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293B1 -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293B1
KR100277293B1 KR1019980034689A KR19980034689A KR100277293B1 KR 100277293 B1 KR100277293 B1 KR 100277293B1 KR 1019980034689 A KR1019980034689 A KR 1019980034689A KR 19980034689 A KR19980034689 A KR 19980034689A KR 100277293 B1 KR100277293 B1 KR 10027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net
chat
rop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010A (ko
Inventor
박성욱
배봉성
정의철
이장욱
Original Assignee
배평암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평암,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배평암
Priority to KR1019980034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293B1/ko
Publication of KR2000001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망을 기계적 장치에 의해 투, 양망함으로써 작업인력 및 경비 그리고 작업자의 체력소모를 줄이는 한편 안전조업과 함께 작업환경의 개선 및 어민의 소득증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그물의 자동투하 및 인양장치로써 외드럼 및 쌍드럼권양기(20)(30)를 구비하여 이에 작은챗대줄, 그리고 큰챗대줄 및 쪽대그물연결줄을 권취한 각 드럼(21)(31)(32)을 구성하고 납추(80)를 수중으로 내려 그물을 전개시키는 그물전개기(40), 그리고 그물살을 선내로 끌어올리는 양망기(50)등 그 관련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조업 자동화장치를 제공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드럼을 일단의 유압모터로 구동시켜 작은챗대줄 및 큰챗대줄을 풀어주거나 권취하여 그물을 기계적으로 투 양망하는 한편 그물전개기에 의한 그물의 전개수단을 보조하고 양망기를 이용하여 포획된 어획물을 극히 용이하게 선내로 끌어 올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드럼의 불필요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브레이크(25)(35)의 구성 그리고 출항 및 귀항시 챗대의 선수쪽 이동을 위한 그물전개기의 회동 및 절첩구조 또 그물의 용이한 양망을 위한 양망기 드럼의 고무피복층(52)등이 부가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본 발명은 멸치잡이에 사용되는 초망을 기계적 장치에 의해 투, 양망하여 조업을 자동화 한 초망어업의 조업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망은 사각형태의 자루그물에 크고 작은 챗대가 연결된 어구로서 멸치잡이에 사용되고 있다. 멸치는 주광성(走光性)이 강한 어류로서 집어등을 이용하여 어군을 모은 다음 배옆에 자루형태의 그물입구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이어 집어등을 그물쪽으로 서서히 이동시켜 어군을 그물속으로 유도하여 포획한다.
투망은 그물 윗판 앞변에 고다리를 만들고 작은 챗대를 고다리에 낀 다음 수평으로 벌려 그물 윗판이 수면위로 나오게 하고 밑판의 바깥 모서리는 큰챗대로 그리고 안쪽모서리는 콧대로 눌러 그물입구가 물속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한다.
각 챗대는 배 중앙 우현에 설치된 고정기둥에 연결하여 회전 및 그 선단이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투망시에는 수평으로 눕히고 양망시에는 위로 세울 수 있도록 되어있다.
지금까지의 초망어업은 크고 작은 챗대에 각각의 챗대줄을 연결하고 이를 선내의 좌 우현에 있는 사이드롤러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감아 들이거나 풀어주고 있다. 이때 그물밑판의 앞쪽 모서리에서는 2사람이 긴 막대기를 이용하여 그물을 눌렀다가 끌어 올리고 있으며 그물살은 여러사람이 협동하여 끌어올리고 있다.
이와같은 수동적인 종래 조업방법은 많은 인력이 요구되고 특히 조업이 야간에 이루어지면서 수회 반복되는 관계로 많은 체력의 소모가 초래되고 있다.
