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298B1 -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 Google Patents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298B1
KR100283298B1 KR1019940010407A KR19940010407A KR100283298B1 KR 100283298 B1 KR100283298 B1 KR 100283298B1 KR 1019940010407 A KR1019940010407 A KR 1019940010407A KR 19940010407 A KR19940010407 A KR 19940010407A KR 100283298 B1 KR100283298 B1 KR 10028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rage
side plate
storage frame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5556A (ko
Inventor
사또오노보루
데이다까시
Original Assignee
아오끼 신이찌
닛꼬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오끼 신이찌, 닛꼬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오끼 신이찌
Priority to KR101994001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298B1/ko
Priority to JP7257095A priority patent/JPH0848388A/ja
Publication of KR95003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뛰어난 강도를 가지며, 불필요한 공간을 요하지 아니하고, 안정된 상태로 포개 쌓을 수가 있는 동시에, 들어 운반하기 쉽고, 또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제공한다.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 상판(1)과 바닥판(2)의 사이에 고정측판(4)을 세우는 동시에, 고정측판(4)에 대하여 평행이동할 수 있고, 또한 소망위치에서 고정가능한 가동측판(5)을 배설하고, 가동측판(5)의 상하면에 서로 연동하는 피니언기어(21)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각 피니언기어(21)와 맞물리는 랙(25)을 구비한 가이드레일(19)을 고정측판(4)에 대하여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설하고, 상판(1) 및 바닥판(2)의 중앙부(41)를 볼록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연부(42)를 중앙부(41) 쪽으로 향하여 구부렸다.

Description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제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관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의 요부를 도시하는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2 : 바닥판
4 : 고정측판 5 : 가동측판
19 : 가이드레일 20 : 슬라이더
21 : 피니언기어 25 : 랙 (rack)
41 : 중앙부 42 : 연부 (緣部)
43A, 43B : 개구부 44 : 파지부 (把持部)
45 : 플랜지 46 : 보호부재
본 발명은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 조입되는 프린트기판이나 기타의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판재를 그의 폭 치수에 따라 수납 가능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 조입되는 프린트기판이나 기타의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판재를 수납하는 수납틀로서, 예컨대 제 5 도에 도시한 수납틀이 있다. 이 수납틀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판(1)과 바닥판(2)의 4 모퉁이를 4 개의 지주(3)로 고정하여, 좌우 어느 하나가 일방 측면을 지주(3)에 고정된 상태로 직립시킨 고정측판(4)으로 구성하고, 타방 측면을 고정측판(4)과 대향시켜서 직립시키고 고정측판(4)에 대하여 평행이동 가능하며 소망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가동측판(5)으로 구성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판(1) 및 바닥판(2)에는, 상기 타방 측면측으로부터 고정측판(4)으로 향하여 가동측판(5)의 이동방향과 수평한 2 개의 장공(長孔, 6)이 서로 평행으로 개구되어 있다. 가동측판(5)의 외측이며, 상기 상하로 개구된 장공(6)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슬라이드틀(8)이 각각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 슬라이드틀(8)의 상하단에는 6 각 볼트나 나비나사 등의 회전체결부재(7)가 체결할 수 있는 너트 등의 상대부재(9)가 고착되어 있으며, 가동측판(5)을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위치를 결정한 때에는 상기 회전체결부재(7)를 외측으로부터 장공(6)을 관통시켜서 상대부재(9)와 체결하고, 가동측판(5)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측판(4)과 가동측판(5)과 대향한 면(내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복수의 수평한 지지홈(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설정된 양 측판(4, 5)의 간격에 따라, 판재(11)가 수평위치에서 마주 본 좌우의 지지홈(10)에 건너 질러진 상태에서 다단으로 놓여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수납틀은 비교적 가벼운 판재를 수납하는 경우는 문제가 없으나, 무거운 판재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상판 및 바닥판의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또, 비교적 가벼운 판재를 수납한 경우라 할지라도, 수납틀을 포개서 보관 이동하면 상판이나 바닥판이 비틀어지거나, 변형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가동측판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더욱이 비틀어지거나 변형이 진행되면 가동측판을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수납틀에는 이것을 포개서 보관, 반송할 때에 방해되는 일이 없고, 또한 이것을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한 적극적인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수납틀의 강도나 성능 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수납틀의 제조방법을 간략화시키거나,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적극적인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뛰어난 강도를 가지며, 불필요한 공간을 요하지 아니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포개 쌓을 수 있는 동시에 들어서 운반하기 쉽고 또한 값이 싼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판과 바닥판 사이에 2 매의 직립하는 측판을 대향시켜 설치하고, 이 측판의 일방을 고정측판으로 하고, 타방을 이 고정측판에 대하여 평행이동 가능하며 소망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가동측판으로 한 수납틀로서, 상기 가동측판의 상하면에 서로 연동하는 적어도 각 2 개의 피니언기어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각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구비한 가이드레일을, 상기 고정측판에 대하여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설하고, 