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833B1 -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작동 유로 구조 - Google Patents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작동 유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833B1
KR100282833B1 KR1019980002100A KR19980002100A KR100282833B1 KR 100282833 B1 KR100282833 B1 KR 100282833B1 KR 1019980002100 A KR1019980002100 A KR 1019980002100A KR 19980002100 A KR19980002100 A KR 19980002100A KR 100282833 B1 KR100282833 B1 KR 10028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orking fluid
cylinder chamber
work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784A (ko
Inventor
마꼬또 이마이다
기요후미 다나까
유스께 가스야
마사히꼬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미야까와 요시유끼
아이찌 기까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하나와 요시카즈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까와 요시유끼, 아이찌 기까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하나와 요시카즈,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까와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7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4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06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 having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 F16H63/065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 having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hydraulic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 활차 및 고정 활차의 상호 대향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V형 홈 주위에 권선된 V 벨트와, 가동 활차를 고정 활차 쪽으로 또는 이로부터 이동시켜서 변속을 이루고 축 챔버 작동 유로에 연통된 제1 작동 유로가 축 부재 및 가동 활차에 대하여 그 대향면에서 축 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하고 일단이 제1 작동 유로에 연통되고 타단이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대하여 개방된 제2 작동 유로가 축 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하도록 작동 유압이 공급되게 되는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를 갖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작동 유로(오일 통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작동 유로 구조
1997년 1월 24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평)9-011625호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참조한다.
본 발명은 풀리 오일 통로의 가공성을 개선시킨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오일 통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 특허 (평)8-14378호(1996. 1. 16)에는 이전에 제안된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가동 활차 구동 기구와 풀리 오일 통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공개 특허에 개시된 벨트형 무단 변속기에서, 가동 활차는 볼 스플라인에 의해 축 부재의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축 부재 상에 구속되어 있다. 가압 작동 유체를 가동 활차의 후방면 측부 상에 형성된 유압 실린더 챔버 쪽으로 공급하면 가동 활차가 반대쪽의 고정 활차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동 활차는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 내에서 가동 활차의 후방면 상에 위치한 계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가동 활차의 착좌부 상에 고정된 일단을 갖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고정 활차에 접근하도록 편향된다.
가압 작동 유체는 축 부재 축방향 연장 오일 통로, 축 부재 반경방향 연장 오일 통로 및 풀리 오일 통로를 거쳐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 내에 공급된다. 축 부재 축방향 연장 오일 통로는 축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축 부재 반경방향 오일 통로는 축 부재 축방향 오일 통로의 팁부로부터 축 부재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풀리 오일 통로는 충분히 두꺼운 벽두께를 갖는 가동 활차의 계단부 상에 배치되고, 풀리 오일 통로의 축방향 중심은 축 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이미 제안되어 있는 또 다른 벨트형 무단 변속기는 코일 스프링이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 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가동 활차 내에 풀리 구동 기구 등을 갖추고 있으나, 가동 활차 상에 형성된 이의 오일 통로는 가동 활차의 계단부를 통해서 경사져 있다.
