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176B1 - 중장비 차량의 스티어링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중장비 차량의 스티어링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176B1
KR100281176B1 KR1019970079691A KR19970079691A KR100281176B1 KR 100281176 B1 KR100281176 B1 KR 100281176B1 KR 1019970079691 A KR1019970079691 A KR 1019970079691A KR 19970079691 A KR19970079691 A KR 19970079691A KR 100281176 B1 KR100281176 B1 KR 100281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hydraulic
brake
valve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483A (ko
Inventor
정동석
Original Assignee
토니헬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헬,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헬
Priority to KR101997007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1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17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조립생산에 대한 노력의 경감, 우수한 제동능력 및 조향능력의 발휘, 수리, 보수를 위한 정비작업의 간편화, 제동능력의 상태파악 및 이에 따른 적절한 조정작업을 간소화를 기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브레이크(12)(14)들과 스티어링펌프(2) 사이에, 조작레버(22)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스티어링밸브(18)(20); 상기 스티어링밸브(18)(20)로부터 유압력이 유통될 때 열리도록 스티어링밸브(18)(20)의 유압출력측과 연결되는 첵밸브(56)(58); 상기한 스티어링펌프(2)로부터 유통되는 유압력을 배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첵밸브(56)(58)의 유압출력 측과 연결되는 배력장치(50)(52); 페달(30)에 가해지는 답력에 따라 소정 유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첵밸브(56)(58)와 스티어링펌프(2)사이의 유압라인에 설치되는 매스터실린더(54); 엔진의 시동여부에 따라서 작동되는 주차제동제어부(48); 및 매스터실린더(54)에서 발생된 유압력에 따라 서비스브레이크작동부(60)가 작동되며, 주차제동제어부(48)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유압력에 의해 주차브레이크작동부(70)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서비스브레이크(1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장비 차량의 스티어링 브레이크
본 발명은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주차브레이크와 서비스브레이크가 공동의 유압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나의 다기능성 디스크브레이크 어셈블리로 구성된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중장비차량은 작업장치의 작동에 따라 토사제거작업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장치와는 별도의 유압회로를 갖도록 구성되어 구동력을 변속시키는 변속기, 변속기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에 의해 차량이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주행장치, 이 주행장치에 의해 주행되는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장치,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바꾸어주는 조향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제동장치와 조향장치는 제동 및 조향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로 구성되며, 이러한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와 클러치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티어링 유압회로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스티어링펌프(2)에 의해 펌핑된 유압력이 플로우 디바이더(4)에 의해 분배되어 조직상태에 따라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6)의 유압회로, 또는 스티어링클러치(8)의 유압회로, 또는 변속기(10)의 유압회로 등으로 공급되며, 이때 유압력의 작용에 따라 동력의 차단작용과 함께 제동작용, 또는 조향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티어링펌프(2)에 의해 펌핑되는 유압력에 의해 한 쌍의 서비스브레이크(12)(14)를 작동시키는 유압식으로 되어 있는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서비스브레이크(12)(14)들과 스티어링펌프(2) 사이에 스티어링밸브(18)(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티어링밸브(18)(20)는 조작레버(22)에 의해 작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티어링밸브(18)(20)는 그 작용 상태에 따라 스티어링펌프(2)로부터 유통되는 유압력의 유통을 단속하고, 유압력의 유통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티어링밸브(18)(20)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력이 일측의 서비스브레이크(12)(14)에 공급됨으로써, 이러한 일측의 서비스브레이크(12)(14)를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조작레버(22)에 의해 스티어링클러치(8)로 공급되던 유압력 차단에 따라 동력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서비스브레이크(12)(14)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30)에 다수 링크(32)로 연결되는 외압식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페달(30)에 답력이 가해질 때 라이닝(34) 드럼(36)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제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링크(32)의 소정구간으로 스티어링밸브(18)(20)로부터 유통되는 유압력이 작용될 수 있는 부스터(38)가 설치되어 있어 서비스브레이크(12, 또는 14)에 조향작동을 위한 유압력이 작용되는 것이다.
