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397B1 -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397B1
KR100272397B1 KR1019980701625A KR19980701625A KR100272397B1 KR 100272397 B1 KR100272397 B1 KR 100272397B1 KR 1019980701625 A KR1019980701625 A KR 1019980701625A KR 19980701625 A KR19980701625 A KR 19980701625A KR 100272397 B1 KR100272397 B1 KR 10027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memory
enco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381A (ko
Inventor
야스히로 도미타
츠카사 기무라
히데아키 기마타
료타 스즈키
다카아키 아키모토
다다시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미야즈 쥰이치로
니뽄 덴신 덴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즈 쥰이치로, 니뽄 덴신 덴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즈 쥰이치로
Publication of KR1999004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onitoring actual compressed data size at the memory before deciding storage at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4Feedback from the receiver or from the transmission channel
    • H04N19/166Feedback from the receiver or from the transmission channel concerning the amount of transmission errors, e.g. bit error rate [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으로의 신호도착이 지연된 경우나, 수신에러를 통지하는 신호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라도, 유효한 참조화상이 (프레임) 메모리내에 존재하지 않는 등의 상황을 회피할 수 있는 화상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에서는,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근거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부로 저장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의 판정, 상기 메모리부 내의 저장위치의 결정, 상기 메모리부에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의 삭제를 포함한다. 화상수신측에서 마지막으로 올바르게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참조화상보다 오래된 참조화상이나,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에러가 통지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참조화상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메모리부의 규모를 삭감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MPEG 등으로 대표되는 범용적인 화상 부호화 방식에서는, 동화상의 정보량을 압축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임간 차이값을 취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프레임간 예측방식 (이하, 프레임간 부호화라 한다)에서는, 이전 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을 예측하고, 그 예측 차이값을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1개의 프레임에 전송로에서 에러가 중첩되어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면, 수신측에서 에러가 발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생성하게 되므로, 에러를 포함한 프레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에러를 포함한 프레임에 의해 다음 프레임이 예측되기 때문에, 그 이후의 프레임에 에러가 전파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화상 데이터에 에러가 중첩되는 상황은, CD-ROM 등 저장 매체로부터의 읽기에러가 발생한 경우, 또는 통신로를 통하는 경우에는, 전송에러가 존재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특히, 무선 전송로를 통하는 경우에는 전송에러가 현저하게 많아진다.
그와 같은 에러를 포함한 전송로상에서의 화상 통신방법의 제1 종래예로서, 수신측에서 에러를 검출한 경우, 이를 화상송신측에 알리고, 화상송신측에서는 이를 받아 프레임간 예측을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를 행하는 프레임내 부호화 (일반적으로, INTRA 부호화라 함)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에는, 움직임 보상과 이산여현변환(DCT)을 조합한 일반적인 화상부호화 방식과, 상기 제1 종래예를 조합한 경우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입력화상은, 감산부(101)에서 참조화상과의 차이값이 취해지고, DCT부(102)에서 DCT가 이루어진다. 처리결과의 DCT 계수는 양자화기(103;Q)에서 양자화되어, 버퍼(buff.;109)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저장된 데이터는 에러제어부 (error cont. 110)의 제어에 의해 독출되어, 전송로(120)를 통하여 송신된다. 양자화기(l03)에서 양자화된 신호는, 역양자화기(Q-1;104)에서 역양자화된 다음, 역DCT부(IDCT;105)에서 역DCT가 이루어지며, 또한, 감산부(101)에서 감산된 신호와 같은 참조화상신호가 가산부(106)에서 가산되어, 프레임 메모리 (FM;107)에 저장된다. 프레임차 제어부(108)에서는, 프레임 메모리(107)에 저장되어 있는 한 프레임 이전의 부호화화상을 독출하여, 참조화상신호로서 감산부(101)에 전송한다. 에러제어부(110)에서는, 수신측으로부터 에러 검출이 통지되면, 프레임차 제어부(108)를 통해 감산부(10l)로 참조화상신호를 입력하던 것을 중단하고,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으로 절환한다.
전송로(120)를 통해 송신된 정보는, 화상수신측의 에러검출부(error detector;111)에서 수신에러가 없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수신에러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역양자화부(Q-1;112)에서 역양자화된다. 그런 다음, 역DCT부(IDCT;113)에서 역DCT가 이루어지고, 가산부(114)에서 프레임 메모리 (FM;115)에 저장되어 있는 한 프레임 이전의 수신화상이 참조화상신호와 가산되어, 모니터 등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프레임 메모리(1l5)에 저장된다. 에러검출부(111)에서 수신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화상송신측에 에러 검출을 통지한다.
에러가 발생한 전송로상에서의 화상 통신방법의 제2 종래예로서, 부호화시, 프레임간 차이값을 취할 때의 참조화상을 변경함으로써, 에러의 전파를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는, 복호화측에서 수신한 프레임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에러가 검출된 것과, 그 프레임번호 또는 올바르게 수신·복호화된 최근의 프레임번호를 부호화측에 통지한 다음, 부호화할 때의 프레임의 참조화상을,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이 아니라, 마지막에 올바르게 수신된 프레임으로 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방법을 말한다.
도 19에는, 움직임 보상과 이산여현변환(DCT)을 조합한 일반적인 화상 부호화방식과, 상기제2 종래예를 조합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서, 참조번호 201∼215, 220의 각 요소는, 도 18의 101∼115, 120의 각 요소에 대응된다.
제1 종래예와의 차이는, 참조부호 207 및 2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가 복수개 있다는 것과, 프레임 메모리 저장부(216 및 218)가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7 및 219)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먼저, 화상송신측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화상은 감산부(201)에서 참조화상과의 차이값이 발생되고, DCT(202)부에서 DCT가 이루어진다. 처리결과의 DCT 계수는 양자화기(203)에서 양자화되어, 버퍼(209)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저장된 데이터는 에러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독출되어, 전송로(220)를 통해 송신된다. 이 때 에러제어부(210)는, 부호화된 프레임번호와 참조화상으로 사용한 프레임의 번호도 함께 송신한다.
양자화기(203)에서 양자화된 신호는, 역양자화기(204)에서 역양자화된 뒤, 역DCT(205)부에서 역DCT된다. 그리고, 가산부(206)에서, 역DCT된 신호에 감산부(201)에서 감산된 신호와 같은 참조화상신호가 가산되고, 가산된 신호가 프레임 메모리 저장부(216)에 보내어진다.
프레임 메모리 저장부(216)는, 송신받은 데이터(프레임)를, 도 19의 FM1→FM2→…→FMn→FM1…의 순서로 프레임 메모리(207)에 저장하고, 어느 프레임 메모리에 몇번째 프레임을 저장하였는지를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7)에 통지한다.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7)는, 프레임 메모리 저장부(216)로부터 통지받은 프레임 메모리와 프레임 번호와의 대응관계를 저장함과 동시에, 에러제어부(210)의 신호에 따라, FM1부터 FMn까지의 프레임 메모리(207)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에 저장된 프레임을 독출하여, 프레임차 제어부(208)에 보낸다. 프레임차 제어부(208)는, 독출한 프레임 메모리의 내용을 참조화상신호로서 감산부(201)에 보낸다.
에러제어부(210)에서는, 전송로(220)를 통해 화상수신측의 에러검출부(211)로부터 에러의 검출 및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 번호를 통지받은 경우, 화상수신측에서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 번호를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7)에 통지한다.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7)는, 통지받은 프레임 번호 직전의 새로운 번호의 프레임을 프레임 메모리(207)로부터 독출하여, 프레임차 제어부(208)에 보낸다. 그리고, 독출한 프레임 번호를 화상송신측의 에러제어부(210)에 통지한다. 에러제어부(210)는, 통지받은 프레임 번호를 참조화상의 프레임번호로서 부호화중인 프레임번호와 함께 화상수신측에 통지한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7)에서, 에러제어부(210)로부터 통지받은 프레임번호보다 이전 번호의 프레임이 프레임 메모리(207)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프레임차 제어부(208)에서 감산부(201)로 참조화상신호를 입력하던 것을 중단하고, 프레임내 부호화로 절환시킨다. 또한, 에러제어부(210)는, 수신측의 에러검출부(211)로부터 계속 통지되는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번호를 나타내는 신호(화상수신측에서 참조화상을 변경하여 부호화시킨 화상이 수신될 때까지, 계속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이를 무시한다.
