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338B1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338B1
KR100262338B1 KR1019980006530A KR19980006530A KR100262338B1 KR 100262338 B1 KR100262338 B1 KR 100262338B1 KR 1019980006530 A KR1019980006530 A KR 1019980006530A KR 19980006530 A KR19980006530 A KR 19980006530A KR 100262338 B1 KR100262338 B1 KR 10026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particles
calcium carbonate
inert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212A (ko
Inventor
김성원
한준희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8000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3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내 입자의 종류와 양과 크기가 제한된 폴리에스테르를 정해진 두께로 공압출한 필름으로 주행특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제조공정상이나 제품사용상에 필름으로 부터 탈락되는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시킴은 물론 필름의 표면경도를 향상시켜 내스크래치(Scratch)성이 향상되도록 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무기물이나 유기입자들을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고 있으나 필름 표면의 조면화에 따른 전자특성의 저하라는 문제점과 첨가된 불활성 입자의 탈락 및 생산 속도의 증가에 따른 필름 마모분의 증가, 마찰제와의 접촉이나 복제시 스크래치의 발생등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되는 활제를 가운데층(폴리에스테르 B)으로 배열하고, 외곽층에는 활제의 탈락을 방지하고 표면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층(폴리에스테르 A)을 배열시켜서, 전자특성과 내마모성 및 무기입자의 탈락을 방지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내 입자의 종류와 양과 크기가 제한된 폴리에스테르를 정해진 두께로 공압출한 필름으로 주행특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제조공정상이나 제품사용상에 필름으로 부터 탈락되는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시킴은 물론 필름의 표면경도를 향상시켜 내스크래치(Scratch)성이 향상되도록 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안정한 화학구조 및 높은 기계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내열성, 내약품성, 내구성등이 우수하여 콘덴서, 의료기구, 포장재료, 사진필름 및 라벨 용도 뿐만 아니라 자기기록 매체의 기재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가공 공정, 예를 들어 포장용도의 인쇄공정이나 자기기록매체 용도의 자성체 도포, 카렌다링, 슬리팅등의 공정속도 증가에 따라 접촉되는 롤(Roll)등에 필름 표면이 마모되어 후가공 공정이나 제품 특성(품질)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자기기록매체 용도의 경우 필름의 주행성, 가공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불활성입자로서 탄산칼슘, 실리카, 카올린, 알루미나등의 무기물이나 유기입자들을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고 있으나 필름 표면의 조면화에 따른 전자특성의 저하라는 문제점과 첨가된 불활성 입자의 탈락 및 생산 속도의 증가에 따른 필름 마모분의 증가, 마찰제와의 접촉이나 복제시 스크래치의 발생등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자기기록 매체의 고성능화 추세에 따른 전자변환 특성의 향상은 보다 평탄한 표면의 필름을 필요로 하고 있고, 이와는 반대로 자기기록 테이프 생산 속도의 증가는 고속주행시의 주행 특성이나 내마모성, 입자의 탈락 방지에 대한 요구를 증대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공정 속도의 증가는 공정의 텐션(Tension) 증가와 연결되어 필름이 보다 가혹한 조건하에 놓이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필름 내부 입자의 탈락성 증가는 공정중 이물질의 발생이나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테이프의 드롭아웃(drop out)특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갖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필름의 전자특성이나 주행특성, 내마모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다수 제시되고 있으나 전자특성을 개선시키는 경우 주행특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내마모성이 불량해지는 이율배반적인 결과를 갖게 하는 등 그 효과는 아직 미흡하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자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주행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개발을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폴리에스테르내 입자의 양과 크기가 제한된 폴리에스테르들을 공압출하여 연신함에 의해 목적의 제품에 도달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을 보인 개요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연신 전의 쉬트가 적어도 3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필름으로 최외곽층들의 폴리에스테르(A)에는 필름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경도의 미세입자가 함유되어 있고, 가운데층 폴리에스테르(B)에는 불활성입자나 내부 석출입자가 존재하는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필름의 주행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되는 활제를 가운데층(폴리에스테르 B)으로 배열하고, 외곽층에는 활제의 탈락을 방지하고 표면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층(폴리에스테르 A)을 배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활제가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쉬트를 연신하게 되면 활제 입자는 상대적으로 쉬트의 두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로인해 이활성을 갖추게 된다. 