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517B1 - 드롭인 곤로 - Google Patents

드롭인 곤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517B1
KR100262517B1 KR1019970054038A KR19970054038A KR100262517B1 KR 100262517 B1 KR100262517 B1 KR 100262517B1 KR 1019970054038 A KR1019970054038 A KR 1019970054038A KR 19970054038 A KR19970054038 A KR 19970054038A KR 100262517 B1 KR100262517 B1 KR 10026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in body
body case
flang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952A (ko
Inventor
요시히로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1998004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드롭인 곤로의 본체케이스와 카운터 톱의 거리가 명확하지 않아도 부착할 수 있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드롭인 곤로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체케이스(53)의 측벽(55)에 형성된 통공(57)에 고정구(62)의 외향돌출부(67b)가 통하여지고, 고정구(62)의 상면편(65)에 형성된 긴구멍(63)이 길이부분만 이동가능하므로, 그 범위분을 이동시키면서 고정금구(62)의 선단부(67c)를 카운터 톱(T)에 삽입시키면, 긴구멍(63) 및 나사구멍(61)에 부착비스(69)가 삽입되고 나사잠금되어 고정된다.

Description

드롭인 곤로
본 발명은 드롭인 곤로에 관하여, 특히, 카운터 톱에 형성된 장착구멍의 크기 관계가 일정범위내라면, 임의 위치에서 본체케이스를 부착가능한 고정구를 구비하는 드롭인 곤로에 관한 것이다.
제8도는 종래의 드롭인 곤로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8도를 참조하여, 드롭인 곤로는, 발열원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스(1)와 그 상측 개방부를 덮는 상면커버(3)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의 상단주변에는 플랜지(7)가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본체케이스(1)에 있어서, 몸체부(4)는 플랜지(7)의 하측 근방에 부착비스(9)로 부착된 원주형상의 위치결정금구(11)가 설치되어 있다. 몸체부(4)는 측벽(5)이 사방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드롭인 곤로는, 장착구멍의 폭이 다른 2종류의 카운터 톱에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폭이 큰 장착구멍(13A)을 구비한 카운터 톱(TA)에 조립할 때에는, 본체케이스(1)의 몸체부(4)에 위치결정금구(11)를 미리 부착하여 둔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를 카운터 톱(TA)의 장착구멍(13A)에 끼워넣음과 동시에, 본체케이스(1)의 상단주변에 돌출된 플랜지(7)를 장착구멍(13A)의 주변부에 걸어맞춰서 본체케이스(1)를 매달은 상태로 한다. 그러면, 카운터 톱(TA)의 장착구멍(13A)의 내주변과 위치결정금구(11)의 선단이 근접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1)의 수평방향의 이동범위가 허용범위내로 제한되어 위치결정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케이스(1)를 카운터 톱(TA)에 도시하지 않은 바닥판고정구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본체케이스(1)의 상측 트인구멍부에 상면커버(3)를 덮는 것으로 드롭인 곤로의 부착작업이 완료된다.
타측에, 작은 폭의 장착구멍(13B)이 형성된 카운터 톱(TB)에 상기한 드롭인 곤로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본체케이스에 위치결정금구(11)를 부착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를 장착구멍(13B)에 끼워넣으면, 본체케이스(1)의 몸체부(4) 외측면이 장착구멍(13B)의 내주면에 근접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1)가 위치 결정되고, 이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이 이루어져서 부착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장착구멍의 폭이 다른 2종류의 카운터 톱에 대하여 위치결정은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위치결정금구(11)의 부착작업이 번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8-57416호에서 개량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제9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개량된 발명에 있어서, 드롭인 곤로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10도는 본체케이스의 평면도이다.
제10도를 참조하여, 본체케이스(1)의 플랜지(7)에는 통공(17a, 17b, 17c)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17a)은 측벽(5)으로부터의 거리가 통공(17b)과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통공(17a, 17b)은 각각 대향하는 플랜지(7)에 형성되어 있다. 통공(17c)은 통공(17b, 17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플랜지(7)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18)은 통공(17a, 17b, 17c)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9도를 참조하여, 카운터 톱(TA)에 본체케이스(1)를 부착할 경우, 즉 넓은 장착구멍(13A)에 드롭인 곤로를 부착할 경우에는, 위치결정금구(15)가 통공(17a)에 끼워맞춰지고 부착비스(9)에 의하여 플랜지(7)에 부착된다. 이에 대하여, 카운터 톱(TB)에 본체케이스(1)를 부착할 경우, 즉 좁은 장착구멍(13B)에 드롭인 곤로를 부착할 경우에는, 위치결정금구(15)가 통공(17b)에 끼워맞춰지고 나사구멍(18)에 부착비스(9)가 넣어지므로써 위치결정금구(15)가 부착된다.