다음, 화상수신측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송로(220)를 통해 송신된 정보(데이터)는, 에러검출부(211)에서 수신에러가 없는지 판정되고, 수신에러가 없는 경우에는, 역양자화부(212)에서 역양자화된 뒤, 역DCT부(213)에서 역DCT된다. 또한, 에러검출부(211)는, 에러제어부(210)로부터 통지받은 현재의 부호화화상이 참조화상신호로 사용한 프레임번호를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9)에 통지하고, 그 프레임번호의 프레임을 프레임 메모리(215)로부터 독출하여, 가산부(214)에 보낸다. 가산부(214)에서는 보내어진 참조화상신호를 수신신호와 가산하여, 모니터 등으로 출력하고, 프레임 메모리 저장부(218)에 보낸다.
프레임 메모리 저장부(218)는, 화상송신측의 프레임 메모리 저장부(216)와 완전히 같은 동작, 즉 송신받은 데이터(프레임)를 FM→FM2→…→ FMn→FM1→…의 순서로 프레임 메모리(215)에 저장하고, 어느 프레임 메모리에 몇번째 프레임을 저장하였는지를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9)에 통지한다.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9)는, 프레임 메모리 저장부(218)로부터 통지받은 프레임 메모리와 프레임번호와의 대응관계를 저장해 두고, 에러검출부(211)의 신호에 따라, FM1부터 FMn의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하나를 선택하고 저장된 프레임을 독출하여, 가산부(214)에 보낸다.
에러검출부(211)에서는, 수신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화상송신측에 에러가 검출되었다는 것과,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번호 또는 올바르게 수신·복호화된 최근 프레임번호를 통지한다. 또한, 에러검출부(21l)는,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번호를 저장해 두고, 그 프레임번호보다 이전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참조화상으로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 또는 프레임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저장해 둔 프레임번호를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9)에 계속 통지한다.
도 20은, 제2 종래예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프레임 메모리(207 및 215)의 수가 4인 경우의 동작예를 시계열로 나타낸 도면
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301는, 화상송신측에서 부호화중인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303은, 하나의 프레임의 부호화가 종료하고, 다음 프레임의 부호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프레임 메모리(FM1∼FM4 ; 207)의 내용을, 프레임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번호 302는 화상수신측에서 복호화하고 있는 프레임번호를 나타내고, 304는, 하나의 프레임의 복호화가 종료하고, 다음 프레임의 복호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프레임 메모리(215)의 내용을, 마찬가지로 프레임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호화측의 처리 프레임 번호(301)와 복호화측의 처리 프레임 번호(302)가 다른 것은, 전송에 걸리는 시간 때문이다. 또한, 도면 중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화살표(실선)에 붙여진 숫자에 대해서는, 예컨대「9/8」은, 프레임번호 8의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하여 프레임번호 9의 부호화를 실시한 (화상)데이터를 의미한다. 실제로,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량이 대량으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고 있으나, 도면을 알기 쉽게 표시하기 위해, 화상 데이터의 마지막 부분만을 화살표(실선)로 나타내었다.
도 20의 본 동작예에서는, 프레임번호 10의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에러검출부(211)는, 에러를 검출하면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번호를 포함하는 Nack신호(도면에서 305 참조)를 송출한다. 또한, 에러검출부(211)는, 에러가 발생된 프레임번호인 10을 저장해 둔다. 이 Nack 신호(10N)는, 화상송신측이 프레임번호 12를 처리하고 있는 도중에 에러제어부(210)로 수신되고, 에러제어부(210)는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7)에 대하여,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번호 10 이전의 가장 최근의 새로운 번호인 9를 선택하고, 그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서, 다음 프레임번호 l3의 프레임이 부호화되도록 제어한다. 동시에, 참조화상으로서 프레임 9를 사용한 것을 화상수신측에 통지한다(도면 중 306참조). 상기 신호를 수신한 에러검출부(211)는,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9)에 대하여, 프레임 번호 9를 참조화상으로서 선택하여 독출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에러검출부(211)는, 프레임 번호11, 12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가령 그 자체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참조화상이 10보다 큰 번호의 프레임이기 때문에, 프레임 번호 10을 포함하는 Nack 신호(10N)를 계속 송출한다.
본동작예의 경우에서는, 에러가 발생한 10번째 프레임, 및 그것을 참조화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11번째의 프레임, 11번째의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12번째의 프레임에는 에러가 전파되나, 참조화상을 변경한 13번째의 프레임에는 에러가 전파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2 종래예에서는,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프레임내 부호화로 절환시키지 않고 에러의 전파를 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종래예에서는, 프레임내 부호화를 행함으로써, 에러가 없는 경우에 비해 한 프레임의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따라서 전송 프레임수의 감소, 그리고, 양자화 스텝수를 성기게 함으로써 복호화상 품질의 열화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데이터량이 많기 때문에,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가 다시 에러를 포함할 확률이 많아져, 계속 프레임내 부호화를 실시해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종래예에서는, 화상수신측이 화상송신측에 보내는 Nack 신호가 어떠한 원인으로 화상송신측에 도달하는 것이 지연되었을 경우, 화상송신측이 참조화상을 변경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고,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이미 프레임 메모리내에 적당한 참조화상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버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Nack 신호가 도중에 에러를 포함하여 화상송신측에서 인식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이 긴 경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이 변동하는 경우, 또한, 부호화후의 데이터량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때에는, 제2 종래예에서도 프레임내 부호화를 하는 방법만으로는 에러의 전파를 저지하기가 힘들어져, 제1 종래예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경우와 같은 조건하에서, 화상수신측으로부터 화상송신측으로의 신호에 에러가 발생하여 화상송신측에서 인식할 수 없는 경우의 동작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동작예에 있어서, 참조번호 401은 화상송신측에서 부호화중인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내고, 403은, 하나의 프레임의 부호화가 종료하고, 다음 프레임의 부호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프레임 메모리(207)의 내용을 프레임번호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402는 수신측에서 복호화중인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내고, 404는, 하나의 프레임의 복호화가 종료하고, 다음 프레임의 복호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프레임 메모리(215)의 내용을 마찬가지로 프레임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부호화측의 처리 프레임번호(401)와 복호화측의 처리 프레임번호(402)가 다른 것은, 전송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본동작예에서는, 도 20의 경우와 같은 프레임번호 l0의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에러검출부(211)는, 에러가 검출되면,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번호를 포함하는 Nack 신호를 송출한다(도면 중 405참조). 여기서, 상기 Nack 신호에 에러가 발생하여, 에러제어부(210)에서 인식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화상송신측은 번호 12의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하여 프레임번호 13을 부호화한다. 다음, 화상수신측에서는 프레임번호 11의 데이터를 수신하나, 이는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번호 10을 참조화상으로 하여 부호화된 것이기 때문에, 프레임번호 10를 포함하는 Nack신호를 송신한다(도면 중 406참조). 상기 Nack 신호(10N)가, 송신측이 프레임번호 13을 처리하고 있는 도중에 에러제어부(210)로 수신되면, 에러제어부(210)는,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7)에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번호 10 이전의 가장 최근의 새로운 번호를 선택하도록 하고, 프레임번호 14를 부호화하려고 하나, 이 시점에서, 프레임번호 10 이전의 프레임은 프레임 메모리(207)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레임번호 14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프레임내 부호화를 실시해야 한다(도면 중 407참조).
