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448B1 -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448B1
KR100277448B1 KR1019980037994A KR19980037994A KR100277448B1 KR 100277448 B1 KR100277448 B1 KR 100277448B1 KR 1019980037994 A KR1019980037994 A KR 1019980037994A KR 19980037994 A KR19980037994 A KR 19980037994A KR 100277448 B1 KR100277448 B1 KR 100277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less
card
reader
response signal
p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761A (ko
Inventor
슈조 후지오까
Original Assignee
에노모또 다쯔야
미쯔비시 덴기 시스템 엘에스아이 디자인 가부시끼가이샤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노모또 다쯔야, 미쯔비시 덴기 시스템 엘에스아이 디자인 가부시끼가이샤,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노모또 다쯔야
Publication of KR1999006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time domain, e.g. using binary tree search or RFID responses allocated to a random time slot
    • G06K7/1003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time domain, e.g. using binary tree search or RFID responses allocated to a random time slot interrogator driven, i.e. synchrono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은 간략한 구성으로써 응답 신호들의 충돌을 회피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비접촉 IC 카드는 기록기/판독기에 의한 제1 폴링 시도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즉시 전송하는 제1 전송기 및 기록기/판독기에 의한 후속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소정 개수의 후속 시간 슬롯들로부터 무작위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전송기를 구비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기록기/판독기는 제1 폴링 시도의 실행 동안 소정의 시간 슬롯에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응답 신호의 복귀를 기다리며, 후속 폴링 시도들의 실행 동안 무작위로 선택된 시간 슬롯에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응답 신호의 복귀를 기다리는 폴링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본 발명은 복수의 IC 카드를 인식하는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자기 유도 방식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IC 카드와 그 IC 카드를 인식하는 판독기/기록기 사이의 통신에 대하여 소위 폴링 선택 방법(polling selective method)이 사용되어 왔다. 이 폴링 선택 방법은 판독기/기록기가 IC 카드를 순서대로 폴(poll)할 수 있도록 판독기/기록기와 IC 카드 사이에서 일대일 대응을 실시하는 통신 방법이다.
상기 폴링 선택 방법에서,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는 하나의 기록기/판독기의 통신 영역 내에 동시에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의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기록기/판독기로 응답 신호를 전송하면, 이들 응답 신호들은 충돌하여, 비접촉 IC 카드들 중 어느 것도 기록기/판독기와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기록기/판독기의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복수의 IC 카드에 의한 응답 신호들의 동시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식 식별 장치가 일본국 특개평9-6934호 공보에 개시되었다. 난수 발생기(random-number generator)를 갖고, 난수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난수에 의해 결정된 지연 시간 후에 응답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식 카드들(비접촉 IC 카드에 상당함) 및 그 인식 카드들을 인식하는 송수신 디코더(기록기/판독기에 상당함)를 무선식 인식 장치가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무선식 인식 장치에서, 상기 기록기/판독기의 폴링 시도를 수신한 후에 인식 카드가 응답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은 난수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단지 하나의 인식 카드가 존재하더라도, 응답 신호는 즉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응답 신호는 난수에 의해 결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없어서, 응답 특성이 열화된다.
또한, 비접촉 카드를 위한 다중-액세스 방식이 일본국 특개평4-362797호에 개시되었다. 상기 다중-액세스 방식에서, 친국(parent authority)으로부터 발생된 판독 명령을 수신한 각 자국(child authority, 비접촉 카드)은 판독 명령에서 어드레스된 시분할 영역을 조사한다. 자신의 임시 ID가 그 영역 내에 있지 않으면, 발생된 난수에 의해 결정된 시분할 영역의 비어있는 기억 장소에 그 임시 ID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친국은 복수의 자국과 시분할로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비접촉 카드를 위한 상기 다중-액세스 방식에서, 각 자국은 친국으로부터 전송된 임시 ID를 인식하기 위한 부가 회로를 필요로하므로, 이 장치는 더 고가이며 복잡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의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할 때 발생하는 응답 신호들의 충돌을 단순한 회로로써 회피할 수 있는 비접촉 IC 카드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C 카드와 통신하는 기록기/판독기에 있는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은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들 및 비접촉 IC 카드들을 인식하는 기록기/판독기를 포함한다. 비접촉 IC 카드는 기록기/판독기에 의한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 슬롯에 제1 응답 신호를 즉시 전송하는 제1 응답 신호 전송 수단 및 상기 기록기/판독기에 의한 잇따른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소정 개수의 후속 시간 슬롯들로부터 무작위로 선택된 시간 슬롯에 제2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을 갖는다. 기록기/판독기는 제1 폴링 시도의 실행시 소정 시간 슬롯에 각각의 비접촉 IC 카드들로부터 제1 응답 신호의 복귀를 기다리며, 잇따른 폴린 시도의 실행시 소정 개수의 시간 슬롯들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제2 응답 신호의 복귀를 기다리는 폴링 수단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비접촉 IC 카드는 제1 폴링 시도에 대한 대답으로 제1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기록기/판독기의 통신 영역내에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가 존재하고, 이들 IC 카드들로부터의 응답 신호들이 충돌한다면, 이들 IC 카드들 각각은 소정 개수의 시간 슬롯들로부터 무작위로 선택된 슬롯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인식 시스템은 단지 하나의 인식 카드가 있는 경우에 응답 신호의 신속한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가 통신 영역에 공존하는 경우에 응답 신호들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비접촉 IC 카드에서의 제2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은 소정 개수의 시간 슬롯들로부터 상기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무작위 번호에 기초하여 시간 슬롯을 선택하기 위한 난수 발생기를 구비하며, 그 선택된 슬롯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기록기/판독기에 의한 제2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IC 카드는 소정 개수의 시간 슬롯들로부터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무작위 번호에 기초하여 슬롯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선택된 슬롯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므로, 기록기/판독기의 통신 영역내에 복수의 IC 카드들이 공존하는 경우의 응답 신호들의 충돌은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비접촉 IC 카드에서의 제2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은 제1 응답 신호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된 응답 신호에 수반하는 CRC 신호를 무작위로 배치된 비트-데이터로서 고려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것은 폴링 시도 회수에 의존하여 서로 다른 비트 장소들에서의 비트-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개수의 시간 슬롯들로부터 슬롯을 선택하여 이 선택된 슬롯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기록기/판독기에 의한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폴링의 시도 회수에 의존하여 서로 다른 비트 장소에서의 비트-데이터에 기초하여, IC 카드는 시간 슬롯들의 소정 개수로부터 슬롯을 선택하고, 그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IC 카드들이 기록기/판독기의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하는 경우의 응답 신호의 충돌이 난수 발생 회로가 없는 구성에서도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비접촉 IC 카드용 인식 시스템은 비접촉 IC 카드들 및 이 비접촉 IC 카드들을 인식하는 기록기/판독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비접촉 IC 카드는 제1 응답 신호 전송 수단 및 제2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을 갖는다. 제1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은 기록기/판독기의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즉시 전송한다. 기록기/판독기의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2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은 무작위 비트-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그 결정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기록기/판독기는 비접촉 IC 카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기다리는 폴링 수단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인식 시스템은 단지 하나의 비접촉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신속한 응답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들이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응답 신호들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은 난수 발생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무작위 번호에 기초하여 기록기/판독기의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정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대안으로, 제2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은 제1 응답 신호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된 응답 신호에 수반하는 CRC 신호를 무작위로 배치된 비트-데이터로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링의 시도 회수에 의존하여 서로 다른 비트 장소들의 비트-데이터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는, 일단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에 의해 지정되고, 소정의 명령 처리가 실행되었다면, 기록기/판독기로 응답 신호의 전송을 금지하는 응답 금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용 인식 방법은 비접촉 IC 카드들 및 이 비접촉 IC 카드들을 인식하는 기록기/판독기를 포함하는 비접촉 IC 카드용 인식 시스템에 의해 실시된다. 상기 인식 방법에 따라서, 각각의 IC 카드는 기록기/판독기의 첫번째 폴링에 대하여 소정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즉시 전송하고, 기록기/판독기의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대하여 계속되는 시간 슬롯들의 소정 개수로부터 무작위로 선택된 슬롯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기록기/판독기는 제1 폴링 시도의 실행시 소정 시간 슬롯에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응답 신호의 복귀를 기다리며,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의 실행시 계속되는 시간 슬롯들의 소정 개수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응답 신호의 복귀를 기다린다.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 각각은 기록기/판독기의 제1 폴링 시도에 대해 응답 신호를 즉시 전송하고, 기록기/판독기의 두번쩨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대해 무작위 비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기록기/판독기는 폴링 이후의 소정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의 복귀를 기다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에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 각각은, 일단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에 의해 지정되어, 소정 명령 처리가 실행되었다면, 기록기/판독기의 폴링 시도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의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의 또 다른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는 판독기/기록기 및 비접촉 IC 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제1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에서 판독기/기록기와 비접촉 IC 카드 사이의 교신 상태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도 4는 제1 양호 실시예에 따른 판독기/기록기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 단계들의 플로우 챠트.
