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575B1 - 연삭숫돌가공을위한기준선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연삭숫돌가공을위한기준선정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3575B1 KR100283575B1 KR1019980018370A KR19980018370A KR100283575B1 KR 100283575 B1 KR100283575 B1 KR 100283575B1 KR 1019980018370 A KR1019980018370 A KR 1019980018370A KR 19980018370 A KR19980018370 A KR 19980018370A KR 100283575 B1 KR100283575 B1 KR 1002835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te
- center
- shaft
- grinding
- grinding wheel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삭숫돌 가공을 위한 기준선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회 및 전후좌우 이동되며 연삭숫돌의 연삭면을 가공하는 바이트의 날끝선단이 바이트의 선회중심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24)의 선회중심에 중공형의 회전축(6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62)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승하강 록킹되는 기준축(68)을 삽입시키되; 상기 기준축(68)의 하단부에는 기준축(68)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바이트(24) 방향으로 가공된 평면부(88), 및 상기 평면부(88)와 직교되는 위치에 경사지게 가공되는 미러면(74)을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88)에는 상기 바이트(24)의 날끝선단과 일치되는 슬라이드팁(72)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사각홀(7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이트의 날끝 선단이 바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중심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축을 제공하므로서, 작업자가 간편하고 정확하게 숫돌의 외면 특히 라운딩 가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삭숫돌 가공을 위한 기준선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연삭숫돌과 이를 가공하기 위한 바이트 사이에 바이트의 날끝선단이 바이트의 회전중심 위치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축을 구비하여 연삭숫돌의 외변을 정교하게 가공 또는 라운딩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삭숫돌 가공을 위한 기준선 정렬장치{A basis line arrange device for grindstone surface grind}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기는 숫돌바퀴를 회전시켜 일반절삭공구, 드릴, 밀링커터의 연삭 및 높은 경도의 재료를 정밀 다듬질하는데 사용하는 공작기계로서 1차 가공된 공작물의 표면을 연삭하여 가공면을 평활하게 다듬질 하는 것이다.
상기의 연삭기는 공작물의 가공면을 일정형태의 모양으로 가공하게 되는데, 이렇게 일정형태의 모양으로 표면을 가공 특히, 라운딩 가공을 위해서는 연삭숫돌의 외면을 공작물의 가공되면과 일치시켜야 하므로 연삭숫돌의 외면을 가공용 공구로 가공하게 된다.
이때, 연삭숫돌의 외면을 정교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바이트의 날끝 선단을 연삭숫돌의 외면 수평중심과 정확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가공하여야 하고, 또한 연삭숫돌의 외면을 라운딩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이트의 날끝 선단이 회전되는 중심의 기준점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고정시킨후 작업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연삭기의 이송 플레이트에 바이트가 고정된 지그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눈으로 보면서 회전되는 숫돌바퀴의 외면을 가공하여 왔었다.
즉, 종래의 지그는 지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는 지그의 상측을 좌우 및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되며, 그 타측에는 상기 핸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되는 바이트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트의 날끝 선단에는 연삭숫돌을 가공하기 위한 다이아몬드 심재가 부착된다.
또한, 이러한 수가공을 해결하기 위해 바이트의 날끝 선단의 중심위치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교정시킬 수 있도록 현미경 렌즈를 이용한 방법으로 바이트 날끝선단이 회전중심에 위치되도록 한 후 연삭숫돌의 외면을 가공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왔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준선 정렬장치는, 수작업으로 연삭숫돌의 회면을 가공하게 되면 작업자가 일일이 확인하며 연삭숫돌의 외측면 수평중심과 바이트의 날끝선단을 일치시키면서 작업해야 하고, 또한 바이트 날끝 선단이 회전되는 기준점을 알 수 없어 숙련된 감각만으로 작업해야 함에 따라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이트의 날끝선단 회전중심 위치를 현미경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구입비의 부담 및 작업자마다 관측하는 위치에 따라 약각씩 오차가 발생되어 작업시 많은 공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이트의 날끝 선단이 바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중심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축을 제공하므로써, 작업자가 간편하고 정확하게 숫돌의 외면 특히 라운딩 가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선 정렬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1의 평면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Ⅲ"부 상세도로서, 도 3a는 측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3b는 정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연삭기 B : 가공부