다음,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건에서, 전송에 걸리는 시간이 긴 경우의 동작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번호 10의 화상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여, 이를 통지하는 Nack 신호(10N)가 에러제어부(210)에 수신되나, 그 신호의 도착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에(도면에서 505참조), 화상송신측에서 부호화할 다음 프레임은 프레임번호 15로 옮겨지고, 그 프레임번호 15를 부호화하는 시점에서는, 프레임번호 10 이전의 프레임이 프레임 메모리(207)내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번호 15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프레임내 부호화를 실시해야 한다.
본 발명은, 무선 전송로나 LAN 등 전송에러가 현저하게 발생할 수 있는 전송로를 이용하여 화상을 전송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의 동작 흐름도(1)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의 동작 흐름도(2)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동작예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화상 부호화 방식과 제1 실시예를 조합한 변형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타이머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의 동작 흐름도(1)이다.
도 9는 도 6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의 동작 흐름도(2)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의 동작예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화상 부호화 방식과 제2 실시예를 결합한 변형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프레임계수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의 동작 흐름도 (1)이다.
도 15는 도 12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의 동작 흐름도 (2)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의 동작예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일반적인 화상 부호화 방식과 제3 실시예를 조합한 변형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일반적인 화상 부호화 방식과 제1 종래예를 조합한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일반적인 화상 부호화 방식과 제2 종래예를 조합한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20은 제2 종래예의 동작예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제2 종래예의 다른 동작예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제2 종래예의 또 다른 동작예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의 동작의 부분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상기 제2 종래예에서 보이는 결점을 해결한, 즉, 화상수신측으로부터 화상송신측에 수신 에러를 통지하는 신호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또는 화상수신측으로부터 화상송신측에의 신호의 도착이 지연된 경우라도, 변경할 참조화상이 프레임 메모리내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내 부호화로 절환함으로써, 화질이 열화하거나, 또는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다시 에러를 포함하게 되어, 프레임내 부호화를 반복하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는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송신측에,
입력화상을,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부;
화상수신측에서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에러의 유무와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신호를 그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에 의한 부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 상기 부호화부가 사용할 참조화상을 결정하는 참조화상 결정부;
상기 부호화부가 사용한 참조화상의 번호를 상기 화상수신측에 통지하는 참조화상 통지부;
상기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화상번호 통지부를 포함하며,
화상수신측에,
상기 화상송신측의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화상 데이터의 에러의 유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화상송신측의 화상번호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화상번호를 수신하는 화상번호 수신부;
상기 화상번호 수신부가 수신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번호와, 해당 화상 데이터에 관한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가 검출한 에러의 유무를 통지하는 신호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송신하는 신호송출부;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복호화 화상 데이터를, 상기 복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한 메모리부;
상기 화상송신측의 참조화상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부호화시의 참조화상번호를 수신하는 참조화상번호 수신부;
상기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참조화상번호 수신부가 수신한 참조화상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 상기 복호화부가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참조화상 결정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송신측의 신호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상기 메모리부로의 저장 제어가 이루어지는 메모리 변경수단을 더 포함하고, 그 제어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 판정, 상기 메모리부 내의 저장 위치의 결정,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발명은 화상 송신측이,
입력화상을,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부호화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과정;
화상수신측에서 수신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에러의 유무와 그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신호를 그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부호화 화상데이타를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수신측에서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 상기 부호화에서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부호화에서 사용한 참조화상의 번호를 상기 화상수신측에 통지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한편, 상기 화상수신측이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화상 데이터의 에러의 유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화상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번호와, 해당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검출된 에러의 유무를 통지하는 신호를 상기 화상 송신측에 송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화상 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된 부호화시의 참조화상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복호화 화상 데이터를 상기 복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참조화상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에서, 상기 복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화상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송신측이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그 제어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가의 여부 판정, 상기 메모리부내의 저장 위치의 결정,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의 삭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변경수단에 의한 저장 제어에 의해, 화상수신측에서 마지막으로 올바르게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참조화상보다 이전의 참조화상이나,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 에러가 통지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참조화상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메모리부의 버퍼영역 (프레임 메모리의 수 등)을 줄이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의 처리단위는, 프레임 단위가 대표적이나, 그 외에도,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상의 소영역이나 그 소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의 집단의 단위를 처리단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응용한 형태예를 들기로 한다.
상기 화상송신측이, 상기 신호수신부가, 미리 설정해 둔 시간내에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에 이를 알리는 타이머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하면,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의 저장제어에 의해, 화상수신측으로부터 화상송신측으로의 신호, 특히, 수신 에러를 통지하는 신호에 에러가 생겨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전송지연의 증가, 화상수신측의 처리지연 등에 의해 신호의 도착이 지연되는 경우라도, 조속히 참조화상을 변경함으로써 화상수신측에서의 에러화상으로부터의 복귀를 앞당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송신측이, 상기 부호화부가 미리 설정해 둔 양의 화상을 부호화하는 중에, 상기 신호수신부가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에 이를 통지하는 화상계수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하면,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의 저장제어에 의해, 화상의 부호화량에 격차나 생기거나, 또한 화상수신측부터의 신호, 특히, 화상송신측에 수신 에러를 통지하는 신호에 에러가 발생하여 수신받을 수 없는 경우, 또는 전송지연의 증가, 화상수신측의 처리지연 등에 의해 신호의 도착이 지연되는 경우라도, 조속히 참조화상을 변경함으로써 화상수신측에서의 에러화상으로부터의 복귀를 앞당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송신측이, 그 송신측의 메모리부의 내용을 감시하고, 그 메모리부에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에 사용할 수 있는 참조화상이 하나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부호화부에 이를 통지하는 메모리 유지상황통지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메모리 유지상황 통지수단으로부터 통지를 받았을 경우, 다음 화상의 부호화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으로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메모리부에 참조화상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입력화상이 프레임간 부호화되어 버리는 등의 특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부가,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방식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을 병용하여, 어느 한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는 경우, 상기 화상송신측이, 상기 부호화부가 프레임내 부호화를 행한 경우,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에 이를 통지하는 부호화상황 통지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하면,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의 저장제어에 의해, 프레임내 부호화가 이루어진 경우에, 그 부호화에 의한 에러파급 방지효과를 고려하여, 메모리내의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여 다음 부호화가 보다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메모리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수신측에, 그 수신측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통지하는 메모리정보 통지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화상송신측에, 상기 메모리정보 통지수단으로부터 통지된 화상정보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상기 송신측의 참조화상 결정부에 통지하는 메모리정보 수신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화상송신측의 참조화상 결정부는, 상기 참조화상의 선택을, 상기 신호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 및 상기 메모리정보 수신수단으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따라서, 화상송신측의 참조화상 결정부가, 화상수신측의 메모리부내에 존재하지 않는 화상을 참조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수신측에,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가 검출한 에러의 유무의 정보를 받아, 에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호화부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수신측의 메모리부에 보내어지지 않도록 제어하고, 에러가 없는 경우에는 그 복호화부로부터의 출력이 메모리부에 보내어지도록 제어하는 절환 수단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따라서, 시스템내부에서는 에러가 없는 화상 데이터만이 보관되도록 하면서, 에러화상을 과감하게 이용한, 사용자에게 있어 보다 사용하기 용이한 시스템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 응용형태예에 의해 거둘 수 있는 효과는, 각 형태의 동작에 대응하는 방법의 실행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에서의 화상송신측의 각 구성요소를 갖는 송신장치, 화상수신측의 각 구성요소를 갖는 수신장치, 및, 이들 각 장치에 대응하는 방법, 또한, 상술한 각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해 둔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우선, 화상송신측(1101)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 등으로부터 입력된 화상은, 프레임간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을 행하는 화상 부호화 방식에 의한 부호화부(601)에 의해 부호화되고, 부호화부(601)로부터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로 보내어진다.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후술하는 화상수신측으로부터 Ack, Nack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602)의 신호에 의해, 부호화부(601)의 참조화상용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부(603)에 저장할 것인지, 저장한다면 복수개 유지할 수 있는 버퍼(프레임 메모리)의 어느 곳에 저장할 것인지, 또는, 삭제할 경우에는 프레임 메모리의 어느 부분 또는 전부를 삭제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프레임번호 통지부(607)로부터 통지되는 프레임번호와 (저장한) 부호화부(601)로부터의 참조화상용 데이터를 대응시킨다. 구체적인 결정방법의 예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참조화상 결정부(604)는,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다음에 부호화할 프레임의 참조화상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프레임 메모리부(603)로부터 독출하여 부호화부(601)로 보낸다. 구체적인 결정방법의 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참조화상 통지부(606)를 통해, 부호화에 사용한 참조화상의 번호를 화상수신측에 통지한다. 그리고, 부호화된 프레임번호를 프레임번호 통지부(607)를 통해 화상수신측에 통지한다.