이때 최외곽층들을 구성하고 있는 고경도의 미세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층이 가운데층의 큰 입자를 감싸게 되어 필름으로부터 활제의 탈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필름의 표면경도를 증가시켜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가운데 폴리에스테르(B)층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평균입경이 0.1~1㎛인 불활성입자를 0.1~1중량% 함유하고 최외곽 폴리에스테르(A)층에는 모스경도 6이상이며, 평균입경이 0.01~0.1㎛인 미세 불활성입자를 0.01~0.5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운데 폴리에스테르(B)층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입경이 차이가 나는 2종류 이상의 불활성 입자를 함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최외곽층에 0.1㎛ 이상의 입자가 함유되어 있으면 필름의 주행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불활성입자가 탈락될 가능성이 있으며, 평균입경이 0.01㎛ 이하인 경우 입자들의 응집에 의한 조대입자의 생성 가능성이 크며, 모스경도가 6이하인 경우에는 내스크래치성의 개선에는 효과가 없게 된다.
또한 가운데층에 활제가 0.1% 이하인 경우에는 필름표면의 조대화에 영향이 적어져서 필요한 주행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며, 1중량% 이상이 되면 활제들 사이의 응집에 의하여 조대입자가 발생되는 등 악영향으로 나타나며, 가운데층의 활제의 입경이 0.1㎛ 이하인 경우 표면의 조면화에 미흡하며, 입경이 2㎛ 이상인 경우 전자특성이 불량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축연신이 끝난 후의 필름층의 두께의 합이 1~50㎛이고 더욱 좋게는 10~30㎛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A, B를 제조하는 방법은 각별히 제한을 받지는 않고 종래의 폴리에스테르의 중합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되 폴리에스테르 A층에는 폴리에스테르에 불용성이며, 모스 경도가 6이상인 불활성입자를 적당히 선택하여 첨가한다. 모스 경도가 6이상인 불활성 입자로는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늄, SiC, TiO2등이 있으며, 이들 중 선택하여 사용한다. 폴리에스테르 B층에는 폴리에스테르에 불용성인 불활성입자 또는 유기입자를 적당히 선택하여 첨가한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에 불용성인 불활성입자로는 탄산칼슘, 돌로마이트, 글래스스페어, 화이버글래스, 탈크, 카오린, 마이카, 실리카, 황산바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루미나 등 무기입자나 분자중에 한개의 지방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및 열경화성 페놀수지,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열경화성 요소수지, 벤조구아나민수지 및 불소계 수지의 미분체등의 공지된 유기입자들중 종류에는 각별한 제한은 없으나 입경은 0.1~2㎛인 불활성입자를 0.1~1중량% 함유할 경우에 효율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입자들을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바, 작은 입자의 입경은 0.1~1㎛ 인 불활성입자를 0.1~1중량% 함유하며, 큰입자의 입경은 0.3~2㎛ 인 불활성입자를 0.01~1중량% 함유할 경우에 본 발명의 효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3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쉬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각별히 제한을 받지 않고 종래의 공지된 공압출 방법을 활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멀티 매니폴드 다이 또는 피이드블록 다이에 용융된 폴리에스테르를 공급하여 회전하는 냉각드럼에 판상의 용융 폴리에스테를 고착시킴으로 인하여 연속된 쉬트를 제조할 수가 있다. 이렇게 제조한 쉬트는 계속해서 종연신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1단 또는 다단의 연신방법중 어느것을 사용해도 괜찮다. 종연신과 횡연신의 사이에는 본 발명의 표면조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공정 조건을 변경하여도 좋다.
본 발명으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스크레치성, 주행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특히, 탈락성 입자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자기기록 매체용, 사진용, 그래픽용, OHP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포장용, 전기용등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각종 성능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입자의 평균입경
무기입자를 에틸렌글리콜중에 분산시킨 후 시마즈사(일본)의 원심침강식 입도측정기(SA-CPⅡ)를 이용하여 체적 평균입경(㎛)을 측정하였다.
