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421B1 - 동전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동전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421B1
KR100274421B1 KR1019970047830A KR19970047830A KR100274421B1 KR 100274421 B1 KR100274421 B1 KR 100274421B1 KR 1019970047830 A KR1019970047830 A KR 1019970047830A KR 19970047830 A KR19970047830 A KR 19970047830A KR 100274421 B1 KR100274421 B1 KR 100274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safe
storage unit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788A (ko
Inventor
미쯔오 사까모또
히로시 시바
히데유끼 에비하라
Original Assignee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883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5630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시 이케베
Publication of KR1998002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02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동전 입출금기는 동전들이 수용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수용가능한 동전들의 종류를 판별하고 동전들을 계수하기 위한 동전 판별 및 계수부와, 동전 판별 및 계수부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의 결과에 따라서 동전들을 분류하기 위한 동전 분류부들과, 동전들의 종류에 따라서 동전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수용가능한 동전들을 일시로 저장하기 위한 동전 일시 저장부와, 동전 일시 저장부에 일시로 저장된 동전들을 수거하고 동전들의 종류에 따라서 동전들을 저장하기 위한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와, 동전들을 수집하기 위한 금고와, 그리고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서 금고로 동전들을 보내기 위한 슈트를 포함한다. 그와 같이 구성된 동전 입출금기에 있어서, 업무가 끝난 후에 콤팩트한 구조로 동전들을 쉽게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동전 입출금기
본 발명은 동전 입출금기, 특별히 탁상형 동전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 63-249289호는 수거된 동전을 출금하는데 이용하는 탁상형 동전 입출금기에 대하여 공개하고 있다.
이 동전 입출금기는, 동전의 종류에 따라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와, 동전 투입개구를 통해 투입되고 수용가능하다고 판별된 동전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박스형 입금 동전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동전 입출금기는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의 수가 소정 수로 감소하게 될 때 입금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으로 동전을 채워 넣도록 구성된다.
이 동전 입출금기에 있어서, 업무 완료 후 동전을 수집할 경우, 박스형 입금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은 입금 동전 저장부 자체를 끄집어냄으로써 수집되며,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은 동전 방출개구에 세트된 수거 트레이 상으로 공급되어 수집된다. 그러므로, 입금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과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이 따로따로 수집되므로, 동전 수집작업이 복잡하게 된다.
만일 입금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이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로 공급되어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과 함께 수집될 경우, 탁상형 동전 입출금기는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의 동전저장 용량이 적기 때문에, 입금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을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로 공급하여 그 입금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을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과 함께 수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반면,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을 입금 동전 저장부로 공급하여 그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을 입금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과 함께 수집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특별한 운반기구가 필요하다. 그렇게 되면, 탁상형 동전 입출금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소형화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면서도 업무 완료 후에 동전을 쉽게 수집할 수 있는 탁상형 동전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동전 입출금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셔텨용 구동기구의 개략적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동전 투입개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을 각 종류에 따라 판별하고 계수하고 분류하기 위해 상측커버 아래 배치되는 기구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동전 일시 저장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전 일시 저장부의 개략적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동전을 벨트 컨베이어 상의 전방으로 방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동전 일시 저장부의 개략적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동전을 벨트 컨베이어 상의 후방으로 방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동전 일시 저장부의 개략적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와 금고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의 개략적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의 벨트 컨베이어용 구동기구의 개략적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은 벨트 컨베이어에 떨어진 동전이 벨트 컨베이어의 배면 및 하측단부에 직립하여 유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의 개략적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도11의 개략적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캠(cam)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4는 래칫(ratchet) 롤러 및 종동 롤러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5는 금고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6은 동전 입출금기의 정면에 위치하는 금고 수납박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은 금고 수납박스를 잠그기 위한 금고 잠금기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8은 금고 잠금기구의 연결부재 부근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 부분 정면도이다.
도 19는 금고 잠금부재의 배면 단부 부근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 부분 정면도이다.
도 20은 금고 잠금부재의 정면 단부 부근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 부분 정면도이다.
도 21은 동전 입출금기의 정면에 접하여 고정된 금고 수납박스와 함께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가 도시된 개략적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동전 방출개구를 열려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슈트(chute)의 동전방출개구를 열고 닫기 위한 셔터를 잠그기 위한 셔터 잠금기구와, 동전 출금개구 내로 삽입되는 수거 트레이(receiving tray)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거 트레이 이동 제한기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3은 수거 트레이가 동전 출금개구에 세트되려 할 때 슈트의 동전 방출개구 부근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수거 트레이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슈트의 동전 방출개구 부근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수거 트레이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셔터 잠금기구와 수거 트레이 이동 제한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동전 입출금기 2. 동전 투입개구
3. 셔터 4. 표시부
5. 조작부 6. 동전 반환개구
7. 키 삽입구 8. 동전 출금개구
9. 수거 트레이 10. 동전 저장부
11. 금고부 12. 상측 커버
20. 셔터 유닛 21. 슬라이드 축
22. 셔터 장착부재 40. 회전가능 디스크
50. 제 1동전 분류 통로 51. 제 1동전 분류부
61. 제 2동전 분류부 70. 제 2동전 분류 통로
71a,71b,71c,71d,71e,71f. 동전 분류개구
80. 동전 일시 저장부 90. 게이트 부재
110. 금고 120. 셔터
140. 지지축 160. 금고 수납박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동전 입출금기에 의해 성취될 수 있으며, 이 동전 입출금기는, 동전이 투입될 수 있는 동전 투입개구와, 상기 동전 투입개구를 통하여 투입된 동전을 하나씩 운반하기 위한 동전 통로와, 동전이 수용가능한지 여부와 수용가능한 동전의 종류를 판별하고 동전을 계수하기 위한 동전 판별 및 계수수단과, 동전 판별 및 계수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별결과에 기초해서 동전을 분류하기 위한 동전 분류수단과, 동전 판별 및 계수수단에 의해 수용가능하다고 판별되고 동전 분류수단에 의해 각 종류 대로 분류된 동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동전 일시 저장부와, 동전 일시 저장부에 일시 저장된 동전을 받아서 그것을 종류 대로 저장하기 위한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와, 동전을 수집하기 위한 금고와,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로부터의 동전을 금고로 공급하여 보내기 위한 슈트(chute)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는, 동전 일시 저장부의 아래 위치, 즉 동전 일시 저장부로부터 떨어지는 동전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동전 일시 저장부는 출금을 위해 동전을 종류에 따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갖추어 구성되며,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는 상기 다수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으로부터 동전을 받아서 그것을 종류 대로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을 갖추어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 각각은 동전을 받아서 운반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를 갖추어 구성되며, 각 벨트 컨베이어는 폭방향 축(widthwise axis)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다수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은 회전된 벨트 컨베이어의 하측 단부로부터 떨어지는 동전을 받기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동전 입출금기는 동전이 출금될 수 있는 동전 출금개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슈트수단은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을 선택적으로 금고 또는 동전 출금개구로 공급하기 적합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동전 일시 저장부는, 동전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되며 금고 내에 수집될 동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전 입출금기는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으로부터의 동전을 금고로 공급하기 위한 슈트(chut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동전 입출금기는, 금고를 수납할 수 있으며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금고 수납박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슈트는 금고 수납박스가 제 1위치에 위치할 때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과 금고와 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슈트수단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위치할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와 금고를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1슈트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위치할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와 동전 투입개구를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2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 목적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행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전 입출금기(1)에는, 상측면에 상측을 향하는 개구를 갖춘 동전 투입개구(2)가 설치되며, 셔터(3)는 동전 투입개구(2) 아래에 지지되어, 동전 투입개구(2)를 열고 닫기 위해서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된다.