다음, 화상수신측(1201)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화상신호 수신부(608)는, 화상송신측으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부호화 데이터의 에러의 유무를 검지하여, 에러가 검지된 경우에는, 신호송출부(609)로 통지한다. 신호검출부(609)는,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프레임번호를, 화상송신측의 프레임번호 통지부(607)로부터 통지되는 프레임번호를 수신하는 프레임번호 수신부(610)로부터 독출하여, 에러가 검출됨을 나타내는 Nack 신호를 그 프레임번호와 함께 화상송신측에 통지한다.
또한, 화상신호 수신부(608)는,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신호검출부(609)에 통지한다. 신호검출부(609)는, 그 때의 프레임번호를 프레임번호 수신부(610)로부터 독출하여, 에러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Ack 신호를 그 프레임번호와 함께 화상송신측에 통지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에러가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화상송출측에 통지한다.
화상신호 수신부(608)에서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는 복호화부(613)에서 복호된다. 여기서, 에러없이 복호화할 수 있는 경우에는, 참조화상 결정부(611)는, 화상송신측의 참조화상 통지부(606)로부터 통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참조화상 번호가 무엇인지를 참조화상번호 수신부(612)를 통해 알아내서, 그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부(614)로부터 독출하여, 복호화부(613)에 보낸다.
복호화부(613)는, 화상 데이터를 에러없이 복호하여 모니터등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프레임 메모리부(614)에 저장한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모니터 등으로의 출력이나 프레임 메모리부(614)로의 저장을 실시하지 않는다. 프레임 메모리부(614)는, 프레임번호 수신부(610)로부터 프레임번호를 독출하여, 복호화부(613)가 저장할 복호한 화상과 대응시킨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부(614)는, 참조화상 결정부(611)에, 새로이 저장한 프레임번호와 그 (메모리 내의) 위치를 통지한다.
본실시예에서의 각 부분의 상세한 것은, 화상 송신측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를 제외하고는, 제 2 종래예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 19의 구성과 같다. 단, 도 19의 에러제어부(210), 에러검출부(211)에 해당하는 부분의 동작이 제 2 종래예와 다르다.
제 2 종래예에서 설명한 에러 검출부(211)는,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에만 에러 제어부(210)에 이를 통지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화상수신측의 화상신호 수신부(608)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올바르게 수신한 프레임 번호를 포함한 Ack신호를 화상송신측의 신호수신부(602)에 통지한다. 마찬가지로, 에러제어부(210)은, 에러검출부(211)로부터 에러를 통지받았을 때에만 프레임 메모리 선택부(219)에 이를 통지하였으나, 본 발명의 신호수신부(602)는, 에러없이 수신했다는 것을 통지받았을 경우에도, 이를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통지한다.
이어서, 본발명의 특징인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신호수신부(602)로부터의 입력과 부호화부(601)로부터의 입력을 감시하여(701, 702), 각각의 입력에 따라 동작한다. 구제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시스템 동작예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의 ①은 도 3의 ①로, 도 3의 ②는 도 2의 ②로 처리의 흐름이 계속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실시예의 동작예를 시계열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기재 형식 및 각 부호의 의미는 도 20과 같고, 프레임 메모리부(603 및 614)의 내부 프레임 메모리(버퍼)수가 4인 경우의 동작예를 시계열로 나타내고 있다.
참조번호 801은, 화상 송신측에서 부호화중인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내며, 803은, 하나의 프레임의 부호화가 종료하고 다음 프레임의 부호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프레임 메모리부(603)의 참조버퍼(프레임 메모리(FM1∼FM4))의 내용을 프레임 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802는, 화상수신측에서 복호화중인 프레임번호를 나타내며, 804는 하나의 프레임의 복호화가 종료하여 다음 프레임의 복호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프레임 메모리(614)의 참조버퍼(프레임 메모리 (FM1∼FM4)의 내용을, 마찬가지로 프레임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부호화측의 처리 프레임번호 801과 복호화측의 처리 프레임번호 802가 서로 다른 것은, 전송에 걸리는 시간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면의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화살표(실선)에 부여된 숫자에 대해서는, 예컨대「9/8」는, 프레임번호 8의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하여 프레임번호 9의 부호화를 행한 (화상)데이터를 나타낸다. 다만, 참조 버퍼의 표기는, 어느 프레임이 최근의 것인지를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도 20과 같이 이전 프레임을 위에 기재하지 않고, 최신 프레임이 FM4에 존재하는 스택형 메모리관리를 가정하여 기재하고 있다.
화상수신측으로부터 프레임번호 9를 포함하는 Ack 신호 (9A)를 수신한 화상송신측의 신호수신부(602)는, 이를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통지한다.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도 3의 703단계의 처리에 따라, 번호 9보다 이전 프레임인 번호 7, 8의 프레임을 프레임 메모리부(603)로부터 삭제한다.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603)의 내용은, 번호 9, 10의 프레임이 된다. 다음, 도 3의 704단계의 처리에 따라, 참조화상 결정부(604)에 대하여, 프레임 메모리부(603)내의 최신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이어서, 번호 l1의 프레임의 부호화가 종료하면, 번호 11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부호화부(601)로부터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로 송신된다.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도 2의 705단계의 처리에 따라, 번호 11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부(603)에 저장한다. 그 후, 부호화부에 의해 번호 12의 프레임의 부호화가 시작되나, 그 때의 프레임 메모리부(603)의 내용은, 도 4에서 부호 805로 도시된 바와 같이, 「9, 10, 11」로 되어있다. 또한, 참조화상으로서 프레임 메모리부(603)내의 최신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사용하도록 지시받은 참조화상 결정부(604)는, 이 시점에서의 최신 프레임인 프레임 11를, 프레임 12의 부호화의 참조화상으로서 사용하도록 작용한다.
다음, 번호 12의 프레임의 부호화중에 번호 10의 프레임의 Nack 신호(10N)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하자. 신호수신부(602)는, 이를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통지한다.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도 3의 706단계의 처리에 따라, 직전 프레임 이외의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사용한 프레임을 찾아내나, 프레임 메모리 내의 번호 9, 10, 11의 각 프레임도 모두 직전의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707단계의 처리에 따라, Nack신호에 기재된 번호 10 이후의 프레임 10, 11을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삭제한다.
또한, 708단계의 처리에 의해, 현재 부호화중인 번호 12의 프레임은 프레임 메모리부(603)에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 번호 12의 프레임의 부호화 종료시의 프레임 메모리의 내부는 참조부호 80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9]로만 되어 있다. 다음, 프레임 13의 부호화를 시작하나, 그 때의 참조화상은, 704단계의 처리에 의해, 프레임 메모리내의 유일한 최신 프레임인 프레임 9가 사용된다.
다음, 프레임 13의 부호화중에 프레임 10의 Nack신호(10N)을 다시 수신한 신호수신부(602)는, 이를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통지한다.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도 3의 706단계의 처리에 따라, 직전 프레임 이외의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사용한 프레임을 찾아낸다. 이번에는 프레임 13이 직전 프레임이 아니라 프레임 9를 참조화상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도 3의 709단계(본 동작예에서는 해당되는, 삭제해야 할 프레임은 없음), 704단계의 처리에 따라, 프레임 13의 참조화상으로서 프레임 14를 부호화한다.
다음 프레임 14의 부호화중에 프레임 10의 Nack신호(10N)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은 위와 같다.
