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002B1 - 김발 자동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김발 자동견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8002B1 KR101588002B1 KR1020140047387A KR20140047387A KR101588002B1 KR 101588002 B1 KR101588002 B1 KR 101588002B1 KR 1020140047387 A KR1020140047387 A KR 1020140047387A KR 20140047387 A KR20140047387 A KR 20140047387A KR 101588002 B1 KR101588002 B1 KR 101588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c
- rotating body
- frame
- fixed
- shaped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체(130)롤 이루어지는 김발 자동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30)의 내측 외주연에 양측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가이더(150)와, 상기 돌기가이더(150)의 하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돌기(141)를 구비하는 망걸이대(140)와, 상기 망걸이대(140)의 양측은 회전체(130)의 양측판에 천공된 통공(132a)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호형부재(146)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호형부재(146)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된 형성된 호형부재 구동부(160)에 의해 호형부재(146)가 하강구동되도록 하고, 동시에 망걸이대(140)도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돌기(141)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김발 자동견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김발을 견인할 때는 돌기가 스스로 돌출되어 김발의 견인을 쉽게 하고, 또 김발이 어느 정도 견인되면 돌기가 스스로 하강하여 회전체가 김발을 감고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수고를 덜어주고, 훼손되는 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김발 자동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을 양식하는 김발, 즉 김양식망을 보다 쉽게 견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김발 자동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laver)은 해의(海衣), 자채(紫菜), 해태(海苔)라고도 하며 홍조류 보라털과의 조류로서, 몸의 길이는 30㎝ 정도이고 바다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서 자란다. 한국의 연안에서는 10월 무렵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겨울에서 봄에 걸쳐 번식하고, 그 뒤는 차차 줄어들며, 한국(제주도,남해안,서해안),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이러한 김에는 단백질과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이 풍부한 식품이다. 이 밖에 비타민 B1, B2, B6, B12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B2가 많이 들어 있으며, 비타민 C는 채소에 비해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이러한 김의 양식은 부표에 매달려 바다에 떠있는 김양식망에 김의 포자를 부착시켜서 양식하는 것으로, 김이 생장되어 김양식망의 하측으로 늘어지면 김채취기를 장착한 소형선박을 이용해 김양식망의 하측에 늘어진 김을 잘라 채취하게 된다.
이와같이, 김양식망에 부착되어 생장된 김을 채취하는 김채취기는 보트 등의 소형선박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본체(26)와, 이 본체(26)에 수평설치되는 회전축(28) 및 이 회전축(28)의 둘레부에 회전축(28)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다수개의 칼날(30)로 구성된 커터(32)와, 상기 본체(26)의 상면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부커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김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8)에는 그 둘레부에 상기 칼날(3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슬롯(42)이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판(40)이 장착되어, 상기 칼날(30)을 이 회전판(40)의 슬롯(42)에 삽입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 등록실용신안 20-0249026
특히 종래의 김채취기는 회전체 위에 김발을 얹어 작업자들이 당기게 되는데, 이때 회전체의 외주면에 돌기를 돌출시켜 김발의 망눈에 돌기를 걸어 미끌리지 않고 당기기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회전체에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김발을 견인하도록 하기도 하나, 이 경우 작업자가 돌기로 부터 김발의 망눈을 빼주지 않으면 회전체가 오히려 김발을 감아버리게 되어 이를 풀기위한 별도의 수고를 필요로 하게 되며, 필연적으로 김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체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김발의 망눈을 걸어 손쉽게 견인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돌기가 돌기승하강수단에 의해 김발을 견인할 때, 즉 회전체의 상부에 위치할 때는 상승하여 김발의 망눈을 걸어 김발의 견인을 쉽게 하였다가 김발이 어느 정도 견인되면 돌기가 하강하여 김발의 망눈으로 부터 빠지도록 함으로써 김발이 회전체에 감기는 폐단을 해결하고자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효과로는 김발을 견인할 때는 돌기가 스스로 돌출되어 미끌림을 방지하여 김발의 견인을 쉽게 하고, 또 김발이 어느 정도 견인되면 돌기가 스스로 하강하여 회전체가 김발을 감고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들이 망눈을 돌기로 부터 하나하나 빼내야 하는 수고를 덜어주고, 훼손되는 