표시부(4)와 조작부(5)는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 형성되며, 표시부(4)는 투입된 동전을 계수한 결과와 조작자에게로의 지시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는 투입된 동전 중에서 수용할 수 없다고 판별된 동전을 반환하기 위한 동전 반환개구(6)와 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 삽입부(7)가 형성된다.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 하측부에는, 동전을 출금하기 위한 동전 출금개구(8)가 형성된다. 동전은 동전 출금개구(8) 내로 삽입되어진 수거 트레이(9) 상으로 출금된다.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 하측에는, 동전을 종류 대로 저장하기 위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도시생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10)와,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에 저장될 수 없는 동전과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에 저장된 동전을 수집하기 위한 금고(도시생략)를 수납하기 위한 금고부(11)가 설치된다. 동전 저장부(10)와 금고부(11)는 떨어져 나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10)와 금고부(11)는, 그들이 소정 위치까지 밀리면 자동적으로 잠기고, 키 삽입부(7) 내로 키를 삽입하여 잠금을 풀면, 그들은 꺼내질 수 있다.
동전 투입개구(2)와 셔터(3)와 조작부(5)가 형성되어 있는 동전 입출금기(1)의 상부에는 상측커버(12)가 형성되며, 이 상측커버(12)는 단부 에지(13)에 대해 스윙가능하도록 동전 입출금기(1) 상에 설치되며, 상측 커버(12)는 키 삽입부(7) 내에 키를 삽입하여 잠금을 풀때 열릴 수 있으며, 상측 커버(12)가 닫히면 자동적으로 잠긴다.
도 2는 셔터(3)용 구동기구의 개략적 부분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터유닛(20)은 상측커버(12)의 하측면에 장착되며, 세로방향으로 뻗어있는 슬라이드 축(21)은 셔터유닛(20)에 고정된다. 셔터 장착부재(22)는 세로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축(21)에 장착된다.
셔터(3)의 배면 단부는 셔터 장착부재(22)에 장착되며, 셔터(3)의 정면 단부는 셔터유닛(20)의 셔터 가이드(23)에 의해 지지된다. 셔터 가이드(23)는, 동전 투입개구(2)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의 프레임부(24)와, 프레임부(24)의 내측부를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진 호퍼(hopper)부(25)와, 프레임부(24)의 좌측, 우측 및 앞쪽의 외측에 프레임부(24)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6)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셔터 가이드(23)의 프레임부(24)는 그것과 상측커버(12)의 하면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셔터(3)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며, 돌출부(26)는 셔터(3) 두께와 동일한 거리 만큼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셔터(3)에 의해 동전 투입개구(2)가 닫힐 때 셔터(3)의 외측부를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셔터(3) 정면 단부의 양 에지에는, 앞쪽으로 돌출된 볼록부(27)가 형성되며, 셔터 가이드(23)의 돌출부(26)에는, 셔터(3)가 동전 투입개구(2)를 닫을 때 셔터(3)의 볼록부(27)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볼록부(27) 형태에 대한 보완형태를 갖는 오목부(28)가 형성된다.
셔터 장착부재(22)의 슬라이드 축(21) 부근에, 랙(rack) 부재(30)가 슬라이드 축(21)을 따라 고정되고, 구동 기어(31)가 랙 부재(30)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구동 기어(31)가 셔터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될 때, 셔터(3)는 슬라이드 축(21)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동전 투입개구(2)를 닫게 된다. 제 1센서(32)와 제 2센서(33)가 동전 입출금기(1)의 본체에 설치되므로, 제 1센서(32)와 제 2센서(33) 중 어느 것이 셔터 장착부재(22)에 형성된 검출편(34)을 검출하는지에 의거해서, 셔터(3)가 동전 투입개구(2)를 닫고 있는지 열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동전 투입개구(2)를 통해 투입된 동전을 종류 별로 판별하고 계수하고 분류하기 위해서 상측 커버(12) 아래에 배치되는 기계의 개략적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전 투입개구(2)를 통해 투입된 동전을 종류별로 판별하고 계수하고 분류하기 위한 기구는 상측 커버(12) 아래에 설치된다.
회전가능 디스크(40)는 동전 투입개구(2) 아래에 배치되며, 동전 투입개구(2)를 통해 투입된 동전을 받아서 원심력을 이용해서 그것을 공급하며,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부를 따라 뻗어있는 동전 통로(41)는 회전가능 디스크(40)와 통하게 된다.
회전가능 디스크(40)의 외주에는 환형 가이드(도시생략)가 설치되며, 회전가능 디스크(40)상에 투입된 동전은 회전가능 디스크(4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환형 가이드를 따라 공급되어 환형 가이드에 형성되어 있는 동전 취출 개구(42)로 공급된다. 동전은 동전 취출 개구(42)에 설치된 분리부재(도시생략됨)에 의해 분리되어서 하나씩 동전 통로(41)로 공급된다. 동전 통로(41)로 공급된 동전 각각은 동전 취출개구(42) 근처에 배치된 롤러(43)에 의해 가속됨으로써, 다음 동전과 분리되어서 동전 통로(41) 내로 운반된다.
동전 통로(41)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44, 45) 사이에 형성되며, 운반 벨트(46)는 그 운반벨트(46)와 동전 통로(41) 상면 사이에 동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동전 통로(41)에는, 각 동전이 수용가능한지 여부와 각 수용가능한 동전의 종류를 판별하고 수용가능한 동전의 수를 계수하기 위해서 동전 판별부(47)가 설치된다. 동전 판별부(47)는, 각 동전의 직경, 표면 패턴, 측면 패턴 등을 검출하기 위한 광학 센서와, 각 동전의 자기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 등을 갖추어 구성된다. 동전을 판별한 결과는 제어부(도시생략)에 입력되고, 동전을 계수한 결과는 표시부(4) 상에 표시된다.
동전 입출금기(1)의 측부를 따라 뻗어있는 제 1동전 분류 통로(50)는 동전 통로(41)의 하류 단부와 연결되며, 운반 벨트(46)는 동전 통로(41)로부터 제 1동전 분류 통로(50) 까지 뻗어있다.
제 1동전 분류 통로(50)에는 제 1동전 분류부(51)가 설치된다. 제 1동전 분류부(50)는 돌출부재(52)와 분류개구(53)를 갖추어 구성된다. 돌출부재(52)는 세로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편평한 벽부(52a)와 원주형 벽부(5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편평한 벽부(52a)가 제 1동전 분류 통로(51)를 향하도록 위치할때, 편평한 벽부(52a)는 제 1동전 분류 통로(51)의 가이드 벽(54)과 동일 평면이 되며, 반면 원주형 벽부(52b)가 제 1동전 분류 통로(51)를 향하도록 위치할때, 원주형 벽부(52b)는 제 1동전 분류 통로(51)의 가이드 벽(54)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므로, 편평한 벽부(52a)가 제 1동전 분류 통로(51)를 향하도록 돌출부재(52)가 배치되면, 동전이 제 1동전 분류 통로(51) 내 가이드 벽(54)의 하류측으로 공급되며, 반면 원주형 벽부(52b)가 제 1동전 분류 통로(51)를 향하도록 돌출부재(52)가 배치되면, 동전은 돌출부재(52)에 의해 가이드 벽(54)으로부터 밀려난다. 돌출부재(52)는 솔레노이드(55)에 의해 링크기구(56)를 거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 1동전 분류 통로(50)에는, 제 1동전 분류부(51)의 하류측에 제 2동전 분류부(61)가 설치된다. 제 2동전 분류부(61)는 제 1동전 분류부(5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회전가능한 돌출부재(62)와 분류개구(63)를 갖추어 구성된다. 돌출부재(62)에는, 편평한 벽부(62a)와 원주형 벽부(62b)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재(62)는 솔레노이드(65)에 의해 링크기구(66)를 거쳐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센서(57, 67)는 각각 제 1동전 분류부(51)와 제 2동전 분류부(61)의 바로 상류측에 설치된다.
동전 판별부(47)에 의해 수용가능하다고 판별된 동전이 센서(57)에 의해 검출되면, 돌출부재(52)는, 편평한 벽부(52a)가 제 1동전 분류 통로(51)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서, 수용가능 동전이 제 1동전 분류부(51)를 통과하도록 하며, 반면 동전 판별부(47)에 의해 수용불가능하다고 판별된 동전이 센서(57)에 의해 검출되면, 돌출부재(52)는 회전해서 원주형 벽부(52b)가 제 1동전 분류 통로(51)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따라서 수용불가능한 동전을 가이드 벽으로부터 밀어내서 그것을 분류개구(53) 내로 떨어뜨린다.