한편, 주,정차시의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주차브레이크는 기계적인 구조로 주차브레이크(40)와 주차레버(42)가 연결되는 별도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제2도 참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차량을 제동시키려고 할 경우에 조작레버(22)를 당기면 조작레버(22)에 의해 스티어링밸브(18)(20)의 스플이 움직여 스티어링펌프(2)로부터 스티어링클러치(8)로 연결되던 유압력 공급경로가 차단되므로 스티어링클러치(8)는 동력의 단속작용을 행하게 된다.
이때, 답력이 가해지는 페달(30)에 의해 다수의 링크(32)가 움직이고, 이러한 링크(32)의 움직임에 의하여 서비스브레이크(12)(14)의 라이닝(34)이 드럼(36) 외주면에 밀착상태로 가압되므로 차량의 제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바꾸어주기 위한 조작레버(22)의 조작상태에 따라 스티어링밸브(18, 또는 20)의 스풀이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스티어링밸브(18, 또는 20) 스풀의 움직임에 따라 스티어링펌프(2)로부터의 유압력이 서비스브레이크(12, 또는 14)의 부스터(38)에 작용되어 부스터(38)로 하여금 서비스브레이크(12, 또는 14)의 라이닝(34)이 드럼(36) 외주면에 밀착상태로 가압되도록 하므로 일측의 서비스브레이크(12, 또는 14)가 제동작동되도록 한다.
이때, 타측의 서비스브레이크(14, 또는 12)는 비제동 작동상태에 있게 되므로 서비스브레이크(12, 또는 14)가 제동작동되는 측을 기점으로하는 차량의 선회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차량은 운전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조향되는 것이다.
한편, 주차레버(42)를 조작함에 따라 이러한 조작력이 기계적인 연결기구를 통하여 주차브레이크(40)에 전달됨으로써, 주차브레이크(40)를 작동시켜 차량의 주,정차를 위한 제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는 서비스브레이크와 주차브레이크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생산에 대한 두배의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되며, 기구적인 구성 및 작용에 따라 서비스브레이크 및 주차브레이크의 제동능력이 우수하게 발휘되는 것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수리, 보수를 위한 정비작업이 어려우며, 아울러 수명을 다한 라이닝의 상태를 파악하기가 곤란하므로 이에 따라 적절히 대처할 수 없게 되며, 기구적인 구성에 따라 라이닝이 마모된 만큼의 간격을 수시로 조정해주어야만 한다는 작업에 대한 번거로움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과 단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브레이크와 주차브레이크가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조립생산에 대한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서비스브레이크와 주차브레이크가 유압력으로 작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우수한 제동능력 및 조향능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수리,보수를 위한 정비작업의 간편화를 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제동능력의 상태파악 및 이에 따른 적절한 조정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를 위한 유압회로도.
제2도는 종래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에 대한 유압회로도.
제3도는 종래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에 채용된 서비스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에 대한 유압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에 채용된 서비스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티어링펌프 4 : 플로우 디바이더
6 :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 8 : 스티어링클러치
10 : 변속기 12, 14 : 서비스브레이크
18, 20 : 스티어링밸브 22 : 조작레버
30 : 페달 44 : 주차밸브
46 : 이동바렐 48 : 주차제동제어부
48 : 주차제동제어부 50, 52 : 배력장치
54 : 매스터실린더 58, 60 : 첵밸브
62 : 제동압력판 72 : 주차제동압력판
P1, P1 : 압력실 H1, H1 : 하우징
D : 디스크 F : 플레이트
E : 점화스위치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어링펌프에 의해 펌핑된 유압력이 플로우 디바이더에 의배 분배되어 조작상태에 따라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회로, 또는 스티어링클러치회로, 또는 변속기회로 등으로 공급되는 스티어링 유압회로로 구성되어 유압력의 작용상태에 따라 제동작용, 또는 조향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에 있어서,
서비스브레이크들과 스티어링펌프 사이에, 조작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스티어링밸브가 설치되고, 이러한 스티어링밸브 스풀의 작용상태에 따라 스티어링펌프로부터 유통되는 유압력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는 배력장치 및 상기 스티어링밸브로부터 유압력이 유통될 대 열리는 첵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첵밸브와 스티어링펌프사이의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에 따라 소정 유압력을 발생시키는 매스터실린더; 엔진의 시동여부에 따라서 작동되는 주차제동제어부 및 매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력에 따라 서비스브레이크작동부가 작동되며, 주차제동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유압력에 의해 주차브레이크작동부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서비스브레이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를 제공한다.
