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523B1 -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전기부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68523B1 KR100268523B1 KR1019970047494A KR19970047494A KR100268523B1 KR 100268523 B1 KR100268523 B1 KR 100268523B1 KR 1019970047494 A KR1019970047494 A KR 1019970047494A KR 19970047494 A KR19970047494 A KR 19970047494A KR 100268523 B1 KR100268523 B1 KR 1002685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terminal
- cover
- shaft
- insulating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4—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auxiliary driving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resistance
- G01D5/16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resistance by relative movement of a point of contact or actuation and a resistive trac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8—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작업성이 좋고, 또 환경변화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기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이 있는 본체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내에 지지된 절연기판(24)과, 상기 본체 케이스(21)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절연기판(24)에 접속된 외부 단자(28)와, 상기 케이스(21)내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를 이동시키는 축(25)과, 상기 케이스(21)의 개구(22)를 덮는 커버(23)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23)에 베어링(35)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35)에 의해 상기 축(25)을 축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23)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축(25)에 빠짐 방지 수단(25a)을 마련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들어 자동차의 배기가스 환류장치의 밸브개방도 콘트롤센서나, 가솔린과 공기의 혼합비를 콘트롤 하는 센서, 각종 엔코더 등으로서 사용되는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전기부품을 도 13에 나타내는 단면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전기부품은 외각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대하여 도 13의 좌우방향으로 출입이 가능한 축(2)과, 상기 케이스(1)에 내장된 절연기판(3)과, 이 절연기판(3)의 윗면에 설치된 저항체나 집전체 등의 도전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브러시(4)와, 이 브러시(4)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부재 받이(5)와, 축(2)의 축선으로부터 편심하여 배치되고, 이 슬라이딩 부재 받이(5)에 대하여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6)과, 저항기판(3)에 접속된 외부단자(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에서는 한쪽 끝단에 마련된 축구멍(1a)에 상기 축(2)이 삽입되는 동시에, 다른쪽 끝단에 마련된 개구(1b)에 커버(8)가 밀폐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케이스(1)내의 대향하는 내벽에는, 축(2)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한쌍의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부재 받이(5)에 형성한 한쌍의 돌기(5a)가 걸어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케이스(1)내에 수납되는 절연기판(3)은, 그 양측단이 케이스(1)내의 대향하는 내벽에 형성된 제 2의 한쌍의 홈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절연기판(3)은 케이스(1)와 절연기판(3)의 이면의 사이에 마련된 파형의 판스프링(9)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 받이(5)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절연기판(3)의 한쪽 끝단측에는, 저항체나 집전체에 접속된 도전체의 단자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단자부(3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외부단자(7)의 한쪽 끝단측에는 접속부(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기판(3)의 단자부(3a)와 외부단자(7)의 접속부(7a)를 케이스(1)의 개구(1b)측에 대향시켜 클립단자(10)로 상호 접속하고 있다. 또, 케이스(1)내에는 축(2)의 축선으로부터 편심하여 리턴 스프링(6)을 지지하는 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1)내에 지지된 리턴 스프링(6)이 슬라이딩 부재 받이(5)를 축방향으로 가세하도록 되어 있다. 또, 축(2)과 슬라이딩 부재 받이(5)에는 대향하여 각각 볼록부(2a)와 오목부(5b)를 마련하고, 이 볼록부(2a)와 오목부(5b)를 걸어맞추고 있다. 또한, 구멍(1c)은 이 전기부품을 다른 장치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한 종래의 전기부품은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있다. 먼저, 케이스(1)내에 판스프링(9) 및 절연기판(3)을 삽입하여 놓는다. 다음에, 케이스(1)의 개구(1b)에 대향하는 한쪽 끝단측에 형성된 축구멍(1a)에 축(2)을 개구(1b)측으로부터 끼워 통하게 하고, 이어서 슬라이딩 부재 받이(5)의 한쌍의 돌기(5a)를 케이스(1)내의 한쌍의 홈에 걸어맞추는 동시에 축(2)에 걸어맞춘다. 다음에, 클립단자(10)를 절연기판(3)의 단자부(3a)와 외부단자(7)의 접속부(7a)에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우고, 케이스(1)의 스프링 수납용의 홈(11)에 리턴 스프링(6)을 삽입하고 마지막으로 커버(8)로 케이스(1)의 개구(1b)를 막는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전기부품에서는, 축(2)을 케이스(1)의 개구(1b)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떨어진 한쪽 끝단측의 축구멍(1a)에 삽입하지 않으면 삽입되기 어려워, 조립 작업성의 효율이 나빴었다.
