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221B1 -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 - Google Patents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221B1
KR100278221B1 KR1019940704187A KR19940704187A KR100278221B1 KR 100278221 B1 KR100278221 B1 KR 100278221B1 KR 1019940704187 A KR1019940704187 A KR 1019940704187A KR 19940704187 A KR19940704187 A KR 19940704187A KR 100278221 B1 KR100278221 B1 KR 10027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lkyl
alkali metal
formula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677A (ko
Inventor
피오크 로타르
킨 보투린스키 마르티나
자이터 볼프강
Original Assignee
한스 크리스토프 빌크
헨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아우프 악티엔
미하엘 베르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크리스토프 빌크, 헨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아우프 악티엔, 미하엘 베르크만 filed Critical 한스 크리스토프 빌크
Publication of KR95070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Methods for using cleaning compositions
    • C11D11/0082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Methods for using cleaning compositions one or more of the detergent ingredients being in a liquefied state, e.g. slurry, paste or melt, and the process resulting in solid detergent particles such as granules, powders or b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Methods for using cleaning compositions
    • C11D11/02Preparation in the form of powder by spray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8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알킬 글리코시드 대 알킬 술페이트의 중량비가 5 : 1 내지 1 : 2 이고, 특히 더, 3 : 1 내지 1 : 1로 있는, 하기식 (I)에 대응하는 10 중량 % 내지 40 중량 %의 알킬 글리코시드 :
[식중, R1은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기이고, G는 글리코스 단위이며 n은 1 내지 10의 수이다.], 하기식 (II)에 대응하는 5 중량 % 내지 20 중량 %의 알킬 술페이트 :
[식중, R2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X는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알킬 - 또는 히드록시알킬 - 치환 암모늄 이온이다], 전체 담체 물질을 기준으로, 10중량 % 이상의 무기 담체 물질이 알칼리 금속 산화물에 대한 SiO2의 몰비가 2 이상인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된 40 중량 % 내지 80 중량 %의 무기 담체 물질 및 15 중량 % 이하의 물을 함유하며 그의 구성 성분의 주입 가능한 수성 혼합물을 건조하여 수득되는 알킬벤젠술포네이트가 없는 주입 가능한 자유 유동성의 분할형 계면활성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미립자 세제의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그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
본 발명은 알킬 술페이트, 알킬 글리코시드 및 무기 담체 물질을 함유하는 분말 형의, 주입 가능한 자유 유동성 계면 활성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특정 세제의 제품을 위한 화합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국제 특허 출원 WO 87/02053 호에는 2 내지 60 중량 %의 계면 활성제, 이 계면 활성제는 0.1 중량 % 이상의 알킬 글리코시드(2 중량 % 이하의 알킬글리코시드의 총량)로 구성된다. 5 내지 70 중량 %의 빌더 및 40 중량% 이하의 수용성 충진제를 함유하는 고체 기재의 40 내지 80 %의 수성 슬러리의 건조에 의한 미립자 세제의 제조 방법을 기재하였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 더 구체적으로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 형의 계면 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 더 구체적으로 에톡실화된 지방산 알콜이다. 슬러리에 존재하는 물의 제거는 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에 의하여 성취된다.
US - PS 4,536,319 호는 알킬 글리코시드, 수용성 염 및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성 빌더 및 추가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과립세제를 기재하였다. 이 문헌에서 언급한 세제는 3 중량 % 이하의 특정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함유한다. 불행하게도, 이들은 일반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유동성을 나타내며 특히 보관시 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현대 분말 형태의 세제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별적으로 제조된 분말 성분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그들의 성분, 다른 제조 공정의 필요물의 성질에 따라 의존된다. 이들의 상대적으로 불완전한 성질로 인하여, 이러한 세척제의 계면 활성제 함유 성분에 대한 바람직한 제조 공정은 성분의 수용액 또는 슬러리의 분무 건조이다. 그러나 분무 건조에 대하여 계면 활성 성분은 지금까지 전형적인 음이온 계면 활성제, 특히 알킬 벤젠술포네이트 형을 사용하는 것이 보장되는 고온에서의 노출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세제에서 알킬벤젠술포네이트의 사용은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석유 기재의 설명 그 자체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다. 동등하게 양호한 세제성을 가지면서 생태학적으로 안정한 음이온 계면 활성제는 예를들어, 재생 가능한 원료, 더 구체적으로 지방산 알콜로 부터 수득 가능한 술폰화 생성물의 화합물이다. 그러나, 알킬 벤젠술포네이트를 함유하는 수성 슬러리는 이러한 공정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온도, 일반적으로 250 내지 350℃의 온도에서 쉽게 분무 건조되며, 동일한 양의 알킬 술페이트를 함유하는 수성 슬러리는 이러한 조건하에서 자발적으로 인화하는 위험이 있다는 것을 현재 알아내었다. 이러한 문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슬러리로 존재하여 분무되는 경우에 더 악화되지만, 세제에서의 그들의 사용은 종종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특히, 그들의 유리한 성질 때문에 최근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는 장쇄 알킬키를 갖는 알킬 글리코시드를 포함한다.
