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207B1 - 자기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207B1
KR100267207B1 KR1019960704544A KR19960704544A KR100267207B1 KR 100267207 B1 KR100267207 B1 KR 100267207B1 KR 1019960704544 A KR1019960704544 A KR 1019960704544A KR 19960704544 A KR19960704544 A KR 19960704544A KR 100267207 B1 KR100267207 B1 KR 10026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amorphous
pair
wires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오 몬마
야스노리 야마노베
타카시 사또
Original Assignee
아오야기 모리키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오야기 모리키,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오야기 모리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4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the flux-gate princi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25Compensating stray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63Magneto-impedance sensors; Nanocristallin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 H01J2229/0038Act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Hall/Mr Element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자기센서(1)와, 자기보정용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회로(2)와, 자기보정용코일(3)를 구비하고 있다. 자기센서는 평행으로 배치된 1쌍의 무종형 자성체 와이어(101)와, 1쌍의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에 상호 반대방향의 바이어스자계를 부여하는 코일(102)과, 1쌍의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에 고주파 전류를 통전하는 고주파 전원(105)과, 1쌍의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 각 출력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압차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106,107,108,10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기보정회로는 미소한 외부자계도 정도가 양호하게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기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지자기(地磁氣), 장치의 구성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磁氣)(이하 "외부자기"라함)의 검출을 행하고, 검출한 자기량에 따라 자기를 발생시켜 이에 의하여 외부자기를 보정하여 전자선의 랜딩차이, CRT와 같은 화장표시장치의 퓨리티(Purity ; 색순도)차이를 방지하는 자기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에도 지자기(수만 nT, 수십 A/m)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자기센서로서 플럭스 게이트(Flux Gate)형 자기센서가 알려져 있다. 플럭스게이트형 자기센서는 원리적으로 대형의 자심(磁心)을 필요로 하므로 센서헤드를 작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화상표시장치의 퓨리티차이 등을 방지하는 자기보정회로용 자기검출센서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또한 플럭스게이트형 자기센서는 코스트가 높고 양산에 부적합하다.
플럭스 게이트형 자기센서외의 자기센서에는 반도체를 사용한 홀소자, 강자성체(이하"강자성체"의 것을 간단하게 "자성체"라칭함)박막을 사용한 자기저항소자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센서는 자계검출감도가 낮아 화상표시장치의 퓨리티차이 등을 방지하는 자기보정회로용을 자기검출센서로 사용하기에는 고가의 센서와 복잡한 회로를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코스트가 높아진다. 따라서 정도보다 외부자기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회로가 일부의 고급화상표시장치에 단지 통합되어 오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자기센서는 그 최대신호 허용 레벨을 지자기(수만 nT, 수십 A/m)정도로 하면 자기검출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치제조후에도 미소의 외부자계를 검출하는 것이 충분히 정도를 가지고서 소형으로 저렴한 자기보정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자기보정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자기센서와 자기보정용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회로와, 자기보정용의 코일을 갖으며, 당해 자기센서로 외부자기의 자기량검출을 행하고, 당해 제어회로로 검출한 외부자기의 자기량에 따른 자기보정용의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신호를 당해 자기보정용의 코일로 흘려 보내서 당해 자기센서의 자기감지방향으로 소정량의 자기를 발생됨으로써, 외부자기를 보정하도록한 자기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가 1쌍의 평행으로 배치된 무정형(amorphous)자성체 와이어에 상호 반대방향의 바이어스 자계를 부여하여 각각 코일 또는 영구자석과 상기 1쌍의 와이어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고주파 전원과 상기 1쌍의 와이어 각 출력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저압차이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기보정회로는 상기 자기센서와 자기보정용 코일과의 조합을 2조 또는 3조로 가지며, 또한 이들 상호간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장치는 이들 자기보정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기센서는 외부자기의 자기량을 검출하고, 제어회로는 자기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외부자기의 자기량에 따른 자기보정용 신호를 발한다. 이 신호는 자기보정용의 코일로 흘러 자기센서의 감지방향으로 소정량의 자기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하여 외부자기는 보정되고 예를들면 화상표시장치에 있어 전자선의 랭딩차이와 퓨리티차이가 방지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보정회로와 화상표시장치의 구성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자기센서의 회로구성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3도는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외부자계를 가하고 그 양단간에 고주파전류를 통전시킬때의 와이어 양단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기본회로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4도는 제3도의 도시한 측정회로를 사용하여 측정한 외부자계와 와이어 양단전압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서술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CRT와 같은 화상표시장치(4)의 전자총부분에 장비된 자기센서, 2는 자기센서(1)의 출력단에 접속된 자기보정용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 3은 제어회로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는 CRT(4)의 전자총근방에서 동일평면내에 대향배치된 동일방향으로 보정자계를 발생시키는 코일이다.