상기 상판 및 바닥판의 중앙부를 볼록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연부의 높이를 이 중앙부 표면과 대략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폭 가변식 수납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 및 바닥판의 중앙부의 높이와 연부의 높이는 동일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은 상기 상판 및 바닥판 중 적어도 상판이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연부를 중앙부로 향하여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판 및 바닥판의 적어도 상판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은, 상기 상판의 중앙부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천공된 2 개의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양 개구부 사이를 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양 개구부 사이에 형성된 파지부의 양 개구부 측연부에 하방으로 향하여 경사된 플랜지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의 연부에 보호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판 및 바닥판과 상기 랙을 일체 성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은 상판 및 바닥판의 중앙부를 볼록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연부의 높이를 이 중앙부 표면과 대략 동일하게 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판 및 바닥판이 보강된다. 또, 상판 및 바닥판에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힘이 분산되기 때문에 상판 및 바닥판의 1 개소에 가하여지는 부가가 덜어진다. 따라서 상판 및 바닥판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상하로 안정되게 포개 쌓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와 연부의 높이를 동일하게 (즉, 면을 같게)함으로써, 상기 작용은 더욱 향상된다.
또, 적어도 상판이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부를 중앙부로 향하여 굴곡됨으로써, 상기 작용에 더하여 상기 중앙부와 연부의 높이를 간단히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연부는 전체에 걸쳐서 굴곡되기 때문에, 벤딩가공(bending)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중앙부는 예컨대 형틀로써 간단히 압출시킴으로써, 블록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판 및 바닥판의 제조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상판 및 바닥판 중 적어도 상판을 합성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전체의 중량이 저감된다. 또한, 성형가공에 의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더욱 간략화된다. 또,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녹 등의 발생도 방지된다.
또 상기 상판의 중앙부를 파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이 부분을 파지함으로써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간단히 들어 운반할 수 있다. 여기서, 이 파지부는 상판의 중앙부에 천공한 2 개의 개구부 사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앙부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동일한 높이 (즉, 중앙부 표면과 면이 같음)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상하로 포개 쌓더라고 이 파지부가 방해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의 양 개구부 측연부에 플랜지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의 연부에 보호부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이 파지부는 보호부재를 통하여 파지된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여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들어 운반할 때에 손에 가하여지는 부담이 완화되고, 운반을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플랜지는 하방으로 향해서 경사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플랜지의 연부는 상판의 중앙부 표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를 상기 중앙부 표면보다 아래 또는 동일한 높이로 위치시킬 수 있고, 보호부재가 상기 중앙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상하로 포개 쌓더라도, 이 보호부재가 방해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판 및 바닥판을 제조할 때에 랙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더욱 상판 및 바닥판의 제조가 간략화되는 동시에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의 조립 공정도 간략화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1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관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이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17)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판(1) 및 바닥판(2)과, 상판(1)과 바닥판(2) 사이에 있고, 상판(1) 및 바닥판(2)의 일단측에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된 고정측판(4)과, 상판(1)과 바닥판(2) 사이에 있고, 고정측판(4)과 대향하는 측면의 양측 모퉁이(각부)에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된 2 개의 지지주(18)와, 고정측판(4)과 지지주(18) 사이에 배설되고, 고정측판(4)에 대하여 평행이동하고, 또한 소망위치에서 고정되는 가동측판(5)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상판(1)은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이른바 판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판(1)은 그의 중앙부(44)가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 성형되고, 연부(42)가 중앙부(44)쪽으로 향하여 굴곡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굴곡된 연부(42)는 돌출형성된 중앙부(44)의 표면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굴곡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상판(1)의 중앙부(41) 및 연부(42)가 보강되고, 또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힘이 분산되기 때문에 상판(1)의 1 개소에 가하여지는 부가가 덜어진다. 또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17)을 상하로 포갤 때에는 중앙부(44)와 연부(42)가 면이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17)을 안정된 상태로 포개 쌓을 수 있다.
