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597B1 - 다수의 채널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이네트워크시스템에서사용하기위한노드장치와콘센트레이터,및상기네트워크시스템의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채널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이네트워크시스템에서사용하기위한노드장치와콘센트레이터,및상기네트워크시스템의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597B1
KR100276597B1 KR1019950051100A KR19950051100A KR100276597B1 KR 100276597 B1 KR100276597 B1 KR 100276597B1 KR 1019950051100 A KR1019950051100 A KR 1019950051100A KR 19950051100 A KR19950051100 A KR 19950051100A KR 100276597 B1 KR100276597 B1 KR 100276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channel
transmission path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18A (ko
Inventor
미쯔루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2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07Construction
    • H04Q2011/0011Constru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07Construction
    • H04Q2011/0015Construction using splitting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37Operation
    • H04Q2011/0039Electrical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9Topology aspects
    • H04Q2011/0092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개의 복수개 채널로 이루어진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개시되는데,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멀티채널전송로 내의 채널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된 채널 상의 신호들 사이에서 원하는 신호를 상기 접속된 채널로부터 분리하도록 되어 있는 분리 수단, 및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입력 채널과 다른 채널에 출력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신호 교환이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의한 채널간 교환과 분리 수단에 의한 채널내 교환으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간단한 방법으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신호 교환 기능을 달성할 수있게 해준다.

Description

다수의 채널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노드 장치와 콘센트레이터, 및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방법
제1도는 종래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종래예의 8 ×8 스위치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종래예의 패킷 구성올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종래예의 디코더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패킷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분리/삽입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노드 장치의 디코더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패킷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노드 장치의 변경부를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노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0도 및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과 콘센트 레이터(concentrator)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9,50∼53 : 파이버 2 : 디바이더
3∼10 : 고정 파장 수신 유닛 11 : 전환 SW
12∼19 : 분리 삽입 유닛 20∼27 : 고정 파장 송신 유닛
28 : 파장 멀티플렉서 30∼37 : 서브 전송 라인
38∼45 : 단말 46∼49 : 노드 장치
54 : 채널 어드레스 55 : 노드 어드레스
56 : 데이타 57 : 필터
58 : 수신 유닛 59 : 비교기
60 : 래치 61 : 디멀티플렉서
62 : I/F부 63∼64 : FIFO
65 : 삽입 제어부 66 : 셀렉터
161,171 : 콘센트레이터
본 발명은 접속된 단말들 사이에서 신호, 특히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노드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한다.
최근 단말 처리 속도의 진보에 따라, 이러한 단말을 접속하는 네트워크의 고속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 멀티 채널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126, 127)을 접속하기 위한 노드 장치(120), 및 상기 노드 장치를 접속하기 위해 다수의 채널을 갖는 멀티채널 전송로(128)로 구성된다. 제1도에 있어서, 멀티채널 전송로는 한 예로서 다수의 파장을 이용한 파장 멀티플렉스 전송로로 이루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126)으로부터 전송되어 입력 I/F 유닛(124)로 입력된 패킷은 교환 유닛(122)에서 다수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123)중 한 유닛으로 전환되어 소정의 파장으로 송신된다. 그 다음, 수신지 단말이 접속된 노드 장치로의 경로에 존재하는 임의의 노드 장치에 의해 중계 처리된다. 최종적으로, 수신지 노드 장치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121)에 의해 수신된 다음, 수신지 단말이 접속되는 출력 I/F 유닛(125)로부터 출력되도록 교환 유닛에 의해 전환되므로, 소정의 출력 I/F 유닛으로부터 출력되어 단말에 의해 수신된다. 노드 장치의 교환 유닛(122)는 입력 패킷을 다수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들 및 다수의 I/F 유닛들중 한 유닛으로 송신하는 교환 동작에 의해 패킷을 희망하는 노드 장치의 희망하는 단말로 루팅하는 루트를 설정한다.
이러한 종래예의 구성에 있어서, 교환 유닛은 다음 방식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상기 종래예에서 사용하는 교환 유닛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N개의 입력과 N개의 출력을 갖는 크로스 바(cross-bar) 교환 유닛을 나타내며, 상기 입력수 N은 고정 파장 수신 유닛의 수와 입력 I/F 유닛의 수의 합이고, 출력수 N은 고정 파장 송신 유닛의 수와 출력 I/F 유닛의 수의 합이다.
제2도에 있어서, 참조 번호(129)는 패킷의 어드레스부를 판독하여 이 패킷의 수신지를 제어 유닛에 지시하는 출력 지정 데이타를 발생하는 디코더이다. 참조 번호(130)은 입력된 패킷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제어 유닛에 의한 제어하에 이 패킷을 입력된 순서로 출력 라인에 출력하는 FIFO(First-In-First-Out) 레지스터이다. 참조 부호(131-1 내지 131-n)은 FIFO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된 패킷 신호를 스위치 입력단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입력 라인이다. 참조 부호(132)는 입력 라인으로부터 공급된 패킷 신호를 출력 라인으로 공급할 것인지 아닌지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입력수 N 및 출력수 N의 경우, N×N개의 스위치가 필요하게 된다. 참조 번호(133)은 디코더로부터의 출력 지정 데이타에 따라 FIFO 레지스터의 독출 제어와 스위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유닛이다. 참조 부호(134-1 내지 134-n)은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패킷 신호를 각각의 출력 라인으로 공급하는 출력 라인이다.
제3도는 이들 패킷 교환 장치에서 교환된 패킷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패킷은 패킷의 수신지 단말을 나타내는 어드레스부(135) 및 상기 패킷에 의해 전송된 데이타를 나타내는 데이타부(136)으로 구성된다.
제4도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된 모든(n개) 단말의 어드레스를 디코드하는 디코더 유닛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를 참조하면, 래치(137)은 입력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n개의 메모리(138)은 도시되지 않은 디코더 관리 유닛에 의해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된 n개의 모든 단말의 어드레스를 각각 저장한다. 각각의 비교기(139)는 래치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와 각각의 메모리에 저장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에는 일치 신호를 테이블 어드레스 발생기(140)에 송신하고, 테이블 어드레스 발생기(140)은 출력 지정 테이블을 판독하기 위한 테이블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출력 지정 테이블(141)은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지시하는 출력 지정 데이타를 저장한다. 테이블 어드레스 발생기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희망하는 출력 지정 데이타가 상기 테이블에서 판독제어 제어 유닛(133)에 공급된다. 테이블 어드레스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테이블 어드레스는 일치 신호를 발생한 비교기의 번호에 대응하는 테이블의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것이므로, 입력된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테이블로부터 출력 지정 데이타가 판독된다. 상기 출력 지정 데이타에 기초하여, 스위치(132)가 동작되고,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이 소정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예의 구성은 각각의 노드 장치가, 웨어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싼 교환 유닛을 구비해야 되므로 단말을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비용이 비싸진다는 제1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환 유닛은 N개의 입력과 N개의 출력의 N×N 스위치를 필요로 하고, 상기 입력수 N은 고정 파장 수신 유닛의 수와 입력 I/F 유닛의 합으로 선택되고, 상기 출력수 N은 고정 파장 송신 유닛의 수와 출력 I/F 유닛의 수의 합으로 선택된다. 따라서, 멀티채널 전송로의 채널수 또는 접속된 단말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위치 수가 자승의 비율로 증가하고 하드웨어의 크기가 매우 커진다는 제2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은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예 구성의 디코더에 있어서,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된 모든 단말의 어드레스와 비교되고, 출력 지정 데이타는 일치 단말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출력 지정 테이블로부터 판독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의 수와 최소한 동일한 수의 메모리와 비교기를 설정해야 되고, 또한 동일한 수의 출력 지정 테이블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테이블 어드레스 발생기는 입력될 일치 신호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테이블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데 더 긴 시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종래예 구성의 디코더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된 단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하드웨어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노드 장치가 비싸지고, 고속 어드레스 디코딩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시스템이 고속으로 동작할 수 없다는 제3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예 노드 장치의 교환 유닛 구성을 간략화하고, 또한 노드 장치의 하드웨어 크기가 커지지 않게 하며, 저가격의 노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스루풋 향상을 방해하는 디코더 유닛을 간략화함으로써 더욱 고속이고 더욱 작은 하드웨어 크기로 동작할 수 있는, 개선된 노드 장치, 개선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개선된 전송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환 유닛을 갖지 않고, 따라서 하드웨어 크기가 작은 저렴한 노드 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단말을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은 하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n채널로 이루어진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실행하는 제1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시스템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내의 채널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된 채널상의 신호들중 원하는 신호를 상기 접속된 채널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는 분리 수단; 및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채널에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채널에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갖고 있고,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입력 채널과 상이한 채널로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구성에 있어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교환이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의한 채널들 사이의 교환과, 분리 수단에 의한 각각의 채널상의 교환으로 분할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단순한 구조로 교환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더욱 효율적인 방식으로 분할되거나 또는 분산된 교환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신호는 상기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이 접속되는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어드레스와, 상기 신호를 분리하는데 사용될 분리 수단을 지시하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된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임의의 출력 단으로 출력할 수 있는 스위치, 또는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임의의 출력단으로 출력할 수 없지만 신호를 입력단에 대응하지 않는 출력단으로 출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신호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는 신호가 될 수 있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신호를 분리하는데 사용될 분리 수단에 접속된 채널로 상기 신호를 출력할 때에 상기 신호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신호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분리 수단은 단순히 상기 유효 정보를 참조함으르써 입력된 신호가 소정의 채널에 이미 전송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신호를 채널에 입력시키는 수단으로서 채널에 접속된 신호를 삽입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는 구성이 채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리 수단 및/또는 삽입 수단이 노드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노드 장치에 제공된 분리 수단과 삽입 수단은 모든 채널 또는 일부 채널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모든 채널들 사이에서의 신호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모든 채널에 접속되어야 한다. 상기 분리 수단이 노드 장치에 제공되는 경우, 신호를 분리하는데 사용될 분리 수단을 나타내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서 노드 어드레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채널들 사이의 신호 교환이 가능한 한은 소정의 위치, 즉 노드 장치 내부, 외부 또는 각각의 노드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내부에서는 모든 채널과 통신할 수 있다면 하나의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만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멀티채널 전송로가 멀티플렉싱 수단을 이용하는 멀티플렉스 전송로이면, 필요에 따라 각각의 채널마다 수신 수단과 송신 수단이 제공된다.
멀티플렉싱 수단은 상이한 채널마다 각각 상이한 전송로를 이용하는 소위 공간 멀티플렉싱법, 또는 상이한 파장을 채널에 각각 할당함으로써 멀티채널 전송로와 같은 전송로를 이용하는 파장 멀티플렉싱법 등의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분리 수단 및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이 콘센트레이터에 제공되는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드 장치, 콘센트레이터 및 상술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1]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노드 장치이고, 8개의 파장(λ1, λ2, λ3, λ4, λ5, λ6, λ7, λ8)의 광파장 멀티플렉싱에 의한 8개의 채널이 있는 다중 채널 전송로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8개의 단말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노드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노드 장치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로서, 4개의 노드 장치가 광 파이버와 링 구조로 접속되어 있다. 화살표는 패킷의 송신 방향을 나타내고, 4개의 노드 장치 각각은 제5도에 도시된 내부 구성을 갖는다.