문제의 알킬 글리코시드 형태는 일반적으로 고 점도의 페이스트 형태로 축적되므로 분무하려고 하는 수성 슬러리 내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로 그들을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방법에서 부닥치는 심한 기계적 강도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다.
건조에 의하여 알킬 벤젠술포네이트가 없는 분말형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제조 방법에서 상술한 문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소위 미립자 세제의 제조를 위한 화합물용으로 적당한 보존성, 주입성 및 자유 유동성 분말을 초래하는 유동성이 있고 주입 가능한 수성 슬러리는 특정량의 알킬 술페이트, 알킬글리코시드 및 10 중량 % 이상의 SiO2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몰비가 2 : 1 이상으로 있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된 무기 담체 물질로 부터 수득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아내었다.
알킬 벤젠술포네이트가 없는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의 제조에 대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필수적으로 알킬 글리코시드 대 알킬 술페이트의 중량비가 5 : 1 내지 1 : 2, 바람직하게는 3 : 1 내지 1 : 1로 있는, 하기식 (I)에 대응하는 10 내지 40중량부의 알킬 글리코시드 :
[식중, R1은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기이고, G는 글리코스 단위이며 n은 1 내지 10의 수이다.], 하기식 (II)에 대응하는 5 내지 20 중량부의 알킬 술페이트 :
[식중, R2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X는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알킬 - 또는 히드록시알킬 - 치환 암모늄 이온이다], 및 10 중량 % 이상이 SiO2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몰비가 2 : 1 이상인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된 40 내지 80 중량부의 무기 담체 물질을 80 ℃ 미만의 온도에서 주입 가능하고 유동성인 혼합물이 형성되는 양으로 물과 혼합하고, 분말형, 자유 유동성 생성물이 형성되는 정도로 250 ℃ 미만의 온도인 건조 기체를 사용한 유동층 건조 또는 분무 건조에 의하여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분말안에 있는 물 함량이 15 중량 % 이하, 더 구체적으로, 5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인 경우이다. 담체 물질이 결정수로서 물의 일부분을 결합하는 경우의 제제에서, 잔류수 함량은 결정 격자에 결합되지 않은 자유 수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유동성이고 주입 가능한 수성 현탁액은 80 ℃ 미만의 온도에서, 분무 건조 공정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펌프 및 파이프에 의하여 쉽게 조작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사용된 슬러리는 예컨대, 1 분당 20 회전으로, 스핀들 3의 브룩필드 점도계인 표준 점도계로 60 내지 75 ℃의 온도에서 측정하여 3,000 mPa·s 내지 15,000 mPa·s 범위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식 I에 대응하는 20 내지 30중량부의 알킬글리코시드, 식 II에 대응하는 8 내지 15 중량부의 알킬 술페이트 및 48 내지 68 중량부의 무기 담체 물질과 35 중량 % 이상, 더 구체적으로, 40 중량 % 내지 50 중량 %의 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이 형성되는 양으로 물과 혼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슬러리는 소위 분무 건조 탑에서 분무 건조되며, 이것의 상부 부분에서 슬러리는 압력 노즐을 통해서 중력의 효과하에 분무 건조 탑의 하부로 이동되는 미소적(fine droplets)이 되며 건조할 입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역류로 분무 건조 탑을 통해 통과하는 뜨거운 건조 기체와 접촉하게 된다. 건조 기체의 온도가 너무 높지않도록하여 분무 건조 입자의 온도는 입자의 자동 발화 온도보다 높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것은 건조 기체의 온도가 250℃ 이하이어야하고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40℃ 범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10℃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90℃ 범위라는 것을 의미하며, 건조 기체의 온도는 건조 탑의 가장 뜨거운 부분에서 측정되며, 소위 링 채널이라고 불리운다. 지금까지 언급한 온도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건조의 생산 공정의 다른 구현예에 대하여도 동일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로 유도되는 슬러리의 제조에서, 수성, 일반적으로 30 내지 60 중량 % 알킬 글리코시드 페이스트와 같은 것은 일반적으로 알킬 글리코시드를 제조하는 동안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후속하는 표백을 혼합할 수 도 있다. 