같은 방식으로, 장착구멍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통공(17c)에 위치결정금구(15)가 끼워맞춰지고, 부착비스(9)가 나사구멍(18)에 넣어지므로써 위치결정금구(15)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구멍의 크기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는, 위치결정금구(15)가 그에 맞는 통공(17a, 17b, 17c)에 부착되는 것으로, 다른 종류의 장착구멍에 본체케이스(1)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8도에 나타낸 종래의 방법 및 제9도에 나타낸 방법에서는, 미리 장착구멍의 크기와 본체케이스의 크기의 대응관계를 모르고 있으면, 본체케이스를 카운터 톱에 고정시킬 수 없다. 예를 들면, 장착구멍의 크기와 본체케이스의 대응관계를 잘못하여 적절하지 않은 통공에 위치결정금구를 부착한 경우, 적절한 통공에 위치결정금구를 고쳐 부착하여야 한다. 또한, 장착구멍을 형성할 때, 예를 들어 조금 크게 형성해 버린 통공의 위치가 장착구멍의 크기와 맞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 미리 결정된 통공에서는 스프링이 소용없게 되어 대응할 수 없는 일이 생긴다. 예를 들면, 제10도에 있어서 통공(17a)과 통공(17b)의 사이위치에 위치결정금구를 부착하고 싶은 경우에는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청구항 1, 2, 3, 4에 기재된 발명은, 일정범위내라면 장착구멍의 크기와 본체케이스의 크기의 대응관계를 모르는 경우, 장착구멍의 크기가 맞지 않을 경우에도 본체케이스 부착가능한 고정구를 구비하는 드롭인 곤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착방법에서는, 가장 큰 장착구멍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위치결정금구(15)가 통공(17a) 및 통공(17c) 양쪽에 끼워맞춰져서 부착될 필요가 있다. 즉, 전후좌우 쌍방에서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착구멍이 가장 큰데도 불구하고, 본체케이스(1)의 플랜지(7)에 통공(17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본체케이스에 관해서는, 상기한 가장 큰 장착구멍으로의 부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청구항 5 및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본체케이스의 전후 및 좌우에서가 아닌 어느 한 쪽만을 고정시켜서 본체 케이스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를 포함하는 드롭인 곤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드롭인 곤로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파선부의 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2도의 고정구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1도의 본체케이스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고정구의 상면편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3도의 고정구의 외향돌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플랜지에 긴구멍을 형성하고, 고정구에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본체케이스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본체케이스의 카운터 톱으로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종래의 드롭인 곤로의 문제점을 개량한 발명의 본체케이스의 카운터 톱으로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난 위치결정금구에 의하여 카운터 톱에 고정된 본체케이스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장착구멍 55 : 측벽
57 : 통공 59 : 플랜지
61 : 나사구멍 62 : 고정구
63 : 긴구멍 65 : 상면편(제 1 부재)
67 : 다리부(제 2 부재) 67c : 예각선단부
69 : 부착비스 T : 카운터 톱
87 : 물결형상구멍 89 : 톱니형상구멍
91, 93 : 예각선단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측벽 상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플랜지에 의하여 카운터 톱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매달리고, 상기 측벽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케이스와; 상기 카운터 톱에 상기 본체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랜지 상면에서 그 돌출방향으로 소정의 이동범위에서 이동가능한 제 1 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 1 부재에 연속되고, 타단이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카운터 톱 방향으로 연장되어 예리한 예각선단부를 갖는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이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플랜지에 고정시키도록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상기 구멍과 상기 나사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플랜지에 나사고정시키는 나사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케이스는, 측벽 상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플랜지에 의하여 카운터 톱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매달리고, 측벽에 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고정구는, 카운터 톱에 본체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구의 제 1 부재는, 플랜지상면에서 그 돌출방향으로 소정의 이동범위에서 이동가능한 부재이다. 제 2 부재는, 일단이 제 1 부재에 연속되고, 타단이 통공을 통하여 카운터 톱의 방향으로 연장된 부재이다. 고정수단은, 제 1 부재의 이동범위 임의의 위치에서 제 1 부재를 플랜지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구에 의하여, 소정의 이동범위라면 그 임의의 위치에서 본체케이스를 카운터 톱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구멍과 나사구멍과 나사고정구를 포함하고 있다. 