도 5는 제1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 단계들의 플로우 챠트.
도 6은 제1 양호 실시예에 따라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비접촉 IC 카드의 일부 기능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양호 실시예에 따라 CRC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8은 제2 양호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 단계들의 플로우 챠트.
도 9는 제2 양호 실시예에 따라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비접촉 IC 카드의 일부 기능들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에서 판독기/기록기와 비접촉 IC 카드 사이의 교신 상태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도 11은 제3 양호 실시예에 따른 판독기/기록기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 단계들의 플로우 챠트.
도 12는 제3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 단계들의 플로우 챠트.
도 13은 제3 양호 실시예에 따라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비접촉 IC 카드의 일부 기능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
도 15는 제4 양호 실시예에 따라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비접촉 IC 카드의 일부 기능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양호 실시예에 따라서 처리되어질 다음 카드인 비접촉 IC 카드가 판독기/기록기의 통신 영역 내에 있고, 이미 처리되어진 또 다른 비접촉 IC 카드가 통신 영역 내에 남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7은 제5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
도 18은 제5 양호 실시예에 따라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비접촉 IC 카드의 일부 기능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에서 판독기/기록기와 비접촉 IC 카드 사이의 교신 상태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도 20은 제6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
도 22는 본 발명의 제8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를 위한 인식 시스템에서 판독기/기록기와 비접촉 IC 카드 사이의 교신 상태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도 23은 제8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양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IC 카드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록기/판독기
101 : 안테나
103 : CPU
104 : ROM
105 : RAM
106 : 인터페이스
200 : 비접촉 IC 카드
206 : 고유 정보 기억부
207 : 난수 발생 회로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1) 비접촉 IC 카드 인식 방법
본 발명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방법이, 예를 들어 지하철 시스템의 자동 개찰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권 또는 회수권 등의 기능을 갖는 비접촉 IC 카드들(200, 300, 400)을 각각 소지한 3명이 자동 개찰기로서의 기능을 갖는 기록기/판독기(100) 앞을 연속하여 지나간다고 가정한다. 기록기/판독기(100)는, 3명이 기록기/판독기(100)의 앞을 지날 때, 기록기/판독기의 통신 영역 내로 들어온 IC 카드들(200, 300, 400)을 연속적으로 인식한다. 이 때, 기록기/판독기는, 각각의 카드로부터 정기권인지 회수권인지 여부, 정기권의 만료 및 회수권의 잔여 회수, 그리고 필요시에는 카드의 정보를 갱신하는 것 등의 카드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판독한다.
여기서, 자동 개찰기를 통과하는 사람들 중 하나는 몇개의 비접촉 IC 카드를 가질 수도 있다. 회수권인 비접촉 IC 카드를 사용하여 기록기/판독기(100) 앞을 통과하는 사람이 예비 회수권(500)으로서 비접촉 IC 카드(200)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100)의 통신 영역 내로 동시에 들어온다. 본 발명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은 하기의 수순으로 인식을 수행한다.
우선, 각각의 비접촉 IC 카드들(200, 500)이 제1 시간 슬롯, 즉 제1 시점에서 기록기/판독기(100)에 의한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지 하나의 비접촉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100)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한다면, 그 카드는 신속히 응답할 수 있다.
그러나, 두개의 비접촉 IC 카드들(200, 500)로부터 전송된 응답 신호들이 충돌하여 수신 실패를 일으키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기록기/판독기(100)는 다시 폴링을 수행한다. 제2 폴링 시도에 대한 대답으로, 각각의 카드는 하나 이상의 연속 시간 슬롯들, 예를 들어 4개의 시간 슬롯들로부터 무작위로 선택된 시점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대안으로, 각 카드는 예측할 수 없는 무작위 번호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의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기록기/판독기(100)는 최초 시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비접촉 IC 카드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비접촉 IC 카드를 인식하는 본 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기/판독기(100)의 통신 영역을 비접촉 IC 카드들이 하나씩 통과하는 경우에 신속한 응답을 보증한다. 본 방법은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기/판독기(100)의 통신 영역 내에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들이 공존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응답 신호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책임진 명령 처리(상기 예에서 개찰 처리)를 한 카드는 기록기/판독기(100)에 의한 이후의 폴링 시도에 다시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두개의 카드들(200, 500)로부터 응답 신호들의 충돌은 더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9 실시예는 이 점을 명확히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방법에 사용하는 기록기/판독기(100) 및 비접촉 IC 카드들(200, 300, ...)의 구성 및 작동과 관련하여, 제1 내지 제9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2) 제1 실시예
기록기/판독기(100) 및 비접촉 IC 카드들(200, 300, ...)을 포함하는 제1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비접촉 IC 카드(200)가 제2 내지 제9 실시예의 설명에서도 사용되도록, 비접촉 IC 카드들(200, 300, 400)의 구성은 동일하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기/판독기(100) 및 비접촉 IC 카드(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기록기/판독기(100)는 안테나(101), 송수신 회로(102), 중앙 처리 장치인 CPU(103), 비접촉 IC 카드들을 폴링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된 ROM(104), 그 프로그램의 실행에 사용되는 RAM(105), 및 CPU(103)의 처리 결과를 각 처리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06)를 포함한다. 주변이 점선으로 되어 있고 CPU(103), ROM(104) 및 RAM(105)을 포함하는 회로 블록은 제어 회로를 구성한다.