제2도에 있어서, 101은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 102는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에 바이어스 자계를 부여하기 위한 코일, 103은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와 코일(102)로부터 이루는 외부자기 검출부, 104는 저항, 105는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에 고주파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고주파 전원, 106은 증폭기, 107은 검파기, 108은 로우패스필터(Low-pass Filter), 109는 차동증폭기이다. 외부자기검출부(103)는 도시한 바와같이 저항(104)과 함께 고주파전원(105)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고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진다.
그리하여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로부터 출력신호는 저항(104)과의 접속점으로부터 각각 취출되어 증폭기(106)에 입력되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는 C0 Si B계, Fe Co Si B계, 그외 조성의 합금을 용융시킨후, 초급냉시켜 선상(線상)으로 만든다. 게다가 자왜정수, 자기이방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장력하에서 아닐링을 행하고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원주방향으로 강하게 자기이방성을 갖게된다. 자왜정수(λs)에 있어서는 자왜정수(λs)의 절대치가 10-6보다 크면 후술하는 와이어 양단전압이 작게되고 검출하기 어렵고 되고 -10-6<λs≤0 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직경은 10∼150㎛범위에서 검출감도가 커서 바람직하고 길이는 1mm정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나 출력이 용이하도록 2mm이상이 바람직하다.
코일(102)은 공지의 형식의 것으로서 이 대신에 파선(破線)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공지의 영구자석 또는 공지의 코일과, 공지의 영구자석과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재질과 자기센서(1)의 구성에 따라 임피던스의 변화를 효율적으로 취출하고자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에 통전하는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f)는 10KHz∼300MHz범위가 바람직하다.
10KHz∼300MHz범위외에서는 자계에 대한 감도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자기보정회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나 다음에 그 작용을 설명한다.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길이방향으로 고주파전원(105)에 의하여 고주파 전류를 통전하면,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주위에 원주자계(Ho)가 발생한다.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는 자성체로 되어 고유의 임피던스(L)과 직류저항분(R)(와전류손실에 의한 저항도포함)을 갖는다. 여기에서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길이방향으로 외부자계(Hex)를 가하면 외부자계(Hex)의 강도에 따른 각도(Ψ(0°<Ψ<90°))까지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자화벡터(M)가 경사진다.
이결과 원주방향의 유효한 자화성분은 McosΨ(0<cosΨ<1)로 되고 상기 인덕턴스(L)와 직류저항분(R)도 감소하게된다.
따라서 이 임피던스의 변화로부터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진 외부자계(Hex)의 강도가 검출되고 임피던스의 변화는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길이방향으로 고주파 전류를 통전시키는 와이어 양단 전압의 변화를 구할수 있게 된다.
