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636B1 - 정보기록재생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정보기록재생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636B1
KR100268636B1 KR1019980021865A KR19980021865A KR100268636B1 KR 100268636 B1 KR100268636 B1 KR 100268636B1 KR 1019980021865 A KR1019980021865 A KR 1019980021865A KR 19980021865 A KR19980021865 A KR 19980021865A KR 100268636 B1 KR100268636 B1 KR 10026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information recording
recording
pre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920A (ko
Inventor
도시미츠 가쿠
도오루 가와시마
다케히코 세키네
히사타카 스기야마
요시오 스즈키
데츠야 후시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후나츠 도오루
히다치화상정보시스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후나츠 도오루, 히다치화상정보시스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9000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and avoidance or compensation of imperfections on the carrier, e.g. dust, scratches,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focus pull-in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고밀도 정보기록에 대응한 포맷된 광디스크에 대응하는 방법과 그 기능을 탑재한 정보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처리계에 의해 트래킹제어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나 불안정한 경우에도 양호하게 PID부검출을 실행하여 신호처리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정보기록면상에 형성된 트랙에 랜드부와 그루브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미리 프리포맷해 두는 프리피트를 트랙중심에서 어긋나게 해서 마련한 정보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고, 조사광의 귀환광을 트랙방향으로 이분할된 검출기에 의해 수광해서 얻어진 차동신호에서 프리피트부를 검출하고, 검출한 프리피트 검출신호를 기준으로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트래킹제어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나 불안정한 경우에도 양호하게 PID부검출을 실행할 수 있고 그 검출신호에 의해 신호처리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정하게 기록 및 재생할 수 있게 되는 정보기록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정보기록재생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정보를 리드할 수 있는 정보기록매체(광디스크)에 대한 정보기록재생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밀도 정보기록에 대응한 포맷된 광디스크에 대응하는 방법과 그 기능을 탑재한 정보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에 있어서, 정보재생은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상에 집광하고 기록마크나 피트에 의해 변조된 반사광을 검출해서 실행한다. 기록마크는 정보기록면상에 형성된 나선형상의 안내홈을 따라 형성한다. 이 때,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성4-466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의 폭과 홈사이의 폭을 대략 동일하게 하고 홈의 깊이를 조사하는 레이저광 파장에 의해 결정되는 인접트랙으로 부터의 크로스토크가 최소로 되는 깊이로 하는 것에 의해, 안내홈(이하, 그루브부라 한다)과 안내홈 사이(이하, 랜드부라 한다)에 동일하게 기록마크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또 재생할 수 있게 되어 디스크의 반경방향의 기록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크상의 그루브부 및 랜드부에 기록된 정보를 연속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홈이 단순히 내주에서 외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루브부를 연속해서 재생하는 상태에서 랜드부를 연속해서 재생하는 상태로 이행할 때 이행에 수반하는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연속적으로 랜드부 및 그루브부의 정보를 연속해서 재생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7-14170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랜드부 및 그루브부의 트랙이 대략 1주마다 교대로 나타나는 홈(단일의 나선:single spiral)을 형성하면 랜드부 및 그루브부에 기록된 기록정보를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랜드부 또는 그루브부에 형성한 기록마크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정보기록면상에 집광한 레이저광의 집광위치를 랜드부 또는 그루브부의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대해서 대략 중심 위치를 따라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레이저광의 집광위치는 랜드부 또는 그루브부의 중심위치로 부터의 거리에 대략 비례한 편차량(트래킹편차량)을 홈에 의한 레이저광의 회절광을 사용해서 얻을 수 있다. 레이저광의 집광위치를 그 편차량을 사용해서 제어(트래킹제어)하지만, 랜드부와 그루브부에서는 편차량의 극성이 반전된 것이 얻어진다. 따라서, 랜드부에서 그루브부 또는 그루브부에서 랜드부로 연속재생하기 위해서는 랜드부 및 그루브부가 전환되는 위치에서 편차량의 극성이 반전하는 것에 대응한 레이저광의 집광위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6-17640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원주방향과 대략 등간격으로 영역을 설정하고, 그 영역내에 피트를 형성한다. 상기 피트의 정보를 재생하는 것에 의해 랜드부와 그루브부가 전환되는 위치(극성반전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피트를 형성하고 그 정보에 따라서 트래킹제어의 상태를 전환한다.
또, 트랙의 원주방향과 대략 등간격으로 피트가 미리 형성되고(프리포맷되고) 이 피트(프리피트)를 랜드부 또는 그루브부의 중심위치에서 랜드부와 인접한 그루브부의 각각 중심위치의 거리의 1/4의 거리만큼 내주방향 및 외주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교대로 오프셋시켜서 형성하면 상기 트래킹편차량을 나타내는 편차신호상으로 상기 피트정보를 재생한 신호가 출력된다.