구멍은 제 1 부재에 형성되고, 또한 이동범위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나사구멍은 플랜지에 형성된 것이다. 나사고정구는, 구멍과 나사구멍에 삽입되어 제 1 부재를 플랜지에 나사고정시키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구멍으로서 긴구멍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구멍으로서 플랜지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꾸불꾸불하게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제 2 부재의 타단이 카운터 톱의 측벽의 대향면에 삽입되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2 부재의 타단측이 삽입되듯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삽입된 방향인 플랜지의 돌출방향과 직각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본체케이스가 측벽이 사방에 형성된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고정구가 대향하는 1조의 측벽 각각에 대응된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대향하는 1조의 측벽에 각각 대향하는 카운터 톱에 고정구 각각의 제 2 부재가 삽입되므로써, 플랜지의 돌출방향 즉 고정구가 형성되는 측벽방향의 고정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하여 직각 또는 수평방향인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방향의 고정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드롭인 곤로의 전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파선부의 확대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본체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본체케이스(53)는, 가스버너(51)를 수용하는 것으로, 바닥판(56)의 4변 각각에서 측벽(55)이 상측을 향하여 형성되고, 그 상단에서 플랜지(59)가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4장의 측벽(55)에 의하여 몸체부(54)가 구성되어 있다. 2조의 직사각형형상의 통공(57)이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1조의 측벽(55)의 소정위치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공(57)에 대응하도록 플랜지(59)에는 나사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본체케이스에는 횡방향의 측벽(55) 및 플랜지(59)에만 고정금구(62)를 부착하기 위한 통공 및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뿐으로, 전후방향의 측벽(55) 및 플랜지(59)에는 통공 및 나사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체케이스(53)의 상측 개방부(58)는 상면커버(3)로 덮여 있다. 상면커버(3)의 중앙부에는 가스버너(51)에 여유있게 밖에서 끼우는 중앙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 커버(3)에는 중앙구멍(71)의 상측을 둘러싸듯이 설치된 삼발이(73)가 재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3도를 참조하여 고정구(62)에 관하여 설명한다. 고정구(62)는, 전체적으로는 띠형상의 스프링판을 구부려서 만든 금구로 ゴ자형을 하고 있다. 고정구(62)는, 긴구멍(63)이 형성된 제 1 부재인 상면편(65)과, 상면편(65)의 일단에서 수하되는 제 2 부재인 다리부(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리부(67)는 수하부(67a)와, 수하부(67a)의 하단에서 외향으로 약간 하향하여 경사되어 있는 외향돌출부(67b)와, 외향돌출부(67b)의 선단의 예각선단부(67c)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부호 68은 눈금으로, 장착구멍(13)의 중심에 본체케이스(53)를 위치결정할 때 사용되기도 하고, 장착구멍(13)의 각변에 측벽(55)을 평행으로 부착할 때 사용되기도 하는 것이다.
제1도에서 제5도를 참조하면서, 드롭인 곤로를 개수대등의 카운터 톱에 부착하는 작업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랜지(59)의 외주변에 미리 패킹(P)을 장착하여 둔다. 그리고, 측벽(55)의 통공(57)에 고정구(62)의 외향돌출부(67b)를 삽입하여 둔다. 그 후, 고정구(62)의 상면편(65)을 플랜지(59)의 상면에 맞추면서, 부착버스(69)를 긴구멍 및 플랜지(59)의 나사구멍(61)에 맞추어 임의로 고정시킨다.
그 후, 본체케이스(53)를 장착구멍(13)의 대략 중앙에 끼워넣는다. 고정구(62)는 예각선단부(67c)가 맞닿아야 하는 카운터 톱(T)의 장착구멍가장자리(13a)와 측벽(55)의 거리(L)에 맞추어, 본체케이스(53)의 횡방향 고정을 위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고정구(62)의 예각선단부(67c)를 장착구멍(13a)에 맞닿게 하고, 또한 카운터 톱(T)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부착비스(69)를 긴구멍(63) 및 플랜지(59)의 나사구멍(61)에 맞추면서 나사잠금한다. 또, 본체케이스(53)를 장착구멍(13)에 끼워넣고, 그 후에 고정구(62)를 부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고정에 의하여, 측벽(55)과 카운터 톱(T)의 대향면의 거리(L)가 카운터 톱(TA)과 카운터 톱(TB)과 같이 다른 경우, 또는 제10도의 통공(17a)과 통공(17b)의 사이와 같은 제 3의 크기의 장착국멍의 경우에도, 고정구(62)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면편(65)의 긴구멍(63)에 의하여 고정구(62)는, 플랜지의 돌출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므로, 이 범위내라면 측벽(55)과 카운터 톱(T)의 대향면의 거리(L)를 미리 알 수 없고, 불명확하거나 예정된 거리가 아닌 경우와 같이 다양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체케이스의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공(57)은 긴구멍(63)의 길이에 대응하여 어느 정도 상하방향의 폭을 갖고 있는 통공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편(65)의 이동에 따라서 외향돌출부(67b)의 통공(57)을 통하는 부분은 오르내리므로, 통공(57)의 상하방향의 폭은 긴구멍(63)에 따라 어느 정도의 높이가 필요로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으로 외향돌출부(67b)가 경사지지 않고 상면편(65)과 평행하다면, 통공(57)의 상하방향의 폭은 외향돌출부(67b)의 두께로 충분하다.