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전기부품은, 예를들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의 배기가스 환류장치의 밸브개방도 검출센서로서 제어밸브 등을 수납하는 제어밸브 수납용기(12)에 부착부재(13)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은, 축(2)을 제어밸브 수납용기(12)내로 돌출시켜, 이 제어밸브 수납용기(12)와의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밸브 수납용기(12)내의 제어밸브(도시하지 않음)의 움직임에 따라 축(12)이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어밸브 수납용기(12)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케이스(1)의 개구(1b)를 막는 커버(8)측은 엔진룸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케이스(1)의 개구(1b)가 커버(8)로 밀폐되어 있어도 외부의 장시간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변화, 먼지 등의 영향에 의해 밀폐상태가 열화되고, 케이스(1)내의 브러시(4)와 절연기판(3)상의 저항체나 집전체와의 접촉이 불안정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조립 작업성이 좋고, 또 환경 변화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기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의 케이스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의 절연기판과 외부단자와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 외부단자의 접속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 외부단자의 접속부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 외부단자의 접속부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B-B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부품의 제 2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전기부품의 제 2 실시예에 사용하는 커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전기부품의 제 3 실시예의 종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전기부품의 제 3 실시예에 사용하는 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전기부품의 종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전기부품의 사용상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케이스 1a: 축구멍
1b, 22: 개구 1c: 부착구멍
2, 25: 축 2a: 볼록부
3, 24: 절연기판 3a: 단자부
4: 브러시 5, 26: 슬라이딩 부재 받이
5a: 돌기 5b: 오목부
6, 27: 리턴 스프링 7, 28: 외부단자
8, 23, 61, 71: 커버 9, 37: 판 스프링
10: 클립단자 11: 홈
12: 제어밸브 수납용기 13: 설치부재
25a: 굵은 축부 29: 바닥부
30: 스톱퍼 31: 위치결정용 돌출부
32, 33: 줄기 홈 34: 스프링 수납홈
35, 63, 73: 베어링 36: 단자부
38: 볼록부 39: 오목부
40: 머리부 41: 걸어맞춤 돌기
42: 슬라이딩 부재편 43: 접속부
44: 클립 단자 45, 46: 클립부
47: 연결부 48: 커팅홈
49: 절곡부 50: 오목홈
62, 72: 바닥부 64, 75, 65, 76: 투명구멍
74: 간막이벽 77: 보호커버
78: 힌지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이 있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지지된 절연기판과, 상기 본체 케이스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절연기판에 접속된 외부단자와, 상기 케이스내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슬라이딩 부재 받이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받이를 이동시키는 축과,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막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축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축에 빠짐 방지 수단을 마련하며, 상기 절연기판에는 그 한쪽 끝단에 단자부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외부 단자에는 그 한쪽 끝단에 접속부를 마련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속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측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클립 단자로 상호 접속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에 투명구멍을 형성하고, 절연기판의 상기 단자부와 상기 외부단자의 상기 접속부를 상기 투명구멍을 끼워 통하게 하여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속부를 상호 접속하였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은 상기 커버에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단자부와 상기 외부단자의 상기 접속부를 덮는 보호커버를 부착하였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전기부품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에 관한 것으로, 축의 축선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케이스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절연기판과 외부단자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도 5는 외부단자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 7은 외부단자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부품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바닥이 있는 형의 케이스(21)와, 이 케이스(21)의 개구(22)를 막는 커버(23)와, 케이스(21)내에 수납되는 절연기판(24)과, 축(25)과, 이 축(25)에 걸어 멈추어지는 동시에 케이스(21)내에서 축(25)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와, 이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를 축방향으로 가세하는 리턴 스프링(27)과, 케이스(21)에 지지된 외부단자(2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1)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부(29)에는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쌍의 스톱퍼(30)가 케이스(21)내에 돌출 설치되고, 또 절연기판(24)의 위치결정용 돌출부(31)가 한쌍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21)의 내벽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한 두쌍의 줄기 홈(32, 33)과 리턴 스프링(27)을 수납하는 스프링 수납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23)에는 대략 중앙에 축(25)이 끼워 통하게 되는 통상의 베어링(35)이 케이스(21)의 내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23)는 케이스(21)의 개구(22) 근방에서 케이스(21)의 내벽에 끼워 맞추어져 이 개구(22)를 막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21)내에 수납되는 절연기판(24)은, 윗면에 저항체, 집전체(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 끝단측에 저항체, 집전체에 접속된 도전체의 단자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단자부(36)가 마련되어 있고, 이 절연기판(24)의 양측단이, 도 2에 나타낸 케이스(21)내의 한쌍의 줄기홈(32)에 삽입되는 동시에, 그 다른쪽 끝단이 위치결정용 돌출부(31)에 맞닿게 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기판(24)의 이면과 케이스(21)의 내벽과의 사이에 삽입된 파형의 판스프링(37)에 의해 절연기판(24)은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측(윗면측)으로 가세되어 상하방향의 흔들림을 없애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는 케이스(21)의 개구(22)를 향하도록 돌출된다.