중앙부(44)에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2 개의 개구부(43A, 43B)가 천공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43A, 43B) 사이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44)로 되어 있다. 이 파지부(44)의 양 개구부(43A, 43B) 측의 양연부에는 하방으로 향하여 경사된 플랜지(45)가 각각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이 양 플랜지(45)의 연부에는 예컨대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부재(46)가 피복되어 있고, 파지부(44)는 보호부재(46)를 통하여 파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판(1)의 중앙부(41)의 양측에 있고, 고정측판(4)에 대하여 수직 방향 양측에는, 고정측판(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신장한 장공(6)이 천공되어 있다.
상판(1)의 내측으로서 장공(6)과 중앙부(44) 사이에는 장공(6)과 평행한 가이드레일(19)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이 각각의 가이드레일(19)의 수평면상(23) 및 수직측면(24)에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가동측판(5)에 배설되어 있는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25)이 그의 전길이에 걸처 새겨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2)은 상판(1)으로부터 플랜지(45)와 보호부재(46)를 제거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판(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고정측판(4)은 내측의 면에 다수의 수평한 지지홈(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외측의 면에는 길이방향 양단부보다 약간 안쪽으로 서로 마주본 한 쌍의 갈고리형편(12)이 상하로 복수가 병설된 단위판(13)을 복수 조합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고정측판(4)은 단위판(13)을 동일평면내로 상하로 복수매를 포개 합쳐서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갈고리형편(12) 내로 모자(hat) 형재(14)의 설편(15)을 삽입하여 복수의 단위판(13)을 꼬챙이로 꿴 모양으로 하여,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고정측판(4)은 모자형재(14)의 상하단에 부착된 앵글재(16)로서, 상판(1) 및 바닥판(2)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가동측판(5)은, 고정측판(4)과 마찬가지로 단위판(13)을 동일 평면내로 상하로 복수매를 포개 합쳐서, 외면에 설치된 한쌍의 갈고리형편(12) 내로 모자형재(14)의 설편(15)을 삽입하여, 복수의 단위판(13)을 꼬챙이로 꿴 모양으로 하고, 일체화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가동측판(5)의 구성요소인 양 모자형재(14)는 상기 가이드레일(19)과 대응하는 위치로 배설되어 있고, 각각의 모자형재(14) 상하단에는 가이드레일(19)을 걸쳐서 미끄럼이 자유로운 슬라이더(20)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슬라이더(20)의 내부에는 축심이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가이드레일(19)에 새겨 설치된 랙(25)과 맞물리는 2 개의 피니언기어(21)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전체의 슬라이더(20)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는 피니언기어(21)은, 각각 인접하는 것끼리가 각각 1개의 회전축(2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모든 피니언기어(21)는, 인접된 피니언기어(21)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모든 피니언기어(21)는 동시에 같은 양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니언기어(21)가 랙(25)과 맞물려서 회전하고, 슬라이더(20)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동측판(5)은 고정측판(4)에 대하여 평행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슬라이더(20)에는 상판(1) 및 바닥판(2)의 내면에 접촉하는 고정편(26)이 돌설되고, 이 고정편(26)에는 각각의 장공(6)과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구멍(27)이 천공되어 있다. 또, 부착구멍(27)과 장공(6)에는 장공(6)의 외측에 돌출되는 팽창두부(28)를 구비한 텐션로드(29)가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에 캠면(31)이 형성된 록레버(32)가, 텐션로드(29)와 핀결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레버(30)의 간단한 요동조작에 의해서 팽창두부(28)를 상판(1)측 및 바닥판(2)측으로 당기거나, 혹은 멀리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30)를 수평으로 하였을 때 (즉, 상판(1) 및 바닥판(2)에 대하여 수평으로 하였을 때)에 팽창두부(28)가 장공(6)으로부터 떨어져서 록 해제의 상태로 되고, 가동측판(5)을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레버(30)를 상하방향으로 세웠을 때에, 팽창두부(28)가 상판(1) 및 바닥판(2)에 강하게 밀어 붙여져서 록 상태로 되고, 가동측판(5)을 고정하도록 캠면(31)의 형상을 설계하였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17)의 구체적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17)내에 판재(11)를 수납할 때에는 우선 록레버(32)의 레버(30)를 수평으로 하고 록을 해제한다. 다음에 수납할 판재(11)의 폭치수에 따라 가동측판(5)을 이동시킨다. 이때, 각각의 피니언기어(21)는 동시에 같은 양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측판(5)은 고정측판(4)과 마주 본 상태에서 평행이동한다. 다음에 상기 판재(11)를 고정측판(4)과 가동측판(5)의 동일 수평면상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홈(10)의 어느 하나의 1 개소에 가(假) 삽입하고, 즉 판재(11)를 가동측판(5)의 위치맞춤의 치구(治具)로서 사용하고, 판재(11)를 상기 한쌍의 지지홈(10)에 건너 질러진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는 위치로 가동측판(5)을 맞추어서, 레버(30)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서 록 상태로 한다.