알킬술페이트 성분 및, 특히, 담체 성분은 수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80 ℃ 미만의 온도에서 슬러리의 유동성 및 주입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건조될 슬러리내에 약 35중량%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 %의 물이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유리한 점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로 유도되는 슬러리의 놀랍게도 낮은 점도이며, 특히 알킬술페이트 대신에 알킬 벤젠술포네이트를 동량 함유하는 슬러리에 대하여 60℃ 내지 75℃의 온도에서 3,000 mPa·s 내지 15,000 mPa·s 범위로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알킬 벤젠술포네이트가 없는 주입가능하고 자유 유동성인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은 알킬 글리코시드 대 알킬 술페이트의 중량비가 5 : 1 내지 1 : 2 이고, 특히 더, 3 : 1 내지 1 : 1로 있는, 하기식 (I)에 대응하는 10 중량 % 내지 40 중량 %의 알킬 글리코시드 :
[식중, R1은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기이고, G는 글리코스 단위이며 n은 1 내지 10의 수이다.], 하기식 (II)에 대응하는 5 중량 % 내지 20 중량 %의 알킬 술페이트 :
[식중, R2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X는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알킬 - 또는 히드록시알킬 - 치환 암모늄 이온이다], 전체 담체 물질을 기준으로, 10 중량 % 이상의 무기 담체 물질이 SiO2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몰비가 2 : 1 이상인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된 40 중량 % 내지 80 중량 %의 무기 담체 물질 및 15 중량 % 이하, 특히 더, 5 중량 % 내지 15 중량 %의 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존재하는 10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의 무기 담체 물질은 2 : 1 이상, 특히 더 2.0 내지 3.5 : 1,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 1의 SiO2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몰비를 갖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된다. 알칼리 금속이 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 알칼리 금속 탄산 수소 및 알칼리 금속 술페이트와 그의 혼합물은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이외에 사용될 수 있는 건조후 미립자인 다른 수용성 무기 담체 물질로서 특히 적당하다. 이러한 경우, 또한 나트륨염도 바람직하다. 특히 층 실리케이트, 예를들어 벤토나이트 또는 스멕타이트, 및 알루모실리케이트, 예를들어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수용성 담체 물질도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혼합하기에 적당한 알킬 글리코시드는 R1이 탄소수 8 내지 22를 갖는 알킬기이고, G가 글리코스 단위이며 n이 1 내지 10의 수인 일반식 I에 대응하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것과 같은 알킬 글리코시드 및 그의 제조는 예를들어, 유럽 특허 출원 EP 92 355, EP 301 298, EP 357 969 및 EP 362 671 및 US - PS 3,547,828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알킬 글리코시드의 글리코시드 성분(식 I에서 (G)n)은 천연 알도스 또는 케토스 단량체의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이며, 특히 글루코스, 만노스, 프락토스, 갈락토스, 탈로스, 글로스, 알트로스, 알로스, 이도스, 리보스, 아라비노스, 크실로스 및 릭소스를 포함한다. 이들 글리코시드 결합 단량체로 구성된 올리고머는 그안에 존재하는 당의 형태뿐만이 아니라, 소위 올리고머화도라 불리우는 그들의 수에 의하여 특징 지워진다. 올리고머화도(식 I에서 n)는 분석적으로 결정되는 양이며 일반적으로 분수이며, 1 내지 10의 수로 가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알킬 글리코시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1.5 미만 및, 더 구체적으로, 1.2 내지 1.4 미만의 값을 갖는다. 용이한 구입성 때문에 글루코스는 바람직한 단량체 단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면 활성제 혼합물에 존재하는 알킬 글리코시드의 알킬 부분(식 I 에서 R1)은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재생 원료, 더 구체적으로 지방산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의 측쇄 이성질체, 더 구체적으로 소위 옥소알콜은 적당한 알킬 글리코시드의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직쇄 옥틸, 데실, 도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또는 옥타데실기 및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일차 알콜은 특히 유용하다. 특히 적당한 알킬 글리코시드는 코코넛 유 지방산 알킬기, 즉 필수적으로 R1= 도데실 및 R1= 테트라데실인 혼합물을 함유한다. 