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621B1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621B1
KR100260621B1 KR1019980018602A KR19980018602A KR100260621B1 KR 100260621 B1 KR100260621 B1 KR 100260621B1 KR 1019980018602 A KR1019980018602 A KR 1019980018602A KR 19980018602 A KR19980018602 A KR 19980018602A KR 100260621 B1 KR100260621 B1 KR 10026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call
voice m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908A (ko
Inventor
홍성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6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웍측에 통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음성사서함을 구비하고, 제 1무선기지국과 이동전화교환국과 제 2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 1무선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제 2무선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중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 저장 서비스 요구신호를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상기 음성 저장 서비스 요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음성 저장 서비스 상태임을 알리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음성사서함과 경로를 연결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음성 저장 서비스 요구신호를 송신한 다음, 음성 메일을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송신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상기 음성 메일을 입력받아 상기 음성사서함에 저장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일반 통화 요구신호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송신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음성 메일 저장 중에 상기 일반 통화 요구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사서함과 연결된 경로를 차단하여 음성 메일 저장을 종료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일반 통화임을 알리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6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일반 통화임을 알린 후, 일반 통화 상태로 전환하는 제 7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 시 이용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
본 발명은 유럽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부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 중요 내용을 음성사서함(Voice Mail Service: 이하 "VMS"라 함)에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쇼트메시지나 개인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 저장량은 내부 메모리 용량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메모리에 상기 쇼트메시지 및 개인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저장하기에는 충분하였다.
그러나 상기 정보는 쇼트메시지 및 전화번호 등과 같이 문자정보로 저장됨으로써 그 한계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저장 기능에 상대방과 통화하고 있는 중에도 그 통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음성메모기능이 부가되었다. 그러나 상기 음성메모기능은 한정된 메모리 용량 때문에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없음으로써 사용자의 주요 통화내용, 예를 들면 주소, 전화번호, 약속 장소 및 시간 등의 아주 짧은 내용만을 음성데이터로 저장했다. 상기 음성메모기능은 많은 메모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일반화되지 못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정보는 메모리 용량의 한계성으로 인해 제한된 정보만을 저장함으로써, 정보 저장기능의 본래 그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큰 용량의 메모리를 필요하게 됨으로 하드웨어적으로 복잡하게 할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비용을 향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 중 중요한 통화 내용을 저장함에 있어서, 음성사서함에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화 내용 저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을 구비하고, 제 1무선기지국과 이동전화교환국과 제 2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 1무선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제 2무선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중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 저장 서비스 요구신호를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상기 음성 저장 서비스 요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음성 저장 서비스 상태임을 알리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음성사서함과 경로를 연결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음성 저장 서비스 요구신호를 송신한 다음, 음성 메일을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송신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상기 음성 메일을 입력받아 상기 음성사서함에 저장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일반 통화 요구신호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송신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음성 메일 저장 중에 상기 일반 통화 요구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사서함과 연결된 경로를 차단하여 음성 메일 저장을 종료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일반 통화임을 알리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6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일반 통화임을 알린 후, 일반 통화 상태로 전환하는 제 7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간략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은 이동전화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130)와, 무선기지국(Base Transceiver System: BTS)(120 ~ 120-N)과, 이동통신단말기(100 ~ 100-N, 101 ~101-N)와, 음성사서함(Voice Mail System: VMS)(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전화교환기(130)는 다수의 무선기지국(120 ~120-N)을 가지며, 사용자 설정을 주관하고, 상기 무선기지국(120 ~ 20-N)을 통해 가입자인 이동통신단말기(100 ~ 100-N, 101 ~101-N)로부터 호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무선기지국을 통해 해당 가입자인 이동통신단말기로 스위칭하여 연결한다. 