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219B1 - 종이웹건조장치및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이웹건조장치및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219B1
KR100264219B1 KR1019940703727A KR19940703727A KR100264219B1 KR 100264219 B1 KR100264219 B1 KR 100264219B1 KR 1019940703727 A KR1019940703727 A KR 1019940703727A KR 19940703727 A KR19940703727 A KR 19940703727A KR 100264219 B1 KR100264219 B1 KR 10026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web
dryer
felt
dr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402A (ko
Inventor
듀크엔.심스
그레고리엘.웨델
Original Assignee
캠벨 레이몬드 더블유
벨로이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캠벨 레이몬드 더블유, 벨로이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캠벨 레이몬드 더블유
Publication of KR95070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Landscapes

  • Paper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웨브(WC)의 건조를 의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장치는 웨브를 건조하기 위한 다수의 상단 펠트된 건조부(60C, 62C, 64C, 78-80)을 구비한다. 다수의 건조부를 통한 웨브의 이동 중에 웨브의 횡-기계방향 및 기계방향 수축을 억제하기 의하여 각 건조부는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웨브가 다수의 건조부와 추가 건조부 사이에 걸쳐지게 하기 위하여 추가 단일 건조부(96)은 다수의 건조부의 하류에만 배치된다. 추가 건조부(96)은 드라이어의 상부층(98) 및 상부층(98)의 근접 드라이어(103-105)사이에 배치된 상부 다수의 롤(100-102)를 구비한다. 상부 펠트(106)은 상부층(98)의 각 드라이어(103-105)와 상부 다수의 롤의 각 롤(100-102)둘레에 교대로 걸쳐진다. 추가 건조부는 드라이어(108-110)의 하부층(107) 및 하부층(107)의 근접 드라이어 사이에 배치된 하부 다수의 롤(111-112) 또한 구비한다. 하부 펠트(114)는 하부층(107)의 각 드라이어(108-110)과 하부 롤의 각 롤 둘레에 교대로 걸쳐진다. 추가 건조부(96)을 통한 웨브의 이동 중에 웨브가 굽으려는 성향을 조절하기 의해 웨브가 상부(98) 및 하부층(107)의 각 드라이어 사이에서 오픈드로우(40C, 42C, 44C, 46C)로 걸쳐지게 배열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종이 웹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기술 분야 및 종래 기술]
본 발명은 종이 웹을 건조시키는 건조 창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웹이 각 건조부의 드라이어가 1열로 배열되고, 펠트가 각 드라이어의 상부에 감기는 복수개의 연속된 상부 펠트, 1열형 건조부에 하나의 2열형 건조부가 후속되는 종이 웹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웹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웹을 건조시키는 종이 웹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문 인쇄 용지나 고급 종이와 같은 경량급 용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웹은 증기로 가열되는 일련의 드라이어 위에서 건조된다. 젖은 웹은 일련의 긴장된 투과성 패브릭(fabrics) 또는 펠트(Llt)에 의해 드라이어 위에 직접 압착된다.
통상적인 2펠트, 2열형 건조부(conventional double-felted, two tier drier section)에서는, 젖은 웹이 하나의 건조 실린더 또는 드라이어에서 다음의 드라이어로 일반적으로 꾸불꾸불한 경로를 따라 장거리에 걸쳐 지지되지 않은 "오픈 드로우(open draws)"를 통해서 이송된다. 시트(sheet), 또는 웹에서 유출되는 수증기의 대부분은 이러한 오픈 드로우에서 방출된다.
종래, 통상의 건조부의 작동중에는 웹이 그러한 오픈 드로우를 통해서 이동하는 동안 웹의 펄럭임과 관련된 문제들이 발생했다.
독일 특허 제4,037, 661호는 뒤에 2열형 건조부가 배치되는 종래의 1열형 건조부를 교시하고 있다.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웹 건조 장치에 관한 각 독립항의 전체부는 이 특허 공보에 기재된 구성을 반영하여 작성된 것이다.
또한, 종래의 웹 건조부에서는, 웹의 횡방향 수축과 증발된 수분의 비효율적인 환기에 의해 몇 가지 문제들이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형태의 종래 건조부는 전형적으로 웹의 미부(尾部)(tail)를 그러한 건조부로 통과시키기 위하여, 드레딩 로우프(threading ropes)를 필요로 한다.
웹의 펄러임, 수축 및 수증기의 환기와 관련된 일부 문제점들은 "벨런 (BelRun)"건조부로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1열, 상부 펠트형 건조부 (single tier, top felted drier ; 드라이어가 수평으로 배치되고 펠트가 각 드라이어의 상부에 감기는 형태의 건조부)를 다수의 드라이어를 포함하도록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해결되었다("벨런"은 벨로이트사의 등록 상표명이다). 그러나, 1열, 상부는 펠트형 건조부의 개수를 늘리거 건조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과 관련된 관심사는 웹의 양면의 불균형적인 건조로 말미암아 웹의 커얼(curl)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판단된 데에 있다.
전형적으로, 전술한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는, 드라이어의 대략 41%가 1열형로 배열되고 나머지 59%의 드라이어는 2열, 2펠트형 건조부(two tier, dorble felted drier sections)로서 배치된다.
통상의 2열형 건조부와 광폭(廣幅)의 "벨런" 건조부와 관련된 문제점들은 이른바 "벨-챔프(Bel-Champ)" 건조부를 사용함에 의해 해결되었다. 벨-쳄프는 벨로이트사의 등록 상표다. 벨-쳄프TM건조부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 일련의 1열형 건조부를 사용하여 웹의 양면을 번갈아 건조시킨다.
특히, 웹은 펠트에 의해 직접 지지됨으로써, 벨-챔프TM건조부에 있는 드라이어 사이에서 이송된다. 웹의 양면 건조는 상부 펠트형 건조부와 하부 펠트형 건조부를 번갈아 배치하여 웹이 이들 건조부 사이를 교대로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웹은 독특한 이송부를 사용하여 이러한 상호 역전된 형태의 상부 펠트형 건조부와 하부 펠트형 건조부 사이에서 이송된다. 드라이어 위에 있는 웹에 대한 펠트의 인장 압력과, 중간의 진공 이송 롤상의 웹에 대한 진공 압력을 조합하여 웹을 구속한다. 이와 같이 웹을 연속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드레딩 로우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들 건조부를 통해서 웹을 이송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벨-챔프TM건조부의 구조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전체 건조부를 2열이 아닌 수평의 1열로 배치하므로 제지 기계 길이가 더욱 길어진다는 점이다.
또한, 벨-챔프TM건조부의 구조에서 또 고려해야 할 점은 각 건조부간 이송부(section-to-section transfer)가 보통 2개의 진공 롤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건조부에 있어서는 웹이 찢겨 발생한 파지(破紙)가 하부 펠트형 건조부의 드라이어에 감긴 경우, 발생된 파지를 풀로어로 쉽게 낙하시킬 수 없다고 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파지는 하부 펠트형 건조부에서 손으로 제거해야 한다.