비접촉 IC 카드(200)는 안테나(201), 송수신 회로(202), 중앙 처리 장치인 CPU(203), 기록기/판독기(100)에 의한 폴링 시도에 대답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된 ROM(204), 그 프로그램의 실행에 사용되는 RAM(205), 독자 정보, 예를 들어 카드의 유효 기간 및 회수권으로서 기능하는 비접촉 IC 카드의 유효 승차 구간 등의 고유 정보를 갖는 정보 기억부(206), 및 기록기/판독기(100)에 의한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의 전송하는 타이밍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난수 발생 회로(207)를 포함한다.
기록기/판독기(100) 및 비접촉 IC 카드(200)는 ROM(101) 및 ROM(204)에 기억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소정의 통신 기능들을 단성하는 소프트웨어 실행 회로를 구성한다. 대안으로, 그 통신 기능들은 하드웨어(하드로직)에 의해 구현된 제어 회로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비접촉 IC 카드들(200, 300)이 기록기/판독기(100)의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기록기/판독기(11)와 비접촉 IC 카드들(200, 300) 사이의 통신(도시 생략)을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이다. 비접촉 IC 카드들(200, 300)의 구성은 동일하다. 그들의 고유 정보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종류이지만 각각은 서로 다르다.
폴링 신호 P를 출력한 후, 기록기/판독기(100)는 제1 시간 슬롯(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기록기/판독기(100)로부터 폴링 신호를 수신한 각 비접촉 IC 카드들(200, 300)은 즉시 응답 신호 R을 출력한다. 이 경우, 두 카드들로부터의 응답 신호들은 충돌하여 기록기/판독기(100)에서의 수신을 실패하게 한다. 그러므로, 기록기/판독기(100)는 다시 폴링 신호를 출력하고 4개의 시간 슬롯들을 세팅하여,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비접촉 IC 카드(200)는 내장된 난수 발생 회로(207)에 의해 발생된 2비트의 난수치에 의해 식별된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비접촉 IC 카드(300)는 내장된 난수 발생 회로(307, 도시 생략)에 의해 발생된 2비트 난수치에 의해 식별된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비접촉 IC 카드(200)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출력하고, 비접촉 IC 카드(300)는 시간 슬롯 T4에서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그 후, 기록기/판독기(100)는 응답 신호를 먼저 전송한 비접촉 IC 카드(200)를 지정하여, 고유 정보 수신 처리 등의 소정의 명령 처리를 요구한다. 응답 신호가 비접촉 IC 카드(200)로부터 복귀되고, 비접촉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100)에 의해 인식된 이후의 처리는 앞서의 방법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기록기/판독기(100)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기록기/판독기(100)는 통신 영역 내로 들어온 비접촉 IC 카드(200)로 폴링 신호를 출력하고(단계 S1), 시간 슬롯 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린다(단계 S2에서는 NO).
비접촉 IC 카드(200)와 비접촉 IC 카드(300)가 모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면(단계 S2에서 YES), 정상적인 통신은 불가능하다(단계 S3에서 YES). 이 경우, 기록기/판독기)100)가 폴링 신호를 다시 출력하고(단계 S4), 4개의 시간 슬롯을 설정하고,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대답을 기다린다(단계 S5에서 NO). 기록기/판독기(100)가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5에서 YES), 플로우는 단계 S3으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단일 응답 신호가 비접촉 IC 카드들 중 하나로부터 기록기/판독기(100)로 돌아간다면(단계 S2에서 YES이며, 단계 S3에서 NO),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를 내는 비접촉 IC 카드와 함께 기록기/판독기(100)는 소정의 명령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6). 다른 미처리된 카드들이 존재한다면(단계 S7에서 YES), 플로우는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다른 미처리된 카드들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이,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실시된다. 단계 S3이 단계 S2에 후속한다면, 기록기/판독기(100)는 단지 하나의 비접촉 IC 카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3이 단계 S5에 후속한다면, 기록기/판독기(100)는 미처리된 비접촉 IC 카드들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더이상의 미처리된 비접촉 IC 카드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기록기/판독기(100)가 판단한다면, 본 처리 절차는 종료한다.
도 5는 비접촉 IC 카드(200)의 CPU(203)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대응하는 통신 처리가 또한 비접촉 IC 카드(300)의 CPU(303, 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CPU(203)는 폴링의 시도 회수를 초기화한다(단계 S10). 다음으로, CPU(203)는 기록기/판독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11에서 NO). CPU(203)가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11에서 YES), 그 명령이 폴링 명령이라면(단계 S12에서 YES), CPU(203)는 시도 회수에 기초하여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한다면(단계 S13에서 YES), CPU(203)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즉각 출력하고(단계 S14), 단계 S11로 복귀한다.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를 수신한다면(단계 S13에서 NO), CPU(203)는 난수 발생 회로(207)에 의해 발생된 2비트 난수치에 의해 결정된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출력하고(단계 S15), 단계 S11로 복귀한다.
반면에, CPU(203)가 폴링이 아닌 소정의 처리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12에서 NO), 그 명령이 IC 카드(200)를 지정한다면(단계 S16에서 YES), CPU(203)는 IC 카드(200)의 고유 정보의 판독과 같은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17), 단계 S11로 복귀한다. 수신된 명령이 IC 카드(200)를 지정하지 않는다면(단계 S16에서 NO), CPU(203)는 단계 S11로 복귀한다.
도 6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도 5의 플로우 챠트에서 단계들(S13, S14 및 S15)의 처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플립-플롭(210)은 리셋 시간 동안 "L" 신호를 출력하고,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한 후에 "H" 신호를 출력한다. 플립-플롭(21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인버터(211)에 의해 반전되어, 시간-슬롯 세팅 회로(213)로 입력된다. 그 신호는 시간-슬롯 세팅 회로(213)의 디스플레이-인에이블 단자로 입력된다. 이 신호가 "H"에 있다면, 시간-슬롯 세팅 회로(213)는 시간 슬롯 T1을 세팅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인버터(211)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L"에 있다면, 시간-슬롯 세팅 회로(213)는 난수 발생 회로(207)로부터 촐력된 난수의 하위 2비트에 의해 식별된 시간 슬롯들(T1 내지 T4) 중 하나를 세팅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난수의 하위 2비트가 "0"이라면, 세팅 신호는 시간 슬롯 T1을 설정한다. 난수의 하위 2비트가 "1"이라면, 세팅 신호는 시간 슬롯 T2를 설정한다. 난수의 하위 2비트가 "10"이라면, 세팅 신호는 시간 슬롯 T3을 설정한다. 난수의 하위 2비트가 "11"이라면, 세팅 신호는 시간 슬롯 T4를 설정한다.
(3)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0, 도시 생략)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200)로부터 난수 발생 회로(207)를 제거함으로써 만들어진 것이다.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00)는 난수 발생 회로(207)에 의해 발생된 2비트 난수에 기초하여,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슬롯을 식별하였다. 난수 대신에, 제2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0)는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기록기/판독기(110)로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반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신호를 사용한다. 이 경우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링의 재시도 회수에 기초하여 시간 슬롯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2비트의 값은 제1 및 제2 비트, 제2 및 제3 비트, 제3 및 제4 비트 등과 같은 CRC 신호의 하위 비트로부터 연속적으로 얻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CRC 신호를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난수 발생 회로(207)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이 간략화된다.