제5도를 참조하면, 광 파장 다중 전송로의 물리 매체를 구성하는 광 파이버(1)은 인접 상류 노드 장치의 파장 멀티플렉서(28)과 이 노드 장치의 디바이더(2) 사이의 다중 채널 전송로의 전송 매체로서 역할을 하고, 파장이 (λ1, λ2,λ3, λ4, λ5, λ6, λ7, λ8)인 채널을 갖는다. 디바이더(2)는 8개의 고정된 파장 수신 유닛으로 광 파이버(1)을 통해 송신된 광 신호를 분할한다. 고정된 파장 수신 유닛 I 내지 Ⅷ(3 내지 10)은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고정된 파장 수신 수단을 구성하고, 후술될 내부 구성을 갖는다. 각각의 상기 수신 유닛 I 내지 Ⅷ은 파장(λ1 내지 λ8)중 하나의 파장에 대응하는 파장의 광 신호에 의해서만 송신된 패킷만을 수신한다. 접속 변경 수단을 구성하는 전환 스위치(11)(이후부터, 스위치 또는 SW)은 고정된 파장 수신 유닛 I(3) 내지 Ⅷ(10)에 각각 접속된 입력단 I 내지 Ⅷ, 및 분리 삽입 유닛 I(12) 내지 Ⅷ(19)에 각각 접속된 출력단 I 내지 Ⅷ를 갖는다. 입력단 I는 (λ1)의 채널 및 출력단 I에 대응하고, 입력단 Ⅱ는 (λ2)의 채널 및 출력단 Ⅱ에 대응한다. 또한 다른 입력단은 다른 채널 및 다른 단말에 대응한다. 전환 스위치(11)의 구성은 디코더(129)가 후술되는 것처럼 제1실시예에 사용된 패킷의 채널 식별 정보를 구성하는 채널 어드레스를 디코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도의 것과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디코더 유닛은 다수의 채널 전송로의 채널의 수와 동일한 8조의 메모리 비교기를 필요로 하는데, 메모리 I 내지 Ⅷ은 고정 파장 송신 유닛(후술될 채널 처리 그룹에 사용된 파장)과 채널 어드레스 간의 대응을 나타내는 표 2의 값을 각각 저장한다. 본 구성에서, 종래의 구성과 같이, 입력 패킷의 채널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출력 지정 데이타가 출력 지정 테이블(141)로부터 판독된다. 상기 출력 지정 데이타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은 채널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채널 처리 그룹에 속한 분리 삽입 유닛에 접속된 출력 라인의 교점에 위치된 스위치(132)를 폐쇄하여, 분리 입력단로부터 선정된 삽입 유닛에 입력 패킷을 전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환 스위치(11)은 송신된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선택된 채널 처리 수단을 변경하고, 원하는 채널 처리 그룹에 패킷을 시프트한다. 분리 삽입 수단을 구성하는 분리 삽입 유닛 I 내지 Ⅷ(12 내지 19)는 전환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후술될 서브 전송로를 통해 단말에 송신될 패킷 플로우를 분리하여 상기 패킷을 서브 전송로로 보내고, 단말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서브 전송로를 통해 전환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패킷 플로우로 삽입한다. 상기 분리 삽입 유닛의 내부 구성은 후술될 것이다. 각각의 분리 삽입 유닛 I(12) 내지 Ⅷ(19)는 단말에 접속된다.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는 고정된 파장 송신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 내지 Ⅷ(20 내지 27)은 분리 삽입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패킷을 변환시키고, 멀티 플렉서(28)을 통해 상기 신호를 광 파장 다중 전송로의 물리 매체를 구성하는 광 파이버(29)로 송신한다. 상기 반도체 레이저는 다중 전극 구조에 의한 DFB(Distrbuted feedback)형이다. 송신 파장(λ1 내지 λ8)은 상기 DFB 레이저의 전극의 주입 전류량의 제어에 의해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 내지 Ⅷ(27)에 각각 할당된다. 파장 멀티플렉서(28)은 광 파장 다중 전송로의 물리 매체를 구성하고 이 노드 장치의 멀티플렉서와 인접 하류 노드 장치의 디바이더 사이의 다중 채널 전송로내의 전송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광 파이버(29)로의 전송을 위해 8개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으로부터 파장(λ1 내지 λ8)의 광 신호들을 합파한다. 서브 전송로 I 내지 Ⅷ(30 내지 37)는 분리 삽입 유닛과 단말 사이의 패킷 전송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각각 서브 전송로 I 내지 Ⅷ에 접속된 단말 I 내지 Ⅷ(38 내지 45)는 분리 삽입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패킷을 수신하고, 다른 단말에 송신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패킷을 서브 전송로를 통해 분리 삽입 유닛에 보낸다.
고정된 파장 수신 유닛 I(3), 분리 삽입 유닛 I(12) 및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은 동일한 채널에 대응하고, 파장(λ1)의 채널에 의해 송신된 패킷용 채널 처리 수단을 구성한다. 고정된 파장 수신 유닛 Ⅱ(4)와 유사하게, 분리 삽입 유닛 Ⅱ(13) 및 고정 파장 송신 유닛 Ⅱ(21)은 파장(λ2)의 채널에 의해 송신된 패킷의 채널 처리 수단을 구성하고, 다른 고정된 파장 수신 유닛, 분리 삽입 유닛 및 고정 파장 송신 유닛도 또한 유사하게 구성된다.
제6도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노드 장치(46 내지 49)가 제공되고, 8개의 서브 전송로를 통해 8개의 단말에 접속된다. 광파장 다중 전송로의 물리 매체를 구성하는 광 파이버(50 내지 53)은 다음의 방식으로 제5도의 광 파이버(1 및 29)에 대응한다. 노드 장치 I(46)에서, 제5도의 광 파이버(1 및 29)은 제6도의 광 파이버(53 및 50)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노드 장치 Ⅱ(47)에서, 제29도의 광 파이버(1 및 29)는 제6도의 광 파이버(50 및 51)에 대응한다. 노드 장치 Ⅲ(48) 및 Ⅳ(49)에 대해서도 유사하다.
4개의 노드 장치 I(46) 내지 Ⅳ(49)에서, 4개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 및 4개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은 동일 채널에 대응하고, 파장(λ1)의 채널에 의해 송신된 패킷용 채널 처리 그룹 I을 구성한다. 유사하게, 상기 4개의 노드 장치 I(46) 내지 Ⅳ(49)에서, 4개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Ⅱ(4), 4개의 분리 삽입 유닛 Ⅱ(13) 및 4개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 Ⅱ(21)은 파장(λ2)의 채널에 의해 송신된 패킷용 채널 처리 그룹 Ⅱ를 구성하고, 다른 고정 파장 수신 유닛, 분리 삽입 유닛 및 고정 파장 송신 유닛도 유사하게 채널 처리 그룹 Ⅲ 내지 Ⅷ을 구성한다.
전환 스위치(11)은 송신된 패킷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사용될 채널 처리 수단을 변경시키고, 원하는 채널 처리 그룹에 패킷을 시프트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7도는 제1실시예에 사용된 패킷의 구성을 도시하는데, 참조부호(54)는 패킷의 채널 식별 정보를 기재하는 필드, 구체적으로는, 서브 전송로를 통해 접속된 채널 처리 그룹을 식별하기 위핸 패킷의 수신지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참조부호(55)는 패킷의 노드 장치 식별 정보를 기재하는 필드, 구체적으로는, 접속 노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패킷의 수신지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노드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6)은 이 패킷에 의해 전송될 데이타부를 나타낸다. 표 1 및 2는 각각 본 실시예의 노드 장치의 노드 어드레스, 및 채널 처리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채널 어드레스를 보여준다.
[표 1]
[표 2]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노드 장치에 사용된 각각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 내지 Ⅷ(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필터(57)은 각각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에 할당된 선정된 파장의 광 신호만을 송신하고, 다른 파장의 광 신호는 차단한다.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 내지 Ⅷ의 필터의 송신 파장은 각각 (λ1 내지 λ8)로 셋트되고, 상기 파장은 파장의 증가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즉 λ1< λ2 < λ3 < λ4 < λ5 < λ6 < λ7 < λ8이다. 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수신 유닛(58)은 전환 스위치의 입력단에 공급하기 위해 필터에 의해 송신된 선정된 파장의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PIN 광 다이오드(PIN-PD)를 구비하고, 포토다이오드의 후단에 접속된 증폭기, 등화기 및 식별 회로에 의한 파형 형성 후 출력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노드 장치에 사용된 각각의 분리 삽입 유닛 Ⅰ (12) 내지 Ⅷ(19)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리 삽입 유닛 I 내지 Ⅷ은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갖는다. 제9도에서, 비교기(59)는 래치(60)으로부터 출력된 패킷내의 노드 어드레스부, 또는 노드 장치 식별 정보를 기준 입력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분리 지시 신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계 지시 신호를 디멀티플렉서(61)에 출력한다. 기준 입력값(#)은 각각의 노드 장치의 노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표 1에서의 값이다. 래치(60)은 패킷의 노드 어드레스부를 래치하여, 이것을 비교기(59)에 보낸다. 디멀티플렉서(61)은 비교기(59)에 의한 분리 또는 중계 지시에 따라 I/F 유닛(62) 또는 FIFO Ⅱ(64)에 입력 패킷을 보낸다. I/F 유닛(62)는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된 패킷을 서브 전송로로 보내고, 입력된 패킷을 FIFO I(63)으로 보낸다. FIFO(First-In-Fhst-Out; 선입선출) 레지스터(63 및 64)는 입력된 패킷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패킷을 입력순으로 셀렉터(66)에 출력한다. 삽입 제어 유닛(65)는 FIFO I(63) 및 FIFO Ⅱ(64)의 판독 제어를 실행하고, 선택될 FIFO의 셀렉터를 지시하여, 서브 전송로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전환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패킷 플로으로 삽입한다. 판독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셀렉터(66)은 출력될 패킷 신호를 저장하는 FIFO를 선택하고, 상기 패킷 신호가 고정 파장 송신 유닛에 전송되게 한다.
다음으로, 노드 장치 I(46)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단말 I(38)로부터 노드 장치 Ⅲ(48)의 서브 전송로 V(34)에 접속된 수신지 단말 V(42)로의 패킷 전송의 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상기 패킷은 패킷 A로 칭한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노드 장치의 대응하는 소자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낸다.
노드 장치 I(46)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전송 단말 I(38)은 노드 장치 Ⅲ(48)의 서브 전송로 V(34)에 접속된 단말 V(42)에 전송될 데이타에 채널 어드레스 및 노드 어드레스를 부가함우로써, 제7도에 도시된 구성의 패킷 A를 구성하고, 상기 패킷 A를 서브 전송로 I(30)을 통해 노드 장치 I(46)의 분리 삽입 유닛 I(12)에 송신한다. 수신지 단말 V(42)는 파장이 λ5인 채널 처리 그룹에 속하는 분리 삽입 유닛 V(16)에 서브 전송로를 통해 접속되고, 채널 어드레스는 표 2에 따라 "5"로 셋트된다. 또한 패킷 A의 수신지가 노드 장치 Ⅲ(48)이면, 노드 어드레스는 표 1에 따라 "3"으로 셋트된다.