반면, 제 2동전 분류부(61)는, 동전 입출금기(1)내에 저장된 어떤 종류의 동전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수용가능하지만 출금에는 이용될 수 없는 동전을 동전 일시 저장부(도시생략)로 안내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전 입출금기(1)는, 출금될 동전을 종류별로 저장하는 동전 일시 저장유닛과 금고에 수집될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전 일시 저장부(도시생략)와, 동전 일시 저장부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으로부터 동전을 받아서 그것을 분배하기 위해 종류별로 저장하는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을 갖추어 구성되는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전은 다음에 설명되는 동전 분류개구를 거쳐 동전 일시 저장유닛으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특정 종류의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에 저장될 수 있는 동전의 수가 소정 수 이하로 감소될 때, 그 종류의 동전이 저장될 동전 일시 저장유닛으로 그 종류의 동전이 공급되면, 동전이 상기 동전 일시 저장유닛에 저장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제 2동전 분류부(61)는, 그 종류의 동전만을 위험을 감수하고 동전 일시 저장부의 수집동전 일시저장유닛 내로 공급하여 그 동전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그것을 금고(도시생략) 내에 수집하게 된다.
동전 입출금기(1)의 배면부를 따라 뻗어있는 제 2동전 분류 통로(70)는 제 1동전 분류 통로(50)의 하류부와 연결된다. 운반벨트(46)는 동전통로(41)로부터 제 1동전 분류 통로(50)를 거쳐 신장하며, 제 2동전 분류 통로(70)의 상류부에서 끝난다.
제 2동전 분류 통로(70)에는 동전 분류개구(71a, 71b, 71c, 71d, 71e, 71f)가 형성되며, 동전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벨트(72)는 제 2동전 분류 통로(70) 내에 설치되어서, 운반벨트(72)와 제 2동전 분류 통로(70) 상면과의 사이에 동전을 유지하게 된다. 동전 분류개구(71a, 71b, 71c, 71d, 71e, 71f)는 상류측에 위치한 것의 직경이 하류측에 위치한 것의 직경 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된다.
센서(73a, 73b, 73c, 73d, 73e, 73f)는 각각 동전 분류개구(71a, 71b, 71c, 71d, 71e, 71f)의 바로 상류측에 설치된다.
동전 분류 개구(71a, 71b, 71c, 71d, 71e, 71f)는 그 종류에 따라 다음에 설명될 동전 일시 저장부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에 동전을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도 4는 동전 일시 저장부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전 일시 저장부의 개략 좌측도이다.
동전 일시 저장부(80)는 도 3에 도시된 동전을 판별하고 세고 분류하는 기구아래에 즉시 배치되고 제 2동전 분류부(61)의 분류개구(63)와 제 2동전 분류통로(70)의 동전 분류 개구(71a, 71b, 71c, 71d, 71e, 71f)를 통해 떨어뜨려진 동전을 일시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전 일시 저장부(80)에는 수집 동전 일시 저장유닛(81)과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이 장치되어 있다. 수집 동전 일시 저장유닛(81)은 제 2동전 저장부(61)의 분류개구(63)를 통해 떨어뜨려진 동전을 일시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수집 동전 일시 저장유닛(81)에 일시로 저장된 동전은 동전 입금지시 신호가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면 금고로 수집되는 반면, 동전 입금정지 신호가 입력되면 후술될 슈트(Chute)를 통해 동전 방출 개구아래에 설치된 수거 트레이(Receiving tray)(9)위로 반환된다. 동전 일시 저장 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은 그 종류에 따라 제 2동전 분류 통로(70)의 동전 분류 개구(71a, 71b, 71c, 71d, 71f)를 통해 떨어뜨려진 동전을 일시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후술될 것처럼,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에 일시로 저장된 동전은, 동전 입금지시 신호가 조작부(5)를 통해 입력되면 그 종류에 따라 출금되어 저장될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동전 출금 저장부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으로 공급되고, 동전 입금 정지 신호가 입력되면, 동전은 후술될 동전 방출 개구와 슈트를 통해 동전 방출 개구 아래에 설치된 수거 트레이(9)로 반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은 수평으로 뻗어 있고 각각에는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가 장치되어 있고 인접한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은 분리부재(79)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는 단일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는 벨트 컨베이어유닛(8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벨트 컨베이어유닛(83)은 한쌍의 유닛 측판(84, 84)의 중심부를 통해 폭방향으로 뻗어 있는 지지축(8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폭 방향으로 뻗어 있는 스윙 구동축(86)은 유닛 측판(84, 84)의 배면과 상부에 설치되고 캠(87)은 스윙 구동축(86)에 고정된다. 캠(87)과 벨트 컨베이어 유닛(83)의 일단부는 링크(88)에 의해 연결되어서 캠(87)이 회전운동할 때 링크(88)는 상하로 움직이고, 이에의해 벨트 컨베이어유닛(83)은 지지축(85) 주위로 회전운동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의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의 정면단부 위쪽에 게이트 부재(89)가 설치되고 그것의 배면단부 위쪽에 게이트 부재(90)가 설치된다. 이 게이트 부재(89, 90)는 분류개구(63) 및 동전 분류개구(71a, 71b, 71c, 71d, 71e, 71f)를 통해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의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 위에 떨어뜨려진 동전이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의 정면단부 및 배면단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게이트 부재(89)는 유닛 측판(8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91)에 고정되고 게이트 부재(90)는 유닛 측판(8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92)에 고정된다.
폭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축(93)은 벨트 컨베이어유닛(83)을 지지하는 지지축(85) 위쪽에 유닛 측판(84, 84)에 의해 지지되고 캠(94)은 지지축(93)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94)의 상부와 캠(87)의 상부는 링크(95)에 의해 연결된다. 링크(96)는 캠(94)의 정면부에 연결되고 링크(97)는 캠(94)의 배면부에 연결된다. 링크(96)의 타단부는 그 타단부가 지지축(92)에 연결된 링크(99)의 한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캠(87)이 회전운동하면, 캠(94)이 회전운동하고 결과적으로 링크(96, 97)가 링크(98, 99)를 통해 지지축(91, 92)을 회전시켜서 게이트 부재(89, 90)를 회전운동시키고, 이에의해 게이트 부재(89, 90)를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와는 별도로 선택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도 6은 동전 일시 저장부가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상의 동전을 앞쪽으로 방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개략 좌측도이다. 동전은 동전 투입 개구(2)를 통해 본 실시예에 의한 동전 입출금기(1)에 투입되고 동전 일시 저장부(80)에 저장된다. 그런데, 만약 동전 판별부(47)에 의해 계수된 투입 동전의 계수값이 표시부(4)에 표시된 후에 조작자가 조작부(5)를 통해 동전 입금 정지 신호를 입력하면, 동전 일시 저장부(80)에 저장된 동전은 슈트로 공급되고 동전 방출 개구로 반환된다. 상기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슈트(도시되지 않음)는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정면단부 아래에 설치되어서 동전 방출 개구(도시되지 않음)와 통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윙 구동축(8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8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링크(88)는 위쪽으로 움직여서 벨트 컨베이어 유닛(83)의 정면단부는 아래쪽으로 기울게 된다. 이와 동시에, 캠(9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지지축(91)은 링크(96, 98)를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의해 정면측에 배치된 게이트 부재(89)는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와 별도로 음직이게 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상의 동전을 앞쪽으로 방출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로부터 앞쪽으로 방출된 동전은 후술될 슈트와 동전 방출 개구를 통해 동전 방출 개구 아래에 설치된 수거 트레이(9)로 반환된다.