커버(23)의 베어링(35)에 끼워 통해지는 축(25)에는, 빠짐 방지 수단인 굵은 직경부(25a)와, 이 굵은 직경부(25a)의 선단측에 볼록부(38)를 형성하는 한편,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에는 이 볼록부(38)에 대향하여 이 볼록부(38)보다 직경이 큰 오목부(39)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39)에 볼록부(38)를 걸어맞추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에는 케이스(21)내의 스프링 수납홈(34)내로 돌출되는 머리부(40)와, 케이스(21)내의 한쌍의 줄기홈(33)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돌기(41)가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한쌍 형성되어 있고, 또 절연기판(24)상의 저항체, 집전체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편(42)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축(25)에 외부로부터 가해진 푸시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는 리턴 스프링(27)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외부단자(28)는 인서트몰드 등의 수단에 의해 케이스(21)에 지지되고, 그 한쪽 끝단측은 접속부(43)로 되어 있으며,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병행하여 개구(22)를 향하게 돌출시키고, 그 다른쪽 끝단측은 케이스(21)의 측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가 클립 단자(44) 등의 접속수단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은 클립 단자(44)에 의해 이들 단자부(36)와 접속부(43)를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우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 클립단자(4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를 각각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우는 두 개의 클립부(45, 46)와 이들 양 클립부(45, 46)를 연결하는 연결부(4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클립부(46)에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워지는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팅홈(48)이 형성되어 있고, 한편 클립부(46)에는 단면 V형의 절곡부(49)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절곡부(49)를 커팅홈(48)을 따라 걸어맞추면서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끼우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접속부(43)에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커팅홈(48) 대신에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목홈(50)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클립단자(44)에 의해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를 접속함으로써, 클립단자(44)는 그 절곡부(49)를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에 형성한 커팅홈(48) 또는 오목홈(50)에 걸어맞추면서 삽입하는 것 만으로 끝나 접속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에 형성한 커팅홈(48) 또는 오목홈(50)과 클립단자(44)의 클립부(46)에 형성한 V형의 절곡부(49)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접속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부품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외부단자(28)를 지지하는 케이스(21)내에 그 양측단을 줄기 홈(32)에 걸어맞추어 판스프링(37)과 함께 절연기판(24)을 삽입하고, 위치결정용 돌기(31)에 당접시킨다. 또, 스프링 수납부(34)에 리턴 스프링(27)을 수납한다. 다음에,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를 그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1)를 케이스(21)내의 한쌍의 줄기 홈(33)에 걸어 맞추면서 케이스(21)내에 삽입한다. 다음에, 접속수단인 클립 단자(44)의 두 개의 클립부(45, 46)를 각각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에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운다.
