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192B1 -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192B1
KR100279192B1 KR1019980031990A KR19980031990A KR100279192B1 KR 100279192 B1 KR100279192 B1 KR 100279192B1 KR 1019980031990 A KR1019980031990 A KR 1019980031990A KR 19980031990 A KR19980031990 A KR 19980031990A KR 100279192 B1 KR100279192 B1 KR 10027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hook
bolt
hook bolt
mason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239A (ko
Inventor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이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수 filed Critical 이형수
Priority to KR101998003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192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4Tie rods

Abstract

본 발명은 속빈 콘크리트블록을 조립식으로 편리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단축 및 조적비용을 절감하고, 숙련된 조적공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시공이 가능하며, 또한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용 조적쇠는 그 양단이 하향절곡되어 속빈 콘크리트블록(10)들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11)에 일정간격으로 끼워지는 걸림쇠(20); 상기 걸림쇠(20)에 걸리는 훅볼트(30); 상기 훅볼트(30)에 끼워지는 볼트공(41)이 천공되고 그 일측으로 걸림턱(42)이 하향절곡된 접속구(40); 상기 훅볼트(3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적방법은 속빈 콘크리트블록(10)을 조적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요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1)에 그 양단이 하향절곡된 걸림쇠(20)들을 일정간격으로 끼워서 연결하며, 조적시 하부에 위치하는 걸림쇠(20)에 훅볼트(30)를 걸고, 상기 훅볼트(30)에 끼워진 접속구(40)를 상부에 위치하는 걸림쇠(20)에 접속시킨후, 이 접속구(40)를 훅볼트(30)에 나사결합된 너트(50)로 조이면서 조립식으로 콘크리트블록(10)을 쌓아 올리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
본 발명은 속빈 콘크리트블록을 조립식으로 편리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콘크리트블록을 모르타르로 접합시켜서 쌓아 올렸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콘크리트블록을 모르타르로 접합시켜 조적하였기 때문에 현장에서 일일이 시멘트,모래,물을 섞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둘째, 콘크리트블록을 대략 6단정도 올린 상태에서는 모르타르가 굳은 다음에 다시 쌓아 올려야 하므로, 즉 6단이상을 계속해서 쌓아 올리지 못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블록을 쌓아 올리기 위해서는 숙련된 조적공만이 시공이 가능하므로 일반인들은 조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넷째, 모르타르에 의해 콘크리트블록이 접합되므로 구조가 단단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있었으며,
다섯째, 상기와 같이 문제점들로 인해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블록을 조적함에 있어 조적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속빈 콘크리트블록을 조립식으로 편리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단축 및 조적비용을 절감하고, 숙련된 조적공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시공이 가능하며, 또한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여 이 요홈에 걸림쇠들을 일정간격으로 끼워서 연결하되, 조적시 상,하부에 위치하는 걸림쇠들을 각각 훅볼트와 접속구로 연결하면서 조립식으로 콘크리트블록을 쌓아 올리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콘크리트블록이 조적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조적된 상태를 보인 일부절결한 정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쇠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콘크리트블록 11 : 요홈
20 : 걸림쇠 30 : 훅볼트
40 : 접속구 41 : 볼트공
42 : 걸림턱 50 : 너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양단이 하향절곡되어 속빈 콘크리트블록(10)들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11)에 일정간격으로 끼워지는 걸림쇠(20); 상기 걸림쇠(20)에 걸리는 훅볼트(30); 상기 훅볼트(30)에 끼워지는 볼트공(41)이 천공되고 그 일측으로 걸림턱(42)이 하향절곡된 접속구(40); 상기 훅볼트(3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0)에는 걸림쇠(20)가 끼워지는 요홈(11)이 형성되므로 조적시 상,하부 콘크리트블록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는다.
상기 걸림쇠(20)의 양단에는 콘크리트블록(10)의 중공벽에 지지되는 지지부(21)가 하향절곡되므로 양측 콘크리트블록이 좌,우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걸림쇠(20)는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블록(10)의 양측과 중앙부에 각각 끼워진다.
상기 훅볼트(30)의 하부에는 훅부(31)가 상향절곡되고, 그 상부에는 너트(5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40)에 천공되는 볼트공(41)은 도 4에서와 같이 접속구(40)의 상,하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성형된다. 이는 체결시 볼트공(41)의 일측 모서리부가 상기 나사부(32)에 끼도록 하여 너트(50)가 풀려도 접속구(40)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하부에 위치하는 걸림쇠(20)들을 연결하기 위해 접속구(40)를 걸림쇠(20)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너트(50)로 조이면 접속구(20)의 걸림턱(42)부위가 위로 약간 당겨지기 때문에, 이로 인해 볼트공(41)은 약각 경사지면서 그 일측 모서리부가 나사부(32)의 톱니사이에 낀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블록 조적방법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속빈 콘크리트블록(10)을 조적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요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1)에 그 양단이 하향절곡된 걸림쇠(20)들을 일정간격으로 끼워서 연결하며, 조적시 하부에 위치하는 걸림쇠(20)에 훅볼트(30)를 걸고, 상기 훅볼트(30)에 끼워진 접속구(40)를 상부에 위치하는 걸림쇠(20)에 접속시킨후, 이 접속구(40)를 훅볼트(30)에 나사결합된 너트(50)로 조이면서 조립식으로 콘크리트블록(10)을 쌓아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적쇠를 이용하여 속빈 콘크리트블록(10)을 쌓아 올리는 조적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앵커볼트(60)를 박아 고정시킨후, 이 앵커볼트(60)에 접속구(40)를 각각 너트로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블록(10)의 중공부를 앵커볼트(6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1단 콘크리트블록(10)들의 양단이 상호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연결시킨다.
1단 콘크리트블록(10)들을 수평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블록(10)들의 양측과 중앙부 요홈(11)에 걸림쇠(20)들을 각각 끼워 1단 콘크리트블록(10)들을 수평상태로 견고하게 연결시킨후, 도 2에서와 같이 앵커볼트(60)에 고정된 접속구(40)에 훅볼트(30)의 훅부(31)를 걸고, 이 훅볼트(30)에 끼워진 다른 접속구(40)를 걸림쇠(20)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훅볼트(30)의 나사부(32)에 결합된 너트(50)를 조여 1단 콘크리트블록(10)에 끼워진 걸림쇠(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1단 콘크리트블록(10)들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1단 콘크리트블록(10)들의 상부에 2단 콘크리트블록(10)들을 쌓아 올린 상태에서 2단 콘크리트블록(10)들의 요홈(11)에 상기와 같이 걸림쇠(20)들을 끼운후, 1단 콘크리트블록(10)에 고정된 걸림쇠(20)에 다른 훅볼트(30)의 훅부(31)를 걸고, 이 훅볼트(30)에 끼워진 접속구(40)를 2단 콘크리트블록(10)에 끼워진 걸림쇠(20)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50)를 조여 2단 콘크리트블록(10)에 끼워진 걸림쇠(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1단,2단콘크리트블록(10)들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2단 콘크리트블록(10)위에 계속적으로 필요한 높이로 콘크리트블록(10)들을 조립식으로 쌓아 올리면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시공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조적쇠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블록(10)들을 편리하게 조립식으로 쌓아 올릴 수 있는 장점과, 6단이상을 계속해서 쌓아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조립식이므로 숙련된 조적공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조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적쇠에 의해 조립식으로 조적되므로 종래 모르타르로 접합되는 구조에 비해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블록을 조적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장점을 통해 공사기간의 단축 및 조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속빈 콘크리트블록을 편리하게 조립식으로 조적되므로 공기단축 및 조적비용을 절감하며, 숙련된 조적공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시공이 가능하며, 또한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그 양단이 하향절곡되어 속빈 콘크리트블록(10)들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11)에 일정간격으로 끼워지는 걸림쇠(20); 상기 걸림쇠(20)에 걸리는 훅볼트(30); 상기 훅볼트(30)에 끼워지는 볼트공(41)이 천공되고 그 일측으로 걸림턱(42)이 하향절곡된 접속구(40); 상기 훅볼트(3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41)은 접속구(40)의 상,하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3. 속빈 콘크리트블록(10)을 조적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10)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요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1)에 그 양단이 하향절곡된 걸림쇠(20)들을 일정간격으로 끼워서 연결하며, 조적시 하부에 위치하는 걸림쇠(20)에 훅볼트(30)를 걸고, 상기 훅볼트(30)에 끼워진 접속구(40)를 상부에 위치하는 걸림쇠(20)에 접속시킨후, 이 접속구(40)를 훅볼트(30)에 나사결합된 너트(50)로 조이면서 조립식으로 콘크리트블록(10)을 쌓아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 조적방법.
KR1019980031990A 1998-08-06 1998-08-06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 KR10027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990A KR100279192B1 (ko) 1998-08-06 1998-08-06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990A KR100279192B1 (ko) 1998-08-06 1998-08-06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239A KR20000013239A (ko) 2000-03-06
KR100279192B1 true KR100279192B1 (ko) 2001-01-15