C : 기준선정렬부 20 : 연삭숫돌
22 : 모터하우징 24 : 바이트
26 : 베이스부재 28 : 상하고정부재
30 : 수평이송부재 32 : 전후이송부재
34 : 회동부재 36 : 이송부재
38 : 가공부재 40 : 보올트
42,48 : 지지블럭 44 : 나사축
46 : 수평이송핸들 50 : 나사축
52 : 전후이송핸들 54 : 축삽입홀
56 : 회전각조절부재 58 : 고정체
60 : 테이퍼 베어링 62 : 회전축
64 : 스토퍼부재 66 : 핸들
68 : 기준축 70 : 사각홀
72 : 슬라이드 팁 74 : 미러면
76 : 머리부 77 : 부피감소용 홀
78 : 핀삽입홀 80 : 마이크로미터기
82,82a,82b,82c : 표시부 84 : 록킹핀
86 : 회전각조절판 88 : 평면부
90 : 록킹부재 92 : 록핑핀
94 : 조절용 블록 96 : 스토퍼 보올트
98 : 록킹레버 100 : 이동거리 조절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회 및 전후좌우 이동되며 연삭숫돌의 연삭면을 가공하는 바이트의 날끝선단이 바이트의 선회중심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의 선회중심에 중공형의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승하강 록킹되는 기준축을 삽입시키되; 상기 기준축의 하단부에는 기준축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바이트 방향으로 가공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직교되는 위치에 경사지게 가공되는 미러면을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바이트의 날끝선단과 일치되는 슬라이드팁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사각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는 외주면 테두리에 1㎜간격으로 360등분된 눈금이 새겨지는 회전각조절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상하 외주면에는 테이퍼 베어링을 상하로 대향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미러면은 작업자가 정면에서 투시할 때 상기 슬라이드 팁 선단과 바이트의 날끝 선단의 평면이 투시되도록 경사각이 45도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삭숫돌 가공을 위한 기준선 정렬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선 정렬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의 "Ⅲ" 부 상세도록서 도 3a는 측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3b는 정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Ⅳ-Ⅳ 선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Ⅴ" 부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준선 정렬장치는, 공작물을 좌우 이송시키는 이송플레이트, 및 회전시에 공작물의 표면을 평활하게 연삭하는 연삭숫돌(20), 그리고 상기 연삭숫돌(20)을 회전시키는 모터하우징(22)으로 이루어지는 연삭기(A)와: 상기 연삭기(A)의 모터하우징(22)에 고정되어 상기 연삭숫돌(20)의 외면을 가공하기 위한 바이트(24)를 전후 좌우 및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부(B); 및 연삭숫돌(20)과 이를 가공하기 위한 바이트(24) 사이에 제공되어 바이트(24)의 날끝 선단이 연삭숫돌(20)의 외측면 수평 중심방향에 일치시키도록 하는 기준선정렬부(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부(B)는, 모터하우징(22)의 상측에 입설되는 베이스부재(26), 상기 베이스부재(26)의 일측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상하고정부재(28), 상기 상하고정부재(28)에 수평상태로 결합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좌우 이송되는 수평이송부재(30), 상기 수평이송부재(30)의 선단에 구비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전후이송부재(32), 상기 전후이송부재(32)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부재 (34), 상기 회동부재(34)의 저면에 결합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이송부재(36), 상기 이송부재(36)에 결합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좌우 이송되는 가공부재 (38), 상기 가공부재(38)의 하단부에 보올트(40) 결합되는 바이트(24)로 이루어진 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은 통상 사용되는 이송방식으로 서로 밀착되어 있는 부재와 부재의 대향면을 T자형 돌기와 T자형 홈으로 각기 가공시킨 후 이들을 결합시켜 슬라이드 이송시키는 방식을 취하게 되거나, 또는 부재의 T자형 돌기 상측면에 랙기어를 형성시키고 이에 결합되는 부재에 핸들이 구비된 피니언기어를 결합시키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송고정부재(28)와 수평이송부재(30)는,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이송부재(30)의 일측에는 지지블럭(42)이 구비되고, 이 지지블럭(42)에는 나사축(44)이 결합되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나사축 (44)의 일측단에는 손잡이용 수평이송핸들(46)이 구비되고, 상기 나사축(44)의 타측단부는 상기 상하고정부재(28)의 일측에 슬라이드 고정결합되어져 상기 수평이송핸들946)을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축(44) 선단이 상하고정부재(28)의 일면에 고정됨에 따라 수평이송부재(30)가 상기 수평이송핸들946)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거리 전후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이송되도록 상기 상하고정부재(28)의 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T자형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향되는 상기 수평이송부재 (30)에는 상기 돌기부가 슬라이드 끼움 결합되도록 T자형 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상기 수평이송부재(30)의 타측에는 지지블럭(48)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블럭(48)에는 나사축(50)이 구비된다. 