다음에 소망의 매수의 판재(11)를 고정측판(4)과 가동측판(5)의 동일수평면상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홈(1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판재(11)의 수납을 완료한다.
이 판재(11)가 수납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17)의 운반은 파지부(44)를 파지함으로써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44)의 연부에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45)에는, 보호부재(46)가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44)는 보호부재(46)를 통하여 파지된다. 따라서 파지부(44)를 파지하여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17)을 운반할 때에, 손에 가하여지는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고, 운반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파지부(44)는 상판(1)의 중앙부(41)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17)을 상하로 포개 쌓아서 보관할 때에, 이 부분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공간을 요하지 아니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포개 쌓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판(1) 및 바닥판(2)의 연부(42)의 굴곡된 부분이 외측으로 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굴곡된 부분은 내측으로 되어도 좋다. 또, 연부(42)는 중앙부(44)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굴곡시키는 것 외에 연부(42)의 두께를 조정하는 등, 다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판(1) 및 바닥판(2)을 판금으로 구성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상판(1) 및 바닥판(2)은 예컨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연부(42), 개구부(43A, 43B), 플랜지(45), 장공(6), 랙(25)이 새겨 설치된 가이드레일(19)은 일체 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44)의 형상을 장방형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파지부(44)는 이 부분을 파지하여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17)을 들어 운반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면, 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동측판(5)은 판재(11)를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고, 고정측판(4)에 대하여 평행이동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기 때문에, 적어도 슬라이더 1 개에 대하여 1 개의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이것에 대응한 랙을 4 개소 설치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동측판(5)의 록기구는 상술한 록레버(32)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텐션로드(29)의 외주에 장공(6)의 폭에 맞춘 평행한 2 면을 형성하는 등으로 하여, 회전 방지 수단을 설치 하는 동시에, 텐션로드(29)에 수나사를 설치하여 고정편(26)의 위로부터 볼트를 틀어넣고, 이 볼트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텐션로드(29)의 팽창두부(28)를 상판(1) 및 바닥판(2)에 당기거나, 멀리하게 하는 등 다른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은, 상판 및 바닥판의 중앙부를 볼록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연부를 중앙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판 및 바닥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하로 안정된 상태로 포개 쌓을 수 있다.
또, 상판 및 바닥판 중에서 적어도 상판을 판금으로 구성하고, 연부를 중앙부로 향하여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효과에 더하여 상기 중앙부와 연부의 높이를 간단히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판 및 바닥판의 제조가 용이하게 수행되고,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상판의 중앙부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천공된 2 개의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양 개구부 사이를 파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이 부분을 파지함으로써,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간단히 들어 운반할 수 있다. 또,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상하로 포개 쌓더라도, 이 파지부가 방해되는 일이 없고, 안정된 상태에서 포개 쌓을 수 있는 동시에, 수납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연부에 보호부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여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을 들어 운반할 때에, 손에 가하여지는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고, 또 들어 운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판 및 바닥판 중에서 적어도 상판을 합성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전체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성형 가공에 의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 및 바닥판을 제조할 때에, 랙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더욱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공정도 간략화할 수 있다.

