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488B1 - 소결철-규소연자성합금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결철-규소연자성합금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488B1
KR100262488B1 KR1019950046809A KR19950046809A KR100262488B1 KR 100262488 B1 KR100262488 B1 KR 100262488B1 KR 1019950046809 A KR1019950046809 A KR 1019950046809A KR 19950046809 A KR19950046809 A KR 19950046809A KR 100262488 B1 KR100262488 B1 KR 100262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oft magnetic
sintered
alloy
magnetic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494A (ko
Inventor
최승덕
양충진
손영근
변갑식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5004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488B1/ko
Publication of KR97005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4766Fe-Si based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모터, 발전기 코아듬의 자실재료와 자기재료의 요크재등으로 사용되는 Fe-Si 연자성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쇄성 및 성형서잉 양호하고 높은 소멸밀도를 갖으며 연자기 특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고주파 영역에서도 사용가능한 소결 Fe-Si 연자성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Fe-Si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자성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응용상태의 Fe-Si 합금을 8-35m/sec의 냉각속도 범위를 냉각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분쇄하고, 이 분말에 전체 Fe-Si 합금분말 중량에 대하여 0.5-3% 범위의 결합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1-10ton/cm2의 압력범위로 성형하고 1100-1350℃의 온도범위에서 소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결 Fe-Si 연자성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소결 철-규소(Fe-Si)연자성 합금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적응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조된 Fe-Si 합금 분말의 사진
본 발명은 변암기, 모티, 발전기 코아 등의 자심재료와 자기회로의 요크(yoke)재 등으로 사용되는 Fe-Si 연자성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성 및 성형성이 양호하고 높은 소결밀도를 갖으면 연자기특성이 우수한 소결 Fe-Si 연자성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변압기 모터, 발전기 코아등의 자실재료와 자기회로의 요크재등으로 사용되는 Fe-Si 연자성 합금은 높은 자속밀도와 투자율 그리고 낮은 보자력과 철손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최근 전자, 전기기기의 고주파 영역에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Fe-Si 연자성 합금의ㅏ 고주파 영역에서의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Fe-Si 연자성 합금은 고주파 영역에서의 사용시 높은 철손과 노이즈(nosie) 발생의 문제가 있어 고주파 영역에서의 적용이 가능한 Fe-Si 연자성 합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Fe-Si 합금에서 Si 함량이 증가할수록 투자율과 전지저항이 증가하고 철손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Si 함량이 3% 이상일 경우에는 경하고 취약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가공이 곤란하여 기존의 합연법으로는 제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Fe-Si 합금 제조에 관한 방법으로는 급속냉각기술(일본특허소 63-72824, 63-176427), 화학진공증착(Chemical Vapor Depositon)법(일본특허소 62-227032, 62-227033) 및 분말야금법(일본특허 소 62-27545, 미국특허 US 5,002,728)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중 급냉법으로 박판을 제조하는 것은 표면 거칠기등 실제 생산에 어려움이 많아 아직 실음화가 요원하며, 화학진공종착법은 설비비가 많이 들고 제조원가가 비싸므로 가격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