2) 표면조도
코사카연구소(일본)의 접촉식 표면조도계(SURFCORDER SE-30D)를 사용하여 표면조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조건 촉침경=2㎛, 커트오프=0.08mm, 측정길이=5mm, 7점 측정후 최대, 최소치를 제외한 5점을 평균하였다.
3) 층별두께
마이크로톰으로 필름의 단면을 잘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4) 내마모성
요코하마시스템 연구소(일본)의 테이프 주행성시험기(TBT-300H)를 이용하여, 필름을 1/2인치의 폭으로 슬리팅한 후, 주행속도 3.3cm/sec로 테이프 가이드 핀에 마찰 주행시켜서 테이프 가이드 핀의 표면에 묻어있는 백분을 육안 또는 사진 관찰하여 내마모성을 평가한다.
A 등급 : 가이드 핀에 백분이 전혀 없는 경우.
B 등급 : 가이드 핀에 백분이 가이드 핀 면적 대비 1/5 정도 발생한 경우.
C 등급 : 가이드 핀에 백분이 가이드 핀 면적 대비 1/2 정도 발생한 경우.
D 등급 : 가이드 핀 전체에 백분이 발생한 경우.
5) 브래이드 평가
요코하마시스템 연구소(일본)의 테이프 주행성시험기(TBT-300H)를 이용하여, 필름을 1/2인치의 폭으로 슬리팅한 후, 주행속도 50m/min으로 주행시키면서 면도칼을 필름표면에 접촉시켜 돌기의 탈락성 여부 평가함. 면도칼의 표면에 묻어있는 백분의 발생량과 SEM으로 관찰하여 불활성입자의 탈락 여부를 평가한다.
A 등급 : 면도칼에 백분이 거의 없으며 불활성입자 탈락분 없음.
B 등급 : 면도칼에 백분이 거의 없으며 불활성입자 탈락분 다소 있음.
C 등급 : 면도칼에 백분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불활성입자 탈락분 다소 있음.
D 등급 : 면도칼에 백분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불활성입자 탈락분 많이 발생.
6) 내스크래치성
요코하마시스템 연구소(일본)의 테이프 주행성시험기(TBT-300H)를 이용하여, 필름을 1/2인치의 폭으로 슬리팅한 후, 주행속도 2,300m/min로 테이프 가이드 핀에 마찰 주행시킨 후 필름 표면의 스크래치 발생정도를 육안 또는 사진관찰하여 평가한다.
A 등급 : 필름에 스크래치가 전혀 없는 경우.
B 등급 : 필름에 스크래치가 약 1/5 정도 발생한 경우.
C 등급 : 필름에 스크래치가 약 1/2 정도 발생한 경우.
D 등급 : 필름 전체에 스크래치가 발생한 경우.
7) 돌기와 보이드(void)
SEM을 이용하여 필름표면의 돌기 및 주변의 보이드 관찰.
측정배율 5000배, 40부위를 측정하여 관찰된 보이드의 갯수를 비교 평가한다.
실시예 Ⅰ-1.
디메칠 테레프탈레이트 100부 에칠렌그리콜 70부 및 초산칼슘 0.05부를 반응기에 넣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실시하였다. 4시간후 평균입경 0.05㎛의 미세 실리카입자를 0.2중량% 첨가하고,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종료된 후 트리메칠포스페이트 0.06부 및 삼산화 안티몬 0.04부를 첨가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5시간 중합반응을 하여 IV 0.600의 폴리에스테르 A를 얻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있어서, 에스테르 교환반응 4시간 후 평균입경 0.5㎛의 탄산칼슘 입자를 0.4중량% 첨가한 후 중합반응을 하여 폴리에스테르 B를 얻었다.