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김채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자동견인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돌기의 승하강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자동견인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돌기의 승하강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김발 자동견인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자동견인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돌기의 승하강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발 자동견인장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체(130)와, 상기 회전체(130)의 내측 외주연에 양측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가이더(150)와, 상기 돌기가이더(150)의 하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돌기(141)를 구비하는 망걸이대(140)와, 상기 망걸이대(140)의 양측은 회전체(130)의 양측판에 천공된 통공(132a)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호형부재(146)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호형부재(146)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된 형성된 호형부재 구동부(160)에 의해 호형부재(146)가 하강구동되도록 하고, 동시에 망걸이대(140)도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돌기(141)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기가이더(150)에는 돌기(141)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돌기노출공(150a)이 천공되어 돌기(141)의 승하강을 안내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돌기가이더(150)는 김발(A)을 지탱하는 기능과 돌기(141)의 상승과 하강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돌기(141)의 상승, 즉 망걸이대(140)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하여 망걸이대(140)와 돌기가이더(150) 사이에는 스프링(142)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프링(142)는 돌기(141)에 끼워서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142)의 작용은 망걸이대(140)의 상승시에는 상승 충격을 완충시켜 돌기가이더(150)와 부딪침을 방지하고, 망걸이대(140)의 자연스러운 하강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체(130)는 축(131)과, 상기 축(131)의 양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측판(132)과, 상기 축(131)을 회전가능토록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구(140)과, 상기 축(13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112)로 이루어진다. 이때 모터(112)는 브라켓(111)에 의해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 양측에는 김발(A)을 모아주기 위한 망유도판(113)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걸이대(140)의 구동은 호형부재(146)과 호형부재 구동부(1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작용은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호형부재(14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130)의 양 측판(132)의 외측에 형성되되 망걸이대(140) 양단에 고정된 상태이고, 일 측이 호형(弧形)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형부재(146)에 고정되는 망걸이대(140) 역시 회전체(130)의 양 측판(132)의 통공(132a)를 통해 양 측판(132) 밖으로 노출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는 호형부재(146)가 호형부재 구동부(160)에 의해 승하강 구동하기 위해서는 필수적 구성이다. 왜냐면 상기 호형부재(146)가 양 측판(132) 내측에 존재하게 되면 돌기가이더(150) 등의 간섭에 의해 이를 구동시키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통공(132a)은 망걸이대(140)의 승하강을 위해 장공(長空)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당한 넓이의 김발(A)의 견인을 위해서는 망걸이대(140) 역시 상당한 길이를 가져야 하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양 측판(132) 사이에는 상기 망걸이대(14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원판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형부재 구동부(160)는 프레임(110)의 일측, 즉 김발(A)의 망눈으로 부터 돌기(141)를 빼내야 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호형부재(146)의 호형(弧形)부분이 지나게 되면 상기 호형부재(146)을 밀어주는 기능을 한다. 물론 상기 호형부재 구동부(160)는 고정된 상태로 엄밀하게 표현하면 호형부재(146)가 호형부재 구동부(160)에 의해 밀리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호형부재 구동부(160)에 의해 호형부재(146)가 밀리게 되면 상기 호형부재(146)에 고정된 망걸이대(140)도 밀리게 되고, 동시에 돌기(141)가 하강하게 되면서 김발(A)의 망눈으로 부터 돌기(141)가 이탈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호형부재 구동부(16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호형부재(146)의 호형(弧形)부분이 맞닿고 보다 원활하게 밀릴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로울러(162a)와. 상기 로울러(162a)를 설치하기 위한 로울러 고정구(162)와, 상기 로울러 고정구(162)를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60)과, 상기 로울러(162a)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볼트(163)로 이루어진다.