또 이에따른 과중한 인건비의 지출로 인하여 어업경영 수지가 악화됨은 물론 최근의 어촌인력난 심화와 조업인력의 노령화 및 부녀화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됨에 따라 정상적인 조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그물의 자동투하 및 인양장치로써 외드럼 및 쌍드럼권양기를 제공하는 한편, 납추를 수중으로 내려 그물을 전개시키는 그물전개기, 그리고 그물살을 선내로 끌어올리는 양망기등 그 관련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조업 자동화장치를 제공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외드럼권양기의 요부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쌍드럼권양기의 요부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양망기의 양망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단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그물전개기의 절곡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외드럼권양기 21 : 드럼
23 : 유압모터 24 : 베벨기어
25 : 전자브레이크 30 : 쌍드럼권양기
31,32 : 드럼 33 : 유압모터
34 : 베벨기어 35 : 전자브레이크
36,37 : 전자클러치
40 : 그물전개기 41 : 드럼
42 : 받침대 43 : 유압모터
44 : 핀 45 : 수직기둥
46 : 꺾음기둥 47,47': 핀
48 : 로우프 49 : 안내롤러
50 : 양망기 51 : 드럼
52 : 고무피복층 53 : 유압모터
54,55 : 브라켓 56 : 캠
60 : 그물 61 : 작은챗대줄
62 : 큰챗대줄 70 : 쪽대그물
71 : 쪽대그물연결줄
어선(10)의 마스트(11)하부에는 드럼(21)이 1개인 외드럼권양기(20)와 2개의 드럼을 갖는 쌍드럼권양기(30)를 나란히 설치하고 어선(10)의 우현선수에는 그물전개기(40)를 그리고 우측현에는 양망기(50)를 구성한다. 마스트(11)의 상부에는 통상적인 안내롤러(12)(13)(14)가 구비되며 이를 통하여 그물(60)의 작은챗대줄(61)은 외드럼권양기(20)의 드럼(21)에 그리고 큰챗대줄(62)과 쪽대그물(70)에 연결된 쪽대그물연결줄(71)은 쌍드럼권양기(30)의 양 드럼(31)(32)에 각각 권취된다.
외드럼권양기(20) 및 쌍드럼권양기(30)는 공히 유압모터(23)(33)와 베벨기어(24)(34)로 연동되어 감속 구동되는데 이때의 베벨기어(24)(34)는 각 드럼(21)(31)(32)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연동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드럼축의 일측으로는 DC24V용 전자브레이크(25)(35)를 설치하여 상기 드럼축에 고정축설된 플렌지(25a)(35a)에 제동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한편 한편 쌍드럼권양기(30)의 양 드럼(31)(32)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전자클러치(36)(37)를 각각 구비한다.
그물전개기(40)는 일단의 유압모터(43)로 구동되는 드럼(41), 그리고 저부의 받침대(42)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그 접면된 각 플렌지에 핀(44)을 끼워 고정한 수직기둥(45)과, 또 이 수직기둥(45)의 상단에는 꺽음기둥(46)을 결합하여 상,하로 각각 끼워진 2개의 핀(47)(47')으로 결합되게 한 구조이며, 또한 상기 드럼(41)에는 로우프(48)를 권취하되 이 로우프(48)는 상부의 안내롤러(49)를 거쳐 그물(60)밑판 안쪽모서리에 연결하는 한편 그 말단에는 납추(80)를 결합한다.
양망기(50)는 그 외면에 고무피복층(52)이 형성된 드럼(51)으로 구성되며 또 고무피복층(52)은 그 외주연이 길이방향의 돌기와 홈이 연속적으로 교차형성된 요철부(5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드럼(51)은 그 양쪽의 브라켓(54)(55)에 축설되어 일단의 유압모터(53)로 구동되는 한편, 그 양단에는 그물의 양망시 브라켓(54)(55)과의 사이에 그물이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캠(56)을 형성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B)는 기기의 원할한 구동을 위한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물은 통상 작은챗대와 큰챗대가 연결된 사각형의 자루그물형태이며 소형의 쪽대그물이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은챗대에 연결된 작은챗대줄(61)은 외드럼권양기(20)의 드럼(21)에 권취되어 있고 큰챗대에 연결된 큰챗대줄(62)은 쌍드럼권양기(30)의 일측 드럼(31)에 그리고 쪽대그물(70)에 연결된 쪽대그물연결줄(71)은 타측 드럼(32)에 각각 권취되어 있다.