마지막으로, 프레임 15의 부호화중에 프레임 13의 Ack신호(13A)를 수신한 신호수신부(602)는, 이를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통지한다.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703단계의 처리에 따라, Ack 신호에 기재된 프레임 번호 13보다 이전 번호의 프레임 9를 프레임 메모리 내에서 삭제한다. 프레임 16의 부호화는, 704단계의 처리에 따라, 프레임 15를 참조화상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는 움직임 보상과 이산여현변환(DCT)를 결합한 일반적인 화상부호화 방식을 상기 실시예와 조합한 변경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을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화상의 처리 단위는 프레임 단위뿐만 아니라, GOB(Group of Block :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상의 소영역)이나, MB(Macro Block : GOB를 구성하는 화소(Cr, Cb, Y)의 집단의 단위)를 단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변형실시예에서는, 도 1의 각부의 명칭에 대하여, '프레임 번호' 대신 '화상번호'를 채용하고, '프레임 메모리' 대신 복수의 화상 메모리(M1, M2,…M3)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를 채용하며, 또한,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 대신 '메모리 변경부'를 채용하였다. 단, 도 5의 변형실시예에서는, 도 1에 해당되는 구성부분에는,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었다. 또한, 종래예에서의 화상송신측의 감산부, 이산여현변환부(DCT), 양자화기(Q), 역양자화기(Q-1), 역DCT부(IDCT), 가산부, 및 프레임차 제어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도 5에서는 부호화부(601)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종래예의 화상수신측의 역양자화기(Q-1), 역DCT부(IDCT), 및 가산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도 5에서는 복호부(613)로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화상 메모리(M1, M2, …M3)와 메모리 저장부(614a)를 결합하여 메모리(614)로 기재하였다.
또한, 화상의 처리단위를 프레임이 아닌 프레임보다 작은 단위로 할 경우, 움직임 보상을 실시하는 범위를, 그 소단위 내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화상을 변경함으로써, 프레임간 부호화를 계속하면서 에러파급을 방지하는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종래의 기술에서는 참조화상이 프레임 메모리내에 존재하지 않게 되어 프레임내 부호화가 부득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프레임 메모리수로, 마지막에 올바르게 수신된 프레임의 참조화상을 프레임 메모리내에 유지해 둘 수 있으며, 화상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잘 동작하지 않은 경우라도, 아무런 문제없이 동작시킬 수가 있다.
다음, 본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제 2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인 도 1에 대하여, 타이머를 내장한 타이머부(615)가 부가되어 있다. 그 외의 각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 각 부분에는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7은, 타이머부(615)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본실시예에서의 동작에서는, 도 1의 각 부에 의한 상술한 동작과 함께, 신호수신부(602)는, 화상수신측의 신호송출부(609)로부터의 Ack, Nack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이를 타이머부(615)에 통지한다. 타이머부(615)는, 이 신호에 따라 타이머 리셋을 하고 재기동을 반복하나, 이 신호가 통지되지 않아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에는, 이를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통지한다.
도 8 및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동작과 함께, 타이머부(61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도 참조화상을 변경하는 조작이 일어날 수 있다.(C01단계) 또한, 도 8의 ①은 도 9의 ①로, 도 9의 ②는 도 8의 ②로, 도 8의 ③은 도 9의 ③으로, 처리의 흐름이 각각 계속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예를 시계열로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의미는 도 4와 같으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타이머부(615)는,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의 수신에 의해 내장된 타이머를 리셋하고, 재기동을 반복한다. 본 동작예에서는, 도 4와 마찬가지로, 10번째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에 대응하는 Nack신호에도 에러가 발생하여, 신호가 소실되어 버린(화상 송신측의 신호수신부(602)에서 인식할 수 없었던)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타이머부(615)에서는, 프레임 9의 Ack신호의 수신으로부터 기동하고 있던 타이머가 만료하게 되므로, 타이머 만료가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로 통지된다. 이를 받아,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13번째 프레임에 대한 참조화상을 Ack 신호를 수신한 9번째 프레임 화상으로 변경한다.
또한, 타이머부(615)에 설정할 타이머값은, 신호의 왕복지연시간을 기준으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도 11은, 움직임 보상과 이산여현변환(DCT)를 조합한 일반적인 화상부호화 방식과, 제 2 실시예를 조합한 경우의 변형 실시예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관한 변형구성예에 대응하는 제 2 실시예의 변형 구성예로서, 도 5에 대하여 타이머부(615)가 부가되어 있다. 그 외의 각 부는, 도 5의 (제 1 실시예의) 변형 구성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이들 각 부분에는 도 5와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 2 변형실시예에 따르면, 타이머부를 부가함으로써, 화상 수신측으로부터의 신호, 특히 Nack신호가, 에러 등에 의해 화상 송신측에서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또는 전송지연의 증가, 수신측의 처리지연 등에 의해, 화상 송신측에서의 수신이 지연된 경우에, 조속히 참조화상을 변경할 수 있어, 화상수신측에서의 에러화상으로부터의 복귀를 앞당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서, 제 1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화상 수신측으로부터의 프레임 10에 대한 Nack 신호(10N)가 화상송신측에서 수신된 다음, 프레임 14에 대한 참조화상을 변경하게 되나, 제 2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프레임 13에 대한 참조화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제 1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인 도 1에 비해, 프레임 계수부(616)가 부가되어 있다.
도 13은, 프레임 계수부(616)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본실시예에서의 동작은, 도 1의 각 부분에 따른 상술한 동작과 함께, 신호수신부(602)는, 신호송출부로부터의 Ack, Nack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프레임 계수부(616)에 통지한다. 또한, 프레임번호 통지부(607)은, 부호화된 화상의 프레임 번호를 프레임 번호 수신부(610)로 보냄과 동시에, 프레임 계수부(616)에도 통지한다. 프레임 계수부(616)은, 프레임 번호 통지부(607)로부터 통지받은 프레임수를 계수하여, 상기신호의 통지를 받은 경우에 계수값의 리셋을 반복하지만, 그 신호가 통지되지 않으므로 계수값이 리셋되지 않으며, 규정매수를 초과한 경우에, 이를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통지한다.
도 14, 도 15는, 제 3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의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의 동작과 함께, 프레임 계수부(616)의 신호에 의해서도 참조화상을 변경하는 조작이 이루어진다(H01단계). 또한, 도 14의 ①은 도 15의 ①로, 도 15의 ②는 도 14의 ②로, 도 14의 ③은 도 15의 ③으로, 처리의 흐름이 각각 계속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6은, 제3 실시예의 동작예를 시계열로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의미는 도 4도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동작예에서는, 프레임계수부(616)에 대하여, 계수치가 3에 이른 경우, 이를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 계수부(616)는, 부호화가 진행됨에 따라, 부호화된 프레임의 수를 계수해 간다. 다만, Ack신호 또는 Nack 신호나 수신된 경우, 계수값을 리셋한다.
본 동작예에서는, 11번째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에 대한 Nack신호(1lN)에도 에러가 발생하여, 신호가 소실되어 버린(화상송신측에서 인식할 수 없었던)상황이 두 번 연속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프레임 계수부(616)는, 프레임 12의 부호화 종료시부터 계수하였던 계수치가, 프레임 14의 부호화 종료에 의해 3이 되었기 때문에, 이를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통지하고,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15번째 프레임의 참조화상을 Ack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10번째 프레임 화상으로 변경한다.
또, 프레임 계수부(616)에 설정할 설정치는, 신호의 왕복지연시간과 부호화할 화상 데이터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면 된다.