이 경우,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는 리턴 스프링(27)에 의해, 이 리턴 스프링(27)이 완전히 뻗어지는 위치까지 케이스(21)의 개구(22)측으로 되돌려 눌러지고, 그 결과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에 걸어멈추어진 슬라이딩 부재편(42)의 선단은 절연기판(24)상의 단자부(36)에 근접하는데, 되돌려 눌려진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에 걸어 멈추어진 슬라이딩 부재편(42)은, 클립단자(44)로부터 소망하는 거리 만큼 이간시킨 치수 관계로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클립 단자(44)에 의해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를 접속한다. 다음에, 축(25)을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에 걸어맞추고 다시 커버(23)에 의해 케이스(21)의 개구(22)를 막는 것인데, 이 때 커버(23)의 베어링(35)에 미리 축(25)을 끼워 통해 놓고, 그 커버(23)를 케이스(21)의 개구(22)에 끼워 맞추면 축(25)은 빠짐 방지수단(25a)이 있기 때문에 빠지는 일이 없고, 이 축(25)의 볼록부(38)을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의 오목부(39)에 걸어맞출 수 있는 동시에 스프링(27)은 약간 변형된 상태에서 조립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전기부품은, 케이스(21)의 개구(22)에 커버(23)를 끼워 맞춤으로써 축(25)을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에 걸어맞추어 케이스(21)내에 삽입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이 좋다. 또, 케이스(21)의 개구(22)를 막는 커버(23)로부터 축(25)이 출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센서로서 엔진의 배기가스 환류장치 등에 사용될 때에, 이들 장치의 제어밸브 수납용기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축(25)을 포함하는 개구(22)측이 상기 수납용기내에 밀폐되는 상태로 되고, 수납용기 바깥에는 케이스(21)의 저부(29)측만이 위치하므로 외부 습도 등의 환경변화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편(42)이나 클립 단자의 접촉 불량 등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제 1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 축(25)과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를 일체로 형성하여 놓으면, 이 양자를 동시에 케이스(21)내에 삽입한 후에 커버(23)를 케이스(21)에 끼워 맞출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일체로 형성된 축(25)과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를 동시에 케이스(21)내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간단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형태를 도 9,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기부품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전기부품에 사용하는 커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 중, 제 1 실시예의 전기부품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과 다른 곳은 커버(61)이고, 그 이외의 케이스(21), 절연 기판(24), 축(25), 슬라이딩 부재 받이(26), 리턴 스프링(27), 외부단자(28), 판스프링(37), 슬라이딩 부재편(42), 클립단자(44)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과 동일하다.
케이스(21)의 개구(22)를 막는 커버(61)는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오목상을 이루고, 오목상으로 된 바닥부(62)의 대략 중앙에 케이스(21)의 바깥쪽 및 내방으로 돌출되는 통상의 베어링(6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바닥부(62)에는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를 끼워 통하게 하는 슬릿상의 투명 구멍(64)과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를 끼워 통하게 하는 슬릿상의 3개의 투명구멍(65)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커버(61)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외부단자(28)를 지지하는 케이스(21)내에 그 양측단을 줄기 홈(32)에 걸어맞추고 판스프링(37)과 함께 절연기판(24)을 삽입하고, 위치 결정용 돌기(31)에 당접시킨다. 또, 스프링 수납부(34)에 리턴 스프링(27)을 수납한다. 다음에,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의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1)를 케이스(21)내의 한쌍의 줄기 홈(33)에 걸어맞추면서 케이스(21)내로 삽입한다.
여기까지의 조립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의 조립과 같은데,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의 조립에서는 다음에, 미리 베어링(63)에 축(25)을 끼워 통하게 한 커버(61)를 케이스(21)의 개구(22)에 끼워 맞추어 개구(22)를 막고, 그 후에 클립 단자(44)에 의해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를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운다. 즉, 커버(61)를 케이스 개구(22)에 끼워 맞출 때,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를 커버(61)의 바닥부(62)에 형성한 투명구멍(64, 65)에 각각 끼워 통과시키고 이들 단자부(36)와 접속부(43)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그 후에 이 돌출된 단자부(36)와 접속부(43)를 클립 단자(44)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워 상호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클립 단자(44)에 의해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를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울 때에, 커버(61)를 케이스(21)에 끼워 맞추므로 축(25)에 걸어 멈추어진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는 케이스(21)내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61)로부터는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만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클립단자(44)를 단자부(36)와 접속부(43)에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울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축(25)과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를 일체로 형성하여 놓으면, 커버(61)를 케이스(21)의 개구(22)에 끼워 맞출 때에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도 동시에 케이스(21)내로 삽입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단자(44)를 조립할 때에, 슬라이딩 부재편(4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리턴 스프링(27)이 완전히 뻗은 상태보다 더욱 여유를 갖고 절연기판(24)을 외부단자(28)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단자(44)을 조립할 때에, 슬라이딩 부재 받이(26)가 리턴 스프링(27)을 변형시킨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고, 그 만큼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를 케이스(21)의 내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절연기판(24)을 짧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11,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전기부품의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전기부품에 사용하는 커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 중, 제 1 실시예의 전기부품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과 다른 곳은 커버(71)이고, 그 이외의 케이스(21), 절연기판(24), 축(25), 슬라이딩 부재 받이(26), 리턴 스프링(27), 외부단자(28), 판스프링(37), 슬라이딩 부재편(42), 클립단자(44)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부품과 동일하다.