또 상기한 각 드럼(21)(31)(32)은 공히 일단의 유압모터(23)(33)에 의해 구동되어 지는바, 여기에서 쌍드럼권양기(30)의 경우 그 양 드럼(31)(32)은 이를 접,단속하는 전자클러치(36)(37)에 의해 각각 독자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최초 그물(60)의 투망시에는 일측 전자클러치(37)는 해지하여 일단의 드럼(31)만 구동케 한다.
멸치가 모이면 투망을 시작하는데 즉, 유압모터(23)(33)가 가동되고 이와 연동된 베벨기어(24)(34)에 의해 외드럼권양기(20) 및 쌍드럼권양기(30)의 각 드럼(21)(31)이 감속 회전되면서 이에 권취된 작은챗대줄(61) 및 큰챗대줄(62)을 천천히 풀어준다.
이때 이와 연결된 작은챗대는 수면에 닿도록 하고 큰챗대의 끝은 수면이하 4m까지 하강시키면서 그물(60)을 서서히 바다속으로 침하 시킨다. 물론 이와같은 그물의 투망조건은 인력으로 수행할 때와 같은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기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수단만으로는 그물이 완전히 펼쳐지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물전개기(40)를 이용하여 그물(60)을 완전히 전개한다.
그물전개기(40)의 드럼(41)에 권취된 로우프(48)는 그물밑판 안쪽 모서리와 연결되고 또 그 말단에는 납추(80)가 매달려 있는 것으로 즉, 납추(80)를 수중으로 침하시킬 때에는 그 납추(80)의 자중(自重)에 의해 수중으로 내려가도록 하는바, 이와같은 납추(80)의 침하작용과 함께 그 납추(80)의 무게로 인해 그물안쪽이 펴지면서 그물은 완전히 전개되게 된다.
멸치가 그물속으로 들어가면 재빨리 각 권양기(20)(30)의 드럼(21)(31)을 역 구동시켜 작은챗대줄(61) 및 큰챗대줄(62)을 감아올리며 이때 각 챗대를 수면위 10m까지 들어 올린다.
이와함께 그물전개기(40)의 유압모터(43)를 가동하여 드럼(41)를 구동시키면 이에 권취된 로우프(48)가 감겨지면서 납추(80)를 동시에 끌어올리는 한편 이때 그물입구가 수면위 까지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그물이 수면위에 올라오면 양망기(50)의 유압모터(53)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작업자가 그물살을 약간 잡아당겨주기만 하면 그물살은 드럼(51)위에 얹혀지면서 그 구동력으로 손쉽게 선내로 들어오게 되고 이때 그물 속의 어획물도 자연스럽게 한쪽으로 모이게 된다. 어획물이 한쪽으로 모이게 되면 작업자는 쪽대그물(70)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그물(60) 속의 어획물을 퍼올리는데 이때 상기 쌍드럼권양기(30)의 일측 드럼(32)을 구동시켜 쪽대그물(70)과 연결된 쪽대그물연결줄(71)을 감는다거나 풀어주면 작업자가 쪽대그물(70)로 어획물을 어창으로 퍼올리는 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다.
양망기(50)는 그 드럼(51)이 양 브라켓(54)(55)에 축설되어 일측 유압모터(53)에 의해 회동되고 또 상기 드럼(51)은 그 외면을 마찰력을 강화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요철부(52')를 갖는 고무피복층(52)을 형성하고 있는바, 즉 그물의 일단을 고무피복층(52)상면에 얹은다음 드럼(51)을 구동시키면 그물은 그 그물살이 길이방향의 요철부(52')를 갖는 고무피복층(52)에 의해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올라오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선내에서 그물을 약간 잡아 당겨주면 그물은 일층 용이하게 그물을 인양할 수 있으며 이와같은 작업시 그물이 양쪽 브라켓(54)(55)과 고무피복층(52)양단 사이에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드럼(51)의 양쪽으로는 캠(56)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물고기는 한 장소에 머물러 있지 않고 계속 유영하기 때문에 배는 항상 물고기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한 번 어구를 투망하여 고기를 어획한 다음 장소로 이동할 때 물고기가 발견되면 즉시 어구를 투망할 수 있도록 그물이 연결된 큰챗대와 작은챗대를 해면위 약 10m정도 메달아서 항해를 하게된다.
