48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with automatic transfer of workpieces between operat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에 설치된 이송대(110)로부터 이송된 훤넬(F)을 받쳐 주는 위치조정 받침부재(2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입설된 지지대(120)의 전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설치대(400)와, 상기 지지대(1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설치대(400)를 상.하로 동작하는 제1공압실린더(130)와, 상기 설치대(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이동대(500)와, 상기 설치대(400)에 설치되어 이동대(500)를 전.후 조정하는 제2공압실린더(530)와, 상기 이동대(500)에 설치되어 모일(M)을 가열하는 가열수단(700)과, 상기 이동대(5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일(M)을 절단하는 절단수단(700)과, 상기 절단수단(700)의 타측에 설치되어 모일(M)을 제거하는 제거수단(800)으로 설치된 것인바, 버너를 회전형식으로 가열하므로써, 종래의 턴테이블 회전방식에 따른 자중의 변형으로 발생되는 버너의 편가열을 방지하여 훤넬의 절단부위가 균일하며 네크 융착공정에서의 불량률을 현저히 저하시켜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훤넬의 성형시 후면의 꼭지부분을 이루는 모일(moil)을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더 상세하게는 모일의 절단부위를 가열하는 버너를 회전형식으로 변경하여 훤넬의 네크 융착부위를 손상없이 절단하여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의 후면부를 이루는 훤넬은 성형시 후면부위에 모일이 형성되며, 이 모일은 훤넬의 작업라인에서 훤넬의 후면부에 전자총을 수용할 수 있는 네크(neck)가 융착되어지기 전에 절단되는 부위이다.
종래에는 상기한 모일을 절단하기 위한 장치는 첨부된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되어 이송된 훤넬을 안착하여 회전시키는 턴테이블(10)과, 상기 턴테이블(10)의 하부 중앙에 연설되고 기어(21)가 축설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하 작동되면서 훤넬(F)의 중심을 센터링하는 센터부재(30)와, 상기 회전축(20)의 기어(21)에 타이밍 벨트(42)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스핀들 기어(41)가 축설된 모터(40)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턴테이블(10)의 상측으로는 수평 이동되는 설치대(50)와, 상기 설치대(50)의 후면에 설치되어 설치대(50)를 전.후 진시키는 제1공압실린더(60)와, 상기 설치대(50)의 전먼에 설치되어 모일(M)부분의 절단부위를 집속 가열하는 버너(70)와, 상기 버너(7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모일(M)을 절단하는 절단기(71)와, 상기 모일(M)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핑거(8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70) 및 절단기(71)는 ㄱ 자헝상의 브라켓트(72)에 일체로 부착 설치되고, 이 브라켓트(72)는 상기 설치대(5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브라켓트(72)의 일측에는 버너(70) 및 절단기(71)를 회동하기 위한 제2공압실린더(7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대(50)의 상측으로는 횡방향으로 핑거(80)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3공압실린더(81)가 설치된다.
상기 센터부재(30)는 회전축(20)상에 공압실린더(31)로 설치되며, 이 공압실린더(31)의 작동로드 상부에 훤넬(F)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위한 원뿔형의 지지구(32)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성형된 훤넬(F)이 이송수단에 의해 턴테이블(10)의 중앙에 이송흡착기(도면에서 생략함)에 의해 적당히 안착되면, 턴테이블(10)이 회전되는 회전축(20)의 중심상으로 설치된 센터부재(30)의 공압실린더(31)는 온(()n) 되는 상태로서, 작동로드를 상승시켜준다.
이때, 작동로드의 상측에 설치된 지지구(32)는 원뿔형상으로 훤넬(F)의 내측 중앙으로 상승되어 훤넬(F)이 협소해지는 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쳐 훤넬(F)의 중심을 정위치로 센터링 시켜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20)의 기어(21)와 타이밍 벨트(42)로 연설된 모터(40)의 스핀들 기어(41)는 모터(40)의 구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연계동작으로 턴테이블(10)은 일정속도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에서 턴테이블(10)의 상측 설치대(50)의 전면에 설치된 버너(70)는 제2공압실린더(73)에 의해 브라켓트(72)를 회동시켜 훤넬(F)의 중심인 모일(M)부에 근접시켜 모일(M)의 절단되는 부분을 집속 가열한다.