알킬 글리코시드는 소량 예를들어 그의 생산에서 미반응된 유리 지방산 알콜을 1 내지 2 % 함유할 수 있지만 그와 함께 제조된 화합물의 성질에 악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의 알킬 글리코시드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내에 10 중량 % 내지 40 중량 %의 양, 더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 내지 3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하며, 알킬 글리코시드 대 알킬 술페이트의 중량비는 5 : 1 내지 1 : 2이고 바람직하게는 3 : 1 내지 1. 1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알킬 술페이트는 식 II에 대응하는 화합물이며, 식중 R2는 탄소수 10 내지 20을 함유하는 알킬기이고 X는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알킬 - 또는 히드록시알킬 - 치환 암모늄 이온이다. 특히 탄소수 12 내지 18을 함유하는 지방산 알콜의 유도체 및 그의 측쇄 유사물, 소위 옥소알콜이 특히 적당하다. 알킬 술페이트는 대응하는 알콜 성분과 전형적인 술페이트화제, 더 구체적으로 삼산화황 또는 클로로술폰산을 반응시키고, 후속해서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알킬 - 또는 히드록시알킬 - 치환 암모늄 염기로 중화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킬 술페이트는 5 중량 % 내지 20 중량 %의 양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8 중량 % 내지 15 중량 %의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다른 계면 활성제, 바람직하게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며, 이들 계면활성제중, 특히 술페이트 또는 술포네이트형 계면활성제를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이하의 양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 내지 5 중량 %의 양으로 함유한다.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술페이트 형의 계면 활성제는 특히, 소위 에테르 술페이트라고 불리우는 알콜의 술페이티드 알콕실화 생성물을 언급할 수 있다.
이와같은 에테르 술페이트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의 에틸렌 글리콜기를 1 분자당 함유하는 것이다. 다른 적당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지방산 에스테르와 삼산화황과의 반응 및 후속하는 중화반응으로 수득할 수 있는 α - 술포에스테르이며, 더 구체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18을 함유하는 지방산과 탄소수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를 함유하는 직쇄 알콜로부터 유도되는 술폰화 생성물 및 일반적인 비누화에 의한 이러한 술폰화 생성물로 부터 수득할 수 있는 술포 지방산 및 그의 염이다.
적당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알콕실레이트, 특히 더 탄소수 10 내지 22 및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콜의 에톡실레이트 및/또는 프로폭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알콜의 알콕실화도는 1 내지 20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이들은 대응하는 알콜과 대응하는 알켈렌 산화물과의 공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지방산 알콜 유도체가 특히 적당하지만, 그의 측쇄 이성질체, 특히 더 소위 옥소 알콜도 또한 유용한 알콕실레이트의 생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직쇄 도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또는 옥타데실기 및 그의 혼합물과 일차 알콜의 에톡실화가 특히 적당하다.
그밖에, 알킬성분을 고려하여 상술한 알콜에 대응하는 알킬아민, 비시날 디올 및 카르복실산 아미드의 대응하는 에톡실화 및/또는 프로폭실화 생성물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담체 물질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혼합물에 40 중량 %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48중량% 내지 68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담체 물질의 10 중량 %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 내지 50 중량 %가 상술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건조 상태에서 안정한 다른 전형적인 세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구성 성분은 특히, 중금속을 위한 착물화제, 예컨대, 아미노폴리카르복실산 및/또는 폴리포스폰산, 재증착 방지제, 예컨대 셀룰로스 에테르, 코-빌더, 예컨대, 중합체 폴리카르복실산, 거품 방지제, 예컨대 유기폴리실록산 또는 파라핀, 및 광학증백제, 예를들어 스틸벤디술폰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문제의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5 중량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 내지 2 중량 %의 양으로 분말형태의 계면 활성제 혼합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은 미립자 세제의 생산을 위한 주입가능한 자유 유동성 화합물로서 사용되는 것이 특히 적당하다.