즉, 상기 트래킹편차량이 피트정보의 주기로 정(+) 및 부(-)로 변동하는 부분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프리피트의 형성위치(PID부:Physical IDentification부)를 알 수 있고, 피트에 대응한 신호출력의 정 및 부의 순서에 따라서 현재 광스폿이 랜드부 또는 그루브부 중 어느 쪽을 주사하고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2에 PID검출기를 구비한 광디스크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도시한다. 광디스크매체(1)은 스핀들모터(2)에 의해 대략 일정 선속도로 회전한다. 광헤드(3)에는 레이저,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상에 집광하기 위한 광학부품, 반사광을 검출하는 검출기, 집광위치를 가변하는 액츄에이터등이 내장되어 있다.
광헤드에서는 반사광량의 레벨변화로서의 RF(Radio Frequency)신호와 트래킹편차량에 대응한 HPP(High-frequency Push-Pull)신호가 각각 자동이득제어기(AGC)(11) 및 (12)에 의해 일정진폭레벨로 제어된다. HPP신호는 상기 광디스크의 홈의 깊이나 반사율의 편차,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상기 레이저광량의 편차 및 광디스크로 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자(검출기)의 감도편차에 의해 진폭이 변화한다. 또, PID부에 의해 레이저광이 트랙의 중심위치에서 어긋나 집광된 경우나 레이저광이 광디스크에 대해서 수직축에서 어긋나 집광부에서 타원스폿으로 된 경우에는 랜드부와 그루브부의 파형진폭이 다르다.
이 때문에, 고정레벨인 상기 비교기의 슬라이스레벨에서는 HPP신호진폭의 편차에 대해서 안정하게 PID검출을 실행할 수 없으므로, 자동이득제어기(AGC)에 의해 일정한 진폭으로 제어하고 나서 PID검출을 실행한다. RF신호는 기록조건에 따라 신호진폭이 변화하므로 안정하게 이진화를 실행할 수 있도록 AGC에 의해 진폭을 일정하게 한다.
전환스위치(13)은 PID검출기로 부터의 신호전환신호(32)에 의해 광디스크상의 PID부와 데이타부에서 전환되고, PID부에서는 HPP신호를 처리한 AGC(12)의 출력을 선택하고, 데이타부에서는 RF신호를 처리한 AGC(11)의 출력을 선택한다. 전환스위치(13)의 출력은 DC보정기(14)에 입력되고 각 신호의 대략 직류레벨을 일정하게 한다. 예를 들면, 각 신호 선두부의 기준신호영역에서 신호의 상부와 하부의 엔벌로프를 검출하고 상부와 하부의 엔벌로프의 평균레벨이 임의의 레벨로 되도록 제어한다.
DC보정기(14)의 출력은 자동슬라이스레벨제어기(ASC:Automatic Slice-level Controller)(15)에 입력되고 적정한 슬라이스레벨로 이진화된다. ASC(15)의 출력은 PLL(Phase-Locked Loop)(16)에 입력되고, 이진화신호와 동기한 재생클럭이 생성되고, 이진화신호와 함께 재생신호복조기(17)에 입력되고, 데이타부의 RF신호에서는 기록정보를, PID부의 HPP신호에서는 광디스크의 위치정보를 복조한다. 이 HPP신호를 복조하면 랜드부와 그루브부의 전환에 관한 정보도 얻어진다.
PID부의 피트정보에는 광디스크상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재생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기준으로 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기준으로 되는 정보에 이어서 위치에 관한 정보가 형성되어 있다. 기준으로 되는 정보는 신호의 주파수가 일정한 패턴인 것이 일반적이고, 재생처리계는 기준으로 되는 정보를 사용해서 제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안정하게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재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RF신호도 선두부분에 PID부와 마찬가지로 기준으로 되는 정보가 있고 그것에 이어서 기록정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PID부와 기록영역의 판별을 실행하는 PID검출회로는 트래킹편차량에 따른 출력파형(HPP신호)에 대해서 상부(peak)검출기 및 하부(bottom)검출기를 사용해서 이 HPP신호파형의 엔벌로프파형을 얻고 비교기에 의해 각각 상부슬라이스레벨과 하부슬라이스레벨을 비교해서 PID부의 검출을 실행한다. 또, 상기 비교기에 입력하는 파형이 상기 HPP신호를 고역차단기에 의해 피트정보에 대응한 고역의 주파수성분을 억압한 것을 사용해도 PID부의 검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PID검출회로는 레이저광이 트랙의 중심위치에 적정하게 집광되도록 제어(트래킹제어)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혀 문제는 없지만, 현재 재생하고 있는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크(seek)시와 같이 트래킹제어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나 트래킹제어가 외란에 의해 불안정하게 된 경우 등에서는 트래킹편차량의 변동이 발생하고 HPP신호를 PID부에서의 피트에 의한 신호변동과 구별할 수 없게 되므로 PID부를 오검출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처리계에 의해 트래킹제어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나 불안정한 경우에도 양호하게 PID부검출을 실행하여 신호처리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의 재생처리계의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정보기록재생장치의 재생처리계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PID검출기의 1실시예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PID검출기의 1실시예의 각부의 신호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PID검출기의 다른 