여기서, 일정 단위시간동안 턴테이블(10)은 회전하여 모일(M)의 절단부위를 돌려 가면서 가열하고, 가열상태가 절단될 수 있는 절정상태에 이르면, 상기 제2공압실린더(73)는 전진하여 브라켓트(72)를 회동시켜 절단기(71)의 커터부분을 모일(M)에 접촉시켜 모일(M)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이와 연계동작으로 설치대(50)의 상측에 설치된 제3공압실린더(81)가 동작되어져 핑거(80)를 훤넬(F) 의 모일(M)부분에 근접시키고, 이어서 공압이 유지된 채로 핑거(80)부분을 동작시켜 절단됨과 동시에 모일(M)을 파지하며, 이때 제2공압실린더(73)에 의해 절단기(71)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상태에 이어 상기 제3공압실린더(81)는 핑커(80)를 다시 회동시켜 파지한 모일(M)을 제거한 후 다음 행정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버너(70), 절단기(71), 핑거(80)의 동작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한 단위시간(sec)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며, 모일(M)이 절단된 훤넬(F)은 다음공정인 네크 융착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일(M) 절단장치는 훤넬(F)을 턴테이블(10)에 안착시켜 회전하는 방식으로 턴테이블(10)의 자중에 따른 회전에 있어 흔들림이 발생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긍극적으로는 가열하는 면적이 2~4mm 정도의 편차가 발생되어 버너의 편가열 현상이 일어나 네크가 융착되는 훤넬(F)의 절단면이 불균일하여 다음 공정인 네크융착 공정에서 불량률이 다량 발생되어져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훤넬의 모일 절단부위를 가열하는 버너를 고정형식에서 회전형식으로 개선하여 모일부분을 편차없이 가열하려 안정된 상태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운관용 훤넬을 센터부재에 의해 센터링한 후 모일부분을 가열하여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이송대에 대각선상으로 설치되어 이송된 훤넬을 정위치로 받쳐 주는 위치조정 받침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입설된 지지대의 전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설치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어 설치대를 상.하로 동작하는 제1공압실린더와, 상기 설치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와,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어 이동대를 전.후 조정하는 제2공압실린더와, 상기 이동대에 설치되어 모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이동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일을 절단하는 위한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의 타측에 설치되어 모일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으로 설치되는 브라운관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는 종레 브라운관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의 (a), (b)는 종래 모일 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모일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모일 절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일의 절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부분 확대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일의 척킹 상태를 도시한 제4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지지대
130 : 제1공압실린더 200 : 위치조정 받침부재
400 : 설치대 500 : 이동대
600 : 가열수단 700 : 절단수단
800 : 제거수단 F : 훤넬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첨부된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제3도는 본 발명의 모일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모일 절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일의 절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A부분 확대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일의 척킹 상태를 도시한 제4도의 A-A선 단면도이다.
브라운관용 훤넬(F)을 센터부재(300)에 의해 센터링한 후 모일(M)부분을 가열하여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이송대(110)에 대각선상으로 설치되어 이송된 훤넬(F)을 정위치로 받쳐 주는 위치조정 받침부재(2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입설된 지지대(120)의 전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설치대(400)와, 상기 지지대(1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설치대(400)를 상.하로 동작하는 제1공압실린더(130)와, 상기 설치대(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500)와, 상기 설치대(400)에 설치되어 이동대(500)를 전.후 조정하는 제2공압실린더(530)와, 상기 이동대(500)에 설치되어 모일(M)을 가열하는 가열수단(600)과, 상기 이동대(5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일(M)을 절단하는 위한 절단수단(707)과, 상기 절단수단(700)의 타측에 설치되어 모일(M)을 제거하는 제거수단(800)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정 받침부재(700)는 훤넬(F)의 크기에 따라 상면에 다수개의 위치조정공(210)이 형성되고, 이 위치조정공(210)에 끼워져 훤넬(F)의 내측 모서리 부분을 안내 지지하기 위해 하부에 끼움돌기(221)가 형성되고 상부에 안내홈(222)이 형성된 안착구(220)와, 상기 안내홈(222)에 압입 설치되어 훤넬(F)의 내측 모서리 부분을 받치는 안착패드(230)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대(400)는 상면에 이송홈(401)을 형성하되, 이 이송홈(401)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동대(500)를 전.