그러나, 풀리 오일 통로가 이의 축이 경사진 상태로 드릴 가공되는 경우에는 오일 통로의 개구를 경사지게 하기 위하여 드릴 등의 공구로 작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서 풀리 오일 통로의 가공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리 오일 통로를 경사지게 드릴 가공할 필요가 없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오일 통로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a) 긴 축 부재와, b) 축 부재 상에 고정되고 제1경사면을 갖는 고정 활차와, c) 축 부재를 따라 고정 활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제2경사면을 갖는 가동 활차와, d) V형 홈이 형성되게 되는 고정 활차 및 가동 활차의 대향 제1 및 제2 경사면 상에 권선된 무단 V 벨트와, e) 가동 활차의 제2경사면에서 가동 활차의 후방면에 대하여 형성된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와, f)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변속을 이루기 위해 가동 활차를 고정 활차 쪽으로 또는 이로부터 이동시키도록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공급되는 가압 작동 유체와, g) 가압 작동 유체가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공급될 수 있도록 축 부재 내에 배치된 축 부재 작동 유로와, h) 가동 활차 및 축 부재에 대하여 그 대향면에서 축 부재 작동 유로에 연통하고 축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작동 유로와, i) 가동 활차를 통해서 반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일단이 제1 작동 유로에 연통되고 타단이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대하여 개방된 제2 작동 유로를 포함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에 의해 성취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의 풀리 작동 유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동력 전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풀리 작동 유로(오일 통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축) 축방향 연장 오일 통로와 풀리 오일 통로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4는 변경 실시예로서 또 다른 가동 활차 오일 통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동축 작동 유로
1a: 종동축 축방향 작동 유로
1b: 종동축 반경방향 작동 유로
2: 풀리 작동 유로
2a: 풀리 축방향 작동 유로 (제1 작동 유로)
2b: 풀리 반경방향 작동 유로 (제2 작동 유로)
50: 구동 풀리
58: 벨트
60: 종동 풀리
62: 종동축 (축 부재)
64: 고정 활차
66: 종동 풀리 실린더 챔버 (유압 실린더 챔버)
68: 가동 활차
68a: 풀리 본체
68b: 풀리 연결부
68c: 계단부
101: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리 오일(작동 유체) 통로를 적용할 수 있는 벨트형(소위, V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동력 전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1에서, 자동차의 원동기로서의 엔진(20)은 유체 동력 전달 장치(특히, 토오크 컨버터)로서의 유체 커플링 기구(22)에 연결된 출력축(20a)을 갖고 있다. 유체 커플링 기구(22)는 로크업 기구를 갖추고 있다.
유체 커플링 기구(22)의 출력축은 회전축(23)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23)은 전/후진 변경 기구(25)에 연결되어 있다. 전/후진 변경 기구는 유성 기어 기구(27), 전진 클러치(40) 및 후진 브레이크(45)를 포함한다.
유성 기어 기구(27)는 태양 기어(29), 두개의 피니언 기어(31, 33)를 갖는 피니언 캐리어(35) 및 내부 기어(37)를 포함한다. 태양 기어(35)는 항상 회전축(23)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축(23)에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캐리어(35)는 전진 클러치(40)에 의해 회전축(23)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기어(37)는 회전축(23)의 외주연 상에 배열된 구동축(24)에 연결된다. 구동 풀리(50)는 구동축(24) 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풀리(50)는 고정 활차(52)와 가동 활차(55)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V형 풀리 홈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향한 경사면을 갖고 있다. V 벨트(58)는 무단 벨트를 형성하도록 V형 풀리 홈 주위에 권선된다. 고정 활차(52)는 구동축(24)에 일체로 되어 있다. 가동 활차(68)는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스플라인 커플링의 볼 스플라인에 의해 종동축(62)에 부착되고, 그 후방면에 형성된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 상에서 작용된 유압에 의해 종동축(62)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들 구동 풀리(50), V 벨트(58) 및 종동 풀리(60)는 V 벨트형 무단 변속기(70)를 구성한다. 구동 기어(72)는 구동축(62) 상에 고정된다. 구동 기어(72)는 아이들러 축(74) 상의 아이들러 기어(76)에 결합된다. 아이들러 축(74) 상에 배치된 피니언 기어(76)는 최종 기어(78)에 항상 결합되어 있다. 한쌍의 피니언 기어(82, 84)는 한쌍의 측부 기어(86, 88)에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측부 기어(86, 88)는 한쌍의 출력축(90, 92) 중 대응하는 하나이다.
엔진(20)의 출력축(20a)으로부터 동력 전달 장치에 입력된 회전력은 유체 커플링 기구(22) 및 회전축(23)을 거쳐 전/후진 변경 기구(25)에 전달된다. 이때에 전진 클러치(40)가 결합된다. 후진 브레이크(45)가 해제되면 회전축(23)의 회전력이 일체로 회전하는 유성 기어 기구(27)를 거쳐 동일 회전 방향으로 구동축(24)에 전달된다.