도 1에서 상기 음성사서함(140)은 상기 이동전화교환기(130)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100-N, 101~101-N) 가입자들의 음성 저장영역(이하 "가입자 저장영역"이라 함)을 각각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음성사서함(140)은 상기 이동전화교화교환국(1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100-N, 101~101-N) 중 특정 이동통신단말기(예: 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특정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발호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가입자 영역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도 1과 2를 참조하고,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와 제 2통신말기(101)가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 내용을 저장할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와 제 2통신단말기(101)가 통화로를 형성하면, 201단계에서 상기 제 1가입자(100)와 제 2가입자(101)는 일반 통화를 시작한다. 상기 통화 중 제 1통신단말기(100) 가입자가 제 2통신단말기(101) 가입자에게 중요한 내용의 말을 하고자 할 때, 또는 한번 듣고 기억하지 못하는 정보일 때, 제 1이동통신단말(100)의 외부 키입력장치의 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음성저장서비스(Voice Savig Service: 이하 "VSS"라 함) 요구 신호를 전용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을 통해 상기 무선지기국(120)으로 송신한다. 이동전화교환국(130)은 상기 VSS 요구 신호를 무선기지국(120)을 통해 입력받고, 204단계에서 제 1이동통신단말기(101)가 VSS를 요구하였음을 알려주고, 음성사서함(140)과 접속하여 입력되는 음성(이하 "음성 메일"이라 함)을 저장할 준비를 한다. 상기 음성사서함(140)과의 접속 매카니즘(Mechanism)은 추가 서비스인 콜 포워딩(Call Forwarding: 호 절환) 서비스 기능 중 상기 음성사서함(140)으로 절환하는 절차를 이용한다(공지의 기술임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가입자(100)는 상기 VSS 요구 후 외부의 음성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205단계에서 음성 메일로 송신한다. 이동전화교환기(130)는 상기 음성 메일을 무선기지국(120)을 통해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된 음성 메일은 상기 이동전화교환기(130)의 제어를 받아 206단계에서 음성사서함(140)으로 송신되어 저장된다. 상기 205단계 전후에 이동전화교환국(130)은 상기 204단계의 VSS 상태 알림 송신에 응답하여 206단계에서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로부터 통화상태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라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와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 사이의 통화로 상태를 결정한다. 상기 통화상태는 두 가지로서, 그 첫 번째는 통화 유지모드이고 다른 하나는 통화 임시절단 모드이다. 상기 통화 유지모드는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와의 통화채널(TCH)을 그대로 유지하여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 가입자의 음성을 계속 들을 수 있는 상태, 즉 이동전화교환국(130)은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와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의 통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음성사서함(140)에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화 임시절단 모드는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음성 메일을 음성사서함(140)의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의 가입자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 가입자는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메일을 들을 수 없다. 즉, 이동전화교환국(130)이 임시로 통화로를 차단시키는 것으로, 음성 메일을 무트(Mute)시키는 것이다. 이동전화교환국(130)은 상기 무트 후에 안내 메시지(예: 지금은 음성사서함을 사용중입니다.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 등을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로 송신하여 지속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가 통화상태를 선택하면, 통화상태 선택신호를 무선기지국(120-N)을 통해 이동전화교환국(130)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이동전화교환국(130)은 상기 통화상태 선택 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통화상태 선택신호가 206-1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VSS가 실행되기 전에 이동전화교환국(130)으로 송신되면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는 음성 메일의 처음부터 선택된 통화상태에 따라 음성 메일을 수신하거나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화상태 선택신호가 206-2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VSS가 실행된 이후에 송신되면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는 상기 통화상태를 선택하기 이전에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저장되고 있는 음성 메일의 수신 여부는 이동전화교환국(130)의 초기 설정에 따라 결정된다. 즉, 이동전화교환국(130)이 상기 초기 설정 값으로 통화 유지모드를 가지고 있다면,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는 음성 메일의 처음부분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통화 임시절단 모드를 가지고 있다면,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는 통화상태 선택신호 송신 이후부터 음성 메일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이동전화교환국(130)은 음성 메일이 무선기지국(120)을 통해 입력되기 시작하면, 상기 음성 메일을 음성사서함에 저장하고,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일반 통화 요구신호가 있을 때까지 계속해서 저장한다. 상기 음성 메일의 저장 중에 208단계에서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일반 통화 요구신호가 무선기지국(120)을 통해 입력되면 이동교환전화국(130)은 209단계에서 음성 메일 저장을 중단하고, 일반 통화상태로 전환함을 무선기지국(121)을 통해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로 알려준다. 그러면 210단계에서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와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는 일반 통화상태에서 통화를 개시한다. 