또한, 벨-쳄프TM건조 장치의 경우, 단일의 건조부에서는 웹의 커얼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커얼의 제어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섹션을 통해서 웹이 이동하는 동안에 행해져야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커얼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웹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웹 건조 장치를 주제로 한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구성을 이들 청구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유형의 건조 장치에 결합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건조된 웹의 커얼되는 경향을 최소화하는 웹건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웹 건조 방법을 주제로 한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방법에 이들 청구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공정을 포함시킴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웹을 건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건조부를 포함한다. 각 건조부는 1열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라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이송용 진공 롤이 배치되는데, 각 진공 롤은 복수 개의 드라이어의 인접한 드라이어들 사이에 배치된다. 드라이어 펠트는 각 드라이어에서 상부에 감기도록 각 드라이어와 진공 롤 둘레를 번갈아 통과하며, 이에 따라 파지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웹이 복수 개의 건조부를 통과하는 동안, 웹의 기계 방향(웹의 종방향) 및 기계 횡방향(웹의 폭방향) 수축을 억제하도록 웹을 구속하기 위하여 각 건조부를 연속하여 배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건조부에 대하여 하류에는 단일의 추가의 건조부가 배치되며, 따라서 웹은 복수 개의 건조부와 추가의 건조부 사이를 통과한다. 추가의 건조부는 상부 열에 배치되는 상부 열의 드라이어와 이들 상부 열의 드라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부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펠트가 상부 열의 각 드라이어와 각 상부 롤 둘레를 번갈아 지나 주행한다.
상기 추가의 건조부는 하부 열에 배치되는 하부 열의 드라이어와 이들 하부열의 드라이어의 인접한 드라이어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하부 롤을 포함한다. 하부 펠트는 하부 열의 각 드라이어와 각 하부 롤 둘레를 번갈아 지나서 주행한다. 추가의 건조부는, 웹이 추가의 건조부를 통과하는 동안 드라이어의 증기압을 조정함으로써 웹의 커얼 경향이 제어되도록, 웹이 상부 열과 하부 열의 각 드라이어 사이를 오픈 드로우로 주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건조부에는 4개 이상의 건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드라이어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이송용 진공 롤은 각각 부분 진공원에 연결되어, 웹이 각 진공 롤의 둘레를 돌아 이동하는 사이에 기계 횡방향 및 기계 방향 수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지되며, 드라이어 펠트는 웹과 각 진공 롤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각 건조부는 복수 개의 닥터 블레이드(docteo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각 닥터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어의 각 드라이어와 협동하여 파지의 제거를 보조한다.
웹은 복수 개의 건조부 중 하나의 건조부에서 연속하는 건조부로 오픈 드로우 없이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웹은 그것이 연속된 드라이어 펠트를 추종하도록, 후속되는 건조부의 연속되는 드라이어 펠트 사이에 웹이 배치된다.
웹이 65%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80% 이상의 건조도에 도달한 후, 웹은 복수 개의 건조부와 추가의 건조부 사이를 오픈 드로우 없이 주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건조부는 또한 하류의 진공 롤을 구비하고, 추가의 건조부도 또한 상류의 진공 롤을 구비하며, 이 상류의 진공 롤은 상기 하류의 진공 롤의 하류에서 그 하류의 진공 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웹은 그것이 드라이어 펠트로부터 하부 펠트로 오픈 드로우 없이 이동하도록, 복수 개의 건조부의 드라이어 펠트와 하부 펠트와의 사이에 샌드위치된 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건조부는 또한 하류의 펠트 롤 및 드라이어 펠트에 인접하여 펠트 롤의 바로 상류에 배치된 블로우 박스(blow box)를 포함한다.
또한, 단일의 추가의 건조부도 역시 드라이어 펠트에 인접하여 하류 펠트 롤의 상류에 배치된 상류 펠트 롤을 포함한다.
웹이 드라이어 펠트와 하부 드라이어 펠트 사이에 샌드위치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추가의 블로우 박스가 하류 펠트 롤에 근접하여 그 하류에 배치된다. 웹은 오픈 드로우 없이 드라이어 펠트로 부터 하부 펠트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상부 롤 중 적어도 몇 개의 롤은 상부 열의 드라이어의 인접한 상류측 드라이어를 향하여 오프셋되어 상부 열과 하부 열의 각각의 드라이어 사이의 오픈 드로우 거리를 감소시킨다.
또한, 복수 개의 하부 롤의 각각은 하부 열의 드라이어의 인접한 상류측 드라이어를 향하여 오프셋되어 하부 열과 상부 열의 각 드라이어 사이의 오픈 드로우를 최소화한다.
웹 건조 장치는 또한 연속되는 드라이어 사이에서 차이가 있는 증기압 (differential steam pressures)을 인가함으로써 웹의 기계 횡방향 수축 때문에 발생되는 웹의 커얼 경향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부 열과 하부 열의 각 드라이어 내에 증기압 조절용 제어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건조부들에는 이송부가 배치되는데, 이들 이송부는 주 작업 플로어(main operating floor)로부터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배치된다. 이러한 이송부에는 프레스부-건조부간 이송부, 건조부-건조부간 이송부, 그리고 건조부-캘린더부간 이송부가 있다.
모든 상부 펠트형 건조부(top felted sections)로부터의 파지를 취급하고 제거하는 것은 하부 방향으로 행해지며, 따라서 하부 펠트형 건조부로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필요한 넓은 비계(scaffolding), 작업자 플랫폼(operator platform) 및 컨베이어가 필요없다.
추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일부의 건조부에 있어서 드라이어를 2열형 건조부로서 적층하기 때문에 제지 기계의 전체 길이가 감소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드라이어에서 펠트가 감싸는 평균 권취 각도가 크기 때문에 건조 속도, 구동성(drivaility) 및 웹 구속에 있어서의 개선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조부는, 커얼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종 드라이어들을 2열형 건조부로서 배치함으로써 양면 건조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또한 커얼의 제어 기능을 개선한다. 커얼의 커얼을 제어함에 있어서는 최종 건조부의 드라이어들이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출원인은 본 발명의 1열형 건조부가 건조부의 습윤단(wet end)에 있어서 기계 횡방향 수축을 감소시키는 데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상기 1열형 건조부는 최종 건조단에서는 덜 효과적이라는 것도 또한 알았다.
비교 실험 결과에 따르면, 벨-챔프TM건조부에서 웹의 건조가 거의 65% 내지 85%의 건조도에 도달할 때까지 횡방향 수축이 거의 영(0)인 것으로 나타났다.
1열형 건조부에 있어서 상기 건조도에 도달한 후에는, 비록 통상의 건조부, 즉 2열, 2펠트형 건조부에서 건조되는 웹의 수축율보다는 적기는 하지만 기계 횡방향(cross-machine direction : CD) 수축율이 상숭한다. 이러한 수축은 벨-챔프TM건조부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라 최종 건조부가 2열형 건조부로 구성되더라도 웹 폭이 감소되는 일은 거의 없다.