노드 장치 I(46)의 분리 삽입 유닛 I(12)의 I/F 유닛은 서브 전송로 I(30)을 통해 전송된 패킷 A를 FIFO I(63)에 연속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저장의 완료후, 삽입 제어 유닛(65)는 FIFO Ⅱ(64)로부터 패킷 플로우내의 간격을 검출하고, 셀렉터의 입력을 FIFO I(63)로 전환하여, FIFO Ⅱ(64)로부터의 독출을 종료하고 FIFO I(63)으로부터의 독출을 초기화한다. FIFO I(63)에 저장된 패킷 A의 독출 후, 삽입 제어 유닛은 셀렉터 입력을 FIFO Ⅱ(64)로 다시 전환하여, FIFO I(63)으로부터의 독출을 종료하고 FIFO Ⅱ(64)로부터의 독출을 초기화한다. 셀렉터로부터 출력된 패킷 A는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에 공급되고, 그곳에서 DFB 반도체 레이저에 의해, 멀티플렉서(28)을 통해 광 파이버(29)에 전송될 파장(λ1)의 광 신호로 변환된다.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 내지 Ⅷ(27)은 선정된 파장으로의 변환 후, 분리 삽입 유닛 I(12)로부터 Ⅷ(19)로 출력된 패킷을 멀티플렉서(28)에 송신한다. 송신된 광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 내지 Ⅷ(27)에 각각 할당된 파장(λ1 내지 λ8)을 갖는다. 8개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으로부터 방출되고,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 신호들은 멀티플렉서(28)내에서 상호간섭없이 혼합되어, 모든 파장의 광이 광 파이버로 유입되어 인접 하류 노드 장치 Ⅱ(47)에 전송된다. 이러한 동작에서, 노드 장치 I(46)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단말 I(38)로부터 노드 장치 Ⅲ(48)의 서브 전송로 V(34)에 접속된 단말 V(42)로 전송된 패킷 A는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으로부터 파장(λ1)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Ⅱ(47)에 전송된다.
노드 장치 Ⅱ(47)에 전송된 상기 패킷 A는 채널 처리 그룹의 전환을 겪게 되고, 파장(λ5)의 채널에 의해 하류 노드 장치에 전송된다. 노드 장치 I(46)으로부터 전송된, 파장(λ1 내지 λ8)의 광 신호는 노드 장치 Ⅱ(47)의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고, 각각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 내지 Ⅷ(10)으로 들어간다.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에서, 파장(λ1)의 광 신호만이 필터에 의해 송신되어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수신된다. 패킷 A가 (λ1)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I(46)으로부터 송신되면, 이것은 상기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에 의해 수신되어 전환 스위치(11)로 공급된다.
전환 스위치(11)의 디코더(129)에서, 입력 패킷 A의 채널 어드레스부는 래치(137)에 의해 래치되어 비교기 I 내지 Ⅷ에 공급된다. 패킷의 채널 어드레스가 상술된 바와 같이, 값 "5"를 갖고, 메모리 I 내지 Ⅷ가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 내지 "8"을 저장할 때, 비교기 V는 테이블 어드레스 발생기로부터 선정된 어드레스를 발생하기 위해 동일한 신호를 발생하여 채널 처리 그룹 V에 대응하는 출력 지정 데이타가 출력 지정 테이블로부터 판독된다. 디코더(129)내의 채널 어드레스의 독출 이후, 패킷 A는 FIFO I(30)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제어 유닛에 의한 출력 라인의 출력 제어 후에 입력 라인 I(131-1)에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시에, 디코더로부터의 출력 지정 데이타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은 입력 라인 I(131-1)과 출력 라인 V(134-5)의 교점에서 스위치를 폐쇄하여, 패킷 A는 상기 출력 라인 V(134-5) 및 이에 접속된 분리 삽입 유닛 V(16)에 출력된다.
분리 삽입 유닛 V(16)으로 들어간 패킷 A중에서, 노드 어드레스는 래치(60)에 의해 래치되어, 비교기에 공급된다.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가 "3"으로 셋트되고, 노드 장치 Ⅱ(47)의 기준 입력값(#)이 "2"로 셋트되면, 이들은 서로 동일하지 않아서, 비교기(59)는 디멀티플렉서(61)에 중계 지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디멀티플렉서(61)은 FIFO Ⅱ(64)에 입력된 패킷 A를 보낸다. FIFO Ⅱ(64)에 저장된 패킷 A는 삽입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판독되어, 셀렉터(66)을 통해 고정 파장 송신 유닛 V(24)에 공급되고, 멀티플렉서(28)을 통해 광 파이버(29)에 (λ5)의 광 신호로서 방출된다. 따라서, 파장(λ1)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Ⅱ(47)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에 의해 수신된 패킷 A는 채널 처리 그룹 I로부터 V로 전환 스위치(11)에 의해 전환되고, 고정 파장 송신 유닛 V(24)로부터 광 신호(λ5)로서 송신된다.
광 파이버(51)을 통해 노드 장치 Ⅱ(47)로부터 (λ5)의 광 신호로서 송신된 패킷 A는 노드 장치 Ⅲ(48)의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고, 고정 파장 수신 유닛 V(7)에 의해 수신되어, 전환 스위치(11)에 공급된다. 상기 스위치(11)은 노드 장치 Ⅱ(47)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디코더(129)에 의해 채널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이어서 선정된 출력 지정 데이타가 제어 유닛에 공급되며, 패킷 A는 출력단 V로부터 출력되어 분리 삽입 유닛 V(16)에 공급된다. 상기 분리 삽입 유닛 V(16)의 래치(60)은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를 래치하고, 그것을 비교기(59)에 보낸다. 상기 비교기(59)의 기준 입력값(#)은 패킷 A의 노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3"으로 셋트되고, 비교기(59)는 디멀티플렉서(61)에 분리 지시 신호를 보내고, 이에 응답하여 디멀티플렉서(61)은 입력된 패킷 A를 I/F 유닛(62)에 보낸다. 이어서, 패킷 A는 서브 전송로 V(34)를 통해 전송되고, 이어서 수신지 단말 V(42)에 의해 수신되며 어드레스부가 제거되고, 이에 따라 데이타부만이 취해져서 원하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드 장치 I(46)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단말 I(38)로부터 노드 장치 Ⅲ(48)의 서브 전송로 V(34)로 어드레스된 패킷 A는 노드 장치 I(46)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으로부터 파장(λ1)로 송신되고, 이어서 노드 장치 Ⅲ(48)의 수신지 서브 전송로가 접속된 분리 삽입 유닛 V(16)을 포함하는 채널 처리 그룹, 즉 파장(λ5)에 대응하는 채널 처리 그룹의 채널로 노드 장치 Ⅱ(47)내에서 시프트되고, 이어서 분리 삽입 유닛 V(16)에 의해 분리된 노드 장치 Ⅲ(48)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V(7)에 의해 수신되고, 또한 서브 전송로 V(34)에 의해 송신되어 단말 V(42)에 의해 수신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환 스위치가 각각의 노드 장치내에 제공될 때, 전환 스위치는 소정의 채널 처리 수단으로 시프팅되게 하고, 패킷은 네트워크의 한 주변내에 수신지 단말을 안전하게 도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전환 스위치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수는 채널의 수로 제한될 수 있고, 상기 전환 스위치는 채널 어드레스를 디코드하기 위해서만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전환 스위치의 구성을 극히 단순하게 만들 수 있다.
[실시예 2]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노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이 노드 장치는 접속 변경 수단을 갖지 않고, 전환 스위치(11)이 제거되며, 분리 삽입 유닛내의 래치 및 비교기가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킷의 어드레스 플래그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에서와 기능상으로 동일하다. 제11도는 상술한 노드 장치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데, 노드 장치 Ⅵ(68), Ⅶ(69) 및 Ⅷ(7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노드 장치로 각각 구성되고, 노드 장치 V(67)은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구성하는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전환 스위치가 제공된 노드 장치에서, 디코더 유닛은 제1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킷의 어드레스 플래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플래그 처리 유닛(71)이 부가적으로 제공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4도에 도시된 유닛과 기능상으로 유사하다. 상기 플래그 처리 유닛(71)은 후술될 패킷의 어드레스 플래그를 셋트하여,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11도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은 노드 장치의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6도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과 유사하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패킷의 구성을 도시하는데, 상기 구성은 노드 장치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인 어드레스 플래그(72)가 부가된 것을 제외하면 제7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된다. 어드레스 플래그(72)는 전송 단말로부터 패킷의 송신시에 리셋트되고, 접속 변경 수단이 구비된 노드 장치내의 채널 처리 그룹의 변경시 셋트된다. 따라서, 원하는 채널 처리 그룹의 변경 이전에 분리 삽입 수단에 의해 패킷의 잘못된 분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노드 장치 Ⅶ(69)의 단말 I(38)로부터 노드 장치 Ⅶ(69)의 단말 Ⅱ(39)로의 패킷 전송의 경우에, 상기 노드 장치 Ⅶ(69)가 전환 스위치를 갖지 않을 때, 노드 장치 Ⅵ(69)의 단말 I(38)로부터 전송된 패킷은 채널 처리 그룹의 변경 없이 노드 장치 Ⅶ(69)내의 분리 삽입 유닛 I(12)에 공급된다. 노드 어드레스가 노드 장치 Ⅶ(69)에 대응하는 값으로 셋트될 때, 분리 삽입 유닛은 분리 동작을 실행하여 패킷이 단말 I(38)에 실수없이 전송되게 한다. 이러한 잘못된 동작을 피하기 위해, 어드레스 플래그는 초기 전송시에 리셋트되고, 선정된 채널 처리 그룹으로의 변경시 셋트되어, 노드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10도 내지 제13도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소자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노드 장치 Ⅵ(68)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단말 I(38)로부터 노드 장치 Ⅶ(69)의 서브 전송로 V(34)에 접속된 수신지 단말 V(42)로의 패킷 전송의 예를 들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상기 패킷은 패킷 B로 칭한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노드 장치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술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었다. 노드 장치의 채널 어드레스는 표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셋트된다.
[표 3]
노드 장치 Ⅵ(68)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전송 단말 I(38)는 노드 장치 Ⅶ(69)의 서브 전송로 V(34)에 접속된 단말 V(42)에 어드레스될 데이타에 채널 어드레스 및 노드 어드레스를 부가하고, 어드레스 플래그를 리셋팅함으로써 제13도에 도시된 구성의 패킷 B를 발생하고, 상기 패킷 B를 서브 전송로 I(30)을 통해 노드 장치 Ⅵ(68)의 분리 삽입 유닛 I(12)에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에서, 채널 어드레스 및 노드 어드레스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표 2 및 3를 참조하여 각각 "5" 및 "3"으로 셋트된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노드 장치 Ⅵ(68)의 분리 삽입 유닛 I(12)의 I/F 유닛에 전송된 패킷 B가 FIFO Ⅱ(64)로부터 판독된 패킷 플로우로 삽입되고, 파장(λ1)의 광 신호로 고정 파장 송신 유닛의 DFB 반도체 레이저에 의해 변환되며, 광 파이버(29)에 방출된 후 노드 장치 Ⅶ(69)에 전송된다.
