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456B1 -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456B1
KR100285456B1 KR1019960079385A KR19960079385A KR100285456B1 KR 100285456 B1 KR100285456 B1 KR 100285456B1 KR 1019960079385 A KR1019960079385 A KR 1019960079385A KR 19960079385 A KR19960079385 A KR 19960079385A KR 100285456 B1 KR100285456 B1 KR 10028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clutch
speed
sensing
opening amount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037A (ko
Inventor
이국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456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3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2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throttl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2059/366Engine or mot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2059/385Turb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3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16H2061/146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for smoothing gear shift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속 페달에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수단과; 변속기의 입력측 회전수인 터빈 회전수를 감지하는 터빈 회전수 감지수단과; 차량 주행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터빈 회전수가 댐퍼 클러치 해제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댐퍼 클러치 듀티값을 일정값 감소시킨 다음, 다시 일정 기울기로 듀티값을 감소시켜가면서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댐퍼 클러치로 해당 유압을 작동시켜, 댐퍼 클러치의 작동 및 해제를 수행하는 댐퍼 클러치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댐퍼 클러치 해제시에 작동 듀티를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작동쇼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이 발명은 댐퍼 클러치(damper clutch) 작동 쇼크 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댐퍼 클러치 해제시에 작동 듀티를 서서히 감소시켜 작동쇼크를 방지하기 위한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의 가장 큰 결점은 유체를 매개체로 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수동 변속기에 비하여 10%정도 연비가 나쁘다는 점이다. 자동변속기의 내부 손실은 10모드 주행인 경우 약 70%가 토크 컨버터의 유체의 슬립에 의한 손실이며, 약 15%는 구동 손실 그리고 나머지 l5%는 클러치나 밴드의 미끌림에 의한 손실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변속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차속 이상이 되면, 토크 컨버터의 펌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직결시켜 슬립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연비 향상과 정숙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 댐퍼 클러치이다.
일반적으로 댐퍼 클러치의 작동 영역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되어 있으며, 저단부터 작동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엔진 부하에 상관 없이 항상 저단부터 댐퍼 클러치는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댐퍼 클러치를 작동시키는데 있어서, 감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엔진 회전수가 댐퍼 클러치 해제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댐퍼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듀티비를 바로 0%로 감소시킴으로써, 순간적인 쇼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댐퍼 클러치 해제시에 작동 듀티를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작동쇼크를 방지하기 위한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가속 페달에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단과; 변속기의 입력측 회전수인 터빈 회전수를 감지하는 터빈 회전수 감지수단과;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과; 차량 주행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터빈 회전수가 댐퍼 클러치 해제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댐퍼 클러치 듀티값을 일정값 감소시킨 다음, 다시 일정 기울기로 듀티값을 감소시켜가면서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댐퍼 클러치로 해당 유압을 작동시켜, 댐퍼 클러치의 작동 및 해제를 수행하는 댐퍼 클러치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터빈 회전수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터빈 회전수에 따라 댐퍼 클러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 주행 상태가 댐퍼 클러치 해제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댐퍼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듀티값을 일정값 감소시키는 단계와; 댐퍼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듀티값을 일정 기울기로 감소시켜 가면서 댐퍼 클러치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방법의 동작 순서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에 따른 회전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 듀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방법의 동작순서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에 따른 회전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 듀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쇼크 방지장치의 구성은, 변속기의 입력측 회전수인 터빈 회전수를 감지하는 터빈 회전수 감지부(10)와, 가속 페달에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부(20)와, 엔진 구동에 따른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부(30)와, 상기 감지부(10∼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스로틀 밸브 5개도량과 엔진 회전수에 따라 댐퍼 클러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댐퍼 클러치를 해제시켜야 하는 경우에 해당 듀티를 일정값 감소시킨 다음, 설정된 기울기에 따라 서서히 감소시키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댐퍼 클러치로 해당 유압을 공급하는 댐퍼 클러치 구동부(70)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감지부(10∼30)는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가 파워 온(power on)상태에서 댐퍼 클러치가 해제되는 경우에만 해제 쇼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한다.
차량의 주행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터빈 회전수를 감지하여 댐퍼 클러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로틀 개도량 감지부(20)는 가속 페달의 연동하여 그 개도량이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터빈 회전수 감지부(10)는 임펠러에 의하여 전달되는 엔진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는 터빈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S110∼S120).
상기 제어부(40)는 감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터빈 회전수에 따라 댐퍼 클러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S130), 댐퍼 클러치를 해제시켜야 하는 주행 상태인 경우에 첨부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댐퍼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듀티값을 일정값(A)으로 감소시킨다(S140).