도 17은, 움직임 보상과 이산여현변환(DCT)을 조합한 일반적인 화상부호화 방식과, 제3 실시예를 결합한 경우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도면은, 도 5에 도시된 제1 변형실시예에 대응하는 제3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에 비하여 프레임 계수부에 대응하는 화상신호 계수부(616)가 부가되어 있다. 그 밖의 각 부분은, 도 5의 제1 변형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 각 부분에는 도 5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제3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신호 계수부를 둠으로써, 부호화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 량에 격차가 생기거나, 화상 수신측의 신호, 특히 Nack 신호가, 에러 등으로 화상송신측에서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또는 전송지연의 증가, 수신측의 처리지연 등으로, 화상송신측에서의 수신이 지연된 경우에, 조속히 참조화상을 변경할 수 있어, 화상수신측에서의 에러화상으로부터의 복귀를 앞당길 수 있게 된다. 특히, 프레임간 차이값을 취하는 화상 부호화방식의 경우, 해상도를 조정하여 데이터량이 일정하도록 제어하지 않으면, 화상의 내용에 따라 부호화된 데이터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경우에 적용하여도 유효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대하여, 제2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9에 대한 Ack 신호(9A)수신에서 프레임 10에 대한 Ack신호 (10A)의 수신까지의 시간보다도 타이머값을 크게 하는 것이 적당하나, 그와 같이 하면 10A 수신에 의해 기동된 타이머가 만료되는 것은 프레임 15의 부호화가 종료한 뒤로, 프레임 16의 부호화중이 된다. 따라서, 참조화상의 변경은 프레임 17부터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 15의 참조화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은, 제4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인 도 1에 대하여, 메모리 유지상황 통지부(621)나 부가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의 동작에 있어서, 화상송신측의 프레임 메모리부(603)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경우가 있으나, 올바르게 수신된 프레임의 참조화상이 하나도 없는 등 특수한 경우에 의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어 프레임 메모리부(603)가 텅 비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프레임간 차이값을 취하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을 실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프레임내 부호화로 절환하도록 한 구성이 바로 제4 실시예이다.
즉, 프레임 메모리부(603)의 저장내용에 대한 정보가, 프레임 메모리변경부(605)를 통해 메모리 유지상황 통지부(621)에 통지되도록 되어 있고, 메모리 유지상황 통지부(621)는, 프레임 메모리부(603)내에 참조화상이 하나도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 부호화부(601)에 이를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부호화부(601)는, 프레임내 부호화에 의해 입력화상을 부호화한다.
따라서, 참조화상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입력화상이 프레임간 부호화되어 버리는 특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제5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인 도 1에 대하여, 부호화상황 통지부(623)가 부가되어 있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부호화부(601)는, 프레임간 부호화와 함께 조건에 의한 프레임내 부호화를 실시한다. 부호화상황 통지부(623)는, 부호화부(601)로부터 송신되는 부호화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부호화부(601)가 프레임내 부호화를 실시한 경우 이를 검지하고,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에 이를 통지한다.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는, 신호수신부(602)를 통해 얻은 화상수신측의 신호의 내용과, 부호화상황 통지부(623)로부터의 통지내용에 근거하여,
프레임 메모리부(603)의 내용을 변경하여 기록한다. 이러한 경우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의 동작예인 부분 흐름을 도 25에 도시한다. 본 도면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동작에 대응하는 것으로, D01단계 및 D02단계가 추가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즉, 본 도면 25와 도 3을 결합한 흐름도가,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의 동작예의 전체 흐름도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내 부호화가 이루어진 경우에, 그 부호화에 의한 에러파급 방지효과를 고려하여, 메모리내의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거나 하여 다음 부호화가 보다 적정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는 내용으로 메모리를 바꾸어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은, 제6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인 도 1에 대하여, 메모리정보 통지부(625), 메모리정보 수신부(626)가 부가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동작 타이밍이나 에러의 발생 등에 의해, 참조화상 결정부(604)가, 화상수신측의 프레임 메모리부(614)내에 없는 화상을 참조화상으로서 선택하는 특수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수신측의 메모리정보 통지부(625)는, 프레임 메모리부(614)에 저장하고 있는 모든 내용, 또는 최고(最古) 또는 최신의 내용 등에 대한 정보를 화상송신측의 메모리정보 수신부(626)에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메모리정보 수신부(626)는, 그 정보를 참조화상 결정부(604)에 전달한다. 참조화상 결정부(604)는,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의 신호와 함께, 메모리정보 수신부(626)의 정보에 근거하여, 다음에 부호화할 프레임의 참조화상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즉, 참조화상 결정부(604)는, 프레임 메모리 변경부(605)의 신호에 의해, 다음에 부호화할 프레임의 참조화상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나, 여기서, 화상수신측의 메모리정보 통지부(625)는, 프레임 메모리부(614)에 유지하고 있는 모든 내용에 대한 정보를 화상송신측의 메모리정보 수신부(626)에 통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예컨대 도 3의 704단계의 처리에 따라, 참조화상 결정부(604)에 대하여, 프레임 메모리부(603)내의 최신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사용하도록 지시된 경우, 그 화상이 화상수신측의 프레임 메모리부(614)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화상을 참조화상으로 선택하지 않고, 한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프레임 메모리부(603)로부터 독출하여 부호화부(601)에 보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참조화상 결정부(604)가, 화상수신측의 프레임 메모리부(614) 내에 존재하지 않은 화상을 참조화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은, 제7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인 도 1에 대하여, 절환부(628)가 부가되어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에러가 없는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복호화부(613)에서 모니터 등으로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나, 프레임 메모리부(614)로의 데이터의 저장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실용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모니터 등으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모니터를 관찰하는 사용자에게 있어, 시스템이 보다 사용하기 용이한 경우가 많다. 다만, 이러한 경우, 에러를 포함하는 화상이 프레임 메모리부(614)에 저장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신호 수신부(608)에서 절환부(628)로 에러의 유무가 통지됨과 동시에, 에러가 발생한 화상 데이터인 경우라도, 부호화부(613)에서 절환부(628)로 데이터가 보내어진다. 절환부(628)는, 화상신호 수신부(608)로부터 통지되는 내용이「에러없음」인 경우에는 복호화부(613)로부터의 출력을 모니터 등과 같은 외부 및 프레임 메모리부(614)에 모두 출력하도록 하고, 「에러있음」인 경우에는, 복호화부(613)로부터의 출력을 모니터 등과 같은 외부에만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내부에서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화상 데이터만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에러 화상을 과감하게 이용한, 사용자에게 있어 보다 사용하기 쉬운 시스템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들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송신측의 메모리부에, 화상수신측에서 마지막으로 올바르게 수신된 부호화시의 참조화상이 반드시 하나는 유지되기 때문에,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 에러가 통지된 경우에, 올바른 참조화상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프레임간 부호화를 계속하면서 에러파급을 방지하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참조화상이 메모리부내에 존재하지 않게 되어 프레임내 부호화가 부득이한 경우라도, 같은 메모리규모로, 마지막에 올바르게 수신된 참조화상을 메모리부 내에 보관해 둘 수 있어, 화상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4)

  1. 화상송신측에,
    입력화상을,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호화부;
    화상수신측에서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에러의 유무와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신호를 그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에 의한 부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에서 상기 부호화부가 사용할 참조화상을 결정하는 참조화상 결정부;
    상기 부호화부가 사용한 참조화상의 번호를 상기 화상수신측에 통지하는 참조화상 통지부;
    상기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화상번호 통지부를 포함하며,
    화상수신측에,
    상기 화상송신측의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화상 데이터의 에러의 유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화상송신측의 화상번호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화상번호를 수신하는 화상번호 수신부;
    상기 화상번호 수신부가 수신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번호와, 해당 화상 데이터에 관한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가 검출한 에러의 유무를 통지하는 신호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송신하는 신호송출부;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복호화 화상 데이터를, 상기 복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한 메모리부;
    상기 화상송신측의 참조화상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부호화시의 참조화상번호를 수신하는 참조화상번호 수신부;
    상기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참조화상번호 수신부가 수신한 참조화상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에서 상기 복호화부가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참조화상 결정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송신측의 신호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상기 메모리부로의 저장 제어가 이루어지는 메모리 변경수단을 더 포함하고, 그 제어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 판정, 상기 메모리부 내의 저장 위치의 결정, 상기 메모리부에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의 저장 제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수신측에서 마지막으로 올바르게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참조화상보다 오래된 참조화상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의 저장 제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화상 중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 에러가 통지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참조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화상의 처리단위는, 프레임단위,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상의 소영역 및 그 소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의 집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송신측에,
    상기 신호수신부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내에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에 이를 통지하는 타이머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은, 상기 타이머 수단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경우, 그 통지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부로의 저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송신측에,
    상기 부호화부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양의 화상을 부호화하는 사이에, 상기 신호수신부가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에 이를 통지하는 화상계수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은, 상기 화상계수 수단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경우, 그 통지의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로의 저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송신측에,
    그 송신측의 메모리부의 내용을 감시하여, 그 메모리부에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에 사용될 수 있는 참조화상이 하나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부호화부에 이를 통지하는 메모리 유지상황 통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메모리 유지상황 통지수단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경우, 다음 화상의 부호화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방식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을 병용하여, 어느 한 방식에 의해 부호화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화상송신측에,
    상기 부호화부가 프레임내 부호화를 행한 경우에,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에 이를 통지하는 부호화상황 통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은, 상기 부호화상황 통지수단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경우, 그 통지의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로의 저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수신측에, 그 수신측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통지하는 메모리정보 통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송신측에, 상기 메모리정보 통지수단으로부터 통지된 화상정보를 수신하여, 그 내용을 상기 송신측의 참조화상 결정부에 통지하는 메모리정보 수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송신측의 상기 참조화상 결정부는, 상기 참조화상의 선택을, 상기 신호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 및 상기 메모리정보 수신수단으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따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수신측에,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가 검출한 에러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받아,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복호화부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수신측의 메모리부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복호화부로부터의 출력이 메모리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절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 시스템.