상기한 서비스브레이크는 액슬허브 측에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매스터실린더의 유압출력측과 연통되는 압력실 및 주차밸브의 유압출력측과 연통되는 압력실이 형성되는 하우징; 각 압력실에 작용되는 유압력에 따라 밀려 이동도록, 상기 하우징의 각 압력실에 이격상태로 내장되는 제동압력판 및 주차제동압력판; 상기 압력판들에 의해 밀려 위치이동되며, 그 외주면에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디스크가 결합된 이동바렐; 상기 다수의 디스크가 각각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는 상태의 다수 플레이트가 그 내주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축 측에 고정된 다른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이동바렐이, 상기 하우징과 중첩상태로 밀착결합되는 바렐부; 이 바렐부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로 바렐부면과 직교하도록 배치,결합되는 다수의 디스크; 상기 바렐부의 내부 중앙에 바렐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동압력판 및 주차제동압력판이 각각 안착되는 걸림턱이 이격되는 위치로 형성된 고정축으로 구성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펌프(2)에 의해 펌핑된 유압력이 플로우 디바이더(4)에 의해 분배되어 조작상태에 따라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6)의 유압회로, 또는 스티어링클러치(8)의 유압회로, 또는 변속기(10)의 유압회로 등으로 공급되는 스티어링 유압회로로 구성되어 유압력의 작용상태에 따라 제동작용, 또는 조향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에 관련된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브레이크(6)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펌프(2)에 의해 펌핑되는 유압력에 의해 한 쌍의 서비스브레이크(12)(14)를 작동시키는 유압식으로 되어 있다.
즉, 서비스브레이크(12)(14)들과 스티어링펌프(2) 사이에 스티어링밸브(18)(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티어링밸브(18)(20)는 조작레버(22)에 의해 작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그 스풀의 작용상태에 따라 스티어링펌프(2)로부터 유통되는 유압력의 유통을 단속하고, 유압력의 유통량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티어링밸브(18, 또는 20)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력이 일측의 서비스브레이크(12, 또는 14)에 공급됨으로써, 이러한 일측의 서비스브레이크(12, 또는 14)를 기준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조작레버(22)에 의해 스티어링클러치(8)로 공급되던 유압력 차단에 따라 동력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스티어링밸브(18)(20)에는 복수개의 릴리이프밸브(R)와 첵밸브(C) 및 오리피스(O)가 구성되어 있어 안전하고도 원활한 유압력의 제어작용을 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스티어링밸브(18)(20)와 서비스브레이크(12)(14) 사이에는 배력장치(50)(5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력장치(50)(52)들의 사이 위치에 스티어링펌프(2)와 연결된 매스터실린더(54)가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매스터실린더(54)와 각 배력장치(50)(52) 사이에 양방향으로의 유압유통을 단속할 수 있는 첵밸브(56)(5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매스터실린더(54)는 페달(30)에 의해 작동되어 유압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매스터실린더(54)에서 발생된 유압력이 배력장치(50)(52)에서 배력된 후 서비스브레이크(12)(14)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브레이크(12)(14)에 의한 제동작용이 아루어지게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서비스브레이크(12)(14)는 매스터실린더(54)의 작용에 따른 제 서비스브레이크작동부(60)의 제동작용 및 주차브레이크작동부(70)의 제동작용이 별도로 행해지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서비스브레이크(12)(14)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슬허브(도시생략)측에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H1)으로 서비스브레이크작동부(60)와 주차브레이크작동부(70)가 구성되어 있다.