상기 210단계 후 211단계에서 상기 두 가입자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통화가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통화를 종료한다(통화 종료 처리과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된 후에 제 2이동통신단말기(101)는 213단계에서 무선기지국(121)과 이동전화교환국(130)을 통해 음성사서함(140)에 접속하여 자신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100) 가입자가 저장한 음성 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중 중요 내용을 저장함에 있어서, 정보량에 상관없이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특별한 하드웨어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음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음성사서함을 구비하고, 제 1무선기지국과 이동전화교환국과 제 2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 1무선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제 2무선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중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 내용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 저장 서비스 요구신호를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상기 음성 저장 서비스 요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음성 저장 서비스 상태임을 알리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음성사서함과 경로를 연결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음성 저장 서비스 요구신호를 송신한 다음, 음성 메일을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송신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상기 음성 메일을 입력받아 상기 음성사서함에 저장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일반 통화 요구신호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송신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음성 메일 저장 중에 상기 일반 통화 요구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사서함과 연결된 경로를 차단하여 음성 메일 저장을 종료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일반 통화임을 알리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6과정과,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일반 통화임을 알린 후, 일반 통화 상태로 전환하는 제 7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과정 후에,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으로 음성 메일 확인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음성 메일 확인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상기 음성사서함 해당 영역으로부터 상기 저장된 음성 메일을 독출하여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에게 송신하는 제 8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통화상태 선택신호를 수신한 다음,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으로 통화상태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전화교환국이 음성 메일 저장 중에 수신하여 상기 통화상태 요구 신호에 따라 통화상태를 결정하는 제 9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저장 서비스 상태 알림신호와 일반 통화 상태 알림신호가 메시지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상태가 음성 저장 서비스 상태에서 상기 제 1이동통신단말기가 저장 중인 음성 메일을 듣기 위한 통화 유지모드와 상기 음성 메일을 듣지 않기 위한 임시 통화 절단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18602A 1998-05-22 1998-05-2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 KR10026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02A KR100260621B1 (ko) 1998-05-22 1998-05-2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02A KR100260621B1 (ko) 1998-05-22 1998-05-2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08A KR19990085908A (ko) 1999-12-15
KR100260621B1 true KR100260621B1 (ko) 2000-07-01

Family

ID=1953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602A KR100260621B1 (ko) 1998-05-22 1998-05-2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600B1 (ko) * 2000-12-30 2007-03-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내용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08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0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status
US5363429A (en) Radio telephone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an interrupting caller and telephone system using the same
CN103188372B (zh) 移动终端的通话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19980050793A (ko) 기지국장치의 핸드폰 자동응답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JPS62241443A (ja) 移動通信装置
JPH1042365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US20070135158A1 (en) Cellular phone and mobile switching controller
KR10026062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 내용 저장방법
KR100251733B1 (ko) 이동통신 망에서 긴급메시지 전달방법
KR100764477B1 (ko) 비행모드 전환을 통한 안내멘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088991B2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JPH04122135A (ja) 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248612B1 (ko) 전전자교환기의 고정형 안내방송장치
JPH1198256A (ja) 通信端末機及びディジタル交換機ならびに発信者情報転送システム
JP2001086562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無線通信用端末、及び移動無線通信用基地局
JPH11355444A (ja) 通話内容記憶方式
US777862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H11289387A (ja) 携帯電話機
KR100265119B1 (ko) 자동응답기능을갖는전화기의메시지자동전송방법
KR20010003363A (ko) 휴대용 통신 기기에서의 자동응답 방법
JP2000209326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H11215239A (ja) 電話通信システム、交換システム及び電話転送方法
KR100346197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970055962A (ko) 발신자 번호 기록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1285494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