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220B1 - 안전 벨트를 위한 벨트 죔쇠 - Google Patents

안전 벨트를 위한 벨트 죔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220B1
KR100275220B1 KR1019980703819A KR19980703819A KR100275220B1 KR 100275220 B1 KR100275220 B1 KR 100275220B1 KR 1019980703819 A KR1019980703819 A KR 1019980703819A KR 19980703819 A KR19980703819 A KR 19980703819A KR 100275220 B1 KR100275220 B1 KR 100275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otary clamp
screw
bel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545A (ko
Inventor
헤르베르트 헨니히
인고 슈미델
Original Assignee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1999007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특히 승용차에서 안전 벨트를 위한 회전 죔쇠(4)에 관한 것이다. 정상 사용할 때에, 회전 죔쇠(4)는 주어진 각 범위(2a)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성은 설정된 파괴점(6b)을 가지는 연결부에 의해 한정된다. 회전 죔쇠(4)가 특정 하중을 받는다면 연결부는 파괴되고 회전 죔쇠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벨트를 위한 벨트 죔쇠 {BELT FITTING FOR A SAFETY BELT}
오늘날 자동차에 사용되는 안전 벨트는 일반적으로 탑승자의 상체를 가로지르느는 어깨 벨트 부분과 골반 벨트 부분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벨트 밴드로 구성된다. 이때 어깨 벨트 부분의 윗쪽 끝이 보통 자동차 차체에 고정된 회전 죔쇠를 관통하면서 이어지고, 회전 죔쇠를 관통하는 부분에서부터 아랫쪽의 자동 안전벨트 와인더(automatic seat belt winder)로 이어진다.
다양한 체격의 탑승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죔쇠는 자동차 차체에 대해 선회가능하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회전 죔쇠가 무제한 선회 내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 한가지 단점이 발생한다. 즉, 벨트 밴드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벨트 밴드가 관통 구멍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밀리고, 그 결과 찢어지기 쉽다.
따라서 지금까지 히전 죔쇠의 선회를 제한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벨트 밴드에 힘이 가해지는 특수한 경우 선회가 무제한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주청구항의 특징 기술 부분에 기술된 것처럼,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안전 벨트를 위한 회전 죔쇠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점 안전 벨트 장치(three-point seat belt system)의 회전 죔쇠(4)가 설치된 부위의 분해도
* 부호 설명
1 ... 파이프 2 ... 고정 구멍
3 ... 고정 나사 4 ... 회전 죔쇠
6 ... 위치 결정 부분
본 발명의 과제는, 한편으로는 벨트 밴드가 회전 죔쇠의 안내 슬롯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벨트 밴드에 힘이 가해지는 특수한 경우 회전 죔쇠의 선회가 무제한 허용되는, 상기 유형에 따른 회전 죔쇠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주청구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형태들에 관해서는 하위 청구항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정 파괴 연결 (predetermined breaking connection)에 의해 회전 죔쇠에 어느 정도의 선회가 보장된다. 그 결과 벨트 밴드가 그때그때 탑승자의 체격에 맞추어진다. 벨트 밴드에 상기 힘이 가해지면 연결 부위가 파괴되고, 회전 죔세가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설정 파괴 연결은 회전 죔쇠에 설치되는 시어 핀으로 가장 간단하게 구현할수 있다. 시어 핀의 일부가 차체면에 있는 고정 부분의 위치 결정 구멍(location hole)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선호되는 한 실시예의 경우 이 위치 결정 구멍이 원호형을 한 슬롯의 형태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한 유리한 형태에서는 기존의 회전 죔쇠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죔쇠 위에 접시 모양의 위치 결정 부분(location piece)이 얹혀진 다음 나사로 서로 고정된다. 위치 결정 부분에 시어 핀이 통합된다. 또한 위치결정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디.
본 발명의 기타 장점들에 관해서는 아래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부분과 설명 부분에서 참조된 도면을 참조한다.