1실시예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PID검출기의 다른 1실시예의 각부의 신호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PID검출기의 다른 1실시예의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PID검출기의 다른 1실시예의 각부의 신호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의 PID검출기의 다른 1실시예의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PID검출기의 다른 1실시예의 각부의 신호파형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동제어기의 1실시예의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신호폭 보호회로의 1실시예의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주기측정회로의 1실시예의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신호주기 보호회로의 1실시예의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구동제어기의 다른 1실시예의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구동제어기의 다른 1실시예의 타이밍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정보기록면상에 형성된 트랙에 랜드부와 그루브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미리 프리포맷해 두는 프리피트를 상기 트랙중심에서 어긋나게 해서 마련한 정보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고, 조사광의 귀환광을 트랙방향으로 이분할된 검출기에 의해 수광해서 얻어진 차동신호에 의해 프리피트부를 검출하고, 검출한 프리피트검출신호를 기준으로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2와 동일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광헤드로 부터의 상기 RF신호와 상기 HPP신호는 각각 상기 자동이득제어기(AGC)(11) 및 (12)에 의해 일정진폭레벨로 제어된다. 구동제어기(18)은 AGC제어신호(31)에 의해 각 신호의 선두부에서는 제어의 응답성을 향상시켜 신속하게 소정의 진폭으로 되도록 제어하고, 그 후에는 응답성을 저하시켜 고속인 진폭변동에 추종하지 않고 안정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환스위치(13)은 구동제어기(18)로 부터의 신호전환신호(32)에 의해 광디스크상의 PID부와 데이타부에서 전환되고, PID부에서는 HPP신호를 처리한 AGC(12)의 출력을 선택하고, 데이타부에서는 RF신호를 처리한 AGC(11)의 출력을 선택한다.
전환스위치(13)의 출력은 상기 DC보정기(14)에 입력되고, 이 DC보정기(14)는 각 신호의 대략 직류레벨을 일정하게 한다. 이것은 구동제어기(18)로 부터의 DC보정동작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DC보정제어신호(33)에 의해 제어되어 실행된다.
DC보정기(14)의 출력은 상기 자동슬라이스레벨제어기(ASC)(15)에 입력되고 적정한 슬라이스레벨로 이진화된다. ASC(15)는 구동제어기(18)로 부터의 ASC동작을 온 또는 오프하는 ASC제어신호(34)에 의해 제어되어 실행된다.
ASC(15)의 출력은 상기 PLL(16)에 입력되고, 이진화신호와 동기한 재생클럭이 생성되어 이진화신호와 함께 재생신호복조기(17)에 입력되고, 데이타부의 RF신호에서는 기록정보를, PID부의 HPP신호에서는 광디스크의 위치정보를 복조한다. 이 HPP신호를 복조하면 랜드부와 그루브부의 전환에 관한 정보도 얻어진다.
PLL(16)은 구동제어기(18)로 부터의 PLL제어신호(35)에 의해 동기하는 신호를 재생신호나 또는 기준신호로 전환하도록 제어된다. 구동제어기(18)은 재생신호복조기(17)로 부터의 PID정보신호(36)을 얻는다.
구동제어기(18)은 재생신호복조기(17)로 부터의 PID정보신호(36)이 검출된 경우에는 PID정보를 기준으로 각종 구동제어신호(31), (32), (33), (34), (35)를 생성하지만, 광디스크장치의 기동시에 원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상의 영역으로 시크한 경우나 PID정보가 안정하게 연속해서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PID검출기(19)로 부터의 PID검출신호IP1과 IP2에 따라서 각종 구동제어신호(31), (32), (33), (34), (35)를 생성한다. IP1과 IP2는 각각 랜드부와 그루브부에 대응한 검출신호이다.
또한, PID정보신호(36)이 검출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PID검출신호IP1과 IP2에 따라서 각종 구동제어신호(31), (32), (33), (34), (35)를 생성해도 좋다.
각종 구동제어신호(31), (32), (33), (34), (35)는 HPP신호와 RF신호의 각각 선두부의 기준으로 되는 정보(VFO)영역에서 소정시간 동안 각 신호처리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안정하게 HPP신호와 RF신호의 정보를 재생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PID검출기(19)의 1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부 신호파형을 도 4에 도시한다. HPP신호는 정 및 부로 피트정보가 나타난다. 또, 트래킹편차량이 큰 부분에 있어서도 정 및 부로 파형이 변화한다. HPP신호를 상부검파기(41)과 하부검파기(42)에 입력해서 상부검파파형(51)과 하부검파파형(52)를 얻고, 각각 비교기(44), (45)에 의해 슬라이스레벨V1, V2와 비교해서 정부(正部)검출신호(53), 부부(負部)검출신호(54)를 얻는다. 이 경우, PID부에서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가 발생하여 "1"로 되지만, 트래킹편차량이 큰 부분에 있어서도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가 발생하여 "1"로 된다.