또한, 2열형 건조부는 웹의 미부(尾部)를 절단하는 절단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오픈 드로우 지점을 제공한다. 동시에, 2열형 건조부 내의 드라이어가 펠트 롤을 오프셋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오픈 드로우의 길이를 감소시켜 웹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또한 웹의 미부를 직접 다음의 펠트/드라이어 닙(nip)으로 안내하여 드레딩 로프를 필요로하지 않고 웹의 미부를 드레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지막에 추가의 건조부, 바람직하기로는 2열형 건조부가 배치되는 상부 펠트형의 1열형 건조부들의 독특한 배열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드라이어에 대한 양호한 접근성, 효율적인 파지 제거, 작업을 위한 직접적인 접근, 로프리스 드레딩(ropeless threading) 및 효율적인 커얼의 제어가 보장된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의 1 펠트형 건조부가 상부 펠트형이고, 이들 상부 펠트형 건조부 하류에 단지 하나의 2열형 건조부(추가의 건조부)가 사용되는 구성의 웹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모든 이송부는 주 작업 플로어 높이에 있으며, 1열형 건조부 사이의 건조부-건조부간 이송부는 클로즈 드로우 이송부(closed draw transfer)에 의해 형성된다. 2열형 건조부는 오프셋되어 있는 포켓 펠트 롤을 포함하며, 가장 중요하기로는, 2열형 건조부가 웹이 임계적인 건조도에 도달한 후에만 사용되어 웹을 최종적으로 건조시키고 웹이 커얼되는 경향을 역제한다.
본원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명하기로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 기술의 2열, 2펠트형 건조부의 측면도이며,
제2도는 복수 개의 1열, 상부 펠트형 건조부를 포함하고, 이들 1열, 상부펠트형 건조부 뒤에 복수 개의 2열, 2펠트형 건조부가 후속되는 종래 기술의 긴 "벨런" 건조부의 측면도이고,
제3도는 웹의 양면의 건조를 위하여 상부 펠트형 건조부와 하부 펠트형 전조부가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종래의 벨-챔프TM건조부의 측면도이며,
제4도는 복수 개의 상부 펠트, 1열형 건조부를 포함하고, 이에 이어서 단일의 2펠트형 건초부가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며,
제5도는 상부 펠트, 1열형 건조부와 제4도에 도시된 단일의 2펠트형 건조부사이의 건조부-건조부간 이송부의 확대도이고,
제6도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블로우 박스를 사용하여 웹을 1펠트형건조부로부터 2펠트형 건조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이송부의 확대도이고,
제8도는 웹의 기계 횡방향 수축율(백분율)에 대한 건조된 웹 내의 고체의 백분율의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제9도는 제8드와 유사하지만, 우드-프리 코우티드 기계(wood-free coated machine)에 있어서의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제10도는 벨-챔프TM건조부와 종래의 2펠트형 건조부로부터 얻은 결과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벨-챔프TM 건조부의 기계 횡방향 수축량이 적어도 65% 건조까지는 거의 영(0)으로 유지된다는 것올 보여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전체를 도면 부호 10으로 지시한 전형적인 2열, 2펠트형 건조부의 측면도로서, 이 건조부는 전체를 도면 부호 18로 지시한 상부 열에 배열된 드라이어(12, 14, 16)와 전체를 도면 부흐 26으로 지시한 하부 열에 배열된 드라이어(20, 22, 24)를 포함한다.
상부 열(18)의 드라이어들의 인접한 드라이어 사이에는 롤(30,32)이 이들 드라이어에 매우 접근하여 배치된다.
하부 열(26)의 드라이어들의 인접한 드라이어 사이에는 롤(34,36)이 이들 드라이어에 매우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된 웹(W)은 상부 열(18)과 하부 열(26)의 드라이어 사이를 오픈 드로우(40, 42, 44, 46, 48)로 이동한다.
또한, 웹(W)으로부터 증발하는 수증기는 포켓 영역(pocket areas) (50,52,54,56) 내에 갖혀서, 최종 웹의 불균일한 건조를 초래한다.
제2도는 전쳬가 도면 부호10으로 지시된 긴 벨런 건조부의 측면도로서, 이 벨런 건조부는 전체가 도면 부호 58로 지시된 프레스부와 그것에 후속되는 복수 개의 상부 펠트, 1열형 건조부(60, 62, 64)를 포함한다.
상부 펠트, 1열형 건조부(60, 62, 64)에는 복수 개의 2펠트, 2열형 건조부(65, 66, 67)가 후속되고, 이들 건조부에 후속하여 캘린더부(68)가 배치된다.
제3도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OB로 지시된 선행 기술의 벨-챔프TM건조부의 측면도이다. 이 벨-챔프TM건조부(10B)는 상부 펠트, 1열형 건조부(60B)와 이에 후속되어 웹의 반대면을 건조시키는 하부 펠트, 1열형 건조부(70)를 포함한다.
웹이 벨-챔프TM건조부(10B)를 통해서 이동하는 동안, 웹은 연속된 건조부(70, 72, 74, 76)를 통해서 이동하여, 프레스부(58B)로부터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68B로 지시된 캘린더부의 말단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웹의 기계 방향 및 기계 횡방향 수축이 억제된다.
제4도는 종이 웹(WC) 건조용의 전체가 도면 부호 10C로 지시된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건조 장치(1OC)는 웹(WC)를 건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를 포함한다.
각 건조부(60C, 62C, 64C, 78, 80)는 복수 개의 드라이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건조부(80)는 1열형 구조로 배치된 드라이어(81, 82, 83, 84, 85, 86)를 구비한다.
또한, 복수 개의 이송용 진공 롤(88, 89, 90, 91, 92)이 배치되어 있는데, 각 진공 롤은 복수 개의 드라이어(81 ∼ 86)의 인접한 드라이어 사이에서 이들 드라이어에 매우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어 펠트(94)가 각 드라이어(81 ∼ 86)와 진공 롤(88 ∼ 92) 둘레를 번갈아 가면서 주행하고 있다. 건조부는 펠트가 각 드라이어(81 ∼ 86)의 상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 펠트형이며, 따라서 파지의 제거가 용이하다.
각 건조부(60C, 62C, 64C, 78, 80)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연속된 건조부 사이에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오픈 드로우도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를 통해서 웹(WC)의 주행하는 동안, 웹(WC)의 기계 방향 및 기계 횡방향 수축이 억제된다.
전체가 도면 부호 96으로 지시된 추가의 건조부 하나가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의 하류에 배치되어. 바람직하기로는(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웹(WC)이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와 추가의 건조부 (96) 사이를 오픈 드로우 없이 주행한다.
제5도는 추가의 건조부(96)로의 이송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98로 지시된 상부 열의 드라이어(103, 104, 105)와, 이 상부 열(98)의 드라이어의 인접한 드라이어(103과 104; 104와 105)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상부 롤(100, 102)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펠트(106)가 상부 열(98)의 각 드라이어(103 ∼ 105)와 복수 개의 각 상부 롤(100, 102) 둘레를 번갈아 가면서 주행한다.
추가의 건조부(96)는 드라이어(108, 109, 110)로 이루지는 하부 열(107)과, 이 하부 열(107)의 인접한 드라이어(108과 109; 109와 110)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하부 롤(111, 112)을 또한 구비한다.