제2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0)를 인식하는 기록기/판독기(110)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기록기/판독기(100)와 공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난수 발생 회로(207) 대신에 CRC 신호를 사용하는 비접촉 IC 카드(260)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CPU는 폴링의 시도 회수를 표현하는 변수값 n을 0로 설정한다(단계 S20). 다음으로, CPU는 기록기/판독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21에서 NO). CPU가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21에서 YES), 그 명령이 폴링 명령이라면(단계 S22에서 YES), CPU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변수값 n이 0라면(단계 S23에서 YES), CPU는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CPU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단계 S21로 복귀한다.
반면에, CPU가 폴링이 아닌 다른 처리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22에서 NO), 그 명령이 IC 카드(260)를 지정한다면(단계 S27에서 YES), CPU는 그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28) 단계 S21로 복귀한다. 상기 수신된 명령이 IC 카드(260)를 지정하지 않는다면(단계 S27에서 NO), CPU는 단계 S21로 복귀한다.
도 9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도 5의 플로우 챠트에서 단계들(S23, S24 및 S25)의 처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플립-플롭(220)은 리셋 시간 동안 "L" 신호를 출력하고,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한 후에 "H" 신호를 출력한다. 플립-플롭(22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인버터(221)에 의해 반전되어, 시간-슬롯 세팅 회로(223)로 입력된다. 그 신호는 시간-슬롯 세팅 회로(223)의 디스플레이-인에이블 단자로 입력된다. 이 신호가 "H"에 있다면, 시간-슬롯 세팅 회로(223)는 시간 슬롯 T1을 세팅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인버터(221)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L"에 있다면, 시간-슬롯 세팅 회로(223)는 CRC 신호 출력 회로(222)로부터 출력된 CRC 신호의 소정의 위치에서 2비트에 의해 식별된 시간 슬롯들(T1 내지 T4) 중 하나를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CRC 신호 출력 회로(222)는 CPU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서 CRC 신호의 2비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폴링이 두번째 시도라면, CPU는 CRC 신호에서 하위 비트로부터 제1 및 제2 비트를 선택한다. 2비트 데이터의 값이 "0"이라면, 시간-슬롯 세팅 회로(223)는 시간 슬롯 T1을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2비트 데이터의 값이 "1"이라면, 시간-슬롯 세팅 회로(223)는 시간 슬롯 T2를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2비트 데이터의 값이 "10"이라면, 시간-슬롯 세팅 회로(223)는 시간 슬롯 T3을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2비트 데이터의 값이 "11"이라면, 시간-슬롯 세팅 회로(223)는 시간 슬롯 T4를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0)는 난수 발생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서와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수단으로써, 비접촉 IC 카드의 구성은 간략화되며, 그 비용은 절감된다.
(4)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1, 도시 생략)는 기록기/판독기(120)에 의한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즉시 전송한다. 비접촉 IC 카드(261)는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난수의 하위 1비트에 기초하여,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제3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기록기/판독기(120)는, 폴링을 실행한 후에, 시간 슬롯 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항상 기다린다.
기록기/판독기(120) 및 비접촉 IC 카드(261)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기록기/판독기(100) 및 비접촉 IC 카드(200)과 동일하다.
도 10은 비접촉 IC 카드들(261 및 361)이 기록기/판독기(120)의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기록기/판독기(120)와 비접촉 IC 카드들(261, 361) 사이의 통신(도시 생략)을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이다. 비접촉 IC 카드들(261 및 361)의 구성은 동일하다. 그들의 고유 정보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종류지만, 서로 구별된다.
폴링 신호 P를 출력한 후, 기록기/판독기(120)는 제1 시간 슬롯 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기록기/판독기(120)로부터 폴링 신호를 수신한 각 비접촉 IC 카드들(261 및 361)은 즉시 응답 신호 R을 출력한다. 이 경우, 두 카드들로부터의 응답 신호들은 충돌하여 기록기/판독기(120)에서의 수신을 실패하게 한다. 그러므로, 기록기/판독기(100)는 다시 폴링 신호를 출력하고, 시간 슬롯 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비접촉 IC 카드(261)는 내장된 난수 발생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생된 1비트의 난수치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비접촉 IC 카드(361)는 내장된 난수 발생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생된 1비트의 난수치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도 10에서, 비접촉 IC 카드(261)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며, 비접촉 IC 카드(361)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그 후, 기록기/판독기(120)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비접촉 IC 카드(261)를 지정하여,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같은 소정의 명령 처리를 요구한다. 응답 신호가 비접촉 IC 카드(261)로부터 복귀되고, 비접촉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120)에 의해 인식된 후의 처리는 앞서의 방법들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기록기/판독기(120)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기록기/판독기(120)는 통신 영역 내로 들어온 비접촉 IC 카드들의 폴링을 수행하고(단계 S30), 시간 슬롯 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린다(단계 S31에서는 NO).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들이 응답 신호를 동시에 전송한다면(단계 S31에서는 YES), 정상적인 통신은 불가능하다(단계 S32에서는 YES). 이 경우, 기록기/판독기(120)는 단계 S30으로 복귀하고 다시 폴링을 실행한다.
반면에, 비접촉 IC 카드들 중 하나로부터 단일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면(단계 S32에서는 NO),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를 내는 비접촉 IC 카드와 함께 기록기/판독기(120)는 소정의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33), 단계 S30으로 복귀한다.
도 12는 비접촉 IC 카드(261)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대응하는 통신 처리도 또한 비접촉 IC 카드(361)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다. CPU는 폴링의 시도 회수를 초기화한다(단계 S40). 다음으로, CPU는 기록기/판독기(12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41에서 NO). CPU가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41에서 YES), 그 명령이 폴링 명령이라면(단계 S42에서 YES), CPU는 시도 회수에 기초하여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한다면(단계 S43에서 YES), CPU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즉각 출력하고(단계 S44), 단계 S41로 복귀한다.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를 수신한다면(단계 S43에서 NO), CPU는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1비트 데이터 값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45). 이 때, CPU는 단계 S41로 복귀한다.
반면에, CPU가 폴링이 아닌 소정의 처리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42에서 NO), 그 명령이 IC 카드(261)를 지정한다면(단계 S46에서 YES), CPU는 IC 카드(261)의 고유 정보의 판독과 같은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47), 단계 S41로 복귀한다. 수신된 명령이 IC 카드(261)를 지정하지 않는다면(단계 S46에서 NO), CPU는 단계 S41로 복귀하여, 또 다른 명령을 기다린다.
도 13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도 12의 플로우 챠트에서 단계들(S44 내지 S45)의 처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플립-플롭(230)은 리셋 시간 동안 "L" 신호를 출력하고, 첫번째 시도를 수신한 후에 "H" 신호를 출력한다. 플립-플롭(23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인버터(211)에 의해 반전되어 OR 게이트(233)로 입력된다. 난수 발생 회로(232, 난수 발생 회로(207)에 대응함)로부터 출력된 1비트 난수는 OR 게이트(233)의 다른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제2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가 수신될 때, OR 게이트(233)는 폴링 응답 허가 신호로서 난수 발생 회로(232)로부터 출력된 1 비트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 폴링 응답 허가 신호가 "H"에 있다면, 응답 신호의 전송은 허용된다.
(5)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262)는 상기 제3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261)로부터 난수 발생 회로(232)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제3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1)는 난수 발생 회로(232)에 의해 발생된 1비트 난수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 난수 대신에, 제4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2, 도시 생략)는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기록기/판독기(130)로 전송된 응답 신호에 수반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신호를 사용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링의 재시도 회수에 의존하여 응답 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 1비트의 값이 제1 비트, 제2 비트, 제3 비트 등과 같은 CRC 신호의 하위 비트로부터 연속적으로 얻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CRC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제3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1)에 사용된 난수 발생 회로(232)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이 간략화된다.