그래서, 진폭검출기(43)에 의해 피트정보와 같은 고주파성분의 신호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검출신호(55)를 얻도록 한다. 신호검출신호(55)는 피트부와 같은 고주파성분의 신호가 있는 부분에서 "1"로 되고, 고주파성분의 신호가 없는 부분에서는 "0"으로 된다. 이 때문에, 트래킹편차량이 큰 부분에 있어서는 신호검출신호(55)가 "0"으로 되므로, 이 신호와 상기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의 논리합을 취해서 IP1, IP2로 하면 IP1과 IP2는 PID부의 피트부분에서만 "1"인 신호로 된다. 진폭검출기(43)은 예를 들면 고주파성분을 추출해서 그의 엔벌로프파형의 변화에서 신호성분의 유무를 검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PID검출기(19)의 다른 1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부의 신호파형을 도 6에 도시한다. HPP신호를 저역통과필터(LPF)(48)에 입력해서 HPP신호의 저주파성분신호인 (56)을 얻고, 각각 비교기(44), (45)에 의해 슬라이스레벨V3, V4와 비교하여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를 얻는다. 이 경우, PID부에서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가 발생하여 "1"로 되지만, 트래킹편차량이 큰 부분에 있어서도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가 발생하여 "1"로 된다. 그래서, 상기 진폭검출기(43)에 의해 피트부분에서 "1"로 되는 신호검출신호(55)와 상기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의 논립합을 취해서 IP1, IP2로 하면 IP1과 IP2는 PID부의 피트부분에서만 "1"인 신호로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PID검출기(19)의 다른 1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부 신호파형을 도 8에 도시한다. HPP신호는 트랙중심에서 어긋나게 해서 마련한 광디스크에 조사한 광의 귀환광을 트랙방향으로 이분할된 검출기에 의해 수광해서 얻어진 차동신호이지만, 이 이분할된 검출기의 각각의 출력신호인 트래킹편차+와 트래킹편차-를 진폭검출기(49), (50)에 입력해서 신호검출신호(56), (57)을 얻는다. 진폭검출기(49), (50)은 상기 진폭검출기(43)과 대략 동일한 것이고 비교적 고주파성분의 신호가 있는 PID부의 피트부분과 기록정보가 있는 데이타부에서 "1"로 된다. 데이타부에서는 트래킹편차+와 트래킹편차-는 대략 동일한 진폭으로서 동상신호이므로 HPP신호에서는 진폭이 매우 작고 진폭검출기(43)은 "0"으로 된다.
그래서, 진폭검출기(49), (50)과 진폭검출기(43)의 논리합을 취해서 IP1, IP2로 하면 IP1과 IP2는 PID부의 피트부분에서만 "1"인 신호로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PID검출기(19)의 다른 1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부의 신호파형을 도 10에 도시한다. HPP신호를 저역통과필터(LPF)(48)에 입력해서 HPP신호의 저주파성분신호인 (56)을 얻고, 파형 상부를 전위Va로 고정하는 상부클램프(61)과 파형 하부를 전위Vb로 고정하는 하부클램프(62)에 의해 상부 클램프파형(63)과 하부 클램프파형(64)를 얻는다. 상부클램프파형(63)과 하부클램프파형(64)는 각각 비교기(44), (45)에 의해 각각의 클램프전위Va와 Vb에 가산전위Vc와 Vd를 가산기(65), (66)에 의해 가산한 슬라이스레벨로 비교하고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를 얻는다.
이 경우 PID부에서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가 발생하여 "1"로 되지만, 트래킹편차량이 큰 부분에 있어서도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가 발생하여 "1"로 된다. 그래서, 상기 진폭검출기(43)에 의해 피트부분에서 "1"로 되는 신호검출신호(55)와 상기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의 논리합을 취해서 IP1, IP2로 하면 IP1과 IP2는 PID부의 피트부분에서만 "1"인 신호로 된다.
또한, PID부 이외의 트래킹편차량의 변동이 비교적 저주파수이면 상부클램프(61)과 하부클램프(62)에 의해 변동을 억압하기 때문에 정부검출신호(53), 부부검출신호(54)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신호검출신호(55)에 의한 마스크는 실행하지 않아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PID부 이외의 홈부와 홈사이부로 이루어지는 트랙이 트랙방향으로 미소량 요동(워블)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스레벨V3, V4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상기 AGC(12)에 의해 대략 일정한 진폭으로 된 HPP신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안정하게 IP1, IP2를 검출할 수 있다.
요동이 형성되어 있는 광디스크는 HPP신호의 PID부 이외에는 요동에 의해 트래킹편차량이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요동에 의한 트래킹편차량은 트래킹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PID부의 피트에 의한 편차량에 비해 충분히 작은 크기이다. 그래서, 슬라이스레벨V3, V4를 요동에 의한 트래킹편차량의 변동에 응답하지 않는 레벨로 설정하면 좋다.