하부 펠트(114)는 하부 열(107)의 각 드라이어(108 ∼ 110)와 하부 열의 각 롤(111, 112) 둘레를 번갈아 가면서 주행한다. 추가의 건조부(96)를 통해서 웹이 이동하는 동안, 웹(WC)이 상부 열(98)과 하부 열(107)의 각 드라이어 사이에서 오픈 드로우(40C, 42C, 44C, 46C)로 주행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웹(WC)이 커얼되는 경향이 역제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건조부는 5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로 구성되며, 이들 건조부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이송용 진공 롤(91, 92)은 각각 부분진공원 (source of partial vacuum)(140)에 연결되어, 웹(WC)어 각 진공 롤(91, 92) 둘레로 이동하는 동안 기계 방향 및 기계 횡방향으로 수축되지 않게 유지되도록, 드라이어 펠트(94)가 웹(WC)과 각 진공 이숭 롤(91, 92) 사이에 배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면 부호 8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은 각 건조부는 파지의 하방으로의 제거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수 드라이어의 각 드라이어(85, 86)와 협동하는 닥터 블레이드(144, 146)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WC)은 하나의 건조부, 예를 들면 도면 부호 78로 지시된 건조부로부터 후속되는 건조부(80)로, 바람직하게는 오픈 드로우 없이 주행한다. 웹(WC)이 연속하는 드라이어 펠트(94)에 종동하도록, 웹은 후속되는 건조부(80)의 연속하는 드라이어 펠트(94) 사이에 배치된다.
특히, 이와 같은 오픈 드로우 없는 이송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릭다운 이송(lick-down transfer)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릭다운 이송은 웹(WC)을 드라이어(148)의 가열 면에 지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며(제4도), 드라이어 펠트(150)는 펠트 롤(152)에 의해 드라이어(148)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웹(WC)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후속 펠트(94)로 이송되도록, 그 후속 펠트(94)는 드라이어(148)에 의해서 지지된 웹(WC)과 접촉하도록 안내된다.
웹(WC)은 그것이 적어도 65% 건조되었을 때, 바랍직하기로는 적어도 80%건조되었을 때,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와 추가의 건조부(96)와의 사이를 오픈 드로우 없이 주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전체가 도면 부호 154로 지시된 이송부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이송부는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와 추가의 건조부(96) 사이에 배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건조부(80)는 또한 하류 진공 롤(156)을 구비한다. 또한, 추가의 건조부(96)는 하류 진공 롤(156)에 근접하여 그 하류측에 배치된 상류 진공 롤(158)을 구비한다. 웹(WC)은 드라이어 펠트(94)와 하부 펠트(114) 사이에 샌드위치 된 상태로 배치되어, 드라이어 펠트(94)로부터 하부 펠트(114)로 오픈 드로우 없이 이송된다.
제6도는 웹(WD)을 복수 개의 건조부(60D, 62D, 64D, 78D, 80D)로부터 추가의 건조부(96D)로 이동시키기 위한 선택적인 이송부(154D)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이송부(154)의 확대 측면도로서, 그 이송부는 하류 펠트 롤(160)과. 그 하류 펠트 롤(160) 바로 상류에서 드라이어 펠트(94D)에 인접하게 배치된 블로우 박스(162)를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추가의 건조부(96D)는 또한 하류 펠트 롤(160)의 상류에서 드라이어 펠트(94D) 바로 근처에 배치된 상류 펠트 롤(164)을 구비한다.
웹(WC)이 드라이어 펠트(94)와 하부 펠트(114D)와의 사이에 샌드위치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류 펠트 롤(160)에 대하여 하류에서 그 하류 펠트 롤에 근접하여 추가의 블로우 박스(166)가 배치된다. 그 웹(WD)이 드라이어 펠트(94D)로부터 하부 펠트 (114D)로 오픈 드로우 없이 이송되도록 배치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열(98D)의 드라이어(103D)와 하부 열(107D)의 드라이어(109D)와의 사이의 오픈 드로우(42D)의 거리 "D"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롤 중 적어도 몇 개의 롤(100D, 102D)은 각각 상부 열(98D)의 드라이어 중 상류의 인접한 드라이어(103D, 104D)를 향해 오프셋 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하부 롤의 각 롤(110D, 112D)은, 하부 열(107D)의 각 드라이어(108D)와 상부 열(98D)의 각 드라이어(103D)와의 사이에서 오픈 드로우(42D)가 거리 "d" 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단축되도록, 하부 열(107D) 인접한 상류의 드라이어(108D, 109D)로 향하여 오프셋되어 위치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추가의 건조부(96D)도 또한 웹의 기계횡방향 수축에 의해 웹(WD)이 커얼되는 경향을, 연속하는 드라이어 사이에 차이가 있는 증기압을 인가함에 의해서 보상하도록, 상부 열(98D)의 각 드라이어(103D, 104D, 105D) 내의 증기압과 하부 열(107D)의 각 드라이어 (108D, 109D, 110D) 내의 증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170)을 구비하고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시판중인 벨-챔프TM형 건조부로부터 얻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172, 174)를 보여주고 있다.
제10도는 벨-챔프TM건조부로부터의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2개의 그래프를 보여주는데, 제1 그래프(176)는 웹이 약 65%의 건조도에 도달할 때까지 기계 힁방향 수축이 실질적으로 영(0)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그래프(178)는 웹이 백분율로 고체를 약 55% 즉, 즉 건조도가 55%로 됨에 따라 기계 힁방향 수축이 급속히 상승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통상의 2열, 2펠트형 건조부를 사용하여 행한 실험으로 얻은 결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모두 하나의 펠트가 각 드라이어의 상부에 감기는 상부 펠트형 드 건조부의 구성을 취함에 의한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1열, 하부 펠트형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파지 제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단일의 2열형 건조부는 건조 장치의 말단에서 사용되며, 모든 이송부는 주작업 플로어 높이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건조부-건조부간의 모든 이송부는 웹이 2열, 2펠트형의 건조부에 도입될 때 까지는 대개 클로즈 드로우(closed draw)이다.
2열형 건조부는 벨-챔프TM의 효과가 거의 없어질 때, 즉 웹이 대략 80% 이상의 건조도에 도달한 후에 이용된다.
비록 어떤 최소 건조도가 특정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여러 가지 다른 등급의 종이는 다른 건조도에서 커얼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웹이 특정의 임계 습기 함유량에 도달했을 때 웹이 2열형 건조부룰 통해서 주행하도록 2열형 건조부를 배치한다. 그러한 임계 습기 함유량은 웹이 오픈 드로우를 통해 이송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지점에 대응 한다. 이 경우, 양호한 주행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계 방향의 드로우는 낮으며, 또한 벨-챔프TM형 건조부로 건조될 때조차도 기계 횡방향 수축의 발생이 시작될 수 있다. 가장 빈번하게 전이점을 할당하는 것은 이 후자의 기준이다.