노드 장치 Ⅶ(69)가 패킷 B의 수신지로서 지정되는 단말 V(42)를 갖지만, 접속 변경 수단은 갖지 않으며, 패킷 B는 채널 처리 그룹 I 내에 현재 전송되고 수신지 단말 V(42)는 채널 처리 그룹 V에 속한 분리 삽입 유닛 V(16)에 접속되고, 패킷 B가 노드 장치 Ⅶ(69)로부터 노드 장치 Ⅷ(70)으로 중계되도록 한다. 노드 장치 Ⅶ(69)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에 의해 수신된 패킷 B는 어드레스 플래그 및 노드 어드레스가 래치(60)에 래치될 때 분리 삽입 유닛 I(12)에 공급된다. 비교기(59)는 어드레스 플래그를 셋트 상태를 나타내는 값과 비교하고, 또한 노드 어드레스를 노드 장치 Ⅶ(69)의 노드 어드레스 "3"인 기준 입력값(#)과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노드 어드레스는 동일하게 도시되지만, 어드레스 플래그는 셋트되지 않아서, 비교기(59)는 디멀티플렉서(61)에 중계 지시 신호를 보내고, 이에 응답하여 디멀티플렉서(61)은 FIFO Ⅱ(64)내에 패킷 B를 저장한다. 따라서, FIFO Ⅱ(64)내에 저장된 패킷 B는 삽입 제어 유닛(65)의 제어하에 판독되어,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으로부터 (λ1)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Ⅷ(70)에 송신된다.
노드 장치 Ⅷ(70)은 노드 장치 Ⅶ(69)에서와 같이 중계 처리를 수행하고, 이에 의해 패킷 B는 노드 장치 V(67)에 송신된다.
노드 장치 V(67)에서, 패킷 B는 채널 처리 그룹 I로부터, 수신지 단말 V(42)가 접속된 분리 삽입 유닛 V(16)을 포함하는 채널 처리 그룹 V로 시프트하고, 어드레스 플래그가 셋트된다.
노드 장치 Ⅷ(70)으로부터 Ⅶ(67)로 전송된 패킷 B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에 의해 수신되어, 전환 스위치(11)에 공급된다. 제8도에 도시된 디코더에서, 채널 어드레스는 메모리 V내의 값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판독되고, 비교기 V는 동일 신호를 발생하여, 채널 처리 그룹 V에 대응하는 출력 지정 데이타는 출력 지정 테이블로부터 판독된다. 상술한 채널 어드레스 판독 및 플래그 처리 유닛(71)내의 어드레스 풀래그의 셋트 후, 패킷 B는 FIFO I(30)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이어서 출력 지정 데이타에 의해 선정된 스위치를 폐쇄함으로써 출력 라인 V(134-5)에 출력되고, 상기 출력 라인에 접속된 분리 삽입 유닛 V(16)에 공급된다.
분리 삽입 유닛 V(16)에 공급된 패킷 B중에서, 어드레스 플래그 및 노드어드레스는 래치(60)에 의해 래치되어, 비교기에서 선정된 값과 각각 비교된다. 어드레스 플래그는 셋트되지만 노드 어드레스는 이 상태와 다르기 때문에, 비교기(59)는 디멀티플렉서(61)에 중계 지시 신호를 보내고, 이에 의해 패킷 B가 FIFO Ⅱ(64)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고정 파장 송신 유닛 V(24)로부터 송신되어 (λ5)의 광신호로서 노드 장치 Ⅵ(68)에 출력된다. 또한, 노드 장치 Ⅵ(68)은 중계 처리를 수행하고, 패킷 B는 (λ5)의 광 신호로서, 수신지 단말 V(42)가 접속된 노드 장치 Ⅶ(69)에 다시 송신된다.
상기 노드 장치 Ⅶ(69)에서, 패킷 B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V(7)에 의해 수신되고 분리 삽입 유닛 V(16)으로 들어가서, 래치(60)이 패킷 B의 어드레스 플래그및 노드 어드레스를 래치하고, 이들을 비교기(59)로 보낸다. 어드레스 플래그가 셋트되고, 노드 어드레스가 노드 장치 Ⅶ(69)의 노드 어드레스 "3"인 기준값(#)과 일치하므로, 비교기(59)는 디멀티플렉서(61)에 분리 지시 신호를 보내고, 이에 반응하여 디멀티플렉서(61)은 입력된 패킷 B를 I/F 유닛(62)로 보낸다. 이어서, 패킷 B는 수신지 단말 V(42)에 의해 수신된 서브 전송로 V(34)를 통해 전송되고, 패킷으로부터 어드레스부를 제거하며, 데이타부만을 취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드 장치 Ⅵ(68)의 서브 전송로 I(38)에 접속된 단말 I(38)로부터 노드 장치 Ⅶ(69)의 서브 전송로 V(34)에 접속된 수신지 단말 V(42)로 어드레스된 패킷 B는 노드 장치 Ⅵ(68)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로부터 파장(λ1)로 전송되고, 이어서 노드 장치 Ⅶ(70)에 의해 중계되며, 파장(λ5)에 대응하고 노드 장치 Ⅶ(69)의 수신지 단말이 접속된 분리 삽입 유닛 V를 포함하는 채널 처리 그룹으로 노드 장치 V(67)내에서 시프트되고, 또한 어드레스 플래그를 셋트하고, 노드 장치 Ⅶ(69)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V(7)에 의해 수신된 노드 장치 Ⅶ(69)에 의해 중계되고, 분리 삽입 유닛 V(69)에 의해 분리되어, 서브 전송로 V(34)에 의해 전송된 후 마지막으로 단말 V(42)에 의해 수신된다.
본 실시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 없이 더 저렴한 노드 장치를 채택할 수 있어서, 접속된 단말의 수를 감소시키지 않고도 보다 저렴한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된 노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노드 장치는 제5도의 전환 스위치(11) 대신 변경 유닛(73)을 구비하고 있고, 분리 삽입 유닛내의 래치 및 비교기는 또한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처럼, 패킷의 어드레스 플래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다른 소자는 제5도에 도시된 노드 장치의 소자와 유사하다.
제15도는 플래그 처리 유닛 I 내지 Ⅷ(74 내지 80)이 제공된 빈경 유닛(73)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데, 각각의 플래그 처리 유닛은 입력 패킷의 채널 어드레스가 출력단을 통해 접속된 분리 삽입 유닛의 채널 처리 그룹의 수와 동일한 경우에 어드레스 플래그를 셋트하기 위해 채택된다. 입력단 I로부터 Ⅷ에 입력된 패킷 플로우는 각각 시프트되고, 플래그 처리 유닛 Ⅱ에서 I로 출력된다. 특히, 패킷은 입력단 I로부터 출력단 Ⅱ에, 유사하게 Ⅱ로부터 Ⅲ에, Ⅲ으로부터 Ⅳ에, Ⅳ로부터 V에, V로부터 Ⅵ에, Ⅵ으로부터 Ⅶ에, 및 Ⅶ로부터 Ⅷ에 전송된다. 상기 입력단 I 내지 Ⅷ는 각각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 내지 Ⅷ(10)에 접속되고, 출력단 I 내지 Ⅷ는 분리 삽입 유닛 I(12) 내지 Ⅷ(19)에 각각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을 갖는 변경 유닛(73)은 고정 패턴내의 채널 처리 수단의 변경을 수행하여 채널 처리 그룹의 전환을 달성한다. 상기 패턴은 이 실시예의 입력 및 출력단의 순차적인 시프트에 제한되지 않고, 입력단로부터의 패킷이 상기 입력단에 대응하지 않는 출력단에 공급되는 한 어떤 형태로든 가정될 수 있다.
제16도는 본 노드 장치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노드 장치 Ⅸ(81)은 제1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노드 장치로 구성되고, 노드 장치 VI(68), Ⅶ(69), Ⅷ(70)은 제10도에 도시된 노드 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된 패킷은 구성면에서 제13도와 동일하다. 제14도 내지 제16도에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소자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다음으로, 노드 장치 Ⅵ(68)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단말 I(38)로부터 노드 장치 Ⅶ(69)의 서브 전송로 Ⅱ(31)에 접속된 수신지 단말 Ⅱ(39)로의 패킷 전송을 예를 들어 상술한 제1및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상기 패킷은 패킷 C로 칭하고, 다른 노드 장치내의 동일한 소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주어진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다. 노드 장치의 채널 어드레스는 표 4에 도시된 것처럼 셋트된다.
[표 4]
노드 장치 Ⅵ(68)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전송 단말 I(38)은 노드 장치 Ⅶ(69)의 서브 전송로 Ⅱ(91)에 접속된 단말 Ⅱ(39)에 어드레스될 데이타에 채널 어드레스 및 노드 어드레스를 부가하고, 어드레스 플래그를 리셋팅함으로써 제13도에 도시된 구성의 패킷 C를 발생하고, 상기 패킷 C를 서브 전송로 I(30)을 통해 노드 장치 Ⅵ(68)의 분리 삽입 유닛 I(12)에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에서, 수신지가 노드 장치 Ⅶ(69)의 서브 전송로 Ⅱ(31)에 접속된 단말 Ⅱ(39)이므로, 채널 어드레스 및 노드 어드레스는 표 2 및 4를 참조하여 각각 "2" 및 "3"으로 셋트된다.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노드 장치 Ⅵ(68)의 분리 삽입 유닛 I(12)의 I/F 유닛에 전송된 패킷 C가 FIFO Ⅱ(64)로부터 판독된 패킷 플로우로 삽입되고, 파장(λ1)의 광 신호로 고정 파장 송신 유닛의 DFB 반도체 레이저에 의해 변환된 후, 멀티플렉서(28)을 통해 광 파이버(29)에 방출되어, 노드 장치 Ⅶ(69)에 전송된다.
노드 장치 Ⅶ(69)가 패킷 C의 수신지로서 지정되는 단말 Ⅱ(39)를 갖지만, 접속 변경 수단은 갖지 않으며, 패킷 C는 파장(λ1)의 채널 처리 그룹 I내에 현재 전송되고 수신지 단말 Ⅱ(39)는 채널 처리 그룹 Ⅱ에 속한 분리 삽입 유닛 Ⅱ(13)에 접속되어, 패킷 C가 노드 장치 Ⅶ(69)로부터 노드 장치 Ⅷ(70)으로 중계되도록 한다.