후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 레일(420)과, 상기 제1가이드 레일(420)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절단수단(700)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2가이드 레일(430)과, 상기 절단수단(700)에 일시적인 회전을 가하는 구동모터(440)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500)는 가열수단(600)이 설치되는 직사각면체의 함체(510)와, 상기 함체(51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대(400)의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설치된 제1가이드 레일(420)에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 블록(520)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600)은 제1풀리(611)가 축설된 모터(610)와, 상기 제1풀리(611)에 벨트로 연설되며 제2풀리(612)가 축설된 회전축(620)과, 상기 회전축(620)에 축설되는 회전브라켓트(640)와, 상기 회전브라켓트(64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모일(M)의 절단부분을 가열하는 버너(650)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절단수단(700)은 설치대(400)의 전면에 설치된 제2가이드 레일(4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부에 제2가이드 블록(760)이 부착된 이송브라켓트(710)와, 상기 이송브라켓트(7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모일(M)을 절단하는 커팅부재(720)와, 상기 이송브라켓트(7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평 동작시키는 제3공압실린더(730)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거수단(800)은 설치대(400)의 일측면에 설치된 브라켓트의 일단 길이방향에 설치된 이송레일(810)과, 상기 이송레일(810)에 안내되는 제1이송블록(820)과, 상기 제1이송블록(820)에 연설되어 작동로드로 전.후진 조정하는 제4공압실린더(830)와, 상기 제1이송블록(870)의 하부 횡방항으로 설치되는 제5공압실린더(840)와, 상기 제1이송블록(820)에 연설되어 수평 동작되며 모일(M)을 파지하는 핑거(850)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공정을 거쳐 이송되는 훤넬(F)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 이송대(110)에 안착되어 한 스텝씩 이송되는데, 이때 훤넬(F)이 소정위치, 즉 절단장치의 중앙센터에 이송되어 포토센서(도면에서 생략함)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이송대(110)는 상기 포토센서의 작동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에서 하강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에 설치된 위치조정 받침부재(27)에 임시적으로 재치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의 중심상에 설치된 센터부재(300)의 공압실린더(도면에서 생략함)는 작동로드를 1차적으로 상승시켜 훤넬(F)을 센터링하고, 그 후 다시 작동로드는 하강되었다가 상승되면서 훤넬(F)의 중심을 2차적으로 센터링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센터부재(300)의 공압실린더의 작동로드 상측에 설치된 지지구는 훤넬(F)의 내측 중앙으로 상승되어 훤넬(F)이 협소해지는 부위를 받쳐 훤넬(F)의 중심을 정위치로 센터링시켜 준다.
한편, 위치조정 받침부재(200)에 형성된 위치조정공(210)은 훤넬(F)의 크기에 따른 치수가 마킹되어 있어, 위치조정공(210)에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구(220)를 훤넬(F)의 크기에 따라 각 안착구(220)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돌기(221)를 위치조정공(210)에 착, 탈하여 훤넬(F)을 재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훤넬(F)이 안정적으로 재치되도록 안착구(220)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222)으로는 연질로 제작된 안착패드(230)가 압입 설치되어 훤넬(F)의 모서리부분은 상기 안착패드(23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공정이 이루어지면, 지지대(120)의 상측에 설치된 제1공압실린더(130)가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작동로드를 하강 동작시킨다.
이때, 제1공압실린더(130)의 작동로드측과 연결된 설치대(400)는 하강되어 일정높이에서 미도시된 감지센서에 의해 정지된다.
그 후 설치대(400)에 설치된 제2공압실린더(530)는 설치대(400)의 가이드 플레이트(410)상에 설치된 이동대(500)를 설치대(470)의 전면측으로 밀어 동작시켜 주면, 상기 이동대(500)의 함체(510) 저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 블록(52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상에 설치된 제1가이드레일(420)로 슬라이딩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미도시된 감지센서에 의해 일정거리에서 정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이동대(500)의 함체(510)에 설치된 가열수단(600)의 모터(610)는 축설된 제1풀리(611)를 구동시켜 벨트의 동력으로 하여금 제2풀리(612)를 구동시키며, 이와 연계동작으로 제2풀리(612)에 축설된 회전축(620) 및 회전축(620)에 별도로 축설된 버너(650)를 회전시켜 준다.
한편, 상기 버너(650)는 회전축(620) 하부에 축설된 회전브라켓트(640)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일정속도로 분사되는 화염은 위치조정 받침부재(200)의 구성인 안착구(220)의 안착패드(230) 상면에 재치된 훤넬(F)의 모일(M)부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모일(M)의 절단부위를 집속가열 한다.