상기 나사축(50)의 노출되는 일측단부에는 전후이송핸들(52)이 구비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전후이송부재(32)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후이송핸들(52)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전후이송부재(32)를 소정거리 슬라이드 이송사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이송부재(3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축삽입홀(54)이 형성되며, 상기 축삽입홀(54)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회전각조절부재(56)가 구비되고, 그 하측에는 고정체(58)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내부에는 상하 한 쌍의 테이퍼 베어링(60)(60a) 외주면이 각각 고정 구비되고, 상기 테이퍼 베어링(60)(60a)의 내주면은 상기 축삽입홀(54)에 삽입되는 중공형 회전축(62)의 상하 외주면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각조절부재(56)의 상측에는 회전각도를 결정시키는 스토퍼 부재(64)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2)의 회전시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체(58)의 하측에는 상기 회동부재(34)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2)의 회전시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재(64)의 상측 중앙으로 연장되는 상기 회전축(62)의 상단외주면에는 상기 기준축(68)을 록킹핀(84)으로 핀 고정시키는 핀 삽입홀(7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각조절부재(56)의 내측에는 외주면에 눈금이 새겨진 회전각조절판(86)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2) 회전시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눈금은 1도가 1㎜로 표시되어 외주면이 36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각도단위를 미터단위로 표시하는 이유는 1㎜에 대한 공차를 1/100 가지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측정값은 후술될 디지털표시부(82c)에 표시된다.
다시말해, 상기에서 회전각조절판(86)의 눈금을 60등분하여 각도(1°)단위로 표시하는 경우 디지털표시부(82c)에는 35°30′ 또는 45°59′등 미세단위로서 1°를 60으로 세분한 칫수가 표시되는 것이지만, 이를 본 발명에서와 같이 1㎜의 단위로 표시하게 됨으로서 디지털표시부(82c)에 표기될 미세단위 역시 1/100㎜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4)의 저면에는 이송수단에 의해 전후 흘라이드 이동 되는 이송부재(3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36)의 저면에는 이송수단에 의해 좌우 이송되는 가공부재(3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부재(38)의 하단에는 바이트(24)가 수평상태로 보올트(40)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34)의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는 상기 이송부재(36)의 상측에 돌출되는 T자형 돌기가 슬라이드 결합되되, 상기 돌기의 상면에는 래크면이 형성되어져 상기 회동부재(34)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용 핸들(66)의 회전시 상기 피니언기를 회전시켜 래크면이 형성되는 이송부재(36)를 소정거리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36)의 일측면에는 마이크로미터기(80)가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로미터기(80)의 손잡이를 조절시키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미터기(80)의 선단이 고정된 상기 가공부재(38)가 이송수단에 의해 전후방으로 소정거리 이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준선정렬부(C)는 상기 스토퍼부재(64), 회전각조절부재(56), 전후이송부재(32), 고정체(58), 및 회동부재(34)에 제공되는 축삽입홀(54)의 회전축(62) 내경에 슬라이드 삽입 고정되는 기준축(68)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축(68)은 하단이 상기 연삭숫돌(20)의 바퀴 외측면 수평중심과 바이트(24) 사이에 선택적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되, 상기 기준축(68)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삭숫돌(20)의 외측면 수평중심위치에 중심선이 일치되는 사각홀(70)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홀(70)에는 상기 바이트(24)의 날끝선단을 일치시키도록 중심이 돌출되는 슬라이드 팁(72)을 구비하며, 또한 그 일측에는 작업자가 정면에서 투시할 때 슬라이트 팁(72)의 선단과 바이트(24)의 날끝 선단의 평면이 투시되도록 경사딘 미러면(74)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러면(74)의 