노드 장치 Ⅶ(69)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에 의해 수신된 패킷 C는 어드레스 플래그 및 노드 어드레스가 래치(60)에 래치될 때 분리 삽입 유닛 I(12)에 공급된다. 비교기(59)는 어드레스 플래그를 셋트 상태를 나타내는 값과 비교하고, 또한 노드 어드레스를 노드 어드레스 "3"인 기준 입력값(#)과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노드 어드레스는 일치를 보여주지만, 어드레스 플래그는 셋트되지 않아서, 비교기(59)는 디멀티플렉서(61)에 중계 지시 신호를 보내고, 이에 응답하여 디멀티플렉서(61)은 FIFO Ⅱ(64)내에 패킷 C를 저장한다. 따라서, FIFO Ⅱ(64)내에 저장된 패킷 C는 삽입 제어 유닛(65)의 제어에 의해 판독되어,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20)으로부터 (λ1)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Ⅷ(70)에 전송된다. 노드 장치 Ⅷ(70)은 노드 장치 Ⅶ(69)에서와 같은 중계 처리를 수행하여, 패킷 C는 노드 장치 Ⅸ(81)에 송신된다.
노드 장치 Ⅸ(81)에서, 패킷 C는 채널 처리 그룹 I로부터, 수신지 단말 Ⅱ(39)가 접속된 분리 삽입 유닛 Ⅱ(13)을 포함하는 채널 처리 그룹 Ⅱ로 시프트하고, 어드레스 플래그가 셋트된다. 노드 장치 Ⅷ(70)으로부터 Ⅸ(81)로 전송된 패킷 C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3)에 의해 수신되어, 번경 유닛(73)의 입력단 I에 공급된다. 변경 유닛(73)의 입력단 I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그 처리 유닛 Ⅱ(75)에 접속되면, 패킷 C는 상기 플래그 처리 유닛 Ⅱ(75)내의 어드레스 플래그를 셋트하고, 출력단 Ⅱ로부터 분리 삽입 유닛 Ⅱ(13)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경 유닛(73)은 채널 처리 수단의 변경을 수행하여, 패킷 C는 채널 처리 그룹 I로부터 Ⅱ로 시프트된다.
분리 삽입 유닛 Ⅱ(13)에 공급된 패킷 C 중에서, 어드레스 플래그 및 노드 어드레스는 래치(60)에 의해 래치되고, 비교기에서 선정된 값과 각각 비교된다. 어드레스 플래그는 셋트되지만 노드 어드레스는 이 상태와 다르기 때문에, 비교기(59)는 디멀티플렉서(61)에 중계 지시 신호를 보내고, 패킷 C가 FIFO Ⅱ(64)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고정 파장 송신 유닛 Ⅱ(21)로부터 송신되어 (λ2)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Ⅵ(68)에 출력된다. 또한, 노드 장치 Ⅵ(68)은 중계 처리를 수행하고, 패킷 C는 (λ2)의 광 신호로서, 수신지 단말 Ⅱ(39)가 접속된 노드 장치 Ⅶ(69)에 다시 송신된다.
상기 노드 장치 Ⅶ(69)에서, 패킷 C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Ⅱ(4)에 의해 수신되고 분리 삽입 유닛 Ⅱ(13)으로 들어가서, 래치(60)이 패킷 C의 어드레스 플래그 및 노드 어드레스를 래치하고, 이들을 비교기(59)로 보낸다. 어드레스 플래그가 셋트되고, 노드 어드레스가 노드 장치 Ⅶ(69)의 노드 어드레스 "3"인 기준값(#)과 일치하므로, 비교기(59)는 디멀티플렉서(61)에 분리 지시 신호를 보내고, 이에 반응하여 디멀티플렉서(61)은 입력된 패킷 C를 I/F 유닛(62)로 보낸다. 이어서, 패킷 C는 수신지 단말 Ⅱ(31)에 의해 수신된 서브 전송로 Ⅱ(31)을 통해 전송되고, 패킷으로부터 어드레스부를 제거하며, 데이타부만을 취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드 장치 Ⅵ(68)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단말 I(38)로부터 노드 장치 Ⅶ(69)의 서브 전송로 Ⅱ(31)에 접속된 수신지 단말 Ⅱ(39)로 어드레스된 패킷 C는 노드 장치 Ⅵ(68)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로부터 파장(λ1)로 송신되고, 노드 장치 Ⅶ(69)로 전송되며, 또한 노드 장치 Ⅷ(70)에 의해 중계된 후, 파장(λ2)에 대응하고 노드 장치 Ⅶ(69)의 수신지 서브 전송로가 접속된 분리 삽입 유닛 V(16)을 포함하는 채널 처리 그룹의 채널에 노드 장치 Ⅱ(47)내에서 시프트되고, 이어서 노드 장치 Ⅶ(69)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Ⅱ(4)에 의해 수신된 노드 장치 Ⅵ(68)에 의해 중계되고, 분리 삽입 유닛 Ⅱ(13)에 의해 분리되고, 서브 전송로 Ⅱ(31)에 의해 송신되어 단말 Ⅱ(39)에 의해 수신된다.
제3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 패킷 C는 노드 장치 Ⅵ(68)의 서브 전송로 I(30)에 접속된 단말 I(38)로부터 노드 장치 Ⅶ(69)의 서브 전송로 Ⅱ(31)에 접속된 수신지 단말 Ⅱ(39)로 전송되고, 노드 장치 Ⅸ(81)의 변경 유닛(73)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는, I로부터 Ⅱ로의 한번의 채널 처리 그룹의 전환만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필요한 변경 유닛(73)의 통과 횟수는 전송 단말 및 수신지 단말이 각각 속해있는 채널 처리 그룹에 따라 번한다. 예를 들어, 2회의 통과 횟수는 I로 부터 Ⅲ까지의 채널 처리 그룹의 변경에 대해 필요하고, 7회의 통과는 Ⅱ로부터 I까지의 채널 처리 그룹의 변경에 대해 필요하다. 채널 플래그는 최종 변경, 즉 패킷이 어드레스가 패킷의 채널 어드레스와 동일한 채널에 출력될 때 셋트된다.
본 실시예는 전송 거리가 특정 패킷에 대해 길게 되더라도 입력 및 출력단간의 접속을 변경하는 전환 스위치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실시예 4]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사용된 노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노드 장치는 멀티채널 전송로의 채널 수 보다도 적은 채널 처리 수단을 갖고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채널 처리 수단을 갖고 있다. 멀티 채널 전송로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8개의 파장을 이용한다.
제17도를 참조하면, 디바이더(82)는 광 파이버에 의해 전송된 광 신호를 2개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과 필터(86)으로 분배한다.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고정 파장 수신 유닛 Ⅸ(83) 및 X(84)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 파장 수신 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고정 파장 수신 수단 Ⅸ(83) 및 X(84)는 파장 λj 및 λk의 광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각각의 단말은 소정의 파장 λj 및 λk가 할당된다. 할당된 단말의 파장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겠다. 전환 스위치(85)는 패킷을 처리하는 채널 처리 수단을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구성하고, 제2실시예에서의 전환 스위치와 내부 구조가 유사하다. 전환 스위치(85)의 디코더는 제12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고, 패킷을 수신한 고정 파장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채널 처리 그룹이 패킷의 수신지 단말이 접속되는 분리 삽입 수단을 포함하는 채널 처리 그룹과 상이한 경우에 채널 처리 수단을 변경하는 출력 지정 데이타를 발생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플래그 처리 유닛(71)은 입력 패킷의 채널 어드레스가 출력단을 통해 접속된 2개의 분리 삽입 유닛을 포함하는 채널 처리 그룹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에 어드레스 플래그를 세트하도록 설정된다. 필터(86)은 디바이더(82)부터 출력된 8개의 파장의 광 신호들중 λj와 λk의 광 신호를 차단하고, 나머지 광 신호를 멀티플렉서(91)에 전송한다. 분리 삽입 유닛 Ⅸ(87) 및 X(88)은 분리 삽입 수단을 구성하고,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플래그가 세트되고 이것의 노드 어드레스가 이 노드 장치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겅우에만 패킷을 분리하도록 설정된다.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X(89) 및 X(90)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는 고정 파장 송신 수단을 구성한다. 송신 파장 λj와 λk는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X(89) 및 X(90)에 각각 할당된다. 멀티클렉서(91)은 고정 파장 송신 유닛 Ⅸ(89) 및 X(90)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파장 λj와 λk의 광신호, 및 필터(86)에 의해 전송된 파장 이외의 파장의 광 신호를 합성하여 광 파이버(29)에 공급한다. 서브 전송로 Ⅸ(92) 및 X(93)은 분리 삽입 유닛과 단말들 사이의 패킷의 서브 전송로의 역할을 한다. 단말 IX(94) 및 X(95)는 각각 서브 전송로 IX(92) 및 X(93)에 접속된다.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8개의 노드 장치를 이용한 제4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으로, 화살표는 전송 방향을 나타낸다.
제18도에 있어서, 각각의 노드 장치(96-103)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2개의 서브 전송로를 통해 2개의 단말에 접속된다. 노드 장치는 각각 할당된 파장이 서로 중복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표5에 도시된 노드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광 파이버(104-111)은 광 파장 다중 전송로의 물리 매체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17도에 도시된 광 파이버와 관련된다.
파장 λj, λk는 표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드 장치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 Ⅸ(83), X(84) 및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X(89), X(90)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파장을 이용하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분리 삽입 유닛 및 고정 파장 송신 유닛은 채널 처리 그룹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사용된 패킷은 제13도에 도시된 것과 구성이 동일하다.
[표 5]
[표 6]
λj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X(83) 및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X(89)에 의해 사용된 파장이고, λk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X(90) 및 고정 파장 송신 유닛 X(84)에 의해 사용된 파장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기능에 대하여, 노드 장치 X(96)의 서브 전송로 X(93)에 접속된 단말 X(95)로부터 노드 장치 XV(101)의 서브 전송로 Ⅸ(92)에 접속된 수신지 단말 IX(94)로의 패킷 전송을 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다음 설명에서 상기 패킷은 패킷 D라고 하고, 상이한 노드 장치에서의 동일한 구성 요소는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번호로 표시하겠다.
노드 장치 X(96)의 서브 전송로 X(93)에 접속된 송신 단말 X(95)는 노드 장치 XV(101)의 서브 전송로 Ⅸ(92)에 접속된 단말 Ⅸ(94)에 어드레스될 데이타에 채널 어드레스와 노드 어드레스를 부가하고 어드레스 플래그를 리셋함으로써 제13도에 도시된 구성의 패킷 D를 발생하여, 상기 패킷 D를 서브 전송로 X(93)을 통해 노드 장치 X(96)의 분리 삽입 유닛 X(88)에 전송한다. 이 상태에서 채널 어드레스는 수신지 단말 Ⅸ(94)가 노드 장치 XV(101)에 접속되고,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장 λ4를 이용하는 채널 처리 그룹에 속하는 분리 삽입 유닛 IX(87)에 서브 전송로를 통해 접속되기 때문에 "4"로 설정된다. 또한, 노드 어드레스는 패킷 D가 노드 장치 XV(101)에 어드레스되기 때문에 표5에 따라 "2"로 설정된다.