여기서, 모일(M)의 절단부위를 가열하는 버너(650)는 종래의 턴테이블이 회전되는 방식에 따른 가열두께에 비해 절단부위의 가열두께를 1mm 이하로 집속하면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단위시간 동안 모일(M)이 가열된 상태가 되면, 설치대(400)에 설치된 제2공압실린더(530)는 이동대(500)의 함체(510)를 첨부된 제4도에서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후진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제1공압실린더(130)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설치대(400)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기 위하여 설치대(400)의 후면측에 웨이트 밸런스가 부착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동대(500)의 후진에 따라 설치대(400)의 전면에 설치된 절단수단(700)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설치대(400)의 측면에 설치된 상기 구동모터(440)에 축설한 구동로울러(442)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로울러(442)와 접촉되며 커팅부재(720)의 상측에 설치된 회전로울러(722)는 일시적으로 회전되는 상태가 되는데 가열수단(600)의 버너(650)의 가열단계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커팅부재(720)의 회전로울러(722)는 커팅부재(720)의 하부에 회전로울러(772)와 축 결합된 커터를 동시에 구동시켜 주며, 이러한 커터날은 임시적으로 구동되다가 설치대(400)의 전면에 설치된 제3공압실린더(730)의 작동으로 이송브라켓트(710)를 상기 제3공압실린더(730)측으로 이동되게 하며, 이에 따라 이송브라켓트(710)의 하부에 설치된 커팅부재(720)의 회전로울러(722)는 상기 구동모터(440)의 구동로울러(442)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회전력을 얻은 커팅부재(720)의커터는 모일(M)에 가열된 절단부위에 접촉되면서 모일(M)을 절단한다.
이와 연계동작으로 절단수단(700)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동작되는 모일(M)의 제거수단(800)은 먼저, 설치대(400)의 일측면에 브라켓트에 설치된 이송레일(810)로 제4공압실린더(830)의 동작에 의해 이송블록은 전진되어 있는 초기상태에서 제1이송블록(820)의 횡방향, 즉 절단수단(700)과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된 제4공압실린더(730)의 작동에 따라 작동로드의 일단에 연설된 핑거는 모일(M)이 절단되는 동시에 모일(M)을 홀딩하는 상태로, 절단공정이 끝남과 동시에 핑거(850)는 모일(M)을 홀딩한 채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제거수단(800)의 구성인 제5공압실린더(8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이송블록(820)을 설치대(400) 전면측에서 후진시키고, 공압에 의해 모일(M)을 척킹한 핑거(850)의 파지력을 해제시켜 주면, 모일(M)은 미도시된 분리구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은 한 사이클로써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훤넬(F)의 모일(M)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훤넬(F)의 모일(M)을 절단함에 있어, 절단부위를 안정된 상태에서 집속하면서 균일하게 가열하기 때문에 편가열을 방지하여 모일(M)의 절단부위를 깨끗이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부위를 가열하는 버너를 고정형식에서 회전형식으로 개선하여 가열하므로써, 종래의 턴테이블 회전방식에 따른 자중의 변형으로 발생되는 버너의 편가열을 방지하여 훤넬로부터 절단되어 떨어져 나가는 절단부위를 균일하게 하여 모일 절단공정의 다음 공정인 네크융착 공정에서의 불량률을 현저히 저하시켜 제품의 신뢰도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브라운관용 훤넬(F)을 센터부재(300)에 의해 센터링한 후 모일(M)부분을 가열하여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레트(100)상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이송대(110)에 대각선상으로 설치되어 이송된 훤넬(F)을 정위치로 받쳐 주는 위치조정 받침부재(2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입설된 지지대(120)의 전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설치대(400)와, 상기 지지대(1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설치대(400)를 상.하로 동작하는 제1공압실린더(130)와, 상기 설치대(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500)와, 상기 설치대(400)에 설치되어 이동대(500)를 전.후 조정하는 제2공압실린더(530)와, 상기 이동대(500)에 설치되어 모일(M)을 가열하는 가열수단(600)과, 상기 이동대(5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일(M)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700)과, 상기 절단수단(700)의 타측에 설치되어 모일(M)을 제거하는 제거수단(800)으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받침부재(200)는 훤넬(F)의 크기에 따라 상면에 다수개의 위치고정공(210)이 향성되고, 이 위치조정공(210)에 끼워져 훤넬(F)의 내측 모서리부문을 안내 지지하기 위해 하부에 끼움돌기(221)가 형성되고 상부에 안내홈(222)이 형성된 안착구(220)와, 상기 안내홈(222)에 압입 설치되어 훤넬(F)의 내측 모서리부분을 받치는 안착패드(23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400)는 상면에 이송홈(401)을 형성하되, 이 이송홈(401)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동대(500)를 전.