슬라이스레벨의 설정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슬라이스레벨V3, V4를 중심레벨에서 서서히 각각 정 및 부로 크게 해서 IP1과 IP2에 요동패턴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레벨까지 가변하고 요동에 의한 트래킹편차량의 변동량을 고려해서 발생하지 않게 되는 레벨에 비해 다소 큰 레벨로 설정한다.
광디스크가 기록단위(섹터)로 분할되고 각 섹터에 PID부가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구동제어기(18)로 부터의 각 제어신호(31), (32), (33), (34), (35)를 각 섹터 및 PID부의 정 및 부의 피트부마다 출력하고 각 신호처리계를 제어한다.
또, 본 발명의 PID부 검출회로의 IP1과 IP2를 사용해서 그 발생하는 순번에 따라 랜드부와 그루브부의 극성판정위치의 검출을 실행해도 좋다.
또한, 지금까지는 재생신호처리계에서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기록시 데이타부에서 기록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상기 IP1 및 IP2에서 생성해도 좋다.
도 1에 있어서의 구동제어기(18)의 1실시예를 도 11에 도시한다. 우선,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IP1 및 IP2를 입력해서 내부클럭에 의해 샘플링을 실행하여 "0" 또는 "1"의 연속검출수가 규정이상인 경우에만 입력신호값을 채용하고, 그 이외에는 이전 값을 유지하는 신호폭 보호회로(101), 보호된 IP1a신호(131) 및 IP2a신호(132)를 입력신호로 해서 주기측정을 실행하는 주기측정회로(102), 이 주기측정회로(102)에서 출력되는 IP1검출창신호(133) 및 IP2검출창신호(134)를 사용해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IP1a신호(131) 및 IP2a신호(132)만을 선택출력하는 신호주기 보호회로(103), 주기보호된 IP1b신호(135) 및 IP2b신호(136)을 입력해서 각종 제어신호(31), (32), (33), (34), (35)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회로(104)로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PID검출기(19)에서 입력되는 IP1, IP2신호는 PID부 이외에서 발생하는 외란(잡음, 트래킹어긋남, 트랙점프 등)에 의해 출력되는 일이 있어 PID부 이외에서 발생하는 IP1, IP2에 대해서는 이것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 PID부에 있어서도 잡음 등의 외란에 의해 각종 구동 제어신호(31), (32), (33), (34), (35)의 오출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외란에 의한 IP1, IP2신호발생에 대해서 발생하는 신호폭이 짧은 외란과 신호폭이 긴 외란으로 나누어 보호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종 외란에 대한 각종 구동 제어신호(31), (32), (33), (34), (35)의 오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신호폭이 짧은 외란에 대해서는 IP1, IP2의 신호폭을 검출해서 규정 이하의 신호변화에 대해서는 변화검출을 하지 않도록 한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신호폭 보호회로(101)이다.
다음에, 신호폭이 긴 외란에 대해서는 IP1, IP2의 발생주기를 측정하고 주기외에서 발생하는 IP1, IP2에 대해서는 이것을 채용하지 않는 것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호폭 보호회로(101)에서 출력되는 IP1a신호(131) 및 IP2a신호(132)의 주기를 측정하고, 주기성이 확인된 시점에서 주기측정회로(102)에서 IP1검출창신호(133) 및 IP2검출창신호(134)를 출력한다. 또한, 주기성이 확인되지 않은 시점에서는 IP1검출창신호(133) 및 IP2검출창신호(134)는 항상 유효상태로 한다.
또, 주기측정회로(102)에서는 재생신호 복조기(17)에서 입력되는 PID정보신호(36)이 검출된 경우에는 IP1a신호(131) 및 IP2a신호(132) 대신에 PID정보신호(36)에서 IP1검출창신호(133) 및 IP2검출창신호(134)를 출력하는 기능을 아울러 갖고 재생상황에 따라서 전환하는 것에 의해 보다 외란에 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신호주기 보호회로(103)에서는 IP1검출창신호(133)이 유효인 기간에 발생한 IP1a신호(131)만을 주기보호된 IP1b신호(135)로서 출력한다. IP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주기보호된 IP2b신호(136)을 출력한다.
이 IP1b신호(135) 및 IP2b신호(136)은 PID부에서 발생한 IP1, IP2신호에서만 생성되므로, 이 IP1b신호(135) 및 IP2b신호(136)을 기준으로 해서 제어신호 생성회로(104)에서 각종 구동 제어신호(31), (32), (33), (34), (35)를 생성하면 외란에 영향받는 일이 없어진다.
이상에 의해, PID검출기(19)에서 입력되는 IP1 및 IP2에 각종 외란이 포함되어 있어도 구동제어기(18)에서 출력되는 각종 구동 제어신호(31), (32), (33), (34), (35)는 외란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주기측정회로(102)에 있어서 PID정보신호(36)에서 IP1검출창신호(133) 및 IP2검출창신호(134)를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주기측정회로(102)에서 IP1b신호(135) 및 IP2b신호(136)에 상당하는 신호(137) 및 (138)을 생성하여 제어신호 생성회로(104)에 입력하고 재생상황에 따라서 IP1b신호(135) 및 IP2b신호(136)과 신호(137) 및 (138)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외란에 강한 제어신호생성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신호폭 보호회로(101)의 IP1에 관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IP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회로구성으로 대응할 수 있다.