제4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2)를 인식하는 기록기/판독기(130)의 구성 및 동작은 제3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기록기/판독기(12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은 난수 발생 회로(232) 대신에 CRC 신호를 사용하는 비접촉 IC 카드(262)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CPU는 폴링의 시도 회수를 표현하는 변수값 n을 0으로 설정한다(단계 S50). 다음으로, CPU는 기록기/판독기(13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51에서 NO). CPU가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51에서 YES), 그 명령이 폴링 명령이라면(단계 S52에서 YES), CPU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변수값 n이 0이라면(단계 S53에서 YES), CPU는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CPU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S54) 단계 S51로 복귀한다.
변수값 n이 0 이상이라면(단계 S53에서 NO), CPU는 제2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CPU는 제1 폴링 시도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반하는 CRC 신호의 하위 비트의 n 번째 비트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다(단계 S55). 이 때, CPU는 변수 n을 1 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56), 단계 S51로 복귀한다.
반면에, CPU가 폴링이 아닌 소정의 처리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52에서 NO), 그 명령이 IC 카드(262)를 지정한다면(단계 S57에서 YES), CPU는 그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58), 단계 S51로 복귀한다. 수신된 명령이 IC 카드(262)를 지정하지 않는다면(단계 S57에서 NO), CPU는 단계 S51로 복귀한다.
도 15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도 14의 플로우 챠트에서 단계들(S53, S54 및 S55)의 처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플립-플롭(240)은 리셋 시간 동안 "L" 신호를 출력하고,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한 후에 "H" 신호를 출력한다. 플립-플롭(24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인버터(241)에 의해 반전되어, OR 게이트(243)로 입력된다. CRC 신호 출력 회로(242)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1비트 값이 OR 게이트(243)의 다른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여기서, CRC 신호 출력 회로(242)는 CPU에 의해서 선택된 CRC 신호의 1비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1 폴링 시도가 수신될 때까지, OR 게이트(243)는 폴링 응답 허가 신호로서 "H" 신호를 출력한다.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가 수신될 때, OR 게이트(243)는 CRC 신호 출력 회로(242)로부터 출력된 1비트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폴링 응답 허가 신호로서 출력한다. 폴링 응답 허가 신호가 "H"에 있을 때, 응답 신호의 전송이 허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262)는 난수 발생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단으로써, 비접촉 IC 카드의 구성이 간략화되어, 그 비용이 절감된다.
(6) 제5 실시예
미처리된 카드(264)가 기록기/판독기(150)의 통신 영역 내로 들러올 경우에, 이미 처리된 카드(263)가 그 통신 영역 내에 아직 존재하고 있을 때, 제5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 사용된 기록기/판독기(150) 및 비접촉 IC 카드들(263, 264)은 명령들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5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서, 기록기/판독기(150)의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기록기/판독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비접촉 IC 카드(263)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대응하는 통신 처리가 비접촉 IC 카드(264)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서도 실행된다. 우선, CPU는 폴링 명령 실행 플래그 P를 0으로 설정하고(단계 S60),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0으로 설정하고(단계 S61), 그리고 기록기/판독기(15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62에서 NO).
CPU가 기록기/판독기(15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62에서 YES), 그 명령이 폴링 명령이라면(단계 S63에서 YES), CPU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폴링 명령 실행 플래그 P 및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 중 적어도 하나가 1에 있지 않는다면(단계 S64에서 NO), CPU는 응답 신호를 출력하고(단계 S65), 폴링 명령 실행 플래그를 1로 설정하며(단계 S66), 그리고 단계 S62로 복귀한다. 폴링 명령 실행 플래그 P와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가 모두 1에 있다면(단계 S64에서 YES), CPU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단계 S69), 응답 신호 전송없이 단계 S62로 복귀한다.
반면에, CPU가 폴링이 아닌 소정의 처리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63에서 NO), 그 명령이 IC 카드(263)를 지정한다면(단계 S67에서 YES), CPU는 그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68),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1로 설정하고(단계 S69), 단계 S62로 복귀한다. 수신된 명령이 IC 카드(263)를 지정하지 않는다면(단계 S67에서 NO), CPU는 단계 S62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신호를 전송한 후에, 다음으로 비접촉 IC 카드(263)는 명령 처리 요구에 응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미 처리된 비접촉 IC 카드(263)가 기록기/판독기(150)의 통신 영역 내에 남아 있다면, 미처리된 비접촉 IC 카드(264)가 그 통신 영역 내로 들어올때 발생하는 응답 신호들의 충돌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도 18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도 17의 플로우 챠트에서 단계들(S64, S65 및 S66)의 처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폴링 명령 실행 플래그 P의 값이 플립-플롭(250)으로 입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답 신호가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전송될 때, 폴링 명령 실행 플래그 P는 1로 설정된다. 플립-플롭(250)의 출력은 NAND 게이트(251)로 입력되고, 또한 다른 명령들의 실행 허가 신호로서 출력된다.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는 플립-플롭(252)으로 입력된다. 비접촉 IC 카드(263)가 기록기/판독기(150)에 의해 지정되어,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 후에,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는 1로 설정된다. 플립-플롭(252)의 출력은 NAND 게이트(251)의 다른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두개의 플립-플롭들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모 "H"에 있을 때를 제외하면, NAND 게이트(251)는 폴링 응답 허가 신호로서 응답 신호의 전송을 허가하는 "H" 신호를 출력한다.
(7) 제6 실시예
상술한 제5 실시예의 시스템은 복수의 미처리된 IC 카드들이 기록기/판독기(150)의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관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그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미처리된 IC 카드가 동시에 기록기/판독기(150)의 통신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경우에 응답 신호들의 충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제6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은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160)에 의한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이미 전송하였고,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 후에는 IC 카드가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 비접촉 IC 카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19는 비접촉 IC 카드들(265 및 365)이 기록기/판독기(160)의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기록기/판독기(160)와 비접촉 IC 카드들(265, 365)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이다. IC 카드들(265, 365)의 구성은 동일하다. 그들의 고유 정보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종류이나 서로 구별된다.
폴링 신호 P를 출력한 후에, 기록기/판독기(160)는 제1 시간 슬롯 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기록기/판독기(160)로부터의 폴링 신호를 수신한 비접촉 IC 카드들(265, 365)은 즉시 응답 신호 R을 출력한다. 이 경우, 두개의 카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들이 충돌하여, 기록기/판독기(160)에서의 수신 실패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기록기/판독기(160)는 폴링 신호를 다시 출력하고,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기다리기 위하여 4개의 시간 슬롯들을 설정한다.
비접촉 IC 카드(265)는 내장된 난수 발생 회로(도 2의 난수 발생 회로(207)와 동등함, 도시 생략)에 의해서 발생된 2비트 난수값에 의해 식별된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비접촉 IC 카드(365)는 내장된 난수 발생 회로(307, 도시 생략)에 의해서 발생된 2비트 난수값에 의해 식별된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도 19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비접촉 IC 카드(265)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출력하고, 비접촉 IC 카드(365)는 시간 슬롯 T4에서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그 후, 기록기/판독기(160)는 응답 신호를 첫번째로 전송한 비접촉 IC 카드(265)를 지정하여,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같은 소정의 명령 처리(도면에서 C로 지시함)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응답하여, 비접촉 IC 카드(265)는 요구된 처리를 실행한다(도면에서 W로 지시함).