도 7은 동전 일시 저장부가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상의 동전을 뒤쪽으로 방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개략 좌측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동전 입출금기(1)는, 동전 판별부(47)에 의해 계수된 투입 동전의 계수값이 표시부(4)에 표시된 후에 만약 조작자가 동전 입금 지시 신호를 조작부(5)를 통해 입력하면 동전 일시 저장부(80)에 저장된 동전이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배면단부아래에 배치된 동전 출금 저장부(1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 종류에 따라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을 갖는 동전 출금 저장부(10)는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배면단부 아래에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윙 구동축(86)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캠(87)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링크(88)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서 벨트 컨베이어(83)의 배면단부는 아래쪽으로 기울게 된다. 이와 동시에, 캠(94)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축(92)이 링크(97, 99)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의해 배면측에 배치된 게이트 부재(90)는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와 별도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상의 동전을 뒤쪽으로 방출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로부터 뒤쪽으로 방출된 동전은 그 종류에 따라 동전 출금 저장부(10)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으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도 4 내지 도 7에서, 참고부호 (100)은 분류개구(63) 및 동전 분류 개구(71a, 71b, 71c, 71d, 71e, 71f)를 통해 떨어뜨려진 동전을 탐지하기 위한 센서를 나타낸다. 센서(100)는 광 방출소자 및 광 수신소자로 구성되고,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는 광 방출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이 분류개구(63) 및 동전 분류 개구(71a, 71b, 71c, 71d, 71e, 71f)를 통해 떨어뜨려진 동전에 의해 차단될 때 앞쪽으로 움직인다. 도 4에서, 참고부호 (101)은 제 1 동전 분류개구(51)의 분류개구(53)를 통해 떨어뜨려진 받아들여지지 않은 동전을 동전 반환개구(6)로 안내하기 위한 슈트를 나타낸다.
도 8은 동전 출금 저장부(10)와 금고부(11)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9는 동전 출금 저장부(10)의 개략 우측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전 출금 저장부(10)는 그 종류에 따라 출금될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으로 구성된다.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은 각각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과 결합되고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의 벨트 컨베이어(82a, 82b, 82c, 82d, 82e, 82f)의 배면단부로부터 떨어뜨려진 동전이 수거될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진다.
반대로, 벨트 컨베이어(82)의 배면단부로부터 떨어뜨려져서 수집 동전 일시 저장유닛(81)에 일시로 저장된 동전은 슈트(105)를 통해 금고(110)로 수집된다.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은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 배면단부가 아래로 기울어지는 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은 각각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를 포함하고 인접한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는 분리부재(108)에 의해 구분된다.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는 독립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에는 그 배면단부에 뒤쪽 및 위쪽으로 뻗어있는 배면벽(112a, 112b, 112c, 112d, 112e, 112f)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은 실질적으로 배면벽(112a, 112b, 112c, 112d, 112e, 112f)의 베이스부 위에 배치되고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측면 상의 배면벽(112a, 112b, 112c, 112d, 112e, 112f)의 표면은 원통의 표면이 위쪽으로 뻗어있는 축을 갖는 식으로 원통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운반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회전 롤러(113)는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정면단부 위쪽에 장치되고,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정면단부와 역회전 롤러(113)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취급될 동전의 평균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및 이 평균두께의 두 배,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의 1.5배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정면에는, 지지판(114)이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로부터 공급된 동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서,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상부면의 연장상에 놓여져 있고,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동전 운반속도보다 높은 원주 속도로 회전될 수 있는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는 지지판(114)의 반대쪽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114)과 각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사이의 클리어런스는 해당 종류의 동전의 두께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대략 해당 종류의 동전의 두께의 반으로 설정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역회전 롤러(113)와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는 구동벨트(109)를 통해 단일 통상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광 방출소자와 광 수신소자를 포함하는 센서(116a, 116b, 116c, 116d, 116e, 116f)는 역회전 롤러(113)와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사이의 부분을 통해 통과하는 동전을 탐지하기 위해 장치되고, 각각 광 방출소자 및 광 수신소자를 포함하는 센서(117a, 117b, 117c, 117d, 117e, 117f)는 또한 각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의 앞쪽에 장치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튜브형 슈트(118)는 지지판(114)의 앞쪽에서 아래쪽으로 동전을 안내하기 위해 장치되고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 및 동전 방출개구(119)는 슈트(118)의 저단부의 수거 트레이(9)에 동전을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슈트(118)는 수집 동전 일시 저장유닛(81)과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의 정면단부 아래에 배치되고, 수집 동전 일시 저장유닛(81)과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의 정면단부로부터 떨어뜨려진 동전은 슈트(118) 및 동전 방출개구(119)아래에 배치된 수거 트레이(9)의 동전 방출 개구(119)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셔터(120)는 수거 트레이(9)가 동전 방출 개구(119)아래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때 동전 방출 개구(119)를 밀폐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셔터(120)는 동전 방출 개구(119)를 밀폐하도록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항상 바이어스 되어 있고, 수거 트레이가 동전 방출 개구(119)아래에 설치되고 셔터(120)의 인접부(120a)가 수거 트레이(9)에 의해 뒤쪽으로 밀려지면 셔터(120)는 동전 방출 개구(119)를 개방한다.
폭방향으로 뻗어있는 축(121)은 슈트(118)에 의해 지지되고 수집 슈트(122)는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에 저장된 동전을 금고(110)로 수집하기 위해 축(121)에 의해 지지된다. 수집슈트(122)는 지지판(114)와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로부터 분리되어 공간이 진, 도 9에서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수축 위치와 지지판(114)과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와 대면하고 인접하여 놓여진, 도 9에서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대면 위치 사이에서 축(121)주위로 회전운동 가능하고 항상 그 수축 위치쪽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어서 그 벽부분은 슈트(118)의 벽부분을 형성한다. 수집슈트(122)는 지지판(114) 및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와 대면한 동전 수거 개구(122a)를 갖고 수집슈트(122)가 그 대면 위치에 놓여지면 동전을 수거할 수 있다. 수집슈트(122)는 또한 동전을 공급하기 위한 동전 공급개구(122b)를 갖는다. 작업의 완료시에,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에 저장된 동전은 동전 입출금기(1)의 앞에 금고(110)를 위치시키므로써 금고(110)로 수집될 수 있고, 이와 함께 동전을 동전 입금 개구(122a)를 통해 대면 위치에 놓여 있는 수집 슈트(122)로 공급하고 동전 공급 개구(122b)를 통해 금고(110)로 동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전 출금 저장부(10)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에 저장된 동전은 다음 방법으로 동전 방출 개구(119)를 통해 수거 트레이(9)에 출금된다.
수거 트레이(9)는 먼저 동전 방출 개구(119)아래에 놓여지고 역회전 롤러(113)와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나서 출금될 종류의 동전에 해당하는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중 하나가 구동되고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상의 동전은 역회전 롤러(113)를 향해 앞쪽으로 전달된다.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상에 축재된 동전이 역회전 롤러(113)에 도달하면, 최저 위치의 동전을 제외한 동전이 역회전 롤러(113)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로 되돌려 보내지고 최저 위치의 동전만이 지지판(114) 쪽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동전들은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로부터 지지판(114)으로 하나씩 공급된다. 지지판(114)으로 공급된 동전들은 센서(116a, 116b, 116c, 116d, 116e, 116f) 중 하나에 의해 탐지되고 그 수가 계수된다.
지지판(114)으로 하나씩 공급된 각 동전들은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에 의해 가속되고 슈트(118)로 공급되어 슈트 내로 떨어져서 동전 방출 개구(119)를 통해 수거 트레이(9)에 출금된다. 이때에, 동전은 센서(117a, 117b, 117c, 117d, 117e, 117f) 중 하나에 의해 탐지되어 계수된다.
센서(116a, 116b, 116c, 116d, 116e, 116f) 중 하나가 미리 소정의 수의 동전을 탐지하면, 상기 종류의 동전에 해당하는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는 정지한다. 둘 또는 그 이상의 종류의 동전이 출금될 경우에, 또다른 종류의 동전에 해당하는 다음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가 구동되고 이에 의해 상기 종류의 동전이 같은 방식으로 동전 방출 개구(119)를 통해 수거 트레이(9)에 출금된다.
각 종류의 소정의 수의 동전이 출금되면, 역회전 롤러(113)와 분배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는 정지되고, 이에의해 동전 출금동작이 완료한다.