또, 서비스브레이크작동부(60)의 해당 압력실(P1)은 하우징(H1)에 뚫린 포트를 통하여 상기 배력장치(50)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고, 주차브레이크작동부(70)의 해당 압력실(P2)은 주차밸브(44)를 경유하는 스티어링펌프(2)로부터의 유압력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하우징(H1)에 뚫린 포트를 통하여 주차밸브(44)의 출력포트와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하우징(H1)에는 주차제동을 위한 유압이 작용되는 주차제동압력판(72)와, 매스터실린더(54)에서 발생된 유압력이 작용되는 제동압력판(62)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압력판(72)(62)들에 의해 각각 밀려 이동되는 이동바렐(46)의 외주면에 다수 디스크(D)가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다수의 디스크(D)가 각각 밀착, 또는 이격되는 다수의 플레이트(F)가 구동축(도시생략) 측에 고정된 다른 하우징(H2) 내주면에 고정,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바렐(46)은, 바렐부(80)의 내부 중앙에 바렐부(8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출(82)에 서로 이격되는 위치로 복수개의 고정턱(82)(84)이 고정,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차량의 주차시 제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주차제동제어부(48)가 제4도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주차제동제어부(48)는 엔진 시동시 온되는 점화스위치(E)의 온작동에 따라 그 스풀이 움직이는 주차밸브(44)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주차밸브(44)는 스티어링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력으로 하여금 서비스브레이크(12)(14)의 주차제동작동부(70) 압력실(P2)로 유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차량을 제동시키려고 할 경우에 조작레버(22)를 당기면 조작레버(22)에 의해 스티어링밸브(18)(20)의 스풀이 움직여 스티어링펌프(2)로부터 스티어링클러치(8)로 연결되던 유압력 공급경로가 차단되므로 스티어링클러치(8)는 동력의 단속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답력이 가해지는 페달(30)에 의해 매스터실린더(54)에 유압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유압력에 의해 첵밸브(56)(58)가 열리는 유압라인을 통하여 메인펌프(2)로부터의 유압력은 배력장치(50)(52)에 의해 배력된 다음 서비스브레이크작동부(60)의 압력실(P1)에 유입되고, 이로써 제동압력판(62)을 밀어주게 된다.
이러한 제동압력판(62)은 이동바렐(46)의 외주에 배치된 다수의 디스크(D)로 하여금 다른 하우징(H2)의 다수 플레이트(F)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제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작레버(22)의 조작상태에 따라 스티어링밸브(18, 또는 20)의 스풀이 선택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서비스브레이크(12, 또는 14)의 서비스브레이크작동부(60)가 선택적으로 작용됨으로써, 일측의 서비스브레이크(12)가 작용되었다면 타측의 서비스브레이크(14)는 비제동 작동상태에 있게 되므로 서비스브레이크(12, 또는 14)가 제동작동되는 측을 기점으로하는 차량의 선회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써 차량은 운전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바꾸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엔진의 시동을 끄게되는 경우에 오프되는 점화스위치(E)의 단전작용에 따라 주차밸브(44)의 스풀이 리턴되어 스티어링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력의 유통이 차단됨과 동시에 압력실(P2)에 작용되던 유압력이 귀환되며, 이때 서비스브레이크(12)(14)의 주차브레이크작동부(70)의 주차제동압력판(72)이 탄력적으로 리턴된다.
이러한 주차제동압력판(72)은 이동바렐(46)의 외주에 배치된 다수의 디스크(D)로 하여금 다른 하우징(H1)의 다수 플레이트(F)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주,정차를 위한 제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차량을 운행시키기 위하여 엔진의 시동을 켜는 경우에 온되는 점화스위치(E)의 통전작용에 따라 주차밸브(44)의 스풀이 움직여 유압력의 통로를 열게 되고, 이때 스티어링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력이 서비스브레이크(12)(14)의 주차브레이크작동부(70) 압력실(P2)에 작용된다.