분말형 세제의 생산을 위한 화합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0.4 m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져야 하며 실질적으로 직경이 2 mm 보다 크거나 또는 50 ㎛ 보다 작은 입자가 없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없다는 것은 0.8 중량 % 이하의 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한은 일반적으로 분무 건조에 의하여 수득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의하여 관측되며,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는 입자는 시이브에 의하여 간단히 제거될 수도 있고, 생산 공정으로 다시 되돌아 가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겉보기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 L 당 200 내지 500 g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분리의 위험없이, 다른 세제의 분말형 성분과는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장기간 보존시에도 유리한 성질을 손실하지 않는 주입가능한 자유 유동성의 분말이다. 세제의 생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특히 마모제, 예컨대 실리카 분말, 표백제, 예컨대 퍼보레이트 또는 퍼카르보네이트, 및 표백 활성화제, 예컨대 폴리아실레이티드 알킬렌디아민, 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폴리아실레이티드 폴리올을 포함하는, 전형적으로 세제에 있는 다른 분말형 구성 성분과 기본적으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혼합될 수 있다. 액체, 액화된 또는 용해된 성분, 예컨대 효소, 염료, 방향제 또는 다른 계면활성제, 특히 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기본적으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화합물상에 분무될 수 도 있다.
알킬 글리코시드 성분을 60℃ 부근까지 가열하고 이것을 교반하면서 알킬 술페이트 수용액에 가하고 다른 성분을 교반하면서 가하며, 마지막 성분으로서 가하는 소듐 실리케이트는 약 35 중량 %의 물유리 형태로 가하여 표 1에 명시된 원료로 부터 40 내지 44 중량 %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슬러리를 제조한다. 65 ℃에서 표 2에 명시된 점도를 갖는 슬러리는 60℃ 내지 80℃의 온도까지 가열되고 역류로 탑을 통과하는 뜨거운 공기(링채널에서 150 내지 190 ℃의 온도)가 분무 건조 탑내에서 40 bar의 압력하에서 분무된다.
[표 1]
a) C12/14알킬 글루코시드, 올리고머화도 1.4
b) 직쇄 C16/18알킬 술페이트(SulfoponT, Henkel KGaA 제품)
c) SiO2대 Na2O의 비 3.0 : 1
표 1에 명시된 조성에 의하여 특징지워지는 300 ㎛ 정도의 평균입자를 갖는 자유 유동성 분말 M1 및 M2를 수득한다. 이들은 직경 1.6 mm 초과의 자유 유동성 입자이며, 0.1 내지 0.65중량%의 분진 및 240 내지 300 g/ℓ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표 2]

Claims (14)

  1. 알킬 글리코시드 대 알킬 술페이트의 중량비가 5:1 내지 1:2 이고, 하기식 (I)에 대응하는 1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알킬 글리코시드 :
    [식중, R1은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기이고, G는 글리코스 단위이며 n은 1 내지 10의 수이다], 하기식 (II)에 대응하는 5 중량 % 내지 20 중량 %의 알킬 술페이트 :
    [식중, R2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X는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알킬 - 또는 히드록시알킬 - 치환 암모늄 이온이다], 전체 담체 물질을 기준으로, 10 중량 % 이상의 무기 담체 물질이 알칼리 금속 산화물에 대한 SiO2의 몰비가 2 이상인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된 40 중량 % 내지 80 중량 %의 무기 담체 물질, 및 15 중량 % 이하의 물을 함유하며 그의 구성 성분의 주입 가능한 수성 혼합물을 건조하여 수득되는 알킬 벤젠술포네이트가 없는 주입 가능한 자유 유동성의 분말형 계면활성제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식 I에 대응하는 알킬 글리코시드, 8 중량 % 내지 15 중량 %의 식 II에 대응하는 알킬 술페이트 48 중량 % 내지 68 중량 %의 무기 담체 물질, 10 중량 % 이하의 추가의 음이온, 비이온 또는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5 중량 % 내지 15 중량 %의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0 중량 % 내지 50 중량 %의 무기담체 물질이 SiO2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몰비가 2 : 1 이상으로 있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 I에 대응하는 알킬 글리코시드가 알킬 글루코시드이며 올리고머화도 n은 1.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 II에 대응하는 알킬 술페이트가 탄소수 12 내지 18의 알킬기 R2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립자 세제의 제조를 위한 주입 가능하고 자유 유동성 화합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
  7. 알킬 글리코시드 대 알킬 술페이트의 중량비가 5 : 1 내지 1 : 2로 있는, 하기식 (I)에 대응하는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알킬 글리코시드 :
    [식중, R1은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기이고, G는 글리코스 단위이며 n은 1 내지 10의 수이다], 하기식 (II)에 대응하는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알킬 술페이트 :