이와같은 항해도중 작은챗대와 큰 챗대에 연결된 각 챗대줄(61)(62)이 풀어지면 챗대가 쓰러져 어선의 전복등 조업사고가 발생될 수 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각 챗대줄(61)(62)이 풀리지 않도록 각 드럼(21)(31)을 견고히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때 유압브레이크 만으로는 이러한 제어기능이 다소 부족하다.
따라서 유압브레이크가 정지되어 있을 때 일단의 전자브레이크(25)(35)가 상기 각 드럼(21)(31)축의 구동을 완벽히 제동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즉시 조업이 가능한 상태에서 안전한 항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같은 전자브레이크(25)(35)는 집어(集魚)단계에서 배의 흔들림과 챗대자체의 무게로 인해 각 챗대줄(61)(62)자연적으로 풀어지는 것까지 방지한다. 물론 이때 쪽대그물연결줄(71)을 권취한 드럼(32)도 그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함은 같다.
그물전개기(40)는 조업중일 경우 그물을 전개시키게 되나 귀항 또는 출항하는 싯점에서는 각 챗대를 반드시 선수쪽으로 돌려 수납하여야 하는데 이때 그물전개기(40)의 꺾음기둥(46)이 방해되어 수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그물전개기(40)의 방향도 선내로 돌려주고 또 높이도 하향 조정하여야 하는바, 즉 이 경우에는 일단 저부 밭침대(42)의 각 플렌지에 끼워져 결합된 핀(44)을 뽑고 이어 받침대(42)를 축으로 하여 수직기둥(45)과 꺽음기둥(46)을 함께 180°돌려 선내로 위치를 이동시키며 이어 다시 핀(44)으로 고정하는 한편 이와같은 상태에서 꺾음기둥(46)과 직선기둥(45)을 연결한 상,하 2개의 핀(47)(47')중 상부쪽 핀(47)을 뽑고 이어 하부쪽 핀(47')을 편축으로하여 꺾음기둥(46)을 갑판쪽으로 회동(절곡)시켜 그 머리부분이 갑판에 닿게 하여 안착시킴으로써 각 챗대를 선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와같은 수단은 출항 또는 귀항시의 상태이며 조업을 시작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작은챗대와 큰챗대를 공히 수면상 10m정도의 높이에 이르도록 외드럼권양기와 쌍드럼권양기 로 작은챗대줄(61) 및 큰챗대줄(62)을 권취하는 한편, 그물전개기(40)의 꺾음기둥(46)을 바다쪽으로 향하게하여 투망 및 그물입구를 전개함으로써 멸치의 포획준비는 다시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초망어업의 조업에 있어서 인력을 최대한 절감하고 또 체력의 소모를 극소화함으로써 작업자의 누적되는 피로를 해소한다.