노드 장치 X(96)의 분리 삽입 유닛 X(88)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브 전송로 X(39)로부터의 패킷 D를 전환 스위치(85)로부터 출력된 패킷 플로우(flow)로 삽입하여 고정 파장 송신 유닛 X(90)에 공급한다. 상기 송신 유닛 X(90)이 표 6에 도시된 λ2의 광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당되기 때문에, 패킷 D는 λ2의 광신호로 변환된 다음에, 멀티플렉서(91)에서 고정 파장 송신 유닛 Ⅸ(89)로부터 전송된 λ1의 광 신호, 및 상류 노드 장치의 고정 파장 송신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다음 필터(86)을 향하여 노드 장치 X(96)의 디바이더(82)에 의해 분할되어 상기 필터(86)에 의해 전송된 다른 파장의 광 신호와 합성되어 광 파이버(29)에 입력된다. 상류 노드 장치로부터 전송된 λ1과 λ2의 광 신호가 필터(86)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고정 파장 송신 유닛 IX(89) 및 X(90)으로부터 출력된 λ1과 λ2의 광 신호는 다른 노드 장치로부터의 동일 파장의 광 신호에 의한 간섭 없이 인접한 하류 노드 장치 XI(97)에 전송될 수 있다.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장치 XI(97)은 λ3과 λ4의 광 신호를 처리하도록 할당된다. 따라서, λ2의 광 신호로서 전송된 패킷 D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Ⅸ(83) 또는 X(84)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다. 노드 장치 XI(97)의 필터(86)이 λ3과 λ4의 광 신호는 차단하지만 그 이외의 광 신호는 투과하기 때문에, 패킷 D는 필터(86)에 투과된 다음에, 멀티플렉서(91)을 통해 광 파이버(29)에 입력되고, 노드 장치 XII(98)에 전송된다. 노드 장치 XII(98)과 XIII(99)가 λ2의 광 신호를 투과하도록 할당되지 않기 때문에, 패킷 D는 노드 장치 XI(9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들 노드 장치에 의해 투과되어 노드 장치 XIV(100)에 전송된다.
λ2의 광 신호로서 전송된 패킷 D는 노드 장치 XIV(100)에서 채널 처리 그룹이 변경된다. λ2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96)으로부터 전송된 패킷 D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Ⅸ(83)에 의해 수신되어 전환 스위치(85)에 송신된다. 상기 패킷 D의 채널 어드레스는 상기 스위치(85)의 디코더(129)의 래치(137)에 의해 래치되어 비교기 Z-VIII에 공급된다. 패킷 D의 채널 어드레스가 상술된 바와 같이 "4"로 설정되고 메모리 I-VIII가 각각 "1" 내지 "8"을 저장하기 때문에, 비교기 IV는 일치 신호를 발생하여 테이블 어드레스 발생기로부터 소정의 어드레스를 발생함으로써, 출력 지정 데이타가 출력 지정 테이블로부터 판독된다. 패킷을 디코더에 보낸 고정 파장 수신 유닛 IX(83)은 λ2의 채널에 의해 전송된 패킷 흐름만을 수신하도록 지정되고, 패킷 D의 채널 어드레스 "4"와 다른 채널 처리 그룹 "2"에 속하므로, 출력 지정 테이블로 부터의 출력 지정 데이타는 패킷 D를 분리 삽입 유닛 X(88)에 보내서 채널 처리 유닛을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채널 어드레스 "4"가 분리 삽입 유닛 Ⅸ(87)의 채널 처리 그룹 "2" 또는 분리 삽입 유닛 X(88)의 채널 처리 그룹 "3"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플래그 처리 유닛은 리셋 상태의 어드레스 플래그로 패킷 D를 분리 삽입 유닛 X(88)에 보낸다. 분리 삽입 유닛 X(88)에 공급된 패킷 D중에서, 어드레스 플래그와 노드 어드레스는 래치(60)에 의해 래치된다. 비교기(59)는 어드레스 플래그를 세트 상태를 나타내는 값과 비교하고, 노드 어드레스를 기준 입력치 "2"와 비교한다. 그 결과, 노드 어드레스는 일치를 나타내지만 어드레스 플래그는 세트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기(59)는 디멀티플렉서(61)에 중계 지시 신호를 내고, 디멀티플렉서(61)은 이 중계 신호에 응답하여 패킷 D를 FIFO II(64)에 저장한다. FIFO II(64)에 저장된 패킷 D는 삽입 제어 유닛(65)의 제어 하에 판독되어, 고정 파장 송신 유닛 X(90)으로부터 λ3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XV(101)에 전송된다.
노드 장치 XV(101), XVI(102), XVII(103) 및 X(96)이 λ3의 광 신호의 채널을 처리하도록 지정되지 않으므로, 패킷 D는 노드 장치 XI(97)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노드 장치에 의해 투과되어 노드 장치 XI(97)에 도달한다.
λ3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XI(97)에 전송된 패킷 D는 다시 채널 처리 그룹이 변경된다. λ3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XIV(100)으로부터 전송된 패킷 D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Ⅸ(83)에 의해 수신되어 전환 스위치(85)에 공급된다. 상기 전환 스위치(95)의 디코더(129)는 상기 노드 장치 XIV(100)에서와 마찬가지로 채널 어드레스 "4"가 패킷을 상기 디코더에 보낸 고정 파장 수신 유닛 Ⅸ(83)의 채널 처리 그룹 "3"과 다르다는 것을 식별하기 때문에, 채널 처리 그룹을 변경함으로써 패킷을 분리 삽입 유닛 X(88)에 보내는 출력 지정 데이타가 출력 지정 테이블로부터 판독된다. 한편, 채널 어드레스 "4"가 분리 삽입 유닛 X(88)의 채널 처리 그룹 "4"와 일치하기 때문에, 플래그 처리 유닛은 어드레스 플래그를 세트하여 패킷을 분리 삽입 유닛 X(88)에 보낸다. 분리 삽입 유닛(88)에 저장된 패킷 D중에서 어드레스 플래그와 노드 어드레스는 래치(60)에 래치된다. 비교기(59)는 어드레스 플래그를 세트 상태를 나타내는 값과 비교하고, 노드 어드레스를 기준 입력치 "2"와 비교한다. 그 결과, 어드레스 플래그는 세트되어 있지만, 노드 어드레스는 일치를 보이지 않으므로, 비교기(59)는 중계 지시 신호를 디멀티플렉서(61)에 보냄으로써, 패킷 D는 고정 파장 송신 유닛 X(90)으로부터 λ4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XII(98)에 전송된다.
노드 장치 XII(98), XIII(99) 및 XIV(100)이 λ4의 광 신호의 채널을 처리하도록 지정되지 않기 때문에, 패킷 D는 이들 노드 장치에 의해 투과되어 노드 장치XV(101)에 전송된다.
λ4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XV(101)에 전송된 패킷 D는 노드 장치XV(101)의 서브 전송로 Ⅸ(94)에 접속된 수신지 단말 Ⅸ(94)에 분리된다. λ4의 광 신호로서 노드 장치 XI(97)로부터 전송되는 패킷 D는 고정 파장 수신 유닛 Ⅸ(83)에 의해 수신되어 전환 스위치(85)에 공급된다. 채널 어드레스 "4"가 패킷을 전환 스위치(85)의 디코더(129)에 보낸 채널 처리 그룹 "4"와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 디코더(129)는 채널 처리 그룹을 변경하지 않고, 패킷 D를 분리 삽입 유닛 Ⅸ(97)에 전달하는 출력 지정 데이타가 출력 지정 테이블로부터 판독된다. 한편, 채널 어드레스 "4"가 분리 삽입 유닛 Ⅸ(87)의 채널 처리 그룹 "4"와 일치하기 때문에, 플래그 처리 유닛은 어드레스 플래그를 세트 상태로 유지하여, 패킷 D를 분리 삽입 유닛 Ⅸ(87)에 보낸다. 분리 삽입 유닛 IX(87)에 저장된 패킷 D중에서, 어드레스 플래그와 노드 어드레스는 래치(60)에서 래치된다. 비교기(59)는 어드레스 플래그를 세트 상태를 나타내는 값과 비교하고, 노드 어드레스를 노드 장치 XV(101)의 어드레스 "2"인 기준 입력치 #와 비교한다. 그 결과, 어드레스 플래그가 세트 상태이고 노드 어드레스가 일치를 보이기 때문에, 비교기(59)는 분리 지시 신호를 디멀티플렉서(61)에 보내고, 디멀티플렉서(61)은 이에 응답하여 입력 패킷 D를 IF 유닛(62)에 전달한다. 그 다음, 상기 패킷 D는 서브 전송로 IX(92)를 통해 전송된 다음에 수신지 단말 IV(94)에 의해 수신되어 패킷으로부터 어드레스부가 제거되고, 데이타부만이 취출되어 원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노드 장치 X(96)의 서브 전송로 X(93)에 접속된 송신 단말 X(95)로부터, 노드 장치 XV(101)의 서브 전송로 IX(92)에 접속된 수신지 단말 Ⅸ(94)로 λ2 파장의 광신호 상태로 어드레스된 패킷 D는 노드 장치 XIV(100)에서 λ3의 광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로 채널 처리 그룹이 변경된 다음에, 노드 장치 IX(97)에서 λ4의 광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로 채널 처리 그룹이 변경된 후, 노드 장치 XV(101)에서 분리되어 단말 IX(94)에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가 처리하도록 지정되지 않은 채널의 광 신호를 단순히 투과시켰지만, 이러한 광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여 광 신호로 증폭 재생될 수도 있고, 또는 광 신호 상태로 증폭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노드 장치는 제17도에 도시된 구성을 갖지만,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환 스위치(85)가 제17도에 도시된 구성에서 제거된 다수의 노드 장치와, 제2실시예에서 사용된 노드 장치 V(67)을 멀티채널 전송로로 접속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노드 장치에 접속된 단말의 수가 상기 실시예에 비해 더 작기 때문에, 각각의 단말과 노드 장치 사이의 거리는 주어진 단말수에 대해 상기 실시예에 비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노드 장치가 2개의 채널에만 대응하고 패킷 전송 채널이 패킷의 채널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입력-출력 접속의 변경이 더 빨라질 수 있다. 노드 장치가 3개 이상의 채널에 대응하면, 패킷의 출력단은 제 1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채널 어드레스를 디코딩함으로써 결정된다. 또한, 패킷 전송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 장치가 대응하는 채널 수가 다른 경우에도 문제 없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5]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사용된 노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처리 수단은 다수(2개)의 분리 삽입 수단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채널 처리 수단의 다수의 분리 삽입 수단은 물리적으로 한 노드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지만, 논리적으로 상이한 노드 어드레스를 할당함으로써 2개의 노드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더 많은 수의 단말을 각각의 노드 장치에 접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노드 장치는 제6도에 도시된 노드 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수의 노드 장치를 광 필터와 접속시켜 구성된 네트워크에 대해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제20도에 있어서, 분리 삽입 유닛(162∼167) 및 전환 스위치(168)은 콘센트레이터(161)에 내장되고, 상기 콘센트레이터 내의 상기 분리 삽입 유닛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노드 장치의 것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며, 상기 분리 삽입 유닛은 서로 다른 케이블을 통해 단말에 각각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전송은 전기 신호로 행해지고, 콘센트레이터 내의 다수의 도전로가 멀티채널 전송로로서 사용되지만, 제2실시예의 네트워크에서와 유사한 절차로 콘센트레이터 내부에서 전송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전송이 전기 신호로 행해지고 도전로가 파장에 의해 멀티플렉스되지 않기 때문에, 각 채널을 분리 방식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각 채널 마다의 송신 수단이 필요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분리 삽입 수단의 수가 채널들 사이에서 다르게 이루어진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은 노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가질 필요는 없고 분리 삽입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만 가지면 되므로, 분리 삽입 수단의 수는 상이한 채널들 사이에서 다르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전송로에서 광 전송을 이용하거나, 또는 분리 삽입 유닛과 단말들 사이의 전송로에서만 광 전송을 이용함으로써 콘센트레이터와 각 단말 사이의 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실시예 7]
제21도는 제7실시예를 구성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분리 삽입 유닛(172, 173, 174)는 콘센트레이터(171) 내의 3개의 채널에 각각 대응하고, 변경 유닛(175)는 제15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전송 채널이 패킷의 채널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채널로 변경될 때에 변경 유닛에서 플래그를 세트함으로써 제3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단말들 사이에서 전송이 달성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전환 스위치 또는 변경 유닛 등의 입력-출력 접속을 변경하는 수단은 고정 파장 송신 유닛과 분리 삽입 유닛 사이에 제공되었지만, 그러한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또한 상기 수단은 분리 삽입 유닛과 고정 파장 송신 유닛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노드 장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광신호가 사용되면,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위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 유닛, 및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 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채널 처리 수단 내의 고정 파장 수신 유닛과 고정 파장 송신 유닛이 동일한 파장을 사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서로 다른 파장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각 채널 처리 그룹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파장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논리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파장 멀티플렉싱을 이용하는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했지만, 다수의 광 파이버를 이용하는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스된 다중 채널 전송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광 전송 대신에, 예를 들어 주파수 멀티플렉싱, 공간 멀티플렉싱, 시분할 멀티플렉싱 또는 코드 멀티플렉싱을 이용한 전기적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멀티플렉스된 채널을 수신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는 멀티플렉싱 방법의 경우에, 파장 멀티플렉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노드 장치에서 다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디바이더 유닛을 갖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은 디바이더 유닛이 각 채널상의 임의의 위치에 제공된 그러한 구성에 비해 더 간단한다. 또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치와 보수 관리도 용이하다.