도 10은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의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에 대한 구동 기구의 개략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 중 결합된 하나가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부에서 그 주위로 감겨져 있는 각 롤러(130a, 130b, 130c, 130d, 130e, 130f)는 두 개의 큰 직경부(131a, 131b, 131c, 131d, 131e, 131f)와 이 두 개의 큰 직경부(131a, 131b, 131c, 131d, 131e, 131f)사이의 작은 직경부(132a, 132b, 132c, 132d, 132e, 132f)로 구분된다.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는 각각 두 개의 큰 직경부(131a, 131b, 131c, 131d, 131e, 131f)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벨트(133a, 133b, 133c, 133d, 133e, 133f)는 작은 직경부(132a, 132b, 132c, 132d, 132e, 132f) 주위에 감겨져 있다. 각 구동벨트(133a, 133b, 133c, 133d, 133e, 133f)는 또한 모터(134a, 134b, 134c, 134d, 134e, 134f)의 출력축(135a, 135b, 135c, 135d, 135e, 135f)에 고정된 구동롤러(136a, 136b, 136c, 136d, 136e, 136f) 주위에 감겨져 있고 모터(134a, 134b, 134c, 134d, 134e, 134f)의 구동력은 출력축(135a, 135b, 135c, 135d, 135e, 135f)과 구동롤러(136a, 136b, 136c, 136d, 136e, 136f)와 구동벨트(133a, 133b, 133c, 133d, 133e, 133f)를 통해 상기 결합된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에 전달된다. 모터(134a, 134b, 134c, 134d, 134e, 134f)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는 또한 롤러(137a, 137b, 137c, 137d, 137e, 137f)와 롤러(138a, 138b, 138c, 138d, 138e, 138f)(롤러(138a)만 도시됨) 주위에 감겨지고 모터(134a, 134b, 134c, 134d, 134e, 134f)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엇갈린 구조로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은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상에 떨어뜨려진 동전이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배면 및 저면단부에서 서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의 개략 우측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개략 우측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축(140)은 롤러(137a, 137b, 137c, 137d, 137e, 137f) 뒤쪽의 동전 입출금기(1)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캠(141a, 141b, 141c, 141d, 141e, 141f)과 비틀림 스프링(142a, 142b, 142c, 142d, 142e, 142f)의 단부는 지지축(140)에 고정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캠(141a, 141b, 141c, 141d, 141e, 141f)은 평평하게 절단 부분(143a, 143b, 143c, 143d, 143e, 143f)과 원형 부분(144a, 144b, 144c, 144d, 144e, 144f)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래칫롤러(145a, 145b, 145c, 145d, 145e, 145f)는 지지축(140)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래칫롤러(145a, 145b, 145c, 145d, 145e, 145f)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롤러(146a, 146b, 146c, 146d, 146e, 146f)는 롤러(137a, 137b, 137c, 137d, 137e, 137f) 주위에 감겨진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원주와 마찰하여 접촉하고 있고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래칫롤러(145a, 145b, 145c, 145d, 145e, 145f)는 또한 비틀림 스프링(142a, 142b, 142c, 142d, 142e, 142f)의 단부와 결합가능하게 절단 부분(147a, 147b, 147c, 147d, 147e, 147f)이 형성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142a, 142b, 142c, 142d, 142e, 142f)은 위쪽으로 뻗어있고 배면벽(112a, 112b, 112c, 112d, 112e, 112f)에 형성된 개구(148a, 148b, 148c, 148d, 148e, 148f)를 통해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으로 돌출가능한 돌출부재(150a, 150b, 150c, 150d, 150e, 150f)의 배면단부는 비틀림 스프링(142a, 142b, 142c, 142d, 142e, 142f)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가 움직이면,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와 마찰 접촉한 구동롤러(146a, 146b, 146c, 146d, 146e, 146f)가 회전하고, 이에의해 래칫롤러(145a, 145b, 145c, 145d, 145e, 145f)를 회전시킨다. 이 결과, 래칫롤러(145a, 145b, 145c, 145d, 145e, 145f)에 형성된 절단 부분(147a, 147b, 147c, 147d, 147e, 147f)이 캠(141a, 141b, 141c, 141d, 141e, 141f)의 절단 부분(143a, 143b, 143c, 143d, 143e, 143f)에 도달하면, 절단 부분(147a, 147b, 147c, 147d, 147e, 147f)은 도 11에 실선에 의해 표시된 위치에 놓여진 비틀림 스프링(142a, 142b, 142c, 142d, 142e, 142f)의 단부와 결합하고 이에의해 비틀림 스프링(142a, 142b, 142c, 142d, 142e, 142f)이 도 1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서 도 11에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의 뒤쪽으로 배면벽(112a, 112b, 112c, 112d, 112e, 112f)에 형성된 개구(148a, 148b, 148c, 148d, 148e, 148f)를 통해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으로 돌출한 돌출부재(150a, 150b, 150c, 150d, 150e, 150f)를 이동시킨다.
돌출부재(150a, 150b, 150c, 150d, 150e, 150f)들이 도 11에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될 때, 래칫(ratchet) 롤러(145a, 145b, 145c, 145d, 145e, 145f)에 형성된 절단 부분(147a, 147b, 147c, 147d, 147e, 147f)들은 캠(cam)(141a, 141b, 141c, 141d, 141e, 141f)들의 원부분(144a, 144b, 144c, 144d, 144e, 144f)에 도달하게 되고, 그렇게 함으로서 래칫 롤러(145a, 145b, 145c, 145d, 145e, 145f)에 형성된 절단 부분(147a, 147b, 147c, 147d, 147e, 147f)과 비틀림(torsion) 스프링(142a, 142b, 142c, 142d, 142e, 142f)들의 끝부분과의 맞물림을 해제하여서, 비틀림 스프링(142a, 142b, 142c, 142d, 142e, 142f)들이 그들 자체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도 11에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돌아간다. 결과적으로, 돌출부재(150a, 150b, 150c, 150d, 150e, 150f)들은 배면벽(rear wall)(112a, 112b, 112c, 112d, 112e, 112f)들에 형성된 개구(148a, 148b, 148c, 148d, 148e, 148f)들을 통해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로 돌출한다.
그러므로,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들에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의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들로 떨어진 동전들이 배면벽(112a, 112b, 112c, 112d, 112e, 112f)들을 따라 똑바로 서는 경우에도,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들 위에 평평히 누워있도록 동전들을 넘어뜨리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들의 옆에 있는 배면벽(112a, 112b, 112c, 112d, 112e, 112f)들의 표면들은 원통면이 본 실시예에서 위쪽으로 뻗어있는 축을 가지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원통형으로 그리고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넘어진 동전들은 거의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들의 중심부분에 배면벽(112a, 112b, 112c, 112d, 112e, 112f)들의 오목하고 원통형의 표면을 따라 누워있게 된다.
도 15는 금고(11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금고(110)는 제 1동전 저장통로(50)의 제 2동전 저장부(61)에서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수집된 동전 일시 저장유닛(81)으로 보내지고 거기에 일시로 저장된 동전들과 업무가 끝난 후 동전들의 종류에 따라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 , 10c, 10d, 10e, 10f)에 저장된 동전들을 수집하도록 되어 있으며 거의 평행한 파이프형의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체를 이룬다.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수집된 동전 일시 저장유닛(81)에 일시로 저장된 동전들이 금고(110)로 수집될 때, 벨트 컨베이어유닛(83)은 게이트(gate)부재(90)를 열기 위해서 지지축에 대해 뒤쪽으로 회전되어서 벨트 컨베이어(82)에 있는 동전들이 슈트(chute)(105)에 떨어지고 금고(110)의 위쪽 면에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동전 입금개구(155)을 통해 금고(110)에 모아지게 된다.
금고부(11)는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으로 당겨질 수 있는 금고 수납박스(160)로 구성되고 금고(110)는 상측에서 금고 수납박스(160)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된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동전 입출금기(1)의 세로 방향에 뻗어있는 축(161)은 동전 입출금기(1)의 우측에 고정되고 지지부재(162)는 축(161) 위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금고 수납박스(160)는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으로 축(161)을 따라 당겨질 수 있고 그것을 지지축(163)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서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 놓여질 수 있다.
금고(110)의 위쪽 면에 형성된 동전 입금개구(155)는 보통 셔터(shutter)(165)에 의해 닫히고 금고(110)를 수납하는 금고 수납박스(160)가 금고(110)가 동전을 입금할 수 있는 금고부(11)의 소정의 위치에 놓여질 때만 잠금기구(도시 생략)에 의한 셔터(165)의 잠금이 해제되고 동전 입금개구(155)이 열린다.