도면은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점 안전 벨트 장치(three-point seat belt system)의 회전 죔쇠(4)가 설치된 부위를 해체한 것이다. 여기서 회전 죔쇠(4)는 도면에는 그려지지 않은 탑승자의 어깨 높이로 자동차 차체에 설치된다. 도면에서 자동차 차체에 설치되는 파이프(1)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가령 자동차 좌석의 등받이를 자동차 차체에 속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파이프(1)에 고정 구멍(2)이 있어서, 고정 나사(3)를 이용해 5a와 5b로 표시된 안절 벨트의 회전 죔쇠(4)를 여기에 고정할 수 있다. 회전 죔쇠(4)는 고정 부분(4a)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 고정 나사(3)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4b)이 고정 부분(4a)에 연결된다. 이때 벨트 밴드 부분(5a)은 도면에는 그려지지 않았지만 탑승자의 상체를 가로지는 어깨 벨트 부분을 형성하고, 벨트 부분(5b)은 아랫쪽으로 자동차 바닥 가까이에 설치된 자동 안전 벨트 와인더로 이어진다.
나사로 고정하기 전에 회전 죔쇠(4)의 고정 부분(4a) 위에 위치 결정 부분(6)이 얹혀지는데, 이 부분에 회전 죔쇠(4)의 관통 구멍(4d)과 일렬로 배치된 나사구멍(6a)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부분(6)에는 고정 구멍(2) 쪽을 향한 면에 시어핀(6b)이 있다.
이같이 제작된 부품들이 고정 구멍(2)에 나사로 고정되는데, 단, 고정 이후에도 회전 죔쇠(4)의 위치 결정 부분(6)이 나사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나사로 고정할 때 시어 핀(6b)이 원호형의 슬롯으로서 형성된 위치결정구멍(2a)에 맞물린다. 위치결정구멍(2a)은 고정 나사에 대해 어느정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이때 원의 중심은 나사축과 일치한다. 시어 핀(6b)과 위치결정구멍(2a)의 치수는, 시어 핀(6b)이 취치결정구멍(2a)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결정된다. 반면 시어 핀(6b)의 회전 이동은 원호형을 한 위치결정구멍의 길이에의해 제한된다.
이같은 방법으로 탑승자가 앞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벨트 밴드(5a)에 힘이 가해지는 정상적인 경우 벨트 밴드가 안내 슬롯(4c)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회전 죔쇠(4)에 예를 들어 화살표(7)로 표시된 것과 같이 힘이 가해지면 시어 핀(6b)이 파괴되고, 회전 죔쇠(4)가 자유롭게 아래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벨트 밴드가 안내 슬롯을 관통하고, 대략 탑승자의 어깨 높이에서 자동차 차체에 고정된 부분에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된,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안전 벨트를 위한 회전 죔쇠에 있어서,
    설정 파괴 연결(시어핀 (6b))에 의해 회전 죔쇠(4)가 제한된 선회 이동을 가능케하는, 사전에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죔쇠.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 죔쇠(4)가 고정 나사(3)로 자동차 차체(고정 부분(2))에 고정되고, 나사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 죔쇠(4)가 고정 나사(3)에 대해 어느정도 간격을 두고 설치된, 설정파괴 연결을 형성하는 시어 핀(6b)을 포함하되, 시어 핀(6b)이 차체면에 있는 고정부분(2)의 위치 결정 구멍(2a)에 맞물리고, 이 구멍이 회전 죔쇠(4)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죔쇠.
  3.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 죔쇠(4)에서 최소한 고정 부분(4a)이 접시 모양으로 분리된 위치 결정 부분(6)에 끼워지고, 위치 결정 부분(6)이 회전 죔쇠(4)의 고정나사(3)에 의해 제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되며, 위치 결정 부분(6)에 시어 핀(6)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죔쇠.
  4. 제 3 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 부분(6)에 통합된 시어 핀(6b)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죔쇠.
  5. 제 2 항과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시어 핀(6b)이 회전 죔쇠(4)가 선회하는 선회축의 역할을 하는, 고정 나사(3)의 나사축에 대해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배치된 원호형의 위치 결정 구멍(2a)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죔쇠.