단, 경사진 경우에는 통공(57)의 폭이 다소 좁게 형성되는 것으로, 측벽(55)과 수하부(67a)가 떨어짐에 따라서 통공(57)과 외향돌출부(67b)가 접촉하여, 상면편(65)이 플랜지(59)와 접촉하지 않고 부상(浮上)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부착비스(69)를 단단히 죄어서 외향돌출부(67b)를 통공(57)과 접촉하면서 강제적으로 카운터 톱(T)측으로 이동시켜서, 예각선단부(67c)가 카운터 톱(T)에 삽입되는 힘을 증대시켜도 되고, 이 점도 고려한 통공의 폭을 형성하여도 된다.
타측, 예각선단부(67c)가 카운터 톱(T)의 대향면에 삽입하는 것으로, 삽입된 카운터 톱(T)의 장착구멍의 주위벽면이 삽입방향과 직각 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이동에 장애가 되어, 고정구(62)의 선단부(67c)의 이동은 삽입방향인 플랜지의 돌출방향뿐만 아니라, 그의 직각 또는 수평방향인 전후로의 이동도 저지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53)의 고정에 필요한 고정구는 전후좌우가 아니라, 한 방향만으로 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공(5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벽(55)과 카운터 톱(T)의 대향면의 거리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본래라면 고정구(62)를 부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고정구의 부착을 하지 않고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체케이스의 전후좌우의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되어, 본체케이스(53)의 고정이 종료된다. 마지막으로, 본체케이스(53)의 상측 개방부(58)에 상면커버(3)가 덮여지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의 드롭인 곤로가 카운터 톱(T)에 부착되는 것이다.
또한, 제5a도는 제3도의 A측에서 고정구(62)를 바라본 수평도이지만, 제5b도, 제5c도와 같은 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즉, 플랜지의 돌출방향에 대응한 도면상의 B방향에 대하여 꾸불꾸불한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5b도에 나타나는 물결형상구멍이라면, 일정범위내라면 그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결형상구멍(87)에 삽입되는 부착비스(69)는 D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지만 C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므로, 부착비스의 죄는 힘에 부가하여 상면편(65)의 B방향으로의 이동저지의 정밀도가 오르고 고정도가 향상한다. 단, 부착비스(69)는, B방향 구체적으로는 플랜지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직각 또는 수평방향(전후방향)으로도 이동하게 되므로, 그 이동범위(L1)분만큼 본체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은 전후방향 긴 길이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은, 제6c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톱니형상구멍(89)에 있어서도 같다.
또, 제6a도는 제3도의 E방향에서 고정구(62)를 바라본 도면이지만, 예각선단부(67c)는 제6b도 또는 제6c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예각의 예각선단부(91 또는 93)에서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다리부(67)의 선단을 예각선단부(67c)로 하고 있지만, 고정구가 어느 범위이동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예각이 아닌 평탄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4측벽에 고정구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고정구에 긴구멍을 형성하여 본체케이스의 플랜지에 나사구멍을 형성하였지만,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도 된다. 즉, 플랜지에 그 돌출방향으로 연장하는 긴구멍, 제5b도 또는 제5c도와 같은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구에 나사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단, 이 경우에는 나사고정구로서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가 필요로 한다. 그리고, 눈금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에 고정구를 부착하여도 보일 수 있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 눈금은, 고정구의 양측에서 보일 수 있도록 플랜지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고정구가 어느 범위이동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고정구의 선단은, 카운터 톱(T)의 대향면인 장착구멍가장자리에 반드시 맞닿을 필요는 없다. 이것은 제8도의 종래의 드롭인 곤로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측벽에 고정구를 2개씩 형성하였지만, 좌우일측 측벽에 1개 형성하여도 되고 전후의 측벽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여, 어느 이동범위내라면 임의의 위치에서 본체케이스를 카운터 톱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사전에 카운터 톱과 본체케이스의 측벽의거리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명확하더라도 제조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본체케이스를 카운터 톱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장착구멍과 드롭인 곤로의 본체케이스와의 크기관계가 어느범위내라면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구의 제 1 부재에 이동범위에 대응한 연속적인 구멍이 형성된 것이므로, 그 이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긴구멍에 의하여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구멍이 플랜지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꾸불꾸불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비교하여 나사고정구의 플랜지 돌출방향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고 고정도가 향상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고정구의 제 2 부재의 타단측이 카운터 톱에 삽입되므로서, 전후좌우의 양쪽 방향에서의 고정구의 부착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에 전후 또는 좌우 한 