한편, 전진 클러치(40)가 해제되고 후진 브레이크(45)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유성 기어 기구(27)의 작용이 회전축(23)의 회전력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24)에 전달되게 한다. 구동축(24)의 회전력은 구동 풀리(50), V 벨트(58), 종동 풀리(62), 구동 기어(72), 아이들러 축(74) 상의 아이들러 기어(76), 피니언 기어(76) 및 최종 기어(78)를 거쳐 차동 장치(80)에 전달되며, 이로써 출력축(90, 92)이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진 클러치(40) 및 후진 브레이크(45)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전체 동력 전달 장치가 중립 상태에 있게 된다.
동력 전달이 수행되면 구동 풀리(50)의 가동 활차(56) 및 종동 풀리(60)의 가동 활차(68)가 이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V 벨트(58)에 대하여 접촉한 가동 활차(56, 68)의 위치들의 반경이 변화하여 구동 풀리(50)와 종동 풀리(60) 사이의 회전비가 변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종동 풀리(6)의 V형 풀리 홈의 폭이 좁아짐으로써 구동 풀리(50)의 V형 풀리 홈의 폭이 넓어지면 종동 풀리(60)에서의 V 벨트(58)에 대하여 접촉한 대응 가동 활차의 위치 반경이 감소한다. 그러면, 종동 풀리(60)에서 V 벨트(58)에 대하여 접촉한 대응 가동 활차의 위치 반경이 커진다. 이로써, 큰 변속비를 얻을 수 있다. 가동 활차(56, 58)가 상기에 설명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변속비가 감소한다.
다음에는 도1에 도시된 벨트형 무단 변속기에서 종동 풀리(60)의 특정 구조에 대하여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동축(62)에 대하여 도2의 상부 부분은 가동 활차(68)가 고정 활차(64)로부터 지지된 것을 나타내고, 도2의 하부 부분은 가동 활차(68)가 고정 활차(64)에 접근한 것을 나타낸다.
고정 활차(64)는 베어링(107, 108)을 거쳐 케이싱(109)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된 축방향 부재인 종동축(62)에 일체로 되어 있다.
가동 활차(68)는 종동축(62)의 외주연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고정 활차(64)에 대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풀리 본체(68a)와, 풀리 본체(68a)의 후방면(이 표면은 고정 활차(64)에 대하여 대향하지 않음)에 일체로 된 얇은 벽두께를 갖는 원통형 부분인 풀리 연결부(68b)를 포함한다.
풀리 연결부(68b)는 종동축(62)의 외주연 상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종동축(62)에 연결되어 있어서, 풀리 연결부(68b)와 종동축(62) 사이에 형성된 스플라인 커플링의 볼 스플라인에 의해 종동축(62)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2의 부호 100은 볼 스플라인의 볼(구형 볼)을 나타낸다.
또한, 풀리 본체(68a)와 풀리 연결부(68b) 사이의 결합부는 풀리 연결부(68b)보다 두꺼운 계단부(68b)를 갖는다. 계단부(68c)는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코일 스프링(101)의 착좌부로서 기능한다.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부재(66)는 가동 활차(68)의 후방면에 대하여 설치된다.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는 실린더 부재(102) 및 피스톤 부재(103)에 의해 형성된 2개 격벽식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 공간은 풀리 본체(68a)의 후방면에 일체로 고정된 피스톤 부재(103)로 덮이고,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는 피스톤 부재(103)로 덮인 상기 소정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실린더 부재(102)는 종동축(62) 상에 고정된 내주연 단부와, 밀봉 부재(104)를 거쳐 피스톤 부재(103)의 내주연 표면에 대하여 접촉한 외주연 단부를 갖고 있다. 도2에서, 부호 105 및 106은 C형 링 및 리테이너를 나타내며, 이들 각각은 실린더 부재(102)가 이동하지 못하게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101)이 가동 활차(68)의 계단부(68c)와 실린더 부재(102)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 내에서 연장된다. 코일 스프링(101)은 작동 유압이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 상에 작용하지 않더라도 가동 활차(68)가 고정 활차(64)에 대하여 가압되어서 V형 벨트 홈 상에 V형 벨트(58)를 고정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01)은 종동 풀리(62) 및 가동 활차(68)의 풀리 연결부(68b)의 외주연 위에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다.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의 작동 유압 및 코일 스프링(101)은 풀리 구동 기구를 구성한다.