다음에 각 폴리에스테르를 건조한 후 공급 폴리에스테르 A가 외곽층으로 폴리에스테르 B가 가운데층으로 오도록 하여 피이드 블록이 설치된 다이에 290o로 공급 3층 구조를 갖는 무정형 쉬트를 얻었다. 계속하여 90℃에서 종방향으로 3.7배, 횡방향으로 4.0배 연신시킨 후 210℃ 열처리하여 두께 14㎛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들 실험의 결과는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Ⅰ-2~9 및 비교예 1~5
실시예 1의 조건들중 폴리에스테르 A, B에 첨가하는 무기입자들의 평균입경, 첨가량을 변경하여 각각 특성차가 나는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비교로 적층필름이 아닌 단층필름을 비교하였음. 각각 필름의 특성평가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외곽층 : 불활성입자 a 가운데층 : 불활성입자 b 총두께비A/B/A(㎛) 표면조도Ra(㎛) 내마모성(등급) BladeTest(등급) 내Scratch(등급) Void수(갯수)
종류 입경(㎛) 투입량(%) 종류 입경(㎛) 투입량
실시예 1 실리카 0.05 0.2 탄산칼슘 0.5 0.4 1/12/1 0.015 B A A 1
실시예 2 실리카 0.07 0.1 탄산칼슘 1.0 0.4 2/10/2 0.018 A B B 3
실시예 3 실리카 0.05 0.2 탄산칼슘 0.8 0.3 1/12/1 0.016 B A A 2
실시예 4 실리카 0.07 0.1 탄산칼슘 1.2 0.3 2/10/2 0.020 A B B 3
실시예 5 실리카 0.05 0.2 탄산칼슘 0.8 0.4 2/10/2 0.017 B A A 1
실시예 6 알루미나 0.05 0.2 탄산칼슘 0.8 0.4 2/10/2 0.017 B B A 2
실시예 7 알루미나 0.03 0.1 탄산칼슘 1.2 0.3 1/12/1 0.021 A B B 4
실시예 8 TiO2 0.05 0.2 탄산칼슘 0.8 0.4 2/10/2 0.017 B B A 2
실시예 9 TiO2 0.07 0.1 탄산칼슘 1.0 0.4 1/12/1 0.018 A B B 3
비교에 1 무기입자나 석출입자 없음. 탄산칼슘 0.5 0.4 1/12/1 0.015 B B D 1
비교예 2 탄산칼슘 1.0 0.4 1/12/1 0.020 A B C 4
비교예 3 탄산칼슘 0.8 0.3 1/12/1 0.016 B A D 2
비교예 4 탄산칼슘 0.8 0.5 1/12/1 0.021 A B C 3
비교예 5 탄산칼슘 0.8 0.4 2/10/2 0.017 B B D 1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건을 달리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시예 Ⅱ-1.
디메칠 테레프탈레이트 100부 에칠렌그리콜 70부 및 초산칼슘 0.05부를 반응기에 넣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실시하였다. 4시간후 평균입경 0.06㎛의 미세 실리카입자를 0.3중량% 첨가하고,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종료된 후 트리메칠포스페이트 0.06부 및 삼산화 안티몬 0.04부를 첨가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5시간 중합반응을 하여 IV 0.600의 폴리에스테르 A를 얻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있어서, 에스테르 교환반응 4시간 후 평균입경 0.6㎛의 탄산칼슘 입자를 0.4중량% 첨가한 후 중합반응을 하여 폴리에스테르 B를 얻었다.