방향으로만 고정구를 삽입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도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방향의 크기가 본체케이스에 비교하여 장착구멍의 폭이 넓은 경우에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각각의 고정구의 제 2 부재의 타단측이 카운터 톱에 삽입되므로, 본체케이스의 중심을 향하여 카운터 톱에서의 반력을 받으면서 본체케이스가 고정되므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측벽 상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플랜지에 의하여 카운터 톱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매달리고, 상기 측벽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케이스와; 상기 카운터 톱에 상기 본체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랜지 상면에서 그 돌출방향으로 소정의 이동범위에서 이동가능한 제 1 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 1 부재에 연속되고, 타단이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카운터 톱 방향으로 연장되어 예리한 예각선단부를 갖는 제 2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이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플랜지에 고정시키도록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상기 구멍과 상기 나사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플랜지에 나사고정시키는 나사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 곤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긴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 곤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플랜지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꾸불꾸불하게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 곤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의 타단은, 상기 카운터 톱의 상기 측벽의 대향면에 삽입되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 곤로.
  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는 상기 측벽이 사방에 형성된 상자형상이고, 상기 고정구는, 대향하는 1조의 상기 측벽 각각에 대응한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인 곤로.
KR1019970054038A 1996-11-11 1997-10-21 드롭인 곤로 KR100262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873996A JP3189036B2 (ja) 1996-11-11 1996-11-11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298739 1996-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952A KR19980041952A (ko) 1998-08-17
KR100262517B1 true KR100262517B1 (ko) 2000-08-01

Family

ID=1786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038A KR100262517B1 (ko) 1996-11-11 1997-10-21 드롭인 곤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89036B2 (ko)
KR (1) KR100262517B1 (ko)
CN (1) CN1125953C (ko)
TW (1) TW59020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4508A (zh) * 2010-08-30 2012-03-2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灶具底壳及带有该种底壳的灶具
KR101606842B1 (ko) * 2014-09-29 2016-03-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빌트인 가스기구용 고정 스프링판
JP6995558B2 (ja) * 2017-10-17 2022-01-14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811U (ko) * 1979-01-19 1980-07-24
JPH07269883A (ja) * 1994-03-31 1995-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ルトイン型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811U (ko) * 1979-01-19 1980-07-24
JPH07269883A (ja) * 1994-03-31 1995-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ルトイン型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90201U (en) 2004-06-01
JPH10141673A (ja) 1998-05-29
JP3189036B2 (ja) 2001-07-16
CN1125953C (zh) 2003-10-29
KR19980041952A (ko) 1998-08-17
CN1182185A (zh) 199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3901B2 (en) Holding component for vehicle
US20070149038A1 (en) Device for protecting electric component
JPH07217604A (ja) リザーブタンクの取付構造
KR100262517B1 (ko) 드롭인 곤로
JPH0717136U (ja) 机等におけるコンセントボックスの取付装置
JP2000307259A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JP2600239Y2 (ja) 電装部品の固定構造
JP3677635B2 (ja) 筐体の取付装置
JPH02171359A (ja) ラジエターグリルの取付構造
JP6746249B2 (ja) 部品取付構造
JPS5952614B2 (ja) 小型電気器具の取付装置
JP3928801B2 (ja) トップカバーの取付構造
JP3953345B2 (ja) ガス燃焼装置
JP2006125795A (ja) ドロップイン式コンロにおけるコンロ本体の固定構造
JP2023074279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及び配線装置
JPH1023634A (ja) 開閉器支持装置
JP2587650Y2 (ja) 固着装置
JP2725517B2 (ja) 電子部品の取付け構造
JPS5911420Y2 (ja) 刃受を有する配線器具
JPH0641086Y2 (ja) 給湯器における熱交換器取付装置
JPH062013Y2 (ja) 部品係着装置
JPH055434Y2 (ko)
JPH0725284A (ja) 車両用ランプ組立体の取付構造
JP2510527Y2 (ja) 基板ケ―ス
JP2523444Y2 (ja) 扁平受像管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