또한, 분말 야금법에 의하여 소결Fe-Si 연자성 합급을 제조할 때는 자료분말품 조성및 이때 원료가 되는 분말은 Fe와 Si 분말을 소정량 혼합하거나, si만을 미리 Fe와 합금한 것을 분말화한 Fe-Si 합금분말을 Fe 분말과 소정량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금속분말을 사용시 Fe나 Si의 산화에 의해 상형성 및 소결성이 저하하며, Fe-Si 합금분말을 사용했을때는 금속분말이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고온도에서 장시간 소결해야 하며, 원료분말 자체의 임도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고 예를들어 200메쉬(74㎛)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지하지만, 이렇게 미분말로 하면 성형성이 충분치 않고 또 가격도 비싸다. 분말의 성형성이 부족한 성형체를 소결해서 얻어진 소결체는 치밀한 것이 얻어지지 않으며 연자가 특성이 저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분말야금법을 이요한 Fe-Si 연자성 합금 제조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탕상태의 목적하는 조성의 Fe-Si 연자성 합금을 급속냉각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적정조건으로 배합, 성형 및 소결하므로서, 문 성 및 성형성이 양호하고 높은 소결별도를 갖으며 연지기특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고주파 영역에서도 사용가능한 소결 Fe-Si 연자성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Fe-Si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자성 합급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응용 상태의 Fe-(3.0~6.5증량%)Si 합급을 8-35m/sec의 냉각속도 범위로 냉각하여 분말
위의 결함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1-10ton/cm2의 압력범위로 성형하고 1100-1350℃의 온도범위에서 소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결 Fe-Si 연자성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우선 목적조성으로 청량된 응용상태의 Fe-Si 합금, 바람직하게는 Si를 3~6.5% 함유하는 Fe-Si 합금을 8-35m/sec이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때 응용상태의 Fe-Si 합금의 냉각은 축출형 급속냉각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응용상태의 Fe-Si 합금의냉각속도가 8m/sec 이하에서는 응용상태의 합금을 축출해 주는 힘이 약하여 목적하는 Fe-Si 합금 분말을 얻기 어렵고, 냉각속도가 35m/sec이상이 되어도 상관은 없으나 작업상 문제가 있으므로 냉각소도는 8-35m/sec의 범위로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금속냉각에 의해 얻어진 Fe-Si 합금 분말의 입자형태의 플레이크(flake)상으로 헥산(hexane), 아세톤(seton), 알콜(alchol)등의 유기몽매나ㅑ 아르콘 가스 등의 불활성 분위기 혹은 공기중에서 분쇄과정을 통하여 250매쉬(mesh) 이하의 입도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산화하기 쉬운 si등의 산화에 의해 소결성이 저하하는 현상은 거의 없어 소결밀도가 향상되며, 소결후의 조직이 아주 균일하여 연자기온상에서 소결온도가 지나치게 높아 용융(melting)이 일어나 성형체의 형상이 무너지게 되므로 소결온도를 1100-13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표 1과 같이, Si의 함량이 3.5-6.5 중량%가 되도록 Si 및 Fe 인곳트 (ingot)를 징량한 후, 아르곤(Ar) 분위기중에서 플라즈마 아크로 완저 ㄴ용융한 후, 축출형 용융회전기에 의해 리본(ribbon) 형상의 급냉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이때의 냉각속도, 즉, 냉각회전체의 회전속도 16/sec로 하였다.
상기와 가ㅕㅌ이 제조된 급냉리본은 평균두께가 10-20㎛이며 x-선 회절분설을 행한 결과, 모두 결정질 조직으로 나타났다.
사용하여 분쇄한 후,100 매쉬(mesh) 및 400 매쉬의 ASTM E11에서 규정한 체(sieve)를 사용하영 분급하여 38-150㎛ 입도의 분말을 얻었다. 제1도는 급속냉각으로 제조한 후 분쇄한 분말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급냉분말을 편평성 향사엥 유익하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쇄된 급냉분말을 왁스(wax)등의 결합제와 혼합한다. 이때 결합제는 0.5-3중량% 혼합하며, 알콜이나 아세톤 등의 유기온도에 녹여 액체상태로 하여 혼합하는 것이 급냉분말에 균일하게 도포되므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결합제의 양이 0.5중량% 이하에서는 결합제로서의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중량% 이상에서는 그 양이 너무 많이 성형이 어렵고 나중에 소결과정에서 완전히 결합제를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결하ㅓㅂ제가 혼합된 분말을 금형속에 충진시킨 후, 1-10ton/cm2의 압력으로 압축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성형압이 1 ton/cm2이하에서는 성형압이 낮아 강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10ton.cm2이상에서는 성형압이 높아 금형의 손상이 심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성형체를 진공 또는 아르곤이나 수소분위기증에서 소결처리하여 치밀화를 시킨다. 이때 소결조건은 1100-1350℃ 외 온도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소결온도 1100℃ 이하에서 소결온도가 낮아 충분한 밀도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자기특성이 저하하고 1350℃ 이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성형시 유리함을 침작할 수 있다. 이와같이 분쇄도니 분말은 8t/cm2의 수직압력으로 코아 형태로 성형하였으며, 이들 성형체를 1350℃에서 1시간 진공분위기에서 소결처리하였다. 이 소결체는 소결온도에서 상온까지 아르곤가스를 사용하여 가스 냉각하였다.
