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197B1 -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197B1
KR100201197B1 KR1019960074071A KR19960074071A KR100201197B1 KR 100201197 B1 KR100201197 B1 KR 100201197B1 KR 1019960074071 A KR1019960074071 A KR 1019960074071A KR 19960074071 A KR19960074071 A KR 19960074071A KR 100201197 B1 KR100201197 B1 KR 10020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magnetic recording
biaxially oriented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878A (ko
Inventor
김학진
김동욱
박병식
Original Assignee
한형수
주식회사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형수, 주식회사새한 filed Critical 한형수
Priority to KR101996007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197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 모두를 만족하며 표면층(A)에 오목형이고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존재하는 0.05∼0.5㎛ 크기의 구형실리카 입자를 0.01∼1.0중량% 포함하고 중간층(B), 이면층(C)으로 구성되어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표면평활도와 미끄럼도가 우수하여 고밀도 자기기록재료로 적합한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A/T = B/'T = C/T = 0.1∼0.9
1.00 ≤ d90 / d10 ≤ 5.00
0.10 ≤ d50 ≤ 2.50
10nm ≤ SRa ≤ 50nm
상기식에서 A ,B ,C ,T는 각각 적층필름의 표면층, 중간층, 이면층 전체의 두께이며, d10, d50 및 d90은 각각 적산 중량이 입자전체중량의 10%, 50% 및 90%에 해당될 때의 입자직경(㎛)을 나타내고 SRa는 중심선 평균조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1도는 필름의 주행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는 주행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직경 6mm의 스텐레스 고정핀 b,c : 필름의 장력측정기
본 발명은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표면 평활도와 미끄럼도가 우수하여 고밀도 자기기록재료로서 적합한 자기기록매채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릉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 테이프, 컴퓨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등파 같은 자기응용과 콘덴서, 전기절연 파이프와 같은 전기응용, 적출필름 및 금속증기 부착필름과 같은 포장응용, 그리고 마이크로 필름. 방사선 사진 필름, 설계차트 및 스탬핑 포일 등과 같은 기타의 여러가지 응용애 사용된다. 특히 자기응용에 있어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표면 편평도 및 미끄럼도가 요구된다.
최근들어 자기기록매체의 개량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자연히 베이스필름의 품질향상을 요구하게 되었다. 예를들면, 비디오 테이프와 같은 자기테이프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고밀도의 기록이 요구되며 고평활의 표면을 갖는 베이스필름이 요구된다. 그러나 필름의 공정주행성, 이활성 및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이산화티탄, 비활성 고분자 입자와 같은 외부입자를 필름내에 첨가하는 방법이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런 이유로 사용된 입자로 인해 나타나는 필름의 표면조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고 너무 작은 입경의 입자를 사용하여 필름의 표면조도를 적정수준 이하로 낮추게 되면 자기 테이프로 사용될 때 테이프의 전자변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필름 제조공정에서의 주행성이 떨어지고 필름과 필름 사이의 마찰 마모로 인해 다량의 백분과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너무 큰 입자를 사용할 때에는 필름의 주행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나 필름내의 큰 입자로 인해 생성되는 거대돌기는 필름의 표면조도를 상승시켜 자기테이프의 드롭아웃등의 전자변환특성이 좋지 않게 된다. 그래서 기존 기술은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입자를 혼합사용하여 개선하려 하였으나 이들 입자 모양이 균일하지 못하고 입자 크기 분포가 넓음으로서 표면조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필름 내에 거대돌기를 형성하여 티이프의 전자변환특성의 악화를 가져오게 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층(A)은 극평활하여 자성층 코팅시 전자변환특성이 우수하고 고밀도 자기기록이 가능하며 단파장을 사용한 기록방식이 가능하여 고화질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러한 필름의 주행성, 공정성, 권취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면층(C)은 표면의 조도 SRa의 2∼10배 까지 거칠게 설계되었다.