또한 조업경비를 절감하는 한편 작업환경의 개선으로 조업효율을 향상시키고 특히 안전조업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작업의 개시 및 완료가 신속하여 우수한 기동성을 가짐에 따라 어획량을 확대할 수 있어 어민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Claims (6)

  1. 작은챗대줄(61)과 큰챗대줄(62), 그리고 쪽대그물인양줄(71)을 권취한 각각의 드럼(21)(31)(32)이 일단의 유압모터(23)(33)로 구동되는 외드럼 및 쌍드럼권양기(20)(30)와,
    받침대(42)에 축설, 핀(44)으로 고정된 수직기둥(45) 및 그 상부에 2개의 핀(47)(47')으로 관통, 결합된 꺾음기둥(46), 그리고 수직기둥(45)의 일단에 유압모터(43)로 구동되는 드럼(41)을 장착하고 말단에 납추(80)가 달려있고 그물과 연결된 로우프(48)를 상기 드럼(41)에 권취하여된 그물전개기(40)의 구조, 그리고 고무피복층(52)이 형성된 드럼(51)을 그 양쪽의 브라켓(54)(55)에 축설하여 일단의 유압모터(53)로 구동되도록한 양망기(50)의 관련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외드럼권양기(20)의 드럼(21) 그리고 쌍드럼권양기(30)의 각 드럼(31)(32)의 일측에는 전자브레이크(25)(35)을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장치.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쌍드럼권양기(30)의 드럼(31)(32)일단에는 이를 접,단속하는 전자클러치(36)(37)를 구성하여 상기 드럼(31)(32)이 독립적으로 구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수직기둥(45) 및 꺾음기둥(46)은 저부의 받침대(42)를 축으로하여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꺾음기둥(46)은 수직기둥(45)상에서 일단의 핀(47')을 편축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절곡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양망기(50)의 고무피복층(52)외면은 길이방향의 요철부(52')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장치.
KR1019980034689A 1998-08-26 1998-08-26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KR10027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689A KR100277293B1 (ko) 1998-08-26 1998-08-26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689A KR100277293B1 (ko) 1998-08-26 1998-08-26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010A KR20000015010A (ko) 2000-03-15
KR100277293B1 true KR100277293B1 (ko) 2001-01-15

Family

ID=1954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689A KR100277293B1 (ko) 1998-08-26 1998-08-26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2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753B1 (ko) * 2001-01-19 2003-04-08 대한민국 어구 인양장치
KR20160077769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라스테크 해파리 제거장치
KR102368167B1 (ko) * 2020-10-13 2022-03-02 김용수 그물 정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002B1 (ko) * 2014-04-21 2016-02-12 유종민 김발 자동견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753B1 (ko) * 2001-01-19 2003-04-08 대한민국 어구 인양장치
KR20160077769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라스테크 해파리 제거장치
KR101669852B1 (ko) * 2014-12-24 2016-10-27 주식회사 라스테크 해파리 제거장치
KR102368167B1 (ko) * 2020-10-13 2022-03-02 김용수 그물 정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010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5344B2 (ja) クレーン
KR102412430B1 (ko) 토목섬유매트 포설공법
KR100277293B1 (ko)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JP3861258B2 (ja) 魚網の自動揚網方法
CN206706714U (zh) 一种河道垃圾打捞系统
CN112774281A (zh) 核电循环水预过滤系统收放装置
CN111169598A (zh) 一种捕捞系统及捕捞船
JP3332692B2 (ja) 砂杭打船用起倒式シヤース装置
CN210761200U (zh) 作业绞车及双甲板拖网渔船
CN210519870U (zh) 一种蛤类捕捞装置
KR20230097662A (ko)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CN105712227B (zh) 一种卷扬机智能离合转换设备
CN211898381U (zh) 一种水中混凝土梁下钢管桩拔除设备
JP2003169567A (ja) かけまわし漁法
JP3480613B2 (ja) かけまわし漁法用船
CN214348075U (zh) 清洗滑移组件以及水上平台
CN211631438U (zh) 拖网渔船用抛网兼吊杆装置
SU1745821A1 (ru) Одноковшовый карьерный экскаватор
CN213173299U (zh) 一种河流用吊桥装置
KR100587232B1 (ko) 선박용 양망기
JP3382271B2 (ja) かけまわし漁法
JPH0330425Y2 (ko)
KR200352574Y1 (ko) 어선박용스탠드형복합양망장치
SU1752646A1 (ru) Подма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удна дл завозки и перекладки корей
KR200194968Y1 (ko) 닻자망 양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