상기오 같이 제조된 소결코아에 대하여 밀도 및 연자기 특성을 측정하고 종래의 분말법으로 제조한 소결체에 대한 값과 함께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결 코아인 발며ㅕㅇ예(1-4)의 경우 종래의 분말법으로 얻은 자석에 비하여 연자기 특성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 예2]
Si의 함량이 6.5종량%가 되도록 Si 임고트를 청량한 후, 아르곤 분위기중에서 플라즈마 아크로 완전 용융한 후 축출형 용융회전기에 의해 리본(ribbon) 형상의 급냉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이때의 냉각속도 즉 냉각회전체의 회전속도는 16/ses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급냉분말에 대하여 x-선 회절분석을 향한 결과 모두 결정질 조직으로 나타났다. 이 급냉분말을 이르곤 가스 분위기에서 로터 밀(rotor mill)을 사용하여 분쇄한 후, 100메쉬(mesh) 및 400매쉬의 ASTM E11에서 규정한 체(sieve)를 사용하여 분급하여 38-150㎛ 입도의 분말을 얻었다, 이 분쇄된 분말은 8t/cm2의 수직압력으로 코아형태로 성형하였으며, 이들 성형체를 하기표 2에서와 같이 1275-1350℃에서 1-2시간 진공분위기에서 소결처리하였다, 이 소결체는 소결온도에서 상온까지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여 가스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소결 코아에 대하여 밀도 및 연자기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결 코아인 발명에(5-8)의 경우, 낮은 온도와 짧은 소결시간임에도 높은 밀도와 우수한 연자기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소결온도가 증가되면 밀도가 커지고 연자기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분말법에는 높은 소결온도에서 장시간 소결하여도 밀도 및 연자기 특성이 본 발명의 최적조건 보다도 열등함을 알 수 있다.
[실시 예3]
Fe-Si 연자성 합금증의 Si 함량이 6.5%중량가 되도록 Si 및 Fe 인곳트 (ingot)를 청량한 후, 아르곤 분위기중에서 플라즈마 아크로 완전 용융한 후 축출형 용융회전기에 의해 리본(ribbon)형상의 급냉분말을 제조하엿으며,이때의 냉각속도 즉 냉각회 전체의 회전속도는 16m/sec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급냉 리본(ribbon)을 아르곤 가스 분위기에서 로터 밀(rotor mill)을 사용하여 분쇄한 후, 100매쉬(mesh) 및 400메쉬의 ASTM E11에서 규정한 체(sieve)를 사용하여 분급하여 35-150㎛ 임도의 분말을 얻었다.