    [식중, R2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X는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알킬 - 또는 히드록시알킬 - 치환 암모늄 이온이다], 및 10 중량 % 이상이 SiO2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몰비가 2 : 1 이상인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된 40 내지 80 중량부의 무기 담체 물질을 80 ℃ 미만의 온도에서 주입 가능하고 유동성인 혼합물이 형성되는 양으로 물과 혼합하고, 분말형, 자유 유동성 생성물이 형성되는 정도로 250 ℃ 미만의 온도로 있는 건조 기체를 사용하여 분무 건조하여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유동성, 수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건조하므로서 알킬 벤젠술포네이트가 없는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식 I에 대응하는 알킬 글리코시드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식 II에 대응하는 알킬 술페이트 8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및 무기 담체 물질 48 중량부 내지 68 중량부를 35 중량 % 이상의 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으로 물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알킬 글리코시드 대 알킬 술페이트의 중량비가 5 : 1 내지 1 : 2로 있는, 하기식 (I)에 대응하는 10 내지 40 중량부의 알킬 글리코시드 :
    [식중, R1은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기이고, G는 글리코스 단위이며 n은 1 내지 10의 수이다], 하기식 (II)에 대응하는 5 내지 20 중량부의 알킬 술페이트 :
    [식중, R2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X는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알킬 - 또는 히드록시알킬 - 치환 암모늄 이온이다], 및 10 중량 % 이상이 SiO2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몰비가 2 : 1 이상인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된 40 내지 80 중량부의 무기 담체 물질을 80℃ 미만의 온도에서 주입 가능하고 유동성인 혼합물이 형성되는 양으로 물과 혼합하고, 분말형, 자유 유동성 생성물이 형성되는 정도로 250 ℃ 미만의 온도인 건조 기체를 사용한 유동층 건조에 의하여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유동성, 수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건조하므로서 알킬 벤젠술포네이트가 없는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알킬 글리코시드 대 알킬 술페이트의 중량비가 3 : 1 내지 1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20 내지 50 중량 %의 무기 담체 물질이 SiO2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몰비가 2 : 1 이상으로 있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로 구성되며, 무기 담체 물질은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이외에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 알칼리 금속 탄산 수소, 알칼리 금속 술페이트, 층 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모실리케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120 ℃ 내지 240 ℃의 온도를 갖는 건조 기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건조될 수성 혼합물이 60℃ 내지 75℃에서 측정시, 3,000 mPa·s 내지 15,000 mPa·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미립자 세제의 제조를 위한 주입 가능한 자유 유동성 화합물로서 제7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형 계면활성제 혼합물.
KR1019940704187A 1992-05-21 1993-05-13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 KR100278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16775.2 1992-05-21
DE4216775A DE4216775A1 (de) 1992-05-21 1992-05-21 Pulverförmige Tensidmischung
PCT/EP1993/001192 WO1993023514A1 (de) 1992-05-21 1993-05-13 Pulverförmige tensidmisch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677A KR950701677A (ko) 1995-04-28
KR100278221B1 true KR100278221B1 (ko) 2001-04-02

Family

ID=645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187A KR100278221B1 (ko) 1992-05-21 1993-05-13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642573B1 (ko)
JP (1) JP3565842B2 (ko)
KR (1) KR100278221B1 (ko)
AT (1) ATE139559T1 (ko)
DE (2) DE4216775A1 (ko)
ES (1) ES2088673T3 (ko)
WO (1) WO19930235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203A (ko) * 2003-06-06 2004-12-14 카오카부시키가이샤 경질 표면용 세정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9389A1 (de) * 1993-09-01 1995-03-02 Henkel Kgaa Sprühgetrocknetes Wasch- oder Reinigungsmittel oder Komponente hierfür
GB9424444D0 (en) * 1994-12-02 1995-01-18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DE19501269A1 (de) 1995-01-18 1996-07-25 Henkel Kgaa Amorphes Alkalisilikat-Compound
DE19524464C2 (de) * 1995-07-10 2000-08-24 Cogni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uckertensidgranulaten
FR2743085B1 (fr) * 1995-12-29 1999-02-26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 detergente pour le lavage du linge contenant un silicate de sodium comme adjuvant principal de detergence
GB2318584A (en) * 1996-10-25 1998-04-29 Procter & Gamble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compositions by spray drying
GB9711356D0 (en) 1997-05-30 1997-07-30 Unilever Plc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