다음에는 작동 유체가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에 공급되게 되는 오일(가압 작동 유체) 통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동 유체는 종동축 축방향 연장 오일(또는 작동 유체) 통로(1) 및 풀리 오일(작동 유체) 통로(2)를 거쳐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에 공급되며, 종동축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는 유압 회로(도시 생략) 내의 유압 제어 밸브에 연통되어 있다. 유압 회로의 예로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하는 미국 특허출원 제08/450,642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종동축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는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a) 및 세개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작동 유로(1b, 1b, 1b)를 포함한다.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a)는 종동축(62)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를 관통한다.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1b)들은 유로(1a)의 팁부에서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a)에 연통하며 종동축(62)의 외주연 표면에 대하여 개방되도록 종동축(62)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1b)들은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a)의 대응 주연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주연방향으로 또 다른 인접 작동 유로(1b)에 대하여 약 120 °의 상호 위상각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풀리 오일(작동 유체) 통로(2)는 제1 작동 유체(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복수개(세개)의 풀리 축방향 연장 오일 통로(2a)와, 제2 작동 유체(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복수개(세개)의 풀리 반경방향 연장 오일 통로(2b, 2b, 2b)를 포함한다.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들은 풀리 연결부(68b)의 내주연 표면 상에 형성된 축방향 홈(3)과, 이 축방향 홈(3)과 종동축(62)의 대향 외주연 표면 사이에 형성되어 종동축(6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공간을 포함한다.
축방향 홈(3)은 풀리 축방향 연장 오일 통로(2a)들이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에 연통하도록 반경방향 연장 오일 통로(1b)들의 개구에 대하여 주연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풀리 연결부(68b)의 축방향으로 단부(68d)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들의 각각의 일단부는 그 주연방향에 위치한 것으로 각각의 풀리 반경방향 연장 오일 통로(2b)가 각각의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에 연통하게 되는 위치에서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 중 대응하는 하나의 작동 유로에 연통하고,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의 다른 단부는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 내에서 개방되며, 상기 각각의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는 풀리 연결부(68b)를 통해서 반경방향으로 각각 관통하며, 이로써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가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에 연통하게 된다.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의 축방향으로의 위치는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 쪽으로 면한 이의 개구가 가장 수축된 상태(풀리 연결부(68b)의 축방향 단부가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66)의 실린더 부재(102)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에 있는 코일 스프링(101)의 중심부 근처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대향하게 되는 위치이다. 각각의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는 가장 수축된 상태에 있는 코일 스프링(101)의 각각의 대향 나선형 권선부들 사이에 형성된 임의의 하나의 갭을 거쳐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에 대하여 개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종동축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를 통과한 작동 유체는 풀리 축방향 연장 통로(2a)와 풀리 연결부(68b)의 축방향 단부를 거쳐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에 공급되고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b)로부터 종동 풀리 작동 실린더 챔버(66)로 분기된다.
작동 유체 내에 발생한 유압은 가동 활차(68)를 종동축(62)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연결부(68b)가 실린더 부재(102)에 접촉할 때까지 가동 활차(68)가 고정 활차(64)를 이격시키면,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 쪽으로 면하는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의 개구가 실린더 부재(102)에 의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는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 쪽으로 면한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의 개구가 코일 스프링(101)의 각각의 나선형 권선부들 사이에 형성된 갭이 있는 위치로서 가장 넓은 피치를 갖는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의 개구는 축방향 연장 오일 통로(1)와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 사이의 연통 상태가 확실해질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101)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가동 활차(68)가 실린더 부재(102)에 접촉할 때까지 수축되지 않으면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의 작동 유체는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 및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를 거쳐 종동 풀리 작동 유로(1)의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에 공급된다.