제3도는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길이방향으로 외부자계 Hex A/m을 가하고 고주파전원(105)으로 부터의 고주파 전류를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양단에 통전된 것의 와이어 양단전압(mVp-p)을 측정하기 위한 기본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4도는 조성이 (Fe6Co94)72.5Si12.5B1.5의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에 100(Ω)의 저항(104)을 직렬로 접속하고,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가 300KHz 경우의 외부자계(Hex A/m)에 대한 와이어 양단전압(m Vp-p)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의 그래프는 외부자계 Hex±200A/m부근에 있어서 와이어 양단전압이 최대치가되고 외부자계 Hex=0를 경계로하여 좌우대칭으로 되어진다.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재질, 형상, 통전하는 전류의 주파수와 전류치등에 의하여 그래프의 곡선상태는 상이하나 여하튼 외부자계 Hex=0에 따른 종파표축을 대칭축으로하여 산형(山形)같은 대칭형의 곡선이 된다.
따라서 와이어 양단전압이 55m Vp-p이상의 경우에는 외부자계(Hex)의 강도는 획일적으로 정해지지 아니하고 외부자계(Hex)를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자기검출부(103)를 상호 평행으로 배치하고, 각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에 10∼300KHz의 고주파전류를 통전시키며 또한 1쌍의 코일(102)에 의하여 동일한 강도, 반대방향의 바이어스 자계를 발생시켜 제2도에 블록으로 도시한 회로를 사용하여 각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의 와이어 양단전압차이를 검출하고 자기검출부(103)의 길이방향의 외부자계 Hex의 강도와 방향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즉, 제3도에 있어서 예를들면 바이어스자계를 각각 +200A/m,∼ -500A/m로 하면 +200A/m∼+500A/m 및 -200A/m∼-500A/m의 범위의 곡선이 이용가능하고, 1쌍의 와이어 양단 전압의 차를 구하면 ±300A/m의 범위에서 외부자계(Hex)의 강도와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에서의 자기센서(1)의 검출정도는 1A/m이고 최대신호허용레벨은 지자기정도의 경우 충분한 자기검출감도가 얻어진다.
그리하여 차동증폭기(109)의 출력단으로부터 얻어진 1쌍의 와이어 양단전압차를 나타내는 신호는 제어회로(2)에 입력되고 제어회로(2)로 부터는 입력신호에 따른 크기의 자기보정용 신호가 코일(3)에 출력되고 외부자계가 적정으로 보정된다. 이 경우 ±300A/m의 최대신호 허용레벨로서 1A/m의 정도 자기보정이 가능하다.
다음, 상기 실시예에 따라 실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보정용 코일(3)로부터 발생하는 보정자계의 방향을 자기센서(1)에서 검출하는 방향으로 조정되고 자기센서(1)에서 보정용 코일(3)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도 검지가능하게 된다. 이 방법에서 가계의 보정을 행하면 보정용 코일(3)로부터 발생된 보정자계와 외부자계의 합성이 0(A/m)에 될 때까지 자기보정회로가 자동적으로 동작되게 된다.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에 있어서는 조성(Fe6Co94)725, Si12.5B15에서 자왜정수 λs=-10-7, 직경 50㎛, 유효길이 4mm의 것을 사용한다.
바이어스 자계인가용코일(102)에는 권수 100회, 코일지름 3mm의 것을 사용하고, ±500A/m의 바이어스자계를 발생시킨다. 저항(104)는 270Ω, 각각의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에 통전된 고주파전류의 주파수(f)는 300KHz이다.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자기센서(1)는 자기검출부(103)가 100mm x 10mm x 5xx, 전체가 30mm x 30mm x 5mm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자기센서(1)에서 검출하는 자계의 방향을 지자기가 강한 연직방향이다.
자기보정용 코일(3)은 두께가 0.1mm의 에나멜선을 100회 감은 것으로서 100mm x 100mm정방형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CRT(4)는 17인치 사이즈를 사용한다.
이결과 외부로부터 300A/m의 자계를 인가하여도 퓨리티의 변화가 발생하지 아니하고 선명한 화상이 얻어졌다.
