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029B1 - 버스의 공조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버스의 공조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029B1
KR100285029B1 KR1019970076895A KR19970076895A KR100285029B1 KR 100285029 B1 KR100285029 B1 KR 100285029B1 KR 1019970076895 A KR1019970076895 A KR 1019970076895A KR 19970076895 A KR19970076895 A KR 19970076895A KR 100285029 B1 KR100285029 B1 KR 10028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switch
driver
heater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875A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0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02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버스등 대형차에서 승객이 승객석에 설치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공조시스템을 동작 및 차단시켜 주도록 하기 위한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운전자가 히터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승객석에 부착된 스위치의 모니터등이 점등되는 단계 1; 상기 단계 1 후에 승객이 공조요청스위치를 작동시켰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승객이 공조요청스위치를 작동시켰다면, 공조요청스위치의 내부램프가 점등되고, 운전석의 콘트롤러에서는 히터 및 에어컨동작스위치가 점등됨과 동시에 벨출력부에서 벨음이 출력되는 단계 3; 상기 단계 3 후에 운전자가 승객의 공조 요청을 인식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여 히터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켰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4에서 운전자가 히터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켰다면 모니터등 및 공조요청스위치가 점등되고, 승객석의 히터가 동작되는 단계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의 공조제어방법
본 발명은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버스등 대형차에서 승객이 승객석에 설치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공조시스템을 동작 및 차단시켜 주도록 하기 위한 버스의 공조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a bus)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자동차의 주행중에는 외기를 흡입하여 공조 즉, 가열하거나 냉각을 하여 실내에 유입시킨다. 여기서, 승객이 많이 승차하는 버스등 대형자동차등에서는 여러개의 공조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대한 각각의 작동스위치는 운전석 옆에 배열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운전석등에서 일괄적으로 버스의 공조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버스의 운전자는 자기의 상태에 따라 히터 밑 에어컨등 공조장치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운전석과 승객석에서 느끼는 온도의 편차는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한 버스에서는 운전자가 일괄적으로 작동시킨 공조장치를 승객이 너무 덮거나, 춥게 느끼게 되는데, 운행중인 버스에서 운전자에게 큰소리로 공조시스템의 동작 및 차단을 요청하기란 쉽지 않아 대부분의 탑승객들은 공조 시스템에 대한 불쾌감 및 어려움을 감수할 수 밖에 없게 되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감 및 편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스에서 승객석의 공조조건을 알 수 없는 운전자에게 승객석의 공조장치의 차단 및 동작을 일임하는 것이 아니라, 승객석 부근의 공조장치의 동작 및 차단을 승객이 할 수 있게 하는 버스의 공조제어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에서 승객석에 부착되는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에서 운전석에 부착되는 콘트롤러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콘트롤러, 12: 에어컨 동작 스위치, 14: 히터 동작스위치 16: 벨출력부, 22: 모니터등, 24: 공조요청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가 히터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승객석에 부착된 스위치의 모니터등이 점등되는 단계 1; 상기 단계 1 후에 승객이 공조요청스위치를 작동시켰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승객이 공조요청스위치를 작동시켰다면, 공조요청스위치의 내부램프가 점등되고, 운전석의 콘트롤러에서는 히터 및 에어컨동작스위치가 점등됨과 동시에 벨출력부에서 벨음이 출력되는 단계 3; 상기 단계 3 후에 운전자가 승객의 공조 요청을 인식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여 히터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켰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4에서 운전자가 히터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켰다면 모니터등 및 공조요청스위치가 점등되고, 승객석의 히터가 동작되는 단계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에서 승객석에 부착되는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도 3은 본 발명의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에서 운전석에 부착되는 콘트롤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공조방법은, 운전석에 부착된 콘트롤러(10) 및 승객석에 장착되는 스위치(20)를 포함한다. 승객석에 장착되는 스위치(20)는 일반 버스에 장착되는 하차벨과 같은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위는 모니터등(2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공조요청스위치(2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운전석에 부착되는 콘트롤러(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어컨 동작스위치(12) 및 히터 동작스위치(14), 벨출력부(16)로 구성된다. 버스에서 겨울철에 히터가 동작하는 것을 예를 들면, 운전자가 히터 동작 스위치(14)를 동작시키면 승객석에 부착된 스위치(20)의 모니터등(22)이 점등된다. 승객은 모니터등(22)을 보고 스위치(20)의 중앙에 설치된 공조요청스위치(24)를 사용하여 승객석의 해당 블로워를 임의 대로 정지 및 동작시키는 것이다. 블로워가 작동하면 공조요청스위치(24)의 내부램프(REQ)가 점등되고, 이상태에서 공조요청스위치(24)를 다시 한번 누르게 되면 블로워가 꺼지고 공조요청스위치(24)의 내부등도 소등된다. 만약 운전자가 히터 동작 스위치(14)를 동작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승객석에 부착된 스위치(20)의 모니터등(22)도 소등된다. 이 상태에서 승객이 승객석의 히터 동작 스위치(14)를 동작시키면 운전석에 부착되는 콘트롤러(10)의 벨출력부(16)에서는 벨음이 출력되어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여 히터 동작 스위치(14)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공조제어방법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히터 동작 스위치(14)를 동작시키면 승객석에 부착된 스위치(20)의 모니터등(22)이 점등된다(단계 1). 즉, 승객석의 모니터등(22)이 점등된 상태에서는 공조요청스위치(24)는 승객석의 블로워상태를 온 및 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블로워를 온시키면 공조요청스위치(24)도 점등되어 블로워가 점등되어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승객은 모니터등(22)이 점등된 상태를 보고 스위치(20)의 중앙에 설치된 공조요청스위치(24)를 사용하여 승객석의 해당 블로워를 임의 대로 정지 및 동작시키는 것이다.