각도는 45도로 경사지게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각홀(70)이 형성되는 평면부(88)는 그 평면이 상기 기준축(68)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L" 만큼 이격된 위치에 정교하게 가공된 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사각홀(7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팁(72) 선단과 이에 일치되는 바이트(24)의 선단이 수평상태로 정렬되고 난 후 상기 바이트(24)의 날끝선단이 상기 바이트(24)의 선회중심 즉, 상기 기준축(68)의 중심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에를들어, 작업자가 슬라이드 팁(72) 선단과 바이트(24)의 날끝선단을 정렬시키고 난후 바이트(24)가 고정된 상기 가공부재(38)를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킨후 5㎜로 정교하게 가공된 블록게이지를 상기 기준축(68)의 평면부(88)에 밀착시키고 이에 바이트924)의 날끝선단을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바이트(24)의 날끝선단은 상기 기준축(68)의 중시으로부터 2㎜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수평이송핸들(46) 또는 상기 이송부재(36)의 측면에 구비된 마이크로미터기 (80)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바이트(24)를 상기 기준축(68) 방향으로 2㎜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바이트(24)의 날끝선단은 상기 기준축(68)의 중심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준축(68)의 상측에는 회전축(62) 내를 통과하지 않도록 외경이 큰 머리부(76)가 구비되며, 상기 머리부(76) 하측의 기준축(68) 외주면 상하부에는 핀 삽입홀(78)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축(68)의 상단 머리부(76)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 선단이 상기 머리부(76)에 고정되도록 한 후 전원 온오프 동작신호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기준축(68)을 규칙적으로 셋팅된 이송거리 만큼 승하강시킴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부호 82,82a,82b,82c는 디지털 표시부로서 이들은 핸들 조절시 수평이송부재(30), 전후이송부재(32), 및 이송부재(36)의 이송거리와 회전각도조절부재(56)내의 각도조절판(86)이 회동되는 거리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90은 록킹부재로서, 상기 전후이송부재(32)의 상면 일측에 입설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록킹핀(92)이 적어도 3개 이상을 가지며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64)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복수개의 조절용 블록(94)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용 블록(94)에는 선단이 상기 록킹핀(92)에 맞닿음되어 이동이 제한되도록 스토퍼 보올트(96)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도면부호 98은 록킹레버로서, 일측의 나사부가 상기 전후이송부재(32)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레버(98)의 회전에 따라 그 선단이 상기 회전축(62)의 외면에 결합되어져 상기 회전축(62)의 회동을 억제세키는 것이다. 또한, 미설명 부호 100은 록킹편으로서, 상기 록킹편(100)은 상기 회동부재(34)에 결합되어 핸들 (66)의 회전시 이송되는 이송부재(36)의 이송거리를 제한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 77은 부피감소용 홀로서, 상기 부피감소용 홀(77)은 상기 기준축(68)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소정깊이를 가지며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준선 정렬장치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가 바이트(24)로 연삭숫돌(20)의 외면을 가공하고자 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부재(26)에 결합된 상하고정부재(28)을 승하강 시켜 바이트(26)의 날끝선단이 연삭숫돌(20)의 수평중심에 위치되도록 한 후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되며 기준축(68)을 고정시키는 록킹핀(84)을 탈거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준축(68)을 하강시킨 다음, 상기 록킹핀(84)을 상기 기준축(68)의 상부에 위치한 핀 삽입홀(78)에 재고정시킨다. 그러면 하강된 상기 기준축(68)의 하단 평면부(88)에 형성되는 사각홀(70)의 상측 중앙부가 상기 연삭숫돌 (20)의 수평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연속해서, 작업자는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사각홀(70)에 슬라이드 팁(72)을 끼우되, 중심선단을 갖는 돌출선단이 상기 바이트(24)의 날끝 선단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슬라이드 삽입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측에 마련되는 수평이송핸들(46)을 회전시켜 바이트(24)의 날끝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 팁(72)의 중심선단에 근접하도록 한다. 그런다음, 작업자는 상기 기준축(68)의 하단부에 형성된 미러면(74)를 통해 슬라이드 팁(72)과 바이트(24)의 날끝 선단이 정확히 일치되게 평면상태로 관측하면서 이송부재(36)의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로미터기(80)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면서 가공부재(38)를 이송시켜 기준선을 정렬시킨다.