제2, 제5 또는 제6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내에 하나의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만을 사용했지만, 다수의 상기 변경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채널 변경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송 거리를 단축시키며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출력 변경 수단은 패킷에 노드 어드레스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할 필요가 없지만, 이러한 정보는 각 채널을 효율 좋게 사용하기 위해 또는 전송 지연을 줄이기 위해 패킷의 채널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채널로의 변경시에 그러한 변경을 보증하도록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력-출력 변경 수단에 의해 부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을 분리하는 분리 유닛과 패킷을 삽입하는 삽입 유닛이 분리 삽입 유닛으로서 통합되었지만, 별개의 유닛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분리 유닛은 삽입 유닛의 상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에, 소정의 채널로 변경된 패킷이 상기 패킷을 분리하는데 사용된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노드 장치의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의해 통과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분리 유닛과 삽입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 삽입 유닛과 단말 사이에 하나의 전송로만이 제공되었지만, 분리 유닛과 단말 사이, 및 삽입 유닛과 상기 단말 사이에 각각 전송로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송로는 멀티플렉스될 수도 있다. 그러한 구성은 분리와 삽입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의 노드 장치의 조합은 상기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최소한 하나의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이 네트워크에 제공되고 분리 수단과 조합하여 2차원 어드레싱이 행해지는 한 여러가지 조합이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노드 장치 및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패킷의 채널 처리 수단을 식별하는 정보에 따라 패킷을 처리하는데 사용된 채널 처리 수단을 변경하는데만 필요로 되므로, 하드웨어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싼 종래예의 교환 유닛에 비해 구성이 간략해질 수 있다. 따라서, 노드 장치의 하드웨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저렴한 노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경 수단의 입력과 출력 수가 접속된 단말 수에 의존하지 않고 멀티 채널 전송로의 채널 수에만 의존하므로, 접속된 단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하드웨어의 크기가 커지는 심각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시스템 내부에 최소한 하나의 변경 수단만이 필요로되고, 다른 노드 장치는 그러한 변경 수단 없이 간략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을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시키는데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변경 수단의 디코더는 채널 처리 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만을 디코드하면 되고, 종래예의 디코더와 같이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와 비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된 단말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하드웨어의 크기는 커지지 않으므로, 노드 장치는 비싸지지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고속 어드레스 디코딩과 고속 동작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패킷의 노드 장치 식별 정보와 유효 정보에 따라 원하는 패킷을 분리하여 단말에 보냄으로써, 원하는 채널 처리 그룹으로의 변경 이전에 패킷이 분리 삽입 수단에 의해 잘못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4)

  1. n개의 복수개 채널(n > 1)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원하는 패킷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패킷이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분리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상기 n개의 채널중 임의의 채널로 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하여 수신지 장치가 자신에게 접속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로 패킷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임의의 출력단으로 전달시킬 수 있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 패킷의 상기 채널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단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고, 상기 유효 정보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들을 각각 대응하지 않는 출력단들과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고, 상기 유효 정보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각 채널 상에 패킷을 삽입하는 삽입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이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의 각각에 제공된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중 일부의 각각에 제공된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과 상기 삽입 수단이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의 각각에 제공된 분리 수단과 삽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의 채널들 중 일부의 각각에 제공된 분리 수단과 삽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는 상기 노드 장치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이 상기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이 상기 노드 장치들의 각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이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한 유닛에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에서 멀티플렉스되고,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각각의 채널을 별개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채널을 별개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에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 사이, 또는 상기 분리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분리 수단과 삽입 수단 사이에 제공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상기 분리 수단 및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이 콘센트레이터(concentrator) 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각각 상이한 파장의 광이고, 상기 멀티 채널 전송로는 파장이 멀티플렉스된 전송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각각 상이한 전송로이고,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는 상기 상이한 복수의 전송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가 광 파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9. n개의 복수개 채널(n > 1)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노드 장치를 접속시켜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어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중 적어도 2개의 채널에 대해 제공되는 분리 수단; 및 상기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들에 각각 접속된 입력단, 및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들에 각각 접속된 출력단을 구비하며, 입력단에 접속된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노드 장치에 제공된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접속된 채널들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모두가 상기 노드 장치들 중 임의의 노드 장치의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접속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제공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임의의 출력단으로 출력시킬 수 있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제공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 패킷의 상기 채널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단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고, 상기 유효 정보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5. 제2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이 접속된 채널상에 패킷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는 상기 노드 장치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에서 멀티플렉스되고,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각각의 채널을 별개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채널을 별개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분리 수단에 대응하지 않는 채널의 패킷을 통과시키는 통과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에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 사이, 또는 상기 분리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과 상기 삽입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각각 상이한 파장의 광이고,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는 파장이 멀티플렉스된 전송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각각 상이한 전송로이고,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는 상기 상이한 복수의 전송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가 광 파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5. n개의 복수개 채널(n > 1)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원하는 패킷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패킷이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분리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상기 n개의 채널중 임의의 채널로 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압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하여 수신지 장치가 자신에게 접속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로 패킷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 복수개 채널들 각각에 대해 상기 n개의 분리 수단들 중 각각 하나의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노드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의 한 채널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된 채널 상에 패킷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의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는 상기 노드 장치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에서 멀티플렉스되고, 상기 노드 장치는 각각의 채널을 별개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채널을 별개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각각 상이한 파장의 광이고, 상기 수신 수단은 각각의 대응하는 채널의 파장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송신 수단은 각각의 대응하는 채널의 파장을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53. n개의 복수개 채널(n > 1)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원하는 패킷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패킷이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분리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상기 n개의 채널중 임의의 채널로 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하여 수신지 장치가 자신에게 접속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로 패킷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각각에 대해 상기 n개의 분리수단들 중 각각 하나의 분리 수단, 및 상기 입력/출력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노드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임의의 출력단으로 출력시킬 수 있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56. 제55항에 았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 패킷의 상기 채널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단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58.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59.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들 중에서 분리 수단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갖고 있는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0.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들을 각각 대응하지 않는 출력단들에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들 중에서 분리 수단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갖고 있는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의 한 채널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된 채널 상에 패킷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의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는 상기 노드 장치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에서 멀티플렉스되고, 상기 노드 장치는 각각의 채널을 별개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채널을 별개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 사이, 또는 상기 분리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69.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과 상기 삽입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70.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각각 상이한 파장의 광이고, 상기 수신 수단은 각각의 대응하는 채널의 파장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송신 수단은 각각의 대응하는 채널의 파장을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71. n개의 복수개 채널(n > 1)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노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원하는 패킷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패킷이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분리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상기 n개의 채널중 임의의 채널로 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하여 수신지 장치가 자신에게 접속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로 패킷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 복수개 채널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각각 하나의 상기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노드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74. 제71항에 있어서, 삽입 수단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의 한 채널에 접속되어 상기 삽입 수단에 대옹하는 상기 접속된 채널 상에 패킷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75.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는 상기 노드 장치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76.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에서 멀티플렉스되고,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들의 각각을 별개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들의 각각을 별개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77.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분리 수단에 대응하지 않는 채널의 패킷을 통과시키는 통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78.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79.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각각 상이한 파장의 광이고, 상기 수신 수단은 각각의 대응하는 채널의 파장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송신 수단은 각각의 대응하는 채널의 파장을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0.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 모두가 소정의 노드 장치에 의해 억세스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 중 최소한 2개의 채널을 억세스할 수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를, n개의 복수개 채널로 이루어진 멀티채널 전송로와 접속함으로써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어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중 적어·도 2개의 채널에 대해 제공되는 분리 수단; 및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이 접속된 채널에 각각 접속된 입력단 및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이 접속된 채널에 각각 접속된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고, 입력단에 접속된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 다른 채널에 출력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샤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2.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임의의 출력단으로 출력시킬 수 있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 패킷의 상기 채널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단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4.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5.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6.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들 중에서 분리 수단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갖고 있는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7. 제80항에 있어서, 삽입 수단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의 한 채널에 접속되어 상기 삽입 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된 채널 상에 패킷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8. 제8O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는 상기 노드 장치의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89.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에서 멀티플렉스되고,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들의 각각을 별개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들의 각각을 별개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90.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지 않는 채널의 패킷을 통과시키는 통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91.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 사이, 또는 상기 분리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93.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과 상기 삽입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장치.