상기와 같이 차량의 주행 상태가 파워 온 상태이고 댐퍼 클러치를 해제시켜야 하는 경우에 듀티값을 일정값 감소시킨 다음, 다시 첨부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듀티비를 일정 기울기(α)로 순차적으로 감소시켜 나간다(S150).
댐퍼 클러치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듀티값을 일정 기울기로 감소시키면서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상기 댐퍼 클러치 구동부(50)는 댐퍼 클러치로 인가되는 유압을 감소시켜 댐퍼 클러치가 해제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0)는 댐퍼 클러치 듀티값을 일정값 감소시킨 다음,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여 댐퍼 클러치의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S160).
댐퍼 클러치가 해제됨에 따라 첨부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엔진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엔진 회전수와 터빈 회전수는 일정한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감지되는 엔진 회전수가 댐퍼 클러치 회전수보다 크면 댐퍼 클러치가 해제되어 슬립이 발생하는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댐퍼 클러치가 해제시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어부(40)는 댐퍼 클러치의 슬립율이 목표 슬립율이 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수행한다(S180).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댐퍼 클러치 해제시에 작동 듀티를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작동쇼크를 방지하기 위한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가속 페달에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 수단과; 변속기의 입력측 회전수인 터빈 회전수를 감지하는 터빈 회전수 감지수단과; 차량 주행 상태가 파워 온 상태이고 차량 주행 상태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터빈 회전수가 댐퍼 클러치 해제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댐퍼 클러치 듀티값을 일정값 감소시킨 다음, 다시 일정 기울기로 듀티값을 감소시켜가면서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댐퍼 클러치로 해당 유압을 작동시켜, 댐퍼 클러치의 작동 및 해제를 수행하는 댐퍼 클러치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수단은, 듀티값을 감소시킨 다음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고, 엔진 회전수가 댐퍼 클러치 회전수보다 크면 댐퍼 클러치가 해제되어 슬립이 발생하는 상태로 판단하여 댐퍼 클러치의 슬립율이 목표 슬립율이 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장치.
  4.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터빈 회전수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터빈 회전수에 따라 댐퍼 클러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 주행 상태가 댐퍼 클러치 해제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댐퍼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듀티값을 일정값 감소시키는 단계와; 댐퍼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듀티값을 일정 기울기로 감소시켜 가면서 댐퍼 클러치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듀티값을 감소시킨 다음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는 단계와; 엔진 회전수가 댐퍼 클러치 회전수보다 크면 댐퍼 클러치가 해제되어 슬립이 발생하는 상태로 판단하여, 댐퍼 클러치의 슬립율이 목표 슬립율이 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방법.
KR1019960079385A 1996-12-31 1996-12-31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28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385A KR100285456B1 (ko) 1996-12-31 1996-12-31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385A KR100285456B1 (ko) 1996-12-31 1996-12-31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037A KR19980060037A (ko) 1998-10-07
KR100285456B1 true KR100285456B1 (ko) 2001-06-01

Family

ID=3751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385A KR100285456B1 (ko) 1996-12-31 1996-12-31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663B1 (ko) * 2000-05-31 2003-12-31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로크업 제어 장치
US9121498B2 (en) 2011-12-08 2015-09-01 Hyundai Motor Company Damper clutch control apparatus of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859B1 (ko) * 2002-06-18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토오크 컨버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663B1 (ko) * 2000-05-31 2003-12-31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로크업 제어 장치
US9121498B2 (en) 2011-12-08 2015-09-01 Hyundai Motor Company Damper clutch control apparatus of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037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2025B1 (en) Apparatus for increasing vehicle drive power source output upon accelerator redal operation during vehicle coasting with automatic transmission in released state
KR100836915B1 (ko) 자동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357587B1 (ko) 댐퍼 클러치 해제 제어방법
KR100285456B1 (ko) 댐퍼 클러치 작동 쇼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U718360B2 (en) Control system of a downshift by an automatic transmission gear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10039157A (ko)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KR100302804B1 (ko) 자동변속기의변속제어방법
US6383117B1 (en) Damper clutch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35402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연비 제어방법
KR100387875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댐퍼 클러치 제어방법
KR20010057657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총합 제어 방법
KR10029035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브레이킹시변속제어방법
KR100350150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방법
KR100320532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KR100285470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0280629B1 (ko) 자동차 시동 꺼짐 방지 방법
KR100357590B1 (ko) 연료 차단 해제시 댐퍼 클러치 제어방법
JPS6035816Y2 (ja) 車輌用自動変速機のクリ−プ防止装置
JPH0532869U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279455B1 (ko) 자동변속기의 록크 업 클러치 제어방법
KR10032052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KR100270544B1 (ko) 변속시 변속충격 완화장치
KR100264595B1 (ko) 아이들시 록크 업 클러치 제어방법
KR100279438B1 (ko) 자동변속기의 급가속 제어방법
KR20030029286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