스프링(도시 생략)은 금고(110)를 수납하는 금고 수납박스(160)가 금고부(11)의 소정의 위치에서 놓여질 때 배면에 놓여지도록 금고(110)의 바닥의 위쪽 면에 설치되고 금고(110)에는 스프링의 회전가능한 바닥판(도시 생략)이 설치된다. 따라서, 동전 입금개구(155)을 통해 금고(110)로 떨어진 동전들이 금고(110)의 뒷부분에 남아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금고(110)에 저장된 동전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바닥판이 저장된 동전의 무게에 기인해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낮아지고, 그렇게 함으로서 원하는 수의 동전들이 금고(1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5에서, 부호(166)는 금고 수납박스(160)의 정면에 설치된 핸들을 나타낸다.
업무가 끝나고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에 저장된 동전들이 금고(110)로 수집될 때, 금고 수납박스(160)는 동전 입출금기(1)의 앞에 놓여지게 된다.
도 16은 동전 입출금기(1)의 앞에 놓여진 금고 수납박스(160)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에 저장된 동전들이 금고(110)로 수집될 때, 금고 수납박스(160)는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의 소정의 위치로 축(161)을 따라 당겨지고 다음에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 접할 때까지 지지축(163)을 따라 회전된다. 센서(도시 생략)가 금고 수납박스(160)가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 접하게 되었다고 검출할 때, 금고 수납박스(160)는 잠긴다.
도 17은 금고 수납박스(160)를 잠그기 위한 금고 잠금기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금고 잠금기구는 동전 출금 개구(8)을 형성하는 출금 개구 덮개(168)에 설치된 솔레노이드(solenoid)(170)와 솔레노이드(170)에 고정되고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부재을 포함한다. 지지축(172)은 도 17에서 슬라이드부재(171)의 왼쪽 끝부분에 설치되고 세로방향에 뻗어있는 지지축(17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부재(174)의 일단부는 지지축(172)에 연결된다. 슬라이드부재(171)는 도 17에서 오른쪽으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바이어스(bias)된다. 금고 잠금부재(175)는 지지축(173)의 앞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센서(176)는 금고 잠금부재(175)의 앞 끝부분의 부근에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 설치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동전 입출금기(1)에 접하는 금고 수납박스(160)의 측면은 검출편(180)과 측면에서 돌출하는 잠금핀(181)으로 형성되고, 잠금핀(181)의 위쪽 면은 홈(182)으로 형성된다.
도 18은 금고 잠금기구의 연결부재(174) 부근에 있는 기구의 개략적 부분 정면도이고, 도 19는 금고 잠금부재(175)의 뒤쪽 끝부분의 부근에 있는 기구의 개략적 부분 정면도이고, 도 20은 금고 잠금부재(175)의 앞 끝부분의 부근에 있는 기구의 개략적 부분 정면도이다.
금고 수납박스(160)는 잠겨지도록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 접하게될 때, 센서(176)가 금고 수납박스(160)에 설치된 검출편(180)을 검출하고, 그렇게 함으로서 금고 수납박스(160)가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 접했다고 확정된다. 다음에 솔레노이드(170)가 구동된다. 솔레노이드(170)가 구동될 때, 슬라이드부재(171)가 도 17에서 왼쪽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이동되고 연결부재(174)가 도 18에서 시계방향으로 지지축(173)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지지축(173)에 정착된 금고 잠금부재(175)가 도 2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금고 수납박스(160)의 측면에 설치된 잠금핀(181)의 위쪽 면에 형성된 홈(182)과 맞물리게 된다. 금고 잠금부재(175)와 잠금핀(181)의 홈(182)이 서로 맞물렸다고 금고 잠금부재(175)의 뒤쪽 끝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출금 개구 덮개(168)에 설치된 센서(177)에 의해 검출된다.
도 21은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10)와 함께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 잠겨지고 접하는 금고 수납박스(160)의 개략적 우측면도이다.
금고 수납박스(160)가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에 잠겨질 때, 금고(110)는 누름부재(178)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눌려지고 그리고 금고 수납박스(160)에서 추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업무가 끝났을 때, 수집슈트(122)는 지지판(114)과 출금 롤러(115a, 115b, 115c, 115d, 115e, 115f)에 근접하게 놓여지고 향하게 되는 위치에 놓여지고,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들이 동시에 구동되어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에 저장된 동전들이 동전 입금개구(122a)을 거쳐 수집슈트(122)에 보내지고, 그렇게 함으로서 동전들이 동전 피드아웃(feed-out) 개구(122b)을 거쳐 금고(110)에 보내진다.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에 저장된 모든 동전들이 금고(110)에 보내졌을 때, 솔레노이드(170)가 전류의 흐름이 검사되고 슬라이드판(171)이 도 17에서 오른쪽으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금고 잠금부재(175)와 잠금핀(181)과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금고 수납박스(160)가 동전 입출금기(1)에서 멀리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금고 수납박스(160)가 지지축(163)에 대해 회전하게 되고, 금고(110)가 금고 수납박스(160)에서 추출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동전 방출개구(119)을 계속해서 열어두기 위해서 슈트(118)의 동전 방출개구(119)을 여닫기 위한 셔터(120)를 잠그기 위한 셔터잠금기구와 동전 출금 개구(8)으로 삽입된 수거 트레이(9)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거 트레이 이동제한 기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낸 것처럼, 출금 개구 덮개(168)는 동전 입출금기(1)의 정면의 거의 중심부분에 동전 출금 개구(168)을 형성하는 절단부(190)로 형성되고 출금 개구 덮개(168)의 거의 중심부분은 슬라이드 가이드(guide)(191)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가이드(191)는 세로방향에 뻗어있고 슈트(118)의 동전 방출개구(119)을 여닫기 위한 셔터(120)의 스트로크(stroke)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2개의 슬롯(도시 생략)으로 형성되고 장착부재(192)의 가이드핀(193, 194)들은 2개의 슬롯에 각각 삽입된다. 슈트(118)의 동전 방출개구(119)을 여닫기 위한 셔터(120)는 장착부재(192)의 거의 중심부분에 고정된다.
슬라이드 가이드(191)의 앞 끝부분의 부근에는, 폭방향의 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도르래(195)가 설치된다. 스프링의 일단부가 슬라이드 가이드(191)에 고정되는 스프링(196)은 도르래(195)에 감겨지고 스프링(196)의 타단부는 장착부재(192)의 가이드핀(193)에 고정되어서 장착부재(192)와 셔터(120)가 정면 측으로 항상 바이어스된다.
도 23은 슈트(118)의 동전 방출개구(119)의 부근에 있는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좌측면도이며, 동전 출금 개구(8)에 설정되는 과정에서 수거 트레이(9)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에 나타낸 것처럼, 폭방향으로 뻗어있는 축(197)은 장착부재(192)에 설치된다. 도 22에 나타낸 것처럼, 셔터(120)는 한 쌍의 슬롯(198)들 형성되고 스프링(199)에 의해 위쪽으로 바이어스된 제한부재(200)는 축(19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3에서, 부호(201)는 제한부재(200)에 접하게 하고 수거 트레이(9)가 동전 출금 개구(8)에 삽입될 때 그것을 축(197)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누름부재를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낸 것처럼, 잠금편(211)은 지지축(2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출금 개구 덮개(168)의 위쪽 면에 설치된다.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도22에서 오른쪽으로 바이어스된 슬라이드부재(171)의 오른쪽 끝부분은 잠금편(211)의 뒤쪽 끝부분에 연결된다. 도 23에서, 부호(215)는 장착부재(192)에 형성되고 잠금편(211)과 맞물릴 수 있는 절단부를 나타낸다.
도 24는 수거 트레이(9)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슈트(118)의 동전 방출개구(119) 부근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 좌측면도이고 도 25는 수거 트레이(9)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수거 트레이 이동제한 기구와 셔터 잠금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수거 트레이(9)가 소정의 위치에 삽입되고 도달한 후에 동전들의 출금을 요청하는 지시신호가 조작부(5)를 통해 입력될 때, 그와 같이 구성된 셔터 잠금기구와 수거 트레이 이동제한 기구는 동전 방출개구를 계속해서 열어두기 위해 셔터(120)를 잠그고 다음의 방법으로 소정의 위치에 수거 트레이(9)를 유지한다.