이 때, 기록기/판독기(160)는 폴링의 시도 회수를 재설정하고 제1 폴링 시도를 실행한다. 상기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이미 처리된 비접촉 IC 카드(265)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으며, 단지 미처리된 비접촉 IC 카드(365)가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기록기/판독기(160)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IC 카드(265)를 지정하여,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같은 소정의 명령 처리를 요구한다. 이 때, 비접촉 IC 카드(365)는 상기 요구된 처리를 실행한다.
제6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기록기/판독기(160)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기록기/판독기(100)와 동일하므로(도 2 및 4에 도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비접촉 IC 카드(265)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우선, CPU는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0으로 설정하고, 폴링의 시도 회수와 같은 변수들을 초기화한다(단계 S70). 이 때, CPU는 기록기/판독기(16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71에서 NO). CPU가 기록기/판독기(16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71에서 YES), 그 명령이 폴링 명령이라면(단계 S72에서 YES), CPU는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의 값 C 및 폴링의 시도 회수에 의존하여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의 값 C가 0이라면, 즉 개개의 명령 처리가 실행되지 않았다면(단계 S73에서 NO), 그리고 CPU가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한다면(단계 S74에서 YES), CPU는 즉시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75). CPU가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를 수신한다면(단계 S74에서 NO), CPU는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난수값에 의해 결정된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76).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의 값 C가 1이라면, 즉 개개의 명령 처리가 이미 실행되었다면(단계 S73에서 YES), CPU는 폴링 명령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단계 S71로 복귀한다.
반면에, CPU가 폴링이 아닌 소정의 처리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72에서 NO), 그 명령이 IC 카드(265)를 지정한다면(단계 S77에서 YES), CPU는 고유 정보의 판도과 같은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78),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1로 설정하며(단계 S79), 단계 S71로 복귀한다. 수신된 명령이 IC 카드(265)를 지정하지 않는다면(단계 S77에서 NO), CPU는 단계 S71로 복귀한다.
(8)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6)는 상술한 제6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265)로부터 난수 발생 회로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제6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5)는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2비트 난수값에 기초하여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슬롯을 식별하였다. 난수값 대신에, 제7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6, 도시 생략)는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기록기/판독기(170)로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반하는 CRC 신호를 사용한다. 이 경우, 폴링의 재시도 회수에 의존하여 시간 슬롯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1비트의 값은 제1 및 2 비트, 제2 및 3 비트, 제3 및 4 비트등과 같이 CRC 신호의 하위 비트로부터 연속적으로 얻어진다.
CRC 신호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제6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5)에 사용된 난수 발생 회로는 제거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이 간략화된다.
또한, 상술한 제6 실시예와 같이,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170)에 의한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이미 전송하고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 후, 제7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6)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들이 기록기/판독기(170)의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응답 신호들의 충돌은 더 안전하게 회피될 수 있다.
도 21은 난수 발생 회로 대신에 CRC 신호를 사용하는 비접촉 IC 카드(266)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CPU는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0으로 설정하고(단계 S80), 폴링의 시도 회수를 표현하는 변수 n을 0으로 설정하고(단계 S81), 그리고 기록기/판독기(170)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82에서 NO). CPU가 기록기/판독기(17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82에서 YES), 그 명령이 폴링 명령이라면(단계 S83에서 YES), CPU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의 값 C가 0, 즉 지정된 명령 처리가 실행되지 않았고(단계 S84에서 NO), 변수 n의 값은 0이라면(단계 S85에서 YES), CPU는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CPU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S86), 단계 S82로 복귀한다.
변수 n의 값이 0이상이라면(단계 S85에서 NO), CPU는 제1 폴링 시도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반하는 CRC 신호의 하위 비트로부터 n번째 및 (n+1)번째 비트들에 의해 식별된 시간 슬롯에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87). 이 때, CPU는 변수 n을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88), 단계 S82로 복귀한다.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의 값 C가 1이라면, 즉 지정된 명령 처리가 이미 실행되었다면(단계 S84에서 YES), CPU는 폴링 명령에 대해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단계 S82로 복귀한다.
반면에, CPU가 폴링이 아닌 소정의 처리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83에서 NO), 그 명령이 IC 카드(266)를 지정한다면(단계 S89에서 YES), CPU는 그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90),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1로 설정하고(단계 S91), 단계 S82로 복귀한다. 상기 수신된 명령이 IC 카드(266)를 지정하지 않는다면(단계 S89에서 NO), CPU는 단계 S82로 복귀한다.
(9) 제8 실시예
제8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7)는 기록기/판독기(180)에 의한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즉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비접촉 IC 카드(261)는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난수의 가장 낮은 1비트에 기초하여,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지정된 명령 처리를 실행한 후, 비접촉 IC 카드(267)는 기록기/판독기(180)에 의한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제8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기록기/판독기(180)는, 폴링을 실행한 후에는 항상 시간 슬롯 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기록기/판독기(180) 및 비접촉 IC 카드(267)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기록기/판독기(100) 및 비접촉 IC 카드(200)와 동일하다.
도 22는 비접촉 IC 카드들(267 및 367)이 기록기/판독기(180)의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기록기/판독기(180)와 비접촉 IC 카드들(267, 367)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이다.
비접촉 IC 카드들(267, 367)의 구성을 동일하다. 그들의 고유 정보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종류이지만 서로 구별된다.
폴링 신호 P의 출력 이후, 기록기/판독기(180)는 시간 슬롯 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기록기/판독기(180)로부터 폴링 신호를 수신한 비접촉 IC 카드들(267 및 367)은 응답 신호 R을 각각 출력한다. 이 경우, 두 카드들로부터의 응답 신호들은 충돌하여 기록기/판독기(180)에서의 수신 실패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기록기/판독기(180)는 폴링 신호를 다시 출력하고 시간 슬롯 T1에서 비접촉 IC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비접촉 IC 카드(267)는 내장된 난수 발생 회로(도시 생략, 도 2에서 난수 발생 회로(207)를 도시)에 의해 발생된 난수의 1비트 값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비접촉 IC 카드(367)는 내장된 난수 발생 회로(도시 생략, 도 2에서 난수 발생 회로(207)를 도시)에 의해 발생된 난수의 1비트 값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도 22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비접촉 IC 카드(267)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비접촉 IC 카드(367)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그 후, 기록기/판독기(180)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비접촉 IC 카드(267)를 지정하여,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같은 소정의 명령 처리(도면에서 C로 지시함)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응답하여, 비접촉 IC 카드(267)는 요구된 처리를 실행한다(도면에서 W로 지시함).
이 때, 기록기/판독기(180)는 폴링의 시도 회수를 재설정하고 제1 폴링 시도를 실행한다. 상기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이미 처리된 비접촉 IC 카드(267)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으며, 단지 미처리된 비접촉 IC 카드(367)가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기록기/판독기(180)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 IC 카드(367)를 지정하여,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같은 소정의 명령 처리를 요구한다. 이 때, 비접촉 IC 카드(367)는 상기 요구된 처리를 실행한다.