이러한 개념으로 개발된 적층필름의 시트형성시 종방향의 탄성율을 500~600kg/mm2, 횡방향의 탄성율을 550~650kg/mm2의 조건으로 연신하여 비디오 테이프로 이용시 자기헤드와 밀착성을 최대한 높였으며, 이로 인해 보다 선명하고 색번짐없는 화질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생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피드블럭을 3층 필름 제조용으르 개조한후, 표면층 A층(0.5∼5.0㎛)과 이면층 C층(0.5∼10.0㎛) 사이에 중간층 B층(0.5∼13.0㎛)을 만들어서 각종 재활용 폴리머를 투입함으로 원가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등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본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화와 에틸 렌글리롤을 주 출발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지만 또 다른 제3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출발원료인 디카르본산 성분은 예를들면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프탈산, 아디프산, 세바스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출발원료인 글리콜성분은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포함하며, 이중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복되는 구조단위의 80% 또는 그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에틸렌 2,6-나프탈렌 구조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가 더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는 열안정제, 블로킹방지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적층의 두께가 식(1)을 만족함에 있으나 특히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A층의 두께를 0.7∼0.7㎛으로 설계하면서 그안에 우수한 전자변환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구형실리카 입자를 사용하고 B층의 두께를 10.0∼14.0㎛으로 최대한 두껍게 설계함으로써 공정중에 발생한 각종의 재활용 폴리에스터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아울러 주행성을 결정하는 C층은 표면조도가 SRa=16∼25nm의 수준으로 거칠게 설계하여 고속주행시 주행성을 향상시켰으며, 이로인해 권취 및 슬리팅시 필름의 떨림현상 및 단면, 주름등의 불량이 감소하였다.
A/T = B/T = C/T = 0.1∼0.9 (1)
단, A, B, C는 각각 A층, B층, C층 이며, T는 필름의 총두께
A층에는 모앙이 구형이고 표면애 미세한 구멍이 존재하며 입자의 내부가 비어 있는 오목형 구형실리카를 사용하므로 자성층코팅면이 지극히 균일한 표면 형상을 갖게 되며 고밀도의 자기기록이 가능한 전자특성을 갖게 되었다. 입자표면의 미공 및 중공으로 인해 입자와 폴리머간의 친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내마모성이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오목형 구형실리카는 규산나트륨을 출발원료로 하기 때문에 입자의 가격이 저렴하며 다음의 입자직경 비에 의해 규정된 입자크기 분포를 지니고 있다. 그 입자 크기 분포비(γ)는 다음 식으로 결정되며 1.0 ≤ γ ≤ 5.0의 값을 만족하는 값이다.
γ = d 90 / d 10
위의 식에서, dl0은 입자의 누적 중량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일 때 미세입자의 직경이며, d90은 누적중량이 전체중량을 기준으로하여 90%일 때의 입자직경이다. (d100이 가장 큰 크기의 직경이다. )
입자 크기의 분포비는 1.1 내지 1.9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입자를 사용하였을 때 거대돌기의 발생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입자크기의 분포비가 2.0이상인 오목형 구형실리카를 사용할때 필름표면을 다중간섭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면 높이 0.75㎛를 초과하는 조대돌기가 나타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한 오목형 구형실리카 입자는 평균 입자직경이 0.05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25내지 0.42㎛가 더욱 우수하며 구형실리카 입자량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오목형 구형실리카의 평균입자 직경이 0.5㎛ 이상이고 필름내 첨가량이 1.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생성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미끄러짐성은 우수하지만 필름 표면상에 돌출 및 함몰 부위의 빈도가 증가한다.