이 분쇄된 분말은 8t/cm2의 수직압력으로 코아 형태로 성형하였으며, 이 성형체를 1350℃에서 1시간 전공분위기에서 소결처리하였다. 이 소결체는 소결 온도에서 상온까지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여 가스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소결코아에 대하여 10KHz까지 고주파에서 철손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상기 표3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결 코아인 발명예(9)의 경우는 기존의 무방향성 전기강판에 비교하여 철손이 낮음을 알 수 있으며, 방향성 전기강판과 비교하여도 고주파 영역에서는 거의 동등한 철손값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결 Fe-Si 연자성 합금의 제조시 응용상태의 Fe-Si 합금을 적정속도로 급속냉각하여 Fe-Si 합금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적정조건으로 분쇄, 혼합, 성형 및 소결하므로서 분쇄성 및 성형성이 양호하고 높은 소결 밀도를 갖으며 연자기 특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고주파 영역에서도 사용가능한 소결 Fe-Si 연자성 합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Fe-Si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자성 합금을 제조하는 방버에 있어서, 용융상태의 Fe-(3.0~6.5중량%)Si 합금을 8-35m/sec외 냉각속도 범위로 냉각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분쇄하고, 이 분말에 천제 Fe-Si 합금분말 중량에 대하여 0.5-3% 범위의 결합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1-10ton/cm2의 압력범위로 성형하고 1100-1350℃의 온도범위에서 소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Fe-Si 연자성 하바금의 제조방법
KR1019950046809A 1995-12-05 1995-12-05 소결철-규소연자성합금의제조방법 KR100262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809A KR100262488B1 (ko) 1995-12-05 1995-12-05 소결철-규소연자성합금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809A KR100262488B1 (ko) 1995-12-05 1995-12-05 소결철-규소연자성합금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494A KR970051494A (ko) 1997-07-29
KR100262488B1 true KR100262488B1 (ko) 2000-08-01

Family

ID=1943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809A KR100262488B1 (ko) 1995-12-05 1995-12-05 소결철-규소연자성합금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4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214A (ko) * 2002-11-13 2004-05-20 휴먼일렉스(주) Fe-Si 합금분말을 이용한 SMD 코아 제조방법
KR100441062B1 (ko) * 2001-08-07 2004-07-19 주식회사 디씨엔 Fe-Si 연자성 포트코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액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013B1 (ko) * 2002-07-02 2005-07-01 휴먼일렉스(주) Fe-Si계 합금 분말 코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062B1 (ko) * 2001-08-07 2004-07-19 주식회사 디씨엔 Fe-Si 연자성 포트코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액터
KR20040042214A (ko) * 2002-11-13 2004-05-20 휴먼일렉스(주) Fe-Si 합금분말을 이용한 SMD 코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494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5168B1 (en) Method for making rare-earth element containing permanent magnets
KR100360533B1 (ko) 고실리콘 함유강의 제조 방법과 규소강
EP0557103A1 (en) Master alloy for magnet production and its production, as well as magnet production
JP4389427B2 (ja) 希土類−鉄−硼素系磁石用合金粉末を用いた焼結磁石
JPH044387B2 (ko)
KR20000058055A (ko) 희토류/철/붕소계 자석합금의 퀀칭된 박대
KR100262488B1 (ko) 소결철-규소연자성합금의제조방법
KR100256358B1 (ko) 철규소계 소결 연자성합금의 제조방법
EP1632299B1 (en) Method for producing rare earth based alloy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rare earth based sintered magnet
EP0517355A1 (en) Corrosion resistant permanent magnet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a permanent magnet therefrom
JPS61295342A (ja) 永久磁石合金の製造方法
JPS6320411A (ja) 永久磁石用材料の製造方法
JP2789364B2 (ja) 耐酸化性の優れた永久磁石合金の製造方法
JPH0146574B2 (ko)
JP4680357B2 (ja) 希土類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4574820B2 (ja) 希土類ボンド磁石用磁石粉末の製造方法
JPS62282417A (ja) 希土類磁石の製造方法
JPH01155603A (ja) 耐酸化性希土類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H058562B2 (ko)
HU199904B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lloy-dust based on rare earth metall-cobalt of improved quality
WO2022209466A1 (ja) R-t-b系焼結磁石の製造方法
JP4484024B2 (ja) 希土類焼結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8857B2 (ja) 焼結希土類磁石合金の製造法
JPH06256912A (ja) 高磁歪特性を有する超磁歪焼結体の製造法
JPS61130436A (ja) 希土類金属磁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