Family

ID=1954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990A KR100279192B1 (ko) 1998-08-06 1998-08-06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923B1 (ko) * 2005-05-24 2007-01-09 이형수 조적블록의 건식 조적방법 및 조적장치
KR200467942Y1 (ko) 2012-02-23 2013-07-17 김가영 조립식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933B1 (ko) * 2015-01-28 2015-04-08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연결장치
KR101518359B1 (ko) * 2015-03-27 2015-05-07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923B1 (ko) * 2005-05-24 2007-01-09 이형수 조적블록의 건식 조적방법 및 조적장치
KR200467942Y1 (ko) 2012-02-23 2013-07-17 김가영 조립식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239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192B1 (ko) 콘크리트블록 조립용 조적쇠 및 조적방법
JPH05506486A (ja) 改良された手摺のアンカ組立体
JP2000303682A (ja) 吊り足場、及びその構築方法
JPH0826638B2 (ja) 石材等構造物の連結装置
KR100476654B1 (ko) 조립식 난간
KR100515793B1 (ko) 건축물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JP3059976B2 (ja) 型枠壁体の構造及び型枠体の連結方法
JP3670136B2 (ja) 手摺りの支持構造
JP2769677B2 (ja) テラス、バルコニー等の構造体
JPS63184665A (ja) 手摺支柱取付け用アンカーの埋設装置
JP2600420Y2 (ja) 手摺りユニット
KR200365037Y1 (ko) 안전난간대 설치용 벽 부착형 클램프
KR100340088B1 (ko) 천정판넬 고정구
KR200223116Y1 (ko) 건축용 다용도 브라켓
JPH0349003Y2 (ko)
JP3054605B2 (ja) 建物付設物の化粧カバー取付具
JPS5811851Y2 (ja) 組立家屋における接合金具
JPH09296462A (ja) L形擁壁の構築方法
KR940008485Y1 (ko) 횡봉용 거푸집 조임장치
JPH11141077A (ja) パラペットにおける笠木ベースの固定工法
JP4116471B2 (ja) 建物付設物
KR960000701Y1 (ko) 벽판넬의 결합장치
JP2585409Y2 (ja) ユニットバルコニ−の組み付け構造
KR20022671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구
JPH0271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