이로써, 주차제동압력판(72)이 도면에서 보아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러한 주차제동압력판(72)은 이동바렐(46)의 외주에 배치된 다수의 디스크(D)로 하여금 다른 하우징(H1)의 다수 플레이트(F)로부터 이격되게 함으로써, 차량을 제동상태로부터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주차를 위한 제동과 차량의 운행중 일시적인 제동이 하나의 어셈블리에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품의 수와 조립에 따르는 공정수 및 제조생산을 위한 작업시간을 줄임으로써, 조립생산에 대한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생산성의 향상, 그리고 원가의 절감 등을 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같단하게 되므로 수리,보수를 위한 정비작업의 간편화를 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제동능력의 상태파악 및 이에 따른 적절한 조정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주차제동이 유압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우수한 제동능력 및 조향능력이 발휘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스티어링펌프에 의해 펌핑된 유압력이 플로우 디바이더에 의해 분배되어 조작상태에 따라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의 유압회로, 또는 스티어링클러치의 유압회로, 또는 변속기의 유압회로 등으로 공급되는 스티어링 유압회로로 구성되어 유압력의 작용상태에 따라 제동작용, 또는 조향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에 있어서, 서비스브레이크들과 스티어링펌프 사이에, 조작레버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스티어링밸브와; 상기 스티어링밸브로부터 유압력이 유통될 대 열리도록 스티어링밸브의 유압출력 측과 연결되는 첵밸브와; 상기한 스티어링펌프로부터 유통되는 유압력을 배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첵밸브의 유압출력 측과 연결되는 배력장치와;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에 따라 소정 유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첵밸브와 스티어링펌프사이의 유압라인에 설치되는 매스터실린더와; 엔진의 시동여부에 따라서 작동되는 주차제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서비스브레이크는, 액슬허브 측에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매스터실린더의 유압출력측과 연통되는 압력실과, 주차밸브의 유압출력측과 연통되는 압력실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각 압력실에 이격상태로 내장되어 각 압력실에 작용되는 유압력에 따라 밀려 이동되는 제압압력판 및 주차제동압력판과; 상기 압력판들에 의해 밀려 위치이동되며, 그 외주면에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디스크가 결합된 이동바렐과; 상기 다수의 디스크가 각각 밀착, 또는 이격되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그 내주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축 측에 고정된 다른 하우징; 상기 압력판들을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바렐은 상기 하우징과 중첩상태로 밀착결합되는 바렐부와; 이 바렐부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로 바렐부면과 직교하도록 배치,결합되는 다수의 디스크와; 상기 바렐부의 내부 중앙에 바렐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과; 상기한 고정축에 서로 이격되는 위치로 고정,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턱으로 구성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
  4. 제1항에 있어서, 주차제동제어부는 차량의 엔진 시동시 온되는 점화스위치의 온작동에 따라 그 스풀이 움직여 스티어링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력으로 하여금 서비스브레이크의 주차제동작동부의 압력실로 유통되도록 하는 주차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차량의 스티어링브레이크.
KR1019970079691A 1997-12-30 1997-12-30 중장비 차량의 스티어링 브레이크 KR100281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691A KR100281176B1 (ko) 1997-12-30 1997-12-30 중장비 차량의 스티어링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691A KR100281176B1 (ko) 1997-12-30 1997-12-30 중장비 차량의 스티어링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483A KR19990059483A (ko) 1999-07-26
KR100281176B1 true KR100281176B1 (ko) 2001-02-01

Family

ID=6618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691A KR100281176B1 (ko) 1997-12-30 1997-12-30 중장비 차량의 스티어링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32B1 (ko) 2008-02-28 2010-05-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워 스티어링 유압을 사용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32B1 (ko) 2008-02-28 2010-05-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워 스티어링 유압을 사용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483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346093A (ja) 車両のクラッチ駆動装置
KR920700975A (ko) 유압식 이중 회로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81176B1 (ko) 중장비 차량의 스티어링 브레이크
GB2427663A (en) Work machine with spring loaded brake and prestressed spring device providing idle travel
JP4510815B2 (ja) 特に油圧式の車輪駆動装置のための制動装置
JPS60213570A (ja) 操舵力増幅装置
KR200384488Y1 (ko) 휠타입 중장비의 비상 주차 해제가 가능한 유압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WO2005077723A1 (en) A drum brake system with integrated park brake
JP2525186Y2 (ja) 車両の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KR960005404Y1 (ko) 부스터 브레이크의 파이로트 압력을 이용한 인칭시스템
KR100391105B1 (ko) 스키도 스티어로더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JP2538677B2 (ja) 作業車のブレ―キ構造
JPS5824283B2 (ja) 車輛のロツク装置
EP1702823A2 (en) Brake system with primary and secondary brakes
US7188912B2 (en) Braking systems
US4934760A (en) Friction brake mechanism with automatic sequencing
KR20010047097A (ko) 휠타입 산업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CN214495534U (zh) 用于陆地牵引机的牵引组件
EP1584834B1 (en) Braking unit for a motor vehicle
JPH0567464B2 (ko)
KR102028099B1 (ko) 비상시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시스템
KR100568808B1 (ko) 수동 변속기의 비상 클러치 장치
JP4183351B2 (ja) 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960007806Y1 (ko) 중장비용 조향시스템
JP4020534B2 (ja) 装軌式車両のクラッチ・ブレーキ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