케이스(21)의 개구(22)를 막는 커버(71)는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고, 대략 오목상을 이루며 오목상으로 된 바닥부(72)의 대략 중앙에 케이스(21)의 바깥쪽 및 내방으로 돌출하는 통상의 베어링(7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바닥부(72)에는 바깥쪽을 향해 베어링(73)과 일체로 된 간막이벽(74)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부(72)에는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를 끼워 통하게 하는 슬릿상의 투명 구멍(75)과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를 끼워 통하게 하는 슬릿상의 3개의 투명구멍(76)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71)에는 보호 커버(77)가 힌지(78)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커버(71)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부품은 제 2 실시예 형태의 전기부품과 완전히 같게 조립된다. 즉, 외부단자(28)를 지지하는 케이스(21)내에 판스프링(37)과 함께 절연기판(24)을 삽입하고, 또 스프링 수납부(34)에 리턴 스프링(27)을 수납한다. 다음에,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를 케이스(21)내에 삽입한다.
다음에, 미리 슬라이딩 부재 받이(73)에 축(25)을 끼워 통과시킨 커버(71)를 케이스(21)의 개구(22)에 끼워 맞추는 동시에 축(25)의 볼록부(38)를 슬라이딩 부재 받이(26)의 오목부(39)에 걸어맞추고, 또 커버(71)의 바닥부(72)의 투명구멍(75, 76)에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와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를 끼워 통하게 하여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이 돌출된 단자부(36)와 접속부(43)를 클립 단자(44)로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워 상호 접속시킨다. 마지막으로 보호커버(77)를 베어링(73)에 끼워 맞추어 클립 단자를 덮는다. 또한, 보호커버(77)는 별체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도, 축(25)과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를 일체로 형성하여 놓으면, 슬라이딩 부재 받이(26)는 커버(71)를 케이스(21)의 개구(22)에 끼워 맞출 때에 동시에 케이스(21)내로 삽입시킬 수 있어 조립 작업이 간단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호 커버(77)에 의해 클립 단자(44)를 덮도록 하고 있으므로, 먼지의 진입을 방지하여 클립 단자(44)와 절연기판(24)의 단자부(36) 및 외부단자(28)의 접속부(43)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커버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 베어링에 의해 빠짐 방지수단을 설치한 축을 축 지지하였기 때문에 케이스의 개구에 커버를 끼워 맞춤으로써 축을 슬라이딩 부재 받이에 걸어 맞추어 케이스내에 삽입할 수 있어 조립성이 좋다. 또, 케이스의 개구를 막는 커버로부터 축(25)이 출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센서로서 엔진의 배기가스 환류장치 등에 사용될 때에 이들 장치의 제어밸브 수납용기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축(25)을 포함하는 개구(22)측이 상기 수납용기내에 밀폐되는 상태로 되고, 수납용기 바깥에는 케이스(21)의 바닥부(29)측만이 위치하므로 외부습도 등의 환경변화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편(42)이나 클립단자의 접촉 불량 등을 일으키는 일이 없고, 또 상기 절연기판에는 그 한쪽 끝단에 단자부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외부단자에는 그 한쪽 끝단에 접속부를 마련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속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측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클립 단자로 상호 접속하였기 때문에, 접속은 클립 단자에 의해 이들 단자부와 접속부를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우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커버에 투명 구멍을 형성하고, 절연 기판의 상기 단자부와 상기 외부단자의 상기 접속부를 상기 투명 구멍을 끼워 통하게 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속부를 상호 접속하였기 때문에 커버로부터는 절연기판의 단자부와 외부단자의 접속부만이 돌출되어 있어 클립 단자를 단자부와 접속부에 탄성적으로 눌러 맞닿게 하여 끼울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에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단자부와 상기 외부단자의 상기 접속부를 덮는 보호커버를 부착하였기 때문에, 먼지의 진입을 방지하고 클립 단자와 절연기판의 단자부 및 외부단자의 접속부와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
- 개구를 가지며 바닥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지지되고 저항체 등을 설치한 절연기판과,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저항체 등에 접속된 외부단자와, 상기 케이스내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슬라이딩 부재 받이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받이를 이동시키는 축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베어링을 설치하며, 상기 축을 상기 베어링에 의해 축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상기 축에 빠짐 방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절연기판에는 그 한쪽 끝단에 단자부를 마련하고, 한편 상기 외부단자에는 그 한쪽 끝단에 접속부를 마련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속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측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클립 단자에 의해 상호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투명 구멍을 형성하고, 절연기판의 상기 단자부와 상기 외부단자의 상기 접속부를 상기 투명 구멍을 끼워 통하게 하여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속부를 상호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단자부와 상기 외부단자의 상기 접속부를 덮는 보호 커버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6779696A JP3333810B2 (ja) | 1996-09-18 | 1996-09-18 | 電気部品 |