자기 녹음 테이프에 있어서 이러한 빈도의 증가는 자기 녹음중 많은 잡음을 초래하며, 필름내 오목형 구형실리카 입자의 함량을 0.01중량% 이하로 사용할 때는 필름의 미끄러짐성이 불량하여 롤과 필름의 마찰로 인한 블로킹발생으로 필름의 파단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는 표면층(A층)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구형 실리카 입자를 에틸렌글리콜에 슬러리화 하여 분급이나 분쇄처리 없이 필터처리 만하여 이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 후 피드블럭을 포함한 적층필름 제조용 복합제막장치를 사용하여 270-300℃에서 압출하여 표면층(A층)을 형성하였고, B층과 C층은 각각 다른 서브 익스트루더부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었으며, 전체가 한층으로 적층되어 다이를 통하여 토출되며, 40-70℃로 냉각,고화시켜 다층의 비결정성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를 90-120℃에서 3.0-4.0배의 종방향 연신을 하고, 180-220℃d에서 4.0-5.0배의 횡방향 연신을 한 후, 200-24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다층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횡방향 연신비를 종래의 연신비보다 증가시켜 횡방향 굴절율 저하시컸으며 이로 인하여 필름의 긁힘 방지와 절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아울러 종방향의 탄성율을 500-600kg/mm2, 횡방향의 탄성율을 550-650kg/mm2조건으로 연신하여 비디오 테이프로 이용시 자기헤드와의 밀착성을 최대한 높였으며, 이로 인해 보다 선명하고 색번짐이 없는 화질을 얻을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평하기로 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테이프의 제반 물성의 측정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1) 입자의 평균입경
입자의 슬러리의 dl0, d50, d90 크기는 입도분포측정기(실라스, 그라뉼로미터850, 프랑스)를 이용하였고 d50을 평균 입경으로 하였다.
(2) 주행성
도면과 같이 고정된 경질 크롬으로 도금한 금속롤(6mm의 직경)에 필름을 권취하는 부분의 각이 180°(3.142rad(1θ)로 접촉되며, 한쪽 끝에 50g(T2) 하중을 주며 1.㎛/초의 속도로 주행할 때 다른 한쪽 끝에서의 저항력(T1, g)을 측정하여 다음 식에 따라 주행중 마찰계수(μk)를 구하였다.
μk = 1/θ ln ( T1/ T2) = 0.318 ln ( T1/50 )
(3) 표면조도(SRa)
코사카 연구소에서 제작한 고정밀 3차원표면조도계(ET-10)를 이용하여 JIS 0601에 규정된 방법 및 아래의 조건에 따라 중심선 평균조도(SRa), 10점 평균조도(SRa), 최대높이(SRmax) 등의 특성치를 측청하여 10회 평균값으로 평가한다.
-촉침 선단 반경 : 0.51㎛ -촉침 하중 :5mg
-촉침 길이 : ㎛m - 컷-어프 값 : 0.08㎛
(4) F-5 치
JIS-Z-1702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인스트론타입의 인장강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25℃, 65%에서 측정하였다. F-5치는 5% 신장시의 강도를 의미한다.
(5) 내마모성
헤이돈 표면측정기를 이용하여 속도 300mm/분, 하중 500g의 조건으로 200회 왕복주행 시킨 후 3차원조도계를 이용하여 표면조도의 높이변화(슬라이스 레벨)를 다음식에 대입하면 표면돌기들의 높이를 지름으로 하는 체적의 변화율이 마모율로 환산되며 5개의 측정치중 상한과 하한값을 제거한 3개의 평균치로 아래와 같이 판정한다.
단, NI : 마찰전의 슬라이스 레벨
NI' : 마찰후의 슬라이스 레벨
n : 각 슬라이스 레벨별 갯수
- 30 이하 : 매우 양호 (1급) - 40 이하 : 양호 (2급)
- 50 이하 : 보통 (3급) - 60 이상 : 부량 (4급)
(6) 내크래치성
필름을 1/2인치 폭의 테이프상으로 절단하여, 테이프 주행성 시험기 TBT-300 D/H형((주)요코하마 시스템연구소)을 사용하여 20℃, 60% RH에서 장력 50g, 주행속도 1.1 m/s로 비디오 카세트의 테이프 가이드핀(표면조도 Ra가 50nm, Rt가 2500nm정도의 스텐레스 가이드핀) 위를 권취각 180℃ 로 50회 주행시켜 발생한 스크래치의 양을 기준으로 광학현미경으로 판정한다.