제8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기록기/판독기(180)의 구성 및 동작은 제3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기록기/판독기(12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비접촉 IC 카드(267)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우선, CPU는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0으로 설정하고, 폴링의 시도 회수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100). 이 때, CPU는 기록기/판독기(18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101에서 NO). CPU가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101에서 YES), 그 명령이 폴링 명령이라면(단계 S102에서 YES), CPU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의 값 C가 0이라면, 즉 개개의 명령 처리가 실행되지 않았다면(단계 S103에서 NO), 그리고 CPU가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한다면(단계 S104에서 YES), CPU는 즉시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05). CPU가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를 수신한다면(단계 S104에서 NO), CPU는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하여 발생된 1비트 난수값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이후에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S106), 단계 S101로 복귀한다.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의 값 C가 1이라면, 즉 지정된 명령 처리가 이미 실행되었다면(단계 S103에서 YES), CPU는 폴링 명령에 대해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단계 S101로 복귀한다.
반면에, CPU가 폴링이 아닌 소정의 처리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102에서 NO), 그 명령이 IC 카드(267)를 지정한다면(단계 S107에서 YES), CPU는 그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108),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1로 설정하고(단계 S109), 단계 S101로 복귀한다. 상기 수신된 명령이 IC 카드(267)를 지정하지 않는다면(단계 S107에서 NO), CPU는 단계 S101로 복귀한다.
(10) 제9 실시예
제9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8)는 상술한 제8 실시예의 비접촉 IC 카드(267)로부터 난수 발생 회로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제8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7)는, 난수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1비트 난수값에 기초하여,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난수 대신에, 제8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8)는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기록기/판독기(190)로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반하는 CRC 신호를 사용한다. 이 경우에, 폴링의 재시도 회수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 1비트의 값은 제1 비트, 제2 비트, 제3 비트 등과 같은 CRC 신호의 하위 비트로부터 연속적으로 얻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CRC 신호를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제8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7)에 사용된 난수 발생 회로(207)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이 간략화된다.
또한, 상술한 제8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9 실시예의 시스템에 사용된 비접촉 IC 카드(268)는, 상기 IC 카드가 기록기/판독기(190)에 의한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이미 전송하고, 지정된 명령 처리를 실행한 후에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들이 기록기/판독기(190)의 통신 영역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응답 신호들의 충돌은 더욱 안전하게 회피될 수 있다.
도 24는 난수 발생 회로 대신에 CRC 신호를 사용하는 비접촉 IC 카드(268)의 CPU(도시 생략)에 의해 실행된 통신 처리의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CPU는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0으로 설정하고(단계 S110), 폴링의 시도 회수를 표현하는 변수 n을 0으로 설정하고(단계 S111), 그리고 기록기/판독기(19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기다린다(단계 S112에서 NO). CPU가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112에서 YES), 그 명령이 폴링 명령이라면(단계 S113에서 YES), CPU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의 값 C가 0, 즉 지정된 명령 처리가 실행되지 않았고(단계 S114에서 NO), 변수 n의 값은 0이라면(단계 S115에서 YES), CPU는 제1 폴링 시도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CPU는 시간 슬롯 T1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S116), 단계 S112로 복귀한다.
변수 n의 값이 0이상이라면(단계 S85에서 NO), CPU는 두번째 또는 그 이후의 폴링 시도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1 폴링 시도에 대하여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반하는 CRC 신호의 하위 비트로부터 n번째 비트에 기초하여, CPU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117). 이 때, CPU는 변수 n을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118), 단계 S112로 복귀한다.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의 값 C가 1이라면, 즉 지정된 명령 처리가 이미 실행되었다면(단계 S114에서 YES), CPU는 폴링 명령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단계 S112로 복귀한다.
반면에, CPU가 폴링이 아닌 소정의 처리를 요구하는 명령을 수신하고(단계 S113에서 NO), 그 명령이 IC 카드(268)를 지정한다면(단계 S119에서 YES), CPU는 그 명령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120), 다른 명령들의 실행 플래그 C를 1로 설정하고(단계 S121), 단계 S112로 복귀한다. 상기 수신된 명령이 IC 카드(268)를 지정하지 않는다면(단계 S119에서 NO), CPU는 단계 S112로 복귀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완전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는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분명히 가능하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변경들 및 수정들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

  1.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들 및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을 인식하는 기록기/판독기를 포함하는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 각각은 상기 기록기/판독기에 의한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소정의 시간 슬롯에 제1 응답 신호를 즉시 전송하기 위한 제1 응답 신호 전송 수단, 및 상기 기록기/판독기에 의한 후속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소정 개수의 후속 시간 슬롯들로부터 무작위로 선택된 시간 슬롯에 제2 응답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기/판독기는 제1 폴링 시도의 실행 동안 상기 소정 시간 슬롯에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후속 폴링 시도의 실행 동안 상기 소정 개수의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로부터 각각의 제2 응답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폴링 수단을 구비하는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
  2.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들 및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을 인식하는 기록기/판독기를 포함하는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 각각은 상기 기록기/판독기로부터의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소정의 시간 슬롯에 제1 응답 신호를 즉시 전송하기 위한 제1 응답 신호 전송 수단, 및 무작위 비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전송하기로 판단했다면 후속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제2 응답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응답 신호 전송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기/판독기는 제1 폴링 시도 이후에 소정 개수의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로부터 각각의 제2 응답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폴링 수단을 구비하는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
  3. 복수의 비접촉 IC 카드들 및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을 인식하는 기록기/판독기를 포함하는 인식 시스템에 사용되는 비접촉 IC 카드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기/판독기에 의한 제1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슬롯에 제1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후속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소정 개수의 후속 시간 슬롯들 중에서 하나의 시간 슬롯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후속 폴링 시도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상기 시간 슬롯에 제2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록기/판독기에 의해서 상기 소정의 시간 슬롯에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로부터 각각의 제1 응답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후속 폴링 시도들을 실행하는 동안, 상기 소정 개수의 시간 슬롯들에서 상기 비접촉 IC 카드들로부터 각각의 제2 응답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IC 카드 인식 방법.