Claims (6)

  1.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판과 바닥판 사이에 2 매의 직립하는 측판을 대향시켜 설치하고, 이 측판의 일방을 고정측판으로 하고, 타방을 이 고정측판에 대하여 평행이동 가능하며 소망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가동측판으로 한 수납틀로서, 상기 가동측판의 상하면에 서로 연동하는 적어도 각 2 개의 피니언기어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각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구비한 가이드레일을, 상기 고정측판에 대하여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설하고, 상기 상판 및 바닥판의 중앙부를 볼록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연부의 높이를 이 중앙부 표면과 대략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바닥판 중 적어도 상판이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연부를 중앙부로 향하여 굴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바닥판 중 적어도 상판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앙부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천공된 2 개의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양 개구부 사이를 파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 개구부 사이에 형성된 파지부의 양 개구부 측연부에 하방으로 향하여 경사된 플랜지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의 연부에 보호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6.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바닥판, 및 상기 랙을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KR1019940010407A 1994-05-12 1994-05-12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KR10028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407A KR100283298B1 (ko) 1994-05-12 1994-05-12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JP7257095A JPH0848388A (ja) 1994-05-12 1995-03-30 収納幅可変式板材収納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407A KR100283298B1 (ko) 1994-05-12 1994-05-12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556A KR950035556A (ko) 1995-12-30
KR100283298B1 true KR100283298B1 (ko) 2001-05-02

Family

ID=1938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407A KR100283298B1 (ko) 1994-05-12 1994-05-12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48388A (ko)
KR (1) KR100283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8541B2 (ja) 2005-01-14 2010-12-15 株式会社ニックス 収納幅可変式板材収納枠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872827B1 (ko) * 2007-02-16 2008-12-09 구왕수 기판 수납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4486908B (zh) * 2014-12-04 2017-12-26 苏州江锦自动化科技有限公司 料框宽度自动调节装置及其实现方法
CN113665888A (zh) * 2021-08-17 2021-11-19 四川吉浦森建材有限公司 一种板材接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48388A (ja) 1996-02-20
KR950035556A (ko) 199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1044A (en) Frame structure for housing panel plates
EP0130663B1 (en) Captive dunnage fitting
US5588372A (en) Stackable dispensing apparatus for wire reels
KR100283298B1 (ko) 수납폭 가변식 판재 수납틀
KR20120004700U (ko) 판 형상체 수납 용기
WO2008106913A2 (de) Automatisierungscarrier für substrate, insbesondere wafer zur herstellung siliziumbasierter solarzellen
WO2007027059A1 (en) Column for pallet
EP3683173B1 (en) A transportable harp rack for panels
KR200458806Y1 (ko) 중앙 잠금 장치
US6315141B1 (en) Shipping box lockdown
EP0394747B1 (de) Halterung für ein Funkgerät
EP0669259B1 (de) Stapelbarer und ineinandersetzbarer Behälter
EP0348750B1 (de) Flaschenkasten
JP2000095243A (ja) 伸縮可能なパレット
JP4577546B2 (ja) 板材収納枠
CN217893061U (zh) 一种机器人立柱及自主移动机器人
JP3234962B2 (ja) 運搬用容器の蓋及び結束棒
TWI818653B (zh) 基材容器
DE2902689C2 (de) Behälter für den Transport gefährlicher Flüssigkeiten
CN114803056A (zh) 一种带有侧护挡板的托盘结构
DE102019110836A1 (de) Transportbehälter
CN214566843U (zh) 料架
CN220165148U (zh) 一种瓦楞纸板生产线上用卸板架
KR200153659Y1 (ko) 백패널 적재용 래크
EP2597056A1 (en) Transport unit with support arrangement for supporting load and support arrangement for supporting load in a transpor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