솔레노이드(170)가 먼저 구동되고 슬라이드부재(171)가 도 22의 왼쪽으로 스프링(도시 생략)의 힘에 대항해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잠금부재(211)는 도 2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지지축(210)에 대해 회전되고 수거 트레이(9)에 의해 뒤쪽으로 눌려진 장착부재(192)의 절단부(215)와 맞물려서, 슈트(118)의 동전 방출개구(119)을 계속 열어두기 위해서 셔터(120)를 잠근다.
다른 한편으로는, 수거 트레이(9)가 동전 출금 개구(8)에 삽입될 때, 제한부재(200)가 도 23과 도 24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축(197)에 대해 회전되도록 누름부재(201)에 의해 눌려진다. 수거 트레이(9)가 도 24에 나타낸 위치에 도달하였고 셔터(120)가 잠겼을 때, 제한부재(200)의 일단부가 수거 트레이(9)의 위쪽 모서리부분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거 트레이(9)가 동전 출금 개구(8)에서 빼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출금될 모든 동전들이 수거 트레이(9)로 출금됐을 때, 솔레노이드(170)는 전류의 흐름이 검사되고 슬라이드부재(171)가 도 22와 도 25의 오른쪽으로 스프링(도시 생략)의 힘에 의해 이동되어서, 장착부재(192)의 절단부(215)와 잠금부재(211)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수거 트레이(9)가 동전 출금 개구(8)에서 빼내질 때, 셔터(120)가 동전 방출개구(119)을 닫도록 스프링(196)에 의해 이동되어서, 제한부재(200)가 도 23과 도 24에서 시계방향으로 축(197)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거 트레이(9)는 제한부재(200)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면서 동전 출금 개구(8)에서 빼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에 저장된 동전들은 동전 입출금기(1)로부터 금고 수납박스(160)를 빼내고 그것을 동전 입출금기(1)의 앞에 위치시킴으로서 수집슈트(122)를 거쳐 금고(110)에 수집될 수 있고,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들에 저장된 동전들은 단지 그것들을 떨어뜨림으로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으로 보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특별한 운반기구를 설치하지 않고도 업무가 끝났을 때 모든 동전들이 금고(110)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 중 어떤 것이 저장할 수 있는 동전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 적어졌을 때, 제 2동전 저장부(61)가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에 저장될 종류의 동전들을 금고(110)에 의해 수집될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수집된 동전 일시 저장유닛(81)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의 동전 저장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그것의 동전 저장용량이 출금을 위해 입금된 동전들을 이용하도록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고 기술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기술된 구성들의 세부사항에는 제한되지 않지만, 첨부한 청구항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수정과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비록 슈트(118)와 수집슈트(122)가 별개로 설치되었지만, 만약 동전들을 동전 방출개구(119)이나 동전 피드아웃 개구(122b)으로 선택적으로 보내기 위해서 게이트부재가 슈트(118)나 수집 슈트(122)에 설치된다면, 슈트(118)와 수집슈트(122) 둘 다를 설치하는 것이 전혀 필요하지 않고 하나의 슈트만으로 충분하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수납할 수 없는 동전들을 동전 반환개구(6)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제 1동전저장부(51)와 수납가능한 동전들을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수집된 동전 일시 저장유닛(81)으로 선택적으로 보내기 위한 제 2동전저장부(61)가 설치된다. 하지만, 만약 어떤 기구가 수납할 수 없는 동전들을 동전 반환개구(6)에 그리고 수납할 수 있는 동전들을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수집된 동전 일시 저장유닛(81)에 선택적으로 보내기 위해서 제 1동전저장부(51)나 제 2동전저장부(61)에 설치된다면, 제 1동전저장부(51)와 제 2동전저장부(61) 중 하나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비록 단지 하나의 역회전 롤러(113)가 설치되었지만, 하나의 역회전 롤러가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의 각각에 대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역회전 롤러가 복수개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을 구성하는 각 그룹에 대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비록 단지 하나의 지지판(114)이 설치되었지만, 하나의 설치판이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의 각각에 대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지지판이 복수개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을 구성하는 각 그룹에 대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콤팩트하고 업무가 끝난 후에 동전이 쉽게 수집될 수 있게 하는 테이블형의 동전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에 저장된 동전들은 동전 입출금기(1)로부터 금고 수납박스(160)를 빼내고 그것을 동전 입출금기(1)의 앞에 위치시킴으로서 수집슈트(122)를 거쳐 금고(110)에 수집될 수 있고, 동전 일시 저장유닛(81a, 81b, 81c, 81d, 81e, 81f)들에 저장된 동전들은 단지 그것들을 떨어뜨림으로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으로 보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특별한 운반기구를 설치하지 않고도 업무가 끝났을 때 모든 동전들이 금고(110)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 중 어떤 것이 저장할 수 있는 동전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 적어졌을 때, 제 2동전 저장부(61)가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에 저장될 종류의 동전들을 금고(110)에 의해 수집될 동전 일시 저장부(80)의 수집된 동전 일시 저장유닛(81)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10a, 10b, 10c, 10d, 10e, 10f)들의 동전 저장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그것의 동전 저장용량이 출금을 위해 입금된 동전들을 이용하도록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동전 입출금기에 있어서,
    동전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개구과, 동전 투입개구를 통해 투입된 동전을 하나씩 운반하기 위한 동전 통로와, 동전이 수용가능한지 여부와 수용가능한 동전들의 종류를 판별하고 동전들을 계수하기 위한 동전 판별 및 계수 수단과, 동전 판별 및 계수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판별의 결과에 근거해서 동전들을 분류하기 위한 동전 분류수단과, 동전 판별 및 계수 수단에 의해 수용가능하다고 판별되고 동전 분류수단에 의해 동전의 종류에 따라서 분류된 동전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동전 일시 저장부와, 동전 일시 저장부에 일시로 저장된 동전들을 받아서 그 동전을 동전의 종류에 따라서 저장하기 위한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와, 동전을 수집하기 위한 금고와, 그리고 동전을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서 금고로 보내기 위한 슈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는 동전 일시 저장부의 밑에 그리고 동전 일시 저장부에서 떨어진 동전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3. 제 1항에 있어서,
    동전 일시 저장부는 동전들의 종류에 따라서 출금용 동전들을 일시로 저장하기 위한 다수개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는 다수개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에서 동전들을 받아서 동전의 종류에 따라서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다수개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 각각은 동전을 받아서 운반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를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 각각은 폭방향의 축주위를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은 회전된 벨트 컨베이어의 하단부들에서 떨어진 동전을 받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4. 제 2항에 있어서,
    동전 일시 저장부는 동전들의 종류에 따라서 출금용 동전들을 일시로 저장하기 위한 다수개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들로 구성되고, 그리고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는 다수개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들에서 동전을 받아서 그 동전을 동전의 종류에 따라서 저장하기 위한 다수개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다수개의 동전 일시 저장유닛은 동전들을 받아서 운반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를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각 벨트 컴베이어는 폭방향의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출금가능 동전 저장유닛은 회전된 벨트 컨베이어들의 하단부에서 떨어진 동전들을 받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5. 제 1항에 있어서,
    동전들이 출금될 수 있는 동전 출금 개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슈트수단은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들을 선택적으로 금고 또는 동전 출금 개구로 보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6. 제 2항에 있어서,
    동전들이 출금될 수 있는 동전 출금 개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슈트수단은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들을 선택적으로 금고 또는 동전 출금 개구로 보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7. 제 3항에 있어서,
    동전들이 출금될 수 있는 동전 출금 개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슈트수단은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에 저장된 동전들을 선택적으로 금고 또는 동전 출금 개구로 보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일시 저장부는 동전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되고 금고에 수집될 동전들을 일시로 저장하기 위한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전 입출금기는 동전을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에서 금고로 보내기 위한 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일시 저장부는 동전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되고 금고에 수집될 동전들을 일시로 저장하기 위한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전 입출금기는 동전을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에서 금고로 보내기 위한 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일시 저장부는 동전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되고 금고에 수집될 동전들을 일시로 저장하기 위한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전 입출금기는 동전을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에서 금고로 보내기 위한 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일시 저장부는 동전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되고 금고에 수집될 동전들을 일시로 저장하기 위한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전 입출금기는 동전을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에서 금고로 보내기 위한 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12. 제 8항에 있어서,
    금고를 수납할 수 있고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금고 수납박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슈트는 금고 수납박스가 제 1위치에 놓여질 때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금고와 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슈트 수단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놓여질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를 금고와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1슈트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놓여질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를 동전 투입개구와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2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13. 제 9항에 있어서,
    금고를 수납할 수 있고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금고 수납박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슈트는 금고 수납박스가 제 1위치에 놓여질 때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금고와 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슈트수단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놓여질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를 금고와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1슈트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놓여질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를 동전 투입개구와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2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금고를 수납할 수 있고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금고 수납박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슈트는 금고 수납박스가 제 1위치에 놓여질 때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금고와 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슈트수단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놓여질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를 금고와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1슈트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놓여질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를 동전 투입개구와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2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금고를 수납할 수 있고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금고 수납박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슈트는 금고 수납박스가 제 1위치에 놓여질 때 수집동전 일시 저장유닛을 금고와 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슈트수단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놓여질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를 금고와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1슈트와 금고 수납박스가 제 2위치에 놓여질 때 출금가능 동전 저장부를 동전 투입개구와 통하도록 하기 위한 제 2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입출금기.