JP8-267796 | 1996-09-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4678A KR19980024678A (ko) | 1998-07-06 |
KR100268523B1 true KR100268523B1 (ko) | 2000-10-16 |
Family
ID=1744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7494A KR100268523B1 (ko) | 1996-09-18 | 1997-09-18 | 전기부품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6204749B1 (ko) |
JP (1) | JP3333810B2 (ko) |
KR (1) | KR1002685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72822B2 (ja) * | 2000-08-02 | 2009-06-03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直線操作型電気部品 |
ATE492899T1 (de) * | 2001-07-20 | 2011-01-15 | Sonion As | Schalter/lautstärkenregelung für ein hörgerät |
JP3868796B2 (ja) * | 2001-11-07 | 2007-01-17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電気部品 |
JP4041438B2 (ja) * | 2003-08-08 | 2008-01-30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Egrセンサ |
JP5543146B2 (ja) | 2009-07-27 | 2014-07-09 | ローム株式会社 | チップ抵抗器およびチップ抵抗器の製造方法 |
WO2018168425A1 (ja) | 2017-03-14 | 2018-09-20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固定導電板と弾性導電板を有する電子装置 |
WO2018168424A1 (ja) | 2017-03-14 | 2018-09-20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固定導電板と弾性導電板を有する電子装置 |
EP3749181B1 (en) | 2018-02-09 | 2024-02-21 | Bruin Biometrics, LLC | Detection of tissue damage |
CA3115263A1 (en) * | 2018-10-11 | 2020-04-16 | Bruin Biometrics, Llc | Device with disposable element |
MX2023009108A (es) | 2021-02-03 | 2023-08-09 | Bruin Biometrics Llc | Métodos de tratamiento de daño tisular inducido por presión en estadio profundo y temprano.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50608A (en) * | 1955-11-07 | 1958-09-02 | Bourns Lab Inc | Adjustable electrical resistors |
US4213112A (en) | 1979-01-22 | 1980-07-15 | Carrier Corporation | Variable resistance potentiometer |
US4284969A (en) | 1979-11-09 | 1981-08-18 | Clarostat Mfg. Co., Inc. | Potentiometer |
DE3714348A1 (de) * | 1987-04-29 | 1988-11-17 | Ruf Kg Wilhelm | Potentiometer |
JPH0666168B2 (ja) * | 1988-11-08 | 1994-08-2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直動式ポテンシヨメータ |
JP2771376B2 (ja) | 1992-02-03 | 1998-07-02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センサ |
US5435181A (en) * | 1993-09-29 | 1995-07-25 | The Kelch Corporation | Electronic float gauge |
-
1996
- 1996-09-18 JP JP26779696A patent/JP3333810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
- 1997-09-05 US US08/924,216 patent/US620474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9-18 KR KR1019970047494A patent/KR10026852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4678A (ko) | 1998-07-06 |
JPH1090003A (ja) | 1998-04-10 |
US6204749B1 (en) | 2001-03-20 |
JP3333810B2 (ja) | 2002-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68523B1 (ko) | 전기부품 | |
JP2001244012A (ja) | コネクタ | |
KR100289216B1 (ko) | 스위치 접속 구조 | |
KR890004818Y1 (ko) | 개폐기의 가동 접촉자 유지구조 | |
GB2272797A (en) | Push button switch | |
GB2247989A (en) | Push button switch | |
JP2002150864A (ja) |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 |
AU734495B2 (en) |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 |
KR19980032404A (ko) | 스위치 접속 구조 | |
KR100309423B1 (ko) | 센서 | |
KR100295232B1 (ko) | 스위치를갖는시프트노브의구조 | |
US5856774A (en) | Holding structure for terminal of variable resistor | |
KR970002534Y1 (ko) | 푸시 스위치 | |
JP3802298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3021565U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3021566U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JP3021567U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KR970012844A (ko) | 스위치 | |
JPH0515406U (ja) | 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 |
JPH047538Y2 (ko) | ||
JP3154277B2 (ja) | 電気接続箱 | |
JPH0548341Y2 (ko) | ||
JPH0684645U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KR890000051Y1 (ko) | 자동 복귀형 스위치 | |
JPH0684644U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7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