상기 단계후에 승객이 공조요청스위치(24)를 작동시켰는지를 판단하여, 승객이 공조요청스위치(24)를 작동시켰다면(단계2), 공조요청스위치(24)의 내부램프(REQ)가 점등되고, 운전석의 콘트롤러(10)에서는 히터동작스위치(14)가 점등됨과 동시에 벨출력부(16)에서 벨음이 출력된다.(단계 3)
상기 단계후에 콘트롤러(10)는 운전자가 승객의 공조 요청을 인식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여 히터 동작 스위치(14)를 동작시켰는지를 판단하여(단계 4) 운전자가 히터 동작 스위치(14)를 동작시켰다면 모니터등(22) 및 공조요청스위치(24)가 점등되고, 승객석의 히터가 동작된다.(단계 5)
여기서 히터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에어컨의 작동원리도 동일하다. 공조요청스위치(24)는 모니터등(2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니터등(22)은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히터동작스위치(14)를 동작시켜 히터 및 에어컨이 작동할 때 점등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공조요청스위치(24)는 해당 승객석의 블로워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에 의하여, 버스에서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운전자가 일방적으로 운용하는 히터 및 에어컨 때문에 승객이 받는 불편함과 어려움을 승객이 직접 히터 및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의 공조장치의 사용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공조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운전자가 히터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승객석에 부착된 스위치의 모니터등이 점등되는 단계 1;
    상기 단계 1 후에 승객이 공조요청스위치를 작동시켰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승객이 공조요청스위치를 작동시켰다면, 공조요청스위치의 내부램프가 점등되고, 운전석의 콘트롤러에서는 히터 및 에어컨동작스위치가 점등됨과 동시에 벨출력부에서 벨음이 출력되는 단계 3;
    상기 단계 3 후에 운전자가 승객의 공조 요청을 인식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여 히터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켰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4에서 운전자가 히터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를 동작시켰다면 모니터등 및 공조요청스위치가 점등되고, 승객석의 히터가 동작되는 단계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공조제어방법.
KR1019970076895A 1997-12-29 1997-12-29 버스의 공조제어방법 KR10028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895A KR100285029B1 (ko) 1997-12-29 1997-12-29 버스의 공조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895A KR100285029B1 (ko) 1997-12-29 1997-12-29 버스의 공조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875A KR19990056875A (ko) 1999-07-15
KR100285029B1 true KR100285029B1 (ko) 2001-05-02

Family

ID=6617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895A KR100285029B1 (ko) 1997-12-29 1997-12-29 버스의 공조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0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875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97243A (ja) 車両の空調装置とシート用加熱冷却装置
JP2008307406A (ja) 車両用座席
JP2012012016A (ja) オープンカー用冷暖房システム
JPS6277217A (ja) 自動車の車内用暖房装置及び/または冷房装置
KR100285029B1 (ko) 버스의 공조제어방법
JP2001150921A (ja) 車載用デュアル空気調和システム
JP3985646B2 (ja) 車両用空気吹出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
JPH0311922B2 (ko)
JPH07237511A (ja) 自動車付属機器の制御装置
KR100211376B1 (ko) 자동차용 냉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50724A (ko) 자동차 시트 공조장치
KR19990049502A (ko) 차내 온도 자동조절방법
JP3102517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CN217804452U (zh) 一种座椅自动通风加热系统及汽车
JPS6167617A (ja) 車両用暖房装置
KR100208603B1 (ko) 승차인원을 고려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274822B1 (ko) 원격시동시 자동차 에어컨 자동 제어장치
JP2701211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9980058626A (ko) 열선이 내장된 스트어링 휠
KR20040036088A (ko) 전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템프 도어 제어방법
JPH05201240A (ja) 自動車の室内換気構造
KR960007222A (ko) 승차인원 및 승차위치에 따른 공조장치 및 그 방법
KR970034511A (ko) 차량용 실내환풍 자동조절장치
KR20040085464A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제어방법
JPS61253209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