KR1019970047830A 1996-09-20 1997-09-19 동전 입출금기 KR100274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50680 1996-09-20
JP25068096 1996-09-20
JP96-252035 1996-09-24
JP25203596 1996-09-24
JP24883297A JP3305630B2 (ja) 1996-09-20 1997-09-12 硬貨入出金機
JP97-248832 199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88A KR19980024788A (ko) 1998-07-06
KR100274421B1 true KR100274421B1 (ko) 2000-12-15

Family

ID=2733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830A KR100274421B1 (ko) 1996-09-20 1997-09-19 동전 입출금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99804A (ko)
EP (1) EP0831431B1 (ko)
KR (1) KR100274421B1 (ko)
CN (1) CN1082216C (ko)
DE (1) DE69733334T2 (ko)
TW (1) TW33943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229B1 (ko) * 2009-03-02 2009-10-12 금동락 무인 동전입금장치
KR101011542B1 (ko)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오버플로우 박스를 갖는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KR101011545B1 (ko)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3599B1 (en) * 1998-10-20 2001-02-27 Asahi Seiko Co., Ltd. Coin hopper device
JP2000279575A (ja) * 1999-03-29 2000-10-10 Aruze Corp コイン受付装置
JP2001175912A (ja) * 1999-12-21 2001-06-29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判別装置
US7018286B2 (en) 2001-06-01 2006-03-28 Cummins-Allison Corp. Coin holding device for filling coin cassettes
US7066335B2 (en) 2001-12-19 2006-06-27 Pretech A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tributing cash
US7066807B2 (en) * 2002-03-12 2006-06-27 Asahi Seiko Co., Ltd. Compact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KR20030082689A (ko) * 2002-04-18 2003-10-23 미산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동전 출납 장치
US20040181481A1 (en) * 2003-03-12 2004-09-16 Kenneth Carter Method of exchanging coins involving non-cash exchange options
KR100563630B1 (ko) * 2003-12-19 2006-03-22 주식회사 국민은행 지폐/동전 입출금 장치
EP1555636B1 (en) * 2004-01-15 2011-01-12 Jofemar, S.A. Coin validator and dispenser
JP4665087B2 (ja) * 2005-01-05 2011-04-06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入出金装置
US7658668B2 (en) 2005-09-17 2010-02-09 Scan Coin Ab Coin handling equipment
ES2336830T3 (es) 2005-09-17 2010-04-16 Scan Coin Ab Equipo de manipulacion de monedas.
SE0502492L (sv) 2005-11-11 2007-05-12 Scan Coin Ind Ab Kontantdepineringsanordning och associerade förfaranden och anordningar
US20070187485A1 (en) 2006-02-10 2007-08-16 Aas Per C Cash handling
SE529716C8 (sv) 2006-03-08 2007-12-04 Scan Coin Ind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kontantdeponering
US20070228650A1 (en) * 2006-03-31 2007-10-04 Aruze Corp. Gaming machine
WO2007114361A1 (ja) * 2006-04-04 2007-10-11 Glory Ltd. 硬貨入出金機
SE531959C2 (sv) 2006-08-25 2009-09-15 Scan Coin Ind Ab En myntutmatningsanordning och en myntdeponerings- och utmatningsanordning
JP5002794B2 (ja) * 2006-12-19 2012-08-15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の硬貨補給装置
WO2008093420A1 (ja) * 2007-02-01 2008-08-07 Glory Ltd. 硬貨入出金機
JP5022815B2 (ja) * 2007-08-10 2012-09-12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JP5124307B2 (ja) * 2008-02-21 2013-01-23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機
WO2009118882A1 (ja) * 2008-03-28 2009-10-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US8141772B1 (en) * 2008-09-30 2012-03-2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reconciling currency and coin in a cash handling device
JP5065452B2 (ja) * 2010-07-02 2012-10-3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
CN105809808A (zh) * 2016-03-17 2016-07-27 成都大学 机械式硬币分类机
US20190114862A1 (en) * 2016-08-22 2019-04-18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Money item canister
JP1575113S (ko) * 2016-09-05 2017-05-01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787A (ja) * 1982-07-09 1984-01-19 株式会社湊製作所 硬貨自動入出金機
US4558711A (en) * 1983-07-08 1985-12-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processing apparatus
JPS6160195A (ja) * 1984-08-31 1986-03-27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JPS63249289A (ja) * 1987-04-06 1988-10-17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循環式硬貨入出金機
US5059153A (en) * 1988-07-22 1991-10-22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JP2679382B2 (ja) * 1990-08-30 1997-11-19 富士電機株式会社 ベルト式硬貨払出装置
JPH08123987A (ja) * 1994-10-28 1996-05-17 Tec Corp 硬貨収納払出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42B1 (ko)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오버플로우 박스를 갖는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KR101011545B1 (ko)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KR100921229B1 (ko) * 2009-03-02 2009-10-12 금동락 무인 동전입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1431A2 (en) 1998-03-25
EP0831431B1 (en) 2005-05-25
CN1082216C (zh) 2002-04-03
KR19980024788A (ko) 1998-07-06
CN1184297A (zh) 1998-06-10
TW339436B (en) 1998-09-01
EP0831431A3 (en) 2000-03-15
DE69733334D1 (de) 2005-06-30
US5899804A (en) 1999-05-04
DE69733334T2 (de)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421B1 (ko) 동전 입출금기
KR100274412B1 (ko) 동전입출금기
JP3315904B2 (ja) 硬貨入出金機
JP3510121B2 (ja) 硬貨入出金機
JP3305630B2 (ja) 硬貨入出金機
JP3673052B2 (ja) 硬貨入出金機の取引口装置
JP3248849B2 (ja) 硬貨入出金機
CN115136214A (zh) 纸张类处理装置
JPH0620215Y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の硬貨収納装置
JP3258571B2 (ja) 硬貨入出金機
JP2702903B2 (ja) 硬貨処理機の硬貨保留機構
JP3336226B2 (ja) 硬貨処理機
JP2593711Y2 (ja) 硬貨分類装置
JP3258574B2 (ja) 硬貨入出金機
JP3288252B2 (ja) 貨幣入出金機
JP3320989B2 (ja) 硬貨入出金機
JP2580584Y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3288230B2 (ja) 硬貨処理機
JP3258573B2 (ja) 硬貨入出金機
JP2589242Y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3333073B2 (ja) 硬貨入金処理機の入金硬貨一時保留装置
JPH10310333A (ja) 紙幣処理機
JP3288952B2 (ja) 硬貨処理機
JPH0766462B2 (ja) 硬貨処理機の硬貨カセツト装置
JP3036712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