GB9825563D0 (en) 1998-11-20 1999-01-13 Unilever Plc Particulat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onic surfactant granules
GB9825560D0 (en) 1998-11-20 1999-01-13 Unilever Plc Particulate laundry detergent compositons containing nonionic surfactant granules
GB9825558D0 (en) * 1998-11-20 1999-01-13 Unilever Plc Granular detergent components and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19923626A1 (de) * 1999-05-22 2000-11-23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nsidgranulaten
DE10212169A1 (de) * 2002-03-19 2003-10-02 Sued Chemie Ag Waschmittelzusatz mit hohem Gehalt an nichtionischen Tensiden und schnellem Auflösevermögen
DE602006020586D1 (de) 2006-10-16 2011-04-21 Procter & Gamble Verfahren zur Sprühtrocknung zur Herstellung von sprühgetrocknete stark wasserlösliche Waschmittel mit geringer Dichte und niedrigem Buildergehal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6319A (en) * 1983-10-04 1985-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alkylpolysaccharide detergent surfactant
US4675127A (en) * 1985-09-26 1987-06-23 A. E. Staley Manufacturing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s
WO1990004630A1 (en) * 1988-10-21 1990-05-03 Henkel Corporation A process for preparing a detergent slurry and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
DE3838808A1 (de) * 1988-11-17 1990-05-23 Henkel Kgaa Wasch- und reinigungsmittel, enthaltend ein tensidgemisch aus alkylglykosiden und aniontensiden
DE4102745A1 (de) * 1991-01-30 1992-08-06 Henkel Kgaa Pulverfoermige tensidmisch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203A (ko) * 2003-06-06 2004-12-14 카오카부시키가이샤 경질 표면용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88673T3 (es) 1996-08-16
JP3565842B2 (ja) 2004-09-15
ATE139559T1 (de) 1996-07-15
EP0642573B1 (de) 1996-06-19
DE4216775A1 (de) 1993-11-25
KR950701677A (ko) 1995-04-28
DE59303031D1 (de) 1996-07-25
EP0642573A1 (de) 1995-03-15
WO1993023514A1 (de) 1993-11-25
JPH07508773A (ja) 199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221B1 (ko) 분말형 계면 활성제 혼합물
KR100204549B1 (ko) 계면활성제 과립의 제조방법
RU211633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зер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моющим и/или очищающим действием
US5389277A (en) Secondary alkyl sulfate-containing powdere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US5508394A (en) Citric 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and use thereof in detergents
JPS63501577A (ja) 粒状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H0578600B2 (ko)
US5118439A (en) Process for preparing a detergent slurry and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
JPH04502338A (ja) 流動性ないしペースト状の漂白剤含有洗剤
US4264480A (en) Stable aqueous suspension of water-insoluble, calcium-binding aluminosilicates and organic suspending agents
EP0799884B1 (en) Surfactant blends,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and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H06504556A (ja) 粉末状界面活性剤混合物
KR960001021B1 (ko)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5447651A (en) Process for producing concentrated laundry detergent by manufacture of low moisture content detergent slurries utilizing liquid active surfactant blend technology
WO1990004630A1 (en) A process for preparing a detergent slurry and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
EP0614484B1 (de) Pulverförmige tensidmischung
KR100462265B1 (ko) 전해질 농도가 저하된 계면활성제 입자를 함유하는 입상세제 조성물
USH1478H (en) Secondary alkyl sulfate-containing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DE4125178A1 (de) Pulverfoermige aniontensidzubereitung
KR100516488B1 (ko) 비이온성 흡수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섬유유연제함유 세제의 제조 방법
KR100564922B1 (ko) 세탁용 분말세제의 제조방법
CA2308910A1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rfactant granules
JP2022164450A (ja) 洗浄剤組成物の製造方法
EP0290209A1 (en) Spray-dried material for detergent compositions
JP2000063887A (ja) 洗剤用消泡剤粒子および低泡性高嵩密度洗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