- 1급 : 스크래치 발생 없음
- 2급 : 스크래치 약간 발생
- 3급 :스크래치 많이 발생
(7) 필름 표면의 조대돌기 평가
필름 표면을 다중 간섭 현미경을 사용하여 높이 0.75㎛을 초과하는 조대돌기수(측정면적 100cm2이내의 갯수)를 카운트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1급:0개 2급: 1-2개 3급:3-5개
4급: 6-8개 5급: 9개 이상
(8) 전자변환특성
필름에 아래의 조성과 같이 자성도료를 그라비아롤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자기배향 시킨 후, 스틸/나일론 5단 캘린더롤을 사용하여 온도 70℃, 선압 200kg/cm2으로 캘린더링을 한 후, 70℃에서 48시간동안 숙성하였다. 상기의 테이프 원반을 1/2인치로 슬리팅하여 판케익을 제작한 후, 250m의 길이로 VTR 카세트를 만들었다. 이를 가정용 VTR을 이용하여 티브이 시험파형발생기에 의해 100% 크로마신호를 기록하고 이 재생신호로부터 칼라비디오 노이즈 측정기로 크로마 에스엔을 구하였다.
[자성 도료의 조성]
· Co 함유 산화철 : 100 중량부
· 염화비닐/산화비닐 공중합체 : 10 중량부
·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 10 중량부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5 중량부
· 레시틴 : 1 중량부
· 메틸에틸케톤 : 75 중량부
· 메틸이소프틸케톤 : 75 중량부
· 톨루엔 : 75 중량부
· 라우린산 : 1.5 중량부
[실시예 1]
100중량부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70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0.09부의 망간 에세테이트 사수화물과 0.04중량부의 안티몬트리옥사이드를 반응기에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키며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에 걸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완료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0.06부의 에틸에시드 포스페이트와 1.0중량부의 평균입경이 0.3㎛인 오목형 구형실리카 입자를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폴리애스테르( I )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I) 36%와 여기에 무입자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64%를 혼합한 후, 표면층(A층)을 형성하였고, 중간층(B층)에는 공정에서 발생한 각종의 폴리에스테르 재활용 부산물을 필터 처리하여 서브익스트루더로부터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하였으며, 또한 폴리에스테르( I )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하고 반응 혼합물에 오목형 구형실리카 대신에 1.0중량부의 평균입경이 0.8㎛인 무정형 탄산칼슘 입자를 첨가하여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II) 얻었다. 평균 입경이 0.05㎛인 산화알루미나를 폴리에스테르( I )과 같은 방법으로 중축합하여 폴리에스테르(III)를 얻어 이것 12%와 폴리에스테르(II) 38%, 무입자 폴리에스테르 50%를 혼합하여 이면층(C층)을 형성하였다. 이를 피드블럭을 포함한 적층필름 제조용 복합제막장치로 270-300℃로 용용 압출하여 A,B,C층 전체가 한층으로 적층되어 다이를 통하억여 토출, 40-70℃로 냉각, 고화시켜 다층의 비결정성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를 90-120℃에서 3.0-4.0배의 종방향 연신을 하고, 180-220℃에서 4.0-5.0배의 횡방향 연신을 한 후, 200-24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총두께가 14.5㎛인 다층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으며, 그 물성측정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C층은 폴리에스테르(II)를 38%, 무입자 폴리에스테르를 62%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여 다층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으며, 그 물성측정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평균입경이 0.2㎛인 오목형 구형실리카를 폴리에스테르(I)과 같은 방법으로 중축합하여 폴리에스테르(IV)를 얻어, 이것 46%와 무입자 폴리에스테르 54%를 혼합하여 A층을 형성하고 B층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평균입경이 0.1㎛인 오목형 구형실리카를 폴리에스테르(I)과 같은 방법으로 중축합하여 폴리에스테르(V)를 얻어, 이것 26%와 폴리에스테르(II)를 38%, 무입자 폴리에스테르 36%를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필름을 생성하였으며, 그 물성측정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4]
폴리에스테르(I)을 36%, 폴리에스테르(III)을 12%, 무입자 폴리에스테르 52 %를 혼합하여 A층을 형성하였고, C층은 실시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필름을 생성하였으나, B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적층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으며, 그 물성측정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평균입경이 0.3㎛인 콜로이달 실리카를 폴리에스테르( I )과 같은 방법으로 중축합하여 폴리에스테르(Vl)을 얻어, 이것 36%와 폴리에스테르(II) 30%, 여기에 무입자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34%를 혼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나 단층의 필름을 생성하였으며, 그 물성측정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VI) 36%와 무입자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64%를 혼합하여 A층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으며, 그 물성측정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3]
평균입경이 0.2㎛인 콜로이달 구형실리카를 폴리에스테르( I )과 같은 방법으로 중축합하여 폴리에스테르(VII)를 얻어, 이것의 46%와 무기입자 폴리에스테르 54%를 혼합하여 A층을 형성하고 B층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평균입경이 0.1㎛인 콜로이달 구형실리카를 폴리에스테르(I)과 같은 방법으로 중축합하여 폴리에스테르(VIII)를 얻어, 이것 26%와 폴리에스테르(II)를 36%. 무입자 폴리에스테르 36%를 혼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C층을 형성하는 적층필름을 생성하였으며, 그 물성측정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4]