KR1019980037994A 1998-01-16 1998-09-15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KR100277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06463 1998-01-16
JP646398A JPH11205334A (ja) 1998-01-16 1998-01-16 非接触icカードの認識システム及び認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761A KR19990066761A (ko) 1999-08-16
KR100277448B1 true KR100277448B1 (ko) 2001-01-15

Family

ID=1163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994A KR100277448B1 (ko) 1998-01-16 1998-09-15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40786A (ko)
JP (1) JPH11205334A (ko)
KR (1) KR100277448B1 (ko)
CN (1) CN1143238C (ko)
TW (1) TW4372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5611C2 (sv) * 1995-12-18 2001-09-10 Combitech Traffic Syst Ab Anordning för dataöverföring medelst radiokommunikation
JP3180086B2 (ja) * 1998-08-31 2001-06-25 株式会社シーメディア 携帯通信装置、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方法、携帯通信装置で利用可能な非接触icメディア
JP3511925B2 (ja) * 1999-01-12 2004-03-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体識別装置
US7720468B1 (en) * 1999-06-23 2010-05-18 Clearwire Legacy Llc Polling method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1060255A (ja) * 1999-08-20 2001-03-06 Yoshikawa Rf System Kk データキャリア、リーダ/ライタ装置、データキャリア検索読み出しシステム、データキャリア検索読み出し方法
US6377203B1 (en) * 2000-02-01 2002-04-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lision arbi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multip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JP3719896B2 (ja) * 2000-02-15 2005-11-24 アルゼ株式会社 従業員カードシステム
EP1150259A1 (fr) * 2000-04-27 2001-10-31 Ascom Monétel SA Système de gestion de titre rechargeable d'accès à un service
DE60105368T2 (de) 2000-10-13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Kontaktlose Chipkarte, Antwortverfahren und entsprechendes Programm
DE60126999T2 (de) * 2001-05-14 2007-11-08 Innovision Research & Technology Plc, Cirencester Ein tragbares Kommunikationsgerät
DE60206866T2 (de) * 2001-11-20 2006-07-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Kontaktlose Chipkarte, Antwortverfahren und entsprechendes Programm
US7011250B2 (en) * 2001-12-20 2006-03-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C card reader/writer,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030145216A1 (en) * 2002-01-25 2003-07-31 Matsushita Elec. Ind.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data carrier with said integrated circuit
JP4422607B2 (ja) * 2002-04-23 2010-02-24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複数のデータ担体をインベントリ化する方法
ATE319138T1 (de) * 2002-08-28 2006-03-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nventurverfahren für transponder mittels einer kommunikationsstation
CN100470584C (zh) 2002-09-11 2009-03-18 Nxp股份有限公司 包括防冲突方案的读取多个无接触数据载体的方法
TWI220230B (en) * 2002-10-03 2004-08-11 Winbond Electronics Corp Contact-less and adaptive chip system
DE60306412T2 (de) * 2002-11-19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Kontaktlose chipkarte
US7355992B2 (en) * 2003-03-18 2008-04-08 Harris Corporation Relay for extended range point-to-point wireless packetized data communication system
US7545793B2 (en) * 2003-03-18 2009-06-09 Harris Corporation Extended range wireless packetized data communication system
JP4519476B2 (ja) * 2004-02-03 2010-08-0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9020854B2 (en) 2004-03-08 2015-04-28 Proxense, Llc Linked account system using personal digital key (PDK-LAS)
DE102004018540A1 (de) * 2004-04-14 2005-11-03 Atmel Germany Gmbh Verfahren zur Auswahl eines oder mehrerer Transponder
AU2005319019A1 (en) 2004-12-20 2006-06-29 Proxense, Llc Biometric personal data key (PDK) authentication
JP2007034521A (ja) * 2005-07-25 2007-02-08 Sony Corp 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KR100625675B1 (ko) * 2005-09-30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이진 트리 분할 기법을이용한 복수의 태그 식별 방법 및 이를 위한 rfid시스템
JP2007114821A (ja) * 2005-10-18 2007-05-10 Hitachi Ltd Rfidタグ、rfidリーダ・ライタ、rfidシステムおよびrfidシステムの処理方法
US8433919B2 (en) 2005-11-30 2013-04-30 Proxense, Llc Two-level authentication for secure transactions
JP5008384B2 (ja) * 2005-12-02 2012-08-2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8036152B2 (en) 2006-01-06 2011-10-11 Proxense, Llc Integrated power management of a client device via system time slot assignment
US11206664B2 (en) 2006-01-06 2021-12-21 Proxense, Llc Wireless network synchronization of cells and client devices on a network
US9269221B2 (en) 2006-11-13 2016-02-23 John J. Gobbi Configuration of interfaces for a location detection system and application
JP4716195B2 (ja) * 2007-10-17 2011-07-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タグ通信装置
WO2009062194A1 (en) 2007-11-09 2009-05-14 Proxense, Llc Proximity-sensor supporting multiple application services
US8905312B2 (en) * 2007-11-21 2014-12-09 Infineon Technologies Ag Identif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8171528B1 (en) 2007-12-06 2012-05-01 Proxense, Llc Hybrid device having a personal digital key and receiver-decoder circuit and methods of use
WO2009079666A1 (en) 2007-12-19 2009-06-25 Proxense, Llc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computing resources
WO2009102979A2 (en) 2008-02-14 2009-08-20 Proxense, Llc Proximity-based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access to private information
WO2009126732A2 (en) 2008-04-08 2009-10-15 Proxense, Llc Automated service-based order processing
US10964413B2 (en) 2008-05-29 2021-03-30 The Quantum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patient records follow a physician
US10817964B2 (en) 2008-05-29 2020-10-27 The Quantum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patient records follow a physician
US9418205B2 (en) 2010-03-15 2016-08-16 Proxense, Llc Proximity-based system for automatic application or data access and item tracking
US9322974B1 (en) 2010-07-15 2016-04-26 Proxense, Llc.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US9265450B1 (en) 2011-02-21 2016-02-23 Proxense, Llc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and automatic application initialization
CN103178907B (zh) * 2011-12-21 2016-03-30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提高冲突检测成功率的方法
JP5729339B2 (ja) * 2012-03-26 2015-06-03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情報媒体
US9405898B2 (en) 2013-05-10 2016-08-02 Proxense, Llc Secure element as a digital pocket
WO2016111081A1 (ja) * 2015-01-06 2016-07-14 ソニー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991B2 (ja) * 1991-06-10 2000-04-17 富士通株式会社 非接触カードのマルチアクセス方法
US5872525A (en) * 1995-02-10 1999-02-16 Kabushiki Kaisha Toshiba Toll collection system
JPH096934A (ja) * 1995-06-19 1997-01-10 Mitsubishi Heavy Ind Ltd 無線式識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37250B (en) 2001-05-28
KR19990066761A (ko) 1999-08-16
CN1223415A (zh) 1999-07-21
CN1143238C (zh) 2004-03-24
US6040786A (en) 2000-03-21
JPH11205334A (ja) 199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448B1 (ko) 비접촉 ic 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US5698837A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contactless IC cards
US7848281B2 (en) Method for selection of an available transmission channel by sending a negative decision value and an additional positive decision value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and mobile radio network
KR101016354B1 (ko)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7230943B2 (en) Wireles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wireless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wireles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RU2120696C1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рямого доступа в передвижной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и способы распознавания флага для него
US6411200B1 (en) Card reader/writer and communication method of card reader writer
EA002003B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онфликтами в системе обмена данными
EP0929048B1 (en) Contactless ic card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KR100439678B1 (ko) 단말기의 질의 필드에 있는 복수개의 모듈에서 한 전자 모듈을택하는 방법
JP2000048136A (ja) 別個のidコ―ドを有する1組のタグの多重リ―ド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284745B2 (ja) Icカード通信システム
EP1233531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noncontact ic card, and ic chip
JP2004328637A (ja) チャネル割当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
US5630064A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using reader/writer and data carrier
JP2000069028A (ja) 無線カードとリーダ/ライタと上位装置と無線カードシステムと無線通信機能を有する情報記憶媒体と送受信回路と無線通信システム
JP4268648B2 (ja) 非接触icカード
JP3584335B2 (ja) データキャリア及びリーダ
KR20120066566A (ko) 무선 주파수 식별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JP3436489B2 (ja) デジタル移動通信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法
KR100662050B1 (ko) 전파 식별 장치에서의 충돌 방지 방법
JP2005341471A (ja) 非接触式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非接触式情報通信装置
JP2003248799A (ja) Icカード用リーダライタ、識別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0148931A (ja) カ―ド識別方法の改良
JP2002366906A (ja) 携帯可能情報処理装置の非接触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