이때에, 가동 활차(68)가 이동하면,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의 개구 중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 쪽으로 면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는 일시적으로 폐쇄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가 종동 풀리 실린더 챔버(66)에 항상 연통하면 아무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는 가동 활차(68)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풀리 작동 유체(오일) 통로(2)를 거쳐 종동 풀리 실린더 챔버(66)에 항상 연통한다.
이 실시예의 풀리 작동 유로(2)는 가동 활차(68)의 풀리 연결부(68b)의 내주연 표면 상에 축방향 홈(3)을 마련함으로써 그리고 축방향(종동축(68)의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풀리 연결부(68b)를 관통하는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용 오일 구멍을 드릴 가공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로써,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가동 활차(68)를 통해서 경사진 축을 갖는 오일 구멍을 드릴 가공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 가공성도 개선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축방향 홈(3)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 활차(68)를 가동 활차(68)의 풀리 연결부(68b)에서 종동축(62)에 연결하는 스플라인 홈(5)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스플라인 홈(5)이 가공되면 축방향 홈(3)을 가공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가 마련되더라도 이의 가공 문제점은 현저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의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용 오일 구멍은 이들의 축들이 반경방향으로 면하고 계단부(68c)보다 얇은 풀리 연결부(68b)를 통해서 드릴 가공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드릴 가공된다. 따라서, 드릴 가공의 품질이 저하된다. 드릴 가공을 통한 오일 구멍의 가공은 용이해지게 된다.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b)의 위치들은 가동 활차(68)가 고정 활차(64)로부터 분리되고 코일 스프링(101)이 가장 수축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의 각각의 나선형 권선부들 사이의 갭 중 하나에 대하여 위치하도록 결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축된 코일 스프링(101)의 축방향 중심에서의 피치가 단부에서의 피치보다 대개는 넓기 때문에 축방향 위치에서의 가공 실수가 허용된다. 갭이 넓게 마련될수록 이의 개구 영역은 충분히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 부재는 나선형으로 권선된다. 코일 스프링은 그에 대응하여 작다.
또한, 코일 스프링은 나선형으로 배열된다. 3개의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가 이들의 가공 용이성을 고려하여 동일 단면에 배치되어 있으나, 코일 스프링(101)의 축방향 중심부가 비교적 넓은 피치를 갖기 때문에 충분히 넓은 개구 영역이 보장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를 구성하는 축방향 홈(3)의 단면 형상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나 볼 스플라인 홈(5)을 가공하는 공구를 사용하여 볼 스플라인 홈(5)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취하는 축방향 홈(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공성이 더욱 개선된다.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를 구성하는 축방향 홈(3)은 풀리 연결부(68b)의 내주연 표면측에 제한되지 않고, 종동축(62) 상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홈은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를 구성하도록 종동축(62)에서 코일 스프링 홈과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b)가 이의 축방향에서 풀리 연결부(68b)의 대략 중심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나, 풀리 반경방향 연장 오일 통로(2b)는 코일 스프링(101)이 상기에 설명한 가장 수축된 상태에 있을 때 코일 스프링(101)의 각각의 나선형 권선부들 사이의 갭 중 하나가 위치하게 되는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작동 유로를 구성하는 각각의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의 단부(2c; 도2 참조)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에 연통되어 있으나, 각각의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의 단부는 구동 풀리에서 가동 활차(56)를 구동시키는 구동 풀리 실린더 챔버(54)의 경우로서 코일 스프링이 구동축측 실린더 챔버 내에 배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종동축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66)에 항상 연통되지는 않을 수도 있다. 그 이유는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체(오일) 통로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폐쇄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코일 스프링(101)이 풀리 연결부(68b)의 외주연에 배열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종동축(62)의 축방향(코일 스프링(101)의 나선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b)의 개구를 통과한 홈(7)은 도4에 도시된 것처럼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2b)가 각각의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2a)와 실린더 챔버(66)를 연통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홈(7)을 거쳐 실린더 챔버(66)에 항상 연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풀리 오일 통로를 경사지게 드릴 가공할 필요가 없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오일 통로 구조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에 있어서,