  11. 화상송신측이,
    입력화상을,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부호화 화상 데이타를 출력하는 과정;
    화상수신측에서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에러의 유무와 그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신호를 그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를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한부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중에서 상기 부호화에서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부호화에서 사용한 참조화상의 번호를 상기 화상수신측에 통지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화상수신측이,
    상기 화상송신측이 출력하는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타를 수신하고, 그 화상 데이타의 에러의 유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화상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상기 화상번호와, 그 화상 데이타에 관한 상기 검출된 에러의 유무를 알리는 신호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송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화상 데이타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된 부호화시의 참조화상 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복호화 화상 데이타를 상기 복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참조화상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 상기 복호화에서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상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화상송신측이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상기 메모리부로의 저장 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그 제어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 판정, 상기 메모리부내의 저장 위치 결정, 상기 메모리부에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수신측에서 마지막으로 올바르게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참조화상으로부터 이전 참조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 에러가 통지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참조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화상의 처리단위는, 프레임 단위,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상의 소영역 및 그 소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의 집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송신측이,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내에 상기 화상수신측부터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는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그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로의 저장 제어는 그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16. 상기 화상송신측이, 미리 설정해 놓은 양의 화상을 부호화하는 도중에, 상기 화상수신측부터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이를 포함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그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하는 과정은, 그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송신측의 메모리부의 내용을 감시하여, 그 메모리부에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에 사용될 수 있는 참조화상이 하나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그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입력화상을 부호화하는 과정은, 다음 화상의 부호화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화상을 부호화하는 과정은,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방식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을 병용하여,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프레임내 부호화가 이루어진 경우에, 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그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과정은, 그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수신측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통지하는 과정;
    그 정보를 상기 화상송신측에서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송신측에서 참조화상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참조화상의 선택을, 수신된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에러의 유무와 그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신호 및 상기 화상수신측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의 정보에 따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수신측에서 검출한 에러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받아,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복호화된 출력이 상기 수신측의 메모리부에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복호화된 출력이 메모리부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신방법.
  21. 입력화상을,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고, 부호화 화상 데이타를 출력하는 부호화부;
    화상수신측에서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에러의 유무와 그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신호를 그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를,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 상기 부호화부가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참조화상 결정부;
    상기 부호화부가 사용한 참조화상의 번호를 상기 화상수신측에 통지하는 참조화상 통지부;
    상기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화상번호 통지부를 포함하는 화상 송신장치로서,
    상기 신호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변경수단을 더 포함하고, 그 제어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 판정, 상기 메모리부내의 저장 위치의 결정,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신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의 저장 제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수신측에서 마지막으로 올바르게 수신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참조화상보다 오래된 참조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신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의 저장 제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 에러가 통지된 부호화 화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참조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신장치.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화상의 처리단위는, 프레임 단위,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상의 소영역 및 그 소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의 집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신장치.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가, 미리 정하여 둔 시간내에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에 이를 통지하는 타이머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은, 상기 타이머수단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경우, 그 통지의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신장치.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가 미리 정하여 둔 양의 화상을 부호화하는 도중에, 상기 신호수신부가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에 이를 알리는 화상계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은, 상기 화상계수수단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경우, 그 통지의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신장치.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의 내용을 감시하여, 메모리부에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에 사용될 수 있는 참조화상이 하나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부호화부에 이를 알리는 메모리 유지상황 통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메모리 유지상황 통지수단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경우, 다음 화상의 부호화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신장치.
  2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방식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을 병용하여, 어느 한 방식에 의해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부호화부가 프레임내 부호화를 행한 경우에,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에 이를 알리는 부호화상황 통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변경수단은, 상기 부호화상황 통지수단으로부터 통지를 받은 경우, 그 통지의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신장치.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수신측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 내용을 상기 참조화상 결정부에 통지하는 메모리정보 수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참조화상 결정부는, 상기 참조화상의 선택을, 상기 신호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 및 상기 메모리정보 수신수단으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따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신장치.
  30. 화상송신측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 데이타를 수신하고,
    그 화상 데이타의 에러의 유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화상번호를 수신하는 화상번호 수신부;
    상기 화상번호 수신부가 수신한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상기 화상번호와, 그 화상 데이타에 관한 상기 화상 데이타수신부가 검출한 에러의 유무를 통지하는 신호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송신하는 신호송출부;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부호화 화상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화상 데이타를 출력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복호화 화상 데이타를, 상기 복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되는 부호화시의 참조화상번호를 수신하는 참조화상번호 수신부;
    상기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참조화상번호 수신부가 수신한 참조화상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 상기 복호화부가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참조화상 결정부를 포함하는 화상 수신장치로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의 정보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통지하는 메모리정보 통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수신장치.
  31. 화상송신측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 데이타를 수신하고, 그 화상 데이타의 에러의 유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화상 데이타수신부;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화상번호를 수신하는 화상번호 수신부;
    상기 화상번호수신부가 수신한 부호화 화상 데이타의 상기 화상번호와, 그 화상 데이타에 관한 상기 화상 데이타수신부가 검출한 에러의 유무를 통지하는 신호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송신하는 신호송출부;
    상기 화상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부호화 화상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화상 데이타를 출력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복호화 화상 데이타를, 상기 복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되는 부호화시의 참조화상번호를 수신하는 참조화상번호 수신부;
    상기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참조화상번호 수신부가 수신한 참조화상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에서, 상기 복호화부가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참조화상 결정부를 포함하는 화상 수신장치로서,
    상기 화상데이터 수신부가 검출한 에러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받아,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복호화부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메모리부에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복호화부로부터의 출력이 메모리부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절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수신장치.
  32. 입력화상을,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부호화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과정;
    화상수신측에서 수신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에러의 유무와 그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신호를 그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부호화 화상데이타를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한 부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수신측에서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에서 상기 부호화에서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부호화에서 사용한 참조화상의 번호를 상기 화상수신측에 통지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상송신방법으로서,
    상기 화상송신측이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그 제어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가의 여부 판정, 상기 메모리부내의 저장 위치의 결정,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데이타의 삭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송신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수신측에서 마지막으로 올바르게 수신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참조화상보다 오래된 참조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송신방법.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참조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수신측으로부터 수신 에러가 통지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참조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송신방법.
  3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화상의 처리단위는, 프레임 단위, 프레임을 구성하는 화상의 소영역 및 그 소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의 집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송신방법.