이때 호형부재(146)과 호형부재 구동부(160)에 의해 망걸이대(140)의 하강은 가능하지만, 상승은 불가능한 것이어서 상기 망걸이대(140)의 상승 작용을 위한 구성이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서 상기 망걸이대(140)의 하부에 하부돌기(143)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돌기(143)에는 하부 스프링(144)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하부 스프링(144)과 하부돌기(14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45)가 양 측판(132)의 내측면 통공(132a)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호형부재(146)의 호형(弧形)부분이 호형부재 구동부(160)의 로울러(162a)에 맞닿을 때 하강했던 망걸이대(140)는 호형부재(146)의 호형(弧形)부분이 호형부재 구동부(160)의 로울러(162a)로 부터 이탈되는 순간 하부 스프링(144)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결국 돌기(141)가 돌기가이더(150) 위로 돌출되어 김발(A)의 망눈을 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프레임 130: 회전체
132a:통공 140: 망걸이대
141: 돌기 146: 호형(弧形)부재
150: 돌기가이더 160: 호형부재 구동부
132a:통공 140: 망걸이대
141: 돌기 146: 호형(弧形)부재
150: 돌기가이더 160: 호형부재 구동부
Claims (3)
-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체(130)로 이루어지는 김발 자동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30)의 내측 외주연에 양측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가이더(150)와, 상기 돌기가이더(150)의 하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돌기(141)를 구비하는 망걸이대(140)와, 상기 망걸이대(140)의 양측은 회전체(130)의 양측판에 천공된 통공(132a)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호형부재(146)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호형부재(146)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된 형성된 호형부재 구동부(160)에 의해 호형부재(146)가 하강구동되도록 하고, 동시에 망걸이대(140)도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돌기(141)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자동견인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걸이대(140)의 하부에 하부돌기(143)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돌기(143)에는 하부 스프링(144)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하부 스프링(144)과 하부돌기(14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45)가 양 측판(132)의 내측면 통공(132a) 하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망걸이대(140)가 상승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자동견인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형부재 구동부(160)는 호형부재(146)의 호형부분이 맞닿고 보다 원활하게 밀릴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로울러(162a)와. 상기 로울러(162a)를 설치하기 위한 로울러 고정구(162)와, 상기 로울러 고정구(162)를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60)과, 상기 로울러(162a)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볼트(16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 자동견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7387A KR101588002B1 (ko) | 2014-04-21 | 2014-04-21 | 김발 자동견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7387A KR101588002B1 (ko) | 2014-04-21 | 2014-04-21 | 김발 자동견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1481A KR20150121481A (ko) | 2015-10-29 |
KR101588002B1 true KR101588002B1 (ko) | 2016-02-12 |
Family
ID=5443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7387A KR101588002B1 (ko) | 2014-04-21 | 2014-04-21 | 김발 자동견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80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0912B1 (ko) * | 2018-03-15 | 2018-09-07 | 주식회사 케이알엔티 | 김 채취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75508A (ja) | 2000-03-30 | 2001-10-09 | Takeuchi Denki Kogyosho:Kk | のり網を船上に巻き上げる装置 |
JP2011087489A (ja) | 2009-10-21 | 2011-05-06 | Mutsu Kaden Tokki:Kk | 養殖・天然物洗浄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99433Y2 (ja) * | 1991-06-19 | 1999-09-06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における各メモリボードの記憶保護装置 |
KR100277293B1 (ko) * | 1998-08-26 | 2001-01-15 | 배평암 |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
-
2014
- 2014-04-21 KR KR1020140047387A patent/KR1015880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75508A (ja) | 2000-03-30 | 2001-10-09 | Takeuchi Denki Kogyosho:Kk | のり網を船上に巻き上げる装置 |
JP2011087489A (ja) | 2009-10-21 | 2011-05-06 | Mutsu Kaden Tokki:Kk | 養殖・天然物洗浄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1481A (ko) | 2015-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441010B (zh) | 钩藤切段的方法 | |
KR101588002B1 (ko) | 김발 자동견인장치 | |
CN204069827U (zh) | 一种防堵型甘蔗叶打捆机捡拾机构 | |
KR100626404B1 (ko) | 해태망 회수장치 | |
CN202964748U (zh) | 三面切书机进口同步带轮抬升机构 | |
CN204408947U (zh) | 山药种植收获机 | |
KR20070000995U (ko) | 홍합 및 홍합 종패 분리기 | |
CN204031893U (zh) | 圆柱体表面扎孔机 | |
CN203974403U (zh) | 一种减震轮上的减震档位调节机构 | |
KR102196973B1 (ko) | 멍게 자동 분리기 | |
CN203340848U (zh) | 滩涂贝类捕捞机械化作业的专用装置 | |
CN203268394U (zh) | 方形片下料装置 | |
CN205497144U (zh) | 一种双端面研磨装置 | |
KR200467042Y1 (ko) | 피닐피복기용 커터 작동장치 | |
CN201742727U (zh) | 割草机割草高度调节机构 | |
CN202245571U (zh) | 卷纸放卷的传动装置 | |
CN107347328A (zh) | 一种农业机械分苗装置 | |
CN204953393U (zh) | 一种圆形网箱网衣水下清洗系统 | |
CN209234280U (zh) | 一种园林绿化除草装置 | |
CN218302161U (zh) | 一种茶叶种植用打孔机构 | |
CN209201472U (zh) | 一种园林绿化用草地打孔装置 | |
CN209636801U (zh) | 一种拔桩机 | |
CN218183935U (zh) | 一种方便菠萝种植用的打孔设备 | |
CN215709365U (zh) | 一种高效率收料设备 | |
CN218417175U (zh) | 一种有机茶叶种植用松土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