    a) 긴 축 부재와,
    b) 축 부재 상에 고정되고 제1경사면을 갖는 고정 활차와,
    c) 축 부재를 따라 고정 활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제2경사면을 갖는 가동 활차와,
    d) V형 홈이 형성되게 되는 고정 활차 및 가동 활차의 대향 제1 및 제2 경사면 상에 권선된 무단 V 벨트와,
    e) 가동 활차의 제2경사면에서 가동 활차의 후방면에 대하여 형성된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와,
    f)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변속을 이루기 위해 가동 활차를 고정 활차 쪽으로 또는 이로부터 이동시키도록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공급되는 가압 작동 유체와,
    g) 가압 작동 유체가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공급될 수 있도록 축 부재 내에 배치된 축 부재 작동 유로와,
    h) 가동 활차 및 축 부재에 대하여 그 대향면에서 축 부재 작동 유로에 연통하고 축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작동 유로와,
    i) 가동 활차를 통해서 반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일단이 제1 작동 유로에 연통하고 타단이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대하여 개방된 제2 작동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가동 활차를 고정 활차에 접근시키기 위해 이를 편향시키도록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 유로의 일단부가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연통하고 제2 작동 유로가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개방된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는 가동 활차가 고정 활차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장 수축된 상태에 있는 코일 스프링의 각각의 나선형 권선부들 사이에 형성된 갭 중 하나에 면하게 되는 위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대하여 개방된 제2 작동 유로의 타단부가, 가동 활차가 고정 활차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장 수축된 상태에 있는 코일 스프링의 중심부에 면하게 되는 위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가동 활차가 스플라인 커플링에 의해 축 부재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속되고, 제1 작동 유로가 축 부재에 대향하는 가동 활차의 표면 상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이 스플라인 커플링의 스플라인 홈과 같은 단면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축 부재가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종동 풀리용 종동축이고, 축 부재 작동 유로가 종동축의 축방향으로 종동축 내에서 연장된 종동축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와 복수개의 종동축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유로가 종동축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1a)의 일단부의 대응 부분에 연통하고 종동축의 외주연 표면에 대하여 개방된 종동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작동 유로가 가동 활차의 풀리 연결부의 내주연 표면에 형성된 축방향 연장 홈과, 축방향 연장 홈에 대향한 종동축의 외주연 표면에 대하여 형성되고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의 단부에서 개방되도록 종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축방향 연장 홈(3)이 이의 주연 방향이 종동축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의 개구에 대하여 대향할 수 있도록 가동 활차(68)의 풀리 연결부(68b) 위치에 배치되고,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를 구성하는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가 연통하도록 축방향에서 풀리 연결부의 축방향 단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풀리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가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에 연통된 일단부와, 풀리 축방향 연장 작동 유로가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연통하도록 종동 풀리 작동 유체 실린더 챔버에 대하여 개방된 타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종동축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가 세개이고 이들 각각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 종동축 반경방향 연장 작동 유로에 대하여 120 °의 위상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벨트형 무단 변속기가 차량 엔진에 합체되고, 작동 유체가 오일이고, 가동 활차의 풀리 연결부가 가동 활차와 종동축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 스플라인 홈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단 변속기 구조.