전술한 임계 습기 함유량은, 예를들어 65% 건조도와 같이 고정 값은 아니다. 그 값은 웹의 원료가 되는 펄프(pulp)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이런 특성은 결과적인 웹의 습윤 강도나 건조 강도, 수축 경향, 그리고 구속되지 않은 상태의 기계 횡방향 수축이 시작되는 점을 정한다.
그러나, 본 발밍의 목적을 위하여, 1열형 건조부가 끝나고 2열형 건조부가 사용되기 전에 반드시 도달하여야 하는 웹의 습기 함유량은 펄프의 수분 보유 값(water retention value:WRV)에 기초한다. 높은 WRV를 가지는 펄프는 낮은 WRV를 가지는 펄프보다 아주 낮은 웹 건조도에서 수축이 시작되며, 그러한 수축은 그 정도가 더 커지게 된다.
억제되지 않은 웹에 대한 임계 습기 함유량이 측정되어, 1986년에 출판된 "셀룰로우즈 화학 테크놀로지(Cellulose Chem Technology)", 제20권 451 내지 464 쪽의 케이. 프르찌비쯔 (K. Przybysz)와 제이. 차이콥스키(J. Czechowski)공저의 "종이 웹 건조 공정에 미치는 수분 보유 값의 영향(Effect of Water Retention Value(WRV) on the Parper Web Drying Process)"이라는 논문에 발표되 었다.
임계 습기(종이 건조)에 대한 식은, M = 81 - 0.246(WRV)이다.
그러나, 상기 식은 구속되지 않은 사태에서의 건조에 관한 것이다. 식중, WRV 는 %로 표시된 수분 보유 값이며, M은 수축이 시작될 때의 임계 습기 함유량을 백분율 건조도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식은 수축을 역제하지 않고, 즉 구속없이 건조되는 웹에 대한 임계 습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개략적인 것이다. 부분적으로 억제된 웹의 임계 건조는 더 높아지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벨-챔프TM건조부에서의 웹의 임계 건조도 또한 더 높아진다.
따라서, 구속된 상태에서의 건조의 경우, 임계 습기 함유량은 수축이 억제되지 않은 경우보다 약 20%가 높다.
그 결과, 출원인은 2열형 건조부가 후속되는 벨-챔프TM건조부의 경우, 임계 습기 함유량(종이 건조)은 식 M = 101 - 0.246(WRV)로 부터 확인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서, 드라이어는 주 작업 플로어(main operating floor)로부터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된 이송부와 함께 배열된다. 상기 이송부는 프레스부-건조부간 이송부, 건조부-건조부간 이송부, 건조부-캘린더부간 이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랍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5개의 1열, 상부 펠트형 건조부는 각각 6개의 드라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건조부는 각각 6개 내지 9개의 드라이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드라이어 실린더는 대개 수평으로 연장되고, 작업자가 작업 플로어로부터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높이로 작업 플로어 위에 위치한다.
제4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드라이어 후드(hood)가 프레스부의 높이 아래에 배치된다.
제4도에 도시된 일련의 상부 펠트형 건조부에는 하나의 2열형의 추가의 건조부가 후속된다. 이 2열형의 추가의 건조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련의 상부 펠트형 건조부의 말단에서 커얼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제어는 상부 열과 하부 열의 드라이어 내의 증기압이 차이가 나게 인가함에 의해 수행된다. 2 열형 건조부는 또한 건물의 유효 길이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드라이어의 수를 증가시킨다. 추가의 건조부는 또한 웹의 미부 절단 기구를 실치하기 위한 오픈 드로우 장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체 가능한 실시예에서 공통되는 것은 모든 1열형 건조부가 상부 펠트형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 상부 펠트형 건조부로부터 제거되는 파지는 모두 하방으로 취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최후의 1열형 건조부와 2열힝 건조부와의 사이의 이송은 웹의 안정된 이송을 위하여 2개의 진공 롤 및 2개의 패브릭 또는 펠트의 합동 주행부(合同走行部)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랍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최후의 1열형 건조부와 2열형 건조부 사이의 이송은 2개의 펠트 롤 및 2개의 펠트와 함꼐, 1개 이상의 블로우 박스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배치는 웹의 안정된 이송을 가능하게 하지만 드라이어 사이의 거리를 더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열, 1펠트형 건조부와 2열, 2펠트형 건조부와의 사이의 이송을 오픈 드로우 이송으로 행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2열형 건조부에 있어서, 각 펠트 롤은 인접하는 드라이어 사이의 중심선에 대하여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며, 펠트 롤은 기계의 습윤단(wet end)을 향하여 오프셋 된다. 이러한 오프셋은 웹의 접점 근처의 펠트 롤의 표면이 하나의 드라이어에서 다음의 드라이어까지 주행하도록 조정된다. 중간 펠트 롤은 환기용 블로우박스, PV롤, 또는 양호하게는 "벨로이트 벨벤트TM(BelOit BelVentTM)" 설계의 롤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평면 롤(plain ro1ls)이 될 수도 있다. 벨벤트TM롤은 2개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데, 그중 하나는 드라이어 포켓(pocket) 내로 직접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드라이어 포켓으로부터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벨벤트TM롤은 드라이어 포켓의 환기를 위해 이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포켓의 유동 균형을 이루게 하고 젖은 웹의 이송을 안정화한다.
2열형 건조부에 있어서, 드라이어 사이에 웹의 미부 절단 기구를 배치하기 위해 오픈 드로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웹이 적어도 65%의 건조도애 도달할 때까지 웹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건조부를 통하여 웹을 통과시키고, 이어서 웹에 커얼이 발생하지 않도록 웹의 양면을 전조시키는 단계을 포함하는 웹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각 건조부는 파지를 하방으로 제거하고 취출하기가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펠트, 1열형 건조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웹이 그 양면을 건조시키는 공정 전에 75 ∼ 80%의 건조도 범위 내에서 건조된다.
웹을 양면에서 건조하는 단계는, 열기(熱氣)를 충돌시키고, 이어서 2열, 1펠트형 또는 2열, 2펠트형 건조부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부와 하부 둘레로 번갈아 펠트가 주행하는 1열형 건조부를 통해 웹을 이동시킴에 의해 웹의 양면을 건조시킨다.
본 발명은 특히 웹의 커열 경향에 대하여, 연속된 웹의 편면(片面)을 건조시키는 연속된 건조부를 통해 주행시킴에 의해 직접 효과를 부여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종 웹에서 커얼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커얼의 제어가 아직 층분히 유효한 시점에서 양면 건조를 개시한다.
선행 기술의 장치는, 적어도 실험적인 연구에서는 웹은 건조되는 최후의 면을 향해 커얼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웹의 양면을 동시에 건조시키기 위하여 그 양면을 번갈아 건조시키는데, 이는 매우 조기의 건조 단계에서 개시된다.