우선,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CK의 상승에 의해 EN입력이 '1'일 때 카운트업하고 마찬가지로 CK의 상승에 의해 CLR입력이 '1'일 때 클리어하는(Q출력 모두 '0'으로 하는) n진 카운터(140), (141), CK의 상승에 의해 D1입력이 n-1과 동일할 때만 '1'을 출력하는 비교출력(152)와 CK의 상승에 의해 D0입력이 n-1과 동일할 때만 '1'을 출력하는 비교출력(153)을 갖는 비교기(142) 및 S입력에 '1'이 들어갔을 때 Q출력(IP1a신호)(131)을 '1'로 하고 R입력에 '1'이 들어갔을 때 Q출력(IP1a신호)(131)을 '0'으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이전 값을 유지하는 RS-FF(143)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IP1이 '1'일 때 n진 카운터(140)은 CK가 상승할때마다 카운트업한다. 이 때 n진 카운터(141)은 클리어상태 그대로이다. n진카운터(140)은 n-1까지 카운트업한 시점에서 0으로 되돌아가고 재차 카운트업을 반복한다.
IP1이 '0'일 때는 이것과는 반대로 n진 카운터(140)은 클리어상태인 채로 되고 n진 카운터(141)이 카운트업을 반복하도록 동작한다.
비교기에서는 n진 카운터(140)이 n-1과 일치한 시점에서 비교출력(152)를 '1'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n진 카운터(141)이 n-1과 일치한 시점에서 비교출력(153)을 '1'로 설정한다.
따라서, IP1이 '1'로 변화해서 (n-1)×(내부클럭)분만큼 '1'이 계속되면 RS-FF(143)의 S입력에 '1'이 들어가서 IP1a신호(131)이 '1'로 변화한다. 또, IP1이 '0'으로 변화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해서 IP1a신호(131)이 '0'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IP1이 '1'에서 '0'으로 변화하고 나서 n진 카운터(141)이 n-1까지 카운트업하기 전에 재차 IP1이 '1'로 변화하면 비교출력(153)에서는 '1'이 출력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IP1a신호(131)은 '0'으로 되는 일 없이 '1'을 유지한다.
반대로 IP1이 '0'에서 '1'로 변화하고 n-1카운트 전에 '0'으로 되돌아가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내부클럭에서 카운트해서 n-1이하인 IP1신호변화에 대해서는 IP1a신호(131)에 반영하는 일이 없어져 규정이하의 신호폭에 대해서 IP1의 검출을 보호할 수 있다. IP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n의 값 및 내부클럭의 주파수 등에 대해서는 IP1 및 IP2의 잡음 등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하면 좋다.
도 13은 도 11의 주기측정회로(102)의 IP1에 관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IP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회로구성으로 대응할 수 있다.
우선,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IP1a신호(131)의 상승에지검출을 실행하는 상승에지검출회로(160), PID정보신호(36)에서 PID정보의 검출판정을 실행하는 PID정보판정회로(165), 상승에지검출회로(160)에서 출력되는 PID개시검출신호A(170) 및 PID정보판정회로(165)에서 출력되는 PID개시검출신호B(175)를 전환선택하는 선택회로(161), 선택회로(161)에서 출력되는 PID개시검출신호C(171)이 IP1검출창신호(133)의 유효기간에 입력된 경우에 카운트값을 클리어하고 그 이외에는 내부클럭에 의해 항상 계속해서 카운트하는 주기카운터 및 필요한 디코드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카운터/디코더(162), 주기카운터/디코더(162)에서 출력되는 검출창신호A(172)의 유효기간에 PID개시검출신호A(170)이 검출된 경우에 카운트하는 검출카운터(164), 각 입력신호(173), (174), (176)에 의해 IP1검출창신호(133)을 출력제어하는 검출창출력 제어회로(163)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초기상태에 있어서 재생신호 복조기(17)로 부터의 PID정보신호(36)이 무효인 상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승에지검출회로(160)에서 출력되는 PID개시검출신호A(170)을 선택회로(161)에서 선택해서 PID개시검출신호C(171)로서 출력한다.
주기카운터/디코더(162)에 있어서 초기상태에서는 IP1검출창신호(133)은 항상 유효이고(하기 검출창출력 제어회로(163)의 동작설명참조), PID개시검출신호C(171)이 유효로 되면 주기카운터/디코더(162)의 주기카운터가 클리어되고, PID개시검출신호C(171) 동기로 카운트가 개시된다. 다음에, PID개시검출신호C(171)이 입력되는 타이밍부근의 카운트값을 디코드해서 검출창신호A(172) 및 검출창신호B(173)을 출력한다.