이상, 실시예에는 자기센서(1)로하여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101)이 1평면(지면)상에 평행으로 배치된 것을 1조, 자기보정용의 코일(3)도 CRT(4)의 전자총을 사이에 상하로 하는 1평면(지면)상에 배치된 것을 1조로 사용하나, 이는 직교하는 2 또는 3개의 평면상에 각각 1개로씩 배치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상표시장치의 자기검출에는 지자기와 화상표시장치의 부품으로부터 나오는 자계가 수평성분과 연직성분을 갖도록 직교하는 2 또는 3개의 평면상에 각각1조씩 배치된 형태의 방향이 보여진다. 또한 자기보정용 코일(3)은 자계를 보정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보정회로는 극히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에는 전자선의 방사하고 또는 CRT의 퓨리티에 있어서 변화를 생성하지 아니한 화상을 얻을 수 있으며 금후 보다 유익한 고화질화 하는 화상표시장치업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자기센서와, 자기보정용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와, 자기보정용 코일을 가지고 있고, 상기 자기센서로 외부자기의 자기량 검출을 행하고, 상기 제어회로로 상기 검출된 외부자기의 자기량에 따라 자기보정용의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신호를 상기 자기보정용 코일로 흘려보내, 상기 자기센서의 자기감지방향으로 소정량의 자기를 발생시켜 외부자기를 보정하도록 한 자기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가 1쌍의 평행으로 배치된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 상기 1쌍의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에 상호 반대방향의 바이어스 자계를 부여 하도록 각각 설치된 코일 또는 영구자석과, 상기 1쌍의 와이어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도록 고주파 전원과 상기 1쌍의 와이어의 각출력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압차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보정회로.
  2. 청구항 1에 기재된 자기센서와 자기보정용 코일과의 조합을 2조 또는 3조로 갖고 상기 자기센서와 코일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보정회로.
  3. 청구항1항 또는 청구항2항 기재된 자기보정용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 상기 무정형 자성체 와이어는 (Fe6C094)725, Si12.5B15로 이루어지는 청구의 범위1항 또는 2항 기재의 자기보정회로.
KR1019960704544A 1994-12-22 1995-12-14 자기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KR100267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4-6-319825 1994-12-22
JP6319825A JPH08179020A (ja) 1994-12-22 1994-12-22 磁気補正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PCT/JP1995/002563 WO1996019819A1 (fr) 1994-12-22 1995-12-14 Circuit de correction magnetique et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qui l'util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7207B1 true KR100267207B1 (ko) 2000-10-16

Family

ID=1811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544A KR100267207B1 (ko) 1994-12-22 1995-12-14 자기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51112A (ko)
JP (1) JPH08179020A (ko)
KR (1) KR100267207B1 (ko)
CN (1) CN1084043C (ko)
GB (1) GB2301515B (ko)
WO (1) WO1996019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4588B2 (ja) * 1996-12-06 2005-01-26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高感度応力検出装置
EP0855599A3 (de) * 1997-01-24 2001-05-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r Kompass
EP0892276A3 (en) * 1997-07-14 2001-05-30 Alps Electric Co., Ltd. Magnetic sensor
KR100265379B1 (ko) * 1997-11-05 2000-09-15 윤종용 지자계 편향 자동 보정 장치
JPH11202035A (ja) * 1997-11-17 1999-07-30 Unitika Ltd 磁気センサ素子
US6894450B2 (en) * 2002-01-16 2005-05-17 Ballard Power Systems Corporation Circuit configuration f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control
SE529125C2 (sv) * 2005-03-02 2007-05-0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ätt och anordning för att bestämma läget hos ett förpackningsmaterial med magnetiska markeringar