KR1019980703819A 1995-11-25 1996-08-27 안전 벨트를 위한 벨트 죔쇠 KR100275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3996A DE19543996A1 (de) 1995-11-25 1995-11-25 Gurtbeschlag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19543996.1 1995-11-25
PCT/EP1996/003765 WO1997019836A1 (de) 1995-11-25 1996-08-27 Gurtbeschlag für einen sicherheitsgu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545A KR19990071545A (ko) 1999-09-27
KR100275220B1 true KR100275220B1 (ko) 2001-04-02

Family

ID=777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819A KR100275220B1 (ko) 1995-11-25 1996-08-27 안전 벨트를 위한 벨트 죔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03951A (ko)
EP (1) EP0861170B1 (ko)
JP (1) JP2000502009A (ko)
KR (1) KR100275220B1 (ko)
DE (2) DE19543996A1 (ko)
ES (1) ES2138830T3 (ko)
WO (1) WO19970198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200B2 (en) 2003-11-26 2005-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plit-gate memo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259B1 (en) * 1998-12-18 2001-09-1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nti-roping turning loop
DE10332535A1 (de) * 2003-07-17 2005-02-03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Umlenkbeschlag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102005017486A1 (de) * 2005-04-15 2006-10-19 Trw Automotive Gmbh Umlenk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102006041114B3 (de) * 2006-09-01 2007-10-25 Audi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Umlenkelement einer Sicherheitsgurtanordnung in einem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40888U (de) * 1973-04-12 Opel A Ag Umlenkbeschlag für automatische Sicherheitsgurtanordnung, insbesondere in Kraftfahrzeugen
DE2726683C2 (de) * 1977-06-14 1983-03-31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In vorgegebenen Grenzen drehbewegliche Verankerung eines Umlenkbeschlages für einen Sicherheitsgurt
SE421487B (sv) * 1977-07-04 1982-01-04 Klippan Automotive Prod Anordning vid omlenkare for sekerhetsbelten
DE3200118C2 (de) * 1982-01-05 1985-03-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Anordnung eines Umlenkbeschlages für Sicherheitsgurte in einem Fahrzeug
DE3505928A1 (de) * 1985-02-21 1986-08-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Umlenkbeschlag fuer sicherheitsgurte
SE457074B (sv) * 1985-09-23 1988-11-28 Volvo Ab Omlaenkare, saerskilt foer omlaenkning av ett baeltesband
US5372382A (en) * 1993-04-12 1994-12-13 Ford Motor Company Seat belt webbing guid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200B2 (en) 2003-11-26 2005-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plit-gate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03951A (en) 1999-12-21
WO1997019836A1 (de) 1997-06-05
ES2138830T3 (es) 2000-01-16
KR19990071545A (ko) 1999-09-27
EP0861170B1 (de) 1999-10-27
JP2000502009A (ja) 2000-02-22
DE59603509D1 (de) 1999-12-02
DE19543996A1 (de) 1997-05-28
EP0861170A1 (de) 199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8860B1 (en) Restraint and protection seat for infant
US5599070A (en) Seat and integral seat belt
US4786078A (en) Shoulder belt adjuster
JP2539954B2 (ja) シ―トベルトウエブガイド装置
US4614007A (en) Clamping means for a strap
US5743597A (en) Pivotable laterally moveable belt mount
US6234525B1 (en) Driver restraint device for an industrial truck
KR100275220B1 (ko) 안전 벨트를 위한 벨트 죔쇠
US5286058A (en) Fastening device for securing a pivotable anchoring fitting of a safety belt system to a load-bearing part of a vehicle
US6334649B1 (en) Holding device for releasable fastening of a child seat to a vehicle seat
WO2004103781A1 (en) A seat belt presenter
EP0063086A1 (en) Seat belt assembly
US5261698A (en) Shoulder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seat belt assembly
KR10019616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체결부 연장구조
KR100305556B1 (ko) 영구자석을갖는시트벨트잠금장치
KR100461172B1 (ko)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장치
KR0161635B1 (ko) 벨트 프리텐셔너 안전장치
KR0157577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버클 각도 조절장치
CA2019654C (en) Passive type seat belt mounting structure
GB1570459A (en) Motor vehicle safety belts
KR19990004325U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KR100492406B1 (ko) 차량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
JPH0352219Y2 (ko)
KR100384027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닝 장치
KR10031001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리트렉터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