웹의 커얼에 관한 관심으로, 건조부 제작자들은 벨-챔프TM건조부에 있어서는 매우 조기의 건조 단계에서조차 번갈아 웹의 양면을 건조시킴을 알았다. 예를들면, 이탈리아의 씨티에스, 두이노(CTS, Duino)사의 #3 기계는 처음 3개의 드라이어는 상부에 펠트가 감기고(상부 펠트형 건조부), 다음 3개는 하단에 펠트가 감기며(하부 펠트형 건조부), 그 다음 3개는 상부에 펠트가 감기게(상부 펠트형 건조부) 설계되었다. 이 처음의 3개의 건조부는 웹의 양면을 번갈아 건조시키도록 설계되었는데, 이러한 건조는 매우 조기의 단계에서 시작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웹의 커얼은 역전 가능한 인자와 역전 불가능한 인자로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 역전 불가능한 인자만이 건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역전 가능한 인자[웹 구조의 양면 특성(two-sidedness)]의 변화가 과거의 웹의 커얼의 평가에 혼란을 일으켰다.
이제, 출원인은 본 발명에 따라 역전 가능한 커얼 인자가 그 방향으로 충분하게 크다면, 웹은 최초에 건조된 면을 향하여 커얼된다는 것을 알았다. 출원인은 최후의 건조가 행해지는 건조부의 최종 위치에서 커얼을 제어하는 것이 최종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 또한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출원인은 웹의 드라이어와 접하는 면과 반대측 면에서 어느 정도의 증발이 발생한다는 것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한 건조는 특히, 예를 들면 신문 용지, 고급 용지 및 가볍게 경피복지(硬被覆紙)(LWC)와 같은 경량급의 종이에 특히 중요하다.
출원인은 또한 초기의 드라이어는 주로 웹의 예열을 위해 사용되있다는 것도 인식하게 되있다. 또한, 초기의 드라이어는 종종 픽킹(pick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라이어의 증기압을 낮게 하여 사용했다.
전술한 인자들에 기초하어, 출원인은 다음의 및 가지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즉, 커얼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양면을 번갈아 전조시키기 전에, 웹을 처음에는 편면에서 수개의 드라이어와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드라이어 증기압이 낮으며, 많은 에녀지가 예열을 위해 소비되며, 건조부의 최초의 부분에는 이들 드라이어의 반대측으로부터 약간의 증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출원인이 건조도가 전술한 인자들만으로 암시되는 것보다 건조도가 횔씬 더 증가될 수 있다고 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건조부의 말단에서 커얼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건조부의 습윤단에서 각각의 섬유(fiber) 또는 섬유 망(纖維網)의 수축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수축력의 대부분은 웹이 습기 함유량이 낮아진 후에 발생한다. 그 결과, 웹은 커얼 문제를 나타내지 않고 건조될 수 있다. 수축이나 전조 공정, 그리고 설비인자들과 관련한 복잡성때문에, 임계 습기 함유량을 정확하게 분석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임계 습기 함유량은 등급이 다르고 설비가 다를 때 마다 달라진다.
임계 습기 함유량을 정하기 위한 다른 접근 방법은 편면 건조의 효과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다. 그것은 최근 파일럿 제지 기계(pilot paper machine)로 제조된 6464g/m2(64 gsm)의 웹을 사용하여 행해졌다. 웹의 건조 면을 뒤집기 전에 특정 횟수의 건조 싸이클에 걸쳐 편면에서 건조를 행하였다. 건조 공정을 끝마치고 웹의 커얼을 측정했다.
편면 건조가 65 내지 80% 건조에 도달되었을 때 중대한 커얼이 나타났다.
출원인은, 임계 습기에 잉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설비, 건조 속도, 기본 중량 등)의 수 매문에, 임계 습기가 적어도 65% 건조, 바랍직하게는 70 내지 85%건조 사이의 범위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은 각각의 단일 펠트형 건조부가 상부 펠트형으로서, 이 상부 펠트형의 건조부에 후속하여 단지 하나의 2열형 건조부가 사용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송부는 모두 작업 플로어 높이에 있고, 1열형 건조부간의 건조부-건조부간 이송부는 클로즈 드로우 이송부로 구성된다. 2열형 건조부는 편향된 포켓 펠트 롤을 구비하며, 중요하기로는 2열형 건조부는 웹이 임계 건조도에 도달한 후에만 사용된다는 것이다. 그후, 2열형 건조부는 웹을 최종적으로 건조시킴과 아울러 웹의 커얼 경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Claims (18)

1열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라이어(81∼86)와,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어(81∼86)의 인접한 드라이어 사이에 각기 배치된 복수 개의 이송용 진공 롤(88∼92)과, 각 드라이어(81∼86)와 각 진공 이송 롤(88∼92) 둘레를 번갈아 돌아서 주행하는 드라이어 펠트(94)를 각각 구비하는 웹 건조용의 복수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로서, 각 드라이어(81∼86)는 파지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각 드라이어 상부에 펠트가 감기는 상부 펠트형이며, 각 건조부(60C, 62C, 64C, 78, 80)는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그러한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와;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에 대하여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를 통과해서 주행하는 웹의 양면을 건조시키는 추가의 건조부(96)를 구비하는 종이 웹 건조 장치(1OC)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와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는 상기 웹이 식, M=101 - 0.246(WRV) (식중, M은 웹의 임계 습기 함유량을 나타내며, WRV는 수분 보유값을 나타냄)으로 표현되는 M 이상의 건조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로부터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는 웹이 이 추가의 건조부(96)를 통해서 이동하는 동안에 웹의 커얼 경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1열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라이어(81∼86)와,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어(81∼86)의 인접한 드라이어 사이에 각기 배치된 복수 개의 이송용 진공 롤(88∼92)과, 각 드라이어(81∼86)와 각 진공 롤(88∼92) 둘레를 번갈아 돌아서 주행하는 드라이어 펠트(94)를 각각 구비하는 웹 건조용의 복수 개의 전조부(60C, 62C, 64C, 78∼80)로서, 각 드라이어(81∼86)는 파지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드라이어 상부에 펠트가 감기는 상부 펠트형이며, 각 건조부(60C, 62C, 64C, 78, 80)는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그러한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와;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에 대하여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를 통과해서 주행하는 웹의 양면을 건조시키는 그 추가의 건조부(96)를 구비하는 종이 웹 건조 장치(1OC)에 있어서, 상기 웹은 건조도가 65% 이상의 건조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로부터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로 이송되며,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는 상기 웹이 그 추가의 건조부(96)를 통과하는 동안 웹의 커얼 경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건조도가 70% 이상의 건조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로부터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건조도가 75% 이상의 건조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로부터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건조도가 80% 이상의 건조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로부터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는 상부 열(98)의 드라이어와, 상기 상부 열(98)의 드라이어(103∼105)의 인접한 드라이어(103과 104:104와 105)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상부 롤(100, 102)과, 상기 상부 열(98)의 각 드라이어(103∼105)와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상부 롤을 번갈아 돌아서 주행하는 상부 펠트(106)와, 하부 열(107)의 드라이어 (108∼110)와, 상기 하부 열(107)의 드라이어들(108∼110)의 인접한 드라이어 (108과 109; 109와 110)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하부 롤(111, 112)과, 상기 하부 열(107)의 각 드라이어(108∼110)와 각각의 상기 하부 롤을 번갈아 돌아서 주행하는 하부 펠트(114)를 구비하며, 웹(WC)이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를 통과하는 동안에 웹의 커열 경향을 제어하도록, 상기 상부 열(88)과 하부 열(107)과의 사이에서 웹이 오픈 드로우(40C, 42C, 44C, 46C)로 주행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 (60C, 64C, 78, 80)가 4개 이상의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어(60C, 62C, 64C, 78, 80)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이송용 진공 롤(91, 92)이 각각 부분 진공원(140)에 접속됨으로써, 웹이 상기 진공롤(91, 92) 각각을 돌아서 이동하는 동안 그 웹은 기계 횡방향 및 기계 방향으로 수축하지 않도록 유지되며, 상기 드라이어 펠트(94)는 웹과 상기 진공 롤(91, 92)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 건조부는 파지의 제거를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어의 각 드라이어(85, 86)와 협동하는 닥터 블레이드(144∼146)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오픈 드로우 없이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의 하나의 건조부(78)로부터 다음의 연속되는 건조부(80)로 이송되며, 이 웹은 그것이 상기 연속되는 건조부(80)의 드라이어 펠트(94)에 종동하도록 연속되는 건조부(80)의 드라이어 펠트(94)와 상기 하나의 건조부(78)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는 하류의 진공 롤(156)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는 상기 하류의 진공 롤(156)의 하류에서 그것에 인접하여 배치된 진공 롤(158)을 구비하며, 상기 웹은 그것이 상기 드라이어 펠트(94)로부터 상기 하부 펠트(114)까지 오픈 드로우 없이 이송되게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의 건조 펠트(94)와 상기 하부 펠트(114)와의 사이에 샌드위치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는 하류펠트 롤(160)과, 드라이어 펠트(94D)의 근처에서 상기 펠트 롤(160)의 바로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블로우 박스(96D)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추가의 건조부(96D)는 상류 펠트 롤(164)을 구비하고, 이 상류 펠트 롤은 상기 드라이어 펠트(94D)에 바로 인접하여 상기 하류 펠트 롤(160)대해서 상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웹이 상기 드라이어 펠트(94D)와 상기 하부 펠트(114D)와의 사이에 샌드위치되도록 상기 하류 펠트 롤(160)의 하류에서 그것에 매우 접근하여 배치된 추가의 블로우 박스(166)를 구비하며, 웹은 상기 드라이어 펠트(94D)로 부터 상기 하부 펠트 (114D)로 오픈 드로우 없이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진공 롤 중 적어도 일부의 롤 (100D-102D)은 상기 상부 열(98D) 및 하부 열(107D)의 각 드라이어(103D∼109D) 사이의 상기 오픈 드로우(42D)의 거리(D)를 단축하도록, 상기 상부 열(98D)의 인접한 상류 드라이어(103D, 104D)로 향하여 오프셋되어 있고, 상기 하부 열(107D) 및 상부 열(98D)의 각 드라이어(108D; 103D) 사이의 상기 오픈 드로우(40D)가 최단 거리로 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하부 롤의 각각의 롤(111D, 112D)이 상기 하부 열(107D)의 인접한 상류 드라이어(108D, 109D)로 향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건조부(96D)는 상기 상부 열의 드라이어(103D, 104D, 105D) 및 하부 열의 드라이어(108D, 109D, 110D)의 각 드라이어 내의 증기압을 조절하는 제어장치(170)를 구비하며, 이로써 웹의 양면 중 일면으로부터의 과도한 건조에 의해 웹이 커얼되는 경향을 연속되는 드라이어 사이에서 차이가 있는 증기압을 인가함으로써 보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장치.
웹을 일측의 면으로부터 건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1열, 상부 펠트형 건조부(60C, 62C, 64C, 78, 80)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에 대하여 바로 하류에 배치된 추가의 건조부(96)를 통해서 웹을 이동시키는 동안 웹의 양면을 연속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웹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이 식, M=101 - 0.246(WRV) (식중, M은 웹의 임계 습기 함유량을 나타내며, WRV는 수분 보유값을 나타냄)으로 표현되는 M 이상의 건조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80)로 부터 상기 추가의 건조부(96)으로 이송시키며, 웹이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로 추가의 건조부(96)를 통해서 이동하는 사이에 웹의 커얼 경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방법.
웹을 일측의 면으로부터 건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1열, 상부 펠트형 건조부(60C, 62C, 64C, 78, 80)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전조부(60C, 62C, 64C, 78, 80)에 대하여 바로 하류에 배치된 추가의 건조부(96)를 통해서 웹을 이동시키는 동안 웹의 양면을 연속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웹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웹이 65% 이상의 건조도에 도달하였올 때 웹을 상기 복수 개의 건조부(60C, 62C, 64C, 78, 80)로부터 상기 추가의 건조부(98)로 이송시키며, 웹은 상기 추가의 건조부(96)를 통해서 이동하는 동안 커얼되는 경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그것의 양면을 건조시키는 단계 전에 75 내지 80 %의 범위까지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건조 방법.
KR1019940703727A 1992-04-24 1993-04-16 종이웹건조장치및건조방법 KR100264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73,420 US5269074A (en) 1992-04-24 1992-04-24 Single tier dryer section for curl control
US07/873,420 1992-04-24
PCT/US1993/003656 WO1993022497A1 (en) 1992-04-24 1993-04-16 Single tier dryer section for curl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402A KR950701402A (ko) 1995-03-23
KR100264219B1 true KR100264219B1 (ko) 2000-11-01

Family

ID=2536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727A KR100264219B1 (ko) 1992-04-24 1993-04-16 종이웹건조장치및건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5269074A (ko)
EP (1) EP0637350B1 (ko)
JP (1) JP2866952B2 (ko)
KR (1) KR100264219B1 (ko)
AU (1) AU687735B2 (ko)
BR (1) BR9306278A (ko)
CA (1) CA2101634C (ko)
DE (2) DE637350T1 (ko)
FI (1) FI944610A0 (ko)
PL (1) PL171342B1 (ko)
WO (1) WO1993022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4415A (en) * 1992-04-24 1999-03-23 Beloit Technologies, Inc. Paper making machine providing curl control
US5542193A (en) * 1992-04-24 1996-08-06 Beloit Technologies, Inc. Dryer group for curl control
US5600897A (en) * 1993-08-06 1997-02-11 J.M. Voith Gmbh Mixed dryer section including single-tier and double-tier drying groups with automatic ropeless threading
DE4328555A1 (de) * 1993-08-25 1994-03-31 Voith Gmbh J M Trockenpartie
FI934367A (fi) * 1993-10-05 1995-04-06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netelmä paperirainan kuivatuksessa sekä paperikoneen kuivatusosa
FI103820B (fi) * 1993-11-30 1999-09-30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netelmät paperirainan kuivatuksessa sekä paperikoneen kuivatusosat
FI91899C (fi) * 1993-11-30 1994-08-25 Valmet Paper Machinery Inc Paperikoneen kuivatusosan alapuolinen tilajärjestely
US5379528A (en) 1993-12-09 1995-01-10 J. M. Voith Gmbh Paper making machine drying section steam pressure profile
US5517765A (en) * 1994-02-04 1996-05-21 Beloit Technologies, Inc. Dryer section apparatus
FI93875C (fi) * 1994-02-17 1995-06-12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netelmä paperirainan kuivatuksessa sekä paperikoneen kuivatusosa
US5661911A (en) * 1994-02-17 1997-09-02 Valmet Corporation Dryer section of a paper machine
FI93036C (fi) * 1994-03-29 1995-02-10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netelmä paperirainan kontaktikuivatuksessa sekä paperikoneen kuivatusosa