이상태에서 슬라이드 팁(72)의 기준선단과 바이트(24)의 기준선단이 일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마이크로미터기(80)의 핸들을 회전시켜 바이트(24)를 일정거리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그런다음 정교하게 가공된 블록게이지, 예를들면 5㎜의 블록게이지를 상기 기준축(68)의 평면부(88)에 밀착시킨후 그 타측면에 바이트(24)의 날끝선단이 일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기준축(68)의 중심으로부터 바이트(24)의 날끝선단은 정확하게 2㎜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상태에서 기준축(68)은 초기상태와 같이 상향으로 슬라이드 이송시킨후 록킹핀(84)으로 고정시킨 다음, 상기 바이트(24)를 2㎜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바이트(24)의 날끝선단은 상기 기준축(68)의 평면부(88)로부터 3㎜ 이격된 위치 즉, 상기 기준축(68)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수평이송핸들946)을 회전시켜 상기 바이트(24)의 날끝 선단이 연삭숫돌(20)의 외측표면에 근접되도록 하고, 연속된 작동으로 마이크로미터기(80) 또는 회동부재(34)에 구비되는 핸들(66)을 회전 및 선회시켜 연삭숫돌(20)의 표면을 가공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각조절판(86)은 상기 회전축(62)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져 상기 핸들(66)을 회전시킬 때 바이트(24)의 날끝선단이 기준축(68)의 중앙중심으로 회전되는 각도 즉, 선회거리를 미터 단위계로 표시하여 디지털 표시부(82c)에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삭숫돌 가공을 위한 기준선 정렬장치는, 바이트의 날끝 선단이 회전중심 방향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축을 제공하므로써, 작업자가 숫돌의 외면을 간편하고 정교하게 가공하며 특히 라운딩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 선회 및 전후좌우 이동되며 연삭숫돌의 연삭면을 가공하는 바이트의 날끝선단이 바이트이 선회중심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의 선회중심에 중공형의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승하강 록킹되는 기준축을 삽입시키되; 상기 기준축의 하단부에는 기준축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바이트 방향으로 가공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직교되는 위치에 경사지게 가공되는 미러면을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바이트의 날끝선단과 일치되는 슬라이드 팁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사각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선 정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는 외주면 테두리에 1㎜ 간격으로 360 등분된 눈금이 새겨지는 회전각조절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선 정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상하 외주면에는 테이퍼 베어링이 대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선 정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면은 작업자가 정면에서 투시할 때 상기 슬라이드 팁 선단과 바이트의 날끝 선단의 평면이 투시되도록 경사각이 45도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선 정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8370A KR100283575B1 (ko) | 1998-05-21 | 1998-05-21 | 연삭숫돌가공을위한기준선정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18370A KR100283575B1 (ko) | 1998-05-21 | 1998-05-21 | 연삭숫돌가공을위한기준선정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85755A KR19990085755A (ko) | 1999-12-15 |
KR100283575B1 true KR100283575B1 (ko) | 2001-10-27 |
Family
ID=6589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8370A KR100283575B1 (ko) | 1998-05-21 | 1998-05-21 | 연삭숫돌가공을위한기준선정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357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9782B1 (ko) * | 2015-03-03 | 2016-07-15 | 김철수 | 연마휠용 드레싱 장치 |
KR20230030779A (ko) | 2021-08-26 | 2023-03-07 | 조명래 | 연삭숫돌 드레싱장치 |
-
1998
- 1998-05-21 KR KR1019980018370A patent/KR10028357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9782B1 (ko) * | 2015-03-03 | 2016-07-15 | 김철수 | 연마휠용 드레싱 장치 |
KR20230030779A (ko) | 2021-08-26 | 2023-03-07 | 조명래 | 연삭숫돌 드레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85755A (ko) | 1999-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39682A (en) | Tube end finishing machine | |
JP2004001182A (ja) | ロッド材料にフライス作業および旋削作業を実施するフライス盤 | |
JP2001150256A (ja) | ワークの複合加工方法 | |
JP2010149239A (ja) | 工作機械による偏芯穴加工方法 | |
KR100283575B1 (ko) | 연삭숫돌가공을위한기준선정렬장치 | |
US3848865A (en) | Cutting tool holding device | |
US3680268A (en) | Workpiece vise support attachment for surface grinding machine | |
JPS61121860A (ja) | ドリル研摩用ホルダ−装置 | |
US1710647A (en) | Machine for grinding twist drills | |
CA1178057A (en) | Precision drill bit resurfacing tool | |
JPH11333675A (ja) | S字ギャッシュボールエンドミル研削盤 | |
JP2000042804A (ja) | 研磨切削装置 | |
US3593602A (en) | Taper attachement for a turning lathe | |
US3845589A (en) | Gun drill and bore grinding fixture | |
KR102085265B1 (ko) | 콜렛 어답터 | |
CN221435622U (zh) | 一种双模头车磨一体磨床 | |
JPS6048282B2 (ja) | 非円形形状加工装置 | |
JPH012863A (ja) | 砥石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 |
KR20000009932U (ko) | 연삭기의 보조마그네틱 테이블 경사각 조정장치 | |
JPS58155105A (ja) | 球面加工装置 | |
JPS5837521Y2 (ja) | 長尺材の切断用工具 | |
JP3537580B2 (ja) | 数値制御付フライス盤の主軸の保持具取付用テーパー面の研削方法 | |
KR930002182Y1 (ko) | 연삭기의 척홀더부 이송 스트로크 조절 및 선회장치 | |
JPS5937050A (ja) | 砥石の整形装置 | |
JPS6195862A (ja) | フライス工具の研削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20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