다음에 각 폴리에스테르를 건조한 후 공급 폴리에스테르 A가 외곽층으로 폴리에스테르 B가 가운데층으로 오도록 하여 피이드 블록이 설치된 다이에 290o로 공급 3층 구조를 갖는 무정형 쉬트를 얻었다. 계속하여 90℃에서 종방향으로 3.7배, 횡방향으로 4.0배 연신시킨 후 210℃ 열처리하여 두께 14㎛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들 실험의 결과는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7 및 비교예 1~5
실시예 1의 조건들중 폴리에스테르 A, B에 첨가하는 무기입자들의 평균입경, 첨가량을 변경하여 각각 특성차가 나는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비교로 적층필름이 아닌 단층필름을 비교하였음. 각각 필름의 특성평가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외곽층 : 불활성입자 a 가운데층 : 불활성입자 b 총두께비A/B/A(㎛) 표면조도Ra(㎛) 내마모성(등급) BladeTest(등급) 내Scratch(등급) Void수(갯수)
종류 입경(㎛) 투입량(%) 종류 입경(㎛) 투입량
실시예 1 실리카 0.06 0.3 탄산칼슘 0.6 0.4 1/12/1 0.015 B A A 1
실시예 2 실리카 0.07 0.1 탄산칼슘 1.0 0.4 2/10/2 0.018 A B B 3
실시예 3 실리카 0.05 0.2 탄산칼슘 0.8 0.3 1/12/1 0.016 B A A 2
실시예 4 알루미나 0.05 0.2 탄산칼슘 0.8 0.4 2/10/2 0.017 B B A 2
실시예 5 알루미나 0.03 0.1 탄산칼슘 1.2 0.3 1/12/1 0.021 A B B 4
실시예 6 TiO2 0.05 0.2 탄산칼슘 0.8 0.4 2/10/2 0.017 B B A 2
실시예 7 TiO2 0.07 0.1 탄산칼슘 1.0 0.4 1/12/1 0.018 A B B 3
비교예 1 실리카 0.07 0.1 탄산칼슘 1.0 0.4 4/6/4 0.013 C B B 1
비교예 2 실리카 0.05 0.2 탄산칼슘 0.8 0.3 5/4/5 0.010 D A A 1
비교예 3 알루미나 0.05 0.2 탄산칼슘 0.8 0.4 4/6/4 0.013 C B A 1
비교예 4 알루미나 0.03 0.1 탄산칼슘 1.2 0.3 5/4/5 0.014 C B B 2
비교예 5 TiO2 0.05 0.2 탄산칼슘 0.8 0.4 4/6/4 0.013 C B A 2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건을 달리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시예 Ⅲ-1.
디메칠 테레프탈레이트 100부 에칠렌그리콜 70부 및 초산칼슘 0.05부를 반응기에 넣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실시하였다. 4시간후 평균입경 0.05㎛의 미세 실리카입자를 0.2중량% 첨가하고,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종료된 후 트리메칠포스페이트 0.06부 및 삼산화 안티몬 0.04부를 첨가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5시간 중합반응을 하여 IV 0.600의 폴리에스테르 A를 얻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있어서, 에스테르 교환반응 4시간 후 평균입경 0.4㎛의 탄산칼슘 입자를 0.4중량%와 0.8㎛의 탄산칼슘 0.1%를 각각 첨가한 후 중합반응을 하여 폴리에스테르 B를 얻었다.
다음에 각 폴리에스테르를 건조한 후 공급 폴리에스테르 A가 외곽층으로 폴리에스테르 B가 가운데층으로 오도록 하여 피이드 블록이 설치된 다이에 290o로 공급 3층 구조를 갖는 무정형 쉬트를 얻었다. 계속하여 90℃에서 종방향으로 3.7배, 횡방향으로 4.0배 연신시킨 후 210℃ 열처리하여 두께 14㎛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들 실험의 결과는 표 3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7 및 비교예 1~5
실시예 1의 조건들중 폴리에스테르 A, B에 첨가하는 무기입자들의 평균입경, 첨가량을 변경하여 각각 특성차가 나는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비교로 적층필름이 아닌 단층필름을 비교하였음. 각각 필름의 특성평가 결과를 표 3에 표시하였다.