JP4928752B2 (ja) * 2005-07-14 2012-05-0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5110142B2 (ja) * 2010-10-01 2012-12-26 愛知製鋼株式会社 マグネトインピーダンスセンサ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214892A1 (de) * 2012-08-22 2014-02-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agnetfeldsensor
JP6281677B2 (ja) * 2013-03-08 2018-02-21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磁気計測装置
DE112016005046T5 (de) * 2015-11-04 2018-08-02 Tdk Corporation Magnetfeld-Erfassungsvorrichtung und Magnetfeld-Erfassungs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41137B1 (ko) * 1967-09-20 1970-12-23
JPS5441137B2 (ko) * 1973-04-16 1979-12-06
JPS60160791A (ja) * 1984-02-01 1985-08-22 Yamatake Honeywell Co Ltd 陰極線管装置
JPS61245002A (ja) * 1985-04-22 1986-10-31 Kaneo Mori 非接触式線形変位センサ
JPH0651899B2 (ja) * 1985-07-26 1994-07-06 ユニチカ株式会社 非晶質金属細線
JPS62239020A (ja) * 1986-04-11 1987-10-19 Unitika Ltd 回転センサ−
US4734519A (en) * 1986-06-05 1988-03-29 Mallinckrodt, Inc. Pentaerythritol co-esters
JPS641981A (en) * 1987-06-25 1989-01-06 Fuji Electric Co Ltd Magnetic field detector
JPH01155282A (ja) * 1987-12-14 1989-06-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磁気センサ
US4939459A (en) * 1987-12-21 1990-07-03 Tdk Corporation High sensitivity magnetic sensor
JPH02206297A (ja) * 1989-02-06 1990-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陰極線管の磁気キャンセル装置
US4996461A (en) * 1989-09-07 1991-02-26 Hughes Aircraft Company Closed loop bucking field system
JP2857177B2 (ja) * 1989-10-05 1999-02-10 日本フェルト株式会社 磁性被検出体及びニードルフェルト製造装置の周回基準位置検知構造
JPH03252577A (ja) * 1990-03-02 1991-11-11 Unitika Ltd 磁界検出法および磁界センサ
JPH07333305A (ja) * 1994-06-07 1995-12-22 Kaneo Mori 磁気インダクタンス効果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19819A1 (fr) 1996-06-27
GB2301515B (en) 1998-10-07
US5751112A (en) 1998-05-12
JPH08179020A (ja) 1996-07-12
CN1084043C (zh) 2002-05-01
CN1141689A (zh) 1997-01-29
GB9616560D0 (en) 1996-09-25
GB2301515A (en) 1996-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6977B1 (en) Frequency difference digital compass and magnetometer
US6323634B1 (en) Magnetic sensor apparatus, current sensor apparatus and magnetic sensor element
KR100267207B1 (ko) 자기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CN112782624B (zh) 一种软磁材料矫顽力的测量装置及方法
JP2001281308A (ja) 磁気センサ及び位置検出装置
JP2015102513A (ja) 金属異物検出装置および渦電流探傷装置
JP2000055997A (ja) 磁気センサ装置および電流センサ装置
EP0360574B1 (en) Current sensor having an element made of amorphous magnetic metal
JP2008107119A (ja) 電流センサ
JP2001116773A (ja) 電流センサー及び電流検出装置
JPH0784021A (ja) 微弱磁気測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非破壊検査方法
US512274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non-destructively testing ferromagnetic materials including flux density measurement and ambient field cancellation
JPH07151842A (ja) 磁気検出方式及びその装置
JPH07248365A (ja) 磁気・磁気方位センサ及び磁気・磁気方位測定方法
JP2617570B2 (ja) 磁気測定装置
JP3618425B2 (ja) 磁気センサ
JPH03296615A (ja) 移動体の位置検出装置
JP4006919B2 (ja) 透磁率測定装置および透磁率測定方法
JPH05223910A (ja) 磁気計測法
JPH03243801A (ja) 非接触型距離計
JPH1164473A (ja) 磁気センサ及び磁気方位センサ
Ishikawa et al. Torque sensor using perpendicularly magnetizing coils
JPS58158502A (ja) 位置検出装置
JPH08152464A (ja) フラックスゲート型磁気センサ
JPH08122422A (ja) 可逆磁化率を利用した磁場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