폴리에스테르(VI) 36%와 폴리에스테르(III)을 12%, 무입자 폴리에스테르 52%를 혼합하여 A층을 형성하였고, B, C층은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적층필름을 생성하였으며, 그 물성측정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촉매체용 이축배향 적층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표면 평활도와 미끄럼도가 우수하여 고밀도 자기기록매체로서 적합하며, 특히 고화질 텔레비젼(HDTV)에 알맞는 베이스 필름이다.

Claims (7)

  1. 다음 일반식 모두를 만족시키며 표면층(A)에 오목형이고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존재하는 0.05∼0.5㎛ 크기의 구형실리카 입자를 0.01∼1.0중량% 포함하고 중간층(B), 이면층(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A/T = B/'T = C/T = 0.1∼0.9 (1)
    1.00 ≤ d90 / d10 ≤ 5.00 (2)
    0.10 ≤ d50 ≤ 2.50 (3)
    10nm ≤ SRa ≤ 50nm (4)
    (상기식에서 A,B,C,T는 각각 적층필름의 표면층, 중간층, 이면층 전체의 두께이며, d10, d50 및 d90은 각각 적산 중량이 입자 전체중량의 10%, 50% 및 90%에 해당될 때의 입자직경(㎛)을 나타내고 SRa는 중심선 평균조도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B층에 재활용 폴리에스테르를 상기식 (1)을 만족하는 조건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B층에 폴리이미드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상기식(1)을 만족하는 조건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폴리에스테르 필름 .
  4. 제1항에 있어서, C층에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나를 상기식 (1),(2),(3)을 만족하는 조건으로 사용하여 표면조도가 상기식(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적층필름의 시트형성시 종방향의 탄성율을 500∼ 600kg/㎟, 횡방향의 탄성율을 550∼650kg/㎟,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고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표면층이 0.5~5.0㎛, 중간층이 0.5∼13.0㎛, 이면층이 0.5~ 10.0㎛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는 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가소제, 블로킹방지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최소한 1종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KR1019960074071A 1996-12-27 1996-12-27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0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071A KR100201197B1 (ko) 1996-12-27 1996-12-27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071A KR100201197B1 (ko) 1996-12-27 1996-12-27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878A KR19980054878A (ko) 1998-09-25
KR100201197B1 true KR100201197B1 (ko) 1999-06-15

Family

ID=1949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4071A KR100201197B1 (ko) 1996-12-27 1996-12-27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1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878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9244B1 (en) Polyester base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US5336079A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film comprising particles in a specific ratio of particle density
EP0460640A1 (en)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US5374467A (en) Laminated film
JPH11309826A (ja) 二軸延伸共押出し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磁気テ―プ
JP2990818B2 (ja) 磁気テープ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970001B2 (ja) 磁気テープ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0541072B1 (en)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EP0530774B1 (en)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KR0179395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기재 필름으로서 이것을 사용한 자기 기록 매체
KR100201197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US5529832A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JPH0481806B2 (ko)
US6162527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EP0710547B1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US5510192A (en) Polyethylene naphthalate multilayered film for high density magnetic recording medium
KR970002665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0152501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32263B1 (ko)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11322970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00427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9980054877A (ko) 데이터 저장 매체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22873B1 (ko)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068320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251660B2 (ja)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