폴리에스테르 B 층두-께비A/B/A(㎛) 표면조도Ra(㎛) 내마모성(등급) BladeTest(등급) 내Scratch(등급) Void 수(갯수)
불활성입자 a 불활성입자 b
종류 입경(㎛) 투입량(%) 종류 입경(㎛) 투입량(%)
실시예 1 탄산칼슘 0.4 0.4 탄산칼슘 0.8 0.1 1/12/1 0.015 B A A 1
실시예 2 탄산칼슘 0.6 0.3 탄산칼슘 1.0 0.09 2/10/2 0.018 A B B 3
실시예 3 실리카 0.3 0.4 탄산칼슘 0.8 0.1 1/12/1 0.016 B A A 2
실시예 4 실리카 0.5 0.3 실리카 1.2 0.05 2/10/2 0.017 B B A 2
실시예 5 탄산칼슘 0.8 0.4 실리카 1.0 0.1 1/12/1 0.021 A B B 4
실시예 6 탄산칼슘 1.0 0.2 실리카 1.3 0.1 2/10/2 0.017 B B A 2
실시예 7 탄산칼슘 0.5 0.4 실리카 0.9 0.1 0.5/13/0.5 0.020 A B A 5
비교예 1 탄산칼슘 0.5 0.4 - - - 2/10/2 0.013 C B D 2
비교예 2 탄산칼슘 0.5 0.3 실리카 0.8 0.2 2/10/2 0.012 D B D 1
비교예 3 탄산칼슘 0.8 0.2 - - 4/6/4 0.014 C B A 1
비교예 4 실리카 0.4 0.4 - - 2/10/2 0.013 C B B 2
비교예 5 실리카 0.3 0.4 - - - 2/10/2 0.009 D B C 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표 1 내지 도 3에 명시되어 있는 무기입자의 입경, 돌기 높이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해당되는 경우에 전자특성과 내마모성 및 무기입자의 탈락을 방지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반복단위가 에칠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에칠렌 나프탈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신 전의 쉬트가 적어도 3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필름으로 최외곽층들의 폴리에스테르(A)에는 모스경도 6이상의 미세 불활성입자가 존재하고, 가운데층 폴리에스테르(B)에 불활성입자나 내부 석출입자가 존재하게 하는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최외곽층의 폴리에스테르(A)의 내부에 모스경도 6이상의 평균입경이 0.01~0.1㎛인 불활성입자를 0.01~0.5중량% 함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운데층의 폴리에스테르(B)의 내부에 평균입경이 0.1~5.0㎛인 불활성입자를 0.05~3중량% 함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운데층의 폴리에스테르(B)의 내부에 평균입경이 0.1~1㎛인 불활성입자a 를 0.1~1중량%, 평균입경이 0.3~2㎛인 불활성입자b 를 0.01~1중량% 함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의 2축연신후 최종 필름의 최외곽층의 두께가 3㎛이하이며, 전체 두께의 합이 1~50㎛ 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80006530A 1998-02-27 1998-02-27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6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530A KR100262338B1 (ko) 1998-02-27 1998-02-27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530A KR100262338B1 (ko) 1998-02-27 1998-02-27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212A KR19990071212A (ko) 1999-09-15
KR100262338B1 true KR100262338B1 (ko) 2000-09-01

Family

ID=1953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530A KR100262338B1 (ko) 1998-02-27 1998-02-27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21B1 (ko) * 2004-09-10 2006-08-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마찰계수가 조절된 폴리에스터 적층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874A (ko) * 1991-11-07 1993-06-23 다니모또 기요시 자기기록 매체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EP0567973A1 (en) * 1992-04-30 1993-11-03 Diafoil Hoechst Co., Ltd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874A (ko) * 1991-11-07 1993-06-23 다니모또 기요시 자기기록 매체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EP0567973A1 (en) * 1992-04-30 1993-11-03 Diafoil Hoechst Co., Ltd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212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317B1 (ko) 이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JPH11309826A (ja) 二軸延伸共押出し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磁気テ―プ
KR100598008B1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93886B1 (ko) 폴리에스테르조성물및그것으로이루어지는필름
KR100262338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628672B1 (ko) 이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6192248A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データストレージ
KR100262347B1 (ko) 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JPH0481806B2 (ko)
KR100262331B1 (ko) 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KR100262348B1 (ko) 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KR0131994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90304B1 (ko)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KR0167130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59444B1 (ko) 2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KR100244029B1 (ko)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50010588B1 (ko) 자기기록 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82772B1 (ko)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KR100282771B1 (ko)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KR100244030B1 (ko)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9990070960A (ko)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11495B1 (ko) 자기기록 매체용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9980054877A (ko) 데이터 저장 매체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1038869A (ja) 二軸延伸共押出し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磁気テープ
KR100201197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