검출창신호A(172)가 유효인 경우에 PID개시검출신호A(170)이 검출카운터(164)에 입력되면 검출카운터값(174)를 카운트업한다. 단, 카운트업은 미리 정해진 카운트값에 도달한 시점에서 카운트업을 정지한다. 검출창신호A(172)가 유효인 동안에 PID개시검출신호A(170)이 검출카운터(164)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검출카운트값(174)를 클리어한다.
검출창출력 제어회로(163)에서는 검출카운트값(174)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한 경우에 검출창신호B(173)을 IP1검출창신호(133)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검출카운트값(174)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에는 IP1검출창신호(133)은 항상 유효로 되도록 출력한다. 따라서,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IP1검출창신호(133)은 항상 유효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초기상태에서 IP1의 상승에지검출에 의해 그 주기성을 체크하고, 주기성이 확인된 시점에서 IP1a신호(131)을 주기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IP1검출창신호(133)을 출력할 수 있다. IP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6a는 초기상태에서 IP1검출창신호(133)에 의한 주기보호가 개시될 때의 타이밍도이고, 도 16b는 주기보호중인 타이밍이다.
도 16b에 있어서 IP1a신호(131)에 외란이 발생해도 IP1b신호(135)에는 외란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재생신호 복조기(17)로 부터의 PID정보신호(36)이 유효로 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PID정보판정회로(165)에 의해 PID정보신호(36)의 유효성이 확인되면 PID정보신호에 따라서 PID개시검출신호B(175)가 출력되고 동시에 PID정보판정신호(176)이 유효로 된다.
선택회로(161)에서는 PID개시검출신호B(175)가 선택되고 PID개시검출신호C(171)로서 주기카운터/디코더(162)에 입력된다. 이 결과, 검출창신호B(173)은 PID정보신호에 따라서 생성되게 된다. 검출창출력 제어회로(163)에서는 PID정보 판정신호(176)이 유효인 상태에서는 검출카운트값(174)를 판정에 사용하지 않고 항상 검출창신호B(173)을 IP1검출창신호(133)으로서 출력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PID정보신호(36)을 사용한 IP1 및 IP2 검출창신호의 생성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PID정보판정신호(176)이 재생상태 등의 변화에 의해 무효로 된 경우에는 원래의 PID개시검출신호A(170)에 의한 IP1검출창신호(133)생성으로 되돌아간다.
도 14는 도 11의 신호주기 보호회로(103)에 관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폭 보호회로(101)에서 출력되는 IP1a신호(131)과 IP2a신호(132)를 각각 주기측정회로(102)에서 출력되는 IP1검출창신호(133)과 IP2검출창신호(134)에 의해 논리곱(180), (181)을 취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래킹제어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나 불안정한 경우에도 양호하게 PID부검출을 실행할 수 있고 그 검출신호에 의해 신호처리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정하게 기록 및 재생할 수 있게 되는 정보기록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6)

  1. 정보기록면상에 형성된 트랙에 랜드부와 그루브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미리 프리포맷해 두는 프리피트를 상기 트랙중심에서 어긋나게 해서 마련한 정보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조사광의 귀환광을 트랙방향으로 이분할된 검출기에 의해 수광해서 얻어진 차동신호에서 프리피트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프리피트 검출신호를 기준으로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피트 검출신호가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미리 프리포맷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할지 재생하지 않을지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재생신호진폭을 판정하고 소정의 신호진폭 이하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프리피트 검출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피트검출은 상기 차동신호의 고주파성분을 억압한 파형과 임의의 직류레벨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매체가 홈부와 홈사이부로 이루어지는 트랙으로 구성되고, 또 기록단위로 분할되고 각 기록단위마다 상기 기록단위를 나타내는 식별정보가 프리포맷되어 있고 상기 그루브부 및 랜드부가 트랙방향으로 미소량 요동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프리피트검출은 상기 차동신호의 고주파성분을 억압한 파형을 상기 요동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정 및 부의 2개의 레벨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피트 검출신호를 사용해서 상기 랜드부와 상기 그루브부가 전환되는 극성반전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는 상기 정보기록매체가 기록단위로 분할되고 각 기록단위마다 상기 기록단위를 나타내는 식별정보가 프리포맷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기록단위마다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방법.
  8. 트랙에 랜드부와 그루브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랜드부인지 그루브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피트를 상기 트랙중심에서 어긋나게 해서 마련한 정보기록매체에 조사한 광의 귀환광을 검출하고, 신호처리수단이 상기 귀환광에 따른 정보신호를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정보를 재생하고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를 실행하는 정보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의 처리에 의해 정보를 재생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프리피트 검출신호를 기준으로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방법.