  94.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은 각각 상이한 파장의 광이고, 상기 수신 수단은 각각의 대응하는 채널의 파장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송신 수단은 각각의 대응하는 채널의 파장을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5. n개의 복수개 채널(n > 1)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콘센트 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원하는 패킷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패킷이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분리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상기 n개의 채널중 임의의 채널로 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하여 수신지 장치가 자신에게 접속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로 패킷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레이터는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각각에 대해 각각 하나의 상기 분리 수단, 및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콘센트레이터.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레이터.
  97.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임의의 출력단으로 출력시킬 수 있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레이터.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 패킷의 상기 채널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단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레이터.
  99.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레이터.
  100.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레이터.
  101.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들 중에서 분리 수단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갖고 있는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레이터.
  102.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들을 각각 대응하지 않는 출력단들에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레이터.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레이터.
  104.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레이터.
  105.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상기 수신지 어드레스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어드레스,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어드레스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로 상기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패킷의 수신지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유효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패킷들 중에서 분리 수단 어드레스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갖고 있는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레이터.
  106. 제95항에 있어서, 삽입 수단은,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내의 한 채널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된 채널 상에 패킷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레이터.
  107. n개의 복수개 채널(n > 1)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원하는 패킷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패킷이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분리 수단;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각각의 채널 상에 패킷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의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상기 n개의 채널중 임의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하여 수신지 장치가 자신에게 접속된 상기 분리 수단에 대응하는 채널로 패킷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전송원에 의한 수신지 정보를 갖는 패킷을 상기 삽입 수단을 통해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한 채널 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중 상기 수신지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 수단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지 정보에 정합하는 상기 분리 수단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를 갖는 패킷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8.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지 정보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정보,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채널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출력 채널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채널 정보에 일치하는 채널에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출력시에 상기 분리 수단 정보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분리 수단 정보가 유효한 상기 정보를 갖는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0.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어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상기 입력단에 대응하지 않는 출력단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1.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지 정보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정보,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상기 채널 정보에 정합하는 채널로 출력할 때, 상기 분리 수단 정보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분리 수단 정보가 유효한 상기 정보를 갖는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2. n개의 복수개 채널로 이루어진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노드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어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중 적어도 2개의 채널에 대해 제공되는 분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에 각각 접속된 입력단, 및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분리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에 각각 접속된 출력단을 구비하며 입력단에 접속된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 상이한 채널에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접속된 채널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 모두가 상기 노드 장치들 중 소정의 노드 장치 내의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접속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통신 방법은, 송신원에 의해 수신지 정보를 갖는 패킷을 상기 송신원에 접속된 상기 노드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패킷을 상기 삽입 수단을 통해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한 채널내에 삽입하는 단계; 소정의 하나 또는 복수의 노드 장치 내의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서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 중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 수단 내의 상기 수신지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수신지 정보에 일치하는 상기 분리 수단 내의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지 정보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이 구비된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정보, 및 상기 패킷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서브-전송로에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분리 수단을 가리키는 분리 수단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채널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출력 채널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4.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은 상기 채널 정보에 일치하는 채널에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출력시에 상기 분리 수단 정보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에 부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분리 수단 정보가 유효한 상기 정보를 갖는 패킷을 분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5.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수단에 접속된 서브-전송로로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6.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노드 장치를 접속시킴으로써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어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2개의 채널에 대해 제공되는 수단; 및 상기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된 상기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들에 각각 접속된 입력단, 및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들에 각각 접속된 출력단을 구비하며, 입력단에 접속된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노드 장치에 제공된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접속된 채널들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모두가 상기 노드 장치들 중 임의의 노드 장치의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접속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7.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수단에 접속된 서브-전송로로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의 각각에 대해 상기 수단을 포함하는 노드 장치.
  118.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수단에 접속된 서브-전송로로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 각각에 대한 상기 수단; 및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노드 장치.
  119.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수단에 접속된 서브-전송로로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 중 일부에 대응하는 상기 수단을 포함하는 노드 장치.
  120.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와 더불어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2개에 액세스할 수 있는 복수개의 노드 장치를,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 모두가 상기 임의의 노드 장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도록 접속시킴으로써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어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2개의 채널에 대해 제공되는 수단; 및 상기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된 상기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들에 각각 접속된 입력단, 및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들에 각각 접속된 출력단을 구비하며, 입력단에 접속된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노드 장치.
  121.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콘센트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상기 수단에 접속된 서브-전송로로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레이터는,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각각에 대한 상기 수단; 및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콘센트레이터.
  122.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개의 수단 -상기 각각의 수단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중의 채널에 제공되며,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음-; 및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각각의 채널 상에 패킷을 삽입할수 있는 삽입 수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입력단, 및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전송원에 의해 수신지 정보를 갖는 패킷을 상기 삽입 수단을 통해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의 채널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중 상기 수신지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수단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지 정보에 정합하는 상기 수단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23.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노드 장치를 접속시킴으로써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의 채널 내에 제공되어 상기 채널로부터 분리된 패킷을 자신에게 접속된 서브-전송로에 출력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중 적어도 2개의 채널에 대해 제공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노드 장치 내에 제공된 상기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들에 각각 접속된 입력단, 및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채널들에 각각 접속된 출력단을 구비하며, 입력단에 접속된 각각의 채널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상기 입력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전달할 수 있는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 장치에 제공된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접속된 채널들은,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모두가 상기 노드 장치들 중 임의의 노드 장치의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 접속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법은, 전송원에 의해 수신지 정보를 갖는 패킷을 상기 전송원에 접속된 상기 노드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패킷을 삽입 수단을 통하여 상기 멀티-채널 전송로중 한 채널 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입력/출력 접속 변경 수단에서, 임의의 한 또는 복수의 노드 장치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중 상기 수신지 정보에 대응하는 한 채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수단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지 정보에 정합하는 상기 수단에서 상기 수신지 정보를 갖는 상기 패킷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24. n개의 복수개 채널로 구성된 멀티-채널 전송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노드 장치를 접속시킴으로써 목적지 주소를 갖는 패킷을 통신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지 정보를 갖는 패킷을 상기 n개의 복수개 채널들 중 한 채널 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수신지 정보는 서브-전송로로 출력될 상기 패킷이 사용할 채널을 가리키는 채널 정보, 및 상기 패킷이 상기 채널에 접속된 상기 서브-전송로로 출력되는 위치를 가리키는 위치 정보로 구성됨-; 상기 채널 내에 삽입된 상기 패킷를, 상기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브-전송로로 출력될 상기 패킷이 사용할 상기 채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패킷을 상기 위치에서 상기 서브-전송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KR1019950051100A 1994-12-16 1995-12-16 다수의 채널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이네트워크시스템에서사용하기위한노드장치와콘센트레이터,및상기네트워크시스템의통신방법 KR100276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13284 1994-12-16
JP31328494A JP3376135B2 (ja) 1994-12-16 1994-12-16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伝送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18A KR960027618A (ko) 1996-07-22
KR100276597B1 true KR100276597B1 (ko) 2000-12-15

Family

ID=1803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100A KR100276597B1 (ko) 1994-12-16 1995-12-16 다수의 채널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이네트워크시스템에서사용하기위한노드장치와콘센트레이터,및상기네트워크시스템의통신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78415A (ko)
EP (1) EP0717522B1 (ko)
JP (1) JP3376135B2 (ko)
KR (1) KR100276597B1 (ko)
CN (1) CN1097905C (ko)
AU (1) AU708416B2 (ko)
CA (1) CA2165403C (ko)
DE (1) DE69534939T2 (ko)
HK (1) HK1011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4918A (ja) 1997-04-01 1999-03-16 Canon Inc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に接続可能な通信装置と、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に接続可能な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6392991B1 (en) * 1997-07-08 2002-05-21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network, node apparatus used in the network, and their control method
JPH1188393A (ja) 1997-07-18 1999-03-30 Canon Inc ノー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ネットワーク及びそこで用いる伝送制御方法
TW362323B (en) * 1998-03-20 1999-06-21 Winbond Electronic Corp Address memory structure of ethernet switch and the address handling of network nodes
US6691172B1 (en) * 1998-12-15 2004-02-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defining a variable group of processors for receiving a transmitted communication
US6466343B1 (en) * 1999-04-28 2002-10-15 3Com Corporation System for assigning wavelengths in a wave division multiplexing based optical switch
US6348985B1 (en) 2000-12-08 2002-02-19 Seneca Networks Bidirectional WDM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with data bridging plural optical channels between bidirectional optical waveguides
US6411412B1 (en) 2000-12-08 2002-06-25 Seneca Networks WDM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with data bridging plural optical channels between optical waveguides
JP2003110651A (ja) * 2001-10-01 2003-04-11 Canon Inc 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装置、通信プロトコル及びプログラム
JP4405939B2 (ja) * 2005-05-18 2010-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4612863B2 (ja) * 2005-05-18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4388556B2 (ja) * 2007-01-09 2009-12-24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パッシブ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波長割当方法
CA2922380C (en) 2007-09-26 2017-04-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CN107666362B (zh) * 2016-07-28 2020-10-27 全球能源互联网研究院 一种电力通信多业务隔离接入系统及接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616A (en) * 1987-03-31 1989-05-16 Huber David R Multiplexed fiber optics wideband data distribution system
JPH0695677B2 (ja) * 1988-11-16 1994-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複数チヤネルを有するネツトワークの伝送方式
US5303078A (en) * 1990-12-18 1994-04-12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arge scale ATM switching
JP2782958B2 (ja) * 1990-12-28 1998-08-06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媒体アクセス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72394A (ja) 1996-07-02
CN1097905C (zh) 2003-01-01
US6078415A (en) 2000-06-20
AU708416B2 (en) 1999-08-05
AU4048495A (en) 1996-06-27
CA2165403C (en) 2002-04-02
CN1130829A (zh) 1996-09-11
HK1011802A1 (en) 1999-07-16
JP3376135B2 (ja) 2003-02-10
DE69534939D1 (de) 2006-05-24
DE69534939T2 (de) 2006-11-09
EP0717522A2 (en) 1996-06-19
KR960027618A (ko) 1996-07-22
CA2165403A1 (en) 1996-06-17
EP0717522A3 (en) 1998-09-09
EP0717522B1 (en)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507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及び伝送制御方法
KR100276597B1 (ko) 다수의 채널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이네트워크시스템에서사용하기위한노드장치와콘센트레이터,및상기네트워크시스템의통신방법
US5663818A (en) Optical concentrator and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ame
US5930014A (en) Network system having node devices connected therebetween, node device used in the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tilized in the network system
KR0181718B1 (ko) 중재 제어가 필요없는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노드 디바이스, 및 노드 디바이스용 송신 제어 방법
EP1162862A2 (en) Optical IP switching router architecture
US5828669A (en) Network system connecting node devices with plural channels, node device used therein,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therefor
EP0755138B1 (en) Network node device
JPH05502356A (ja) 多重化方式用スイッチ
EP0758173B1 (en) Node devic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acket communication
EP0792047A2 (en) Node interconnection using multiple channels
EP0821509B1 (e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342039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用ノード装置及び通信方法
US6714550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f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system
JP3467036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及び伝送制御方法
JPH0348549A (ja) 交換機
JPH07107113A (ja) コンセント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光通信ネットワ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524

Effective date: 200006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