KR1019980002100A 1997-01-24 1998-01-23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작동 유로 구조 KR100282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162597A JP3259826B2 (ja) 1997-01-24 1997-01-24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プーリ油路構造
JP97-11625 1997-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784A KR19980070784A (ko) 1998-10-26
KR100282833B1 true KR100282833B1 (ko) 2001-04-02

Family

ID=1178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100A KR100282833B1 (ko) 1997-01-24 1998-01-23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작동 유로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41787A (ko)
JP (1) JP3259826B2 (ko)
KR (1) KR100282833B1 (ko)
DE (1) DE19802104B4 (ko)
GB (1) GB23215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0364A1 (de) * 1994-12-28 1996-07-04 Robert Bosch Gmbh System zur einstellung der spannung des umschlingungsteils eines umschlingungsgetriebes
JP3248615B2 (ja) * 1997-01-24 2002-01-21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プーリ用シリンダ構造
GB2331561B (en) * 1997-11-24 2002-09-18 Luk Getriebe Systeme Gmbh Continuously variable speed transmission
US7031143B2 (en) * 2003-09-12 2006-04-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foldable keyboard
EP1781969B1 (de) * 2004-08-19 2008-10-0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getriebe
JP4898654B2 (ja) * 2007-12-27 2012-03-2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4898653B2 (ja) * 2007-12-27 2012-03-2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4670904B2 (ja) * 2008-05-30 2011-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
JP4725634B2 (ja) * 2008-11-13 2011-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
US9644717B2 (en) 2011-03-22 2017-05-09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riving pulley
RU2675724C2 (ru) * 2014-03-31 2018-12-24 Бомбардье Рекриэйшенел Продактс Инк. Приводной шкив для вариатора
CA2909508A1 (en) 2014-03-31 2015-10-08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rive pulley
CA3033684A1 (en) * 2018-11-28 2020-05-28 Xavier-Pierre Aitcin Drive pulley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7214A (en) * 1977-01-31 1978-10-04 Doorne S Transmissie Bv Van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s
EP0004130B1 (en) * 1978-02-07 1982-06-30 P.I.V. Antrieb Werner Reimers GmbH & Co K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echanism
JPS5680550A (en) * 1979-12-03 1981-07-01 Aisin Warner Ltd Belt driven type stepless speed changer
JPS57129955A (en) * 1981-02-04 1982-08-12 Aisin Warner Ltd Belt-type stepless automatic speed change gear
US4552545A (en) * 1984-06-18 1985-11-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Centrifugal pressure compensator for a variable drive pulley
US4813914A (en) * 1987-12-28 1989-03-21 Borg-Warner Automotive, Inc. Strap drive with a safety stop for reverse torques
US5244437A (en) * 1991-06-26 1993-09-14 Borg-Warner Automotive, Inc. Double acting secondary sheave servo for cvt
DE4234294B4 (de) * 1991-10-19 2008-04-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DE4305102A1 (de) * 1993-02-19 1994-08-2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Einrichtung zur Führung einer beweglichen Scheibe
JP2956475B2 (ja) * 1994-05-25 1999-10-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式無段変速装置
US5628700A (en) * 1994-06-27 1997-05-13 Nissan Moter Co, Ltd. Pulley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3184046B2 (ja) * 1994-06-27 2001-07-09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プーリ連結構造
DE19641059B4 (de) * 1995-10-05 2007-08-16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Steuer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zum Steuern eines stufenlos veränderlichen Getrie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02104A1 (de) 1998-08-06
JPH10205597A (ja) 1998-08-04
KR19980070784A (ko) 1998-10-26
GB2321506A (en) 1998-07-29
US5941787A (en) 1999-08-24
DE19802104B4 (de) 2012-11-08
JP3259826B2 (ja) 2002-02-25
GB9800580D0 (en) 1998-03-11
GB2321506B (en) 199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833B1 (ko) 벨트형 무단 변속기의 풀리 작동 유로 구조
EP1156235B1 (en) Continuously variable belt transmission
US6749530B2 (en)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414433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282834B1 (ko) 벨트형 무단 변속기 내의 풀리 실린더 조립체
JPH07259944A (ja) 無段変速機の油路構造
US6491586B1 (en) Flow passage structure for shaft-press-fitted flange members
JPH06341500A (ja) 無段変速装置
JPS6344991B2 (ko)
US6007448A (en) Lubrication structure for planetary gear assembly
US902185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ulley cover 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6428417B2 (en) Flow passage structure for shaft-press-fitted flange members
JP2018155386A (ja) 動力伝達装置の潤滑構造
KR20200042842A (ko) 차량을 위한 동력 전달 장치
JPH01283458A (ja) 車両用ベルト式無段自動変速装置
JP4560769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4039272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CN107869568B (zh) 用于车辆的带式无级变速器
JPH0523888Y2 (ko)
KR100422524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JPH10281246A (ja) 車両用ベルト式変速装置
KR100460903B1 (ko) 차량용 무단 변속기
KR100412810B1 (ko) 무단변속기의 밸런스피스톤 오일공급장치
JPH032759Y2 (ko)
JP2949833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