후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 레일(420)과, 상기 제1가이드 레일(420)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절단수단(700)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2가이드 레일(430)과, 상기 절단수단(700)에 일시적인 회전을 가하는 구동모터(44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500)는 가열수단(600)이 설치되는 직사각면체의 함체(510)와, 상기 함체(51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대(400)의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설치된 제1가이드 레일(420)에 섭동되는 제1가이드 블록(520)으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600)은 제1풀리(611)가 축설된 모터(610)와, 상기 제1풀리(611)에 벨트로 연설되는 제2풀리(612)와, 상기 제2풀리(612)에 축설되는 회전축(620)과, 상기 회전축(620)에 축설되는 회전브라켓트(640)와, 상기 회전브라켓트(64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모일(M)의 절단부분을 가열하는 버너(65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700)은 설치대(400)의 전면에 설치된 제2가이드 레일(430)에 섭동 가능하게 상부에 제2가이드 블록(760)이 부착된 이송브라켓트(710)와, 상기 이송브라켓트(7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모일(M)을 절단하는 커팅부재(720)와, 상기 이송브라켓트(7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평 동작시키는 제3공압실린더(73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800)은 설치대(400)의 일측면에 설치된 브라켓트의 일단 길이방향에 설치된 이송레일(810)과, 상기 이송레일(810)에 안내되는 제1이송블록(820)과, 상기 제1이송블록(820)에 연설되어 작동로드로 전.후진 조정하는 제4공압실린더(830)와, 상기 제1이송블록(820)의 하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공압실린더(840)와, 상기 제5공압실린더(840)의 작동로드에 연설되어 상.하 동작되어 모일(M)을 파지하는 핑거(850)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1019960051748A 1996-11-04 1996-11-04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100191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748A KR100191933B1 (ko) 1996-11-04 1996-11-04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748A KR100191933B1 (ko) 1996-11-04 1996-11-04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669A KR970051669A (ko) 1997-07-29
KR100191933B1 true KR100191933B1 (ko) 1999-06-15

Family

ID=1948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748A KR100191933B1 (ko) 1996-11-04 1996-11-04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607B1 (ko) * 1999-08-04 2004-04-03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모일부 절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5608B1 (ko) * 1999-12-28 2004-04-03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넥크 절단장치
KR20010071106A (ko) * 1999-12-30 2001-07-28 서두칠 넥크 절단설비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669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08B1 (ko) 웨빙 벨트 선단을 곡면 처리하는 장치
KR100611365B1 (ko) 배터리셀 자동용접장치
KR100191933B1 (ko) 브라운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CN116275983A (zh) 一种旋变转子压装机构
US4462776A (en) Tire withdrawal arrangement
WO2021142691A1 (zh) 一种充电柱上锡及焊线自动机
CN219193543U (zh) 一种连续上料的上料工装
CN114310017B (zh) 锂电池极片和电芯芯体焊接机
CN115229267B (zh) 一种钼铜合金棒切割装置
CN111584257A (zh) 电容半成品的加工系统
KR100191932B1 (ko) 브라운관용 네크 융착장치
KR100285679B1 (ko) 음극선관용 훤넬 가공장치
CN113182740B (zh) 双通接头内置焊片组装设备
CN108002024B (zh) 自动摆壳机
CN215357174U (zh) 温控器组装机
CN109940858B (zh) 一种塑胶容器膜内贴标自动送膜设备及其工艺
KR100437893B1 (ko) 음극선관용훤넬가공시스템및그방법
CN2234133Y (zh) 单轴传动式自动扣丝机
KR0148934B1 (ko) 2열 건전지 자동 용접장치
CN220679679U (zh) 通用型屏蔽罩柔性上料全自动激光焊接机
CN109895352B (zh) 一种膜内贴标机用膜自动转移设备
CN114952152B (zh) 新能源汽车电路控制系统用铜排压焊装置
CN220348472U (zh) 一种塑料产品切割机
CN110196534B (zh) 一种全自动曝光机
CN116393825B (zh) 一种温控器焊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