  9. 정보기록면상에 형성된 트랙에 랜드부와 그루브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미리 프리포맷해 두는 프리피트를 상기 트랙중심에서 어긋나게 해서 마련한 정보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고, 조사광의 귀환광을 트랙방향으로 이분할된 검출기에 의해 수광해서 얻어진 차동신호에서 프리피트부를 검출하는 프리피트 검출수단을 갖고, 검출한 프리피트 검출신호를 기준으로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피트 검출신호가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미리 프리포맷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할지 재생하지 않을지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재생신호진폭을 판정하는 수단을 갖고, 소정의 신호진폭 이하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프리피트 검출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피트검출수단은 상기 차동신호의 고주파성분을 억압한 파형과 임의의 직류레벨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프리피트검출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홈부와 홈사이부로 이루어지는 트랙으로 구성되고, 또 기록단위로 분할되고 각 기록단위마다 상기 기록단위를 나타내는 식별정보가 프리포맷되어 있고 상기 그루브부 및 랜드부가 트랙방향으로 미소량 요동되어 형성되어 있는 정보기록매체에 대해서 상기 프리피트검출수단은 상기 차동신호의 고주파성분을 억압한 파형을 상기 요동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정 및 부의 2개의 레벨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프리피트검출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피트 검출신호를 사용해서 상기 랜드부와 상기 그루브부가 전환되는 극성반전위치를 검출하는 극성반전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를 상기 정보기록매체가 기록단위로 분할되고 각 기록단위마다 상기 기록단위를 나타내는 식별정보가 프리포맷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기록단위마다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장치.
  16. 트랙에 랜드부와 그루브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랜드부인지 그루브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피트를 상기 트랙중심에서 어긋나게 해서 마련한 정보기록매체에 조사한 광의 귀환광을 검출하고, 신호처리수단이 상기 귀환광에 따른 정보신호를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정보를 재생하고,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를 실행하는 정보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의 처리에 의해 정보를 재생할 수 없게 된 경우에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된 프리피트 검출신호를 기준으로 기록 및 재생 처리의 제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재생장치.
KR1019980021865A 1997-06-20 1998-06-12 정보기록재생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 KR100268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63738 1997-06-20
JP16373897A JP3330059B2 (ja) 1997-06-20 1997-06-20 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20A KR19990006920A (ko) 1999-01-25
KR100268636B1 true KR100268636B1 (ko) 2000-10-16

Family

ID=1577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865A KR100268636B1 (ko) 1997-06-20 1998-06-12 정보기록재생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188654B1 (ko)
JP (1) JP3330059B2 (ko)
KR (1) KR100268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263A (ja) * 1998-07-10 2000-01-28 Victor Co Of Japan Ltd 光学的記録媒体読取り装置
JP3374774B2 (ja) * 1999-01-05 2003-02-10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3968193B2 (ja) * 1999-04-26 2007-08-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リピット検出装置
KR100370606B1 (ko) * 1999-10-05 200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디스크 기록매체와 그에 따른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JP4422855B2 (ja) * 2000-03-16 2010-0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ウォブル信号再生回路
US7532560B2 (en) * 2001-10-18 2009-05-12 Via Technologies Inc.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optical disc drivers and the related method
TWI254918B (en) * 2001-10-18 2006-05-11 Via Tech Inc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optic disc drivers and related method
JP2004134002A (ja) * 2002-10-10 2004-04-30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プリピット検出方法
JP4626530B2 (ja) * 2005-03-31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ンパルス無線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4139A (ja) 1988-11-18 1989-08-04 Toshiba Corp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US5452284A (en) * 1992-09-14 1995-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medium and apparatus using land and groove encoded information signals and identification signals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JP2663817B2 (ja) 1992-12-02 1997-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3162234B2 (ja) 1993-11-19 2001-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用部材および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95258B1 (en) 2001-09-25
US6188654B1 (en) 2001-02-13
JP3330059B2 (ja) 2002-09-30
JPH1116167A (ja) 1999-01-22
KR19990006920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842B1 (ko) 광디스크매체, 광디스크장치 및 광디스크 트랙킹방법
KR100279789B1 (ko) 워블신호 검출회로, 워블이상 검출회로, 이들을 사용한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과 이들에 사용하는 기록매체
JP3090661B1 (ja)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5859820A (en) Optical disk drive and optical disk having a continuous information track formed of alternating land and groove revolutions
JPH10198978A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の極性反転位置検出方法
JP2807362B2 (ja) 情報再生装置
US20020067676A1 (en) Optical disc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information
KR100268636B1 (ko) 정보기록재생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
KR100246968B1 (ko)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재생장치 및 방법
US6381201B1 (en) Optical disk apparatus with address polarity determination and confirmation
US6690629B1 (en) Recording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100768614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20020026677A (ko) 광 기록매체의 헤더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이용한 기록 재생 방법
USRE39067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disk reproduction
JPH10320783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ウォブル異常検出回路、これら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記憶媒体
US7385887B2 (en) Address signal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optical disk playback apparatus, and address signal position detection method
JP3490042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492181B1 (ko) 광디스크기록/재생방법및장치
JP3073205B2 (ja)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651969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JP3811679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の極性反転位置検出方法
JP3073204B2 (ja)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0003555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3051119A (ja) アドレス判定回路
JP2003051121A (ja) アドレス信号再生方法およびアドレス信号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