FI95059C (fi) * 1994-06-14 1995-12-11 Valmet Paper Machinery Inc Paperikoneen kuivatusosa
US5526880A (en) * 1994-09-15 1996-06-18 Baker Hughes Incorporated Method for multi-lateral completion and cementing the juncture with lateral wellbores
US5771603A (en) * 1994-09-16 1998-06-30 Voith Sulzer Papiermashinen Gmbh Dryer section
DE9414963U1 (de) * 1994-09-16 1994-11-03 Voith Gmbh J M Trockenpartie
US5592751A (en) * 1994-11-23 1997-01-14 Voith Sulzer Papiermaschinen Gmbh Dryer section having combination of single and double tier dryer groups
FI98387C (fi) 1995-02-01 1997-06-10 Valmet Corp Menetelmä pintakäsiteltävän paperin, etenkin hienopaperin, valmistamiseksi sekä paperikoneen kuivapää
US6126787A (en) * 1995-02-01 2000-10-03 Valmet Corporation Dry end of a paper machine
EP0726355B1 (de) * 1995-02-09 2002-06-05 Voith Paper Patent GmbH Verfahren zum Transfer eines Papierstreifens von einer ersten zu einer zweiten Bearbeitungsstation in einer Papiermaschine
US5678321A (en) * 1995-09-12 1997-10-21 Beloit Technologies, Inc. Air caps for two tier double felted dryer
US5673495A (en) * 1995-10-12 1997-10-07 Voith Sulzer Papiermaschinen Gmbh Single-tier drying section with top-felted serpentine dryer section at dry end thereof
US5638611A (en) * 1995-10-18 1997-06-17 Voith Sulzer Papiermaschinen Gmbh Single-tier drying section tailored for compensating stretching and shrinking of paper web
US6280576B1 (en) * 1996-07-31 2001-08-28 Valmet Corporation After-dryer in a paper machine
US5925407A (en) * 1996-09-20 1999-07-20 Valmet Corporation Method for drying a surface-treated paper web in an after-dryer of a paper machine and after-dryer of a paper machine
US6001421A (en) * 1996-12-03 1999-12-14 Valmet Corporation Method for drying paper and a dry end of a paper machine
US5921000A (en) * 1997-01-27 1999-07-13 Beloit Technologies, Inc. Alternating top and bottom felted dryers connected without open draw
CA2206382C (en) * 1997-05-28 2000-08-22 Asea Brown Boveri Inc. Curl and profile correction with high velocity hoods
US5933979A (en) * 1997-10-31 1999-08-10 Beloit Technologies, Inc. Restraint dryer for the drying end of a papermaking machine and a method thereof
FI112684B (fi) * 1999-03-23 2003-12-31 Metso Paper Inc Menetelmä paperi- tai kartonkirainan käyristymän mittaamiseksi ja säätämiseksi sekä paperi- tai kartonkikonelinja
FI106269B (fi) 1999-05-10 2000-12-29 Valmet Corp Päällepuhallussovitelma ja -menetelmä käsiteltävän paperi- tai kartonkirainan käyristymistaipumuksen kompensoimiseksi sekä paperi- tai kartonkikone
US6631566B2 (en) * 2000-09-18 2003-10-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drying a web
FI121931B (fi) * 2003-05-08 2011-06-15 Metso Paper Inc Menetelmä pintaliimatun paperin, etenkin hienopaperin käsittelyssä paperikoneen jälkikäsittelyosassa sekä paperikoneen jälkikäsittelyosa
US8176650B2 (en) * 2005-12-13 2012-05-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warming up or cooling down a through-air dryer
WO2012065644A1 (en) * 2010-11-18 2012-05-24 Metso Paper, Inc. Frame for a drying se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1577A (en) * 1987-02-13 1992-04-07 Beloit Corporation Web transfer apparatus
JPH02480U (ko) * 1988-03-01 1990-01-05
DE3807857A1 (de) * 1988-03-10 1989-09-28 Voith Gmbh J M Trockenpartie
DE4037661C1 (ko) * 1990-11-27 1991-12-19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402A (ko) 1995-03-23
PL171342B1 (pl) 1997-04-30
AU687735B2 (en) 1998-03-05
CA2101634C (en) 1998-09-15
FI944610A (fi) 1994-10-03
FI944610A0 (fi) 1994-10-03
JP2866952B2 (ja) 1999-03-08
CA2101634A1 (en) 1993-10-25
DE637350T1 (de) 1995-07-13
US5283960A (en) 1994-02-08
US5269074A (en) 1993-12-14
DE69315335D1 (de) 1998-01-02
AU4106893A (en) 1993-11-29
EP0637350B1 (en) 1997-11-19
JPH07501590A (ja) 1995-02-16
DE69315335T2 (de) 1998-03-19
WO1993022497A1 (en) 1993-11-11
BR9306278A (pt) 1998-06-30
EP0637350A1 (en) 1995-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219B1 (ko) 종이웹건조장치및건조방법
EP0735183B1 (en) Apparatus for drying a web
KR100391045B1 (ko) 제지 건조 방법 및 제지 기계의 건조 단부
US6038789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curl of paper and a paper or board machine line that applies the method
CN114318930B (zh) 用于制造纤维料幅的机器和方法
US6294050B1 (en) Drying end of a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a material web and method of drying a material web
US5884415A (en) Paper making machine providing curl control
EP1125019B1 (en) Dryer section
US6003241A (en) Drying unit and dryer section that makes use of such units
KR100487017B1 (ko) 제지 기계의 애프터-드라이어에서 표면 처리된 제지 웨브 또는 이의 동등물을 건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제지 기계에서 실행하는 애프터-드라이어
US5983523A (en) Method for controlling curl of paper in a dryer section of a paper machine and a paper or board machine
EP1012383B1 (en) Method for control of the curl of paper in the dryer section of a paper machine and paper or board machine
EP1003931B1 (en) Alternating top and bottom felted dryers connected without open draw
US5542193A (en) Dryer group for curl control
US5933979A (en) Restraint dryer for the drying end of a papermaking machine and a method thereof
US6658758B2 (en) Drying section with impingement drying unit
US5925407A (en) Method for drying a surface-treated paper web in an after-dryer of a paper machine and after-dryer of a paper machine
US6280576B1 (en) After-dryer in a paper machine
US557958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a fibrous web in a single-felt dryer group under low vacuum
US7192507B2 (en) Machine for producing a fibrous material web
FI107548B (fi) Menetelmä paperirainan pidätetyksi kuivattamiseksi
WO1998004777A1 (en) Method for drying a paper to be surface-treated, in particular fine paper, in an after-dryer in a paper machine, and an after-dryer in a paper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717830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