  36. 제 3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하여 둔 시간내에 상기 화상수신측부터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를 표시하는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과정은, 그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송신방법.
  37. 제 3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하여 둔 양의 화상을 부호화하는 도중에, 상기 화상수신측부터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과정은, 그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송신방법.
  38.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의 내용을 감시하여, 메모리부에 상기 프레임간 부호
    화에 사용될 수 있는 참조화상이 하나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입력화상을 부호화하는 과정은, 다음 화상의 부호화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송신방법.
  39.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화상을 부호화하는 과정은, 상기 프레임간 부호화방식과 프레임내 부호화방식을 병용하여, 어느 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내 부호화가 이루어진 경우에, 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과정은, 그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송신방법.
  40.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수신측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의 정보를 그 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참조화상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참조화상의 선택을, 수신된 상기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에러의 유무와 그 화상번호를 통지하는 신호 및 상기 화상수신측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의 정보에 따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송신방법.
  41. 청구항 32 내지 4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
  42. 화상송신측이 출력하는,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데이타를 수신하고, 그 화상 데이타의 에러의 유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화상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상기 화상번호와, 그 화상 데이타에 관한 상기 검출된 에러의 유무를 통지하는 신호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송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부호화 화상데이타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되는 부호화시의 참조화상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출력된 복호화 화상데이타를 상기 복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참조화상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에서, 상기 복호화에서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상수신방법으로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의 정보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통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수신방법.
  43. 화상송신측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압축을 행하는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 데이타를 수신하고, 그 화상 데이타의 에러의 유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부호화화상 데이타의 화상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부호화 화상데이타의 상기 화상번호와, 그 화상 데이타에 관한 상기 검출된 에러의 유무를 통지하는 신호를 상기 화상송신측에 송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부호화 화상데이타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화상송신측으로부터 통지되는 부호화시의 참조화상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출력되는 복호화 화상데이타를 상기 복호화에 사용할 참조화상으로서 복수개 유지하기 위한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참조화상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상 중에서, 상기 복호화에서 사용할 참조화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상수신방법으로서,
    상기 검출한 에러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받아,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복호화된 출력이 상기 메모리부에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복호화된 출력이 메모리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수신방법.
  44. 제 42항 또는 43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KR1019980701625A 1996-07-05 1997-07-04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72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605296 1996-07-05
JP8-176052 1996-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381A KR19990044381A (ko) 1999-06-25
KR100272397B1 true KR100272397B1 (ko) 2000-11-15

Family

ID=1600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625A KR100272397B1 (ko) 1996-07-05 1997-07-04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11917A (ko)
EP (1) EP0849952B1 (ko)
KR (1) KR100272397B1 (ko)
CN (1) CN1126374C (ko)
AU (1) AU712287B2 (ko)
CA (1) CA2230379C (ko)
DE (1) DE69734812T2 (ko)
WO (1) WO1998002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40989A3 (en) * 1998-03-02 2003-10-2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Vide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658618B1 (en) * 1999-09-02 2003-12-02 Polycom, Inc. Error recovery method for video compression coding using multiple reference buffers and a message channel
GB2362531A (en) * 2000-05-15 2001-11-21 Nokia Mobile Phones Ltd Indicating the temporal order of reference frames in a video sequence
US6941343B2 (en) 2001-06-02 2005-09-06 Poly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point to point integration of personal computers with videoconferencing systems
EP1351510A4 (en) * 2001-09-14 2008-12-10 Ntt Docomo Inc 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DECOD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ENCODING PROGRAM, AND DECODING PROGRAM
KR20040031948A (ko) * 2002-10-08 200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디코딩 방법
KR20040039808A (ko) * 2002-11-05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 벡터 예측 방법
JP4414904B2 (ja) * 2004-04-16 2010-0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復号方法、及び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
US8102878B2 (en) * 2005-09-29 2012-01-24 Qualcomm Incorporated Video packet shaping for video telephony
US8548048B2 (en) * 2005-10-2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Video source rate control for video telephony
US8406309B2 (en) * 2005-10-21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Video rate adaptation to reverse link conditions
US8514711B2 (en) * 2005-10-21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lower layer assisted video error control
US8842555B2 (en) * 2005-10-21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encoding of real-time information in packet-switch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120034084A (ko) * 2007-01-10 2012-04-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전화 통신을 위한 컨텐트- 및 링크-의존 코딩 적응 구조
US8797850B2 (en) * 2008-01-10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adapt to network congestion
WO2012114774A1 (ja) * 2011-02-25 2012-08-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装置
US9641867B2 (en) * 2014-10-24 2017-05-02 Megachips Corporation Image processor
CN107341376B (zh) * 2016-04-29 2020-07-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图片防误传及防偷窥方法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3978A (en) * 1980-10-06 1982-04-17 Nec Corp Transmitter of picture signal
JPS62137983A (ja) * 1985-12-12 1987-06-20 Fujitsu Ltd 復号化装置修復方式
JPS62200994A (ja) * 1986-02-28 1987-09-04 Toshiba Corp 動画通信システム
JPH03259688A (ja) * 1990-03-09 1991-11-19 Nec Corp 画像符号化伝送システム
JPH04101590A (ja) * 1990-08-21 1992-04-03 Nec Corp 画像符号化伝送装置
JPH04297194A (ja) * 1991-03-26 1992-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レーム間符号化におけるリフレッシュ方式
JP2871316B2 (ja) * 1992-07-10 1999-03-1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
JPH07274176A (ja) * 1994-03-30 1995-10-20 Toshiba Corp 動画像伝送装置
JP3181002B2 (ja) * 1994-05-06 2001-07-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自在駒落ち動画像符号化方法
JPH08149474A (ja) * 1994-11-17 1996-06-07 Hitachi Ltd 動画像復号化装置
JPH10191356A (ja) * 1996-12-27 1998-07-21 Oki Electric Ind Co Ltd 画像符号化装置
US6040879A (en) * 1997-04-21 2000-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coding video data corrupted by channel no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358697A (en) 1998-02-02
CA2230379A1 (en) 1998-01-15
KR19990044381A (ko) 1999-06-25
AU712287B2 (en) 1999-11-04
DE69734812T2 (de) 2006-08-31
CN1126374C (zh) 2003-10-29
CA2230379C (en) 2000-08-29
US6111917A (en) 2000-08-29
CN1199531A (zh) 1998-11-18
EP0849952A4 (en) 2000-01-05
WO1998002002A1 (en) 1998-01-15
DE69734812D1 (de) 2006-01-12
EP0849952B1 (en) 2005-12-07
EP0849952A1 (en) 1998-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397B1 (ko)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4603695B2 (ja) 映像コーディング
KR100313285B1 (ko) 엠펙복호화기내에서의조기에러검출방법및그시스템
JPH06253288A (ja) 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誤りマスキング方法
WO2008146892A1 (ja) 動画像変換装置、動画像変換方法、および動画像変換プログラム
US685987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image processing
JP3157123B2 (ja) 画像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3065251B2 (ja) 動画像復号装置
JP2002027483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5472094B2 (ja) 動画像変換装置、動画像配信システム、動画像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483806B2 (ja) 動画像信号の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JPH07193821A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H0993592A (ja) 画像符号化装置
KR100363550B1 (ko)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 동영상 디코딩 장치
JP3141149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5206959A (ja) フレーム間差分信号変化検出通信方法
KR20020023454A (ko) 개량된 엠펙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3147131B2 (ja) 映像符号器・復号器を用いた符号化映像の送受信システム
JP200118652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と記憶媒体
JP2864761B2 (ja) 動き補償フレーム間予測符号化装置
JPH11215508A (ja) 符号発生量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符号化装置
JPH02222388A (ja) 動画像符号化方法
KR100312418B1 (ko) 동영상부호화장치에서인트라모드부호화선택방법
JPH10210477A (ja) 符号化方法指示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た画像圧縮システム
KR20000039401A (ko)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영상 데이터 재전송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